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09115B1 - 증기 발생기 - Google Patents

증기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9115B1
KR100209115B1 KR1019950700616A KR19950700616A KR100209115B1 KR 100209115 B1 KR100209115 B1 KR 100209115B1 KR 1019950700616 A KR1019950700616 A KR 1019950700616A KR 19950700616 A KR19950700616 A KR 19950700616A KR 100209115 B1 KR100209115 B1 KR 100209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lue
steam generator
pipes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0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3135A (ko
Inventor
볼프강 쾰러
루돌프 크랄
에베르하르트 비트초브
Original Assignee
디어터 크리스트, 베르너 뵈켈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46588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20911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디어터 크리스트, 베르너 뵈켈,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디어터 크리스트, 베르너 뵈켈
Publication of KR950703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3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9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91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10Water tubes; Accessories therefor
    • F22B37/12Forms of water tubes, e.g. of varying cross-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29/00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 F22B29/06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of once-through type, i.e. built-up from tubes receiving water at one end and delivering superheated steam at the other end of the tubes
    • F22B29/061Construction of tub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10Water tubes; Accessories therefor
    • F22B37/14Supply mains, e.g. rising mains, down-comers, in connection with wate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Hydrogen, Water And Hydri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연도를 갖춘 화석연료 증기 발생기(1)로서, 상기 연도의 격납 벽(2)이 서로 기밀방식으로 결합된 파이프(4)로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4)는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파이프(4)를 통해 매체가 평행하게 하부로부터 상부로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된, 증기 발생기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라 연도의 하부에 놓인 제1부분(5)에 있는 파이프(4)가 그 위에 놓인 연도의 제2부분(7)에 있는 파이프(4)보다 큰 내경(d1)을 갖는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파이프(4)의 확실한 냉각이 보장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개별 파이프(4)의 평균이상 가열이 파이프(4)의 배출구들 사이의 허용되지 않는 온도차를 야기시키지 않는다.

Description

증기 발생기
본 발명은 연도를 갖춘 화석 연료 증기 발생기로서, 상기 연도의 격납 벽이 서로 기밀방식으로 결합된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는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파이프를 통해 매체가 평행하게 하부로부터 상부로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된, 증기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격납 벽은 종종 가열 표면 부재마다 상이한 세기의 가열에 노출된다. 즉, 대개 화석 연료용의 다수의 버너가 배치되어 있는 하부부분에서의 가열이 상부부분에서 보다 훨씬 더 강력하다. 그 이유는 상부부분에는 종종 부가의 열교환기 표면이 배치되며, 상기 열 교환기 표면은 격납 벽을 너무 강력한 가열, 특히 열 복사에 의한 가열로부터 차폐시키기 때문이다.
유럽 특허 제0 054 601호에 공지된 증기 발생기에서는 수직 연도의 격납 벽이 하부부분에서만 증발기 가열 표면으로 사용된다. 증기-또는 부분 부하시 물-증기 혼합물-는 다음에 접속된 대류 증발기에 공급된다. 격납 벽의 상부부분은 과열기 표면으로 사용되는 파이프로 형성된다. 격납 벽의 일부만이 증발기 표면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개별 파이프의 평균이상 가열시 상기 파이프의 배출구에서 비교적 작은 온도차만이 발생한다. 증발기의 적은 가열로 인해, 증발기 가열 표면 다음에 접속된 대류 증발기의 파이프에 물-증기 혼합물의 불균일한 분포가 생길 수 있다. 격납 벽의 상부부분의 냉각이 약280 내지 320바아의 높은 압력하에서 과열된 증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상부부분에는 크롬을 많이 함유한 강의로 된 격납 벽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격납 벽은 제조시 복잡한 열처리를 필요로 한다. 또한, 상기 공지된 장치는 대류증발기로의 그리고 대류증발기로부터의 연결라인 및 콜렉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들며, 대류 연도에서, 특히 연도가스측 제어연도의 설치에 의해 높은 제어비용을 필요로 한다. 유사한 장치가 간행물 VGB Kraftwerkstechnik, 제7권, 1991, 637 내지 643 페이지에도 개시되어 있다.
파이프에서 흐름 밀도가 통상적으로 대략 2500kg/㎡s이며, 격납 벽의 나선형 파이프 배치를 가진 연속 증기 발생기에서, 파이프들 사이의 온도차에 대한 평균 이상 가열의 영향은 수직연도의 상부부분에 있는 파이프의 내경 확대에 의해 줄어들 수 있다. 그러나, 수직으로 배치된 파이프를 가진 격납 벽에서는 상기 원리가 적용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그렇게 되면 비교적 낮은 흐름 밀도(파이프에서의 흐름속도에 대한 척도임)가 더욱 줄어들게 됨으로써 임계점 근처의 증기압에서 파이프의 확실한 냉각이 더 이상 보장되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한편으로는 파이프의 확실한 냉각을 위해 많은 유동량이 필요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많은 유동량이 개별 파이프 사이의 큰 온도차를 야기시킬 수 있다는 것이 가중된다. 또한, 습 증기 영역에 중간 콜렉터의 사용시 혼합이 안됨으로 인해 물 및 증기의 불균일한 분포의 위험이 있으므로 상기 중간 콜렉터 다음에 접속된 파이프 시스템에서 큰 온도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격납 벽 파이프의 충분한 냉각이 보장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개별 파이프의 평균이상 가열이 개별 파이프들 사이의 허용 되지 않은 온도차를 야기시키지 않도록 구성된 증기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은 적은 비용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연도의 하부에 놓인 제1부분에 있는 파이프가 그 위에 놓인 연도의 제2부분에 있는 파이프보다 큰 내경을 가짐으로써 달성된다.
연도의 하부에 놓인 제1부분(이하, 격납 벽의 제1섹션이라 함)은 매우 높은 열흐름 밀도 및 파이프에서 양호한 내부 열전달을 나타내며, 예컨대 버너 영역에 놓인다. 그 위에 놓인 연도의 제2부분(이하, 격납 벽의 제2섹션이라 함)은 마찬가지로 높은 열흐름 밀도를 나타내지만 파이프에서 보다 낮아진 내부 열전달을 나타내며, 예컨대 상기 버너 영역에 이어지는 소위 가스 분사 공간에 놓인다.
격납 벽의 제1섹션은 내부 열전달을 개선시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내부 리브를 갖춘, 수직으로 배치된 파이프를 포함한다. 상기 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전부하시 파이프에서의 평균 흐름 밀도가 1000kg/㎡s보다 작도록 설계된다. 증기는 제1섹션의 배출구에서, 약40%의 부분 부하시 0.8 내지 0.95인 평균 증기 함량을 갖는다. 상기 전제 조건에서는, 개별 파이프의 평균이상 가열이 상기 파이프의 유동률을 증가시킴으로써 파이프의 배출구에서 단지 작은 온도차만이 생길 정도로, 바람직한 흐름상태가 나타난다.
격납 벽의 제2섹션에서는 작동상태를 따라 열전달 위기, 즉 소위 드라이 아웃(dry out)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의 낮아진 열전달에서 허용되지 않은 높은 파이프 벽 온도를 피하기 위해서, 흐름밀도가 바람직하게는 1000kg/㎡s 이상으로 증가된다. 따라서, 제1섹션으로부터 제2섹션으로의 천이부에서 파이프의 내경은 평행한 파이프의 수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또는 파이프 분할하에 감소된다. 내경의 감소에 의해 제2섹션에서 열흐름 밀도가 높을때도 확실한 냉각이 보장된다.
제2섹션의 보다 작은 내경을 가진 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제1섹션의 보다 큰 내경을 가진 파이프에 직접 연결됨으로써, 두 섹션의 파이프가 서로 직접 이어진다. 제2섹션의 파이프는 적어도 흐름방향으로 볼 때 처음부분에 내부 리브를 가질 수 있다.
가열된 증발기의 파이프 시스템에서 유입부와 배출부 사이에 압력강하가 나타나며, 상기 압력강하는 배출부쪽으로 높은 증기 속도로 인한 마찰에 의해 생긴다. 높은 마찰 압력강하는 강력히 가열된 파이프의 유동량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가열에 비해 적게 증가시킨다. 증기 성형에 의해 마찰 압력 강하가 급속히 커지는 영역에 압력 보상통을 배치하면, 압력보상 통 앞에 놓인 시스템이 가열차에 거의 이상적으로 매칭될 수 있다. 즉, 보다 강력한 가열이 대략 균일하게 증가된 유동량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연도의 제1섹션의 상부 절반에서, 예컨대 제1섹션으로부터 제2섹션으로의 천이부 근처에서 압력보상 파이프가 파이프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압력보상 파이프는 바람직하게는 수직연도의 외부에 제공된 하나 또는 다수의 압력보상 통으로 뻗는다. 압력보상에 의해 두 섹션의 흐름상태가 분리된다. 따라서, 비교적 큰 흐름 밀도로 인해 제2섹션에서 비교적 높은 마찰 압력 손실이 제1섹션에서의 바람직한 흐름상태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므로, 제1섹션의 배출구에서 평균이상의 가열로 인한 온도강하(파이프 횡단면에 걸친 온도강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제1섹션의 파이프로부터 제2섹션의 파이프로의 직접적인 천이에 의해, 습 증기 구역에서 물 증기가 혼합되지 않는 것이 확실히 방지된다.
하나의 긴 연도를 갖춘 증기 발생기에서, 예컨대 단일 연도 구조의 증기 발생기에서, 파이프는 연도의 상부부분(이하, 격납 벽의 제3섹션이라 함)에서 그 밑에 놓인 연도의 제2섹션에서 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 상기 격납 벽의 제3섹션은 낮은 열흐름 밀도 및 파이프에서 적당한 내부 열전달을 나타내며, 증기 발생기의 소위 대류 연도내에 놓인다.
격납 벽의 제2섹션으로부터 제3섹션으로의 천이부에서 거기에 존재하는 낮은 열흐름 밀도로 인해 흐름밀도가 제2섹션에 비해 낮기 때문에 파이프에서 마찰 압력 손실이 낮게 유지된다. 제3섹션에서 파이프는 내부 리브없이 형성될 수 있다.
수직연도가 더욱 진행될 때 열흐름 밀도는, 연도의 제3부분 즉, 격납 벽의 제3섹션이 연도의 제2부분, 즉 격납 벽의 제2섹션의 파이프수의 ½만으로 충분할 정도로 낮다. 제3섹션에서 파이프 수의 절반화는, 연도의 제2부분의 매2개의 파이프가 그들에게 공통으로 할당된 연도의 제3부분의 하나의 파이프로 뻗음으로써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3개의 섹션으로 세분된 연도를 갖춘 증기 발생기의 개략도이고, 제2도는 서로 다른 섹션에서 상이한 내경을 가진 파이프를 나타낸, 제1도의 부분 II의 확대도이다.
두 도면에서, 서로 대응하는 부품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갖는다.
직사각형 횡단면을 가진 제1도에 다른 증기발생기(1)의 수직 연도는 격납 벽(2)으로 형성된다. 상기 격납 벽(2)은 연도의 하단에서 깔대기형 바닥(3)으로 이어진다. 격납 벽(2)의 파이프(4)는 그것의 종방향 측면이 -예컨대 핀(fin)(9)(제2도)을 통해-기밀방식으로 서로 결합된다. 예컨대, 용접된다. 바닥(3)은 상세히 도시되지 않은 재의 배출구(3a)를 포함한다.
연도의 하부부분 또는 제1부분(5)에서, 즉 격납 벽(2)의 제1섹션에서 예컨대 화석연료용 4개의 버너가 격납 벽(2)내의 각 하나의 개구(6)에 설치된다. 하나의 개구(6)에서 격납 벽(2)의 파이프가 휘어져 있다. 즉, 파이프가 수직연도의 외부면에 뻗어있다. 유사한 개구가 예컨대 공기노즐 또는 연도가스 노즐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도의 제1하부부분(5)위에는 연도의 제2부분(7), 즉 격납 벽(2)의 제2섹션이 놓이고, 상기 제2부분(7)위에는 연도의 제3부분 또는 상부부분(8), 즉 격납 벽(2)의 제3섹션이 제공된다.
버너 영역에 있는 제1섹션(5)은 매우 높은 열흐름 밀도 및 파이프(4)에서 양호한 내부 열전달을 나타낸다. 제2섹션(7)은 가스 분사 챔버에 놓이며 마찬가지로 높은 열흐름 밀도를 나타내지만, 파이프(4)에서 보다 낮은 내부 열 전달을 나타낸다. 제3섹션(8)은 대류 영역에 놓이며 낮은 열흐름 밀도 및 파이프(4)에서 적당한 내부 열전달을 나타낸다. 상기 제3섹션(8)은 특히 증기 발생기에서 투입구조로 존재한다.
매체, 즉 물 또는 물-증기 혼합물이 하부로부터 상부로 평행하게 흐르는 격납 벽(2)의 파이프(4)의 유입 단부는 유입콜렉터(11)에 접속되고, 그것의 배출 단부는 배출콜렉터(12)에 연결된다. 상기 유입콜렉터(11) 및 배출콜렉터(12)는 연도외부에 놓이며 예컨대 각각 링형 파이프로 형성된다.
유입콜렉터(11)는 라인(13) 및 콜렉터(14)를 통해 고압 예열기 또는 이코노마이저(15)의 배출구에 연결된다. 이코노마이저(15)의 가열 표면은 격납 벽(2)의 제3섹션(8)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에 놓인다. 이코노마이저(15)는 증기 발생기(1)의 작동동안 유입구측이 콜렉터(16)를 통해 증기 터빈의 물-증기 순환계에 연결된다.
배출콜렉터(12)는 물-증기 분리통(17) 및 라인(18)을 통해 고압과열기(19)에 연결된다. 고압과열기(19)는 격납 벽(2)의 제2섹션(7) 영역에 배치된다. 상기 고압과열기는 작동동안 배출구측이 콜렉터(20)를 통해 증기 터빈의 고압부에 연결된다.
또한, 제2섹션(7)의 영역에는 중간 과열기(21)가 놓이며, 상기 중간 과열기는 콜렉터(22),(23)를 통해 증기 터빈의 고압부와 평균 압력부 사이에 접속된다. 물-증기 분리통(17)에 생긴 물은 라인(24)을 통해 배출된다.
격납 벽(2)의 제1섹션(5)으로부터 제2섹션(7)으로의 천이 영역(25)에서 링형 파이프로 형성된 압력보상 통(26)이 연도외부에 제공된다.
제2도에 나타나는 바와같이, 섹션(5) 및 (7)에 뻗은 각각의 파이프(4)는 압력 보상 파이프(27)를 통해 압력 보상통(26)에 연결된다.
파이프(4)가 제1섹션(5)으로부터 제2섹션(7)으로 이어지는 천이 영역(25)에서 파이프(4)의 내부 폭이 좁아진다. 달리 표현하면, 연도의 하부부분(5)에 있는 파이프(4)가 그위에 놓인 연도의 제2부분(7)에 있는 파이프(4)의 내경(d2)보다 큰 내경(d1)을 갖는다. 보다 작은 내경(d2)을 가진 파이프(4)가 보다 큰 내경(d1)을 가진 파이프(4)에 직접 연결된다. 즉, 파이프(4)가 영역(25)에서 서로 이어진다. 섹션(5)에 있는 파이프(4)는 도시되지 않은 방식으로 나사형 내부 리브를 갖는다. 색션(5)에 있는 파이프(4)는 전부하시 거기서의 평균 흐름밀도가 1000kg/㎡s보다 작거나 같도록 설계된다. 이 경우, 제2섹션(7)에 있는 파이프(4)에서의 평균 흐름밀도는 1000kg/㎡s보다 크다.
격납 벽(2)의 제3섹션(8)에서 파이프는 그 아래놓인 섹션(7)에서 보다 큰 내경을 갖는다. 제2섹션(7)에 있는 파이프(4)는 바람직하게는 그것의 전체 길이에 걸쳐 나사형 내부 리브를 갖는 반면, 제3섹션(8)의 파이프(4)는 그것의 길이의 일부에만 나사형 내부 리브를 갖는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내부 리브가 생략된다.
격납 벽(2)의 상부섹션(8)에 있는 파이프(4)의 수는 제2섹션(7)에 있는 파이프이 수의 절반이다. 따라서, 영역(30)에서, 제2섹션(7)의 매 2개의 파이프(4)가 그들에게 공동으로 할당된 제3섹션(8)의 하나의 파이프(4)로 뻗는다(제1도).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파이프(4)의 외경은 섹션(5) 및 (7)에서 상이하며, 파이프(4)의 벽 두께가 모든 섹션(5),(7),(8)에서 대략 동일하도록, 각각의 내경(d1), (d2)에 매칭된다. 그러나, 파이프(4)의 외경이 모든 섹션(5),(7),(8)에서 동일하고, 제2섹션(7)에서의 파이프(4)의 벽 두께가 제1섹션(5) 및/또는 제3섹션(8)에서 보다 클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파이프(4)의 기밀방식 결합에 사용되는 핀(fin)(9)이 파이프(4)의 종방향 측면에 제공된다.
격납 벽(2)의 파이프(4)가 그 길이에 걸쳐 증기 발생기(1)의 상이한 섹션(5),(7),(8) 또는 영역에서 상이한 내경(d1),(d2)을 가짐으로써, 격납 벽(2)의 파이프(4)의 치수가 연도의 상이한 가열에 매칭된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파이프(4)의 확실한 냉각이 보장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개별 파이프(4)의 평균이상 가열이 개별 파이프(4)의 배출구 사이의 허용될 수 없는 온도차를 야기시키기 않는다.

Claims (10)

  1. 연도를 갖춘 화석 연료 증기 발생기로서, 상기 연도의 격납 벽(2)이 서로 기밀방식으로 결합된 파이프(4)로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4)는 수직으로 배치되며, 상기 파이프(4)를 통해 매체가 평행하게 하부로부터 상부로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된, 증기 발생기에 있어서, 연도의 하부에 놓인 제1부분(5)에 있는 파이프(4)가 그 위에 놓인 연도의 제2부분(7)에 있는 파이프(4) 보다 큰 내경(d1)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보다 작은 직경(d2)을 가진 파이프(4)가 보다 큰 직경(d1)을 가진 파이프(4)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이것으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각각의 파이프(4)가 압력 보상 파이프(27)를 통해 연도의 외부에 제공된 압력 보상 통(26)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4.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압력 보상 파이프(27)가 연도의 제1부분(5)의 상부 절반부에 예컨대 제1부분(5)으로부터 제2부분(7)으로의 천이부 영역(25)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5.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파이프(4)가 연도의 제1부분(5)에 나사형 내부리브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6.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파이프(4)가 연도의 제2부분(7)에서 적어도 그 길이의 일부에 걸쳐 나사형 내부 리브를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7.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연도의 제1부분(5)의 파이프(4)에서의 평균 흐름 밀도가 전 부하시 1000kg/㎡s보다 작거나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8. 제1항에 있어서, 파이프(4)가 연도의 상부에 놓인 제3부분(8)에서 그 아래 놓인 연도의 제2부분에서 보다 큰 내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9. 제8항에 있어서, 보다 큰 내경을 가진 제3부분(8)의 파이프(4)가 보다 작은 내경(d2)을 가진 제2부분(7)의 파이프(4)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이것으로 천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10. 제8항 또는 9항에 있어서, 연도의 제3부분(8)에서의 파이프(4)의 수가 연도의 제2부분(7)에서의 파이프 수의 ½이며, 제2부분(7)의 매2개의 파이프(4)가 그들에게 공통으로 할당된 제3부분(8)의 하나의 파이프(4)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기 발생기.
KR1019950700616A 1992-08-19 1993-08-06 증기 발생기 KR1002091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4227457.5 1992-08-19
DE4227457A DE4227457A1 (de) 1992-08-19 1992-08-19 Dampferzeuger
PCT/DE1993/000698 WO1994004870A1 (de) 1992-08-19 1993-08-06 Dampferzeug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3135A KR950703135A (ko) 1995-08-23
KR100209115B1 true KR100209115B1 (ko) 1999-07-15

Family

ID=6465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0616A KR100209115B1 (ko) 1992-08-19 1993-08-06 증기 발생기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5701850A (ko)
EP (1) EP0657010B2 (ko)
JP (1) JP3188270B2 (ko)
KR (1) KR100209115B1 (ko)
CN (1) CN1043680C (ko)
AT (1) ATE145980T1 (ko)
CA (1) CA2142840A1 (ko)
CZ (1) CZ287735B6 (ko)
DE (2) DE4227457A1 (ko)
DK (1) DK0657010T4 (ko)
ES (1) ES2095660T5 (ko)
GR (1) GR3022186T3 (ko)
RU (1) RU2109209C1 (ko)
SK (1) SK22295A3 (ko)
TW (1) TW228565B (ko)
UA (1) UA27923C2 (ko)
WO (1) WO19940048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26692C1 (de) * 1994-07-28 1995-09-14 Daimler Benz Ag Zweistufige Verdampfereinheit für einen Reaktant-Massenstrom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DE19548806C2 (de) * 1995-02-14 1998-03-26 Evt Energie & Verfahrenstech Verfahren und Anlage zur Erzeugung von Dampf mit überkritischen Dampfparameter in einem Durchlaufdampferzeuger
US5901669A (en) * 1995-04-05 1999-05-11 The Babcock & Wilcox Company Variable pressure once-through steam generator upper furnace having non-split flow circuitry
DE19644763A1 (de) * 1996-10-28 1998-04-30 Siemens Ag Dampferzeugerrohr
DE19651678A1 (de) * 1996-12-12 1998-06-25 Siemens Ag Dampferzeuger
US6092490A (en) * 1998-04-03 2000-07-25 Combustion Engineering, Inc. Heat recovery steam generator
DE19825800A1 (de) * 1998-06-10 1999-12-16 Siemens Ag Fossilbeheizter Dampferzeuger
KR100597883B1 (ko) 1998-06-10 2006-07-13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화석 연료 증기 발생기
IL134035A0 (en) * 2000-01-13 2001-04-30 Ronen Daniel A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remote push-publishing of content onto display screens of mobile devices including a screen saver application
US6619041B2 (en) * 2001-06-29 2003-09-16 L'air Liquide - Societe Anonyme A Directoire Et Conseil De Surveillanc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Steam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s
EP1533565A1 (de) * 2003-11-19 2005-05-25 Siemens Aktiengesellschaft Durchlaufdampferzeuger
JP4787284B2 (ja) * 2007-03-27 2011-10-0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ヒートポンプ式給湯装置
US7594401B1 (en) * 2008-04-10 2009-09-29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ustor seal having multiple cooling fluid pathways
JP5193007B2 (ja) * 2008-12-03 2013-05-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ボイラ構造
DE102009040250B4 (de) * 2009-09-04 2015-05-21 Alstom Technology Ltd. Zwangdurchlaufdampferzeuger für den Einsatz von Dampftemperaturen von über 650 Grad C
GB201010038D0 (en) * 2010-06-16 2010-07-21 Doosan Power Systems Ltd Steam generator
DE102010038883C5 (de) * 2010-08-04 2021-05-20 Siemens Energy Global GmbH & Co. KG Zwangdurchlaufdampferzeuger
DE102010061186B4 (de) 2010-12-13 2014-07-03 Alstom Technology Ltd. Zwangdurchlaufdampferzeuger mit Wandheizfläche und Verfahren zu dessen Betrieb
JP2012220043A (ja) * 2011-04-04 2012-11-12 Mitsubishi Heavy Ind Ltd 蒸気発生器
CN102798114B (zh) * 2012-08-30 2014-09-03 上海锅炉厂有限公司 一种非均匀管径内螺纹管垂直管屏水冷壁布置方法
CN115031257A (zh) * 2022-06-16 2022-09-09 西安热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降低超超临界锅炉水冷壁出口汽温偏差的水冷壁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479A (en) * 1892-05-24 Low-pressure steam-boiler
DE739376C (de) * 1940-01-17 1943-09-23 Rheinmetall Borsig Ag Wasserrohrdampferzeuger
GB574810A (en) * 1942-06-23 1946-01-22 Bbc Brown Boveri & Cie Heat exchanger for heating gases and vapours to a high temperature
US3221713A (en) * 1963-08-20 1965-12-07 Babcock & Wilcox Co Forced flow vapor generator
US3556059A (en) * 1969-01-28 1971-01-19 Foster Wheeler Corp Two-pass furnace circuit arrangement for once-through vapor generator
DE2557427A1 (de) * 1975-12-19 1977-06-30 Kraftwerk Union Ag Schaltung einer feuerraumnase bei einem durchlaufkessel mit gasdicht verschweissten waenden in zweizugbauweise
US4191133A (en) * 1977-11-07 1980-03-04 Foster Wheeler Energy Corporation Vapor generating system utilizing integral separators and angularly arranged furnace boundary wall fluid flow tubes having rifled bores
US4178881A (en) * 1977-12-16 1979-12-18 Foster Wheeler Energy Corporation Vapor generating system utilizing angularly arranged bifurcated furnace boundary wall fluid flow tubes
PL204072A1 (pl) * 1978-01-17 1979-09-24 Katowice Metalurgiczny Huta Kociol odzysknicowy,zwlaszcza dla konwertora stalowniczego
DE58905817D1 (de) * 1988-07-26 1993-11-11 Siemens Ag Durchlaufdampferzeuger.
DE4232880A1 (de) * 1992-09-30 1994-03-31 Siemens Ag Dampferzeuger
US5390631A (en) * 1994-05-25 1995-02-21 The Babcock & Wilcox Company Use of single-lead and multi-lead ribbed tubing for sliding pressure once-through boil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4004870A1 (de) 1994-03-03
UA27923C2 (uk) 2000-10-16
DE59304695D1 (de) 1997-01-16
US5701850A (en) 1997-12-30
JPH08500426A (ja) 1996-01-16
CA2142840A1 (en) 1994-03-03
GR3022186T3 (en) 1997-03-31
CZ287735B6 (en) 2001-01-17
RU2109209C1 (ru) 1998-04-20
RU95106598A (ru) 1996-12-27
DE4227457A1 (de) 1994-02-24
ES2095660T5 (es) 1999-11-16
ATE145980T1 (de) 1996-12-15
ES2095660T3 (es) 1997-02-16
DK0657010T4 (da) 1999-12-13
CZ37595A3 (en) 1995-08-16
CN1043680C (zh) 1999-06-16
JP3188270B2 (ja) 2001-07-16
EP0657010A1 (de) 1995-06-14
TW228565B (ko) 1994-08-21
EP0657010B1 (de) 1996-12-04
KR950703135A (ko) 1995-08-23
SK22295A3 (en) 1995-07-11
CN1083573A (zh) 1994-03-09
DK0657010T3 (da) 1997-06-02
EP0657010B2 (de) 199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9115B1 (ko) 증기 발생기
KR100260468B1 (ko) 화석 연료 연속흐름 증기 발생기
CA1125595A (en) Vapor generating system utilizing integral separators and angularly arranged furnace boundary wall fluid flow tubes having rifled bores
KR20010014388A (ko) 폐열 증기 발생기
RU2310121C2 (ru) Парогенератор
US6269754B1 (en) Steam generator for superheated steam for incineration plants with corrosive flue gases
US5950574A (en) Boiler
GB2126323A (en) Steam generaters
US3665893A (en) Vapor generator tube arrangement
US6715450B1 (en) Fossil-fuel fired continuous-flow steam generator
US4294200A (en) Variable pressure vapor generator utilizing crossover circuitry for the furnace boundary wall fluid flow tubes
RU2175095C2 (ru) Прямоточный парогенератор и способ расчета прямоточного парогенератора
US4175519A (en) Vapor generator utilizing vertical bars for supporting angularly arranged furnace boundary wall fluid flow tubes
JP2002535588A (ja) 化石燃料ボイラ
JP4463825B2 (ja) 貫流ボイラ
US5775265A (en) Cooling surface cladding
AU723076B2 (en) Package boiler of unitary construction
US3556207A (en) Drainable shield for heat exchangers
CA2241877C (en) Continuous-flow steam generator with spiral evaporation tubes
GB2102105A (en) Vapour generator
US3754533A (en) Tube support system
US2845049A (en) Vapor generating and superheating unit with an integral superheater having radiant and convection sections
CA1136937A (en) Vapor generator utilizing vertical bars supporting angularly arranged furnace boundary wall fluid flow tubes
GB2058308A (en) Vapor generator utilizing vertical bars for supporting angularly arranged furnace boundary wall fluid flow tub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21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4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31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31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3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40206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