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202143B1 -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원격제어에 의한 송신측 전화번호 안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원격제어에 의한 송신측 전화번호 안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143B1
KR100202143B1 KR1019960057213A KR19960057213A KR100202143B1 KR 100202143 B1 KR100202143 B1 KR 100202143B1 KR 1019960057213 A KR1019960057213 A KR 1019960057213A KR 19960057213 A KR19960057213 A KR 19960057213A KR 100202143 B1 KR100202143 B1 KR 100202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number
remote control
voice
answering machine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7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8330A (ko
Inventor
류영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57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2143B1/ko
Publication of KR19980038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8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
본 발명은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원격제어에 의한 송신측 전화번호 안내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
종래에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방법과 송신측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방법은 구현되어 있었으나 저장된 송신측 전화번호를 안내하는 방법은 구현되어 있지 않았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
자동응답전화기에 저장된 송신측 전화번호를 원격 제어에 따라 선택하여 자동응답기를 이용하여 음성으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방법.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
자동응답전화기.

Description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원격제어에 의한 송신측 전화번호 안내방법
본 발명은 원격 제어에 의해 전화기에 수신된 전화번호를 안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원격 제어에 따라 전화기에 수신된 전화번호를 음성으로 안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신된 전화번호라 함은 외부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전화번호를 말한다. 상기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방법은 통상적으로 2가지의 방법이 있다. 첫 번째는 외부 사용자로부터 전화번호를 DTMF 신호로 제공받아 저장하는 방법과, 두 번째는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송신측 식별코드(caller ID)를 통해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방법이 있다.
종래 원격지에서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방법은 자동응답전화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방법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경우 자동응답전화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직접 전화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이름을 음성으로 녹음하여 두고 외부로부터 확인 요구가 있을 경우 상기 녹음된 전화번호와 이름을 음성으로 송출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사용자에 의해 정의된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방법과 송신측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방법은 구현되어 있었으나 저장된 송신측 전화번호를 안내하는 방법은 구현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외출중에 수신된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없어 수신된 전화가 급한 용건의 전화일 경우 신속하게 수신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격 제어에 의해 수신된 전화번호를 음성으로 송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격 제어에 의해 전화번호가 수신된 수신 시각을 음성으로 송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응답전화기의 블럭 구성도.
도 2는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자동응답전화기에 구비된 극성반전검출기 회로도.
도 3은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자동응답전화기에 구비된 선로차단검출기 회로도.
도 4a,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신되는 전화번호 데이터 전송 포맷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신된 전화번호가 저장된 메모리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동응답전화기의 제어 흐름도.
도 7은 도 6의 전화번호 송출모드에 따른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송신측 전화번호를 저장하는 전화기의 구성은 도 1도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을 참조하여 구성을 설명하면, 제어부(10)는 메모리(32)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전화기의 전반적 동작을 제어한다. 통화회로부(14)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각종 톤신호, 링신호 및 통화 음성신호등을 인터페이싱한다. 훅크릴레이(H/S)는 송수화기의 들림에 의해 기계적 동작하여 상기 통화회로부(14)와 전화라인 간에 통화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한다. 통화릴레이(12)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상기 통화회로부(14)와 전화라인 간에 통화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한다. 송수화부(16)는 가입자로부터 발생되는 음성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는 송화기와, 전기적인 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가청음을 발생하는 수화기로 구성된다. DTMF발생부(18)는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DTMF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통화로부(14)로 송출한다. 톤검출부(20)는 상기 통화회로부(114)를 통해 수신되는 송신측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DTMF신호 등 톤신호를 소정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에 제공한다. 링검출부(22)는 상기 훅크릴레이(H/S)로 인입되는 전화라인에 접속되며, 상기 전화라인을 통해 수신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0)에 제공한다. 극성반전검출기(24)는 상기 훅크릴레이(H/S)로 인입되는 전화라인에 접속되며,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의 극성이 반전되는 것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0)에 극성반전 검출신호를 제공한다. 선로차단검출기(26)는 상기 훅크릴레이(H/S)로 인입되는 전화라인에 접속되며,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의 차단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0)에 선로차단 검출신호를 제공한다. 상기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신호는 상기 교환기의 종류에 의해 결정되는데 상기 교환기의 종류는 극성반전형 교환기와 라인절체형 교환기가 있다. 표시부(28)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전화기의 현재 동작 상태를 표시한다. 키입력부(30)는 전화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눌리는 키에 따라 키 명령어 및 키 데이타를 발생한다. 상기 메모리(32)는 제어 프로그램과 전화기의 동작에 따른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데이터는 수신되는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타이머(34)는 상기 제어부(10) 내부에 구비되며, 소정 클럭을 카운팅하여 현재시각을 체킹한다. 자동응답기(36)는 음성처리부(40), 코덱(38), 음성메모리부(42), 숫자메모리부(44)로 구성되어 음성메세지를 녹음 및 재생한다. 상기 음성처리부(40)는 코덱(38)으로 입, 출력되는 디지털신호를 2진 부호화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한다. 상기 음성처리부(40)는 내부에 상기 제어부(10)에서 제공되는 숫자데이타를 저장하는 램을 가지고 있다. 음성메모리부(42)는 상기 음성처리부(40)로부터 디지털 신호 처리되어 제공되는 데이타를 저장한다. 상기 숫자메모리부(44)는 숫자 데이터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며, 상기 음성처리부(40)의 요구에 따라 숫자 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 도 1의 전화기에 구비된 극성반전검출기(24)의 구성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2를 참조하여 구성을 설명하면, 전화라인의 팁(Tip)단은 저항(R3)을 통해 비교기(240)의 비반전단(+)에 접속되며, 링(Ring)단은 저항(R1)을 통해 상기 비교기(240)의 반전단(-)에 접속된다. 상기 비반전단(+)과 접지 사이에는 저항(R4), 캐페시터(C2) 및 제너다이오드(ZD2)가 병렬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반전단(-)과 접지 사이에는 저항(R2), 캐페시터(C1) 및 제너다이오드(ZD1)가 병렬로 접속된다.
상기 도 1의 전화기에 구비된 선로차단검출기(24)의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을 참조하여 구성을 설명하면, 전화라인의 링(Ring)단과 팁(Tip)단 사이에 구비된 하이브리드회로의 출력단에 저항 R5와 R6이 연결된다. 상기 저항 R5와 R6 사이에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단이 접속되며, 상기 Q1의 콜랙터단에는 바이어스 전압 Vcc가 R7을 통해 공급된다. 상기 Q1의 에미터단은 접지되며, 상기 콜랙터단으로는 선로차단 검출신호가 출력된다.
도 4a는 송신측 전화번호 데이터가 기록된 전송 포맷을 보여주고 있으며, 도 4b는 송신측 전화번호가 기록된 전송 포맷의 일 실시 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수신된 송신측 전화번호가 기록되는 메모리(32)의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송신측 전화번호는 수신되는 순서에 대응하여 지정되는 인덱스에 지정되며, 상기 송신측 전화번호와 함께 수신 시각이 기록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송신측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원격 제어에 따라 상기 저장된 송신측 전화번호를 송출하기 위한 수행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수행과정을 설명하면, 극선 반전 또는 신호차단 검출신호가 검출되면 수신루프를 형성한 후 수신되는 송신측 전화번호와 함께 수신시각을 저장하는 과정과, 설정횟수의 링음이 발생될 때 까지 훅크-오프 되지 않으면 자동응답모드로 전환하여 OGM을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OGM에 응답하여 비밀번호가 수신되면 원격제어에 따라 저장된 송신측 전화번호와 수신시각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7은 도 6의 전화번호 송출모드 수행과정을 위한 서브루틴으로 원격지로부터 수신되는 검색키의 입력에 따라 송신측 전화번호를 선택하여 선택된 전화번호와 수신시각을 음성으로 송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원격지에서 송신측 전화번호를 확인하는 과정을 상술한 구성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110단계∼122단계로 이루어진 송신측 전화번호 기록과정을 설명하면, 제어부(10)는 대기상태(110단계)에서 극성반전 또는 신호차단 검출신호가 입력되는 가를 112단계에서 감지한다. 상기 극성반전 검출신호는 극성반전검출기(24)를 통해 검출되며, 상기 선로차단 검출신호는 선로차단검출기(26)에 의해 검출된다.
극성반전형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극성반전신호를 검출하는 상기 극성반전검출기(24)의 동작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극성반전형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약 48V)의 극성이 반전되면 비교기(46)의 반전단과 비반전단으로 입력되는 전압 레벨이 변환되므로 상기 비교기(46)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변환되게 된다. 즉, 하이(high)상태에서 로우(low)상태로 변환되거나 반대로 로우(low)상태에서 하이(high)상태로 변환되는 것을 말한다. 극선 반전으로 인해 상기 비교기(46)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신호가 극성반전 검출신호로 사용된다.
또한, 라인절체형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차단신호를 검출하는 상기 선로차단검출기(26)의 동작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라인절체형 교환기로부터 제공되는 전압(약 48V)이 소정 시간 차단되면 저항 R6에 분압되는 전압이 Q1을 턴온 시키기 위한 전압 이하로 떨어지므로 상기 Q1이 소정 시간 턴-오프 된다. 상기 Q1의 턴-오프로 인해 콜렉터단으로 출력되는 상기 선로차단 검출신호는 소정 시간 로우(low)에서 하이(high)로 변환된다.
상술한 동작에 의해 극성 반전 또는 선로차단 검출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10)는 11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0)는 114단계로 진행되면 통화스위치(12)를 제어하여 수신루프를 형성한 후 116단계에서 상기 형성된 수신루프를 통해 송신측 전화번호를 수신한다. 상기 송신측 전화번호는 도 4a의 구조를 가지는 전송 포맷으로 수신되며, 상기 수신된 송신측 전화번호는 118단계에서 메모리(32)에 도 5의 형태로 수신 시각과 함께 저장된다. 상기 수신 시각은 제어부(10) 내부에 구비된 타이머(34)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수신되는 송신측 전화번호는 DTMF신호 또는 기타 부호화된 신호로 전송된다.
상술한 송신측 전화번호 기록과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는 120단계∼138단계를 통해 원격제어과정 또는 음성통화과정을 수행한다. 상기 송신측 전화번호의 기록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는 120단계로 진행하여 착신 링음을 발생한 후 122단계에서 표시부(28)에 상기 저장된 송신측 전화번호와 수신 시각을 표시한다. 상기 착신 링음에 응답하여 126단계에서 훅크-오프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는 128단계로 진행하여 통상적인 통화모드를 수행한다. 한편, 124단계에서 설정된 횟수의 링음이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때 까지 훅크-오프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는 13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0)는 130단계로 진행되면 자동응답기(36)를 제어하여 안내메세지(OGM)를 송출한다. 예컨대, 상기 안내메세지(OGM)는 자동응답모드가 설정되었음을 알리는 안내메세지와, 자동응답모드에서 수행될 수 있는 모드를 알리는 안내메세지로 구성된다. 상기 안내메세지(OGM)에 응답하여 입력되는 원격지로부터 수신되는 비밀번호가 134단계에서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는 13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0)는 136단계로 진행되면 전화번호 송출모드를 수행한다. 상기 비밀번호는 원격지의 상대측으로부터 수신되는 DTMF신호이며, 상기 수신되는 DTMF신호는 톤검출부(20)에 의해 검출되어 상기 제어부(10)에 제공된다. 상기 비밀번호는 원격제어모드를 설정하는 신호와 전화번호 송출을 요구하는 신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비밀번호의 설정은 사용자가 전화기에 구비된 키입력부(30)를 조작하여 설정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비밀번호 설정과정은 기능키→1→비밀번호→기억키의 순으로 키를 조작하므로써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전화번호 송출모드가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10)는 138단계로 진행하여 대기상태로 전환한다.
다음으로 상기 전화번호 송출모드의 서브루틴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어부(10)는 도 6에 따른 단계를 수행중 전화번호 송출모드가 설정되면 자동응답기(36)를 제어하여 안내메세지(OGM)를 송출한다. 상기 송출되는 안내메세지는 현재까지 기록된 송신측 전화번호의 개수를 알리는 음성메세지를 말한다. 상기 안내메세지의 송출은 상기 제어부(10)가 음성처리부(40)로 총 기록된 송신측 전화번호 개수에 해당하는 숫자를 제공한다. 상기 음성처리부(40)는 상기 제공된 숫자에 대응되는 음성 데이터를 숫자메모리부(44)로부터 읽어들여 음성메모리(42)로부터 읽어들인 안내메세지와 믹싱하여 코덱(38)으로 전송한다.예컨대, 상기 안내메세지가 기록된 전화번호가 9개입니다.일 경우 상기 음성메모리(42)로부터 기록된 전화번호가 개입니다.라는 기본 메시지에 상기 숫자메모리(44)로부터 읽어들인 9라는 음성을 믹싱하므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기록된 전화번호의 개수를 안내한 후 상기 제어부(10)는 212단계, 214단계 및 216단계에서 원격지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가 있는 가를 톤검출부(20)를 통해 감지한다. 만약, 상기 212단계에서 다음 송신측 전화번호 송출 요구(FF) 신호(예 1번키)가 톤검출부(20)를 통해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10)는 21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0)는 218단계로 진행되면 자동응답기(36)를 제어하여 다음 송신측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음성 안내메세지를 송출한다. 하지만 상기 입력된 신호가 최초 입력된 제어신호인 경우에는 최초 기록된 전화번호를 송출한다. 또한, 214단계에서 앞 송신측 전화번호 송출 요구(REW) 신호(예 2번키)가 톤검출부(20)를 통해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10)는 23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10)는 230단계로 진행되면 상기 자동응답기(36)를 제어하여 앞 송신측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음성 안내메세지를 송출한다. 상기 218단계와 220단계에서 수행되는 송신측 전화번호의 송출동작은 상기 제어부(10)가 자동응답기(36)를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송신측 전화번호 송출동작을 설명하면, 제어부(10)는 원격 제어신호에 의해 송출하고자 하는 송신측 전화번호를 도 5 형태를 가지는 메모리(32)로부터 읽어들인다. 만약, 인덱스 2에 해당하는 송신측 전화번호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0)는 전화번호 03485437653과 수신 시각 09-23-11-01을 메모리(32)로부터 읽어들인다. 제어부(10)는 상기 읽어들인 전화번호와 수신 시각에 해당하는 숫자 데이터를 상기 음성처리부(40)에 제공한다. 상기 음성처리부(40)는 상기 210단계에서 수행된 동작과 동일한 단계를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안내메세지는 상기 음성메모리(42)로부터 읽어들인 전화번호 번은 월 일 시 분에 수신되었으며, 전화번호는 입니다.라는 기본 메시지와 상기 숫자메모리(44)로부터 읽어들인 09-23-11-01라는 수신 시각 음성 및 03485437653라는 전화번호를 믹싱하여 전화번호 2번은 9월 23일 11시 1분에 수신되었으며, 전화번호는 03485437653입니다.라는 음성메세지가 된다.
상기 210단계, 218단계 및 220단계에서 송출되는 음성 안내메세지의 믹싱은 제품에 적용되고 있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외출시 원격 제어를 이용하여 집에 걸려온 전화번호와 수신 시각을 음성메세지로 확인 할 수 있어 급한 용무 또는 신속한 정보 교환이 가능하며, 자동응답전화기의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극성반전검출기 또는 선로차단검출기와, 톤검출부와, 송신측 전화번호를 기록하는 메모리와 자동응답기를 구비한 전화기에서 송신측 전화번호를 송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극성반전 검출신호 또는 선로차단 검출신호가 감지되면 수신루프를 형성하여 송신측 전화번호를 수신하여 기록하는 송신측 전화번호 기록과정과, 설정 횟수의 링이 발생되면 자동응답모드로 전환하여 원격 제어를 위한 비밀번호를 수신하는 비밀번호 수신과정과, 원격 제어를 위한 비밀번호가 수신되면 원격제어를 안내하는 음성안내메세지를 송출하는 원격제어 안내과정과, 상기 안내메세지에 응답하여 원격지로부터 수신되는 원격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기록된 송신측 전화번호 중 특정 송신측 전화번호를 선택하는 전화번호 선택과정과, 상기 선택된 송신측 전화번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송출하는 전화번호 송출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원격제어에 의한 송신측 전화번호 안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측 전화번호 저장과정에서 수신된 송신측 전화번호와 수신 시각을 표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원격제어에 의한 송신측 전화번호 안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화번호 송출과정에서 음성으로 송출되는 송신측 전화번호와 함께 수신 시각을 음성으로 송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원격제어에 의한 송신측 전화번호 안내방법.
KR1019960057213A 1996-11-25 1996-11-25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원격제어에 의한 송신측 전화번호 안내방법 KR100202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213A KR100202143B1 (ko) 1996-11-25 1996-11-25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원격제어에 의한 송신측 전화번호 안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7213A KR100202143B1 (ko) 1996-11-25 1996-11-25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원격제어에 의한 송신측 전화번호 안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330A KR19980038330A (ko) 1998-08-05
KR100202143B1 true KR100202143B1 (ko) 1999-06-15

Family

ID=1948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7213A KR100202143B1 (ko) 1996-11-25 1996-11-25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원격제어에 의한 송신측 전화번호 안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21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993A (ko) * 2001-08-31 2001-09-29 안명훈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유무선전화기의 시계기능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8330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2202A (en) Telephone call selector
KR100202143B1 (ko)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원격제어에 의한 송신측 전화번호 안내방법
KR100202144B1 (ko) 전화기에 수신된 전화번호 확인장치 및 방법
JPH06232962A (ja) 移動通信端末装置
KR930009849B1 (ko) 부재시 수신 다이얼 디지트를 저장하는 전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333882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側通信機器および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相手通信機器
KR100405591B1 (ko) 게이트웨이 기능을 가진 인터넷폰 교환장치
JPS60117951A (ja) 留守番電話装置
JP2954957B2 (ja) リダイアル機能付きファクシミリ装置
JP3389733B2 (ja) 電話機
KR0128239B1 (ko) 발신자 정보를 기록하는 자동 응답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247992A (ja) ボタン電話装置
KR970011424B1 (ko) 자동응답장치의 호출 자동 전환 방법
JPH0215151B2 (ko)
KR100518173B1 (ko) 씨아이디 기능이 있는 자동 응답 전화기에서의 음성메시지선택적 재생 방법
KR19980047471A (ko)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음성인식을 통한 원격 제어방법
KR100498913B1 (ko) 키폰시스템에서 다이얼톤 안내 방법
KR19980066573A (ko) 지정시간 호출방법
KR970060835A (ko) 원격 지시에 의한 팩스메세지 중계 방법
JPH01177255A (ja) 簡易交換機
KR19980035372A (ko) 자동 연속 재다이얼 기능을 갖춘 통신단말기
JPS6342551A (ja) デジタル電話機
KR19980050395A (ko) 자동 응답기능을 갖는 전화기에서 무선호출기로 녹음 갯수를 송출하는 방법
KR19990000365A (ko) 자동응답기에서 음성메세지 녹음방법
KR19980020513A (ko) 자동응답전화기에서 원격제어에 의한 전화번호 안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1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3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4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