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07904B1 - 정전기 방지를 개선한 반도체 소자 구조 - Google Patents

정전기 방지를 개선한 반도체 소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7904B1
KR100207904B1 KR1019960044438A KR19960044438A KR100207904B1 KR 100207904 B1 KR100207904 B1 KR 100207904B1 KR 1019960044438 A KR1019960044438 A KR 1019960044438A KR 19960044438 A KR19960044438 A KR 19960044438A KR 100207904 B1 KR100207904 B1 KR 100207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active region
active
floating
semiconductor substr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4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6113A (ko
Inventor
김석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44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7904B1/ko
Publication of KR19980026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7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790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89/00Aspects of integrated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10D84/00 - H10D88/00
    • H10D89/60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rrangemen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protection circuits against electrostatic discharge [ESD]
    • H10D89/601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rrangemen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protection circuits against electrostatic discharge [ESD] for devices having insulated gate electrodes, e.g. for IGFETs or IGBTs
    • H10D89/811Integrated devices comprising arrangemen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protection circuits against electrostatic discharge [ESD] for devices having insulated gate electrodes, e.g. for IGFETs or IGBTs using FETs as protective elements

Landscapes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제품에 있어서 회로 변경을 가하지 않고 정전기 수준을 향상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각 소자들이 형성될 제1액티브 영역, 제2액티브 영역, 제3액티브 영역들과 그 액티브 영역들을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형성된 필드 산화막(field oxide)을 포함하고 N형 반도체 기판; 제1액티브(active) 영역 및 제2액티브 영역 하면과 N형 반도체 기판 사이에 형성된 플로팅(floating) P영역; 제1액티브 영역과 플로팅 P영역 사이에 형성된 N-영역; N-영역 상면에 국부 형성된 N+저항; N+저항 상면에 형성된 입력단자; 플로팅 P영역과 제2액티브 영역에 이온주입 되어 형성된 P+영역; P+영역에 전기를 인가하기 위해 형성된 플로팅 전극; N형 반도체 기판과 제3액티브 영역에 형성된 N+영역; N+영역 상면에 형성된 출력단자; 들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N-영역의 두께가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지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를 제공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정전기 방지를 개선한 반도체 소자 구조
본 발명은 직접회로 반도체 소자에서 발생하는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CMOS(상보성 금속 산화 반도체) 반도체에서 회로 수정이 불가능한 경우 구조적 변경을 통하여 정전기 특성이 가능하도록 개선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직접회로(IC) 소자 내부에 정전기(electrostatic discharge; EDS) 스트레스(stress)가 인가 되었을 때, 그 직접회로 소자 내부로 높은 전류가 유입된다.
현재의 CMOS 반도체 경향은 소규모화와 특수한 입·출력 전압(special input / output voltage) 회로를 가지고 있으며, 고품질을 요구하는 제품일수록 정전기 특성은 더욱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대부분의 CMOS 반도체 제품은 회로 개선을 통하여 정전기 특성 개선을 기대할 수 있으나, 회로 설계상 그 회로의 보호 회로 사용이 불가한 제품이 설계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한다.
이렇게 회로 수정이 불가능할 경우, 공정을 변경하여 구조를 달리 함으로서 정전기 방전 경로를 유도하고, 방전 특성을 향상시켜 구조 변경만으로도 정전기 특성이 가능하여 품질 향상에 기여 할 수 있는 제조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기존의 입력단 회로도를 살펴보기로 한다.
제1도는 기존의 일반적인 입력단 회로도이다.
먼저, 전기 신호가 인가되는 입력단자(10)와 저항들(30) 그리고 다이오드(40) 및 트랜지스터(50)를 포함하고 있는 일반적인 입력단 회로이며, 입력단자(10)로 전기적인 신호 및 전류가 인가되어 작동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제1도는 전기 신호가 입력단자(10)로 인가되고, 저항(30)기 바로 앞 지점에서 정전기 파괴 지점(20)이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위와 같은 입력단 회로도를 갖고 있는 경우, 입력단에 전류를 가할 때 발생하는 정전기 스트레스(stress)로 인하여 회로가 파괴되어 제품의 불량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제2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수직 구조 단면도이다.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부분의 반도체 회로에서 정전기 스트레스(EDS) 인가시 N+저항(140)과 플로팅 P영역(110) 사이에 도핑(dopping) 농도가 낮은 N-영역(150)에 인가되므로, 깊이가 적은 N+영역(190)과 N-영역(150)에 의해 반도체 실리콘 격자에 알루미늄이 침투하여 N+영역(190)과 N-영역(150)이 더 작아져 정전기 누설이 증가한다. 누설된 정전기는 플로팅 P영역(110)을 통해 N+영역(190)으로 전달되어 반도체 회로를 손상시킬 수 있다.
즉 제1액티브 영역(A) 표면으로부터 N-영역(150)의 깊이(D)가 약 1㎛에 불과하기 때문에, 입력단자(130)를 통해 N-영역(150)에 인가되 전기 신호가 약 5.5㎛ 두께의 플로팅 P영역(110) - N형 반도체 기판(100) 하부로 유지되지 못할 수 있으며, 정전기 스트레스는 결국 출력단자(180)로 전달되어 반도체 회로를 손상시킬 수 있다.
특히, 플로팅(floating)된 입력(input)구조이거나, 오픈 드레인(open drain)인 출력(output)구조를 가지는 회로로 정전기 보호 회로를 구성하는 경우, 정전기 특성이 상대적으로 취약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구조에서 회로 수정이 불가능할 경우, 상기 회로 소자들을 구성하고 있는 반도체 기판의 구조 변경을 통하여 정전기 방전 경로를 기판 하부 방향으로 유도하고, 방전 특성을 향상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고신뢰성의 반도체 소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기존의 입력단 회로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수직 구조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정전기 방전을 제어한 소자의 수직 구조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정전기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입력단 20 : 정전기 파괴 지점
30 : 저항 40 : 다이오드
50 : 트랜지스터 100, 200 : N형 반도체 기판
110, 210 : 플로팅 P영역 120, 220 : 필드 산화막
130, 230 : 입력단자 140, 240 : N+저항
150, 250 : N-영역 160, 260 : 플로팅(floating)
170, 270 : P+영역 180, 280 : 출력단자
190, 290 : N+영역 A, A' : 제1액티브 영역
B, B' : 제2액티브 영역 C, C' : 제3액티브 영역
D, D' : N-영역의 깊이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각 소자들이 형성될 제1액티브 영역, 제2액티브 영역, 제3액티브 영역들과 그 액티브 영역들을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형성된 필드 산화막을 포함하고 있는 N형 반도체 기판; 제1액티브(active)영역 및 제2액티브 영역 하면과 N형 반도체 기판 사이에 형성된 플로팅(floating) P영역; 제1액티브 영역과 플로팅 P영역 사이에 형성된 N-영역; N-영역 상면에 국부 형성된 N+저항; N+저항 상면에 형성된 입력단자; 플로팅 P영역과 제2액티브 영역에 이온주입 되어 형성된 P+영역; P+영역에 전기를 인가하기 위해 형성된 플로팅 전극; N형 반도체 기판과 제3액티브 영역에 형성된 N+영역; N+영역 상면에 형성된 출력단자; 들을 포함하고 있는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입력단자를 통하여 전기 신호가 인가될 때 발생되는 정전기 스트레스가 N-영역에서 N형 반도체 기판 하부로 유도되도록 N-영역의 두께가 약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지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정전기 방전을 제어한 반도체 소자의 수직 구조 단면도이고,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정전기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먼저, 제3도를 살펴보면, N형 반도체 기판(200) 위에 각 소자들이 형성될 제1액티브 영역(A'), 제2액티브 영역(B'), 제3액티브 영역(C')들과 그 액티브 영역들을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형성된 필드 산화막(220)이 형성되어 있다.
제1액티브 영역(A') 및 제2액티브 영역(B') 하면과 N형 반도체 기판(200) 사이에 플로팅 P영역(2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로팅 P영역(210)은 이온 주입하는 방법에 의하여 P형 불순물이 제1액티브 영역(A')과 제2액티브 영역(B')의 표면 하면에 약 6.5㎛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액티브 영역(A')과 풀로팅 P영역(210) 사이에 형성된 N-영역(250)은, 제1액티브 영역(A') 표면으로부터 약 3㎛의 깊이(D')로 N형 불순물을 주입하여 형성되어 있다.
N-영역(250)의 깊이(D')는 종래의 깊이(D)보다 약 2㎛ 정도 깊게 형성된 것이며, 이는 정전기의 방향을 N형 반도체 기판(200)의 하면으로 유도 하기 위하여 이온주입 시간 및 확산 온도를 조절하여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N-영역(250) 상면에 국부 형성된 N+저항(240)이 제1액티브 영역(A')의 표면으로부터 약 0.45㎛ 깊이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N+저항(240) 상면에 전기를 인가할 수 있는 입력단자(23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로팅 P영역(210)과 제2액티브 영역에 이온주입 되어 P+영역(270)이 형성되어 있으며, P+영역(270)에 전기를 인가하기 위해 형성된 플로팅 전극(26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N형 반도체 기판(200)과 제3액티브 영역(C')에 N+영역(290)이 형성되어 있으며, N+영역(290) 상면에 출력단자(280)가 형성되어 있다.
제3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반도체 회로 구조는 공정의 변화 없이 N-영역(250)의 깊이를 기존보다 증가 시켜 정전기 경로를 반도체 기판 방향으로 유도한 것이다.
제4도를 살펴보면 정전기 수준과 N-영역의 깊이에 관한 그래프로서, N-영역의 영역의 깊이가 증가 할수로 정전기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N-영역의 깊이가 3.5㎛가 될 때, 정전기 수준이 최고 3,000 V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생산성 및 제조 공정상 N-영역의 깊이가 약 3㎛의 깊이로 형성되는 것이 가정 효과적이다. 이때, N+저항의 두께 약 0.45㎛를 제외하면 실제 N-영역의 두께는 약 2㎛를 약간 넘게 된다.
이하,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위에서 기술한 표 1은 N-영역을 열확산에 의한 실험 값을 표현한 것이다. 여기서 실험 값은 확산 온도, 불순물 농도 및 확산 온도 등을 공정변수로 하는 N-영역의 두께를 컴퓨터 시물레이션을 통하여 추정한 것이며, 공정은 실제 위와 같은 조건 하에서 공정을 진행시킬 때 얻어지는 N-영역의 실제 두께를 나타낸다.
즉, 확산 시간, 확산 온도와 불순물 농도에 따라 N-영역의 두께에 영향을 주고,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N-영역의 깊을수록 정전기 수준(예를 들어 입력단의 VDD, Vss 값)이 높아짐을 알수 있다.
또한, 각 공정의 특성상 알맞는 확산 온도와 확산 시간을 선택하여 N-영역을 형성함으로써, 회로 변경을 통하지 않고도 정전기 수준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은 정전기가 발생하는 회로에 있어서, 그 회로의 변경을 가하지 않고도 그 반도체 구조중 N-영역의 두께만을 증가시켜 정전기 수준을 현격히 높일 수 있는 이점(利點)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CMOS반도체등 그 정전기 특성이 강조되는 고품질을 요구하는 반도체 제품에 있어서, 그 회로 변경을 통하지 않고, 기존 공정중 N-영역을 확산에 의하여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단순히 N-영역 확산 공정 변수 만을 변경하여 정전기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Claims (3)

  1. 각 소자들이 형성될 때 제1액티브 영역, 제2액티브 영역, 제3액티브 영역들과 그 액티브 영역들을 전기적으로 분리하기 위하여 형성된 필드 산화막을 포함하고 있는 N형 반도체 기판; 상기 제1액티브 영역 및 제2액티브 영역 하면과 상기 N형 반도체 기판 사이에 형성된 플로팅 P영역; 상기 제1액티브 영역과 상기 플로팅 P영역 사이에 형성된 N-영역; 상기 N-영역 상면에 국부 형성된 N+저항; 상기 N+저항 상면에 형성된 입력단자; 상기 플로팅 P영역과 제2액티브 영역에 이온주입 되어 형성된 P+영역; 상기 P2영역에 전기를 인가하기 위해 형성된 플로팅 전극; 상기 N형 반도체 기판과 제3액티브 영역에 형성된 N+영역; 상기 N+영역 상면에 형성된 출력단자; 들을 포함하고 있는 반도체 소자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를 통하여 전기 신호가 인가될 때 발생되는 정전기 스트레스가 상기 N-영역에서 상기 N형 반도체 기판 하부로 유도되도록 상기 N-영역의 두께가 약 2㎛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지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영역이 약 3㎛의 깊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지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영역의 분순물의 농도가 약 6 × 1013개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방지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
KR1019960044438A 1996-10-07 1996-10-07 정전기 방지를 개선한 반도체 소자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207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438A KR100207904B1 (ko) 1996-10-07 1996-10-07 정전기 방지를 개선한 반도체 소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438A KR100207904B1 (ko) 1996-10-07 1996-10-07 정전기 방지를 개선한 반도체 소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113A KR19980026113A (ko) 1998-07-15
KR100207904B1 true KR100207904B1 (ko) 1999-07-15

Family

ID=19476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4438A Expired - Fee Related KR100207904B1 (ko) 1996-10-07 1996-10-07 정전기 방지를 개선한 반도체 소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790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113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453B1 (ko) 집적회로 보호장치 및 제조방법
US6933551B1 (en) Large value, compact, high yielding integrated circuit capacitors
KR900003257B1 (ko) 보호회로를 갖는 반도체장치
US6384463B1 (en) High voltage shield
US4835592A (en) Semiconductor wafer with dice having briding metal structu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0159451B1 (ko) 반도체장치의 보호회로
US4739378A (en) Protection of integrated circuits from electric discharge
EP0703621B1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for MOS integrated circuits
SE457303B (sv) Halvledaranordning samt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densamma
US7375371B2 (en) Structure and method for thermally stressing or testing a semiconductor device
KR20000067772A (ko) 정전기방전 방지장치
US6661095B2 (en) Semiconductor device
KR100934791B1 (ko) 전류특성 측정용 반도체 소자 및 반도체 소자의 전류특성측정 방법
US5109266A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high breakdown-voltage to applied voltage
EP0109070A1 (en) MOS type semiconductor device
US5831312A (en) Electros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trenches
US6531744B2 (en) Integrated circuit provided with overvoltage protec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KR100207904B1 (ko) 정전기 방지를 개선한 반도체 소자 구조
JP3939783B2 (ja) ヒューズバンク
JP2000269281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テスト方法
US5401997A (en) ESD protection for poly resistor on oxide
US8357985B2 (en) Bipolar transistor with guard region
US7075156B1 (en) Collector structure f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circuits
US6541839B1 (en) Microelectronics structure comprising a low voltage part provided with protection against a high voltage part and method for obtaining said protection
JP2724707B2 (ja) ブリッジ・メタル構造物を持つダイを有する半導体ウェーハ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0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0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2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4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4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3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