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195824B1 - 레버 스위치 - Google Patents

레버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824B1
KR100195824B1 KR1019960039193A KR19960039193A KR100195824B1 KR 100195824 B1 KR100195824 B1 KR 100195824B1 KR 1019960039193 A KR1019960039193 A KR 1019960039193A KR 19960039193 A KR19960039193 A KR 19960039193A KR 100195824 B1 KR100195824 B1 KR 100195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ece
lever
fixed
hinge
piece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츠네스케 다카노
Original Assignee
츠네스케 다카노
다이이치 덴소 부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2556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82178A/ja
Priority claimed from JP727204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992088A/ja
Application filed by 츠네스케 다카노, 다이이치 덴소 부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츠네스케 다카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82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36Driving mechanisms
    • H01H21/50Driving mechanisms with indexing or latching means, e.g. indexing by ball and spring; with means to ensure stopping at intermediate operative positions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레버 스위치에 있어서 조작 레버의 전환 절도 감각, 즉 클릭 액션을 확실하게 또한 염가로 얻는 것으로 플라스틱 성형한 절연성의 기판(1)의 일면에 대향벽(2, 3)을 형성하고 이들 각 벽의 내면과 조작 레버(6)의 양측부의 힌지편(5, 5)을 힌지 기구로 선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조작 레버(6)의 하부에 한쌍의 접점부(9a, 9a)를 가지는 탄성 도체로 U자 형상으로 만든 가동 접편(9)을 장착하고, 또한 이 가동 접편(9)을 끼고 상기 대향벽(2, 3)에 각각 연장 형성한 고정 접편 지지벽부(2A, 3A)를 가지며 한쪽의 고정 접편 지지 벽부(2A)의 내면에는 한 개의 고정 접편(10)을 배치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고정 접편 지지 벽부(3A)의 내면에는 한 개 또는 복수의 고정 접편(11)을 배치하고 이후의 이들 각 고정 접편(10, 11)은 상기 고정 접편 지지 벽부(2A, 3A)의 외부로 이끌어 내어 배전 부재의 일부로 한 레버 스위치에 있어서; 한쪽의 고정 접편 지지 벽부(2A)의 내면에는 골 부분(10a)을 형성한 폭이 넓은 고정 접편(10)을 배치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고정 접편 지지 벽부(3A)의 내면에는 상기 골 부분(10a)에 대향하는 폭이 좁은 고정 접편(11, 11)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레버 스위치이다.

Description

레버 스위치
제1a도는 본 발명의 레버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제1b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레버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제2a도 및 제2b도는 본 발명의 레버 스위치의 조립 중과 조립 후의 종단 입면도.
제2b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레버 스위치의 조립 이후의 종단 입면도.
제3a도 및 제3b도는 본 발명의 레버 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4a도 및 제4b도는 본 발명의 레버 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5a도 및 제5b도는 본 발명의 레버 스위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2, 3 : 대향벽
2A, 3A : 지지판 4 : 힌지 구멍(힌지 오목부)
5 : 힌지편 5a : 힌지 보스(hinge boss)
6 : 조작 레버 9 : 가동 접편
10, 11 : 고정 접편 10a, 11a : 도통부
[발명이속하는기술분야및그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자동차의 룸 램프 등의 스위치에 적합한 레버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레버 스위치로서는 종래 예컨대 일본 실용 공개 공보 제 90-145,742 호 및 그것에 대응하는 미국 특허 제 5,099,095 호와 기타 미국 특허 제 4,272,662 호, 제 4,778,964 호, 제 3,858,012 호 및 제 4,000,383 호에 개시되었다.
미국 특허 제 5,099,095 호는 본원 발명자의 출원에 관한 것이며, 그 기본 축원은 상기 일본 실용 공개 공보 제 90-145,742 호이다.
이 종래 기술은 플라스틱 성형한 절연성의 기체(기판: base)와 그 기체에 대향 형성한 힌지 보스(hinge boss)와 이것들의 힌지 보스에 쌍을 이루고 힌지편을 그 구멍(오목부)으로 선회 지지(pivot)한 조작 레버와, 이 조작 레버의 하부에 형성한 구멍(오목부)의 하부를 막는 두께가 얇은 교락편(橋絡片: bridging piece)과 이 교락편에 삽입 장착되고 또한 상기 구멍(오목부)에서 대향하는 한쌍의 접점부를 가지는 U자 형상의 가동 접편과 이 가동 접편을 끼고 상기 기체에 부착한 제1고정 접편과 제2고정 접편을 각각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레버 스위치이다.
상기 종래의 기술은 조작 레버를 상기 힌지 보스를 지렛대로서 회동 조작함으로써, 이 조작 레버의 하부 교락편에 삽입 장착한 가동 접편으로 제1고정 접편 및 제2고정 접편 간을 도통시킬 수 있고, 예컨대 직관 램프(直管 램프: a straightube lamp)를 점등시킬 수 있다.
또 조작 레버를 경사지게 움직여서 각 고정 접편간을 비도통으로 함으로써, 예컨대 직관 램프를 소등할 수 있는데, 이 종래 예에서는 조작 레버의 전환 조작에 임하여 그 전환시의 절도감, 즉 일반으로 클릭 액션(click action)이라든가 스냅(snap) 감각이라고 하는 전환 타이밍의 반응을 얻는 수단이 없으므로 미약한 전환 감각밖에 얻어 지지 않으며, 사용에 있어서 불안한 것이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작 레버를 약하게 움직여도 소등이 되어 버리는 문제점도 있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상기의 각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서, 레버 스위치로서의 조작 레버의 전환 조작에 있어서, 그 전환 절도감 즉 클릭 액션을 확실하게 하고, 전환 조작중에 점멸 발생 없이 원활하게 전환이 이루어지게 하고 또한 그 레버 스위치를 염가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플라스틱 성형한 절연성의 기판의 한면에 대향벽(s)을 형성하고 이들 각 벽의 내면과 조작 레버의 양측의 힌지편(s)을 힌지 기구로 선회 지지하는 동시에 상기 조작 레버의 하부에 한쌍의 접점부를 가지는 탄성 도체에 U자 형상으로 만든 가동 접편을 장착하고 또한 이 가동 접편을 끼고 상기 대향벽(s)에 각각 연장 형성하고 고정 접편지지 벽부(s)를 가지며, 한쪽의 고정 접편 지지 벽부의 내면에는 한개의 고정 접편을 배치하는 것과 동시에 다른 쪽의 고정 접편 지지 벽부의 내면에는 한개 또는 복수의 고정 접편을 배치하고 이후의 이들 각 고정 접편은 상기 고정 접편 지지 벽부(s)의 외부로 이끌어 내고, 배전 부재의 일부로 하는 레버 스위치에 있어서; 한쪽의 고정 접편 지지 벽부의 내면에는 골 부분을 형성한 폭이 넓은 고정 접편을 배치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고정 접편 지지 벽부의 내면에는 상기 골 부분에 대향하는 위치에 폭이 좁은 고정 접편을 배치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발명의구성 및 작용]
우선 본 발명의 기봉 형태는 제1a도 및 제2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리 프로필렌이나 ABS 수지 등의 플라스틱으로 이루는 절연 재료로 기판(1)의 윗면에 대향벽(2, 3)을 일체로 형성하고 이들 각 벽의 내면에 대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힌지 보스(41, 41)에 마찬가지로 플라스틱으로 형성한 조작 레버(6)의 힌지편(5, 5)을 닿게 하고, 제2A(a)도와 같이 힌지편(5, 5)을 내측에 휘게 하면서 그 구멍(51a)에 상기 보스를 결합시키고 조작 레버(6)를 상기 대향벽(2, 3)에 제2A(b)도와 같이 선회 지지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b도 및 제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폴리 프로필렌이나 ABS 수지 등의 플라스틱으로 되는 절연 재료로 기판(1)의 윗면에 대향벽(2, 3)을 일체로 성형하고 이들 각벽의 내면에 대향 형성되어 있는 보스 안내 경사면(2a, 3a)에 플라스틱으로 형성한 조작레버(6)에 형성한 힌지편(5, 5)의 힌지 보스(52a, 52a)를 닿게 하고 힌지편(5, 5)을 그 탄력에 대항해서 내측에 휘게 하면서 힌지 보스(52a)를 상기 경사면(2a, 3a)을 거쳐서 대향벽(2, 3)의 힌지 구멍(42, 42)에 결합시켜 조작 레버(6)를 상기 대향벽(2, 3)에 제2b도와 같이 선회 지지한다.
또한 대향벽(2, 3)의 상부를 그 탄력에 대항해서 외측으로 휘게 하면서 조작 레버(6)를 대향벽(2, 3)에 선회 지지하게 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조작 레버(6)에는 미리 그 하부에 형성한 구멍(6a)의 하부를 막는 교락편(6b)의 거의 중앙에 제1a도와 같이 상향 걸림 탭(6c)을 형성하고 있으며, 일 걸림 탭(6c)에 상기 구멍(6a) 내에 대향시킨 한쌍의 접점부(9a, 9a)를 가지는 인청동과 같은 탄성 도체 판으로 U자 형상으로 만든 가동 접편(9)을 그 탄력에 대항하고, 걸림 가장 자리(9b)로 제2a(a)도 및 제2a(b)도와 같이 걸어 맞춤 결합으로 견고하게 구비하고 있다.
또 이 가동 접편(9)을 끼고 상기 대향벽(2, 3)에 각각 제1a도와 같이 일체적으로 연장 형성한 가로로 긴 고정 접편 지지 벽부(2A, 3A) 중 한 쪽의 고정 접편 지지 벽부(2A)의 내면 고정 접편 안내 홈 내에는 골 부분(10a)을 형성한 폭이 넓은 고정 접편(10)을 제2a(b)도 및 제3b도와 같이 배치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고정 접편 지지 벽부(3A)의 내면에는 상기 골 부분(10a)에 대향하는 폭이 좁은 고정 접편(11)을 제2a도 및 제3b도와 같이 배치한다.
상기 폭이 좁은 고정 접편(11)은 스위치 회로에 따라서 갯수를 선택하면 한 개 또는 복수개를 이용한다. 또한 도시한 예는 고정 접편(11)을 두 개 사용한 전환 스위치를 나타냈는데 ON./OFF 스위치로 쓰는 경우는 한 개로 좋다는 것은 말한 것도 없다.
또한 이들 각 고정 접편(10, 11)을 상기 고정 접편 지지 벽부(2A, 3A)의 외부에 제3b도와 같이 이끌어 내어서 이 도출부(10A, 11A)를 일체 연장해서 배전 부재로 한 레버 스위치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이상의 것과 같은 것이고 다음에 본 발명의 레버 스위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레버 스위치의 한 예는 제3도 내지 제5도 까지의 각 도면에 도시하듯이 기판(1)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대향벽(2, 3)에 마주 설치한 힌지 보스(41)에 제2a(b)도와 같이 선회 지지한 한쌍의 힌지편을 가지는 조작 레버(6)를 상기 힌지 보스(41)를 지렛대로 제3도 내지 제4도에 도시하는 상태로 가동 접편(9)의 탄력에 대항해서 회동 조작함으로써 이 조작 레버(6)의 하부 교락편(6b)에 삽입 장착하는 가동 접편(9)으로 폭이 넓은 고정 접편(10)에 대해서 두 개의 폭이 좁은 각 고정 접편(11, 11) 사이를 제3도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제4도에 도시하는 상태로 도통 전환시킬 수 있고, 예컨대 자동차의 실내 램프의 대소 두 개를 전원 라인에 대해서 교대로 도통시켜서 전환 점등시킬 수 있다. 또한 다만 ON/OFF를 목적으로 하는 스위치에 있어서는 폭이 좁고, 각 고정 접편(11)은 한 개만으로 좋고, 폭이 넓은 고정 접편(10)의 골 부분(10a)도 한 개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그리고 이 전환에 있어서는 폭이 넓은 고정 접편(10)의 골 부분(10a)에 가동 접편(9)의 외측이 자기 탄력으로 딱 소리를 내며 떨어져 전환의 절도감 즉, 클릭 액션을 얻을 수 있고, 전환 타이밍을 촉각 또는 클릭음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가동 접편(9)의 한쪽이 접점면이 폭이 넓은 고정 접편(10)의 산의 정상부에 위치할 때, 가동 접편(9)의 다른 쪽의 접점면이 고정 접편(11)과 도통 접촉하게 고정 접편(11)의 폭 길이를 설계해 두면 클릭 액션 도중에 도통이 해제되지 않고, 도통 상태가 클릭 액션의 완료 직전까지 유지된다.
또한 도시한 예와 같이 두 개의 고정 접편(11)을 쓰는 전환 스위치에 있어서는 두 개의 고정 접편(11)의 간극을 제1a도 및 제3b도에 도시하듯이 가동 접편(9a)의 접점면의 폭보다 좁게 설계함으로써, 스위치의 전환시에 비도통 상태가 회피되므로 전환시의 어른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제5도와 같이 조작 레버(6)를 또한 같은 방향으로 경사지게 움직이고 각 고정 접편(10,11) 간을 비도통으로 함으로써, 예컨대 상기 두 개 램프의 양쪽을 소등할 수 있다.
또한 이때의 전환의 절도감도 상기 전환시와 마찬가지로 하고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6)의 상하 이동과 수평 방향 이동은 각각 힌지 보스(41)에 선회 지지한 힌지편(5)의 구멍(51a: 또는 오목부)의 전체 내주면으로는 저지할 수 있고, 조작 레버(6)는 기체(1)에서 빠져 나가지 않으며 가동 접편(9)도 조작 제버(6)의 걸림 탭(6c)에서 자기의 탄력에 의한 걸림 작용에 의해 함부로 빠져 나오는 일이 없고 또 위치 어긋남 하는 일도 없다.
즉 상기 U자 형상의 가동 접편(9)은 그 걸림 가장 자리(9b, 9b)로 조작 레버(6)에 형성한 교락편(6b)의 걸림 탭(6c)에 탄력적으로 단단하게 맞닿아서 껴넣어 부착했으므로 조작 레버(6)의 조작 응력 등에 외력으로 함부로 빠지지 않으며 위치 어긋남도 하지 않으며 확실하게 각 고정 접편(10, 11) 간을 도통시키고 또 도통을 끊을 수 있다.
또한 조작 레버(6)의 힌지편(5)의 구멍(51a)과 조작 레버(6)의 하부의 구멍(6a)은 각각 힌지 보스(41)가 들어가는 오목부와 가동 접편(9)의 일부가 들어가는 오목부로 해도 좋다.
다른 실시예의 구성은 기판(1)의 대향벽(2, 3)에 대향 설치한 힌지 구멍(42)에도 제2b와 같이 선회 지지한 한쌍의 힌지편을 가지는 조작 레버(6)를 힌지 보스(52a)를 지렛대로서 회동 조작하게 한 것이다.
그리고 조작 레버(6)의 상하 이동과 수평 방향 이동은 각각 힌지 구멍(42: 또는 오목부)에 선회 지지한 힌지편(5)의 힌지 보스(52a)로 저지되며 조작 레버(6)는 기체(1)에서 빠지지 않으며 가동 접편(9)도 조작 레버(6)의 걸림 탭(6c)에서 자기의 탄력에 의한 걸림 작용에 의해서 함부로 빠지지 않으며 또 위치 어긋남 하지도 않는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했으므로 이하에 기재된 효과를 나타낸다.
조작 레버(6)의 전환 조작에 있어선 두 개의 대향 고정 접편(10, 11) 중 폭이 넓은 고정 접편(10)의 골 부분(10a)에 가동 접편(9)의 최측이 자기 탄력으로 털커덕 떨어지고 전환의 도통시에 있어서의 절도감 즉 도통시에 클릭 액션을 얻을 수 있고, 전환의 도통 타이밍을 손가락의 촉각 또는 클릭음으로 확인할 수 있다는 제1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가동 접편은 그 고유의 탄력을 고정 접편에 대한 도통 탄력 접촉 작용과 고정 접편 골 부분(10a)에 대한 기계적 떨어짐의 작용에 의한 클릭 액션 작용을 겸용하고 있으므로 조작 레버(6)의 전환 타이밍의 절도감을 얻기 위한 전용 부재, 에컨대 스위치 케이스 자체의 오목부나 이 오목부에 떨어지는 강구나 코일 스프링을 일절 불필요하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스페이스적으로도 비용적으로도 경제적이라는 제2효과도 있다.
또 가동 접편(9)의 한쪽의 접점면이 폭이 넓은 고정 접편(10)의 산의 정상부에 위치할 때 가동 접편(9)의 다른 쪽의 접점면이 고정 접편(11)과 도통 접촉하게 고정 접편(11)의 폭 길이를 설계해 두면 클릭 액션의 도중에 도통이 해제되지 않고 도통 상태가 클릭 액션의 완료 직전까지 유지할 수 있으므로, 조작 레버를 조금 움직이는 것만으로도 비도통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제3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쓴 전환 스위치에 있어서 두 개의 고정 접편(11)의 간극을 가동 접편(9a)의 접점면의 폭보다 좁게 설계함으로Tj 스위치의 전환시에 비도통 상태가 회피됨으로서 전환시의 어른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제4효과가 있다.

Claims (6)

  1. 플라스틱 성형한 절연성 기판(1)의 한 면에 대향벽(2, 3)을 형성하고 이들 각 벽의 내면과 조작 레버(6)의 양측의 힌지편(5, 5)을 힌지 기구로 선회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조작 레버(6)의 하부에 한쌍의 접점부(9a, 9a)를 가지는 탄성 도체로 U자 형상으로 만든 가동 접편(9)을 장착하고, 또한 이 가동 접편(9)을 끼고 상기 대향벽(2, 3)에 각각 연장 형성한 고정 접편 지지 벽부(2A, 3A)를 가지며, 한쪽의 고정 접편 지지 벽부(2A)의 내면에는 한 개의 고정 접편(10)을 배치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고정 접편 지지 벽부(3A)의 내면에는 한 개 또는 복수의 고정 접편(11)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며, 이들 각 고정 접편(10, 11)은 상기 고정 접편 지지 벽부(2A, 3A)의 외부로 이끌어 내어 배전 부재의 일부로 한 레버 스위치에 있어서, 한쪽의 고정 접편 지지 벽부(2A)의 내면에는 골부분(10a)을 형성한 폭이 넓은 고정 접편(10)을 배치하는 동시에 다른 쪽의 고정 접편지지 벽부(3A)의 내면에는 상기 골 부분(10a)에 대향하는 폭이 좁은 고정 접편(11)을 배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기구로 선회 지지하는 수단이 상기 대향벽(2, 3)의 내면에 대향 형성한 힌지 보스(41, 41)에 조작 레버(6)의 양측의 힌지편(5, 5)의 구멍(51a)으로 선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기구로 선회 지지하는 수단이 상기 대향벽(2, 3)의 내면에 대향 형성한 힌지 구멍(42, 42)에 조작 레버(6)의 양측의 힌지편(5, 5)에 형성한 힌지 보스(52a, 52a)로 선회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6)의 하부에 한쌍의 접점부(9a, 9a)를 가지는 탄성 도체에서 U자 형상으로 만든 가동 접편(9)을 장착하는 수단이 상기 조작 레버(6)의 하부에 형성항 구멍(6a)에 하부를 막는 교락편(6b)의 대략 중앙에 상향의 설림 탭(6c)을 형성하고 이 거리림 탭(6c)에, 상기 구멍(6a) 내에 대향하는 한쌍의 접점부(9a, 9a)를 가지는 탄성 도체로 U자 형상으로 만든 가동 접편(9)을 그 걸림 가장 자리(9b)로 걸어 맞춤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접편 지지 벽부(3A)의 내면에 두 개의 고정 접편(11, 11)을 배치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레버 스위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고정 접편(11, 11)의 간극이 가동 접편(9a)의 접점면의 폭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버 스위치.
KR1019960039193A 1995-09-07 1996-09-06 레버 스위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1958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55687A JPH0982178A (ja) 1995-09-07 1995-09-07 レバースイッチ
JP95-255687 1995-09-07
JP95-272043 1995-09-27
JP7272043A JPH0992088A (ja) 1995-09-27 1995-09-27 レバースイッ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5824B1 true KR100195824B1 (ko) 1999-06-15

Family

ID=26542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193A Expired - Fee Related KR100195824B1 (ko) 1995-09-07 1996-09-06 레버 스위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685419A (ko)
KR (1) KR100195824B1 (ko)
CN (1) CN1160277A (ko)
CA (1) CA2183609A1 (ko)
DE (1) DE19635763C2 (ko)
GB (1) GB2305009B (ko)
HK (1) HK1002261A1 (ko)
SG (1) SG771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0872B2 (en) * 1997-07-15 2008-04-2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jet printhead chip with nozzle assemblies incorporating fluidic seals
US6091038A (en) * 1999-05-27 2000-07-18 Trw Inc. Electrical switch with sliding terminal contacts
US6841749B1 (en) 2000-12-07 2005-01-11 Pass + Seymour, Inc. Slide switch for fan control
DE10239966B3 (de) * 2002-08-30 2004-06-09 Integrated Electronic Systems !Sys Consulting Gmbh Kunststoffgelenk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CN101911233A (zh) * 2008-01-22 2010-12-08 株式会社藤仓 滑动式开关
FR2935192B1 (fr) * 2008-08-21 2010-09-17 Legrand France Ensemble articule a basculement
EP2169696A1 (de) * 2008-09-26 2010-03-31 Goodbuy Corporation S.A. Mehrfachschalter mit Drehverstellelement
JP2012243505A (ja) * 2011-05-18 2012-12-10 Yazaki Corp 接点構造
CN103390523A (zh) * 2013-06-25 2013-11-13 贵州贵航汽车零部件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用组合开关的接触片结构
JP6546621B2 (ja) * 2017-06-20 2019-07-17 矢崎総業株式会社 車両用サンバイザ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22447A (en) * 1921-02-08 1922-07-11 Western Electric Co Switching key
US2246373A (en) * 1939-01-30 1941-06-17 Stackopole Carbon Company Electric switch
DE1082145B (de) * 1958-04-23 1960-05-19 Rau Swf Autozubehoer Tachometergehaeuse fuer Kraftfahrzeuge
US3858012A (en) * 1973-05-29 1974-12-31 Amp Inc Operating means for hermetically sealed double-throw double-pole switch
US4000383A (en) * 1975-06-20 1976-12-28 Amp Incorporated Rocker switch having slidable contact carriage biased by positive detent structure
US4272662A (en) * 1979-05-21 1981-06-09 C & K Components, Inc. Toggle switch with shaped wire spring contact
US4383155A (en) * 1981-06-18 1983-05-10 Eaton Corporation Pivoted-actuator switch with PC board switched light indicator
JPH0347218Y2 (ko) * 1985-09-26 1991-10-08
JPH02145742A (ja) * 1988-11-28 1990-06-05 Sumitomo Metal Ind Ltd 工具の製造方法
JPH0620271Y2 (ja) * 1989-05-15 1994-05-25 第一電装部品株式会社 レバースイッチ
US5099095A (en) * 1989-05-15 1992-03-24 Daiichi Denso Buhin Co., Ltd. Lever switch device
GB2285885B (en) * 1994-01-13 1997-11-19 Mk Electric Ltd An electrical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635763A1 (de) 1997-03-13
US5685419A (en) 1997-11-11
GB2305009A (en) 1997-03-26
HK1002261A1 (en) 1998-08-07
CN1160277A (zh) 1997-09-24
DE19635763C2 (de) 2001-02-08
GB2305009B (en) 1997-08-20
CA2183609A1 (en) 1997-03-08
SG77120A1 (en) 2000-12-19
GB9617200D0 (en) 1996-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5824B1 (ko) 레버 스위치
GB2310957A (en) Switch
US4979083A (en) Lamp with an integral switch
US5803240A (en) Electric push-button switch
US6091038A (en) Electrical switch with sliding terminal contacts
KR920003352A (ko) 슬라이드 선택 스위치 기구
US7528335B2 (en) Light assembly for vehicle interiors
US4920238A (en) Self-centering switch
US5099095A (en) Lever switch device
JP2005093419A (ja) スイッチ保持装置
JP3802298B2 (ja) スイッチ装置
US3482064A (en) Electrical switch having pressure contacts
US5496981A (en) Electrical switch
CA1266873A (en) Cammed wire snap switch
GB2225166A (en) Push-button switch
KR100444097B1 (ko) 스위치
US5086199A (en) Lever switch
JPH0239311Y2 (ko)
KR100312562B1 (ko) 자동차용 룸램프의 스위치 조작장치
KR900001075Y1 (ko) 다접점 선택스위치
JP2002343189A (ja) スイッチ装置
JP3841673B2 (ja) スライド式電子部品
JPS6239448Y2 (ko)
KR200153449Y1 (ko) 전자 통신 장비의 누름 버튼 장치
GB2327812A (en) Bi-stable bridge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1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0021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00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