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193828B1 -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화상농도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화상농도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828B1
KR100193828B1 KR1019960023615A KR19960023615A KR100193828B1 KR 100193828 B1 KR100193828 B1 KR 100193828B1 KR 1019960023615 A KR1019960023615 A KR 1019960023615A KR 19960023615 A KR19960023615 A KR 19960023615A KR 100193828 B1 KR100193828 B1 KR 100193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otential
photosensitive drum
image density
develop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3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926A (ko
Inventor
도기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23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828B1/ko
Priority to CN97114850A priority patent/CN1099617C/zh
Priority to JP9169159A priority patent/JPH1063050A/ja
Priority to US08/882,600 priority patent/US5867750A/en
Publication of KR980003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9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82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75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 G03G15/751Details relating to xerographic drum, band or plate, e.g. replacing, testing relating to dr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evelop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xposure Or Original Feeding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서 기록 화상의 농도를 조정하는 기술이다.
2.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화상농도 조정으로 인한 화질 저하를 방지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배경 전계의 크기를 일정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현상 전계의 크기를 변화시켜 화상농도를 조정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서 기록 화상의 농도를 조정하는데 이용한다.

Description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화상농도 조정장치
제1도는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통상적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엔진 메카니즘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화상농도 조정에 따른 제1도의 각 부분의 전위 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농도 조정장치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화상농도 조정에 따른 제3도의 각 부분의 전위 상태도.
본 발명은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록화상의 농도를 조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사진 현상방식은 복사기, 레이저 빔 프린터(laser beam printer), LED(Light Emitting Diode) 프린터, 일반용지(plain paper) 팩시밀리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에 널리 채용되고 있다. 상기 전자사진 형상방식의 프로세서(process)는 순차적으로 대전 → 노광 → 현상 → 전사 → 정착 과정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엔진 메카니즘(engine mechanism)구성을 보인 제1도를 참조하면, 감광드럼(10), 대전롤러(12), 현상롤러(14), 레지스터 롤러(16), 전사롤러(18), 가압롤러(20), 히트롤러(22)등은 상기한 전자사진 현상 프로세스의 진행에 대응되게 엔진 구동모터(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제1도에 보인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기록용지는 급지카셋트(도시하지 않았음)로부터 급지되어 용지 이송경로(24)를 따라 이송되며, 최종적으로 화상형성 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먼저 감광드럼(10)은 대전롤러(12)에 의해 부(-)의 대전전압 VCH로 대전됨으로써 부(-)의 전위를 가지는 균일한 전하가 표면상에 형성된다. 이후 감광드럼(10)의 표면이 노광장치(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원고 또는 이미지 데이타에 대응하여 노광됨으로써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때 비화상영역, 즉 노광이 않된 비노광영역은 대전전위가 그대로 유지된다. 이와 반면에 화상영역, 즉 노광된 노광영역의 전위는 노광되기 전에 비해 작아진다. 상기 노광장치는 예를 들어 레이저 빔 프린터에 있어서는 레이저 스캐너 유니트(Laser Scanner Unit)가 되고 복사기에 있어서는 원고 스캐너가 된다.
이때 급지되는 기록용지는 레지스터 롤러(16)에 의해 선단이 정렬된후, 상기한 노광동작이 시작됨과 동시에 전자롤러(18)로 이송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감광드럼(10)상에 형성된 정전잠상은 현상롤러(14)상에 있는 토너(toner)와 같은 현상제에 의해 현상됨으로써 가시상으로 전환된다. 이때 현상롤러(14)는 부(-)의 현상전위 VB에 의해 부(-)의 전위를 갖게 된다. 그리고 현장제 공급기(도시하지 않았음)로부터 공급되는 현상제는 현상롤러(14)에 의해 마찰대전되면서 부(-)의 현상전위를 띄게 되고 현상롤러(14)의 회전에 따라 현상영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현상영역은 현상롤러(14)상의 현상제가 감광드럼(10)상으로 이동함으로써 현상이 이루어지는 현상롤러(14)와 감광드럼(10)상의 접촉영역을 말한다. 이와같이 현상영역으로 이동된 현상제는 노광전위와 현상전위 VB간의 전위차에 의해 감광드럼(10)상의 노광영역으로 일부가 이동되어 부착됨으로서 현상이 이루어진다.
이후 감광드럼(10)에 부착되어 있는 현상제가 전사롤러(18)에 의해 기록용지에 옮겨짐으로써 전사가 이루어진다. 이때 기록용지에 전사된 현상제는 가압롤러(20)와 히트롤러(22)로 이루어지는 정착기의 압력 및 열에 의해 기록용지상에 정착된다. 이와같이 정착이 완료된 기록용지는 화상형성장치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기록용지 1매에 대한 복사 또는 프린트가 완료된다.
한편 전자사진 현상방식의 화상형성장치는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또는 자동적으로 기록 화상의 농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를 상세히 살펴보면, 노광과정 이후에 감광드럼(10)상의 노광전위 VL은 현상전위 VB보다 작은 부(-)의 전위를 가진다. 이에따라 현상롤러(14)상에 있는 부(-)의 전위를 띤 현상제가 노광영역으로 이동됨으로써 현상이 이루어진다. 이때 현상롤러(14)의 표면과 대향되는 감광드럼(10)의 표면간의 거리를 d, 현상제의 부(-) 전하량을 q, 감광드럼(10)상의 노광영역으로부터 현상롤러(14)로의 현상전계를 E라 할 때, 현상롤러(14)로부터 감광드럼(10)으로 이동하는 힘 F는 하기 (1)식과 같다.
상기한 (1)식에서 전계 E는이고 ΔV는 노광전위 VL와 현상전위 VB간 전위차이므로 상기 (1)식을 다시 쓰면 하기 (2)식과 같다.
상기 (1), (2)식에서 보는 바와 같이 힘 F는 전계 E에 비례하고, 전계 E는 |VL-VB|, 즉 노광전위 VL과 현상전위 VB간의 전위차의 절대값에 비례한다. 그러므로 현상전위 VB을 변경하면 힘 F가 달라지며, 그에따라 현상롤러(14)로부터 감광드럼(10)으로 이동하는 현상제량이 달라진다.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종래에는 현상전위 VB를 크게 또는 작게 변경함으로써 화상농도를 조정하여 왔었다. 즉, 현상전위 VB를 크게 할수록 감광드럼(10)으로 이동하는 현상제량이 많아짐으로써 화상농도가 진하게 된다. 이와달리 현상전위 VB를 작게 할수록 감광드럼(10)으로 이동하는 현상제량이 적어짐으로써 화상농도가 엷게 된다.
한편현상롤러(14)상에는 모두 부(-)의 전위를 갖는 정규 현상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정(+)의 전위를 갖는 역극성 현상제도 일부 존재한다. 상기 역극성 현상제는 현상롤러(14)에서 비정상적으로 마찰대전됨으로써 발생된다. 이러한 역극성 현상제는 현상이 이루어질 때 감광드럼(10)상의 비노광영역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이때 현상전위 VB를 작게 조정할 경우, 역극성 현상제가 비노광영역으로 보다 이동이 용이하도록 힘이 작용한다. 이는 현상전위 VB와 비노광전위간의 전위차가 커지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로서 역극성 현상제가 기록 화상의 비화상영역에 배경(background)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를 화상농도 조정에 따른 제1도의 각 부분의 접지(ground), 즉 OV에 대한 전위 상태를 보인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VL은 감광드럼(10)상의 노광전위이고, VS는 감광드럼(10)상의 비노광전위이며, VBL과 VBH는 각각 현상전위 VB의 조정범위에 대한 상·하한값이다. ED1~ED3는 현상 전계들을 나타낸 것이고, EBG1~EBG3는 현상롤러(14)로부터 감광드럼(10)상의 비노광영역으로의 배경 전계들을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는 정규 현상제이고,는 역극성 현상제이다.
상기 제2도에서 표준농도의 현상 전계를 ED2라 할 때, 감광드럼(10)상의 노광영역에는 현상전계 ED2에 의해 현상롤러(14)상의 정규 현상제가 이동하여 부착된다. 이와 반면에 감광드럼(10)상의 비노광영역에는 배경 전계 EBG2에 의해 현상롤러(14)상의 역극성 현상제가 이동하기 용이하게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현상전위 VB를 VBL이 되도록 조정하면, 현상 전계가 ED3와 같이 VBL쪽으로 작아지게 된다. 이에따라 화상농도가 보다 엷게 조정된다. 이때 배경전계가 EBG에서 EBG3으로 이동하여 커지게 됨으로써 역극성 현상제가 비노광영역, 즉 비화상영역에 부착된다. 이에따라 역극성 현상제로 인한 화상이 기록 화상에 배경으로 나타나게 됨으로써 화질이 저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현상전위를 조정하여 화상농도를 조정함에 따라 역극성 현상제가 기록 화상의 비화상영역에 배경으로 나타나게 됨으로써 화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농도 조정으로 인한 화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화상농도 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배경 전계의 크기를 일정하게 고정시킨 상태에서 현상 전계의 크기를 변화시켜 화상농도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도면에서 구체적인 회로 구성이나 소자와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 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농도 조정장치의 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전술한 제1도에서 접지전위(ground level) 선택부(26)를 추가하고 접지전위 선택부(26)를 콘트롤러(32)에 의해 제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그러므로 제3도의 구성요소들중에 제1도와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서로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였다. 접지전위 선택부(26)는 감광드럼(10)상에 대한 접지전위를 미리 서로 다르게 설정된 크기를 가지는 전위들중 하나로 선택하여 제공한다. 접지전위 선택부(26)는 제1, 제2 제너 다이오드(ZD1, ZD2)와 제1, 제2 스위치(28, 30)로 구성한다. 제1, 제2제너 다이오드(ZD1, ZD2)는 감광드럼(10)과 접지간에 직렬로 연결된다. 제1스위치(28)는 감광드럼(10)과 접지간에 연결되고, 제2스위치(28)는 제1, 제2제너 다이오드(ZD1, ZD2)간의 접속점과 접지간에 연결된다. 상기 제1, 제2 스위치(28, 30)는 콘트롤러(32)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스위칭된다. 콘트롤러(32)는 통상의 화상형성장치에 구비되는 콘트롤러를 사용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록할 화상농도에 대응되게 접지전위 선택부(26)의 선택을 제어한다. 이러한 콘트롤러(32)는 통상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키조작에 의한 선택에 따라 또는 자동적으로 기록 화상의 농도를 조정한다.
만일 제1, 제2 스위치(28, 30)가 모두 오프된다면, 감광드럼(10)으로부터 접지간의 전류경로는 제1, 제2제너 다이오드(ZD1, ZD2)를 통해 접지에 연결되는 제1경로(P1)가 된다. 이와달리 제1스위치(28)는 오프되고 제2스위치(30)만 온된다면, 감광드럼(10)으로부터 접지간의 전류경로는 제1제너 다이오드(ZD1)와 제2스위치(30)를 통해 접지에 연결되는 제2경로(P2)가 된다. 또한, 제1, 제2스위치(28, 30)가 모두 온되거나 제1스위치(28)만 온된다면, 감광드럼(10)으로부터 접지간의 전류경로는 제1스위치(28)를 통해 바로 접지에 연결되는 제3경로(P3)가 된다.
이와같은 제1~제3경로(P1~P3)중 하나를 선택하여 감광드럼(10)상의 노광전위 VL을 조정함으로써 현상 전계의 크기를 변화시켜 결과적으로 화상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이를 본 발명의 화상농도 조정에 따른 제3도의 각 부분의 접지에 대한 전위상태를 보인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4도의 참조부호들중에 VL1~VL3을 제외한 나머지 참조부호들은 전술한 제2도와 동일하다. 그리고 VL1은 상기한 제1경로(P1)가 선택될 경우의 노광전위이고, VL2는 상기한 제2경로(P2)가 선택된 경우의 노광전위이고, VL3은 상기한 제3경로(P3)가 선택될 경우의 노광전위이다. 그러므로 노광전위들 VL1~VL3의 크기는 VL1VL2VL3가 된다. 그리고 제1, 제2제너 다이오드(ZD1, ZD2)의 제너전압을 VZ라 할 때, |VL1-VL2|=VZ, |VL2-VL3|=VZ가 된다.
상기 제4도와 같이 현상전위 VB를 일정한 크기를 고정시킨 상태에서도 노광전위들 VL1, VL2, VL3각각에 따라 현상 전계가 ED1, ED2, ED3와 같이 달라진다. 즉, 표준농도의 현상 전계를 ED2라 할 때, 노광전위가 VL3이 되도록 제1, 제2 스위치(28, 30)를 제어하면, 현상 전계가 ED3와 같이 VB쪽으로 작아지게 된다. 이에따라 화상농도가 보다 엷게 조정된다. 이와달리 노광전위가 VL1이 되도록 제1, 제2 스위치(28, 30)를 조정하면, 현상 전계가 ED1와 같이 VB쪽으로 커지게 된다. 이에따라 화상농도가 보다 진하게 조정된다.
이때 현상전위 VB는 종래와 달리 화상농도 조정과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크기로 고정되므로 배경 전계 EBG도 항상 일정한 크기로 유지된다. 이에따라 화상 농도를 조정할 때 역극성 현상제가 비노광영역, 즉 비화상영역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화상농도 조정에 따른 배경 화상의 발생으로 인한 화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화상 농도를 조정할 때 배경 전계에 영향을 주지 않음으로써 배경 전계를 항상 일정한 크기로 유지함으로써 화질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두개의 제너 다이오드와 두개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노광전위를 3가지 단계들중 하나로 선택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동일한 방법으로 제너 다이오드와 스위치의 갯수를 대응되게 증가하여 구성하면 보다 많은 단계수로 노광전위들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화상농도를 보다 많은 수의 단계들중 하나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제너 다이오드 대신에 바리스터(varistor)를 사용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바리스터도 제너 다이오드와 같이 동일하게 접속하여 구성하면 된다.
그리고 크리너리스 시스템(cleanerless system)을 채용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는 크리닝(cleaning) 전계, 즉 현상제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 전계를 본 발명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고정시킴으로써 감동드럼 주기의 화상 고스트(ghost)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와 특허 청구의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Claims (6)

  1. 감광드럼상의 정전잠상을 현상제에 의해 현상하는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화상농도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감광드럼과 접지사이에 접속되며 상기 감광드럼상에 대한 접지전위를 미리 서로 다르게 설정된 크기를 가지는 전위들중 하나로 선택하여 제공하는 접지 전위 선택부와, 기록할 화상농도에 대응되게 상기 접지전위 선택부의 선택을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농도 조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전위의 변경에 따른 상기 감광드럼상의 노광전위의 변경에 의해 현상 전계의 크기가 변화되어 상기 화상농도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농도 조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전위 선택부가, 상기 감광드럼과 접지간에 직렬 연결된 다수의 제너 다이오드와, 상기 제너 다이오드들 각각의 접속점과 상기 접지간에 하나씩 대응되게 연결되고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스위칭되는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농도 조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농도 조정장치가, 현상전위를 일정하게 고정시켜 배경 젼계의 크기를 일정하게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농도 조정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전위 선택부가, 상기 감광드럼과 접지간에 직렬 연결된 다수의 바리스터와, 상기 바리스터들 각각의 접속점과 상기 접기간에 하나씩 대응되게 연결되게 되고 상기 콘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스위칭되는 다수의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농도 조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농도 조정장치가, 현상전위를 일정하게 고정시켜 배경 전계의 크기를 일정하게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농도 조정장치.
KR1019960023615A 1996-06-25 1996-06-25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화상농도 조정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193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3615A KR100193828B1 (ko) 1996-06-25 1996-06-25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화상농도 조정장치
CN97114850A CN1099617C (zh) 1996-06-25 1997-06-25 电照相装置中调整印刷影像的色调剂浓度的装置和方法
JP9169159A JPH1063050A (ja) 1996-06-25 1997-06-25 電子写真現像方式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の画像濃度調整方法及び手段
US08/882,600 US5867750A (en) 1996-06-25 1997-06-25 Device for adjusting toner concentration of printed image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electrophotographic developing pro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3615A KR100193828B1 (ko) 1996-06-25 1996-06-25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화상농도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926A KR980003926A (ko) 1998-03-30
KR100193828B1 true KR100193828B1 (ko) 1999-06-15

Family

ID=19463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3615A Expired - Fee Related KR100193828B1 (ko) 1996-06-25 1996-06-25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화상농도 조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67750A (ko)
JP (1) JPH1063050A (ko)
KR (1) KR100193828B1 (ko)
CN (1) CN109961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44846A (ja) * 1998-06-01 1999-12-14 Nec Niigata Ltd 電子写真画像形成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100380244C (zh) * 2003-06-25 2008-04-09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彩色电极阵列打印机
WO2008101297A1 (en) * 2007-02-22 2008-08-28 Acquos Pty Ltd Redispersible polymers including a protective colloid system
CN104808452A (zh) * 2014-01-29 2015-07-29 株式会社东芝 图像形成装置以及图像形成方法
JP7032240B2 (ja) * 2018-05-28 2022-03-08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80542B1 (en) * 1987-02-26 1994-11-02 Canon Kabushiki Kaisha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2738749B2 (ja) * 1989-08-07 1998-04-0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DE4113777C2 (de) * 1990-04-27 1995-09-14 Ricoh Kk Bilderzeugungseinrichtung
JP2880356B2 (ja) * 1991-10-30 1999-04-0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2574107B2 (ja) * 1991-12-02 1997-01-22 株式会社リコー 帯電ローラ及びその製造方法,及び帯電ローラ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帯電装置
JP3221045B2 (ja) * 1992-04-03 2001-10-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247328A (en) * 1992-09-15 1993-09-21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ing a photoconductive surface to a uniform potential
JPH06110284A (ja) * 1992-09-25 1994-04-22 Sanyo Electric Co Ltd 電子写真装置
US5534982A (en) * 1993-03-03 1996-07-09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2278A (zh) 1998-02-04
JPH1063050A (ja) 1998-03-06
KR980003926A (ko) 1998-03-30
US5867750A (en) 1999-02-02
CN1099617C (zh) 2003-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9030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forming performing improved cleaning and discharging operation on image forming associated members
CN100595685C (zh) 图像形成装置
US4416535A (en) Electrophotographic copying apparatus
US696574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0178835B1 (ko) 전자사진프로세스에 따라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
US734965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has a full-color mode and a monocolor mod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can adjust the length of a non-image forming region during mode switching state
KR100193828B1 (ko)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의 화상농도 조정장치
JP3413100B2 (ja) 画像形成装置
JPH1195501A (ja) 画像形成装置
KR100419408B1 (ko) 화상형성장치의 대전전압 제어장치
US489013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developing devices
JP3912967B2 (ja) 画像形成装置
JP3108573B2 (ja) 画像形成装置
EP1134623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variable toning bias offset service utility
KR100312724B1 (ko) 화상형성장치의 현상전압 제어방법
JP3016580B2 (ja) 画像形成装置
JPH03260667A (ja) 画像形成装置
KR0174683B1 (ko) 전자사진 현상방식을 채용한 화상형성장치에서 도전성 탄성 롤러를 이용한 접촉식 현상장치
JP419417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1281979A (ja) 画像形成装置
KR100517511B1 (ko) 전자사진 형성장치의 대전롤러의 저항 감지방법 및 장치
KR100291424B1 (ko) 비화상영역의오염을방지한화상형성장치의인쇄농도제어방법
JPH02277084A (ja) 電子写真装置
JP2001194871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カブリ防止方法
JP2020204733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3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9020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9020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