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85093B1 - 토너잔량 표시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토너잔량 표시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093B1
KR0185093B1 KR1019960019675A KR19960019675A KR0185093B1 KR 0185093 B1 KR0185093 B1 KR 0185093B1 KR 1019960019675 A KR1019960019675 A KR 1019960019675A KR 19960019675 A KR19960019675 A KR 19960019675A KR 0185093 B1 KR0185093 B1 KR 0185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amount
remaining
microcomputer
sen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9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3923A (ko
Inventor
정진민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19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093B1/ko
Publication of KR9800039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39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0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16User-machine interface; Display panels; Control conso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03G15/556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for toner consumption, e.g. pixel counting, toner coverage detection or toner density measur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사기의 사용자에게 토너의 잔량을 알려주기 위한 토너잔량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토너의 잔량을 사용자가 수시로 알 수 있도록 표시함으로써 토너 보충시기를 미리 알 수 있는 토너잔량 표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전원이 ON되면, 제1센서 내지 제4센서(1∼4)가 토너용기(10)의 레벨 포인트(1a∼4a)속에 있는 토너의 량을 감지하게 되는데, 이때 제1 내지 제4센서(1∼4)에 의해 검출된 신호에 따라 마이콤(5)에 의해 토너잔량 100%, 토너잔량 75%, 토너잔량 25% 및 토너잔량 0%을 컨트롤 패널(6)에 있는 해당램프를 점등시키는 것으로, 제1센서 내지 제4센서(1∼4)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0,0,0,0(토너잔량 100%), 1,0,0,0(토너잔량 75%), 1,1,0,0(토너잔량 50%), 1,1,1,0(토너잔량 25%), 1,1,1,1토너잔량 0%)중 어느 하나에 해당되는 지를 마이콤(5)에 의해 비교 판단한 뒤 마이콤(5)이 컨트롤 페널(6)에 결합된 램프를 점등시킨다.

Description

토너잔량 표시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토너잔량 표시장치가 부탁된 토너 캐트리지의 요부 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토너잔량 표시장치가 부착된 토너 캐트리지의 평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토너잔량 표시방법에 따라 회로적으로 처리되는 디스플레이 공정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센서들에 의해 검출된 신호와 마이콤에 설정치를 갖는 마치콤과의 관계를 도시하는 비교판단 조건표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토너잔량에 따른 점증되어 지는 컨트롤 패널에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제1 내지 제4센서 1a∼4a : 레벨 포인트
10 : 토너용기 21 : 수직프레임
22 : 하우징 30 : 호퍼
31 : 태양기어 33 : 감속기어
35 : 유성기어 M : 구동모터
본 발명은 토너잔량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너 용기에 들어 있는 토너(Toner)의 잔량을 사용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알려주기 위한 토너잔량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사기 혹은 레이저 프린터에는 출력을 위한 토너가 사용되는데, 이렇나 토너는 토너용기에 담겨져 복사기 혹은 레이저 프린터속에 결합되게 된다. 이때, 복사기 혹은 프린터의 작동에 따라 토너 용기에 들어 있는 토너가 드럼 표면에 대전현상에 의해 소량씩 소모되어 재보충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복사기 혹은 레이저 프린터는 토너 용기 속의 들어있는 토너량을 사용자가 쉽게 확인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결구 토너가 서의 소모되기 직전에 컨트롤 패널(Panel)에 토너의 재공급의 시기를 알려주는 기능이 설치되어 있으나 토너가 거의 소모되기 직전에 토너의 잔량이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됨으로 만일 보충용 토너가 준비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갑작스럽게 많은 복사 혹은 인쇄물이 생기는 경우 불가피하게 작업을 중단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해 사용자가 토너의 잔량을 사용도중에도 손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너의 재공급의 시기를 사전에 예상할 수 있다면 매우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토너잔량 표시에 따른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토너의 소모량에 따라 사용자가 예비 토너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토너용기에 들어 있는 토너의 잔량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는 토너잔량 표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너 용기에 들어 있는 토너의 잔량을 사용자가 사용도중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너의 보충 시기를 예측할 수 있도록 토너의 잔량을 검출할 수 있는 토너잔량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토너 용기에 들어 있는 토너의 잔량을 사용자가 사용도중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토너의 보충 시기를 예측하여 예비 토너를 준비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여 토너를 즉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단없이 복사 및 인쇄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토너잔량 표시방법은 토너용기의 원주면에 높이를 달리하는 레벨 포인트를 설치하고 그 레벨 포인트들에 각각의 센서들을 설치하여 그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컨트롤 패널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램프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토너잔량 표시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를 참조하면,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토너잔량 표시장치를 채용한 토너용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요부단면도로서, 토너 표시장치는 토너용기(10)의 원주면에 높이를 달리하는 레벨 포인트(1a∼4a)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레벨 포인트(1a∼4a)에는 제1 내지 제4센서(1∼4)가 수직프레임(21)에 결합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22는 수직프레임(21)을 지지하는 하우징이다.
상기 센서들은 발광 및 수광부가 한 쌍으로 구성된 포토센서(Photo Sensor)로서, 발광부에서 발광된 빛이 수광부에 전달되면 전기적으로 ON, OFF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 신호를 전기적으로 변환(OFF시 0, ON시 1의 값으로 변환)하여 이를 마이콤(5)으로 전달한다. 아울러, 토너용기(10)는 복사기 혹은 레이저 프린터에 설치시 용기를 거꾸로 세워 호퍼(30)의 상부에 설치되는데 호퍼(30)의 상부에 용기(10)의 주연부가 결합되어 일정량씩 토너가 호퍼속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토너 공급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토너 공급수단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되는 태양기어(31)와 맞물려 회전되는 감속기어(33)와, 감속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유성기어(35)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M)의 태양기어(31)에 의해 전달되어진 동력이 유성기어(35)를 회전시켜 유성기어(35)에 의해 토너용기의 주연부가 개방되어 호퍼속으로 토너가 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장치에 의해 레벨 포인트에 토너의 유무를 전기적으로 판독하여 그 판독치를 외부의 컨트롤 페널에 표시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토너잔량 표시방법은 전원이 ON되면, 제1센서 내지 제4센서(1∼4)가 토너용기(10)의 레벨 포인트(1a∼4a)속에 들어 있는 토너의 유무를 동시에 감지하게 되는데, 이때 제1 내지 제4센서(1∼4)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없는(OFF) 경우 마이콤(5)에 의해 토너잔량100%로 디스플레이 하는 제1단계와;
제1센서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있고(ON), 제2센서 내지 제4센서(2∼4)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없는(OFF) 경우에는 마이콤(5)에 의해 토너잔량 75%로 디스플레이 하는 제2단계와;
제1센서(1) 및 제2센서(2)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있고, 제3센서(3) 및 제4센서(4)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없는 (OFF) 경우에는 마이콤(5)에 의해 토너잔량 50%로 디스플레이 하는 제3단계와;
제1 내지 제3센서(1∼3)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있고, 제4센서(4)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없는(OFF) 경우에는 마이콤(5)에 의해 토너잔량 25%로 디스플레이 하는 제4단계와;
제1 내지 제4센서(1∼4)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모두 있는 경우, 마이콤(5)에 의해 토너잔량 0%(재공급)로 디스플레이 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단계로 수행되는 본 발명에 따른 토너잔량 표시방법에 따른 작용예와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M)가 작동되면 태양기어(31)와 맞물려 있는 감속기어(33)가 회전되면서 유성기어(35)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유성기어(35)가 회전되면, 토너용기(10)에 들어 있는 토너가 그 주연부를 통해 호퍼(30)속으로 떨어져 스크류(37)에 의해 드럼 표면 쪽으로 운송되어 진다. 이와 같이 용기속에 토너가 소모되면 높이가 다른 복수개의 레벨 포인트(1∼4)중 어느 한 포인트 이하로 토너가 남아 있을 경우 용기의 레벨 포인트(1a∼4a)주위에 설치된 제1 내지 제4센서(1∼4)가 동작하여 그 판독치(광신호가 발광부로부터 레벨 포인트를 투과하여 수광부로 전달되면 전기적인 신호로 바뀜 예를 들어, 광투과시 1 광 비투과시 0)를 마이콤(5)으로 전달하게 된다.
먼저, 제1단계로서, 토너용기(10)속에 토너가 만충(토너잔량 100%)된 상태인 경우, 제1내지 제4센서(1∼4)는 어느 것도 작동하지 않게 됨으로, 마이콤(5)은 설정된 제1 내지 제4센서(1∼4)로부터 검출된 신호는 0,0,0,0이 되는데 이 신호는 마이콤(5)으로 전달되어 마이콤(5)이 설정된 조건 즉 제4도의 1번과 같은 조건이 되면 마이콤에 의해 컨트롤 패널(6)상에 배치된 토너잔량 100% 만충표시 램프를 점등시킨다. 이와 같은 상황은 토너용기(10)속에 들어 있는 토너가 레벨 포인트(1a)미만이 될 때까지 즉, 각각의 센서의 검출치가 0,0,0,0이 되는 동안 지속된다.
제2단계로서, 토너가 레벨 포인트(1a)미만이고 레벨 포인트(2a)사이에 위치된 경우로서, 제1센서(1) 및 제2 내지 제4센서(2∼4)에 의해 검출된 신호는 마이콤(5)으로 전달되어 마이콤에 설정된 설정치와 비교한다. 따라서 검출신호가 걸정된 설정치와 동일한 조건 즉 제4도의 2번과 같은 조건이 되었을 때 마이콤(5)에 의해 잔량 75%의 램프를 점등시키게 된다. 전술한 제2단계는 토너용기(10)속에 들어 있는 토너가 레벨 포인트(2a)미만이 될 때까지 즉, 각각의 센서의 검출치가 1,0,0,0이 되는동안 지속된다.
제3단계로서, 토너가 레벨 포인트(2a)미만이고 레벨 포인트(3a)사이에 위치된 경우로서, 제1과 제2센서(1∼2) 및 제3과 제4센서(3∼4)에 의해 검출된 신호는 마이콤(5)으로 전달되어 마이콤에 설정된 설정치와 비교한다. 따라서 검출신호가 설정된 설정치와 동일한 조건 즉 제4도의 3번과 같은 조건이 되었을 때 마이콤(5)에 의해 잔량 50%의 램프를 점등시키게 된다. 전술한 제3단계는 토너용기(10)속에 들어 있는 토너가 레벨 포인트(3a)미만이 될 때가지 즉, 각각의 센서의 검출치가 1,1,0,0이 되는 동안 지속된다.
제4단계로서, 토너가 레벨 포인트(3a)미만이고 레벨 포인트(4a)사이에 위치된 경우로서, 제1 내지 제3센서(1∼3) 및 제4센서(4)에 의해 검출된 신호는 마이콤(5)으로 전달되어 마이콤(5)에 설정된 설정치와 비교한다. 따라서 검출신호가 설정된 설정치와 동일한 조건 즉 제4도의 4번과 같은 조건이 되었을 때 마이콤(5)에 의해 잔량 25%의 램프를 점등시키게 된다. 전술한 제4단계는 토너용기(10)속에 들어 있는 토너가 레벨 포인트(4a)미만이 될 때까지 즉, 각각의 센서의 검출치가 1,1,1,0이 되는 동안 지속된다.
제5단계로서, 용기 속에 들어 있는 토너가 레벨 포인트(4a)미만인 경우로서, 제1 내지 제4센서(1∼4)에 의해 검출된 신호는 마이콤으로 전달되어 마이콤(5)에 설정된 설정치와 비교한다. 따라서 검출신호가 설정된 설정치와 동일한 조건 즉 제4도의 5번과 같은 조건이 되었을 때 마이콤(5)에 의해 토너잔량 0%의 램프를 점등시키게 된다. 전술한 제5단계는 토너용기(10)속에 들어 있는 토너가 레벨 포인트(4a)미만이 될 때까지 즉, 각각의 센서의 검출치가 1,1,1,1이 되는 동안 지속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너용기의 레벨 포인트에 따라 그 속에 들어 있는 토너의 잔량을 사용자가 손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토너가 소모되기 전에 필요한 보충용 토너를 확보할 수 있는 여유가 있기 때문에 갑작스런 복사중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전원이 ON되면, 제1센서 내지 제4센서(1∼4)가 토너용기(10)의 레벨 포인트(1a∼4a)속의 토너의 유무를 동시에 감지하여 제1내지 제4센서(1∼4)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없는 경우 마이콤(5)에 의해 토너잔량 100%로 디스플레이 하는 제1단계와;
    제1센서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있고(ON), 제2센서 내지 제4센서(2∼4)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없는(OFF) 경우에는 마이콤(5)에 의해 토너잔량 75%로 디스플레이 하는 제2단계와;
    제1센서(1) 및 제2센서(2)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있고, 제3센서(3) 및 제4센서(4)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없는(OFF) 경우에는 마이콤(5)에 의해 토너잔량 50%로 디스플레이 하는 제3단계와;
    제1내지 제3센서(1∼3)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있고, 제4센서(4)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없는(OFF) 경우에는 마이콤(5)에 의해 토너잔량 25%로 디스플레이 하는 제4단계와;
    제1내지 제4센서(1∼4)에 의해 검출된 신호가 모두 있는 경우, 마이콤(5)에 의해 토너잔량 0%로 디스플레이 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잔량 표시방법.
  2. 원주면의 높이를 달리하는 복수개의 레벨 포인트(1a∼4a)를 구비하는 토너의 용기(10)와;
    상기 용기에 들어 있는 토너를 일정량씩 배출시키기 위한 토너 공급수단과;
    상기 각각의 레벨 포인트들과 이웃하게 하우징에 결합되어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제1 내지 제4센서(1∼4)가 결합된 수직프레임(21)과;
    상기 제1 내지 제4센서(1∼4)들에 의해 검출된 신호와 설정된 설정치와 비교 분석하는 마이콤(5)과;
    마이콤(5)의 분석에 의해 컨트롤 패널(6)에 배열된 해당 램프를 점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너잔량 표시장치.
KR1019960019675A 1996-06-03 1996-06-03 토너잔량 표시방법 및 장치 KR0185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9675A KR0185093B1 (ko) 1996-06-03 1996-06-03 토너잔량 표시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9675A KR0185093B1 (ko) 1996-06-03 1996-06-03 토너잔량 표시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923A KR980003923A (ko) 1998-03-30
KR0185093B1 true KR0185093B1 (ko) 1999-04-15

Family

ID=19460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9675A KR0185093B1 (ko) 1996-06-03 1996-06-03 토너잔량 표시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0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35596B2 (en) 2021-08-09 2025-02-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oner refill cartridge indicating whether toner has been discharge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15897B2 (ja) * 2000-02-15 2005-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798946B2 (ja) 2003-11-17 2011-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補給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235596B2 (en) 2021-08-09 2025-02-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Toner refill cartridge indicating whether toner has been discharg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3923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34747A (en) Copying machine with a copy paper detection device
US4693459A (en) Sheet feeding system in recording apparatus
US20030133722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detecting a remaining amount of toner with high accuracy
US4688929A (en) Combined alarm display and numerical display for electrophotographic copying machine
KR0185093B1 (ko) 토너잔량 표시방법 및 장치
US4577953A (en) Apparatus for detecting normal/abnormal mounting of belt-like photosensitive member in copying machine
US5070368A (en) Developing apparatus
JPH06258910A (ja) 多色画像形成装置
US4958188A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one reset switch for resetting one type of trouble and a second reset switch for resetting a second type of trouble
JPS63115756A (ja) 記録装置
KR100309321B1 (ko) 엘이디 어레이 바 테스터
JPS56102863A (en) Electrophotographic copying apparatus
JPS6052862A (ja) ユニツト構造体の装着不良検知装置
KR950000409B1 (ko) 용지 적재량 검지장치 및 방법
JPS61180266A (ja) 画像形成装置
JPS5968756A (ja) 複写機
JPS59152461A (ja) 複写機の制御装置
CN212964663U (zh) 一种机电设备生产用检测台
JPS60209762A (ja) 電子複写機
JPH0772673A (ja) トナー補給装置
JPH0797099A (ja) 用紙の色識別装置
KR100608019B1 (ko) 화상형성장치
JPS6265851A (ja) 給紙装置の制御方法
KR100242015B1 (ko) 용지카세트의용지잔여량감지장치
JPH04309195A (ja) カウンタを持つ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6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6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2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2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