[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11447B1 - 디페닐술폰 유도체 및 그로 부터 제조된 기록 물질 - Google Patents

디페닐술폰 유도체 및 그로 부터 제조된 기록 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1447B1
KR100211447B1 KR1019960706940A KR19960706940A KR100211447B1 KR 100211447 B1 KR100211447 B1 KR 100211447B1 KR 1019960706940 A KR1019960706940 A KR 1019960706940A KR 19960706940 A KR19960706940 A KR 19960706940A KR 100211447 B1 KR100211447 B1 KR 100211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aterial
diphenyl sulfone
formula
compound
sulfone derivat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Lifetim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6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3308A (ko
Inventor
히로시 후지이
신이찌 사또오
류이찌 가네꼬
Original Assignee
쓰끼하시 다미까따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끼하시 다미까따,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쓰끼하시 다미까따
Priority claimed from PCT/JP1995/001072 external-priority patent/WO1995033714A1/ja
Publication of KR970703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3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1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1447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Lifetim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3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using chemical colour formers
    • B41M5/333Colour developing components therefor, e.g. acidic compounds
    • B41M5/3333Non-macromolecular compounds
    • B41M5/3335Compounds containing phenolic or carboxylic acid groups or metal salts thereof
    • B41M5/3336Sulfur compounds, e.g. sulfones, sulfides, sulfon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124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using pressure to make a masked colour visible, e.g. to make a coloured support visible, to create an opaque or transparent pattern, or to form colour by uniting colour-forming components
    • B41M5/132Chemical colour-forming components; Additives or binders therefor
    • B41M5/155Colour-developing components, e.g. acidic compounds; Additives or binders therefor; Layers containing such colour-developing components, additives or bin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7/00Sulfones; Sulfoxides
    • C07C317/16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17/22Sulfones; Sulfoxides having sulfone or sulfoxide group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with sulfone or sulfox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of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1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18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 of at least one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the carbon skeleton
    • C07C323/2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 of at least one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the carbon skeleton with sing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carbon atoms of the same non-condensed six-membered aromatic 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t Sensitive Colour Forming Recording (AREA)
  • Color Printing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학식 I 로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디페닐 술폰 유도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물질에 관한 것이다.
[식중, Y 는 직쇄 또는 측쇄의 (불) 포화 C1- C12탄화수소기, 에테르 결합을 갖는 C1- C8탄화수소기, 또는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기 (R 은 메틸렌 또는 에틸렌을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R1, R2, R3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저급 알킬 또는 저급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m 은 0, 1 또는 2 의 정수를 나타내고; 및 n, p, q 및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 내지 4 의 정수를 나타내며, 단 n, p, q 및 r 이 2 이상을 나타낼 때, R1, R2, R3및 R4로 표시되는 치환체는 각각 서로 상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페닐술폰 유도체 및 그로 부터 제조된 기록 물질
착색 발색체 및 전개제의 착색 형성 반응을 기재로하는 기록 물질은, 전개, 고정 등과 같은 복잡한 기록 절차를 필요로하지 않는 비교적 단순한 장치를 사용함으로 단시간에 기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팩스, 프린터 등에 의한 기록의 출력에 이용되는 감열 기록지, 또는 여러 복사를 한 번에 생성하기 위한 회계 카드에 이용할 수 있는 무탄소지 용도로 폭넓게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기록 물질로, 즉시 색상을 전개하고, 비영상 부위 (이하, 배경으로 약칭) 에서의 색 변화를 방지하고, 착색 영상과 배경의 높은 보존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였다. 더욱이, 최근에 와서 크게 중요한 기록 영상에 대한 신뢰성을 갖는 표식 인쇄의 분야에서 특별히 다량으로 사용되었다. 덧붙여서, 높은 보존성, 및 패키지에 사용되는 유기 고분자 물질에 함유된 가소제 및 오일에 대하여 내성을 갖는 착색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기록 물질이 강하게 요구되고 있다. 그러한 목적을 위하여, 안정화제와 같은 효율적인 보조제뿐만 아니라 착색 형성 발색체 및 착색 전개제를 발견하기 위하여 다양한 관점으로의 조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상기 설명된 충분한 성질을 갖는 그러한 물질은 아직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본 발명에 구체화된 화합물과 유사한 화합물의 예로서, 각종의 디페닐 술폰 유도체, 펜에틸 알콜 유도체 등이 예시화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기록 물질로 사용되는 착색 전개제로 알려져있다. 한편에 알콕실 또는 아르알콕실기 및 다른 한편에 히드록실기를 갖는 디페닐 술폰 유도체가 일본 특허공개 소 57-210886, 소 58-20493, 소 58-82788, 소 58-132593, 소 60-13852 국제공개 WO 84/02882 등에 각각 개시된다.
더욱 최근에는, 상기 설명된 것과 같은 기록 물질의 보존성을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노볼락 형 에폭시 수지와 같은 에폭실 기 및 글리시딜 화합물을 함유하는 기록물질의 몇가지 특허 출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출원인은 또한 동일한 목적을 위하여 4-히드록시-4'-(2-메틸글리시딜옥시)디페닐 술폰의 화합물이 구체화된 특허를 출원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화합물 모두는 전개된 영상에 대하여 충분한 보존성을 제공하지 못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출원인은 영상 안정화제로서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일본 특허공개 헤이 5-194368 에 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화합물은 습기 및 열에 대하여 불량한 내성을 가지며, 단지 색상 전개제로서 사용될 때만 전개된 색상의 낮은 밀도 및 낮은 감광성을 갖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설명한 것처럼, 최근에와서, 착색 영상의 보존성의 확보, 특별히 가소제 및 오일에 대한 내성을 목적으로 하는 기록 물질의 개선이 크게 요구된다. 그러므로, 착색 영상의 우수한 보존성, 전개될 때의 충분한 착색 밀도 및 배경에서의 색상 변화를 방지하는 우수한 성질을 갖는 기록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신규한 디페닐 술폰 유도체를 포함하며, 그로부터 전개된 착색 영상의 보존성이 개선된 기록 물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 로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디페닐 술폰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록 물질에 관한 것이다.
[식중, Y 는 직쇄 또는 측쇄의 (불) 포화 C1- C12탄화수소기, 에테르 결합을 갖는 C1- C8탄화수소기, 또는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기 (R 은 메틸렌 또는 에틸렌을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R1, R2, R3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저급 알킬 또는 저급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m 은 0, 1 또는 2 의 정수를 나타내고; 및 n, p, q 및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 내지 4 의 정수를 나타내며, 단 n, p, q 및 r 이 2 이상을 나타낼 때, R1, R2, R3및 R4로 표시되는 치환체는 각각 서로 상이할 수 있다.]
Y 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렌, 에틸렌, 트리메틸렌, 테트라메틸렌, 펜타메틸렌, 헥사메틸렌, 헵타메틸렌, 옥타메틸렌, 노나메틸렌, 데카메틸렌, 운데카메틸렌, 도데카메틸렌, 메틸 메틸렌, 디메틸 메틸렌, 메틸 에틸렌, 메틸렌 에틸렌, 에틸 에틸렌, 1,2-디메틸 에틸렌, 1-메틸 트리메틸렌, 1-메틸 테트라메틸렌, 1,3-디메틸 트리메티렌, 1-에틸-4-메틸-테트라메틸렌, 비닐렌, 프로페닐렌, 2-부테닐렌, 에티닐렌, 2-부티닐렌, 1-비닐 에틸렌, 에틸렌 옥시에틸렌, 테트라메틸렌 옥시테트라메틸렌, 에틸렌 옥시에틸렌 옥시에틸렌, 에틸렌 옥시메틸렌 옥시에틸렌, 1,3-디옥산-5,5-비스메틸렌, 1,2-크실릴, 1,3-크실릴, 1,4-크실릴 등이 예시화될 수 있다.
R1, R2, R3및 R4로 표시되는 저급 알킬 및 저급 알케닐은 각각 독립적으로 임의 C1- C6알킬 또는 C2- C4알케닐이며, 그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부틸, t-부틸, n-펜틸, 이소펜틸, 네오펜틸, t-펜틸, n-헥실, 이소헥실, 1-메틸펜틸, 2-메틸펜틸, 비닐, 알릴, 이소프로페닐, 1-프로페닐, 2-부테닐, 3-부테닐, 1,3-부타디에닐, 2-메틸-2-프로페닐 등으로 예시될 수 있다.
화학식 I 로 표시되는 화합물중에서, 하기 화학식 II 로 표시되는 디페닐 술폰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별히, 화학식 III 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화학 합성의 관점에서, 화학식 IV 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더욱 이롭다.
하기 표 1 내지 표 4 에서, 화학식 II 로 표시되는 디페닐 술폰 유도체의 구체적인 예가 인용되나,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하기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용된 유도체의 가능한 모든 이성질체가 또한 본 발명의 특정된 화합물의 범주내에 포함된다.
화학식 I 로 표시되는 디페닐 술폰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염기성 물질의 존재하에서 물중에서, 또는 물 및 유기 용매로 이루어진 이층 용매중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하기 반응식에 따라 상기 유도체는 제조될 수 있다. 출발 물질로서, 상업적으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4,4'-디히드록시디페닐 술폰 유도체 또는 2,4'-디히드록시디페닐 술폰 유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X 는 염소 및 브롬과 같은 할로겐을 나타내고, 상기 반응식에서의 다른 치환체는 상기 설명된 것이다.
물 및 유기 용매로 이루어지는 이층 용매계에서, 염기성 물질 예를 들면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의 수산화물, 더욱 특별하게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또는 수산화리튬의 존재하의 반응은 수불용성 유기 용매,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클로로벤젠 및 디클로로벤젠과 같은 벤젠 형 유기 용매; 디에틸 케톤 및 메틸이소부틸 케톤과 같은 케톤 형 유기 용매; 에틸 아세테이트와 같은 에스테르 형 유기 용매중에서, 60 내지 90 ℃ 의 온도로 수 시간 내지 수십 시간 동안 일어난다.
상기 언급된 수 용매계에서, 반응은 상기 설명한 염기성 물질의 존재하에서 0 내지 90 ℃ 의 온도로 수 시간 내지 수십 시간 동안 물중에서 일어난다.
반응 후, 단일의 고정제도의 화합물이 용매에 의한 선택적인 추출법으로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착색 발색체를 기재로하는 기록물질, 예를들면 감열 기록지, 무탄소지 등인 한 임의 용도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물질은, 착색 발색체로 이루어지는 기록 물질에 본 발명에서 구체화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이 함유된다면,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가소제에 대하여 내성을 갖는 착색 영상용 안정화제 뿐만 아니라, 가소제에 대한 우수한 내성을 갖는 전개제로 사용될 수 있다. 착색 영상용 안정화제 및 전개제로 두 기능을 갖는 그러한 특성은 착색 발색체의 비율에 대한 전개제 및 영상 안정화제의 총 비율에 대하여 필요한 사용 비율을 상대적으로 감소시켜, 기록 물질의 제조 비용을 감소시키므로, 커다란 이점을 제공한다.
착색 발색체를 함유하는 기록 물질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던 모든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록 물질은 발명의 화합물이 영상 안정화제로 사용될 때에는 전개제, 및 감광제와 같은 보조제와 배합함으로, 그것이 전개제로 사용될 때에는 감광제와 같은 특정의 보조제와 배합함으로 제조할 수 있다. 자연적으로, 본 발명의 수천개의 화합물은 한편으로는 영상 안정화제로서, 다른 한편으로는 전개제로 배합물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과 동일한 용도의 화합물을 결합하여 사용함으로 착색 성질이 주어지는 기록 물질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감열 기록지에 본 발명의 화합물을 이용할 때, 공지의 전개제 및 영상 안정화제중 하나를 동일한 방법에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합물을 보조제 및 착색 염료와 함께 수용성 결합제의 수용액에 분산하고, 그 결과 생성의 현탁액을 혼합하여, 종이와 같은 지지 물질에 적용하고, 연속적으로 건조한다.
더욱이, 착색 형성층에 화합물을 함유하는 상기 설명한 방법에 덧붙여서, 상기 착색 형성층이 다층 구조인 경우에, 임의의 보호층, 내부 도포층 또는 그 밖의 층에 화합물을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착색 발색체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사용 비율은 영상 안정화제로서 사용될 때에, 착색 발색체 1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 중량부이며, 전개제로서 사용될 때에 착색 발색체 1 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 중량부이다.
상기 설명한 보조제로서, 영상 안정화제, 감광제, 충진재, 분산제, 산화방지제, 감감제, 점착방지제, 지포제, 광안정화제, 형광 증백제 등을 적절히 첨가할 수 있다.
감광제의 선택은 임의적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그의 예로는 스테아르산아미드와 같은 고급 지방산 아미드, 벤즈아미드, 스테아르산아닐리드, 아닐리드 아세토아세테이트, 티오아세토아닐리드, 디벤질 옥살레이트, 디-(4-메틸벤질)옥살레이트, 디-(4-클로로벤질) 옥살레이트, 디메틸 프탈레이트,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디벤질 테레프탈레이트, 디벤질 이소프탈레이트, 비스(t-부틸페놀) 및 그의 유도체, 4,4'-디히드록시디페닐 술폰의 디에테르, 1,2-비스(페녹시)에탄, 1,2-비스(4-메틸페녹시)에탄, 1,2-비스(3-메틸페녹시)에탄, 2-나프틸 벤질 에테르, 디페닐 아민, 카르바졸, 2,3-디-m-톨릴부탄, 4-벤질비페닐, 4,4'-디메틸비페닐, m-터페닐, 디-β-나프틸페닐렌디아민, 페닐 1-히드록실나프토에이트, 2-나프틸 벤질 에테르, 4-메틸페닐 비페닐 에테르, 2,2-비스(3,4-디메틸페닐)에탄, 2,3,5,6-테트라메틸-4'-메틸디페닐 메탄 등이 예시될 수 있다.
충진재의 예로는, 점토, 활석, 카올린, 사틴 화이트, 티타늄 옥시드,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황산바륨, 규산마그네슘, 규산알루미늄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분산제의 예로는 디옥틸 나트륨 술포숙시네이트와 같은 술포숙신산의 에스테르, 나트륨 염 및 라우릴 알콜의 술페이트 에스테르의 지방산 염 등이 주어질 수 있다.
영상 안정화제의 예로는 4-벤질옥시-4'-(2-메틸글리시딜옥시)디페닐 술폰 및 4,4'-디글리시딜옥시디페닐 술폰과 같은 에폭시기 함유 디페닐 술폰, 1,4-디글리시딜옥시벤젠, 4-(α-(히드록시메틸)벤질옥시)-4'-히드록시디페닐 술폰, 2-프로판올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옥시나프토산 유도체의 금속 염 (특별히 아연 염), 및 다른 수불용성 아연 화합물이 예시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의 예로는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4,4'-프로필메틸렌-비스(3-메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4,4'-티오-비스(2-t-부틸-5-메틸페놀),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닐), 부탄,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시클로헥시페닐)부탄 등으로, 감감제의 예로는 지방족 고급 알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구아니딘 유도체 등으로 예시될 수 있다.
더욱이, 점착방지제의 예로는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아연, 스테아르산칼슘, 카나우바 왁스, 파라핀 왁스, 왁스 에스테르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광안정화제의 예로는 살리실산 형 자외선 조사 흡수제, 벤조산 형 자외선 조사 흡수제, 벤조트리아졸 형 자외선 조사 흡수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 형 자외선 조사 흡수제, 차폐 아민형 자외선 조사 흡수제, 등으로 예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과 함께 사용되는 착색 발색체로, 플루오란, 프탈리드, 락탐, 트리페닐 메탄, 페노티아진 및 스피로피란 화합물중 임의로 이루어지는 루코 발색체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착색 발색체는 상기 설명된 것으로 본 발명에 제한되지 않으며, 산성 물질의 전개제와 접촉할 때 색상을 전개하는 모든 착색 발색체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착색 발색체중에서, 플루오란 화합물의 예로는 하기 화합물이 예시될 수 있다:
더욱이, 인접 적외선 흡수 발색체의 예로는 3-(4-(4-(4-아닐리노)-아닐리노)아닐리노-6-메틸-7-클로로플루오란, 3,3-비스(2-(4-디메틸아미노페닐)-2-(4-메톡시페닐)비닐)-4,5,6,7-테트라클로로프탈리드, 3,6,6'-트리스(디메틸아미노)스피로[플루오렌-9,3'-프탈리드], 등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다른 전개제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그의 예로는 비스페놀 A, 4,4'-s-부틸리덴 비스페놀, 4,4'-시클로헥실리덴 비스페놀, 2,2-디메틸-3,3-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2,2'-디히드록시디페닐, 펜타메틸렌-비스(4-히드록시벤조에이트), 2,2-디메틸-3,3-디(4-히드록시페닐)펜탄, 2,2-디(4-히드록시페닐)헥산 등등과 같은 비스페놀류; 4,4'-디히드록시디페닐 티오에테르, 1,7-디(4-히드록시페닐티오)-3,5-디옥사헵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티오)디에틸 에테르, 4,4'-디히드록시-3,3'-디메틸페닐 티오에테르 등등과 같은 황 함유 비스페놀류; 벤질 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에틸 4-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이소프로필 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부틸 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이소부틸 4-히드록시벤조에이트, 클로로벤질 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메틸벤질 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디페닐메틸 4-히드록시벤조에이트, 등등과 같은 4-히드록시벤조에이트 에스테르류; 아연 벤조에이트 및 아연 4-니트로벤조에이트와 같은 벤조산의 금속 염; 4-(2-(4-메톡시페닐옥시)에틸옥시)살리실레이트와 같은 살리실산; 아연 살리실레이트와 같은 살리실산의 금속 염; 4,4'-디히드록시디페닐 1 술폰, 2,4'-디히드록시디페닐 술폰, 4-히드록시-4'-메틸디페닐 술폰, 4-히드록시-4'-이소프로폭시디페닐 술폰, 4-히드록시-4'-부톡시디페닐 술폰, 4,4'-디히드록시-3,3'-디알릴디페닐 술폰, 3,4-디히드록시-4'-메틸디페닐 술폰, 및 4,4'-디히드록시-3,3'-5,5'-테트라브로모디페닐 술폰과 같은 히드록시 술폰류; 디메틸 4-히드록시프탈레이트, 디시클로헥실 4-히드록시프탈레이트 및 디페닐 4-히드록시프탈레이트와 같은 4-히드록시프탈산의 디에스테르류; 2-히드록시-6-카르복시나프탈렌과 같은 히드록시나프토에이트 에스테르류; 히드록시아세토페논, p-페닐페놀, 벤질 4-히드록시페닐 아세테이트, p-벤질페놀, 히드로퀴논-모노벤질 에테르 및 트리브로모메틸페닐 술폰과 같은 트리할로메틸 술폰; 4,4'-비스(p-톨루엔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아미노)디페닐메탄과 같은 술포닐 우레아; 및 테트라시아노퀴노디메탄 등과 같은 전하 전이 착화합물이 예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공지의 영상 안정화제, 전개제 및 감광제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동일한 방법으로 무탄소지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들면, 미세 캡슐에 캡슐된 착색 형성 발색체를 공지의 방법으로 적당한 분산제중에 분산하고, 이어서 상기 분산액을 종이에 적용하여 제조한 착색 형성 발색체가 적용된 종이 시트, 및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현탁액을 종이에 적용하여 제조한 또 다른 종이 시트를 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유기 용매중의 착색 발색체 용액을 캡슐화한 미세 캡슐이 종이의 하부에 적용된 상면지 및 그 상부에 전개제가 적용된 하면지로 이루어지는 단위 형 구조, 또는 상기 미세 캡슐 및 전개제가 종이의 동일한 부위에 적용된 이른바 셀프 컨텐트 지의 형태로 만들어진 무탄소지에 사용될 수 있다.
이제, 실시예를 참고로하여 본 발명은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설명된 범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합물 1-1 의 합성예]
8.0 g 의 수산화나트륨 (0.20 ㏖) 을 100 ㎖ 의 물에 용해하고, 40.0 g (0.16 ㏖) 의 4,4'-디히드록시 디페닐 술폰 (이하, BPS 로 약칭)을 거기에 더 첨가한다. 그 결과의 용액에, 100 ㎖ 의 메틸 이소부틸 케톤 (이하, MIBK 로 약칭) 및 또한 7.0 g (0.04 ㏖) 의 디브로모메탄을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15 시간 동안 가열하에 환류시켜 반응을 일어나게 한다. 반응 후에, 희석 황산을 그 반응 용액에 첨가하여 물 층을 다소 산성으로 하여, 물 층을 분리한다. 유기 층을 1 % NaOH 수용액으로 세척하여, 미반응 BPS 를 회수한 후, MIBK 를 축합하고 냉각하여, 융점 213 내지 215 ℃ 의 백색 결정 상태의 2.5 g 의 1,1-비스[4-(4-히드록시페닐술포닐)페녹시]메탄을 수득한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측정한 수득된 화합물의 순도는 95.2 % 이었으며, 디브로모메탄으로 부터의 수율은 12 % 였다.
[실시예 2]
[화합물 1-6 의 합성예]
환류 및 가열하에 브로모메탄을 9.8 g (0.04 ㏖) 의 디브로모헥산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에서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11 시간 동안 반응 시켰다. 반응 후에, 희석 황산을 반응 용액에 첨가하여 물 층을 다소 산성으로 적정하여, 상기 물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1 % NaOH 수용액으로 세척하여, 미반응 BPS 를 회수한 후, MIBK 를 축합하고 제거하여, 14.5 g 의 황색 오일을 생성하였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한 분석에 따라, 오일 중의 목적 화합물, 1,6-비스[4-(4-히드록시페닐술포닐)페녹시]헥산의 함량은 50.0 % 였다. 그 오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더 정제하여, 융점 225 내지 226 ℃ 의 백색 결정 상태의 3.5 g 의 목적 화합물을 수득한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한 수득된 화합물의 순도는 96.6 % 였고, 디브로모헥산으로 부터의 수율은 10 % 였다.
[실시예 3]
[화합물 1-25 의 합성예]
환류 및 가열하에 브로모메탄을 5.0 g (0.04 ㏖) 의 1,4-디클로로-2-부텐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에서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2 시간 동안 반응 시켰다. 반응 후에, 희석 황산을 반응 용액에 첨가하여 물 층을 다소 산성으로 적정하여, 상기 물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1 % NaOH 수용액으로 세척하여, 미반응 BPS 를 회수한 후, MIBK 를 축합하고 냉각하여, 5.9 g 의 1,4-비스[4-(4-히드록시페닐술포닐)페녹시]-2-부텐을 백색 결정 상태로 수득하였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한 분석에 따라, 목적 화합물의 순도는 91.7 % 이고, 1,4-디클로로-2-부텐으로 부터의 수율은 27 % 였다.
그런 후, 그 수득된 목적 화합물을 메탄올을 사용하여 재결정을 더 수행하여 이성질체를 분리한다. 그 결과로, 시스-이성질체는 부정형이었고, 트랜스-이성질체의 융점은 244 내지 246 ℃ 의 범위이었다.
[실시예 4]
[화합물 1-30 의 합성예]
200 ㎖ 의 탈수 디메틸포름아미드에 27.2 g (0.08 ㏖) 의 4-벤조일옥시-4'-히드록시디페닐 술폰을 용해하고, 3.5 g (0.088 ㏖) 의 60 % 오일성 수소화나트륨을 거기에 더 첨가한다. 5.7 g (0.04 ㏖) 의 비스(2-클로로에틸)에테르를 더 첨가한 후에, 그 혼합물을 4 시간 동안 10 ℃ 에서 반응시킨다. 반응 후에, 200 ㎖ 의 MIBK 및 200 ㎖ 의 물을 첨가하여, 70 ℃ 로 온도를 유지하면서, 물 층을 분리한다. MIBK 층을 냉각하여 23.7 g 의 2,2'-비스[4-(4-벤질옥시페닐술포닐)페녹시]디에틸 에테르를 백색 결정 상태로 수득하였다. 비스(2-클로로에틸)에테르로 부터의 수율은 79 % 였다.
80 ㎖ 의 히드로브롬산 및 80 ㎖ 의 아세트산으로 이루어진 혼합 용액에 수득된 23.7 g 의 결정을 더 첨가하고, 그 용액을 가열 환류하에 30 분 동안 반응시킨다. 반응 후에, 그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고, 그 반응 산물에 연속적으로 100 ㎖ 의 메탄올을 첨가하여 결정화하고, 여과하고, 건조하여 171 내지 172 ℃ 의 범위의 융점을 갖는 11.4 g 의 목적의 화합물, 2,2'-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포닐)페녹시]디에틸 에테르를 백색 결정 상태로 수득한다.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한 분석에 따라, 목적 화합물의 순도는 98.7 % 이고, 비스(2-클로로에틸)에테르로 부터의 수율은 50 % 이다.
[실시예 5]
[감열 기록지의 제조]
모래 분쇄기를 사용하여 상기 기재된 각 용액의 성분을 완전히 분쇄하여, A, B 및 C 용액 각각을 제조한다. A 용액 1 중량부, B 용액 2 중량부 및 C 용액 1 중량부를 혼합하여, 도포 용액을 제조한다. 와이어로드 (번호 12) 를 사용하여 도포 용액을 플레인 종이에 도포한 후에, 그를 건조하고, 그 적용된 종이를 하소하여 감열 기록지를 제조한다.
[비교예 1]
본 발명의 화합물을 4-히드록시-4'-이소프로폭시디페닐 술폰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 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기록지를 제조한다.
[비교예 2]
본 발명의 화합물을, 일본 특허공개 헤이 5-194368 에 개시된 1,3-비스-(4-히드록시디페닐술폰-4'-일옥시)-2-프로판올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 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기록지를 제조한다.
[실시예 6]
[가소제에 대한 기록지의 내성 실험]
실시예 5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기록지로 감열 기록지상의 색상 전개를 위한 시험 장치를 사용하여 26 V 의 인쇄 전압 및 1.8 ㎳ 의 펄스 폭으로 체커 패턴에서의 색상 전개를 수행하고, 종이상의 착색 영상을 염화비닐로 만들어진 랩 필름으로 견고하게 밀봉하였다. 밀봉된 종이를 8 시간 동안 40 ℃ 로 유지하여 가소제에 대한 내성을 측정하였다. 시험 전후의 색상 밀도를 맥베쓰 박사 덴시토미터 RD-514 (사용된 필터 : # 106) 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그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상기 표에서, 그 값이 클수록, 착색 영상의 밀도가 더 커지는 것을 의미한다. 색상의 잔류율의 값이 클수록 색상의 소실이 작음을 의미한다. 상기 나타낸 표에서, 전개제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감열기록지는 가소제에 대하여 개선된 착색 영상의 내성을 가지는 것을 보여준다. 색상의 잔류율은 시험 후에 측정된 색상 밀도를 시험전의 값으로 나누어 계산한다.
[실시예 7]
[습기 및 열에 대한 감열 기록지의 내성 실험]
실시예 5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감열 기록지 각각을 50 ℃ 및 80 % RH 의 대기에서 2 시간 동안 방치한다. 그런 후, 맥베쓰 박사 덴시토미터 RD-514 (사용된 필터 : #106) 을 사용하여 배경의 밀도를 측정한다. 그 결과는 표 6 에 나타낸다.
상기 표에서, 그 값이 클수록, 배경에서의 색상 밀도가 더 커짐을 나타낸다. 결과적으로, 상기 표는 전개제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을 사용하는 기록지는 배경에 대한 습기 및 열에 대하여 우수한 내성을 제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기록 물질의 분야에 있어서, 가소제 및 오일에 대한 내성을 포함하는 물질 보존성은 매우 중요한 성질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페닐 술폰 유도체는 그 보존성에서 개선된 것이기 때문에, 우수한 물질로서 발견되었다. 특별히, 그 화합물이 전개제로서 사용될 때에, 기록 물질의 색상면에서 충분한 감광성, 습기 및 열에 대한 내성 실험에서의 배경의 우수한 보존성 및 가소제에 대한 우수한 내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록 물질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디페닐 술폰 유도체는 우수한 보존성을 갖는 영상 안정화제로도 사용될 수 있다.

Claims (5)

  1. 화학식 I 로 표시되는 디페닐 술폰 유도체 :
    [식중, Y 는 직쇄 또는 측쇄의 (불) 포화 C1- C12탄화수소기, 에테르 결합을 갖는 C1- C8탄화수소기, 또는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기 (R 은 메틸렌 또는 에틸렌을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R1, R2, R3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저급 알킬 또는 저급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m 은 0, 정수 1 또는 2 를 나타내고; 및 n, p, q 및 r 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정수 1 내지 4 를 나타내며, 단 n, p, q 및 r 이 2 이상을 나타낼 때, R1, R2, R3및 R4로 표시되는 치환체는 각각 서로 상이할 수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화학식 II 로 표시되는 디페닐 술폰 유도체.
    [식중, Y, R1, R2, R3, R4, n, p, q 및 r 은 상기와 동일하다.]
  3.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 로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디페닐 술폰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록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발색체를 사용하는 기록물질에 사용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기록 물질.
  4. 전개제로서,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 로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디페닐 술폰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록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발색체를 사용하는 기록물질에 사용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기록 물질.
  5. 영상-안정화제로서,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I 로 표시되는 하나 이상의 디페닐 술폰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록 물질임을 특징으로 하는 착색 발색체를 사용하는 기록물질에 사용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기록 물질.
KR1019960706940A 1994-05-20 1995-06-01 디페닐술폰 유도체 및 그로 부터 제조된 기록 물질 Expired - Lifetime KR100211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06599 1994-05-20
JP10659994 1994-05-20
JP94-147146 1994-06-06
JP14714694 1994-06-06
JP12651194 1994-06-08
JP94-126511 1994-06-08
JP16772394 1994-07-20
JP94-167723 1994-07-20
JP95-108058 1995-04-07
JP10805895 1995-04-07
PCT/JP1995/001072 WO1995033714A1 (en) 1994-06-06 1995-06-01 Diphenyl sulfone derivative and recording material prepared therefr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3308A KR970703308A (ko) 1997-07-03
KR100211447B1 true KR100211447B1 (ko) 1999-08-02

Family

ID=66437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6940A Expired - Lifetime KR100211447B1 (ko) 1994-05-20 1995-06-01 디페닐술폰 유도체 및 그로 부터 제조된 기록 물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144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3308A (ko) 1997-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64635B1 (en) Diphenyl sulfone derivative and recording material prepared therefrom
EP0860429B1 (en) Diphenyl sulfone crosslinking type compounds and recording materials using them
JP3913820B2 (ja) ジフェニルスルホン架橋型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記録材料
JP3717083B2 (ja) ジフェニルスルホン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記録材料
JP3451109B2 (ja) フェネチルアルコール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記録材料
JP3664839B2 (ja) 記録材料
KR100511732B1 (ko) 페놀성 화합물 및 그를 사용한 기록 재료
KR100211447B1 (ko) 디페닐술폰 유도체 및 그로 부터 제조된 기록 물질
JP4938035B2 (ja) ジフェニルスルホン架橋型化合物を含有する記録材料用組成物
JP4017205B2 (ja) トリアジン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記録材料
JP3743987B2 (ja) 発色性記録材料
JP3582070B2 (ja) フェニルエタン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感熱記録材料
JP3634385B2 (ja) ジフェニルスルホン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記録材料
JP4252245B2 (ja) ビスフェノール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記録材料
JP4252221B2 (ja) ビスフェノール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記録材料
JPWO2004039770A1 (ja) ジフェニルスルホン誘導体を用いた記録材料及び新規ジフェニルスルホン誘導体化合物
JP3733577B2 (ja) 新規なフルオラン化合物、中間体及び発色性記録材料
JP3976833B2 (ja) トリアジン誘導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色性記録材料
JP4204881B2 (ja) フェノール性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記録材料
JP4149182B2 (ja) フェノール性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記録材料
JP2000016979A (ja) 置換ジフェニルスルホン架橋型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記録材料
JPWO2003026900A1 (ja) 記録材料
JPH09254556A (ja) 発色性記録材料
JP2004002332A (ja) フェノール性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記録材料
JP2004203790A (ja) (チオ)ウレア性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記録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0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5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5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4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42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4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5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42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2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425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42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