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874B1 -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83874B1 KR0183874B1 KR1019960019166A KR19960019166A KR0183874B1 KR 0183874 B1 KR0183874 B1 KR 0183874B1 KR 1019960019166 A KR1019960019166 A KR 1019960019166A KR 19960019166 A KR19960019166 A KR 19960019166A KR 0183874 B1 KR0183874 B1 KR 01838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ly voltage
- power supply
- transistors
- internal
- generating circuit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11C5/14—Power supply arrangements, e.g. power down, chip selection or deselection, layout of wirings or power grids, or multiple supply levels
- G11C5/147—Voltage reference generators, voltage or current regulators; Internally lowered supply levels; Compensation for voltage dro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ram (AREA)
- Continuous-Control Power Sources That Use Transist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1)
- 제1기준전압과 내부 전원전압의 전위차를 비교하는 전류미러형 차동증폭기와, 상기 차동증폭기의 출력단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내부 전원전압을 발생하는 드라이버를 갖는 반도체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에 있어서, 상기 차동증폭기가, 전류미러를 구성하는 제1 및 제2 부하 트랜지스터; 상기 제1기준전압과 상기 내부 전원전압을 각각 입력으로 받아 비교하여 출력단에 출력하는 제1 및 제2차동 트랜지스터; 및 외부 전원전압이 상기 내부 전원전압보다 낮게 공급될 때 상기 외부 전원전압과 상기 내부 전원전압을 동일한 레벨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부하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 및 제2차동 트랜지스터 사이에 각각 개재되고, 제2기준전압을 입력으로 하는 제1 및 제2제어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부하 트랜지스터는 P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제어 트랜지스터는 P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차동 트랜지스터는 N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부하 트랜지스터는 게이트가 서로 접속되고, 각각의 소오스가 상기 외부 전원전압에 접속되고, 각각의 드레인이 상기 제1 및 제2제어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에 각각 접속되며, 상기 제2부하 트랜지스터와 게이트와 드레인이 서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제어 트랜지스터는 게이트가 모두 상기 제2기준전압에 접속되고, 소오스가 모두 벌크에 접속되며, 각각의 드레인이 상기 제1 및 제2차동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각각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차동 트랜지스터는 각각의 게이트가 상기 제1기준전압 및 상기 내부 전원전압에 각각 접속되고, 소오스가 모두 전류원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상기 제1차동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이 상기 출력단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원 트랜지스터는 NMOS 트랜지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원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는 상기 차동증폭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신호가 접속되고, 소오스는 접지전압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준전압의 레벨은 상기 제1기준전압의 레벨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준전압은 일정한 전압레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19166A KR0183874B1 (ko) | 1996-05-31 | 1996-05-31 |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19166A KR0183874B1 (ko) | 1996-05-31 | 1996-05-31 |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76798A KR970076798A (ko) | 1997-12-12 |
KR0183874B1 true KR0183874B1 (ko) | 1999-04-15 |
Family
ID=19460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19166A KR0183874B1 (ko) | 1996-05-31 | 1996-05-31 |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8387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2873B1 (ko) * | 2003-06-10 | 2007-10-08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내부 전압 발생기 |
KR100587087B1 (ko) * | 2004-11-15 | 2006-06-08 |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 반도체 장치용 내부전압 발생기 |
-
1996
- 1996-05-31 KR KR1019960019166A patent/KR018387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76798A (ko) | 1997-12-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00077315A (ko) | 노이즈의 영향을 적게 받는 반도체 장치 | |
JPH05101658A (ja) | ダイナミツク型ランダムアクセスメモリ装置 | |
KR100549947B1 (ko) | 집적회로용 기준전압 발생회로 | |
KR100954110B1 (ko) | 파워업 신호 생성회로 및 그를 이용한 집적회로 | |
KR100226486B1 (ko) | 고출력 전압 생성용 반도체 회로 | |
JP2000057772A (ja) | 半導体記憶装置 | |
JP4166014B2 (ja) | 高電圧感知器 | |
KR100403341B1 (ko) | 파워-업 신호 발생회로 | |
KR0183874B1 (ko) |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내부 전원전압 발생회로 | |
KR100230372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내부 전압 변환기 | |
US6052317A (en) | Output circuit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 |
JP2000075940A (ja) | 半導体装置 | |
US5886550A (en) | Integrated circuit built-in type supply power delay circuit | |
KR100265594B1 (ko) | 파워-업회로 | |
JP3224712B2 (ja) | 論理&レベル変換回路及び半導体装置 | |
KR100390904B1 (ko) | 내부 전원 전압 발생회로 | |
KR100186307B1 (ko) | 내부 전원전압 보상회로 | |
KR100256129B1 (ko) | 기판 바이어스전위 발생장치 | |
KR100576490B1 (ko) | 파워-업 회로 | |
KR100235965B1 (ko) | 기판전위 발생기 | |
KR100783368B1 (ko) | 스타트업모듈 | |
KR100390993B1 (ko) | 파워 업 발생장치 | |
KR20000000994A (ko) | 파워-업 신호 발생장치 | |
KR20040011790A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셀 어레이 전원전압 발생회로 | |
KR100206603B1 (ko) |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데이타 출력 버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53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5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8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1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11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11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3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11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611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1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