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191793B1 - 수직.수평반송장치 - Google Patents

수직.수평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793B1
KR100191793B1 KR1019960006602A KR19960006602A KR100191793B1 KR 100191793 B1 KR100191793 B1 KR 100191793B1 KR 1019960006602 A KR1019960006602 A KR 1019960006602A KR 19960006602 A KR19960006602 A KR 19960006602A KR 100191793 B1 KR100191793 B1 KR 100191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verse
hypothesis
rail
sprocket
mono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6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035A (ko
Inventor
세이이찌 시바야마
타카시 타키모토
타다히코 하야시
Original Assignee
타다히코 하야시
쿄와기켕코교 가부시기가이샤
후지타 카즈노리
가부시기가이샤 후지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다히코 하야시, 쿄와기켕코교 가부시기가이샤, 후지타 카즈노리, 가부시기가이샤 후지타 filed Critical 타다히코 하야시
Publication of KR960034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7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7/00Overhead travelling cranes comprising one or more substantially horizontal girders the ends of which are directly supported by wheels or rollers running on tracks carried by spaced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9/00Travelling gear incorporated in or fitted to trolleys or cranes
    • B66C9/14Trolley or crane travel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 B66C2700/012Trolleys or runways
    • B66C2700/014Devices for trolleys running on monor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2700/00Capstans, winches or hoists
    • B66D2700/02Hoists or accessories for hoists
    • B66D2700/023Hoists
    • B66D2700/025Hoists motor oper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요의 개소에 일련의 수직과 수평의 작동에 의한 반송을 가능하게하여, 인력에 의한 반송을 없애어,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작업환경을 개선한 수직, 수평반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 것이며, 그 구성에 있어서, 대략 직사각형의 횡행가설대(1)와, 동 가설대의 상면 4귀퉁이에 배설되고, 동 횡행가설대의 긴쪽방향과 직교방향으로 뻗는 상부몸체K의 하면에 배설된 주행레일a을 따라서 이동하는 주행차륜(5) 및 동횡행가설대에 장착되고, 동가설대에 매달린 모노레일호이스트P구동하는 감아올림장치로 이루어진 횡행반송장치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직, 수평반송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수직, 수평반송장치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긴변방향측면도.
제2도는 상기 수직, 수평반송장치의 횡행(橫行)반송장치의 긴변방향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장치에 체인을 전향시켰을때의 체인의 설치상황을 표시한 긴변방향측면도.
제4도는 제1도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단변방향측면도.
제6도는 승강레일의 장변방향측면도.
제7도는 승강레일의 단변방향측면도.
제8도는 승강레일의 평면도.
제9도는 스토퍼장치의 장변방향측면도.
제10도는 스토퍼장치의 단변방향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횡행반송장치 B : 승강레일
K : 상부몸체 P : 모노레일호이스트
a : 주행레일 b : 수평레일
h : 전원용 트롤리덕트 s : 전원캡타이어케이블
1 : 횡행가설대 101 : 상부프레임
102 : 하부프레임 103 : 지주
104 : 연계프레임 2 : 구동장치
201 : 구동모터 202 : 감속기어
203 : 스프로킷기어 204 : 스프로킷체인
205 : 스프로킷구동축 3 : 승강장치
301 : 구동모터 302 : 마이터기어
303 : 샤프트 304 : 감속기
305 : 장축샤프트 306 : 단축샤프트
307 : 스프로킷 308 : 롤러체인
309 : 롤러체인의 수납케이스 3091 : 칸막이판
4a : 제1중간스프로킷 4b : 제2중간스프로킷
5 : 주행차륜 10 : 승강프레임
11 : 슬링프레임 12 : 슬링주재
13 : 체인걸림부 14 : 모노레일
15 : 인터록기구 16 : 중앙스토퍼
16a : 사이드스토퍼 1602 : 스토퍼편
17 : 경고등 18 : 전원캡타이어케이블의 수납함
40 : 스토퍼철물 41 : 철물
42 : 공간
본 발명은 지상에 구축한 물류시설이나, 지하공사에 건설자재나 건설기재를 직접 반입하거나, 지상부의 물류시설등에 화물등을 수평, 수직으로 반입, 반출을 행하는 수직, 수평반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지하구조물, 혹은 지하철의 역사, 기타 개방된 지하구축물등에 있어서, 지하건설에 따르는 지하공사의 진척상황에 맞추어서, 지상부로부터 건설자재나 건설기기를 반입, 반출하지 않으면 안된다.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는 경우에는, 먼저 주변산지에 땅유지(earth retaining)공사를 행하여 주변지반의 붕괴를 방지하고, 지상부에 작업기반을 설치해서 순차적으로 굴삭해서 소정의 지반까지 굴삭후, 기초공사와, 상부몸체를 순차 구축해가는 순타(順打)공법이나, 건물의 지하부를 지상부로부터 지하부에 걸쳐서 구축해가는 역타(逆打)공법이 있다.
전자에 있어서의 순타공법에 있어서는 지하작업부에의 건설자재나 건설기재의 반입, 반출은 지상부의 작업기반을 피해서 형성된 개방면이나, 가설상(假說床)의 개구부로 부터로 고정식 크레인이나 이동식크레인에 의해 일정한 이동범위에, 수평방향은 크레인의 붐선회에 의해서, 수직방향은 감아올림기계에 의해서 반입, 반출을 행하고 있다.
또 후자에 있어서의 역타공법에 있어서는, 지상에 구축한 톱슬랩에, 동 슬랩을 관통하는 개구부를 형성해서, 고정식크레인이나 이동식크레인에 의해서 반송하는 자재를 매달아올리고 상기 개구부로부터 매달아내려서 짐을 처리하는 하수구대(荷受構臺)를 설치하거나, 혹은 직접 짐을 내려서 다른 수평반송기에 옮겨실어 목적장소에 반송하거나, 또는 인력에 의해서 운반하고 있다.
지하공사에 수반해서, 굴삭토사의 반출이나, 철근 거푸집등의 반입이 있으며, 공사의 진척상태에 딸서 작업장소가 일정하지 않아, 고정식크레인이나 이동식크레인을 사용해서 가설상의 개구부나 톱슬랩을 관통해서 형성한 개구부로부터 수직으로 반출입되고 있는 일이 많다.
따라서 재재의 반출입에는 일정한 장소에 국한된 개구부로부터 짐을 내리고, 그이후는 소정의 위치까지 간단한 이송대차에 옮겨싣고 반송하거나, 인력에 의해서 수평이동을 행하므로, 반송경로에 장해물이 있거나, 중량물의 반송에는 상당한 중노동이 강요되므로 작업성이 나쁘고, 지하공사에 있어서는 짐처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없어, 반송계획에 따라서 작업공정이 크게 좌우된다.
또, 특히 역타공법에 있어서는, 지하부와 지상부의 시공이 동시에 진행되어, 지상의 양중기(揚重機)를 거의 사용할 수 없고, 지상부에 있어서 개구부의 상부에 간단한 호이스트크레인을 설치해서 자재를 매달아서 수직운반을 행하고, 수평이동은 상기와 마찬가지로 반송대차나 인력에 의해서 행하고 있으므로, 작업성이 현저히 저하한다고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가진 문제점에 비추어서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소요의 개소에 일련의 수직과 수평의 작동에 의한 반송을 가능하게 하여, 인력에 의한 반송을 없애어, 노동조건을 개선하고,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의 안전에 기여하는 수직, 수평반송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수직, 수평반송장치는, 대략 직사각형의 횡행가설대와, 동가설대의 상면 4귀퉁이에 배설되고, 동횡행가설대의 긴쪽방향과 직교방향으로 뻗는 상부몸체하면에 배설된 주행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주행차륜 및 동주행차륜의 구동장치와, 상기 횡행가설대에 장착되고, 동가설대에 매달린 승강레일을 구동하는 감아올림장치로 이루어진 횡행반송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발명에 의하면, 상기 횡행반송장치는, 상기 횡행가설대위에 장착된 구동모터와, 동구동모터에 접속된 마이터기어와, 동마이터기어에 좌우대칭으로 접속된 감속기어와, 동각감속기어에 직교해서 배설된 1쌍의 구동축을 구비하고, 동 1쌍의 구동축의 한쪽을 장축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다른쪽을 단축으로 구성하고, 동장단각축의 선단부에 스프로킷을 장착하고, 동스프로킷의 하부에 축심을 어긋나게해서 중간스프로킷을 상기 횡행가설대에 장착하고, 상기 스프로킷과 중간스프로킷에 걸쳐서 체인을 감고, 상기 횡행가설대의 하부에 있어서의 상기 장단 각축의 선단부스프로킷사이에 체인수납케이스를 매달고, 상기 스프로킷에 감은 체인의 일단부를 상기 수납케이스내에 수용하는 동시에, 한쪽의 체인끝부분에는 상기 중간스프로킷을 개재해서 승강레일을 매달아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3발명은, 상기 횡행가설대의 하부에 매다는 승강레일은, 직사각형의 슬링프레임본체와, 동슬링프레임본체의 긴쪽방향으로 직교해서 슬링주재를 평행해서 배설하여 이루어진 승강대와, 상기 각 슬링주재의 선단부에 체인걸림부가 배설되고, 상기 슬링프레임본체의 하면에 모노레일을 매달고, 동모노레일의 선단부에는 다른 수평모노레일과 걸어맞춤하는 인터록기구를 구비하고, 동모노레일에 주행자재하게 매달기호이스트를 매달아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4발명은, 상기 모노레일의 중앙과 좌우에 각각 트롤리호이스트의 스토퍼기구를 설치해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직·수평반송장치는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대략 직사각형의 횡행가설대의 상면 4귀퉁이에 배설된 주행차륜을 구동장치를 개재해서 구동하여 상부몸체에 매달린 주행레일을 따라서 수평으로 횡행이동시키고, 감아올림장치에 의해서 승강레일을 구동하고, 상기 주행레일을 미리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수평레일과 도킹해서 그대로 목적위치에 반송하고, 수직·수평반송을 일련의 작동으로 안전, 신속하게 행한다.
본 발명의 제2발명에 의하면, 횡행가설대의 상부에 장치된 구동모터로부터 좌우대칭으로 마이터기어를 개재해서 감속기어가 연결되고, 또 동작감속기어로부터 직각방향으로 한쪽에 장축의 구동축이 다른쪽에 단축의 구동축이 배설되는 동시에, 동각구동축의 스프로킷이 설치되고, 동스프로킷의 하부에 축심을 어긋나게해서 중간스프로킷에 걸쳐서 체인을 감고, 상기 횡행가설대의 하부에 있어서의 상기 장단감축의 선단부스프로킷 사이에 체인수납케이스를 매달고, 상기 스프로킷휠에 감은 체인의 일단부를 상기 수납케이스에 수납하고, 한쪽의 체인끝부분은 스프로킷을 개재해서 승강레일을 매달기위하여, 승강레일슬링프레임의 4방이 매달리게되고, 체인이 감아올려졌을때는 스프로킷이 서로 엇갈리게 하부에 설치된 수납케이스에 정연하게 수납되고, 또 수납케이스의 사이에 승강레일이 짜넣어지므로, 횡행반송장치와 승강레일이 일체적으로 조립되어 반송, 설치가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스프로킷으로부터 제1중간스프로킷에 체인을 상향으로 바꾸어 설치하므로서, 본장치를 스스로 승강시켜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발명에 의하면, 승강레일을 매달은 승강프레임을, 상기 횡행반송장치의 감아 올림장치로부터 체인을 아래로 드리우고 승강프레임의 걸림부에서 매달아서 모노레일호이스트는 승강하고, 상기 호이스트는 인터록기구를 개재해서 다른 수평레일로 주행자재하게 옮겨타고, 승강프레임의 승강과 상기 각 수평레일에 의해서 목적하는 반송위치에 도달한다.
본 발명의 제4발명에 의하면, 모노레일중앙과 좌우에 각각 트롤리호이스트의 스토퍼기구를 배설하였으므로, 중앙스토퍼는 호이스트가 짐을 매달고, 승강시에는 스토퍼를 폐쇄해서 호이스트를 정지하여, 매단짐을 안정시켜서 승강하고, 수평이동시는 상기 스토퍼를 개방한다.
또, 상기 좌우의 스토퍼는 매단 위치에 접근해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호이스트는 그 범위에서 이동하고, 이동해도 기울어짐이 없이, 자재를 좌우로 이동하고, 매달아 내릴때의 호이스트의 위치결정이 용이하고, 본장치에 의해서 조작이상이나 고장때의 폭주를 방지해서 호이스트의 모노레일로부터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수직·수평반송장치의 일실시예를 표시한 장변방향측면도로서, A는 횡행반송장치, B는 승강레일, a는 상부몸체K의 하면에 배설된, 상기 횡행반송장치A의 주행레일, P는 모노레일호이스트이다.
제2도는 횡행반송장치의 장변방향측면도를 표시하며, (1)은 횡행가설대로서(101)은 상부프레임, (102)는 하부프레임, (103)은 상하프레임사이에 배설된 지주, (104)는 연계프레임(제4도 참조), (2)는 가로방향구동장치로서, (201)은 동구동장치(2)에 있어서의 구동모터, (202)는 동구동모터(201)의 구동축에 장착된 감속기어, (203)은 스프로킷기어, (204)는 스프로킷체인으로서, 주행레일a의 하부플렌지의 하면전체길이에 걸쳐서 설치되고, 상기 스프로킷기어(203)과 맞물리므로써, 상기 구동모터(201)의 구동에 의해서 횡행가설대(1)가 횡행한다.
도면중(205)는 상대하는 스포로킷기어(203)를 연결하고, 구동하는 구동축이다.
제4도에 있어서 제1도의 평면도를 표시하며, (3)은 승강장치로서, (301)은 구동모터, (302)는 동모터의 구동력을 직교하는 2방향으로 변환하는 마이터기어, (303)은 좌우 2방향의 샤프트, (304)는 좌우의 감속기, (305) 및 (306)은 각각 동각감속기(304)에 직교하는 장축샤프트 및 단축샤프트로서, 동각샤프트선단부에 각각 스프로킷(307)이 장착되어 있다. 제4도에 있어서(308)은 칸막이판, (4a)는 제1중간스프로킷, (5)는 주행차륜이다.
다음에 승강레일B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6도에 있어서 (10)은 승강프레임, (12)는 슬링주재, (13)은 체인걸림부, (14)는 모노레일, (15)는 모노레일선단부에 장치된 인터록기구, (16)은 중앙스토퍼, (16a)는 사이드스토퍼, (17)은 경고등, (18)은 전원캡타이어케이블의 수납함, S는 전원캡타이어케이블, h는 전원용 트롤리덕트이다(제7도참조).
제9도는 모노레일호이스트의 스토퍼장치의 정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종단면도로서, 모노레일(14)의 상부브래킷(1601)에 있어서 스토퍼편(1602)이 핀(1603)을 개재해서 회동지지 되어있다. (1604)는 솔레노이드, (1605)는 샤프트로서, 솔레노이드(1604)가 작동해서 샤프트(1605)를 진퇴동작시키므로써 스토퍼편(1602)이 압압판(1606)을 개재해서 핀(1603)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함으로써 출몰하여, 스토퍼철물(40)에 걸리고 풀리고 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스토퍼철물은 트롤리의 외곽상단부의 좌우에 장착되고, 중앙은 중아스토퍼(16)를 폐쇄해서 공간에서 정지시키고, 좌우의 스토퍼(16a)도 마찬가지로 솔레노이드를 작동해서 스토퍼편(1602)를 폐쇄하고, 그 범위에서 트롤리는 이동해서, 중간에 중앙스토퍼편이 되는 압압판(1602)이 끼워져 들어가는 공간(42)을 가진 철물(41)에 충돌접촉해서 정지한다. 개방하는 경우는 솔레노이드를 작동해서 스토퍼편(1602)을 눌러서 개방한다.
도시한 실시예는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어있으므로, 횡행가설대(1)의 주행차륜을 상부몸체K에 장치된 주행레일a을 따라서 횡행가설대내에 설치된 구동장치(2)와 승강장치(3)를 구비한 횡행반송장치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횡행이동시켜 감아올림장치를 구성하는 승강장치(3)는 동장치에 매달린 모노레일호이스트P를 승강시킨다. 이렇게 해서 상기 모노레일호이스트P가 짐처리장에서 자재를 매달아서, 횡행반송장치A를 수평으로 이동시켜 소정의 승강로에 반송하고, 상기 모노레일호이스트P를 승강장치(3)의 구동에 의해서 제6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미리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다른 수평레일b와 도킹해서, 모노레일호이스트를, 승강장치(3)를 구동하므로써 그대로 목적의 위치에 반송하고, 이렇게해서 수직, 수평양방향의 반송을 일련의 작동에 의해서 안전, 신속하게 행한다.
또 상기 횡행반송장치A의 가설대상부에 설치한 구동모터(301)로부터 마이터기어(302)를 개재해서 좌우대칭으로 감속기(304)에 연결하고, 또 동각감속기로부터 직교방향으로 뻗는 장단구동축(305), (306)의 각선단부스프로킷(307)과 축을 어긋나게 한 제1중간스프로킷(4a), 제2중간스프로킷(4b)을 거쳐서 롤러체인(308)을 감아장착해서, 일단부를 스프로킷(307)의 롤러체인의 수납케이스(309)에, 안쪽은 승강레일B를 매달기위해서 승강레일의 슬링프레임의 4방을 매달고 있기 때문에, 체인감아올릴 때, 스프로킷이 서로 엇갈리게해서 하부에 설치한 상기 롤러체인의 수납케이스(309)에 정연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 동 수용케이스의 사이에 승강레일이 짜넣어지므로, 횡행반송장치A와 승강레일B를 일체적으로 조립할 수 있어, 반송,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게 된다.
또, 스프로킷을 제1중간스프로킷(4a)에 체인을 상향으로 바꾸어 설치하므로써, 본 장치를 자체의 승강에 의해서 스스로 승강설치할 수 있다(제3도참조).
또 승강레일B를 매단 승강레일을 인터록기구(15)에 의해서 다른 수평레일b에 인터록해서, 승강프레임의 승강과 동수평레일에 의한 수평이동에 의해서 목적의 반송위치에 도달시킨다.
또 모노레일의 중앙스토퍼(16)는 호이스트의 짐매달기, 승강시의 동스토퍼를 폐쇄해서 호이스트를 정지하여, 매단짐을 안정시켜서 승강하고, 수평이동시는 상기 스토퍼를 개방한다.
또, 좌우의 사이드스토퍼(16a)는 매단 위치에 접근해서 설치되어 있으므로, 모노레인 호이스트P는 그 범위에서 이동하고, 이동해도 기울어짐이 없이, 자재등을 좌우로 이동하고, 매달아 내릴때의 호이스트의 위치결정이 용이하고, 조작이상이나 고장시의 폭주를 방지해서 모노레일로부터의 호이스트의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관한 수직, 수평반송장치에 의하면, 횡행반송장치에 있어서의 대략 직사각형의 횡행가설대의 상면 4귀퉁이에 배설된 주행차륜을, 상부몸체하면에 배설된 주행레일을 따라서 이동시키므로써, 주행레일범위내에 상기 횡행반송장치가 수평이동하고, 동횡행반송장치의 감아올림장치를 작동해서 가설대에 매달린 승강레일을 승강하므로써, 호이스트가 목적의 위치에 도달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지상의 물류시설, 혹은 지하공사에 따르는 자재의 반출입에 있어서, 반송하는 승강로의 상부에 횡행반송장치를 설치하고, 승강레일을 매달아서 설치된 본장치에 의해서 짐풀기하는 자재등을 지상부에서 거둬들이고, 그대로 목적의 반송장소에 일련의 수직, 수평 양작동에 의해서 반송을 가능하게 하여, 인력을 요하는 일없이 반송하므로서 중노동으로부터 해방되고, 작업성이 향상되고, 작업의 안전성이 개선되고, 노동환경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2발명에 의하면, 횡행반송장치의 감아올림장치에 있어서의 1쌍의 구동축의 한쪽을 장축으로 하고, 다른쪽을 단축으로해서 각축선단부에 스프로킷을 설치하고, 체인이 감아올려졌을 때 스프로킷이 엇갈리게 하부에 배설한 수납케이스에 정연하게 수용되고, 또 수납케이스의 사이에 승강레일이 짜넣어지므로, 횡행반송장치와 승강레일을 일체적으로 조립할 수 있고, 반송,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게 된다.
또 스프로킷으로부터 제1중간스프로킷에 체인을 상향으로 바꾸어 설치하므로써, 본장치를 자체의 승강작용에 의해서 스스로 승강시켜서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발명에 의하면, 승강레일을 횡행반송장치의 감아올림장치에 의해, 체인을 아래로 드리우고 승강프레임의 걸림부에서 매달아서 모노레일호이스트는 승강하고, 인터록기구에 의해 다른 수평레일에 도킹해서 동 수평레일에 주행자재하게 옮겨타서 승강레일의 승강과 수평레일에 의한 수평이동에 의해서, 횡행반송장치를 목적의 반송위치에 도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발명에 의하면, 스토퍼기구가 중앙과 좌우에 배설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의 수직·수평반송장치가 어떠한 이유에 의해서 이상조작을 하였을때나, 고장때의 폭주를 방지해서, 모노레일로부터 호이스트가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다.

Claims (4)

  1. 대략 직사각형의 횡행가설대와, 동 가설대의 상면 4귀퉁이에 배설되고, 동 횡행가설대의 긴쪽방향과 직교방향으로 뻗는 상부몸체 하면에 배설된 주행레일을 따라서 이동하는 주행차륜 및 동주행차륜의 구동장치와, 상기 횡행가설대에 장착되고, 동가설대에 매달린 승강레일을 구동하는 감아올림장치로 이루어진 횡행반송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수평반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행반송장치는, 상기 횡행가설대위에 장착된 구동모터와, 동 구동모터에 접속된 마이터기어와, 동마이터기어에 좌우대칭으로 접속된 감속기어와, 동 각 감속기어에 직교해서 배설된 1쌍의 구동축을 구비하고, 동 1쌍의 구동축의 한쪽을 장축으로 구성하는 동시에 다른쪽을 단축으로 구성하고, 동 장단각축의 선단부에 스프로킷을 장착하고, 동 스프로키의 하부에 축심을 어긋나게해서 중간스프로킷을 상기 횡행가설대에 장착하고, 상기 스프로킷과 중간스프로킷에 걸쳐서 체인을 감고, 상기 횡행가설대의 하부에 있어서 상기 장단 각축의 선단부스프로킷사이에 체인수납케이스를 매달고, 상기 스프로킷에 감은 체인의 일단부를 상기 수납케이스내에 수용하는 동시에, 한쪽의 체인끝부분에는 상기 중간 스프로킷을 개재해서 승강레일을 매달아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수평반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행가설대의 하부에 매다는 승강레일은, 직사각형의 슬링프레임본체와, 동 슬링프레임본체의 긴쪽방향으로 직교해서 슬링주재를 평행해서 배설하여 이루어진 승강대와, 상기 각 슬링주재의 선단부에 체인걸림부가 배설되고, 상기 슬링프레임본체의 하면에 모노레일을 매달고, 동모노레일의 선단부에는 다른 수평모노레일과 걸어맞춤하는 인터록기구를 구비하고, 동모노레일에 주행자재하게 매달기호이스트를 매달아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수평반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레일의 중앙과 좌우에 각각 트롤리호이스트의 스토퍼기구를 설치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수평반송장치.
KR1019960006602A 1995-03-13 1996-03-13 수직.수평반송장치 KR100191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52637 1995-03-13
JP7052637A JPH08245169A (ja) 1995-03-13 1995-03-13 垂直・水平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035A KR960034035A (ko) 1996-10-22
KR100191793B1 true KR100191793B1 (ko) 1999-06-15

Family

ID=1292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6602A KR100191793B1 (ko) 1995-03-13 1996-03-13 수직.수평반송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8245169A (ko)
KR (1) KR1001917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59625A (zh) * 2016-12-22 2017-08-18 中铁五局集团有限公司 一种步进式自行移动栈桥的引桥提升机构
CN108439225A (zh) * 2018-03-28 2018-08-24 广东省工业设备安装有限公司 一种地铁轨道区广告灯箱安装吊装装置
CN109458187B (zh) * 2018-12-31 2023-11-24 厦门厦工中铁重型机械有限公司 一种盾构机刀具转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035A (ko) 1996-10-22
JPH08245169A (ja) 1996-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102957B (fi) Köysikahmarin ohjausjärjestelmä
KR100191793B1 (ko) 수직.수평반송장치
CN210133822U (zh) 一种起吊转运装置
JP3994458B2 (ja) 垂直・水平搬送装置の運転方法
JP4509875B2 (ja) 建物外壁部施工用の資材搬送システム
JPH03177205A (ja) トンネルセグメントの一時保管・搬入設備
JPH079156B2 (ja) セグメント搬送装置
KR20090090082A (ko) 후크의 회전장치
CN111847270A (zh) 一种起吊转运装置
KR102725919B1 (ko) 대형모터교체장치
CN218402571U (zh) 一种便于安装的屋顶金属网片运输装置
CN118495301B (zh) 一种便于输送材料的建筑工程货梯
CN219081612U (zh) 防水板台车自动上料机构
CN218290055U (zh) 一种建筑砌块垂直运输装置
JPH10176420A (ja) 地下工事における資材の搬送方法及び装置
KR101894743B1 (ko) 호이스트의 탈·장착이 용이한 크레인의 구조
JPH0636049Y2 (ja) 水平ジブクレーン
JPH10331599A (ja) 隧道構築用覆工セグメントの搬入システム
JP3602623B2 (ja) 運搬装置
JP2006225913A (ja) 覆工セグメントの搬送システム
JPS61248827A (ja) 差込み荷役装置
JPS63270258A (ja) コンテナ荷役用ロ−ダ
JPH09328289A (ja) 天井クレーンの垂直揚重装置およびその垂直揚重装置を用いた搬送方法
JPH0797182A (ja) ホイスト型タワークレーン
JP2005082280A (ja) クレー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3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3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4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