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08518B1 - 화물차의 화물평형유지장치 - Google Patents

화물차의 화물평형유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8518B1
KR100208518B1 KR1019960063400A KR19960063400A KR100208518B1 KR 100208518 B1 KR100208518 B1 KR 100208518B1 KR 1019960063400 A KR1019960063400 A KR 1019960063400A KR 19960063400 A KR19960063400 A KR 19960063400A KR 100208518 B1 KR100208518 B1 KR 100208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upport panel
state
auxiliary panel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3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5225A (ko
Inventor
최석정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3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8518B1/ko
Priority to US08/987,999 priority patent/US5979915A/en
Publication of KR19980045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5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8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8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045Levelling or stabilising systems for tip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물차의 화물평형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물차의 적재함의 양측면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소정 높이의 지지패널과, 차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로의 측방향 기울어짐을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평형감지수단과, 상기 각 지지패널의 내부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수납된 상태에서 외력의 인가에 따라 상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는 복수개의 보조패널과, 하단은 상기 각 지지패널의 외측에 해당되는 차체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각 지지패널의 외측면 소정 높이에 결합되어 상기 평형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른 전류의 인가여부에 의하여 승강작동되면서 상기 각 지지패널을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지지패널회동수단과, 상기 각 보조패널의 일측하단의 설치부위에 해당되는 지지패널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평형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른 전류의 인가여부에 의하여 승강작동되면서 상기 각 보조패널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보조패널승강수단과, 상기 보조패널의 상단 양측에 해당되는 지지패널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평형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른 전류의 인가여부에 의하여 돌출 및 흡인되면서 상기 보조패널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잠금수단과, 상기 평형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차체의 평형상태에 대한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상기 각 지지패널회동수단, 상기 각 보조패널승강수단 및 상기 각 잠금수단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동시에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구성하므로써 화물차가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경사진 도로를 주행할 때 적재함 양측면에 설치된 지지패널이 차체가 기울어지는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하여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이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차체의 측방향 전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화물차의 화물평형유지장치
본 발명은 화물차의 화물평형유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물차가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경사진 도로를 주행할 때 차체가 기울어지는 반대방향으로 적재함 양측면에 설치된 지지패널이 동시에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하여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이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차체의 측방향 전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화물차의 화물평형유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물차의 적재함에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경사진 도로를 주행할 때는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이 경사진 쪽으로 쏠리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도로의 경사진 정도가 심하지 않거나 또는 주행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화물의 쏠림현상이 서서히 진행되다가 도로의 경사진 부분이 끝나는 지점에서부터는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나, 도로의 경사정도가 심하거나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상기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의 경사진 쪽으로의 쏠림현상이 급격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화물이 쏟아짐은 물론 심한 경우에 차체가 측방향으로 전복된다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화물차가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경사진 도로를 주행할 때 적재함 양측면에 설치된 지지패널이 차체가 기울어지는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지도록하여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이 한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차체의 측방향 전복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화물차의 화물평형유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의 화물평형유지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서의 평형감지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서 도로의 경사방향에 따른 평형감지수단의 작동상태를 타나내는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지지패널 14 : 보조패널
20 : 평형감지수단 30 : 지지패널회동수단
40 : 보조패널승강수단 50 : 잠금수단
60 : 콘트롤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물차의 적재함의 양측면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소정 높이의 지지패널과, 차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로의 측방향 기울어짐을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평형감지수단과, 상기 각 지지패널의 내부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수납된 상태에서 외력의 인가에 따라 상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는 복수개의 보조패널과, 하단은 상기 각 지지패널의 외측에 해당되는 차체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각 지지패널의 외측면 소정 높이에 결합되어 상기 평형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른 전류의 인가여부에 의하여 승강작동되면서 상기 각 지지패널을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지지패널회동수단과, 상기 각 보조패널의 일측하단의 설치부위에 해당되는 지지패널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평형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른 전류의 인가여부에 의하여 승강작동되면서 상기 각 보조패널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보조패널승강수단과, 상기 보조패널의 상단 양측에 해당되는 지지패널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평형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른 전류의 인가여부에 의하여 돌출 및 흡인되면서 상기 보조패널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잠금수단과, 상기 평형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차체의 평형상태에 대한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상기 각 지지패널회동수단, 상기 각 보조패널승강수단 및 상기 각 잠금수단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동시에 제어하는 콘트롤러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평형감지수단은 차체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육면체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형성되는 원호형의 가이드공과, 상기 가이드공의 좌측단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좌측접촉센서와, 상기 가이드공의 우측단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우측접촉세서와, 상기 가이드공의 중심부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콘트롤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중앙접촉센서와, 상기 가이드공의 내부에 좌우유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차체의 기울어짐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임의 이동되면서 상기 각 센서와 접촉되는 감지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패널회동수단은 외측하단이 상기 차체에 좌우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소정 체적의 실린더와, 상단이 상기 지지패널의 외측면상의 소정 높이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실린더의 내부에 끼워지는 피스톤과, 상기 실린더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어 전류의 인가시 자성을 띠는 상부전자석과, 상기 실린더의 하부내측에 설치되어 전류의 인가시 자성을 띠는 하부전자석과, 상기 실린더내부에 끼워진 피스톤의 윗쪽에 해당되는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항상 아랫쪽으로 작용하는 탄성을 갖는 상부스프링과, 상기 실린더내부에 끼워진 피스톤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항상 아랫쪽으로 작용하는 탄성을 갖는 하부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패널승강수단은 상기 각 보조패널의 일측하단의 설치부위에 해당되는 지지패널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와, 상기 공간부의 상부내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류의 인가에 따라 자성을 때는 제 1전자석과, 상기 보조패널의 일측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공간부에 끼워지는 제 1피스톤과, 상기 제 1피스톤의 상방에 해당되는 공간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항상 아랫쪽으로 작용하는 탄성을 갖는 제 1스프링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보조패널의 상단좌우측에 해당되는 지지패널상에 설치되어 전류의 인가에 자성을 띠는 솔레노이드와, 상기 솔레노이드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가 자성을 띠는 가의 여부에 따라 흡인 또는 돌출되면서 상기 보조패널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잠금편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패널회동수단은 구성하는 상부스프링과 하부스프링은 동일한 탄성계수를 갖도록 구성하여 차체가 평형상태일 때 상기 실린더내부에 끼워진 피스톤이 실린더의 중간부위에서 평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패널은 그 상단면 양측에 상기 잠금수단을 구성하는 잠금편이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차의 화물평형유지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로서, 이에 따른 본 발명은 화물차의 적재함(10)의 양측면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소정 높이의 지지패널(12)과, 차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로의 측방향 기울어짐을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평형감지수단(20)과, 상기 각 지지패널(12)의 내부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수납되어 외력의 인가에 따라 상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는 복수개의 보조패널(14)과, 하단은 상기 각 지지패널(12)의 외측에 해당되는 차체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각 지지패널(12)의 외측면 소정 높이에 결합되어 상기 평형감지수단(2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른 전류의 인가여부에 의하여 승강작동되면서 상기 각 지지패널(12)을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지지패널회동수단(30)과, 상기 각 보조패널(14)의 일측하단의 설치부위에 해당되는 지지패널(12)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평형감지수단(2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른 전류의 인가여부에 의하여 승강작동되면서 상기 각 보조패널(14)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보조패널승강수단(40)과, 상기 보조패널(14)의 상단 양측에 해당되는 지지패널(1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평형감지수단(2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른 전류의 인가여부에 의하여 돌출 및 흡인되면서 상기 보조패널(14)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잠금수단(50)과, 상기 평형감지수단(20)으로부터 출력되는 차체의 평형상태에 대한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상기 각 지지패널회동수단(30), 상기 각 보조패널승강수단(40) 및 상기 각 잠금수단(50)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동시에 제어하는 콘트롤러(60)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평형감지수단(20)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형상의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의 전면에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형성되는 원호형의 가이드공(22)과, 상기 가이드공(22)의 좌측단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콘트롤러(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좌측접촉센서(23)와, 상기 가이드공(22)의 우측단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콘트롤러(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우측접촉세서(24)와, 상기 가이드공(22)의 중심부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콘트롤러(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중앙접촉센서(25)와, 상기 가이드공(22)의 내부에 좌ㆍ우유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차체의 기울어짐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임의 이동되면서 상기 각 센서(23)(24)(25)와 접촉되는 감지볼(26)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패널회동수단(30)은 외측하단이 상기 차체에 좌ㆍ우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소정 체적의 실린더(31)와, 상단이 상기 지지패널(12)의 외측면상의 소정 높이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실린더(31)의 내부에 끼워지는 피스톤(32)과, 상기 실린더(31)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어 전류의 인가시 자성을 띠는 상부전자석(33)과, 상기 실린더(31)의 하부내측에 설치되어 전류의 인가시 자성을 띠는 하부전자석(34)과, 상기 실린더(31)내부에 끼워진 피스톤(32)의 윗쪽에 해당되는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항상 아랫쪽으로 작용하는 탄성을 갖는 상부스프링(35)과, 상기 실린더(31)내부에 끼워진 피스톤(32)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항상 아랫쪽으로 작용하는 탄성을 갖는 하부스프링(36)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패널회동수단(30)과 보조패널승강수단(40)의 설치갯수는 상기 지지패널(12)의 길이 및 적재물의 종류등에 따라 임의로 정해진다.
이와 같은 지지패널회동수단(30)의 구성에서 상기 상부스프링(35)과 하부스프링(36)은 동일한 탄성계수를 갖도록 구성하여 차체가 평형상태일 때 상기 실린더(31)내부에 끼워진 피스톤(32)이 실린더(31)의 중강부위에서 평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패널승강수단(40)은 상기 각 보조패널(14)의 일측하단의 설치부위에 해당되는 지지패널(12)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41)와, 상기 공간부(41)의 상부내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류의 인가에 따라 자성을 띠는 제 1전자석(42)과, 상기 보조패널(14)의 일측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공간부(41)에 끼워지는 제 1피스톤(43)과, 상기 제 1피스톤(43)의 상방에 해당되는 공간부(41)에 수납된 상태에서 항상 아랫쪽으로 작용하는 탄성을 갖는 제 1스프링(44)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잠금수단(50)은 상기 보조패널(14)의 상단좌우측에 해당되는 지지패널(12)상에 설치되어 전류의 인가에 자성을 띠는 솔레노이드(51)와, 상기 솔레노이드(51)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51)가 자성을 띠는 가의 여부에 따라 흡인 또는 돌출되면서 상기 보조패널(14)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잠금편(52)으로 이루어진 것을 나타낸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패널(14)은 그 상단면 양측에 상기 잠금수단(50)을 구성하는 잠금편(52)이 걸리는 걸림턱(14a)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물차가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소정의 기울기만큼 경사진 도로를 주행하는 경우에,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형감지수단(20)을 구성하는 감지볼(26)이 가이드공(22)의 중앙에 위치되어 있다가 차체의 기울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그 기울어진 쪽의 내면에 설치된 좌측접촉센서(23) 또는 우측접촉센서(24)와 접촉되고, 그에 따라 상기 콘트롤러(60)으로 전기적인 신호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콘트롤러(60)로 차체의 기울어진 상태에 대한 전기적인 신호가 인가되면, 콘트롤러(60)에서는 상기 각 지지패널회동수단(30)과 보조패널승강수단(40) 및 잠금수단(50)으로 동시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제어하는데, 이와 같이 콘트롤러(6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각 지지패널회동수단(30)에 전류가 인가되면, 일측 지지패널회동수단(30)의 실린더(31)의 내부에 설치된 상부전자석(33)이 자성을 띠면서 상기 상부스프링(35)이 윗쪽으로 당겨짐과 동시에 하부스프링(36)이 윗쪽으로 탄성작용하여 상기 실린더(31)내부에 설치된 피스톤(32)이 윗쪽으로 밀려나면서 상기 지지패널(12)을 기울어지는 쪽의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와 동시에 다른 쪽 지지패널회동수단(30)에서는 실린더의 내부에 설치된 하부전자석(34)에 전류가 인가되어 하부스프링(36)이 아랫쪽으로 당겨지고 상부스프링(35)이 아랫쪽으로 탄력작용하는 동작에 의하여 피스톤(32)이 실린더(31)의 아랫쪽으로 당겨짐에 따라 역시 다른쪽 지지패널(12)이 차체의 기울어지는 쪽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지지패널(12)의 회동과 동시에 상기 잠금수단(50)을 구성하는 솔레노이드(51)에 전류가 인가되면, 보조패널(14) 상단의 걸림턱(14a)에 걸려있던 상기 잠금편(52)이 솔레노이드(51)의 자성에 의하여 내부로 흡인되고, 그와 동시에 상기 보조패널(14)의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보조패널승강수단(40)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제 1전자석(42)이 자성을 띠면서 제 1스프링(44)이 윗쪽으로 당겨지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피르톤(43)이 윗쪽으로 상승되면서 보조패널(14)이 윗쪽으로 이동되어도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패널(12)과 함께 차체의 기울어지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차체가 평형상태로 유지되면, 상기 평형감지수단(20)을 구성하는 감지볼(26)이 가이드공(22)의 중앙부로 이동되어 중앙접촉센서(25)와 접촉되면서 콘트롤러(60)로 전기적 신호를 출력시키고, 이에 다라 콘트롤러(60)에서는 상기 지지패널회동수단(30), 보조패널승강수단(40) 및 잠금수단(50)으로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류가 차단되면, 상기 지지패널회동수단(30)과 보조패널승강수단(40) 및 잠금수단(50)은 작동시와는 반대동작에 의하여 원래의 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화물차가 적재함에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경사진 도로를 주행하더라도 그 기울기가 평형감지수단에 의하여 감지되고, 그 신호에 의하여 상기 지지패널회동수단, 보조패널승강수단 및 잠금수단이 서로 동시에 연동되면서 작동되어 지지패널 및 보조패널을 차체가 기울어지는 반대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짐에 따라 적재함에 적재된 화물이 한쪽으로 쏠리는 것이 방지된다는 효과가 있으며, 그 결과 차체의 측방향 전복이 미연에 방지된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화물차의 적재함(10)의 양측면에서 좌우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소정 높이의 지지패널(12)과; 차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로의 측방향 기울어짐을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평형감지수단(20)과; 상기 각 지지패널(12)의 내부에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사이에 두고 수납된 상태에서 외력의 인가에 따라 상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는 복수개의 보조패널(14)과; 하단은 상기 각 지지패널(12)의 외측에 해당되는 차체에 결합되고, 상단은 상기 각 지지패널(12)의 외측면 소정 높이에 결합되어 상기 평형감지수단(2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른 전류의 인가여부에 의하여 승강작동되면서 상기 각 지지패널(12)을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지지패널회동수단(30)과; 상기 각 보조패널(14)의 일측하단의 설치부위에 해당되는 지지패널(12)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평형감지수단(2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른 전류의 인가여부에 의하여 승강작동되면서 상기 각 보조패널(14)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보조패널승강수단(40)과; 상기 보조패널(14)의 상단 양측에 해당되는 지지패널(12)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평형감지수단(2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따른 전류의 인가여부에 의하여 돌출 및 흡인되면서 상기 보조패널(14)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잠금수단(50)과; 상기 평형감지수단(20)으로부터 출력되는 차체의 평형상태에 대한 전기적 신호에 의하여 상기 각 지지패널회동수단(30), 상기 각 보조패널승강수단(40) 및 상기 각 잠금수단(50)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동시에 제어하는 콘트롤러(6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화물평형유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감지수단(20)은 차체의 소정 고정 설치되는 육면체형상의 몸체부(21)와; 상기 몸체부(21)의 전면에 일정한 곡률반경으로 형성되는 원호형의 가이드공(22)과; 상기 가이드공(22)의 좌측단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콘트롤러(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좌측접촉센서(23)와; 상기 가이드공(22)의 우측단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콘트롤러(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우측접촉세서(24)와; 상기 가이드공(22)의 중심부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콘트롤러(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중앙접촉센서(25)와; 상기 가이드공(22)의 내부에 좌ㆍ우유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차체의 기울어짐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임의 이동되면서 상기 각 센서(23)(24)(25)와 접촉되는 감지볼(2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화물평형유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패널회동수단(30)은 외측하단이 상기 차체에 좌ㆍ우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소정 체적의 실린더(31)와; 상단이 상기 지지패널(12)의 외측면상의 소정 높이에 결합되고 하단은 상기 실린더(31)의 내부에 끼워지는 피스톤(32)과; 상기 실린더(31)의 상부 내측에 설치되어 전류의 인가시 자성을 띠는 상부전자석(33)과; 상기 실린더(31)의 하부내측에 설치되어 전류의 인가시 자성을 띠는 하부전자석(34)과; 상기 실린더(31)내부에 끼워진 피스톤(32)의 윗쪽에 해당되는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항상 아랫쪽으로 작용하는 탄성을 갖는 상부스프링(35)과; 상기 실린더(31)내부에 끼워진 피스톤(32)의 아랫쪽에 해당되는 공간에 수납된 상태에서 항상 아랫쪽으로 작용하는 탄성을 갖는 하부스프링(3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화물평형유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패널승강수단(40)은 상기 각 보조패널(14)의 일측하단의 설치부위에 해당되는 지지패널(12)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41)와; 상기 공간부(41)의 상부내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전류의 인가에 따라 자성을 띠는 제 1전자석(42)과; 상기 보조패널(14)의 일측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공간부(41)에 끼워지는 제 1피스톤(43)과; 상기 제 1피스톤(43)의 상방에 해당되는 공간부(41)에 수납된 상태에서 항상 아랫쪽으로 작용하는 탄성을 갖는 제 1스프링(4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차의 화물평형유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50)은 상기 보조패널(14)의 상단좌우측에 해당되는 지지패널(12)상에 설치되어 전류의 인가에 자성을 띠는 솔레노이드(51)와; 상기 솔레노이드(51)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솔레노이드(51)가 자성을 띠는 가의 여부에 따라 흡인 또는 돌출되면서 상기 보조패널(14)의 승강동작을 제어하는 잠금편(5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화물평형유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패널(14)은 그 상단면 양측에 상기 잠금수단(50)을 구성하는 잠금편(52)이 걸리는 걸림턱(1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화물평형유지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스프링(35)과 하부스프링(36)은 동일한 탄성계수를 갖도록 구성하여 차체가 평형상태일 때 상기 실린더(31)내부에 끼워진 피스톤(32)이 실린더(31)의 중강부위에서 평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차의 화물평형유지장치.
KR1019960063400A 1996-12-10 1996-12-10 화물차의 화물평형유지장치 KR100208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400A KR100208518B1 (ko) 1996-12-10 1996-12-10 화물차의 화물평형유지장치
US08/987,999 US5979915A (en) 1996-12-10 1997-12-10 Cargo balancing system for a cargo tru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400A KR100208518B1 (ko) 1996-12-10 1996-12-10 화물차의 화물평형유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5225A KR19980045225A (ko) 1998-09-15
KR100208518B1 true KR100208518B1 (ko) 1999-07-15

Family

ID=19486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3400A KR100208518B1 (ko) 1996-12-10 1996-12-10 화물차의 화물평형유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979915A (ko)
KR (1) KR10020851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5608A (en) * 1914-02-03 Harley S Heath Circuit-breaking means for motor-vehicles.
IT1280224B1 (it) * 1995-03-15 1998-01-05 Marco Bettini Sistema di livellamento per autoveicoli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79915A (en) 1999-11-09
KR19980045225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91883B1 (en) Swing control apparatus for industrial vehicle
KR100208518B1 (ko) 화물차의 화물평형유지장치
FI78663B (fi) Truck.
JPH02215696A (ja) クレーンの旋回規制機構
KR100205180B1 (ko) 화물차의 화물평형유지장치
JP2008114825A (ja) タンクローリの走行安定装置
KR100219243B1 (ko) 화물차의 화물평형 유지장치
KR19980045228A (ko) 화물차의 화물평형유지장치
JPH06100297A (ja) 前載式荷物取扱い用トラック
JP7202507B2 (ja) 積荷を搬送するための車両
JP3871541B2 (ja) 荷受台昇降装置
JP3317486B2 (ja) 簡易リモコン装置付運搬車輌
JP2568239Y2 (ja) 運搬車の荷台移動構造
JP2000143198A (ja)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における車軸制御装置
JP3228246U (ja) 無人搬送車
RU2025461C1 (ru) Подъемник
KR200160439Y1 (ko) 트럭의 리어액슬 리프팅장치
KR20030014473A (ko) 적재함 구조
JP2783307B2 (ja) 立体駐車場
KR0118381Y1 (ko) 상용차의 화물 적재함 회전 이동장치
KR19980043181A (ko) 트럭의 적재함 경사조절장치
KR100551091B1 (ko) 차량의 태그액슬장치
JP2992794B2 (ja) 垂直循環式立体駐車装置
JP2542054Y2 (ja) フォークリフトトラックの偏荷重検出装置および偏荷重是正装置
JPH013354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2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3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4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4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4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