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83515B1 - 2중 골심판지 및 그 성형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2중 골심판지 및 그 성형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515B1
KR0183515B1 KR1019950008323A KR19950008323A KR0183515B1 KR 0183515 B1 KR0183515 B1 KR 0183515B1 KR 1019950008323 A KR1019950008323 A KR 1019950008323A KR 19950008323 A KR19950008323 A KR 19950008323A KR 0183515 B1 KR0183515 B1 KR 0183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ugated cardboard
corrugated
bone
sided
lin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8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269A (ko
Inventor
김도욱
김기정
Original Assignee
김승무
대영포장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19950008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3515B1/ko
Application filed by 김승무, 대영포장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승무
Priority to FI964933A priority patent/FI964933L/fi
Priority to US08/750,490 priority patent/US5894046A/en
Priority to EP95927085A priority patent/EP0759850B1/en
Priority to PL95317710A priority patent/PL317710A1/xx
Priority to SK1561-96A priority patent/SK279155B6/sk
Priority to DK95927085T priority patent/DK0759850T3/da
Priority to PT95927085T priority patent/PT759850E/pt
Priority to APAP/P/1997/000927A priority patent/AP697A/en
Priority to JP08530900A priority patent/JP3040173B2/ja
Priority to HU9603397A priority patent/HUT77658A/hu
Priority to RU97100674/12A priority patent/RU2151062C1/ru
Priority to BR9507953A priority patent/BR9507953A/pt
Priority to DE69515864T priority patent/DE69515864T2/de
Priority to CN95193491A priority patent/CN1150404A/zh
Priority to AU31221/95A priority patent/AU678909B2/en
Priority to AT95927085T priority patent/ATE190907T1/de
Priority to PCT/KR1995/000098 priority patent/WO1996032249A1/en
Priority to ES95927085T priority patent/ES2143643T3/es
Priority to NZ290477A priority patent/NZ290477A/en
Priority to CA002192591A priority patent/CA2192591A1/en
Priority to CZ19963596A priority patent/CZ9603596A3/cs
Publication of KR960037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269A/ko
Priority to MXPA/A/1996/006282A priority patent/MXPA96006282A/xx
Priority to NO965285A priority patent/NO965285L/no
Priority to OA60934A priority patent/OA10466A/en
Priority to BG101120A priority patent/BG62560B1/bg
Priority to JP9283293A priority patent/JP2967068B2/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515B1/ko
Priority to GR20000401220T priority patent/GR3033529T3/el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20Corrugating; Corrugating combined with laminating to other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MECHANICAL WORKING OR DEFORMATION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F1/00Mechanical deformation without removing material, e.g. in combination with laminating
    • B31F1/20Corrugating; Corrugating combined with laminating to other layers
    • B31F1/24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 B31F1/26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by interengaging toothed cylinders cylinder constructions
    • B31F1/28Making webs in which the channel of each corrugation is transverse to the web feed by interengaging toothed cylinders cylinder constructions combined with uniting the corrugated webs to flat webs ; Making double-faced corrugated cardboar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0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 Y10T156/1025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permanent bending or reshaping or surface deformation of self sustaining lamina to form undulated to corrugated sheet and securing to base with parts of shaped areas out of conta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628Nonplanar uniform thickness material
    • Y10T428/24661Forming, or cooperating to form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628Nonplanar uniform thickness material
    • Y10T428/24669Aligned or parallel nonplanarities
    • Y10T428/24694Parallel corrug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628Nonplanar uniform thickness material
    • Y10T428/24669Aligned or parallel nonplanarities
    • Y10T428/24694Parallel corrugations
    • Y10T428/24711Plural corrugated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26Spot bonds connect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chines For Manufacturing Corrugated Board In Mechanical Paper-Making Processes (AREA)
  • Buffer Packaging (AREA)
  • Paper (AREA)
  • Wra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이중-골심 골판지를 성형하기 위한 방법은, 제1골심지(101)와 제1라이너(102)를 제1적층 스테이션(10)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1골심지(101)를 예정된 골 피치 및 골 높이를 갖도록 연속적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제1골심지(101)를 상기 제1라이너(102)상에 연속적으로 그리고 자동적으로 적층시켜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를 형성하는 단계; 제2골심지(104)를 제2적층 스테이션(40)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2골심지(104)를 상기 제1골심지(101)의 골 피치 및 골 높이와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게 되는 선택된 골 피치 및 골 높이를 갖도록 연속적으로 그리고 자동적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상에 상기 제2골심지(104)를 연속적으로 그리고 자동적으로 적층시켜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105)를 형성하는 단계; 제2라이너(106)를 제3적층 스테이션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105)상에 상기 제2라이너(106)를 연속적으로 그리고 자동적으로 적층시켜 양면 이중-골심 골판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중-골심 골판지와 그 성형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골심 골판지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성형장치에 있어서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를 형성하기 위한 제2적층 스테이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에 제2라이너를 적층시키기 위한 제3적층 스테이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골판지의 단면도로서, 제4a도는 일면에 제1라이너에 적층되고 나서 다른 일면에는 제2라이너가 적층되는 단일 골심지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양면 단일-골심 골판지를 나타내는 도면.
제4b도는 동일한 골 피치 및 서로 다른 골 높이를 갖는 두 장의 골심지를 포함하는 양면 이중-골심 골판지를 나타내는 도면.
제4c도는 동일한 골 피치 및 동일한 골 높이를 가지면서 곡률이 서로 다르게 되는 두 장의 골심지를 포함하는 양면 이중-골심 골판지를 나타내는 도면.
제4d도는 서로 다른 골 피치 및 서로 다른 골 높이를 갖는 두 장의 골심지를 포함하는 양면 이중-골심 골판지를 나타내는 도면.
제4e도는 동일한 골 피치 및 동일한 골 높이를 갖는 두 장의 골심지를 포함하는 양면 이중-골심 골판지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골심 골판지의 부분 확대도로서, 제5a도는 라이너와 골심지의 일반적인 접착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5b도는 라이터의 골심지의 선택적인 접착 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40 : 적층 스테이션 11, 41 : 골심지 공급 로울
12 : 제1라이너 공급 로울 13, 14 : 골성형 로울러
15 : 접착제 도포용 로울러 16 : 접착제 용기
17 : 전이 로울러 19 : 프레스 벨트
20 : 벨트 드라이브 로울 21 : 속도조절용 가속 로울
22 : 가이드 텐션 로울 23, 27, 44 : 예열 유니트
24 : 브릿지 25 : 페이퍼 가이더
26 : 텐션 로울 28 : 제2라이너 공급 로울
29 : 접착제 도포 유니트 30 : 가열 플레이트
31 : 가압 벨트 42 : 석션 브레이크
43 : 골위치 센서 101 : 제1골심지
102 : 제1라이너 103 : 판면 단일-골심 골판지
104 : 제2골심지 105 :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
106 : 제2라이너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다양한 상품을 포장하기 위해 사용되는 골판지에 관한 것이고, 특히 골판지의 상하 라이너들 사이에 이중 골심지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킴으로써 두께가 얇으면서도 골판지의 압축강도를 높여 포장용적을 최소화하며 포장물에 가해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포장된 내용물을 보다 안전하게 보존할 수 있는 이중-골심 골판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이중-골심 골판지를 성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당 업계에 잘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화장품 등과 같이 내구성이 비교적 약한 유리제품이나, TV 등과 같이 내충격성에 취약한 전자/전기제품이나, 기타 취급에 상당한 주의가 요구되는 물품은 통상적으로 충격흡수재를 갖는 견고한 상자로 포장된다. 충격흡수재는 외부로부터 상자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포장된 상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선행기술에 있어서는, 물품의 형태로 성형된 스티로폼이나 일정한 형태로 접거나 오려내어 물품이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대지가 충격흡수재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포장될 상품이 냉장고 등과 같이 무거운 중량을 갖는 경우에는, 외부 충격에 대한 충격흡수성능과 함께 그 중량을 충분한 힘으로 지탱할 수 있는 내구성이 요구되고 있는 목재 팔레드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스티로폼으로 제작된 충격흡수재의 경우 성형이 용이하고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지만, 스티로폼은 용이하게 부서지고 정전기를 유발한다. 그러므로, 스티로폼은 그 용이한 부서짐으로 인하여 주변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정전기 발생에 기인하여 고정밀도 제품의 포장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즉, 스티로폼은 한정된 분야에만 제한적으로 이용될 수밖에 없게 된다.
또한, 종이를 일정한 형태로 접어서 조립 형성시킨 대지는 대량생산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대지는 내구성이 약하며 조립시 많은 양의 지분이 발생하여 제품 수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는 등의 부작용을 유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펄프 몰드를 이용하여 성형되는 포장 케이스들이 최근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포장 케이스는 적은 양을 제조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금형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상의 어려움과 함께 제조원가를 상승시키게 된다.
근자에 들어 환경보존에 대한 인식이 점차 증대되면서 사용하고 난 포장재의 처리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데, 특히 스티로폼이나 플래스틱을 이용한 포장재의 경우 재활용이 불가능함은 물론 그 분리작업이 번거롭고 폐기시 공해를 유발하기 때문에, 그 수요가 점진적으로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포장된 상품을 신뢰성있게 보호하고 골판지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패키지 체적을 실질적으로 감소시키기에 적합한 개선된 구조를 갖는 이중-골심골판지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이중-골심 골판지를 연속적으로 그리고 자동적으로 성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이중-골심 골판지가 제공되고 : 상기 이중-골심 골판지는, 제1라이너(102); 예정된 골 피치 및 골 높이를 갖도록 성형되어 상기 제1라이너(102)상에 연속적으로 그리고 자동적으로 적층되며, 그 봉우리 부분들이 상기 제1라이너(102)와의 접촉면 상에서 점접착되므로써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를 형성하는 제1골심지(101; 상기 제1골심지(101)의 골 피치 및 골 높이와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게 되는 선택된 골 피치 및 골 높이를 갖도록 성형되어 상기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상에 연속적으로 그리고 자동적으로 적층되며, 그 봉우리 부분들과 상기 제1골심지(101)의 봉우리 부분들과의 접합부에서 상기 제1골심지(101)에 점접착되므로써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105)를 형성하는 제2골심지(104); 및 상기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105)상에 연속적으로 그리고 자동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제2골심지(104)의 골짜기 부분들과의 접합부에서 상기 제2골심지(104)에 점접착되므로서 양면 이중-골심 골판지를 형성하는 제2라이너(106);를 구비하는 것응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2골심지는 서로 동일한 골 피치 및 서로 다른 골 높이를 갖게 되어 그들의 골짜기 부분들 사이에 충격흡수공간을 마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2골심지는 서로 동일한 골 피치 및 골 높이를 가지면서 서로 다른 곡률을 갖게 되어 그들의 각각의 골짜기 부분들 사이와 봉오리 부분들 사이에 충격흡수공간을 마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2골심지는 상기 제1골심지의 골 피치의 두배에 해당되는 골 피치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제1골심지상에 적층되는 상기 제2골심지의 봉오리 부분 및 골짜기 부분만이 부분적으로 점접착되어 잔여 접촉부위가 비접착 상태로 유지되므로써 각각 독립적으로 변형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제1라이너에 적층되는 상기 각 골심지의 접착점이 접지면 상에 간헐적으로 형성되므로써 상기 각 골심지가 접착점 설치구간 내에서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접착점은 골심지상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봉오리 부분들중 두 개 이상의 봉오리 부분을 건너서 반복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이중-골심 골판지를 성형하기 위한 방법이 제공되고 : 상기 방법은, 제1골심지 및 제1라이너를 제1적층 스테이션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1골심지를 예정된 골 피치 및 골 높이를 갖도록 연속적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제1골심지를 상기 제1라이너상에 연속적으로 그리고 자동적으로 적층시켜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를 형성하는 단계; 제2골심지를 제2적층 스테이션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2골심지를 상기 제1골심지의 골 피치 및 골 높이와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게 되는 선택된 골 피치 및 골 높이를 갖도록 연속적으로 그리고 자동적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상에 상기 제2골심지를 연속적으로 그리고 자동적으로 적층시켜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를 형성하는 단계; 제2라이너를 제3적층 스테이션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상에 상기 제2라이너를 연속적으로 그리고 자동적으로 적층시켜 양면 이중-골심 골판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상에 제2골심지를 적층시키는 상기 단계는, 상기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의 골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의 감지된 골 위치와 제2골심지의 골 위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의 이송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방법은, 프레스 벨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라이너를 상기 제1골심지를 향하여 가압하는 단계; 프레스 벨트를 이용하여 상기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를 상기 제2골심지를 향하여 가압하는 단계; 상기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를 페이퍼 가이더로 안내하여 상기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의 이송 속도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를 균일한 장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예열시키는 단계; 서로 마주보는 상기 편면이중-골심 골판지의 표면 및 상기 제2라이너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 및 상기 제2라이너라 가열 플레이트를 따라 이송되는 동안 예정된 압력으로 상기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 및 제2라이너를 가압하는 단계;를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이중-골심 골판지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제1골심지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골심지 공급 로울과 제1라이너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라이너 공급 로울; 상기 제1골심지 공급 로울과 제1라이너 공급 로울로부터 제1골심지와 제1라이너를 각각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제1골심지를 소정의 골 피치와 골 높이를 갖도록 성형하고 골이 성형된 제1골심지를 상기 제1라이너에 접착시킴으로써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를 형성하는 제1적층 스테이션; 제2골심지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2골심지 공급 로울: 상기 제1적층 스테이션과 상기 제2골심지 공급 로울로부터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와 제2골심지를 각각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제2골심지를 상기 제1골심지의 골 피치 및 골 높이와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게 되는 선택된 골 피치 및 골 높이를 갖도록 성형하고 골이 성형된 제2골심지를 상기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에 접착시킴으로써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를 형성하는 제2적층 스테이션; 제2라이너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2라이너 공급 로울; 및 상기 제2적층 스테이션과 상기 제2라이너 공급 로울로부터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와 제2라이너를 각각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제2라이너를 상기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에 접착시킴으로써 양면 이중-골심 골판지를 형성하는 제3적층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각각의 제 1 및 제2적층 스테이션은, 상기 골심지에 소정의 골을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골성형 로울러; 상부 골성형 로울러의 일측에 배설되어 골심지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용 로울러; 및 상기 한 쌍의 골성형 로울러를 지나면서 골이 형성된 골심지를 제1라이너와 편면 단일-골심골판지에 각각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골성형 로울러의 상측에 설치되는 프레스 벨트와 벨트 드라이브 로울;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상부 골성형 로울러의 표면에 다수의 흡착홀이 형성되므로써 상기 골이 형성된 골심지가 제1라이너와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에 각각 접촉될 때까지 그 골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골성형 로울러는 카트리지 타입으로 되어 교체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골성형 로울러로 공급되는 상기 제1라이너와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는 각각 속도조절용 가속 로울을 지나게 되고, 상기 한 쌍의 골성형 로울러로 공급되는 상기 제1골심지와 제2골심지는 각각 가이드 텐션 로울을 지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골성형 로울러로 안내되는 제1라이너 또는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의 공급속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속도조절용 가속 로울의 전방에 석션 브레이크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석션 브레이크의 작동은 골위치를 감지하는 골위치 센서에 의해 제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2적층 스테이션의 전방에 제 1 및 제 2 예열 유니트가 각각 설치되어 공급되는 제1라이너 또는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가 접착에 필요한 충분한 온도로 예열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장치는, 상기 편면 이중-골심 판지의 이송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2적층 스테이션의 출구측에 제공되는 페이퍼 가이더; 상기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페이퍼 가이더의 출구측에 제공되는 텐션 로울 및 제 3 예열 유니트; 상기 제3적층 스테이션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상기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와 제2라이너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접착제 도포 유니트; 및 접착제가 도포된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와 제2라이너를 가열시키면서 서로 접합시키기 위한 가열 플레이트와 가압 벨트; 를 추가로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기 특성들에 따라, 상부 라이너와 하부 라이너 사이에 배설되면서 서로 다른 골 피치 및 서로 다른 골 높이를 갖는 이중 골심지를 포함하므로써 포장물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작은 두께를 가지면서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내는 이중-골심 골판지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환경 오염을 유발하지 않는 재료로 제조되면서 자동공정을 통하여 생산될 수 있는 저렴하고 재생가능한 이중-골심 골판지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중-골심 골판지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을 도시하고; 제2도에는 제1도의 성형장치에 있어서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를 형성하기위한 제2적층 스테이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을 도시하며; 제3도에는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에 제2라이너를 적층시키기 위한 제3적층 스테이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골심 골판지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는 제1적층 스테이션(10)을 포함한다. 제1적층 스테이션(10)은 제1골심지 공급 로울(11) 및 제1라이너 공급 로울(12)로부터 제1골심지(101) 및 제1라이너(102)를 각각 수납하여, 편면 단일-골심골판지(103)를 성형한다. 제1적층 스테이션(10)의 구조를 제1도에 상세하게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적층 스테이션(10)과 동일한 구조를 취하는 제2적층 스테이션(40)의 구조를 나타내는 제2도를 참조하므로써 제1적층 스테이션(10)의 구조를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제1적층 스테이션(10)은 한 쌍의 골성형 로울러(13, 14), 접착제 도포용 로울러(15), 및 적층 유니트를 포함한다. 한 쌍의 골성형 로울러(13, 14)는 제 1골심지(101)를 그들 사이로 안내하여 소정의 골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다. 접착제 도포용 로울러(15)는 상부 골성형 로울러(13)의 일측면상에 배열되어 골이 형성된 제1골심지(101)의 일표면에 접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한다. 적층 유니트는 프레스 벨트(10) 및 한 쌍의 벨트 드라이브 로울(20)을 구비하며, 프레스 벨트(19) 및 한 쌍의 벨트 드라이브 로울(20)은 상부 골성형 로울러(13)의 상부에 배설되어 제1라이너 공급 로울(12)로부터 공급되는 제1라이너(102)로 하여금 상기 골성형 로울러(13)의 상부로 통과되는 제1골심지(101)와 접촉되도록 한다. 상기 제1라이너 공급 로울(12)과 골성형 로울러(13, 14)의 사이에는 속도조절용 가속 로울(21)이 배열되어 골성형 로울러(13, 14)를 향하여 공급되는 제1라이너(102)의 공급속도를 조절한다. 제1골심지 공급 로울(11)과 골성형 로울러(13, 14)의 사이에는 가이드 텐션 로울(22)이 배설되어 골성형 로울러(13, 14)를 향하여 공급되는 제1골심지(101)에 요구되는 장력을 인가한다.
상기 한 쌍의 골성형 로울러(13, 14)는 제1골심지(101)가 요구되는 골 형상을 갖도록 연속적으로 성형되도록 하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배열되어 서로 맞물린다. 상부 골성형 로울러(13)의 골짜기 부분에는 다수의 흡착홀(도시안됨)이 형성되며, 골성형 로울러들(13, 14)의 사이로 통과되는 제1골심지(101)는 상기 다수의 흡착홀로부터 발생되는 흡인력에 의해 상부 골성형 로울러(13)의 상기 골짜기 부분에 밀착 접촉되어 골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상부 골성형 로울러(13)의 골짜기 부분에 형성되는 상기 흡착홀들은 제1골심지(101)로 하여금 제1라이너(102)에 적층될 때까지 그 골 형상을 신뢰성있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제1골심지(101)가 제1라이너(102)에 접촉되기 시작하면, 상부 골성형 로울러(13)의 소정 흡착홀에는 더 이상 흡인력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제1골심지 공급 로울(11)로부터 공급되는 제1골심지(101)를 소정의 골 피치 및 골 높이를 갖도록 성형하는 상기 골성형 로울러들(13, 14)은 카트리지 형태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카트리지 형태의 골성형 로울러들을 사용하므로써 사용중인 로울러들을 다른 골 피치 및 다른 골 높이를 갖는 다른 로울러들로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카트리지 형태의 로울러들이 상기 골성형 로울러들(13, 14)로서 사용되면, 제1적층 스테이션(10)을 전체적으로 교체시키지 않고 골성형 로울러들(13, 14)을 부분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교체시킴으로써 다른 골 피치 및 다른 골 높이를 갖는 다양한 골심지들을 연속적으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골성형 로울러(13)의 일측면상에서 제1골심지(101)의 일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상기 접착제 도포용 로울러(15)는 액체 접착제를 충진된 접착제 용기(16)내에 부분적으로 침지되는 전이 로울러(17)와 접촉된다. 전이 로울러(17)가 접착제 용기(16)에 부분적으로 침지되므로써, 접착제 용기(16)내의 액체 접착제는 상기 전이 로울러(17)를 경유하여 접착제 도포용 로울러(15)로 전달되고, 순차적으로 제1골심지(101)상에 도포된다.
선택적으로, 다른 접착제 도포수단도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접착제 도포수단은 일련의 접착제 스프레이 노즐들을 갖는 플레이트의 형상을 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제 스프레이 노즐들은 접착제가 도포될 골심지의 형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도포되는 접착제의 폭과 범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부가적인 로울러가 각각의 접착제 용기(16)에 침지되어 전이 로울러(17)와 접촉될 수 있고, 전이 로울러(17)는 순차적으로 상기 접착제 도포용 로울러(15)와 접촉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각각의 접착제 용기(16)내에 있는 액체 접착제는 상기 부가적인 로울러 및 전이 로울러(17)를 접착제 도포용 로울러(15)로 전달되어 제1골심지(101)상에 균일한 두께로 도포된다.
제1적층 스테이션(10)의 상류부분에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예열 유니트(23)가 배열된다. 예열 유니트(23)는 제1라이너(102)가 제1적층 스테이션(10)으로 공급되기 전에 접착을 위해 필요한 소정온도로 제1라이너(102)를 예열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1적층 스테이션(10)의 하류부분에는 제1적층 스테이션(10)과 동일한 구조를 자는 제2적층 스테이션(40)이 배열된다.
제2적층 스테이션(40)에는 상기 제1적층 스테이션(10)으로부터 배출되는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가 공급된다. 제2적층 스테이션(40)은 제2골심지 공급 로울(41)로부터 공급되는 제 2골심지(104)를 상기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에 적층시킨다. 제2적층 스테이션(40)은, 제1골심지(101)를 대신하여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를 수납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적층 스테이션(10)의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2적층 스테이션(40)은 별도의 라이터 공급 로울을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제1적층 스테이션(10)으로 공급되는 제1라이너(102)와 마찬가지로 제2적층 스테이션(4)으로 공급되는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는 예열 유니트(44)의 상부로 통과되어 접착에 필요한 소정 온도까지 예열된다. 제2적층 스테이션(40)의 속도조절용 가속 로울(21)의 상류부분에는 석션 브레이크(42)가 배열되어 제2적층 스테이션(40)의 골성형 로울러들(13, 14)로 공급되는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의 이송속도를 조절하게 된다. 석션 브레이크(42)의 작동은 속도조절용 가속로울(21)과 제2적층 스테이션(40)의 프레스 벨트(19) 사이에 배설되는 골위치 센서(43)에 의해 제어된다. 즉, 상기 골위치 센서(43)는 속도조절용 가속 로울(21)과 프레스 벨트(19)의 사이에서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의 골위치를 감지하여,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의 골위치가 제2적층 스테이션(40)의 상부 골성형 로울러(13)에 물려있는 제2골심지(104)의 골위치와 맞추어지도록 한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장의 골심지들(101, 104)을 갖는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105)의 이송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페이퍼 가이더(25)가 제2적층 스테이션(40)의 출구측에 제공된다. 페이퍼 가이더(25)가 설치되므로써,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105)는 균일한 장력이 인가된 상태에서 브릿지(24)를 따라 자유롭게 이송될 수 있게 된다. 페이퍼 가이더(25)의 하류부분에는 텐션 로울(26) 및 예열 유니트(27)가 설치된다.
상기 텐션 로울(26) 및 하나의 예열 유니트(27)는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105)에 충분한 장력을 인가하는 기능을 하고, 다른 하나의 예열 유니트(27)는 제2라이너 공급 로울(28)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면서 상기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105)에 접착될 제2라이너(106)에 충분한 장력을 인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예열 유니트들(27)의 하류부분에는 접착제 도포 유니트(29)가 배설되어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105)의 제2골심지(104)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상기 예열 유니트들(27)의 하류부분에는 가열 플레이트(30) 및 한 쌍의 가압 벨트(31)가 배열된다.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편면이중-골심 골판지(105)와 제2라이너(106)는 가압 벨트(31)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이송되면서 가열 플레이트(30)에 의해 가열되고 가압벨트(31)에 의해 제공되는 균일한 압축력에 의해 가압된다. 그러므로, 양질의 양면 이중-골심 골판지가 생산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조되는 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골심 골판지를 성형하기 위한 방법을 상술한다:
제1적층 스테이션(10)이 제1골심지(101) 및 제1라이너(102)를 제1골심지 공급 로울(11) 및 제1라이너 공급 로울(12)로부터 수납함에 따라, 상기 제1적층 스테이션(10)은 제1골심지(101)를 소정의 골 피치 및 골높이를 갖도록 성형하고 제1라이너(102)를 프레스 벨트(19)에 의해 가압하므로써 골이 형성된 제1골심지(101)를 상기 제1라이너(102)에 접착시켜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를 형성한다.
상기 프레스 벨트(19)가 한 쌍의 벨트 드라이브 로울들(20)을 감싸도록 구조되어 상부 골성형 로울러(13)에 부분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형성되는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에 프레스 롤 마크가 생성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제1적층 스테이션(10)으로부터 배출되는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는 제2적층 스테이션(40)으로 공급되며, 제2적층 스테이션(40)에서는 제2골심지(104)가 상기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에 접착되어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105)를 형성한다. 상기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105)를 형성할 때에는, 골성형 로울러(13, 14) 및 속도조절용 가속 로울(21)의 속도를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골 피치 및 골 높이를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즉, 제1골심지(101)가 접착된 상기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상에 제2골심지(104)를 적층시키기 위해, 속도 조절용 가속 로울(21)의 구동 AC 서보모터와 골성형 로울러(13, 14)의 구동 AC 서보모터 간의 편차 보정에 있어서 먼저 각각의 1피치를 근접 스위치로 카운트하여 1 카운터 내에서 발생되는 데이터를 연산하고, 그에 따른 위상차를 스피드 데이터로 환산하며, 그 데이터를 다시 서보 앰프에 전송하여 한 개 또는 두 개의 서보모터의 스피드를 제어함으로써 골의 피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며, 그 밖에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105)의 단면을 초고속 카메라를 이용하여 1/1,000 - 1/10,000 초 간격으로 연속 체크하여 순간 순간의 골피치 오차를 영상 데이터로 중앙처리장치(CPU)에 전송하고, 그에 따른 위상차를 스피드 데이터로 환산하며, 그 데이터를 다시 속도 조절용 가속로울(21)의 구동 AC 서보모터와 골성형 로울러(13, 14)의 구동 AC 서보모터의 앰프에 전송하여 서보모터 스피드를 제어함으로써 골의 피치가 조정되도록 하는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제어수단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장치는 제4(b)도 내지 제4(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양한 형상의 골판지들을 제공한다.
제 1 및 제2적층 스테이션(10, 40)의 골성형 로울러들(13, 14)의 크기를 결정할 때는, 이중-골심 골판지의 상부 골심지의 골들에 대한 하부 골심지의 골들의 피치의 비율이 골판지가 목표로 하는 충격흡수성능 및 내구성을 고려하여 먼저 결정되어야 한다.
상기 제1적층 스테이션(10)만이 작동되고 제2적층 스테이션(4)은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면, 제4(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양면 단일-골심 골판지가 얻어진다. 상기 양면 단일-골심 골판지는 제1라이너(102)에 적층되고나서 순차적으로 제2라이너(106)가 적층되는 단일 골심지(101)를 갖는다. 골성형 로울러들(13, 14)을 교체시키면서 두 개의 적층 스테이션들(10, 40)을 모두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제4(b)도 내지 제4(e)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양면 이중-골심 골판지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제4(b)도를 참조하면, 동일한 골 피치 및 서로 다른 골 높이를 갖는 두 장의 골심지(101, 104)를 포함하는 양면 이중-골심 골판지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양면 이중-골심 골판지를 성형하기 위해, 제 1 및 제2적층 스테이션(10, 40)의 쌍을 이루는 골성형 로울러들(13, 14)은 1 : 1의 피치비를 갖도록 선택된다. 이 경우, 일차적으로 소정의 골 치피를 갖는 제1골심지(101)가 제1라이너(102)에 연속적으로 적층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제1골심지(101)와 동일한 골 피치 및 서로 다른 골 높이를 갖는 제2골심지(104)가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에 연속적으로 적층되어 편면이중-골심 골판지를 형성한다.
그 후, 제2라이너(106)가 상기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에 적층되므로써 양면 이중-골심골판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양면 이중-골심 골판지에는 두 장의 골심지들(101, 104)의 골 높이 차이로 인하여 다수의 격실들이 골심지들(101, 104) 사이에 형성된다. 두 장의 골심지들(101, 104)의 사이에 마련되는 상기 격실들은 포장물에 가하여지는 외부 충격을 일차적으로 흡수하여 포장된 상품을 보호한다. 상기 격실들에 의해 완전히 흡수될 수 없을 정도로 외부 충격이 크게 작용하면, 여분의 충격력은 상부에 배열되는 제1골심지(101)에 의해 흡수된다.
제4(c)도를 참조하면, 동일한 골 피치 및 동일한 골 높이를 가지면서 골의 봉오리 부분의 곡률이 서로 다르게 되는 양면 이중-골심골판지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양면 이중-골심 골판지를 형성하기 위해, 제 1 및 제2골심지들(101, 104)은 동일한 골 피치 및 동일한 골 높이를 갖도록 성형된다. 그러나, 골심지들(101, 104)의 골의 봉오리 부분에서의 곡률은 서로 다르기 때문에, 골심지들(101, 104)의 사이에 격실이 형성된다. 골심지들(101, 104)의 서로 다른 곡률에 기인하여, 상기 골판지는 골의 형태와 골 높이에 따라 다양한 충격흡수성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제4(d)도를 참조하면, 제2골심지(104)가 제1골심지(101)의 두배에 해당하는 골 피치 및 골 높이를 갖는 양면 이중-골심 골판지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양면 이중-골심 골판지를 성형하기 위해, 제 1 및 제2적층 스테이션(10, 40)의 각 골성형 로울러들(13, 14)은 서로 다른 골 크기를 갖는다. 작은 골 피치 및 골 높이를 자는 제1골심지(101)가 제1라이너(102)에 연속적으로 적층된 후에 큰 골 피치 및 골 높이를 갖는 제2골심지(104)가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에 연속적으로 적층되어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를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제2라이너(106)가 상기 편면 이중-골심골판지에 적층되어 양면 이중-골심골판지를 형성한다. 이러한, 양면 이중-골심 골판지는 서로 다른 골 피치 및 골 높이를 갖는 두 장의 골심지(101, 104)를 포함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하중이 골판지에 인가되면, 피치가 큰 제2골심지(104)의 골이 피치가 작은 제1골심지(101)의 골을 향하여 밀려 들어가고 피치가 작은 상부의 골 두 개가 피치가 큰 하부의 골 사이로 밀려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상하 골심지(101, 104)의 탄성한도 내에서 하중을 제거하면 상기한 변형이 완전히 없어져 초기의 상태로 복원되는 바, 이러한 양면 이중-골심 골판지는 지속적인 충격흡수성능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제4(e)도를 참조하면, 동일한 골 피치 및 동일한 골 높이를 갖는 두 장의 골심지들(101, 104)을 포함하는 양면이중-골심 골판지를 도시한다. 상기 두 장의 골심지들(101, 104)은 서로 완전하게 밀착 접촉된다. 이러한 골판지는 충격흡수성능에 부가하여 축방향 하중에 대한 개선된 압축강도 및 벤딩강성을 갖는다.
물론, 상기 골판지들이 서로 적층되므로써 개선된 충격흡수재로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다양한 골판지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경우, 골판지들은 그 골심지들이 서로 동일한 방향을 향하거나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골판지는 서로 적층되는 골의 형태와 골 피치 및 골 높이를 서로 달리함으로 인하여 다양한 충격흡수성능을 나타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실시예를 구성함에 있어서는 제1라이너(102) 위에 차례로 중첩되는 상기 두 장의 골심지(101, 104)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국부적인 접착부(201)를 제외하고는 전체구간에 걸쳐 미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상기 중첩되는 두 장의 골심지(101, 104)를 전체면에 걸쳐 접착하는 경우에는 포장재료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지만, 반면에 이같은 전체 접착에 의해 골심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포장물에 그대로 전달하게 되어 충격흡수재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되므로써 비교적내충격성이 강한 특정 물품 포장용으로만 사용될 수 밖에 없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이 요구하는 바 소정의 압축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외부 충격을 신속히 흡수하여 포장물이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5(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장의 골심지(101, 104)가 서로 마주 닿을 수 있도록 배열하여 수직하중에 대한 저향력을 강화하되 이들 접촉면이 상하 양단만이 제한적으로 규제된 채 전체구간에 걸쳐 미접착 상태로 서로 분리되도록 하여 각각의 골심지(101, 104)가 개별 변위를 가질 수있도록 구성하면 된다.
제5(b)도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극히 미세한 충격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포장물 전용 골판지를 도시한다. 즉, 제4(b)도 내지 4(e)도에 다양한 형태로 도시한 골판지를 성형함에 있어서, 라이너들(102, 106)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중첩되게 접착되는 각각의 골심지들(101, 104)의 접착점(202)이 접지면 상에 간헐적으로 형성된다. 라이너들(102, 106)과 골심지(101, 104)가 접촉되는 접지면상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접착점(202)은 골심지(101, 104)상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봉오리 부분들 및 골짜기 부분들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봉오리 부분 및 골짜기 부분을 건너서 반복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따라서, 라이너들(102, 106)과 접촉되는 골심지(101, 104)가 접착점(202) 설치구간 내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골 위치의 움직임을 보이게 되며, 골의 위치가 좌우로 움직임으로 인한 다양한 골 분포도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게 되어 물품 특성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골판지 설계가 가능해 지는 것으로서, 이는 라이너들(102, 106)이 지니고 있는 보편적인 내구성과 함께 유동하는 물품의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어 포장체 내에서 유동이 빈번한 물품을 보관하기 위한 재료로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구성되는 여러 가지 구조의 이중 편면 골판지를 동일 방향으로 다수 적층시키거나, 또는 골의 방향이 서로 마주보도록 적층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이들은 다만, 적층되는 골의 형태와 골 높이를 달리하는 차이로 인해 다양한 충격흡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임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충격흡수용 포장재로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이중-골심 골판지를 성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골심 골판지에 있어서, 두 장 이상의 골심지들이 제1라이너에 연속적으로 적층되며 순차적으로 제2라이너가 적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골심 골판지는 두 장 이상의 골심지를 갖기 때문에, 골판지에 인가되는 외부 하중에 의해 하나의 골심지가 함몰되는 경우에도 다른 하나의 골심지는 자체의 탄성 및 층격흡수성능을 그대로 보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라 성형되는 이중-골심골판지는 골심지들의 존재에 기인한 개선된 내구성 및 강도를 갖는 것에 부가하여 종이 자체가 갖는 충격흡수성능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골심 골판지는 가볍기 때문에, 통상적인 목재 또는 플래스틱재 팔레트에 비해 다루기가 쉬우며, 취급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성형되는 이중-골심 골판지는 제1라이너에 연속적으로 적층되고 제2라이너가 적층되는 두 장 이상의 골심지들을 갖는다. 본 발명은 골판지의 두께를 얇게 하면서도 압축강도를 개선하며 포장물의 체적을 감소시켜, 고부가가치의 골판지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적은 비용으로 고강도 및 고부가가치의 충격흡수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중-골심 골판지는 용이하게 재활용되어 스티로폼을 대신하는 충격흡수재로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으며 자원절약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라 성형되는 이중-골심 골판지는 포장물에 가하여지는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포장된상품을 신뢰성있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9)

  1. 이중-골심 골판지에 있어서, 제1라이너(102); 예정된 골 피치 및 골 높이를 갖도록 성형되어 상기 제1라이너(102)상에 연속적으로 그리고 자동적으로 적층되며, 그 봉우리 부분들이 상기 제1라이너(102)와의 접촉면 상에서 점접착되므로써 편면단일-골심 골판지(103)를 형성하는 제1골심지(101); 상기 제1골심지(101)의 골 피치 및 골 높이와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게 되는 선택된 골 피치 및 골 높이를 갖도록 성형되어 상기 편면 단일-골심골판지(103)상에 연속적으로 그리고 자동적으로 적층되며, 그 봉우리 부분들과 상기 제1골심지(101)의 봉우리 부분들과의 접합부에서 상기 제1골심지(101)에 점접착되므로써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105)를 형성하는 제2골심지(104); 및 상기 편면이중-골심 골판지(105)상에 연속적으로 그리고 자동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제2골심지(104)의 골짜기 부분들과의 접합부에서 상기 제2골심지(104)에 점접착되므로써 양면 이중-골심 골판지를 형성하는 제2라이너(10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골심 골판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골심지(101, 104)가, 서로 동일한 골 피치 및 서로 다른 골 높이를 갖게 되어 그들(101, 104)의 골짜기 부분들 사이에 충격흡수공간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골심 골판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2골심지(101, 104)가, 서로 동일한 골 피치 및 골 높이를 가지면서 서로 다른 곡률을 갖게 되어 그들(101, 104)의 각각의 골짜기 부분들 사이와 봉오리 부분들 사이에 충격흡수공간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골심 골판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골심지(104)가, 상기 제1골심지(101)의 골 피치의 두 배에 해당되는 골 피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골심 골판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2골심지(101, 104)가, 서로 동일한 골 피치 및 골 높이를 갖게 되어 전면에 걸쳐 서로 접촉되고, 상기 제2골심지(104)는 제2골심지(104)의 골짜기 부분들과 제1골심지(101)의 골짜기 부분들 사이의 접합부에서 상기 제1골심지(101)에 또한 점접착되므로써 봉우리 부분과 골짜기 부분을 제외한 잔여 접촉 부위가 비접착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골심 골판지.
  6. 제1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제1라이너(102)에 적층되는 상기 각 골심지(101, 104)의 접착점이, 접지면상에 간헐적으로 형성되므로써 상기 각 골심지(101, 104)가 접착점 설치구간 내에서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골심 골판지.
  7. 제1항 또는 5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점이, 골심지(101, 104)상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봉오리 부분들중 두 개 이상의 봉오리 부분을 건너서 반복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골심 골판지.
  8. 이중-골심 골판지를 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제1골심지(101) 및 제1라이너(102)를 제1적층 스테이션(10)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1골심지(101)를 예정된 골 피치 및 골 높이를 갖도록 연속적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제1골심지(101)를 상기 제1라이너(102)상에 연속적으로 그리고 자동적으로 적층시켜 편면 단일-골심골판지(103)를 형성하는 단계; 제2골심지(104)를 제2적층 스테이션(40)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제2골심지(104)를 상기 제1골심지(101)의 골 피치 및 골 높이와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게 되는 선택된 골 피치 및 골 높이를 갖도록 연속적으로 그리고 자동적으로 성형하는 단계; 상기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상에 상기 제2골심지(104)를 연속적으로 그리고 자동적으로 적층시켜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105)를 형성하는 단계; 제2라이너(106)를 제3적층 스테이션에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계; 및 상기 편면 이중-골심골판지(105)상에 상기 제2라이너(106)를 연속적으로 그리고 자동적으로 적층시켜 양면 이중-골심 골판지를 형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골심 골판지를 성형하기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편면단일-골심 골판지(103)상에 제2골심지(104)를 적층시키는 상기 단계가, 상기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의 골 위치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의 감지된 골 위치와 제2골심지(104)의 골 위치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의 이송속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골심 골판지를 성형하기 위한 방법.
  10. 이중-골심 골판지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제1골심지(101)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골심지 공급 로울(11)과 제1라이너(102)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라이너 공급 로울(12); 상기 제1골심지 공급 로울(11)과 제1라이너 공급 로울(12)로부터 제1골심지(101)와 제1라이너(102)를 각각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제1골심지(101)를 소정의 골 피치와 골 높이를 갖도록 성형하고 골이 성형된 제1골심지(101)를 상기 제1라이너(102)에 접착시킴으로써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를 형성하는 제1적층 스테이션(10); 제2골심지(104)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2골심지 공급 로울(41); 상기 제1적층 스테이션(10)과 상기 제2골심지 공급 로울(41)로부터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와 제2골심지(104)를 각각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제2골심지(104)를 상기 제1골심지(101)의 골 피치 및 골 높이와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다르게 되는 선택된 골 피치 및 골 높이를 갖도록 성형하고 골이 성형된 제2골심지(104)를 상기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에 접착시킴으로써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105)를 형성하는 제2적층 스테이션(40); 제2라이너(106)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2라이너 공급 로울(28); 및 상기 제2적층 스테이션(40)과 상기 제2라이너 공급 로울(28)로부터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105)와 제2라이너(106)를 각각 연속적으로 공급받아 상기 제2라이너(106)를 상기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105)에 접착시킴으로써 양면 이중-골심 골판지를 형성하는 제3적층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골심 골판지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 1 및 제2적층 스테이션(10, 40)이, 상기 골심지(101, 104)에 소정의 골을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골성형 로울러(13, 14); 상부 골성형 로울러(13)의 일측에 배설되어 골심지(101, 104)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용 로울러(15); 및 상기 한 쌍의 골성형 로울러(13, 14)를 지나면서 골이 형성된 골심지(101, 104)를 제1라이너(102)와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에 각각 밀착시키기 위해 상기 골성형 로울러(13, 14)의 상측에 설치되는 프레스 벨트(19)와 벨트 드라이브 로울(2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골심 골판지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골성형 로울러(13)의 표면에 다수의 흡착홀이 형성되므로써 상기 골이 형성된 골심지(101, 104)가 제1라이너(102)와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에 각각 접촉될 때까지 그 골 형상을 그대로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골심 골판지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골성형 로울러(13, 14)가 카트리지 타입으로 되어 교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골심 골판지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
  14. 제11항 내지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골성형 로울러(13, 14)로 공급되는 상기 제1라이너(102)와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가 각각 속도조절용 가속 로울(21)을 지나게 되고, 상기 한 쌍의 골성형 로울러(13, 14)로 공급되는 상기 제1골심지(101)와 제2골심지(104)가 각각 가이드 텐션 로울(22)을 지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골심 골판지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골성형 로울러(13, 14)로 안내되는 제1라이너(102) 또는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의 공급속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속도조절용 가속 로울(21)의 전방에 석션 브레이크(4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골심 골판지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석션 브레이크(42)의 작동이 골위치를 감지하는 골위치 센서(43)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골심 골판지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
  17. 제10항 또는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2적층 스테이션(10, 40)의 전방에 제 1 및 제 2 예열 유니트(23, 44)가 각각 설치되어 공급되는 제1라이너(102) 또는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가 접착에 필요한 충분한 온도로 예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골심 골판지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105)의 이송속도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2적층 스테이션(40)의 출구측에 제공되는 페이퍼 가이더(25); 상기 편면이중-골심 골판지(105)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상기 페이퍼 가이더(25)의 출구측에 제공되는 텐션 로울(26) 및 제 3 예열 유니트(27); 상기 제3적층 스테이션으로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상기 편면이중-골심골판지(105)와 제2라이너(106)에 접착제를 도포하기 위한 접착제 도포 유니트(29); 및 접착제가 도포된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105)와 제2라이너(106)를 가열시키면서 서로 접합시키기 위한 가열플레이트(30)와 가압 벨트(31);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골심 골판지를 성형하기 위한 장치.
  19. 제8항에 있어서, 프레스 벨트(19)를 이용하여 상기 제1라이너(102)를 상기 제1골심지(101)를 향하여 가압하는 단계; 프레스 벨트(19)를 이용하여 상기 편면 단일-골심 골판지(103)를 상기 제2골심지(104)를 향하여 가압하는 단계; 상기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105)를 페이퍼 가이더(25)로 안내하여 상기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105)의 이송속도를 제어하는 단계; 상기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105)를 균일한 장력을 인가한 상태에서 예열시키는 단계; 서로 마주보는 상기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105)의 표면 및 상기 제2라이너(106)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105) 및 상기 제2라이너(106)가 가열 플레이트(30)를 따라 이송되는 동안 예정된 압력으로 상기 편면 이중-골심 골판지(105) 및 제2라이너(106)를 가압하는 단계; 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골심 골판지를 성형하기 위한 방법.
KR1019950008323A 1995-04-11 1995-04-11 2중 골심판지 및 그 성형방법과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0183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8323A KR0183515B1 (ko) 1995-04-11 1995-04-11 2중 골심판지 및 그 성형방법과 장치
AU31221/95A AU678909B2 (en) 1995-04-11 1995-07-31 Double-ply corrugated paperboard
EP95927085A EP0759850B1 (en) 1995-04-11 1995-07-31 Double-ply corrugated paperboard
PL95317710A PL317710A1 (en) 1995-04-11 1995-07-31 Two-ply corrugated paper
SK1561-96A SK279155B6 (sk) 1995-04-11 1995-07-31 Dvojvrstvová vlnitá papierová lepenka, spôsob jej
DK95927085T DK0759850T3 (da) 1995-04-11 1995-07-31 Tolagsbølgepap
PT95927085T PT759850E (pt) 1995-04-11 1995-07-31 Cartao ondulado com dupla dobra metodo e equipamento para o produzir
APAP/P/1997/000927A AP697A (en) 1995-04-11 1995-07-31 Double-ply corrugarated paperboard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uch.
PCT/KR1995/000098 WO1996032249A1 (en) 1995-04-11 1995-07-31 Double-ply corrugated paperboard
HU9603397A HUT77658A (hu) 1995-04-11 1995-07-31 Kettős rétegű hullámkartonpapír
RU97100674/12A RU2151062C1 (ru) 1995-04-11 1995-07-31 Картон с двойным гофрированным слоем,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артон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способа
BR9507953A BR9507953A (pt) 1995-04-11 1995-07-31 Papelão corrugado de dobra dupla
DE69515864T DE69515864T2 (de) 1995-04-11 1995-07-31 Doppelwellpappe
CN95193491A CN1150404A (zh) 1995-04-11 1995-07-31 双层波纹纸板
FI964933A FI964933L (fi) 1995-04-11 1995-07-31 Kaksikerroksinen aaltopahvi
ES95927085T ES2143643T3 (es) 1995-04-11 1995-07-31 Carton ondulado de doble hoja.
JP08530900A JP3040173B2 (ja) 1995-04-11 1995-07-31 2重段ボール及びその成形方法と装置
US08/750,490 US5894046A (en) 1995-04-11 1995-07-31 Double-ply corrugated paperboard
NZ290477A NZ290477A (en) 1995-04-11 1995-07-31 Double-ply corrugated paperboard with interfitted corrugation layers
CA002192591A CA2192591A1 (en) 1995-04-11 1995-07-31 Double-ply corrugated paperboard
CZ19963596A CZ9603596A3 (cs) 1995-04-11 1995-07-31 Dvojitá vlnitá lepenka, způsob její výroby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způsobu
AT95927085T ATE190907T1 (de) 1995-04-11 1995-07-31 Doppelwellpappe
MXPA/A/1996/006282A MXPA96006282A (en) 1995-04-11 1996-12-10 Corrugated card of double c
NO965285A NO965285L (no) 1995-04-11 1996-12-10 Dobbelt-lags korrugert kartong
OA60934A OA10466A (en) 1995-04-11 1996-12-11 Double-ply corrugated paperboard
BG101120A BG62560B1 (bg) 1995-04-11 1997-01-08 Двуслоен гофриран картон и мет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запроизводството му
JP9283293A JP2967068B2 (ja) 1995-04-11 1997-10-16 2重段ボール
GR20000401220T GR3033529T3 (en) 1995-04-11 2000-05-29 Double-ply corrugated paper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8323A KR0183515B1 (ko) 1995-04-11 1995-04-11 2중 골심판지 및 그 성형방법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269A KR960037269A (ko) 1996-11-19
KR0183515B1 true KR0183515B1 (ko) 1999-04-15

Family

ID=1941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8323A Expired - Fee Related KR0183515B1 (ko) 1995-04-11 1995-04-11 2중 골심판지 및 그 성형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26)

Country Link
US (1) US5894046A (ko)
EP (1) EP0759850B1 (ko)
JP (2) JP3040173B2 (ko)
KR (1) KR0183515B1 (ko)
CN (1) CN1150404A (ko)
AP (1) AP697A (ko)
AT (1) ATE190907T1 (ko)
AU (1) AU678909B2 (ko)
BG (1) BG62560B1 (ko)
BR (1) BR9507953A (ko)
CA (1) CA2192591A1 (ko)
CZ (1) CZ9603596A3 (ko)
DE (1) DE69515864T2 (ko)
DK (1) DK0759850T3 (ko)
ES (1) ES2143643T3 (ko)
FI (1) FI964933L (ko)
GR (1) GR3033529T3 (ko)
HU (1) HUT77658A (ko)
NO (1) NO965285L (ko)
NZ (1) NZ290477A (ko)
OA (1) OA10466A (ko)
PL (1) PL317710A1 (ko)
PT (1) PT759850E (ko)
RU (1) RU2151062C1 (ko)
SK (1) SK279155B6 (ko)
WO (1) WO19960322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368A (ko) * 2014-05-27 2015-12-07 주식회사 국제기계 가변 이송형 합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8905B2 (en) 2000-02-22 2006-09-19 Ronald H. Ball Protective film for the surface of a handrail for a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JP4287953B2 (ja) * 1999-07-29 2009-07-0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シングルフェーサ
WO2004039572A1 (ja) * 2002-10-30 2004-05-13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段ボール材用中芯及び段ボールシート、並びに、段ボール材の中芯の製造用の段ロール、段ボール材用中芯の製造装置、段ボールシートの製造装置及び段ボール材用中芯の製造方法
US9296126B2 (en) 2003-05-17 2016-03-29 Microgreen Polymers, Inc. Deep drawn microcellularly foamed polymeric containers made via solid-state gas impregnation thermoforming
US7041187B2 (en) * 2003-11-05 2006-05-09 Plc Engineering Corp. Corrugated sandwich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NL2000001C2 (nl) * 2006-01-30 2007-07-31 Unda Maris Holding N V Wandelement.
EP2428358B1 (en) 2007-01-17 2015-03-04 Microgreen Polymers, Inc. A method for making a multi-layer foamed polymeric object
US8568125B2 (en) 2008-04-14 2013-10-29 Microgreen Polymers Inc. Roll fed flotation/impingement air ovens and related thermoforming systems for corrugation-free heating and expanding of gas impregnated thermoplastic webs
JP5184294B2 (ja) * 2008-10-14 2013-04-17 川上産業株式会社 複層の気体密閉室を有するプラスチック気泡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製造装置
US9296185B2 (en) 2010-04-19 2016-03-29 Dart Container Corporation Method for joining thermoplastic polymer material
ES2683187T3 (es) 2012-02-29 2018-09-25 Dart Container Corporation Procedimiento para la infusión de un gas en un material termoplástico, y sistemas relacionados
EP2888105B1 (en) 2012-08-24 2019-02-06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Material for carton, blank, or substrate
US20140087145A1 (en) * 2012-09-27 2014-03-27 Eastman Chemical Company Self-corrugating laminates and methods of making them
EP3401255A1 (en) 2013-01-14 2018-11-14 Dart Container Corporation Systems for unwinding a roll of thermoplastic material interleaved with a porous material and related methods
NZ712611A (en) * 2013-03-15 2016-11-25 Scorrboard Llc Establishing a registered score, slit or slot in corrugated board, and articles produced therefrom
US20150053349A1 (en) * 2013-08-26 2015-02-26 Kabushiki Kaisha Isowa Corrugated sheet manufacturing apparatus
US20160332406A1 (en) * 2015-05-12 2016-11-17 Gyre Innovations Lp Misting device
KR101705628B1 (ko) * 2015-09-23 2017-02-10 삼우티시에스 주식회사 자동차 트렁크보드 및 그 제조방법
CN105369921A (zh) * 2015-12-08 2016-03-02 蔡伟 一种新型聚合秸秆的保温夹芯板
CN106003846A (zh) * 2016-06-16 2016-10-12 长兴县泗安民丰彩印厂 一种双纠偏瓦楞纸板制造设备
US11319133B2 (en) * 2018-02-02 2022-05-03 Foldstar, Inc. Multi-laminate folded materials for construction of boxes and other objects
KR101997737B1 (ko) * 2018-02-28 2019-07-08 고려용접봉 주식회사 용접 와이어용 수납 용기
RU191141U1 (ru) * 2018-09-03 2019-07-25 Шанхай Да сун корругейтед роллер Ко., Лтд. Нагреваемый гофрирующий ролик
AU2019462999A1 (en) 2019-08-29 2022-04-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issue products having macrofolds
CN114286749B (zh) 2019-08-29 2024-10-11 金伯利-克拉克环球有限公司 具有宏观褶皱的薄页纸产品
US12049058B2 (en) * 2020-09-16 2024-07-30 Packsize Llc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dual fluted corrugated board
CN113694641B (zh) * 2021-09-10 2022-12-13 瑞安市海川自动化系统有限公司 一种非平面介质变速箱滤清器装置和方法
IT202100030563A1 (it) * 2021-12-02 2023-06-02 Quantumcorrugated S R L Impianto di produzione di cartone ondulato con doppio lato di uscita
CN119017783A (zh) * 2023-05-26 2024-11-26 上海统通科技有限公司 一种多层波纹结构的缓冲产品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9146A (en) * 1912-10-24 1914-12-01 Sefton Mfg Company Corrugated paper.
US1802522A (en) * 1926-05-21 1931-04-28 Moll Jacob Corrugated cardboard
GB1071132A (en) * 1964-07-14 1967-06-07 Container Corp Corrugated paperboard and method of forming
US3935360A (en) * 1972-09-27 1976-01-27 Brown Products, Inc. Composite pad
JPS5383157A (en) * 1976-12-28 1978-07-22 Shinko Pfaudler Apparatus for suspended material from liquid flow by specific gravity
JPS60203430A (ja) * 1984-02-20 1985-10-15 森紙業株式会社 段ボ−ルシ−ト貼合わせ方法および装置
JPS6268736A (ja) * 1985-09-20 1987-03-28 株式会社 磯輪鉄工所 紙シ−トの糊付け機における澱粉糊の加温方法及びその装置
CA1312540C (en) * 1987-12-18 1993-01-12 Peter Gordon Bennett Forming corrugated board structures
AU615053B2 (en) * 1988-03-31 1991-09-19 Amcor Limited Manufacturing corrugated board
SU1726281A1 (ru) * 1990-02-19 1992-04-15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Целлюлоз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многослойного гофрированного картона
SU1722877A1 (ru) * 1990-02-19 1992-03-30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 Проектно-Конструкторский Институт Целлюлозного Машиностро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дл изготовлени многослойного гофрированного картона
MY107173A (en) * 1991-09-17 1995-09-30 Amcor Ltd Corrugated paperboard production and apparatus theref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6368A (ko) * 2014-05-27 2015-12-07 주식회사 국제기계 가변 이송형 합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9603397D0 (en) 1997-02-28
EP0759850A1 (en) 1997-03-05
DE69515864D1 (de) 2000-04-27
GR3033529T3 (en) 2000-09-29
JP2967068B2 (ja) 1999-10-25
ATE190907T1 (de) 2000-04-15
AU3122195A (en) 1996-10-30
FI964933A7 (fi) 1996-12-10
BG101120A (en) 1997-09-30
NO965285L (no) 1997-02-10
CZ9603596A3 (cs) 2001-11-14
OA10466A (en) 2002-04-05
DE69515864T2 (de) 2000-11-02
BG62560B1 (bg) 2000-02-29
DK0759850T3 (da) 2000-08-28
JP3040173B2 (ja) 2000-05-08
HUT77658A (hu) 1998-07-28
ES2143643T3 (es) 2000-05-16
SK156196A3 (en) 1997-06-04
CA2192591A1 (en) 1996-10-17
JPH1142722A (ja) 1999-02-16
MX9606282A (es) 1998-03-31
RU2151062C1 (ru) 2000-06-20
JPH10505032A (ja) 1998-05-19
AP9700927A0 (en) 1997-04-30
FI964933A0 (fi) 1996-12-10
CN1150404A (zh) 1997-05-21
NZ290477A (en) 1997-12-19
EP0759850B1 (en) 2000-03-22
NO965285D0 (no) 1996-12-10
AP697A (en) 1998-11-20
PT759850E (pt) 2000-06-30
AU678909B2 (en) 1997-06-12
PL317710A1 (en) 1997-04-28
BR9507953A (pt) 1997-08-05
FI964933L (fi) 1996-12-10
SK279155B6 (sk) 1998-07-08
WO1996032249A1 (en) 1996-10-17
KR960037269A (ko) 1996-11-19
US5894046A (en) 1999-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3515B1 (ko) 2중 골심판지 및 그 성형방법과 장치
KR0181565B1 (ko) 다중 골심판지 성형방법 및 그 장치
KR101095226B1 (ko) 골판지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포장박스
KR0181564B1 (ko) 2중 골심을 갖는 고강도의 종이시이트 성형방법 및 그 장치
US7045196B1 (en) Packaging laminate and method
KR0138708B1 (ko) 종이를 이용한 고강도의 완충시이트 성형장치 및 그 방법
KR0181562B1 (ko) 교차된 골심을 갖는 고강도의 종이시이트 성형방법 및 그 장치
MXPA96006282A (en) Corrugated card of double c
MXPA96006281A (en) Production of corrugated carton of multip layers
JPH0311612B2 (ko)
KR20020079047A (ko) 코러패드형 골판지의 제조방법 및 골판지 포장재
JPH07314589A (ja) 緩衝材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4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4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98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199804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19981109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81030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19981130

Appeal identifier: 1998101003638

Request date: 19981109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1109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1998080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1998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19981120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2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