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03005B1 - 보조 난방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보조 난방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005B1
KR100203005B1 KR1019970012720A KR19970012720A KR100203005B1 KR 100203005 B1 KR100203005 B1 KR 100203005B1 KR 1019970012720 A KR1019970012720 A KR 1019970012720A KR 19970012720 A KR19970012720 A KR 19970012720A KR 100203005 B1 KR100203005 B1 KR 100203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auxiliary heating
driving force
heating devi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9442A (ko
Inventor
다까시 반
Original Assignee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와다 아끼히로,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와다 아끼히로
Publication of KR9700694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94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3/00Liquid cooling
    • F01P3/20Cooling circuits not specific to a single part of engine or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 B60H1/0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from other radiator than main radi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8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from the cooling liquid of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viscous fluid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VCOLLECTION, PRODUCTION OR USE OF H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V40/00Production or use of heat resulting from internal friction of moving fluids or from friction between fluids and moving bod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PCOOL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COOLING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P2060/00Cooling circuits using auxiliaries
    • F01P2060/18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엔진에 의해 가열된 냉각수를 이용하여 차량 내의 난방을 행하는 주 난방 장치와, 이 주 난방 장치와는 별도로 엔진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엔진 냉각수를 가열하고 차실내의 난방을 행하는 보조 난방 장치와, 이 보조 난방 장치를 제어하는 보조 난방 제어 장치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보조 난방 제어 장치는 상기 엔진의 구동력을 부하에 전달하기 위한 전자 클러치와, 상기 엔진의 기동을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기와, 상기 전자 클러치를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동 전달 상태와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차단 상태로 절환 제어하는 보조 난방 제어부를 갖고, 이 보조 난방 제어부는 엔진 기동시에 있어서 상기 전자 클러치를 차단 상태로 제어한다.

Description

보조 난방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본 발명은 엔진에 의해 가열된 냉각수를 이용하여 차량 내의 난방을 행하는 난방 장치와는 별도로,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보조 난방 장치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평2-254010호 공보에 종래의 보조 난방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에서는 점성 유체를 교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비스커스 히터가 보조 난방 장치로서 이용되고 있다. 비스커스 히터는 전자 클러치를 거쳐서 엔진으로부터 구동력을 얻을 수 있다. 비스커스 히터를 경유하는 수로 상에는 수온 센서가 부착되어 있다. 전자 클러치 내의 전자 코일은 수온 센서의 수온 검출 결과를 기초로 하여 제어부에 의해 통전 제어를 받는다. 수온이 설정치 이하인 경우에는 전자 코일에 통전되고 전자 클러치가 작동하기 때문에 비스커스 히터는 발열한다. 수온이 설정치 이상인 경우에는 전자 코일에는 통전되지 않고 전자 클러치는 동작하지 않으므로 비스커스 히터는 발열하지 않는다. 즉, 엔진의 열에 의해 가열된 냉각수의 수온이 차실 내의 안방에 이용하기에는 너무 낮은 경우에는 비스커서 히터가 발열하여 차실내의 난방을 보조한다.
그러나, 비스커스 히터를 작동하기 위한 구동력은 엔진에 대한 부하가 된다. 그 때문에, 엔진의 기동이 비스커스 히터의 작동에 의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기어 펌프 히터, 소용돌이 전류 히터 등의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보조 난방 장치를 이용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보조 난방 장치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의 오작동을 해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제1 실시 형태의 주 난방 장치와 보조 난방 장치의 개략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며, 전자 클러치가 비작동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
제2도는 제1 실시 형태의 주 난방 장치와 보조 난방 장치의 개략 도시하는 구성도이며, 전자 클러치가 작동 상태에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
제3도는 통전 상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제4도는 제2 실시 형태의 통전 상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제5도는 제3 실시 형태의 주 난방 장치와 보조 난방 장치의 개략을 도시하는 구성도.
제6도는 통전 상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제7도는 제4도의 실시 형태의 주 난방 장치와 보조 난방 장치의 개략을 도시하는 구성도.
제8도는 통전 상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제9도는 제5도의 실시 형태의 주 난방 장치와 보조 난방 장치의 개략을 도시하는 구성도.
제10도는 통전 상태를 도시하는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엔진 12 : 워터 펌프
13 : 수로 14, 21 : 방열기
15, 23 : 냉각 팬 17 : 온도 센서
18 : 제어부 22 : 비스커스 히터
24, 41 : 보조 난방 제어부 25 : 전방 하우징
26 : 후방 하우징 29 : 발열실
33 : 로우터 35 : 전자 클러치
40 : 회전수 검출기 131 : 제1 부수로
132 : 제 2 부수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은, 엔진의 오작동을 해소한 보조 난방 제어 장치를 구비한 차량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엔진에 의해 가열되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차량 내의 난방을 행하는 주난방 장치와, 그 주 난방 장치와는 별도로 엔진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엔진 냉각수를 가열하고 차실내의 난방을 행하는 보조 난방 장치와, 그 보조 난방 장치를 제어하는 보조 난방 제어 장치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보조 난방 제어 장치가 상기 엔진의 구동력을 부하에 전달하기 이한 구동력 전달 수단과, 상기 엔진의 기동을 검출하는 기동 검출 수단과, 상기 구동력 전달 수단을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동력 전달 상태와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차단 상태로 절환 제어하는 절환 제어 수단을 갖고, 그 절환 제어 수단은 엔진 기동시에 있어서 그 구동력 전달 수단을 차단 상태로 제어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차량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보조 난방 장치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 차량 엔진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달상태와 구동력의 전달을 차단하는 차단 상태로 절환 가능하게 상기 구동력 전달 경로 상에 구동력 전달 수단을 개재시켜 두고, 차량 엔진 기동시에는 상기 구동력 전달 수단을 차단 상태로 하게 하였으므로, 보조 난방 장치를 구비한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의 오작동을 해소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이하, 도면과 함께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11)은 워터 펌프(12)에 의해 수로(13)를 환류하는 냉각수에 의해 냉각된다. 수로(13)를 환류하는 냉각수는 방열기(14)에 있어서 냉각 팬(15)에 의한 송풍 작용에 의해 열을 빼앗긴다. 냉각 팬(15)은 전동 팬이다. 수로(13)에는 제1 및 제2 부수로(131, 1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1 부수로(131)에는 온도 센서(17)가 부착되어 있다. 온도 센서(17)는 제1 부수로(131) 내를 흐르는 냉각수의 수온을 검출한다. 제어부(18)는 온도 센서(17)에 의해 검출된 온도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냉각 팬(15)의 작동을 제어한다. 온도 센서(17)에 의해 검출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수온에 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어부(18)는 냉각 팬(15)을 작동시키지 않고, 검출 수온이 상기 설정 수온에 달한 경우에는 제어부(18)는 냉각팬(15)을 작동시킨다.
제2 부수로(132)에는 방열기(16)가 배치되어 있다. 제2 부수로(132)를 흐르는 냉각수는 방열기(16)에 있어서 냉각 팬(19)의 송풍 작용에 의해 열을 빼앗긴다. 냉각 팬(19)은 전동 팬이다. 냉각 팬(19)은 주 난방 스위치(20)가 ON 상태가 됨으로써 작동하고, 방열기(16)으로부터 나오는 온풍이 차실 내로 보내진다.
제1 부수로(131) 상에는 방열기(21) 및 비스커스 히터(22)가 배치되어 있다. 제1 부수로(131)를 흐르는 냉각수는 방열기(21)에서 냉각 팬(23)의 송풍 작용에 의해 열을 빼앗긴다. 냉각 팬(32)은 전동 팬이다. 냉각 팬(23)은 보조 난방 제어부(24)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방열기(21), 비스커스 히터(22), 냉각 팬(23) 및 보조 난방 제어부(24)에 의해 보조 난방 장치가 구성된다.
비스커스 히터(22)의 구성을 설명한다. 전방 하우징(25)와 후방 하우징(26) 사이에는 열 전도성이 우수한 구획판(27)이 개재되어 있다. 후방 하우징(26)은 전방하우징(25)에 대해 구획판(27)을 거쳐서 볼트(28)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전방 하우징(25)은 지지 통부(251)를 갖고 있다. 구획판(27)과 전방 하우징(25) 사이에는 발열실(29)이 형성되고, 구획판(27)과 후방 하우징(26) 사이에는 워터 자켓(30)이 형성된다. 워터 자켓(30)은 입수 포트(261) 및 출수 포트(262)를 거쳐서 부수로(131)에 접속되어 있다. 엔진(11)으로부터 부수로(131)로 이동된 냉각수는 입수 포트(261)로부터 워터 자켓(30)으로 유입하여 출수 포트(262)로부터 유출한다. 워터 자켓(30)으로부터 유출한 물은 방열기(21)를 향한다.
전방 하우징(25)에는 회전축(31)이 레이디얼 베어링(32)을 거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전축(31)의 선단에는 원판 형사의 로우터(33)가 고착되어 있다. 로우터(33)는 발열실(29) 내에 배치된다. 발열실(29) 내에는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지는 점성 유체가 봉입되어 있다. 전방 하우징(25)과 회전축(31) 사이에는 시일 기구(34)가 설치되어 있으며, 점성 유체의 누설을 방지한다.
상기 지지 통부(251)의 외주에는 전자 클러치(35)가 배치되어 있다. 전자 클러치(35)는 풀리(351)를 갖고 있다. 풀리(351)는 앵귤러 베어링(37)을 거쳐서 지지통부(25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풀리(351)는 전자 클러치(35)의 제1 클러치판이 되고, 벨트(36)를 거쳐서 엔진(11)의 구동이 전달된다.
회전축(31)의 기단부에는 지지 링(38)이 고착되어 있다. 전자 클러치(35)의 제2 클러치판(352)은 판 스프링(353)을 거쳐서 지지 링(38)에 지지되어 있다. 전자 클러치(35)는 솔레노이드(354)를 갖고 있다. 솔레노이즈(354)는 보조 난방 제어부(24)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솔레노이드(354)가 여자되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파(352)이 판 스프링(353)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풀리(351)의 후면에 압접된다. 솔레노이드(354)에의 여자가 정지되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판(352)이 판 스프링(353)의 스프링력에 의해 풀리(351)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된다.
엔진(11)의 회전수는 회전수 검출기(40)에 의해 검출된다. 보조 난방 제어부(24)는 보조 난방 스위치(39)가 ON 상태에 있는 경우에 회전수 검출기(40)로부터의 회전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전자 클러치(35)에 대해 통전한다.
제3도은 보조 난방 제어부(24)에 있어서의 전자 클러치(35) 및 냉각 팬(23)에 대한 통전 제어를 표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플로우차트로 도시되는 루틴에서는 보조 난방 스위치(29)가 ON 상태에 있을 때 엔진(11)을 기동하는 동작이 행해진다. 엔진(11)의 회전수는 회전수 검출기(40)에 의해 검출되어 있으며, 회전수 검출기(40)는 회전수 정보를 보조 난방 제어부(24)로 출력한다.
스텝 101에서 보조 난방 제어부(24)는 엔진(11)의 회전수 Nx가 미리 설정된 회전수 No에 달하였는지가 판단되고, 예라고 판단되면, 스텝 102에서 전자 클러치(35) 및 냉각 팬(23)으로 통전된다. 즉, 솔레노이드(354)가 여자되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판(352)이 폴리(351)에 접합된다. 그 결과, 전자 클러치(35)가 작동 상태로 된다.
전자 클러치(35)가 작동 상태로 됨으로써 엔진(11)의 구동력이 벨트(36), 풀리(351), 클러치판(352) 및 지지 링(38)을 거쳐서 회전축(31)에 전달되고, 로우터(33)가 회전한다. 로우터(33)의 회전에 의해 발열실(29) 내의 점성 유체가 교반되고, 이 교반에 의해 열이 발생한다. 발생한 열은 구획판(27)을 거쳐서 워터 자켓(30) 내의 물에 전달된다. 워터 자켓(30) 내의 물은 가열되어 출수 포트(262)로부터 유출한다. 가열된 물이 방열기(21)로 이동하면 냉각 팬(23)에 의해 열을 빼앗기고, 그 열에 의해 차내가 난방된다.
스텝(103)에서 보조 난방 제어부(24)는 엔진(11)의 회전수 Nx가 설정 회전수 No를 상회하고 있는지가 판단된다. 엔진(11)이 작동하고 있는 동안에는 엔진(11)의 회전수 Nx가 설정 회전수 No를 상회하고 있다. 엔진(11)의 작동을 정지하는 조작이 행해지면, 엔진(11)의 회전수 Nx가 설정 회전수 No를 하회한다. 스텝 103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된다. 그러면 스텝 104에서 전자 클러치(35) 및 냉각 팬(23)에 대한 통전이 정지된다. 전자 클러치(35)의 통전이 정지되면 솔레노이드(354)가 소자된다. 그러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러치판(352)이 풀리(351)로부터 이격된다. 즉, 전자 클러치(35)의 작동이 정지된다. 전자 클러치(35)가 작동을 정지함으로써 엔진(11)의 구동력이 회전축(31)에 전달되는 일이 없고, 로우터(33)의 회전이 정지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엔진(11)의 기동시에는 구동력 전달 수단이 되는 전자 클러치(35)가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엔진(11)의 구동력이 비스커스 히터(22)에 전달되는 일이 없다. 즉, 엔진(11)의 기동시에는 전자 클러치(35)의 클러치판(352)과 풀리(361)가 이격 상태가 된다. 따라서, 비스커스 히터(22)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토오크가 엔진(11)의 기동시에는 엔진(11)에 대한 부하 토오크가 되는 일은 없고, 엔진(11)이 원활하게 기동한다.
설정 회전수 No는 엔진(11)이 기동하였다고 간주할 수 있는 회전수가 채용된다. 예를 들면 통상 운전시의 아이들링 회전수 보다 어느 정도 낮은 회전수가 채용된다. 엔진(11)의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 No에 달하기 까지는 전자 클러치(35)가 작동 정지 상태에 놓인다. 엔진(11)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전자 클러치(35)에 대한 통전 제어를 행하는 방법은 엔진(11)이 실제로 기동할 때 까지 비스커스 히터(22)를 운전시키지 않는 것을 확실하게 한다.
기존 회전수 검출기(40)를 사용하여 엔진(11)의 회전수 검출을 위한 전자 클러치(35)의 통전 제어를 행하기 위한 새로운 회전수 검출기는 불필요하다.
비스커스 히터(22)는 발열 효율이 높은 데다가, 소형화할 수 있기는 하지만, 장시간 교반되고 있지 않은 점성 유체의 점도가 높고, 비스커스 히터(22)의 작동 개시시의 점성에 의한 부하가 크다. 그러나, 엔진(11)의 기동시에는 전자 클러치(35)가 작동 정지 상태가 되며, 점성 유체의 점도가 높을 때 엔진(11)의 구동력이 비스 커스 히터(22)에 전달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엔진(11)의 원활한 기동시가 비스커스 히터(22)에 의해 저해되는 일은 없다.
다음에, 제4도의 플로우차트를 기초로 하여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기계적 구성이지만, 보조 난방 제어부(24)의 통전 제어 기능을 변경한 부분이 다르다. 이 플로우차트에 도시된 루틴에서는 보조 난방 스위치(39)가 ON 상태에 있을 때 엔진(11)을 기동하는 조작이 행해진다.
스텝 201에서 보조 난방 제어부(24)는 엔진(11)의 회전수 Nx가 미리 설정된 회전수 No에 달하였는지가 판단되고, 예라고 판단하면, 스텝 202에서 엔진(11)의 회전수 Nx가 미리 설정된 회전수 Nx에 달하였는지에 판단한다.
스텝 202에서 예라고 판정되면 스텝 203으로 이행한다. 이하, 스텝 203 내지 205는 제1 실시 형태의 스텝 102 내지 104와 마찬가지이다.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엔진(11)의 회전수 Nx가 설정 회전수 No에 달한 후, 다시 미리 설정된 시간 t가 경과할 때 까지 전자 클러치(35)는 차단 상태에 놓인다. 이와 같은 유예 기간을 둠으로써, 엔진(11)이 확실하게 기동한 상태로 되고 나서 보조 난방 장치가 작동한다. 따라서, 엔진(11)이 원활하게 기동한다.
다음에, 제5도 및 제6도을 기초로 하여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5도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부에는 같은 부호가 붙여져 있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보조 난방 제어부(41)에 점화 스위치(42)가 접속되어 있다. 점화 스위치(42)는 엔진(11)을 기동하기 위한 기동 조작을 행한 경우에 그 내용을 나타내는 신호를 보조 난방 제어부(41)에 출력한다. 보조 난방 제어부(41)는 보조 난방 스위치(39)의 ON 상태일 때에만 제어 가능 상태가 된다.
제6도은 보조 난방 제어부(41)에 있어서의 전자 클러치(35) 및 냉각 팬(23)에 대한 통전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플로우차트로 도시되는 루틴에서는 보조 난방 스위치(39)가 ON 상태에 있을 때 엔진(11)을 기도하는 조작이 행해진다. 스텝 301에서 보조 난방 제어부(41)는 기동 신호가 입력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스텝 301에서 보조 난방 제어부(41)가 예라고 판단하면, 스텝 302에서 보조 난방 제어부(41)는 이 입력 시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시간 t0가 경과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스텝 302에서 예라고 판단되면, 스텝 303으로 이행한다. 이하, 스텝 303 내지 305의 처리는 제1 실시 형태의 스텝 102 내지 104와 같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설정 시간 t0는 엔진(11)을 기동하기 위한 기동 조작을 행하고 나서 엔진(11)이 기동하면 예상되는 경과 시간 보다 긴 시간이 채용된다. 엔진(11)이 기동 조작 시점으로부터 설정 시간 t0에 달할 때 까지는 전자 클러치(35)가 차단 상태에 놓인다. 설정 시간 t0를 적정하게 설정함으로써, 엔진(11)이 실제로 기동할 때 까지 확실하게 비스커스 히터(22)를 운전시키지 않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제7도 및 제8도을 기초로 하여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7도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부에는 같은 부호를 붙였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냉각 팬(15), 냉각 팬(19), 냉각 팬(23) 및 전자 클러치(35)에 대한 통전 제어가 모두 보조 난방 제어부(43)에 의해 행해진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냉각 팬(19)에 대해 통전하는 경우에는 주 난방 장차로부터의 난방이 되기 때문에 이 경우의 통전을 주 통전이라고 호칭한다. 또, 전자 클러치(35) 및 냉각 팬(23)에 대해 통전하는 경우에는 보조 난방 장치로부터의 난방이 되기 때문에 이 경우의 통전을 부통전이라고 호칭한다. 보조 난방 제어부(43)에는 온도 센서(17) 및 난방 스위치(44)가 접속되어 있다. 보조 난방 제어부(43)는 온도 센서(17)로부터 얻어지는 수온 검출 정보를 기초로 하여 냉각 팬(15)의 작동을 제어한다. 보조 난방 제어부(41)는 보조 난방 스위치(39)의 ON 상태일 때에만 전자 클러치(35), 냉각 팬(23) 및 냉각 팬(19)에 대해 제어 가능 상태로 된다.
제8도은 보조 난방 제어부(43)에 있어서의 전자 클러치(35)의 냉각 팬(23) 및 냉각 팬(19)에 대한 통전 제어를 표시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이 플로우차트에서 도시되는 루틴에서는 보조 난방 스위치(39)가 ON 상태에 있을 때 엔진(11)을 기동하는 조작이 행해진다.
스텝 401에서 보조 난방 제어부(43)는 엔진(11)의 회전수 Nx가 설정 회전수 No에 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스텝 401에서 예라고 판단되면 스텝 402에서 보조 난방 제어부(43)는 전자 클러치(35) 및 냉각 팬(23)에 대해 부통전을 한다. 이어서, 스텝 403에서 다시 보조 난방 제어부(43)는 엔진(11)의 회전수 Nx가 설정 회전수 No를 상회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일단 전자 클러치(35) 및 냉각 팬(23)에 대해 통전된 후에 엔진(11)의 회전이 변동하는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스텝 403에서 예라고 판단된 경우, 스텝 404로 이행한다. 한 편, 스텝 403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엔진(11)의 회전수 Nx가 설정 회전수 N0를 하회하였다고 하여 스텝 405에서 전자 클러치(35) 및 냉각 팬(23)에 대한 통전이 정지된다.
스텝 404에서 보조 난방 제어부(43)는 온도 센서(17)에 의해 검출된 수은 Tx가 미리 설정된 수온 T0에 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스텝 404에서예라고 판단된 경우, 즉 온도 센서(17)에 의해 검출된 수온 Tx가 설정 수온 T0에 달한 경우에는 스텝 406에서 보조 난방 제어부(43)는 부통전을 정지한다. 한 편, 스텝 404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부통전을 계속한다.
이어서, 스텝 407에서 보조 난방 제어부(43)는 냉각 팬(19)에 대해 주통전을 행한다. 이 주통전의 실행에 의해 냉각 팬(19)이 작동한다. 이어서 스텝 408에서 다시 보조 난방 제어부(43)는 엔진(11)의 회전수 Nx가 설정 회전수 N0를 상회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스텝 408에서 예라고 판단된 경우, 보조 난방 제어부(43)는 주통전의 실행을 계속한다. 한 편, 스텝 408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된 경우, 예를 들면 엔진(11)의 작동을 정지하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스텝 409에서 보조 난방 제어부(43)는 냉각 팬(19)에 대해 주통전을 정지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난방 스위치(44)가 ON 상태에 있으면, 난방 작용이 보조 난방 장치로부터 주난방 장치로 자동적으로 절환되고, 난방 작용을 보조 난방 장치로부터 주 난방 장치로 절환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다음에, 제9도 및 제10도를 기초로 하여 제5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9도에 있어서 제4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부에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였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부수로(132), 방열기(16), 냉각 팬(19)이 없는 것이 제4 실시 형태와는 다르다. 난방 제어부(45)가 전자 클러치(36) 및 냉각 팬(23)에 대한 통전 제어를 행한다. 온도 센서(17)는 수온 검출 정보를 난방 제어부(45)로 출력한다. 난방 제어부(45)는 난방 스위치(44)가 ON 상태일 때에만 제어 가능해진다.
제10도은 난방 제어부(45)에 있어서의 전자 클러치(35) 및 냉각 팬(23)에 대한 통전 제어를 표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 플로우차트에 도시된 루틴에서는 보조 난방 스위치(39)가 ON 상태일 때 엔진(11)을 기동하는 조작이 행해진다.
스텝 501에서 보조 난방 제어부(43)는 엔진(11)의 회전수 Nx가 설정 회전수 N0에 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스텝 501에서 예라고 판단되면 스텝 502에서 난방 제어부(45)는 전자 클러치(35) 및 냉각 팬(23)에 대해 통전을 한다. 이어서, 스텝 503에서 다시 난방 제어부(45)는 엔진(11)의 회전수 Nx이 설정 회전수 N0를 상회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즉, 일단 전자 클러치(35) 및 냉각 팬(23)에 대해 통전된 후에 엔진(11)의 회전이 변동하는 경우를 고려한 것이다. 스텝 503에서 예라고 판단된 경우, 스텝 504로 이행한다. 한 편, 스텝 503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엔진(11)의 회전수 Nx가 설정 회전수 N0를 하회하였다고 하여 스텝 505에서 전자 클러치(35) 및 냉각 팬(23)에 대한 통전이 정지된다.
스텝 504에서 난방 제어부(45)는 온도 센서(17)에 의해 검출된 수온 Tx가 미리 설정된 수온 T0에 달하였는지를 판단한다. 스텝 504에서 예라고 판단된 경우, 즉 온도 센서(17)에 의해 검출된 수온 Tx가 설정 온도 T0에 달한 경우에는 스텝 506에서 난방 제어부(45)는 전자 클러치(35)에 대한 통전을 정지한다. 한 편, 스텝 504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부통전을 계속한다.
이어서, 스텝 507에서 다시 난방 제어부(45)는 엔진(11)의 회전수 Nx가 설정 회전수 N0를 상회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스텝 507에서 아니오라고 판단된 경우, 예를 들면 엔진(11)의 작동을 멈추는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스텝 508에서 난방 제어부(45)는 냉각 팬(23)에 대한 통전을 정지한다.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방열기(21) 및 냉각 팬(23)은 보조 난방 장치의 일부 및 주 난방 장치의 일부의 양방을 겸하고 있으며, 난방 스위치(44)가 ON상태에 있으면, 난방 작용이 보조 난방 장치로부터 주 난방 장치로 자동적으로 절환된다. 따라서, 난방 작용을 보조 난방 장치로부터 주 난방 장치로 절환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방열기(21) 및 냉각 팬(23)은 보조 난방 장치의 일부 및 주 난방 장치의 일부의 양쪽을 겸한 구성에서는 난방 장치 전체가 간소해지며, 비용면에서도 유리하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는 기어 펌프 히터, 소용돌이 전류 히터 등의 차량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 작동하는 보조 난방 장치를 이용한 차량에 적용해도 좋다.

Claims (13)

  1. 엔진에 의해 가열된 냉각수를 이용하여 차량 내의 난방을 행하는 주 난방 장치와, 이 주 난방 장치와는 별도로 엔진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엔진 냉각수를 가열하고 차실내의 난방을 행하는 보조 난방 장치를 구비한 차량에서 상기 보조 난방 장치의 제어를 하는 보조 난방 장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엔진의 기동시에 엔진으로부터 보조 난방 장치에의 구동력의 전달을 차단하는 공정과, 엔진의 기동시에 엔진으로부터 보조 난방 장치에의 구동력의 전달을 허용하는 공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난방 장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엔진의 기동 후에 있어서 엔진의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회전수에 달하기까지는 상기 구동력의 전달을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난방 장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엔진의 기동 후에 있어서 엔진의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회전수에 달한 후, 소정 기간이 경과하기까지는 상기 구동력의 전달을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난방 장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엔진의 기동 조작이 행해진 것을 표시하는 기동 신호가 출력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할 때 까지 상기 구동력 전달 경로 상에서의 상기 구동력의 전달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난방 장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난방 장치는 점성 유체를 교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비스커스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난방 장치 제어 방법.
  6. 엔진에 의해 가열된 냉각수를 이용하여 차량 내의 난방을 행하는 주 난방 장치와, 이 주 난방 장치와는 별도로 엔진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엔진 냉각수를 가열하고 차실내의 난방을 행하는 보조 난방 장치와, 이 보조 난방 장치를 제어하는 보조 난방 제어 장치를 구비한 차량의 보조 난방 제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의 구동력을 부하에 전달하기 위한 구동력 전달 수단과, 상기 엔진의 기동을 검출하는 기동 검출 수단과, 상기 구동력 전달 수단을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동 전달 상태와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차단 상태로 절환 제어하는 절환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절환 제어 수단은 엔진 기동시에 있어서 이 구동력 전달 수단을 차단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난방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동 검출 수단은 차량 엔진의 회전수를 검출하여 기동한 것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난방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 수단은, 통전에 의해 구동력 전달 상태가 되는 전자 클러치이며, 엔진 기동시에는 상기 전자 클러치에의 통전을 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난방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난방 장치는 점성 유체를 교반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비스커스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난방 제어 장치.
  10. 제6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제어 수단은 상기 기동 검출 수단이 검출한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회전수에 달한 후에 구동력 전달 수단을 차단 상태로부터 전달 상태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난방 제어 장치.
  11.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제어 수단은 상기 기동 검출 수단이 검출한 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회전수에 달하고 나서 소정 기간이 경과한 후에 구동력 전달 수단을 차단 상태로부터 전달 상태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난방 제어 장치.
  12.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조 난방 장치의 운전 제어 장치에 있어서, 차량 엔진의 기동 조작을 행하였음을 표시하는 기동 신호를 출력하는 기동신호 발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절환 제어 수단은 상기 기동 신호가 출력되고 나서 미리 설정된 시간의 경과 후에 구동력 전달 수단을 차단 상태로부터 전달 상태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난방의 운전 제어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스커스 히터는 점성 유체와 함게 로우터 요소를 내포하는 발열실과, 상기 냉각수가 순환 도입되고, 발열실의 발생열을 상기 냉각수에 전달하는 수열실과, 상기 발열실과 수열실을 형성하는 하우징 조리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 난방 제어 장치.
KR1019970012720A 1996-04-08 1997-04-07 보조 난방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KR100203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8540696A JP3215795B2 (ja) 1996-04-08 1996-04-08 車両における補助暖房装置の運転制御方法及び装置
JP96-85406 1996-04-08
JP96-854060 1996-04-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442A KR970069442A (ko) 1997-11-07
KR100203005B1 true KR100203005B1 (ko) 1999-06-15

Family

ID=13857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720A KR100203005B1 (ko) 1996-04-08 1997-04-07 보조 난방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29675A (ko)
EP (1) EP0800941B1 (ko)
JP (1) JP3215795B2 (ko)
KR (1) KR100203005B1 (ko)
CN (1) CN1103703C (ko)
CA (1) CA2202022C (ko)
DE (1) DE6972314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982A (ko) * 2002-05-15 2003-11-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난방 시스템의 보조 히터
CN100473555C (zh) * 2004-02-26 2009-04-01 万泰克有限公司 车辆辅助加热系统
US7735744B2 (en) * 2004-03-11 2010-06-15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Control of coolant flow rate for vehicle heating
DE102004034243A1 (de) * 2004-07-15 2006-02-09 Webasto Ag Kraftfahrzeugheizung sowie Verfahren zum Einschalten derselben
JP4459046B2 (ja) * 2004-12-27 2010-04-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8480006B2 (en) * 2006-09-08 2013-07-09 Ventech, Llc Vehicle supplemental heating system
US7686146B2 (en) * 2006-09-27 2010-03-30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Combination viscous fan drive and viscous heat device
US9228760B2 (en) 2012-04-27 2016-01-05 Mac, Inc. Flameless heating system
US9682608B2 (en) * 2013-01-30 2017-06-20 Hanon Systems Supplemental heating and cooling sources for a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
US9995508B2 (en) * 2014-11-18 2018-06-12 Multitek North America, Llc Systems for heating water used in hydraulic fracturing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31903A1 (de) * 1982-08-27 1984-03-01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Heizeinrichtung
JPS60113722A (ja) * 1983-11-26 1985-06-20 Mazda Motor Corp 暖房装置
JPS60138822A (ja) * 1983-12-27 1985-07-23 Hitachi Ltd 含浸形陰極
JPS6130884A (ja) * 1984-07-23 1986-0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セグメント式vtr用シリンダ
FR2585635B1 (fr) * 1985-07-30 1987-11-13 Valeo Generateur de chaleur pour vehicule automobile
FR2593750B1 (fr) * 1986-02-03 1989-10-27 Valeo Generateur de chaleur a friction,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JP2712510B2 (ja) * 1989-03-21 1998-02-1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暖房装置
JP2712516B2 (ja) * 1989-03-28 1998-02-1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暖房装置
JPH07115581B2 (ja) * 1989-07-25 1995-12-13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暖房装置
US5063513A (en) * 1990-06-15 1991-11-05 Nartron Corporation Vehicle preheater control
JP3116589B2 (ja) * 1992-09-16 2000-12-1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暖房装置
DE4420841A1 (de) * 1994-06-15 1995-12-21 Hans Dipl Ing Martin Heizvorrichtung für Kraftfahrzeu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15795B2 (ja) 2001-10-09
JPH09272326A (ja) 1997-10-21
EP0800941A3 (en) 1999-06-09
CN1103703C (zh) 2003-03-26
CN1174787A (zh) 1998-03-04
EP0800941B1 (en) 2003-07-02
US5829675A (en) 1998-11-03
DE69723142D1 (de) 2003-08-07
EP0800941A2 (en) 1997-10-15
CA2202022A1 (en) 1997-10-08
CA2202022C (en) 2000-09-26
KR970069442A (ko) 1997-11-07
DE69723142T2 (de) 200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3293A (en) Hydrodynamic device
KR100305979B1 (ko) 유체의 가열 압송 장치
RU2410247C2 (ru) Вспомогательная нагрева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0203005B1 (ko) 보조 난방 장치 제어 방법 및 제어 장치
EP1847698B1 (en) Pre-heating of a liquid in an aircraft reservoir
JP4078742B2 (ja) 車輌用暖房装置
US5906177A (en) Vehicle heating system
JPH07115581B2 (ja) 車両用暖房装置
JPH0692134A (ja) 車両用暖房装置
US7686146B2 (en) Combination viscous fan drive and viscous heat device
JPH11263117A (ja) 車両用補助暖房装置
JPH10297265A (ja) 車両用暖房装置
JPH10175419A (ja) 車両用暖房装置
JP3175734B2 (ja) 車両用暖房装置
JP2023114040A (ja) 電動車両
JP3934398B2 (ja) 車両用暖房装置
US6227452B1 (en) Combined assembly for a power steering pump and a viscous heater
JP3832708B2 (ja) ウォータポンプの駆動装置
KR200178385Y1 (ko) 차실 공기 배출 시스템
KR20030018572A (ko) 차량용 라디에이터의 바람유입장치
KR19980053078A (ko) 차량용 라디에이터 냉각팬 제어장치
JPH09315133A (ja) 車両用暖房装置
JP2000225830A (ja) マグネット式ヒーターシステム
JPH10203142A (ja) 車両用暖房装置
JP3656672B2 (ja) 車両用暖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04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04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3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