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09025B1 - 배터리 경고등 점멸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경고등 점멸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9025B1
KR100209025B1 KR1019960037191A KR19960037191A KR100209025B1 KR 100209025 B1 KR100209025 B1 KR 100209025B1 KR 1019960037191 A KR1019960037191 A KR 1019960037191A KR 19960037191 A KR19960037191 A KR 19960037191A KR 100209025 B1 KR100209025 B1 KR 100209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ower
transistor
receiving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7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7411A (ko
Inventor
준 형 안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37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9025B1/ko
Publication of KR19980017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9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902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7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B60Q3/731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autonomous vehicle travel
    • B60Q3/735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autonomous vehicle travel for preventing discomfort, e.g. for preventing motion sickness or for anticipating mo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11Electric energy storages
    • B60Y2400/112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harge By Means Of Generator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충전 경고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이머의 출력신호를 베이스 단자에 입력받고 충전 상태의 배터리전원을 콜렉터 단자에 입력받아 동작하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제 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을 베이스 단자에 입력받고 교류발생기에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발생되는 전원을 콜렉터 단자에 입력받는 제 2 트랜지스터, 및 제 2 트랜지스터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입력받아 램프의 전류 도통로를 형성하는 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경고등 점멸 제어 장치를 제공하면 사용자는 배터리의 전원 충전경고등의 점멸상태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경고등 점멸 제어 장치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충전 경고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 충전 경고와 상관없이 점멸하는 경고등의 점멸방지를 위한 배터리 경고등 점멸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터리 방전시 이를 충전시키기 위해 또는 차량의 시동시를 위해 알터네이터란 자동차용 발전기가 널리 사용되는데, 베터리에 의해 여자되는 자극을 회전하여 고정된 코일에 3상 교류전류를 발생시키고 이것을 다이오드로써 정류, 직류로 만들어 출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알터네이터는 차량의 시동을 걸어주는데 매우 주요한 구성이다.
또한, 차량의 각 유니트들은 엔진 시동의 온상태를 교류발전기를 사용하여 감지하거나 상기 교류발전기에서 직접 전류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알터네이터의 동작을 첨부한 도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가)도는 엔진이 정지 상태에서 점화스위치만 온동작 시켰을 경우이며, (나)도는 엔진이 시동되었을 경우이고, (다)도는 발생전압이 조정전압에 도달하였을 경우이다.
(가)도의 경우, 점화스위치를 넣어 TR2가 온되면 배터리 전류는 다음과 같은 경로를 통하게 된다.
충전 경고등 릴레이의 IG단자→여자코일→역류용 다이오드→A단자→L단자→저항→TR2베이스→TR2에미터→E단자로 흐르며, 이에 따라 로터 코일에 전류가 공급된다.
이때 공급된 전류는 다음과 같은 경로를 흐르게 된다.
즉, F단자→TR2콜렉터→TR2에미터→E단자로 흐르며, 그에 따라 충전 경고등 릴레이에도 여자 코일의 여자에 의해 접점이 닫혀지므로 충전경고등이 점등되어 충전이 되지 않는 것을 알린다.
(나)도의 경우 엔진이 시동되면 로터 코일이 여자되어 있으므로 3상 교류 발전을 위한 스테이터 코일에서 유도된 전압은 B단자를 거쳐 축전지에 충전되고 또 보조 다이오드를 통한 전류는 저항→TR2베이스→TR2에미터→E단자로 흐른다. 이때, TR2가 온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보조 다이오드→로터코일→F단자TR2콜렉터→TR2에미터→E단자로 전류가 흐르게되어 IG단자와 S단자에 전류가 차단된다. 그에따라 충전 경고등이 소등된다.
(다)의 경우 발생전압이 조정전압에 이르게 되면 제너다이오드의 브레이크 다운 전압이 되어 S단자→저항 R→제너다이오드→TR1베이스→TR1에미터→E단자로 전류가 흐르게 되어 TR1이 온동작하게 된다. 이때, 보조 다이오드에서 L단자→저항→TR1콜렉터→TR1에미터→E단자로 전류가 흐르게되면 TR2가 오프상태가 되어 로터 코일에 공급되던 전압이 차단되어 발전 전압이 낮아지게 되어 상기 제너다이오드가 오프된다. 이후, TR2가 온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과정이 반복되므로 상기 로터 코일에 흐르는 전류가 온/오프되어 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전압이 항상 일전한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알터네이터의 동작에 의해 배터리 방전시 이를 충전시키거나 차량의 시동시를 배터리 전원의 불필요한 방전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차량에 구비되는 각 장치들은 구동 전원을 입력받는 경로가 배터리 전원을 입력받는 부분과 교류 발전기에서 발생된 전원을 입력받는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엔진 시동 스위치의 온상태에 따라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는 장치는 TACU(Throttle Actuator Control Unit) 및 DRL 등이며, 상기 교류발전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장치는 RR 히트 타이머(HTD) 등이다.
이들의 연결 구성을 간략히 도시하면 첨부한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다.
이때, 기존의 회로에서는 배터리 전원(+B)이 시동스위치의 온 동작과 함께 도시하지 않은 파킹 브레이크 스위치의 온 상태에서 TACU(Throttle Actuator Control Unit) 와 DRL 및 RR 히트 타이머(HTD) 의 주변 회로를 통해 흐르면서 충전 경고등(LP)가 반등하는 현상이 발생되었다.
즉, 상기 도1 (가)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엔진이 정지 상태에서 점화스위치만 온동작 시켰을 경우 충전 경고등이 점멸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이 실제 배터리의 전하 축적상태가 완전 방전인 되어 일어나는 것인지 아니면 회로의 동작상 필수적으로 불가결하게 발생되는 것인지를 사용자가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점화 스위치가 온동작하는 경우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고 접지로 전류의 도통로가 형성되는 경우 발광하는 램프와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교류전원을 발생시키는 교류발생기와 교류발생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경과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를 구비하고 있는 차량에서의 배터리 충전 경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출력신호를 베이스 단자에 입력받고 상기 충전 상태의 배터리전원을 콜렉터 단자에 입력받아 동작하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을 베이스 단자에 입력받고 상기 교류발생기에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발생되는 전원을 콜렉터 단자에 입력받는 제 2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입력받아 상기 램프의 전류 도통로를 형성하는 릴레이를 포함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교류 발전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2는 종래 교류 발전기와 배터리 및 그 주변구성의 간략 예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경고등 점멸 제어 장치의 회로 구성도
이하, 첨부한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경고등 점멸 제어 장치의 회로 구성도로서, 점화 스위치(IGS)가 온동작하는 경우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고 접지로 전류의 도통로가 형성되는 경우 발광하는 램프(LP)와, 상기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교류전원을 발생시키는 교류발생기(ALTR)과, 상기 교류발생기(ALTR)의 'L'단자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경과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10)와, 상기 타이머(10)의 출력신호를 베이스 단자에 입력받고 상기 배터리전원을 콜렉터 단자에 입력받는 제 1 트랜지스터(Q1)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의 에미터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을 베이스 단자에 입력받고 상기 교류발생기(ALTR)에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발생되는 전원을 콜렉터 단자에 입력받는 제 2 트랜지스터(Q2)와,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입력받아 상기 램프(LP)의 전류 도통로를 형성하는 릴레이(RY)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경고등 점멸 제어 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배터리 전원이 정상적인 전하 축적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에는 제 1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 단자에 인가되는 IG선로를 통한 전원은 충분히 트랜지스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때 교류 발전기(ALTR)에서는 도1 (나)에 설명한 바와 같이 배터리를 충전시킬 필요가 없으므로 CB선로를 통해서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제 2 트랜지스터(Q2)의 콜렉터 단자에 입력되는 전원은 없는 상태이다.
그러므로, 종전의 기술에서와 같이 타이머(10)의 동작으로 제 1 트랜지스터(Q1)가 온동작되어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단자에 전원을 걸어주더라도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는 충분한 구동전원이 공급되지 않아 동작하지 않는다.
만약, 상기와 같은 상황중에 배터리의 축적 전하가 거의 방전되어 전하의 축적이 필요한 경우, IG선로를 통한 전원은 거의 제로상태가 되어지고 CB선로를 통한 전원은 충분한 구동력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트랜지스터(Q1)는 오프 상태이지만 그로 인해 제 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 단자는 하이 임피던스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온동작하게 된다.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가 온동작하면 에미터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릴레이(RY)가 온동작하여 램프(LP)를 점등하게 된다.
이때, 상기 램프(LP)는 상기 제 2 트랜지스터(Q2)의 에미터 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릴레이(RY)내부의 코일과 병렬로 연결된 저항에 의하여 점멸동작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배터리의 전원 충전경고등의 점멸상태를 직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점화 스위치가 온동작하는 경우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고 접지로 전류의 도통로가 형성되는 경우 발광하는 램프와 배터리 전원을 공급받아 교류전원을 발생시키는 교류발생기와 교류발생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경과 시간을 카운팅하는 타이머를 구비하고 있는 차량에서의 배터리 충전 경고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출력신호를 베이스 단자에 입력받고 상기 충전 상태의 배터리전원을 콜렉터 단자에 입력받아 동작하는 제 1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1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단자를 통해 출력되는 전원을 베이스 단자에 입력받고 상기 교류발생기에서 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발생되는 전원을 콜렉터 단자에 입력받는 제 2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2 트랜지스터에서 출력되는 전원의 입력받아 상기 램프의 전류 도통로를 형성하는 릴레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경고등 점멸 제어 장치.
KR1019960037191A 1996-08-30 1996-08-30 배터리 경고등 점멸 제어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209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191A KR100209025B1 (ko) 1996-08-30 1996-08-30 배터리 경고등 점멸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191A KR100209025B1 (ko) 1996-08-30 1996-08-30 배터리 경고등 점멸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411A KR19980017411A (ko) 1998-06-05
KR100209025B1 true KR100209025B1 (ko) 1999-07-15

Family

ID=19471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7191A Expired - Fee Related KR100209025B1 (ko) 1996-08-30 1996-08-30 배터리 경고등 점멸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90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574B1 (ko) 2014-11-25 2016-09-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터리 경고등 제어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411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2995B1 (ko) 차량용 발전기의 제어장치
EP0646723B1 (en) Apparatus suitable for use in batteryless vehicle, for reducing and controlling loads such as electrical components upon its start-up
EP0724321B1 (en) Control apparatus for AC generator of motor vehicle
JP3299398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の出力制御装置
JP4429387B2 (ja) 三相発電機の出力電圧の制御装置
US4349854A (en) Power generation control system for vehicle generator
US4258307A (en) Voltage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mounted alternator
EP1267469B1 (en) Control unit of a vehicle generator
JPS6127983B2 (ko)
KR100209025B1 (ko) 배터리 경고등 점멸 제어 장치
US6204643B1 (en) Controller for car AC generator
CA2044444C (en) Control apparatus for an ac generator
KR950012309B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제어장치
EP1128518A2 (en) Vehicle use charging generator
JPS6160653B2 (ko)
KR100465400B1 (ko) 차량용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장치
US4574275A (en) Battery charge indicating circuit
JP4082854B2 (ja) 内燃機関用点火装置
KR920000330B1 (ko) 차량용 발전용접 장치
KR200316732Y1 (ko) 차량용 발전기의 전압조정기
KR100187177B1 (ko) 알터네이터 출력부족 감지 장치
KR19990043296A (ko) 전원공급장치의 안전회로
JPH01308134A (ja) 車両用高電圧負荷装置の駆動装置
KR920008363Y1 (ko) 차량용 발전기의 전압조정기회로
KR840001632Y1 (ko) 차량용 자석형 교류발전기의 레규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8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8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