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06292B1 - 표시소자의 조립구조와 그 조립 방법 및 장착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소자의 조립구조와 그 조립 방법 및 장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6292B1
KR100206292B1 KR1019900011305A KR900011305A KR100206292B1 KR 100206292 B1 KR100206292 B1 KR 100206292B1 KR 1019900011305 A KR1019900011305 A KR 1019900011305A KR 900011305 A KR900011305 A KR 900011305A KR 100206292 B1 KR100206292 B1 KR 100206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tube
case
substrate
plug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13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5678A (ko
Inventor
아끼오 오고시
히데아끼 나까가와
고지 쓰루다
히로시 가또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10005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6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6292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6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1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gas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표시소자의 조립구조와 그 조립 방법 및 장착 방법
제1도는 본원 발명에 의한 표시소자의 조립구조를 설명하는 분해사시도.
제2도는 조립작업의 공정도.
제3도는 표시관이 케이스에 수납되는 단계의 단면도.
제4도는 표시관의 일부 파단 정면도.
제5도는 표시관의 일부 파단 측면도.
제6도는 표시관의 일부 파단 사시도.
제7도는 종래 표시소자의 조립구조를 설명하는 분해사시도.
제8도는 조립작업의 공정도.
제9도는 표시관이 케이스에 수납되는 단계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표시관 2 : 기판
3 : 케이스 4 : 플러그 핀
5 : 플러그 커버 6 : 루버
본원 발명은 다수의 표시소자를 2차원적으로 배열하여 대형의 화상표시장치를 형성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표시소자의 조립구조와 그 조립 방법 및 장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표시소자의 조립구조와 그 조립 방법 및 장착 방법에 관한 것이며, 플러그 핀을 기판에 장착하고, 이 기판을 표시관에 장착한 후 케이스에 수납하도록 함으로써,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방수처리가 양호하게 행하여지도록 한 것이다.
본원 출원인은 앞서 다수의 표시소자를 2차원적으로 배열하고, 이들 표시소자를 각각 소망의 데이터로 구동하여 소망의 화상표시를 행하도록 한 표시장치를 제안한 바 있다(일본국 특개소 60(1985)-158,779호 공보, 동 특개소 61(1986)-177,078호 공보 참조).
또한, 본원 출원인은 이와 같은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표시소자로서 적합한 형광표시관을 제안한 바 있다(일본국 특개소 61(1986)-135,032호 공보).
즉, 제4도, 제5도 및 제6도는 상술한 형광표시관을 나타내는 각각 일부 파단 정면도,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이 도면중, (11)은 앞면패널(11A)과 배면패널(11B)과 측판(11C)으로 이루어지는 유리상자체를 표시한다. 이 유리상자체(11) 내에 형광체층으로 이루어지는 복수조의 형광표시부, 이 예에서는 8조의 이른바 형광체트리오(12)[(12a)-(12h)]와, 이들 형광체트리오(12)에 대응하는 전극유니트(13)[(13a)-(13h)]가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8조의 형광체트리오(12)는 앞면패널(11A)의 내면에 형광체층을 붙여서 형성되는 것이며, 4조씩 상하 2열로 배열되고, 이 경우 각 형광체트리오(12)는 적발광, 녹발광, 청발광의 3개의 형광체세그멘트(14) 즉 형광체층(14R), (14G), (14B)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앞면패널(11A)의 내면에 틀모양으로 도전층인 카본층(15)이 인쇄되고, 틀모양내의 각 빈칸에 대응하여 각각 적형광체층(14R), 녹형광체층(14G) 및 청형광체층(14B)이 일부 카본층(15) 위에 걸쳐지도록 하여 인쇄에 의해 형성되고, 그 위에 중간막을 통해서 예를 들면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메탈백층이 피착형성된다.
이 각 형광체트리오(12)에 각각 대향하도록 배면패널(11B) 내에 전극유니트(13)가 배치된다. 이 전극유니트(13)는 형광체 트리오(12)의 각 적형광체층(14R), 녹형광체층(14G) 및 청형광체층(14B)에 대향하도록 3개의 와이어캐소드(K)[(KR), (KG), (KB)]와, 그 캐소드(KR), (KG), (KB)에 각각 대향해서 3개의 제1그리드(grid)(G1)[(G1R), (G1G), (G1B)]와, 또한 3개의 제1그리드(G1)에 공통으로 제2그리드(G2)가 순차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제2그리드(G2)는 모두 8조의 전극유니트(13a)-(13h)의 제2그리드(G2)끼리 각각 공통접속된다. 또, 제1그리드(G1)는 각 종방향으로 배열된 2개의 전극유니트 사이 즉 전극유니트(13a)와 (13e)사이, 전극유니트(13b)와 (13f)사이, 전극유니트(13c)와 (13g)사이 및 전극유니트(13d)와 (13h)사이에서 공통 접속된다. 즉, 세로로 배열된 전극유니트 사이에 있어서, 그 중앙의 (G1B)끼리가 공통접속되고, 우단의 (G1B)와 (G1G)가 공통접속되며, 좌단의 (G1G)와 (G1B)가 공통접속된다. 또한, 각 와이어캐소드(K)는 예를 들면 전극유니트(13a)-(13d)의 와이어캐소드(K)가 공통접속되고, 또 전극유니트(13e)-(13h)의 와이어 캐소드(K)가 공통접속된다.
그리고, 와이어캐소드(K)의 리드, 제1그리드(G1)의 리드, 제2그리드(G2)의 리드는 각각 배면패널(11B)과 측판(11C)의 하단면(下端面) 사이의 봉쇄부를 지나서 외부에 도출된다.
(61F)는 전극유니트(13a)-(13d)사이에 공통접속된 와이어캐소드(K)의 리드, (62F)는 전극유니트(13e)-(13h) 사이에 공통접속된 와이어캐소드(K)의 리드, (63G2)는 전극유니트(13a)-(13h) 사이에 공통접속된 제2그리드(G2)의 리드, (64G1)은 전극유니트(13a) 및 (13e) 사이에 공통접속된 3개의 제1그리드(G1)의 리드, (65G1)은 전극유니트(13b) 및 (13f) 사이에 공통접속된 3개의 제1그리드(G1)의 리드, (66G1)은 전극유니트(13c) 및 (13g) 사이에 공통접속된 3개의 제1그리드(G1)의 리드,(67G1)은 전극유니트(13d) 및 (13h) 사이에 공통접속된 3개의 제1그리드(G1)의 리드이다.
또, 8조의 형광체트리오(12)의 각 형광체층(14R), (14G), (14B)를 에워싸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세퍼레이터구조체(40)가 배치된다. 이 세퍼레이터구조체(40)는 전자(電子)빔이 대응하는 형광체층의 전체에 조사되도록 전자빔을 넓히는 작용 이른바 확산렌즈의 형성과, 동시에 각 형광체트리오(12)에 애노드리드(46)로 부터의 애노드전압을 부여하기 위한 급전수단으로서 사용되는 것이다. 고압이 인가되는 애노드리드(46)는 그 일단이 세퍼레이터구조체(40)의 전극판(42)에 접속되고, 타단이 유리상자체(11)이 배면패널(11B)에 배설한 배기관(47)을 통해서 외부에 도출된다. 이 때, 애노드리드(46)는 배기관(47) 부분에 유리로 감은 듀멧선(Dumet wire)(Cu합금)을 사용한다. 따라서 애노드리드(46)와 배기관(47) 사이의 기밀(氣密)이 유지된다.
또한, 각 형광체트리오(12)의 적, 녹 및 청의 각 색형광체층(14R), (14G), (14B)에는 애노드리브(46)-세퍼레이터구조체(40)를 통해서 예를 들면 8kV정도의 애노드 전압이 공급된다. 제1그리드(G1)에는 예를 들면 OV(오프)-5V(온)이하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2그리드(G2)에는 예를 들면 10V이하의 고정전압이 인가된다. 또, 와이어캐소드(K)에는 열선택전압으로서 예를 들면 0V-5V 이하의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상열(上列)의 전극유니트(13a)-(13d)의 와이어캐소드(K)에 OV가 부여되고, 하열(下列)의 전극유니트(13e)-(13h)의 와이어캐소드(K)를 컷오프의 예를 들면 5V가 부여된 상태에서 리드(64G1)을 통하여 제1그리드(G1)에 예를 들어 5V가 인가되면 제1의 형광체트리오(12a)가 발광표시된다. 제1그리드(G1)에 OV가 인가되었을 때에는 전자빔은 컷오프되어서 대응하는 형광체층은 발광표시되지 않는다. 그리고 리드(64G1), (65G1), (66G1) 및 (67G1)을 통해서 순차 제1그리드(G1)에 전압을 인가하면 상열의 형광체트리오(12a)-(12d)가 발광표시되며, 이어서 와이어캐소드(K)에 OV를 부가하고, 마찬가지로 리드(64G1)-(67G1)에 순차 제1그리드(G1)의 전압 5V를 인가하면 하열의 형광체트리오(12e)-(12h)가 발광표시된다. 즉, 와이어캐소드(K) 및 제1그리드(G1)에 부가하는 전압에 따라서 각 색형광체층 즉 형광체세그멘트(14)가 선택적으로 온, 오프표시된다.
이와 같은 형광표시관이 2차원적으로 다수 배열되어서 표시장치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표시장치에 대해 각 형광체 세그멘트에는 예를 들면 1프레임마다 모두 다른 표시신호가 공급되어, 각각의 표시신호에 따른 표시가 행하여진다. 여기서, 각 세그멘트의 표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온, 오프표시이므로, 공급되는 표시신호에 따라 온기간을 PWM제어함으로써 휘도변조가 행하여진다.
그런데, 상술한 장치에 있어서, 이와 같이 표시관을 사용하는 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옥외에 설치된다. 이 때문에 각 표시관에는 각각 방수구조를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그 경우에는 종래의 이와 같은 표시관을 포함하는 표시소자의 조립구조에서는 예를 들면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구조가 실시되어 있었다.
즉, 도면은 표시소자를 배면측에서 본 분해사시도로서, 도면중(100)은 표시관(200)은 기판, (300)은 케이스를 표시하며, 이 케이스(300)에는 신호공급용의 플러그 핀(400)이 케이스의 내외를 관통하여 매설(埋設)되어 있다. 또한, (500)은 커버, (600)은 루버(louver)이다.
그리고, 조립할 경우에는 먼저 케이스(300)내에 기판(200)이 삽입되고, 케이스(300)의 내측에 돌출되는 플러그 핀(400)의 타단이 기판(200)의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접속공(201)을 각각 관통하도록 되어서, 이 접속공(201)과의 사이에서 납땜 등에 의해서 접속이 행해진다. 다음에, 표시관(100)이 케이스(300) 내에 수납되고, 이 표시관(100)의 상술한 61F 등의 리드(101)가 기판(200)의 접속부(202)에 접속된다. 또, 이 접속부(202)는 기판(200) 상의 도전패턴을 통해서 접속공(201)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속부(202)와 리드(101)와의 접속(납땜)은 케이스(300)의 배면측에 배설된 윈도(window)부(301)를 통해서 행해진다. 또한, 이 접속의 종료후 커버(500)로 윈도부가 덮혀지고, 표시관(100)의 정면측에 루버(600)가 장착된다.
또한, 제8도는 조립작업의 공정도이며, 먼저 표시관(100), 기판(200), 플러그 핀(400)이 매설된 케이스(300), 커버(500), 루버(600)가 준비되고, 맨 먼저 기판(200)이 케이스(300)에 삽입되어서 납땜이 행해진다. 다음에, 표시관(100)이 케이스(300)에 수납되어서 납땜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커버(500) 및 루버(600)가 케이스(300)에 장착되는 동시에 이를 사이가 실리콘수지 등으로 접착되어서 방수구조로 된다.
또, 제9도는 표시관(100)이 케이스(300)에 수납되는 단계에서의 단면도이며, 기판(200)과 플러그 핀(400)은 납땜되어 있으며, 이 케이스(300)에 표시관(100)이 수납되고, 리드(101)와 접속부(202)가 접속된 후, 커버(500) 및 루버(600)가 장착되고, 이들 사이가 방수처리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조립구조에 있어서, 플러그 핀(400)과 접속공(201)과의 납땜 및 리드(101)와 접속부(202)와의 납땜은 각각 케이스(300)의 내부 또는 윈도부(301)를 통해서 행해지며,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 행하여지기 때문에 작업에 정밀도를 필요로 하여, 종래는 이른바 손작업에 의해서 행해지고 있었다.
한편, 윈도부(301)를 배설함으로써, 방수처리를 실시할 면적이 증대되고, 이와 같은 처리면적의 증대는 방수구조의 신뢰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특히, 이 경우에 윈도부(301)를 작게 하면 상술한 납땜 등이 작업성을 현저하게 악화시키는 것이며, 또 크게 하면 방수구조의 신뢰성이 더욱 저하하였다.
본 출원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원 발명은 플러그 핀(4)을 기판(2)에 장착하고, 이 기판을 표시관(1)에 장착한 후 케이스(3)에 수납하고, 방수시일을 실시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소자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다수의 리드를 갖는 표시관, 상기 다수의 리드에 각각 접속되는 다수의 대응 플러그 핀, 상기 표시관 상에 장착되는 기판, 및 상기 플러그핀이 밖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표시관 및 기판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표시관 조립 구조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관 조립 구조가 상기 플러그 핀을 기판 상에 장착하는 제1단계; 상기 플러그 핀이 대응하는 도전패턴을 통해 상기 표시관의 리드에 접속되는 상태로 상기 기판을 표시관 상에 장착하는 제2단계; 상기 플러그 핀이 케이스의 개구를 통해 밖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상기 표시관을 케이스 내에 위치시키는 제3단계; 및 상기 케이스의 방수처리를 행하는 제4단계에 의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관 조립 구조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 발명은 다수의 플러그 핀을 기판 상에 장착하는 제1단계; 상기 플러그 핀이 표시관의 리드에 접속되는 대응 도전패턴에 접속되는 상태로 상기 기판을 표시관 상에 장착하는 제2단계; 상기 플러그 핀이 케이스의 개구를 통해 밖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상기 표시관을 케이스 내에 위치시키는 제3단계; 및 상기 표시관, 기관, 및 다수의 플러그 핀을 방수 재료로 덮어 수용하도록 상기 케이스의 방수처리를 행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표시관 조립구조의 장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것에 의하면, 플러그 핀과 기판과 표시관을 케이스 밖에서 접속함으로써 작업성이 매우 향상되는 동시에, 케이스에 윈도부가 배설되지 않으므로 방수처리의 신뢰성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다.
제1도는 표시소자를 배면측에서 본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이 도면에 있어서(1)은 표시관, (2)는 기판, (3)은 케이스, (4)는 플러그 핀, (5)는 플러그 커버, (6)은 루버이다.
그리고, 이 도면에 있어서 조립을 행하는 경우에는 먼저 플러그 핀(4)이 기판(2)의 접속공(2A)에 각각 삽입되고, 각각 납땜이 행하여진다. 다음에, 이 기판(2)이 표시관(1)에 장착되고, 표시관(1)의 상술한 61F 등의 리드(1A)와 기판(2)의 접속부(2B)가 납땜된다. 또, 이 접속부(2B)는 기판(2) 상의 도전패턴을 통해서 접속공(2A)에 접속되어 있다.
이 기판(2), 플러그 핀(4) 및 표시판(1)의 접속체가 케이스(3)에 수납된다. 여기서, 케이스(3)의 배면에는 상술한 기판(2)에 납땜된 플러그 핀(4)이 삽통되는 개구(3A)를 가진 플러그 기부(3B)가 배설되며, 플러그 핀(4)은 상술한 개구(3A)를 통해서 배면측으로 돌출된다.
이 돌출되는 플러그 핀(4)에 대하여 플러그 커버(5)가 장착된다. 이 플러그 커버(5)는 상술한 케이스(3)의 플러그 기부(3B)에 연속되는 향상이 되는 동시에, 본래의 플러그 핀(4)이 배설되는 위치에 삽통공(5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플러그 커버(5)가 장착됨으로써, 플러그 핀(4)은 본래 있어야 할 위치에 위치결정된다.
또, 표시관(1)의 정면측에 루버(6)가 설치된다.
또한, 제2도는 조립작업의 공정도이며, 먼저 표시관(1), 기판(2), 케이스(3), 플러그 핀(4), 플러그 커버(5), 루버(6)를 준비하고, 먼저 플러그 핀(4)과 기판(2)을 납땜한다. 다음에, 기판(2)과 표시관(1)을 납땜한다. 그리고, 마지막에 기판(1)과 플러그 핀(4)과 표시관(1)의 접속체가 케이스(3)에 수납되고, 플러그 커버(5) 및 루버(6)가 케이스(3)에 장착되는 동시에, 이들 사이가 실리콘수지 등으로 접착되어서 방수구조로 된다.
또, 제3도는 표시관(1)이 케이스(3)에 수납되는 단계에서의 단면도로서, 기판(2), 플러그 핀(4) 및 표시관(1)은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 접속체가 케이스(3)에 수납되고, 케이스(3)에 플러그 커버(5) 및 루버(6)가 장착되고, 이들 사이가 방수처리 된다.
이렇게 하여, 이 조립구조에 의하면 플러그 핀과 기판과 표시관을 케이스밖으로 접속함으로써 작업성이 매우 향상되는 동시에, 케이스에 윈도부가 설치되지 않으므로 방수처리의 신뢰성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플러그 커버(5)와 플러그 기부(3B)와의 분할은 이 표시소자를 후부유니트에 장착할 때에 유니트측의 소켓과의 사이를 방수하는 이른바 O링이 배설되는 홈(3c)보다 후부측이 된다. 이로써 플러그 커버(5)의 분할면이 O링에 의한 방수면보다 후부측이 되고, 방수의 신뢰성이 한층 향상된다.
또, 표시관(1)이 수납되었을 때의 케이스(3)의 정면측의 단부가 표시관(1)의 표시면보다 약간 돌출되고, 이 돌출부의 내측에 소정의 스텝부(3D)가 형성되는 동시에, 루버(6)의 기부(6A)의 외주가 스텝부(3D)에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표시관(1)이 수납된 상태에서 상술한 스텝부(3D)에 실리콘수지 등을 주입하고, 루버(6)의 기부(6A)를 끼워맞춤으로써 매우 용이하게 신뢰성 높은 방수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커버(5)의 플러그 기부(3B)에 대향하는 면에 있어서, 삽통공(5A)의 단부를 연결하도록 이른바 V홈(5B)이 형성된다. 이로써 플러그 커버(5)의 장착시에 플러그 핀(4)이 V홈(5B)으로 가이드되어, 장착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구성으로 플러그 커버(5)와 케이스(3)는 일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 핀과 기판과 표시관을 케이스 밖에서 접속함으로써 작업성이 매우 향상되는 동시에, 케이스에 윈도부가 설치되지 않으므로 방수처리의 신뢰성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되었다.

Claims (4)

  1. 다수의 리드를 갖는 표시관, 상기 다수의 리드에 각각 접속되는 다수의 대응 플러그 핀, 상기 표시관 상에 장착되는 기판, 및 상기 플러그 핀이 밖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표시관 및 기판을 수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표시관 조립 구조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관 조립 구조가 상기 플러그 핀을 기판 상에 장착하는 제1단계; 상기 플러그 핀이 대응하는 도전패턴을 통해 상기 표시관의 리드에 접속되는 상태로 상기 기판을 표시관 상에 장착하는 제2단계; 상기 플러그 핀이 케이스의 개구를 통해 밖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상기 표시관을 케이스 내에 위치시키는 제3단계; 및 상기 케이스의 방수처리를 행하는 제4단계에 의해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관 조립 구조의 조립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가 상기 케이스에 제공되는 플러그 커버 내의 다수의 삽통공을 통해 상기 플러그 핀이 밖으로 돌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관 조립 구조의 조립 방법.
  3. 표시관 조립 구조의 장착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플러그 핀을 기판 상에 장착하는 제1단계; 상기 플러그 핀이 표시관의 리드에 접속되는 대응 도전패턴에 접속되는 상태로 상기 기판을 표시관 상에 장착하는 제2단계; 상기 플러그 핀이 케이스의 개구를 통해 밖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상기 표시관을 케이스 내에 위치시키는 제3단계; 및 상기 표시관, 기판, 및 다수의 플러그 핀을 방수 재료로 덮어 수용하도록 상기케이스의 방수처리를 행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표시관 조립 구조의 장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가 상기 케이스 개구 상에서 플러그 커버 내의 다수의 삽통공을 통해 상기 플러그 핀이 밖으로 돌출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표시관 조립 구조의 장착 방법.
KR1019900011305A 1989-08-28 1990-07-25 표시소자의 조립구조와 그 조립 방법 및 장착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206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221022A JP2890514B2 (ja) 1989-08-28 1989-08-28 表示素子の組立構造
JP1-221022 1989-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5678A KR910005678A (ko) 1991-03-30
KR100206292B1 true KR100206292B1 (ko) 1999-07-01

Family

ID=16760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1305A Expired - Fee Related KR100206292B1 (ko) 1989-08-28 1990-07-25 표시소자의 조립구조와 그 조립 방법 및 장착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045974A (ko)
EP (1) EP0415639B1 (ko)
JP (1) JP2890514B2 (ko)
KR (1) KR100206292B1 (ko)
CN (1) CN1033347C (ko)
AU (1) AU634265B2 (ko)
CA (1) CA2024047C (ko)
DE (1) DE6902308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12315B1 (ko) * 1996-11-21 1999-08-02 윤종용 메인회로기판 수리가 용이한 디스플레이장치
US6773274B2 (en) * 2001-08-28 2004-08-10 Thomson Licensing S.A. Mounting arrangement for CRT socket board
US6510061B1 (en) * 2001-09-20 2003-01-21 Global Sun Technology Inc. Electric facility having an ant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device
US6670746B2 (en) 2001-12-12 2003-12-30 Thomson Licensing S.A. Cathode ray tube electrical connector with through passage and leaf springs
JP6089226B2 (ja) * 2012-11-26 2017-03-0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5049A (en) * 1959-09-16 1961-10-17 Motorola Inc Electronic chassis and improved base therefor
US3085224A (en) * 1960-04-04 1963-04-09 Paul N Becka Signal construction
US3944892A (en) * 1974-10-21 1976-03-16 Norcon Electronic Laboratories, Inc. Small compact cathode ray oscilloscope assembly
JPS53138254A (en) * 1977-05-06 1978-12-02 Triumph Werke Nuernberg Ag Pocket type computer
CA1239468A (en) * 1984-01-13 1988-07-19 Yuji Watanabe Video display system
JPH061674B2 (ja) * 1984-12-04 1994-01-05 ソニー株式会社 螢光表示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107090A (en) 1991-02-28
US5045974A (en) 1991-09-03
JPH0383090A (ja) 1991-04-09
JP2890514B2 (ja) 1999-05-17
CA2024047C (en) 2002-03-12
KR910005678A (ko) 1991-03-30
EP0415639A3 (en) 1991-10-16
EP0415639A2 (en) 1991-03-06
AU634265B2 (en) 1993-02-18
EP0415639B1 (en) 1995-10-18
CN1049937A (zh) 1991-03-13
CA2024047A1 (en) 1991-03-01
CN1033347C (zh) 1996-11-20
DE69023083T2 (de) 1996-04-04
DE69023083D1 (de) 1995-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95669B2 (ja) 改良された電子蛍光表示装置
JP2728739B2 (ja) マイクロドット三原色蛍光スクリーン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アドレス方法
KR940000299B1 (ko) 형광 표시관
US4710765A (en) Luminescent display device
EP0523318B1 (en) Light-emitting device
KR100206292B1 (ko) 표시소자의 조립구조와 그 조립 방법 및 장착 방법
US5747927A (en) Display device
EP0633597B1 (en) Plasma display device
US5956003A (en) Flat panel display with array of micromachined incandescent lamps
EP0476975A1 (en) Flat panel display device
US5172028A (en) Fluorescent display device
JPH061675B2 (ja) 螢光表示管
RU2137246C1 (ru) Многоцветный катодолюминесцентный экран матричного типа
EP0537876B1 (en) Vacuum fluorescent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2939151B2 (ja) 蛍光表示管
US8026658B2 (en) Flexible screen comprising cathodic microtubes
KR100338153B1 (ko) 광기록소자
JP2757752B2 (ja) 駆動部内蔵形蛍光表示管
JP2819606B2 (ja) フラットマトリクスcrtの製造方法及びフラットマトリクスcrt
KR200198836Y1 (ko) 칼라 음극선관의 스템 베이스
JP2768083B2 (ja) 蛍光表示管
KR100225942B1 (ko) 단일 셀 내에 n개의 전극을 가지는 전계 방출형 디스플레이 장치
JP4093914B2 (ja) 蛍光発光菅
JPS61135031A (ja) 螢光表示管
JPH0588498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404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7-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4040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