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82775B1 -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775B1
KR0182775B1 KR1019910005453A KR910005453A KR0182775B1 KR 0182775 B1 KR0182775 B1 KR 0182775B1 KR 1019910005453 A KR1019910005453 A KR 1019910005453A KR 910005453 A KR910005453 A KR 910005453A KR 0182775 B1 KR0182775 B1 KR 0182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vehicle
determining
torque
driving fo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5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8250A (ko
Inventor
도시미찌 미노와
요시시게 오오야마
Original Assignee
미다 가쓰시게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 가쓰시게, 가부시기 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미다 가쓰시게
Publication of KR910018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82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7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2Control of vehicle driving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1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change-speed gearings
    • B60W10/11Stepped 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19Propulsion control with control means using analogue circuits, relays or mechanical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8Controlling power parameters of the driveline, e.g. determining the required power
    • B60W30/1882Controlling power parameters of the driveline, e.g. determining the required power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point of the engine, e.g. by using engine output ch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1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vehicle motion
    • B60W40/105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04Throttle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14Position of fuel or air injector
    • B60W2510/0628Inlet air flow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38Engin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57Engine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2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verall vehicle dynamics
    • B60W2520/10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2Brake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10/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710/10Change speed gearings
    • B60W2710/105Output 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3Speed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12Transmission control for optimising power output of drive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2061/0015Transmission control for optimising fuel consump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F16H61/0213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characterised by the method for generating shift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4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운전자가 요구하는 가속성을 만족하기 위하여, 엔진에서 발생하는 엔진토오크와, 엔진토오크와 변속기로 정해지는 자동차의 구동토오크를 서로 제어하여 가속성의 일치감을 얻도록한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Description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제어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동차 제어장치의 제어의 개략을 나타낸 도.
제3도 내지 제5도는 제2도의 제어를 실행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제6도는 엑셀과 토오크의 대응도.
제7도는 회전수, 토오크에 대응하는 드로틀 개방도 맵.
제8도는 회전수, 토오크에 대응하는 연비 특성도.
제9도는 무단변속기를 사용한 다른 제어의 개략을 나타낸 도.
제10도는 제 9도의 제어 플로우 챠트.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응용예를 설명하기 위한 특성도.
제12도는 제11도의 특성을 실시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제13도는 차속-구동토오크-변속위치의 특성도.
제14도는 제11도의 다른 응용예를 설명 하기 위한 특성도.
제15도는 제14도의 특성을 실시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제16도는 제12도에 나타낸 플로우챠트에 따른 이상대책의 플로우챠트.
제1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응용예의 구성도.
제18도는 그 플로우 챠트.
제1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응용예의 특성도.
제20도는 제19도의 특성을 실시하기 위한 구성도.
제21도는 그 플로우 챠트.
제2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응용예의 특성도.
제23도는 제22도의 특성을 실시하기 위한 구성도.
제24도는 그 플로우 챠트.
제2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응용예의 특성도.
제26도는 제25도의 특성을 실시하는 플로우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엑셀패달 2 : 구동 토오크 제어수단
3 : 엔젠 토오크 제어수단 4 : 엔진
5 : 흡기관 6 : 드로틀 제어기
7a : 연료분사장치 7b : 점화장치
8 : 시프트 솔레노이드 9 : 록업 솔레노이드
10 : 변속 클러치 11 : 클럭업 클러치
12 : 회전센서 13 : 제어수단
30 : 자동 변속기
본 발명은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구동력은 엔진과 트랜스미션의 조합으로 제어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엔진과 트랜스미션 제어가 각각 개별적으로 행해지고 있었기 때문에 운전성에 큰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최근 일본국 특개소 64-4544호 공보에 있는 바와 같이, 트랜스미션의 시프트업 또는 시프트 다운의 변속시에 엔진 출력을 증감하여 운전성을 개선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제안에 있어서도 실제의 자동차에 있어서는 실제로 운전자가 요구하는 운전성과 이에 추가되는 자동차의 실제의 운전성의 사이에는 아직도 불충분한 일치감 밖에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자가 요구하는 운전성과 요구하는 이것에 추가되는 자동차의 실제의 운전성의 사이에 충분한 일치감이 얻어지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a) 자동차의 엔진으로부터 출력되는 엔진 토오크를 제어하는 엔진 토오크 제어수단; (b) 상기 엔진 토오크와 변속기의 변속위치의 조합으로 자동차를 구동하는 구동토오크를 제어하는 구동토오크 제어수단; (c) 운전자가 요구하는 토오크에 대하여 엔진 토오크 혹은 구동 토오크 또는 엔진 토오크와 구동 토오크의 조합으로 토오크 제어를 행하도록 상기 엔진 토오크 제어수단 또는 구동 토오크 제어수단을 기능시키는 토오크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에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운전자가 요구하는 토오크 특성에 대응하여 엔진 토오크 또는 구동 토오크가 결정되기 때문에, 토오크의 일치감이 높아지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자동차의 파워트레인계를 나타내고 있고, 참조번호에 의거하여 그 구성, 작용을 설명한다. 엑셀 패달(1)의 밟는 량을 구동 토오크 제어수단 (2)또는 엔진 토오크 제어수단(3)에 입력한다. 엔진토오크 제어수단(3)에서는, 엔진(4)에 부착된 흡기관(5)에 설치되어 있는 드로틀 제어기(6) (모터, 드로틀 밸브, 드로틀 센서) 및 연료분사장치(7A), 점화장치(7B)를 엔진 토오크 제어수단(3)으로 구동하여 제어를 행한다. 또, 토오크 제어수단(2)은, 자동변속기(30), 시프트 솔레노이드(8) 및 록업 솔레노이드(9)등을 비례 혹은 듀티제어로 구동하고, 변속 클러치 및 클럭 업 클러치(11)의 체결(締結) 해방을 행한다. 이 변속 제어에 엔진 토오크 제어를 조합시켜 구동 토오크 제어를 행한다.
변속위치 및 엔진 토오크 제어, 특히 드로틀 개방도의 조합에 의한 구동 토오크 제어는 드라이브 사프트에 설치한 회전센서(12)로 부터의 신호로 얻어지는 차속과 엑셀 패달(1)의 밟는량으로 부터 결정된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엔진 토오크 제어수단(3)과 구동토오크 제어수단(2)과는 로컬에리어 네트워크(LAN)로 전기적으로 접속 통신되고 있다. 또, 32비트 등의 고기능 컴퓨터를 사용한 경우는 실선으로 둘러싼 제어수단(13)과 같이, 하나의 제어수단으로 엔진과 변속기의 협조 제어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어방법을 기본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횡축이 차속을 나타내고 이것에 대하여, 종축에 엑셀 밟는량, 즉 구동 토오크를 취한 것이다. 제2도에 있어서 실선을 드로틀 전개방시의 구동토오크를 나타낸 것으로, 구간[0-a]이 1속 영역, 구간 [a-b]가 2속 영역, 구간 [b-c]이 3속 영역, 구간 [c→ ] 이후가 4속 영역이다. 다음에 엑셀 패달 밟는량이 목표로 하는 토오크는, 종축에 있는 바와 같이 [0-a]구간이 구동 토오크, 차속[a-b] 구간이 구동토오크, 차속 [b-c] 구간이 엔진 토오크, 차속 c 이후는 엔진 토오크로 한다. 예를 들면, 차속[0-a] 구간에 있어서, 운전자가 엑셀 패달을 값 B까지 밟았다고 하면, 가속 밟음량에 대응한 목표구동 토오크 B 이므로, 변속위치를 3속으로 하고, 드로틀 개방도를 전개방으로 한다. 또 차속이 b 이후에서는, 엑셀 패달을 최대로 밟아도, C-D의 구동토오크가 얻어지지 않으므로, 엑셀 패달 밟음량의 목표토오크는, 엔진 토오크로 할 필요가 있다. 차속 [0-b] 구간 까지는, 구동 토오크와 엔진 토오크의 조합으로 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다.
제3도 내지 제5도는 제2도의 제어를 실행하는 플로우 챠트이다. 스텝(이하 S 라함)1에서 운전자의 요구 토오크인 엑셀 패달 밟음량(α)을 리이드하고, S2에서 엔진 회전수(Ne)를 리이드하고, 다시 S3에서 차속 (V)를 리이드 한다. 다음에 S4에서 차속(V)이 a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a 이하라면, 즉 [0-a]구간이면, 다음에 S5 에서 액셀 패달 밟음량(α)이 A 이하인지 어떤지를 판단한다. A 이하이면 S6에서 변속위치를 4속으로 하는 지령신호를 출력한다. 이때의 액셀 패달 밟는량(α)에 대한 구동 토오크의 목표치는, 제 6도에 나타낸 구동토오크- 액셀 밟음량 맵을 검색하여 판단한다. 그리고, S7에서 액셀 패달 밟음량(α)으로부터 감속비분등을 고려한 함수(f)에 의하여 엔진 토오크(Te)를 구하고, S8에서 엔진 토오크(Te)와 엔진회전수 (Ne)로 부터 제 7도에 나타낸 드로틀 개방도(θth) 맵을 사용하여 드로틀 개방도(θth)를 구하고, 최후로 드로틀 개방도를 출력하여 드로틀 제어기(6)를 구동시켜, 운전자가 요구하는 구동 토오크를 출력시킨다.
다음에 S5에서 액셀 패달의 밟음량(α)이 A 이하인 경우, S10에서 액셀 패달의 밟음량(α)이 B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하고, B 이하이면 S11에서 3속 지령을 출력하고, S12에서 S7과 마찬가지로 엔진토오크(Te)를 구하고 S8로 진행한다.
또, 마찬가지로 S10에서 액셀 밟음량(α)이 B 이상인 경우, S13에서 그 값이 C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C 이하이면 S14에서 2속 지령을 출력하고, S15에서 S7과 마찬가지로 엔진토오크(Te)를 구하고 S8로 진행한다.
다시 S13에서 액셀 밟음량(α)이 C 이상의 경우, S16에서 1속 지령을 출력하고, S17에서 S7과 마찬가지로 엔진 토오크(Te)를 구하고 S8으로 진행한다.
이상은 차속이 구간 [0-a]의 사이에서 액셀 밟음량(α)의 변화한 경우를 설명했다.
한편, S4에서 차속이 a 이상인 경우는 제4도에 나타낸 L 으로 진행하고, S18에서 차속이 b 이상인가 여부가 판단된다.
S4와 S18에서 차속이 [a-b]구간이라고 판단되면 S19, S22에서 액셀 밟음량(α)이 A 혹은 B의 값을 초과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단된다.
그리고 그 후는 S20내지 S26에서 제3도의 S6 내지 S17 및 S8, S9와 동일한 처리가 실행된다.
이 경우 차속[a-b] 구간에서는 1속은 선택되지 않는다.
다음에 제4도의 S18에서 차속이 b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제 5도에 나타낸 M 으로 진행하고, S27에서 차속이 C 이상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차속이 [b-c] 구간이면, S28에서 액셀 밟음량이 A 이상인지 여부가 판단되고, 그후 S29내지 및 S32 및 S8, S9에서 제3도와 동일한 처리가 실행된다.
이 경우 차속[b-c]구간은 1속, 2속은 선택되지 않는다.
최후로 S27에서 차속이 C 이상이라고 판단되면 직접 S29에서 이행하여 4속 지령을 출력하여 드로틀 개방도를 구한다.
제8도는 등연비율선도이다. 횡측에 엔진 회전수를 나타낸 것에 대하여, 종축이 엔진 토오크이고, 파선이 드로틀 전개방시의 엔진토오크이다. 제8도에 있어서 사선부가 가장 연비가 좋은 영역이다. 또, 실선 K는 사선부에 도달하기 까지의 최양 연비 이동선을 나타낸다. 즉, 엔진 회전수를 1,000rpm으로 유지한 채로 엔진 토오크를 증가시켜, 엔진 토오크의 2/3정도에서 엔진 회전수를 상승시키면서, 엔진 토오크를 최대 부근까지 가지고갈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구동 토오크를 제어하면, 이와 같은 최양 연비의 선상을 통하는 운전영역이 증대하기 때문에, 연료 경제성이 향상한다.
제9도는 무단변속기(CVT)의 차속에 대한 최대 구동토오크의 특성도이다. 도면으로 부터 알 수 있듯이, 무단 변속기를 사용했을 경우, 변속비를 자유로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구동 토오크는 단차를 발생하지 않는다.
또, 차속에 따라 변화하는 구동토오크의 최대치를 액셀 개방도의 최대치로 한다. 즉, 이것이 차속에 대한 목표구동 토오크(액셀 개방도)가 된다.
예를 들면, 차속 a 에서 D의 구동토오크가 액셀 개방도의 최대치, 즉, 운전자가 요구하는 최대목표 구동 토오크가 되는 것이다. 그때, 액셀 개방도를 C로 하면, 변속비가 H1으로부터 H2로 변화하여, 엔진의 드로틀 개방도를 전개로 한 채로, 구동토오크를 바꿀 수가 있다.
또, 차속 b에서 액셀 개방도가 A인 경우는, 변속비를 H4로 하고, 드로틀 개방도는 전개방이다.
제10도에 CVT를 사용한 경우의 제어 플로우 챠트를 나타낸다. 먼저 S33, S34에서 차속(VSP) 및 액셀 개방도(α)를 리이드하고, S35에서 제 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차속에 대한 액셀 개방도(목표 구동토오크)의 맵을 검색한다. 그리고, S36에서 액셀 개방도(α)가 하이기어 비측의 한계 변속비(H4)의 구동토오크, 즉, 목표구동토오크(A) 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고, 클때는 S37에서 드로틀 개방도를(α)를 전개방으로 하고, S38에서 차속 및 액셀 개방도에 알맞는 변속비를 선택한다. 한편 α A 인 경우는, S39에서 엔진 토오크 Te = f(a)로부터 드로틀 개방도(θ )를 구하고, S40에서 변속비는 한계인 H4로 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운전자가 요구하는 운전성과 자동차의 실제의 운전성의 일치감이 얻어질 수 있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응용예를 설명한다.
제11도에 응용예의 제어방식을 나타낸다. 드로틀 개방도와 구동토오크의 관계는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변속단에서 다르다. 종래의 제어에서는, 제11a도와 같이 액셀 패달을 밟아 구동토오크를 점차 증가하면,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차례로 변속단이 시프트 다운되는 것이었다. 이에 대하여, 응용예의 방식은 제11b도와 같이 구동 토오크를 증가시키면, 변속단을 드로틀 전개방 까지 유지하고, 더 큰 구동토오크가 필요하게 되면, 변속단이 시프트 다운하도록 작동한다. 이때, 구동토오크가 급변하지 않도록 드로톨을 일단 패쇄하고, 구동토오크를 다시 증가하면 다시 드로톨을 전개방하고, 다시 시프트 다운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이 방식은 제8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드로틀 전개방 영역을 많이 이용하고, 또 고변속단을 사용하는 영역이 넓고, 이 때문에 엔진 회전수를 낮게 유지하므로 연비가 좋다. 또, 변속시에 구동 토오크가 급변하지 않도록 드로틀 개방도를 제어하기 때문에, 변속시의 충격을 지감할 수 있다.
제12도에 제11b도에 나타낸 방식의 제어플로우 챠트를 나타낸다.
먼저 타이머 개입중단 신호가 입력되면, S50에서 액셀 밟음각과 차속을 측정한다. 다음에 S51에서 액셀 밟음각과 차속으로 부터 , 제13도에 의거하여 구동 토오크와 변속단을 계산한다.
제13도는 차속 및 구동 토오크와 변속단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차속에 대한 최대 구동 토오크를 실선으로 나타낸다. 차속에 대한 최대 구동토오크와 액셀 밟음각으로 부터, 구동 토오크를 계산하여, 변속단을 구한다. 여기서, 이 방식은 드로틀 전개방 부근을 많이 이용하기 때문에 드로틀 전개방 부근에서는 액셀 밟음각 전압의 노이즈 등에 의하여, 변속단이 불안정하게 몇번이나 전환되어, 체터링(덜컥거림)을 발생하는 현상이 있어, 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시프트업시에는 S52 및 S53에서 파선에 의거하여 변속단을 구한다. 이와 같은 히스테리시스를 설치하므로서 변속의 체터링을 방지하고, 변속기의 손상 마모를 방지할 수가 있다. 다음에 S54에서 엔진 토오크는, 구동 토오크와 변속비의 곱으로부터 계산한다. 다음에, S55에서 미리 작성한, 엔진 회전수와 엔진 토오크에 대한 드로틀 개방도의 맵을 사용하여, 드로틀 개방도를 계산하는 S56에서 드로틀 개방도 신호, 변속신호를 출력하여 엔진출력과 변속을 제어한다.
제14도에 제11b도의 방식과 동일한 변속, 드로틀 동작을 행하는 다른 제어방식을 나타낸다. 본 방식에서는 차속을 고려하지 않고 액셀 밟음각과 드로틀 개방도에 대한 변속, 드로틀 제어를 행한다. 제15도에 그 제어플로우 챠트를 나타낸다. S50에서 액셀 밟음각과 엔진 회전수를 측정하고, S57에서 엔진 회전수가 한계 엔진회전수(Maxrpm) 이상이 되면 엔진의 손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S59에서 시프트 업 한다. 엔진 회전수가 Maxrpm 이하이면 S58, S60에서 제14도에 의거하여, 변속단, 드로틀 개방도를 구한다. 다음에 S61에서 변속신호, 드로틀 개방도 신호를 출력하여 변속과 엔진 출력을 제어한다. 이 방식은 제12도에 나타낸 방식에 비하여 단순하며, 계산에 요하는 시간이 짧은 장점이 있다.
다음에 제16도에 제12도에 나타낸 제어방식에서 드로틀이나 변속기의 동작 이상에 의하여, 엔진 회전수가 과대가 되는 경우의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타이머 개입중단에 의하여, 먼저 S62에서 변속단과 엔진 회전수를 측정한다. S63에서 엔진 회전수가 한계 엔진 회전수 이상이 되면, S64, S65에서 시프트 업 제어를 행하고, 엔진 회전수를 작게하여 엔진의 손모를 방지한다. 또, 기타 경고등에 의하여, 운전자에 이상을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에 다시 본 발명의 응용예를 설명한다.
제17도에 감속시의 제어 블럭도를 나타낸다. 액셀 개방도 검출수단(31)과 브레이크 답력(踏力) 검출수단(32)으로 부터 감속판정수단(33)에서, 운전자가 감속하고 싶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후, 운전자가 의도하는 감속도를 감속도 결정수단(34)에서 결정한다. 이때, 운전자가 요구하는 감속도가 최소인 경우, 직접, 변속제어기(35)에서 N(중립)등의 연비가 가장 좋은 변속위치를 출력한다. 또, 운전자가 요구하는 감속도가 어떤 일정치를 초과했을 경우는, 변속비 연산수산(36)에서 요구감속도에 적합한 변속비를 출력한다. 또, 변속시의 충격을 방지하도록 드로틀 개방도 연산수단(37)에서 드로틀 개방도를 구하여 드로틀 제어기(38)에 출력한다.
제18도에, 제17도의 제어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먼저, S70에서 액셀개방도(α), 브레이크 답력(β), 차속(V), 엔진회전수(Ne)를 읽어 넣는다.
S71에서 (V)이 V0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V
Figure kpo00002
V0일 때, S72에서 액셀 개방도(α)가 0인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액셀 개방도 α=0 인 경우, S73, S75에서 플랙(Flg)을 세우고, S74에서 임의시간 (x msec) 동안은, S76에서 현재의 변속비( i now)를 출력한다. 다음에 S74에서 x msec 경과했을 때, S77에서 플랙(Flg)을 클리어하고, S70에서 브레이크 답력(β)의 값을 검색한다. S78에서 브레이크 답력 β가 β0보다 작을 경우는, 운전자는 타성감속을 요구한다고 판단하고, S79에서 변속위치를 중립(im=N)으로 한다. 다음에 S80에서 브레이크 답력 β가 β1 보다 작을때는, S81에서 변속비(i1)를 차속(V)과 엔진 회전수(Ne)의 함수(f)로부터 구한다. 그후, S82에서 드로틀개방도(θth)를 차속(V)과 변속비(i1)의 함수(g)로 부터 구하고, 드로틀 개방도(θth) 및 S83에서 변속비(i1)를 출력한다.
그후도 상기 제어와 동일하게, 브레이크 답력의 변화에 의하여, 변속비 및 드로틀 개방도를 구한다. S84에서 브레이크 답력(β)이 최대(βm)인 경우는, 최대제어력을 운전자가 요구하고 있다고 판단하고, S85, S86, S87로부터 고엔진 회전수가 되도록, 변속비 및 드로틀 개방도를 구한다. 또 β0내지 βm값은, 자동변속기의 제어 가능한 변속비에 가장 비례한다.
제19도는 과부하저감 시스템의 개요이다. 예를 들면, 유단 자동 변속기의 경우, 토오크 변환기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저차속 영역인 1속 상태에 있어서, 사선부와 같이 과부하 영역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토오크의 최대목표치(액셀 개방도 전개방)를 낮출 필요가 있다. 이에 의하여, 발진시의 충격 토오크가 방지될 수 있다. 또 이 방식을 사용하면, 목표구동토오크(액셀 개방도)가 작은 쪽에서, 2속, 3속, 4속의 변속 위치를 많이 사용가능하기 때문에, 구동계에 가해지는 피로도 저감될 수 있다.
제20도에 과부하저감의 제어 블록도를 나타낸다.
액셀 개방도를 엑셀 개방도 검출수단(31)에 의하여 검출하고, 과부하 제어가 필요한지 어떤지를 과부하 판단수단(40)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제어가 필요한 경우는, 드로틀 개방도를 드로틀 개방도 연산수단(37)에서 구하고, 다음에, 보정드로틀 개방도를 구동 토오크 보정수단(42)에서 구하여 드로틀 제어기에 출력한다. 구동토오크 보정수단에는, 토오크 변환기의 토오크비를 토오크비 연산수단(41)에서 구하여 입력하고 보정한다.
제21도는 제20도의 제어 플로우챠트이다. S90에서 액셀개방도(α), 엔진회전수(Ne)를 읽어 넣는다. 그리고, S91에서 액셀 개방도 α가 α1이상의 경우, 즉, 차속 V0(30㎞/h 등) 이하의 저차속 영역에서, 또한 변속차속이 1속인 경우는, S92에서 변속비(i1)를 출력하고, S93에서 목표구동 토오크를 액셀 개방도(α)의 함수(f)로 구한다.
그후, S94에서 드로틀 개방도(θ)를 g(Tt, il, Ne)로 구하고, S95에서 출력한다. 이때, 구동 토오크의 최대치가 액셀 개방도의 최대치가 되도록 하여 둔다.
제22도에 기압변화에 의한 구동토오크 보정 시스템을 나타낸다. 고지(파선)과 저지(실선)에서는, 기압이 변화하기 때문에, 최대구동 토오크에 차가 생긴다. 그러므로, 고지의 경우는 차속(b)에 있어서, 차속(a) 일때의 변속비(B`)를 사용하므로서, 평지와 동일한 구동 토오크가 얻어져, 기압변화에 의한 운전자의 요구 구동토오크를 만족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23도는 기압보정 제어 블록도이다.
대기압 검출수단(43)에 의하여, 기압을 검출하고, 차속 검출수단(44), 엔진 회전수 검출수단(46)에서 검출되는 차속 및 엔진 회전수에 따른 보정 구동 토오크를 보정 구동 토오크 연산수단(45)에 의하여 구한다. 그후, 보정 변속비 연산수단(47)에서, 보정 변속비를 구하고, 보정 엔진 출력 연산수단(48)에서 보정드로틀 개방도를 구하여 각각 변속제어기(35), 드로틀 제어기(38)에 출력한다.
제24도에 제23도의 제어플로우 챠트를 나타낸다. S100에서 대기압(P), S101에서 차속(V), S102에서 엔진 회전수(Ne)를 읽어 넣는다. 그리고 S103에서 보정 구동 토오크 ΔT0를 f(P,V)로 부터 구하고, 다음에, S104에서 보정 변속비(Δi)를 g(ΔT0, Ne)로부터 구한다. 그리고 S105에서 그때의 보정 변속비(Δi)와 드로틀 개방도(θ)로부터 구해지는 h(Δi,θ)와 ΔT0가 일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치하고 있는 경우는, 드로틀 개방도의 보정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S108에서 직접 변속비(Δi)를 출력한다. S105에서 일치하고 있지 않은 경우, S106에서 보정 드로틀 개방도(Δθ)를 j( Δi, Ne)로부터 구하여, S107에서 출력하고, 그때의 변속비(Δi)를 S108에서 출력한다.
제25도는 공연비 제어의 개략도이다. 연비 향상을 위하여, 사선의 파워죤만 공영비(A/F)를 작게하여, 리치(농후)로 한다. 그 이외의 영역은 공연비(A/F)를 크게하여, 리인(희박)으로 할 필요가 있다.
제26도에 공연 베어 플로우 챠트를 나타낸다. S110에서 변속비(i), S111에서 차속(V), S112에서 드로틀 개방도(θ)를 읽어 넣는다. S113에서 변속비(i)가 어떤지를 판단하고, S114에서 차속 V가 V0(예; 60㎞/h)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S115에서 드로틀 개방도 θ가 θk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i=i 또는 V
Figure kpo00003
V0또한 θ
Figure kpo00004
θk 이면, S116에서 리치 맵 (A/F=12)을 검색하여, S117에서 연료량(Tp)을 출력한다. 상기 조건이외의 경우는, S118에서 리인 맵(A/F=19)을 검색하여, S117에서 Tp를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운전자가 요구하는 운전성과 이것에 추종하는 자동차의 실제의 운전성과의 사이에 충분한 일치감이 얻어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34)

  1. 엔진에 결합되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액셀패달스트로크, 엔진회전속도 및 차속을 검출하는 검출수단; 상기 액셀패달스트로크에 의거하여 소정의 구동토오크를 결정하는 제 1결정수단; 및 상기 소정의 구동토오크에 의거하여 상기 엔진의 변속비 및 엔진토오크를 결정하는 제 2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2. 엔진에 결합되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액셀패달스트로크, 엔진회전속도 및 차속을 검출하는 검출수단, 상기 액셀패달스트로크에 의거하여 소정의 구동토오크를 결정하는 제 1결정수단, 상기 소정의 구동토오크 및 상기 차속에 의거하여 변속비를 결정하는 제 2결정수단 및 상기 소정의 구동토오크가 상기 변속기의 상기 변속비의 변환시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결정된 변속비 및 상기 결정된 소정의 구동토오크에 의거하여 상기 엔진의 엔진토오크를 결정하는 제3 결정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엔진토오크 및 상기 엔진회전속도 또는 상기 엔진토오크 및 상기 차속에 의거하여 드로틀밸브개방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3. 엔진에 결합되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액셀 패달스트로크와 차속을 검출하는 검출수단; 및 상기 검출된 액셀패달스트로크 및 상기 검출된 차속에 의거하여 상기 엔진을 실질적으로 최소 연비율영역에서 구동하도록 변속비 및 엔진토오크를 결정하는 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4. 엔진에 결합되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액셀패달스트로크 및 차속을 검출하는 검출수단; 상기 액셀패달스트로크에 의거하여 소정의 구동토오크를 결정하는 제 1결정수단; 및 상기 얻어진 소정의 구동토오크에 의거하여 상기 엔진을 실질적으로 최소연비율영역에서 구동하도록 변속비 및 엔진 토오크를 결정하는 제 2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5. 엔진에 결합되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변속비 변환개시기에서의 상기 변속기의 출력샤프트의 제 1구동토오크 및 변속비 변환말기에서의 상기 변속기의 상기 출력샤프트의 제 2구동토오크 사이의 단변환을 억제하도록 상기 엔진의 엔진토오크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6. 엔진에 결합되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액셀패달스트로크의 검출값에 의거하여 운전자가 요구하는 상기 자동차의 소정의 구동토오크를 결정하는 제1수단; 상기 자동차의 검출된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제 2신호에 응답하여 공연비를 나타내는 제 1신호를 결정하는 제 2수단; 상기 결정된 소정의 구동토오크 및 상기 제 1신호에 의거하여 엔진 토오크를 결정하는 제 3수단; 및 상기 결정된 소정의 구동토오크에 의거하여 상기 변속기의 변속비를 결정하는 제 4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7. 엔진에 결합되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운전자가 요구하는 감속값을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운전자가 요구하는 감속값이 되도록 상기 감속값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8. 엔진에 결합되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내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드로틀밸브의 개방도를 검출하는 수단; 및 상기 드로틀밸브의 상기 개방도가 소정값에 이를 때 변속변환을 제어하고, 상기 변속변환과 동시에 또는 상기 변속변환 후에 상기 드로틀밸브를 소정의 개방도로 패쇄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9. 엔진에 결합되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내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드로틀밸브의 개방도를 검출하는 수단; 및 상기 드로틀밸브의 상기 개방도가 최대일 때 변속변환을 제어하고, 상기 변속변환과 동시에 또는 상기 변속변환 후에 상기 드로틀밸브를 소정의 개방도로 패쇄하며, 패쇄 후에 상기 드로틀밸브의 상기 개방도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10. 엔진에 결합되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내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드로틀밸브의 개방도를 검출하는 수단; 브레이크 패달스트로크를 검출하는 수단; 및 상기 드로틀밸브의 상기 개방도가 최대일 때 변속변환을 제어하고, 상기 변속변환과 동시에 또는 상기 변속변환 후에 상기 드로틀밸브를 소정의 개방도로 패쇄하며, 패쇄 후에 상기 검출된 브레이크패달스트로크에 응답하여 상기 드로틀밸브의 상기 개방도를 결정하고, 상기 검출된 브레이크패달스트로크에 응답하여 변속변환비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11. 엔진에 결합되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액셀 패달스트로크, 엔진 회전속도 및 차속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액셀패달스트로크에 의거하여 소정의 구동토오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구동토오크에 의거하여 상기엔진의 변속비 및 엔진토오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
  12. 엔진에 결합되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액셀패달스트로크, 엔진회전속도 및 차속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액셀패달스트로크에 의거하여 소정의 구동토오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구동토오크 및 상기 차속에 의거하여 변속비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의 구동토오크가 상기 변속기의 변환시 실질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결정된 변속비 및 상기 결정된 소정의 구동토오크에 의거하여 상기 엔진의 엔진토오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엔진토오크 및 상기 엔진회전속도 또는 상기 엔진토오크 및 상기 차속에 의거하여 드로틀밸브개방도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
  13. 엔진에 결합되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액셀패달스트로크와 차속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액셀패달스트로크 및 상기 검출된 차속에 의거하여 상기 엔진을 실질적으로 최소 연비율영역에서 구동하도록 변속비 및 엔진토오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
  14. 엔진에 결합되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액셀패달스트로크와 차속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액셀패달스트로크에 의거하여 소정의 구동토오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얻어진 소정의 구동토오크에 의거하여 상기 엔진을 실질적으로 최소연비율영역에서 구동하도록 변속비 및 엔진토오크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
  15. 엔진에 결합되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변속비 변환개시기에서의 상기 변속기의 출력샤프트의 제 1구동토오크 및 변속비 변환말기에서의 상기 변속기의 상기 출력샤프트의 제 2구동토오크 사이의 단변환을 억제하도록 상기 엔진의 엔진토오크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
  16. 엔진에 결합되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액셀패달스트로크의 검출값에 의거하여 운전자가 요구하는 상기 자동차의 소정의 구동토오크를 결정하는 단계; 자동차의 검출된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제2신호에 응답하여 공연비를 나타내는 제1신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소정의 구동토오크에 및 상기 제1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변속기의 변속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
  17. 엔진에 결합되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운전자가 요구하는 감속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운전자가 요구하는 감속값이 되도록 상기 감속값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
  18. 엔진에 결합되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엔진내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드로틀밸브의 개방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드로틀밸브의 상기 개방도가 소정값에 이를 때 변속변환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변속변환과 동시에 또는 상기 변속변환 후에 상기 드로틀밸브를 소정의 개방도로 패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
  19. 엔진에 결합되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엔진내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드로틀밸브의 개방도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드로틀밸브의 상기 개방도가 최대일 때 변속변환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변속변환과 동시에 또는 상기 변속변환 후에 상기 드로틀밸브를 소정의 개방도로 패쇄하는 단계; 및 패쇄 후에 상기 드로틀밸브의 개방도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
  20. 엔진에 결합되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엔진내로 유입되는 공기량을 제어하는 드로틀밸브의 개방도를 검출하는 단계; 브레이크패달스트로크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드로틀밸브의 상기 개방도가 최대일 때 변속변환을 제어하는 단계; 상기 변속변환과 동시에 또는 상기 변속변환 후에 소정의 개방도로 상기 드르틀밸브를 패쇄하는 단계; 패쇄 후에 상기 검출된 브레이크패달스트로크에 응답하여 상기 드로틀밸브의 개방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브레이크패달스트로크에 응답하여 변속변환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
  21. 엔진에 결합되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액셀패달스트로크의 검출값에 의거하여 운전자가 요구하는 상기 자동차의 소정의 구동토오크를 결정하는 수단; 자동차의 검출된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제 2신호에 응답하여 공연비를 나타내는 제 1신호를 결정하는 수단; 상기 결정된 소정의 구동토오크 및 상기 제 1신호에 의거하여 엔진 토오크를 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결정된 소정의 구동토오크에 의거하여 상기 변속기의 변속비를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22. 엔진에 결합되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에 있어서; 운전자가 요구하는 감속값을 결정하는 수단; 및 변속비와 드로틀밸브개방도를 제어하여, 실제 감소값이 상기 운전자가 요구하는 상기 감속값이 되도록 제어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요구하는 상기 감속값은 브레이크패달스트로크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틀밸브개방도가 제어되어, 변속변환의 충격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틀밸브개방도는 변속변환후에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2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패달스트로크가 제로인 것에 응답하여, 브레이크패달스트로크에 따라 변속비를 선택하는 선택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2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패달스트로크 및 브레이크패달스트로크가 모두 제로일 때 상기 변속기를 중립위치에 세팅하는 세팅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28. 엔진에 결합되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액셀패달스트로크의 검출값에 의거하여 운전자가 요구하는 상기 자동차의 소정의 구동토오크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자동차의 검출된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제 2신호에 응답하여 공연비를 나타내는 제 1신호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소정의 구동토오크 및 상기 제 1신호에 의거하여 엔진토오크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소정의 구동토오크에 의거하여 상기 변속기의 변속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
  29. 엔진에 결합되는 변속기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에 있어서; 운전자가 요구하는 감속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변속비와 드로틀밸브개방도를 제어하여, 실제 감소값이 상기 운전자가 요구하는 상기 감속값이 되도록 제어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자가 요구하는 상기 감속값은 브레이크패달스트로크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
  31.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틀밸브개방도가 제어되어, 변속변환의 충격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
  32.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틀밸브개방도는 변속변환후에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
  3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패달스트로크가 제로일 때, 브레이크패달스트로크에 따라 변속비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
  34.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액셀패달스트로크 및 브레이크패달스트로크가 모두 제로일 때 상기 변속기를 중립위치에 세팅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방법.
KR1019910005453A 1990-04-18 1991-04-04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0182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032190 1990-04-18
JP90-100321 1990-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8250A KR910018250A (ko) 1991-11-30
KR0182775B1 true KR0182775B1 (ko) 1999-04-01

Family

ID=14270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5453A KR0182775B1 (ko) 1990-04-18 1991-04-04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4) US5150635A (ko)
KR (1) KR0182775B1 (ko)
DE (1) DE41124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82775B1 (ko) * 1990-04-18 1999-04-01 미다 가쓰시게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US5496227A (en) * 1990-04-18 1996-03-05 Hitachi, Ltd. Torque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otor vehicles employing the same
US6000378A (en) * 1991-02-25 1999-12-14 Hitachi, Ltd. Change gear control device using acceleration and gear ratio as parameters for automatic transmission in a motor vehicle and the method therefor
US5643133A (en) * 1991-02-25 1997-07-01 Hitachi, Ltd. Change gear control device using acceleration and gear ratio as parameters for automatic transmission in a motor vehicle and the method therefor
JPH04272568A (ja) * 1991-02-25 1992-09-29 Hitachi Ltd 自動変速機制御装置
US5470290A (en) * 1991-02-25 1995-11-28 Hitachi, Ltd. Change gear control device using acceleration and gear ratio as parameters for automatic transmission in a motor vehicle and the method therefor
JP3145426B2 (ja) * 1991-04-17 2001-03-1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US5317937A (en) * 1991-09-14 1994-06-0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Control system for vehicle automatic transmission
DE4141947C2 (de) * 1991-12-19 2002-02-07 Bosch Gmbh Robert Steuersystem für eine Antriebseinheit in einem Flugzeug
JP3139811B2 (ja) * 1992-02-28 2001-03-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ンジン制御装置
JP3318945B2 (ja) * 1992-03-02 2002-08-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車用制御装置、自動車制御システム及び自動車の制御方法
JP2785235B2 (ja) * 1992-04-30 1998-08-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DE4223967A1 (de) * 1992-07-21 1994-01-27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r Einstellung eines Getriebe-Abtriebsmoments oder einer Getriebe-Ausgangsleistung bei Fahrzeugen mit kontinuierlich verstellbarem Getriebe (CVT)
JPH0674325A (ja) * 1992-08-24 1994-03-15 Nippondenso Co Ltd 車輌用走行制御装置
EP0754888B1 (en) * 1992-09-16 2002-03-06 Hitachi, Ltd. Axle torque estimating system
DE4309903B4 (de) * 1992-11-19 2011-11-1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des Abtriebsmoments eines Fahrzeugantriebs
EP1136685B1 (en) 1993-12-28 2004-06-16 Hitachi, Ltd.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60001444A (ko) * 1994-06-06 1996-01-25 가나이 쯔도무 파워트레인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3404910B2 (ja) * 1994-09-14 2003-05-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変速ショック軽減装置
SE510187C2 (sv) * 1995-10-18 1999-04-26 Bjoern Heed Anordning för framdrivning av förbränningsmotordrivna fordon
DE19709417A1 (de) * 1996-03-14 1997-10-30 Luk Getriebe Systeme Gmbh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ines Drehmomentübertragungssystems und eines Getriebes, sowie ein Verfahren hierfür
DE19637210B4 (de) 1996-09-12 2007-05-24 Siemens Ag Antriebsstrangsteuerung für ein Kraftfahrzeug
US5738606A (en) * 1996-09-30 1998-04-14 Cummins Engine Company, Inc. Control system for regulating output torqu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9644881B4 (de) * 1996-10-29 2009-01-0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Ausgangsdrehmoments eines Triebstrangs eines Fahrzeugs
DE19726724A1 (de) * 1997-06-24 1998-11-05 Daimler Benz Ag Verfahren zur Durchführung von Schaltvorgängen in einem automatisierten mechanischen Schaltgetriebe, insbesondere für Dieselmotoren
DE19803387C1 (de) * 1998-01-29 1999-03-18 Daimler Benz Ag Verfahren zur Einstellung der Ausgangsleistung einer Brennkraftmaschine
DE19859239C1 (de) * 1998-12-22 2000-07-06 Faure Bertrand Sitztech Gmbh Neigungsverstellbeschlag für Teilbereiche von Kraftfahrzeugsitzen z. B. Rückenlehnen
DE19916637C1 (de) * 1999-04-13 2000-11-23 Siemens Ag Verfahren zum Steuern des Antriebsstrangs eines Kraftfahrzeugs und Antriebsstrangsteuerung eines Kraftfahrzeugs
US6220987B1 (en) * 1999-05-26 2001-04-24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Automatic transmission ratio change schedules based on desired powertrain output
JP3700475B2 (ja) * 1999-06-03 2005-09-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駆動力制御装置
KR100751651B1 (ko) * 1999-10-26 2007-08-22 인터내셔널 엔진 인터렉츄얼 프로퍼티 캄파니, 엘엘씨 엔진 토크 제어 시스템 및 엔진 토크 제어 방법
DE19961312C1 (de) * 1999-12-18 2001-06-2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stufenlosen Automatikgetriebes
JP2001280175A (ja) * 2000-03-30 2001-10-10 Hitachi Ltd 歯車式機構を用いた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及び方法
US6440038B1 (en) 2000-06-01 2002-08-27 Cummins Engine Company,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orque of a drivetrain
DE10308497A1 (de) * 2003-02-26 2004-09-09 Robert Bosch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etektion der Betätigung eines Bedienelementes
SE526348C2 (sv) * 2003-08-27 2005-08-30 Volvo Lastvagnar Ab Förfarande och arrangemang för att styra vridmoment i en drivlina hos ett landfordon
DE10356641A1 (de) * 2003-12-01 2005-06-30 Adam Opel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otorsteuerung
DE102004031312A1 (de) * 2004-06-29 2006-02-02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ntriebseinrichtung
CN101209675B (zh) * 2006-12-26 2010-05-19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动汽车能量回馈控制方法
JP4983498B2 (ja) * 2007-09-10 2012-07-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US8972118B2 (en) 2009-11-20 2015-03-03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Method of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WO2011070390A1 (en) * 2009-12-08 2011-06-16 Renault Trucks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a hybrid automotive vehicle and vehicle adapted to such a method
WO2011153494A2 (en) 2010-06-03 2011-12-08 Polaris Industries Inc. Electronic throttle control
DE112010005952B4 (de) * 2010-10-22 2016-08-04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Fahrunterstützungsvorrichtung
US9205717B2 (en) 2012-11-07 2015-12-08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having suspension with continuous damping control
SE538118C2 (sv) * 2014-05-30 2016-03-08 Scania Cv Ab Styrning av ett fordons drivlina baserat på en tidsderivataför dynamiskt vridmoment
CN111483518B (zh) 2014-10-31 2023-01-17 北极星工业有限公司 用于控制车辆的系统和方法
JP6233477B1 (ja) * 2016-09-09 2017-11-2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CA3160011A1 (en) 2016-11-18 2018-05-24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having adjustable suspension
US10406884B2 (en) 2017-06-09 2019-09-10 Polaris Industries Inc. Adjustable vehicle suspension system
CN108468596A (zh) * 2018-03-29 2018-08-31 王清 汽车节能控制系统及控制方法
US10987987B2 (en) 2018-11-21 2021-04-27 Polaris Industries Inc. Vehicle having adjustable compression and rebound damping
US10913460B2 (en) * 2019-02-26 2021-02-09 Volvo Car Corporation Vehicle propulsion control using gear dependent pedal mapping during gear shift
US11112004B2 (en) 2019-10-01 2021-09-07 Allison Transmission, Inc. Transmission control systems to adjust clutch pressure and torque based on grade
US11807241B2 (en) 2019-10-24 2023-11-07 Volvo Truck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ngine fueling and vehicle including such a system
US11904648B2 (en) 2020-07-17 2024-02-20 Polaris Industries Inc. Adjustable suspensions and vehicle operation for off-road recreational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8567A (en) * 1975-04-28 1977-02-22 Joseph Hirsch Torque control system
US4774858A (en) * 1975-09-25 1988-10-04 Ganoung David P Engine control apparatus for improved fuel economy
DE2726377B2 (de) * 1977-06-10 1980-10-30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Kraftstoff-Zumessungseinrichtung für Brennkraftmaschinen
DE2811574A1 (de) * 1978-03-17 1979-09-27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regelung einer antriebsmotor-getriebe-einheit eines kraftfahrzeuges
DE2843256A1 (de) * 1978-10-04 1980-04-17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regelung einer kraftfahrzeug-antriebseinheit
DE2929573C2 (de) * 1979-07-21 1982-12-30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Kick-down-Schaltung für automatische Gangwechselgetriebe
JPS56134658A (en) * 1980-03-24 1981-10-21 Aisin Warner Ltd Controller for torque ratio of v-bent type stepless transmission for vehicle
JPS56138555A (en) * 1980-03-29 1981-10-29 Aisin Warner Ltd Controlling device for stepless transmission used in vehicle
CA1161526A (en) * 1980-03-31 1984-01-31 William J. Vukovich Throttle control system for an automatic shift countershaft transmission
DE3018033A1 (de) * 1980-05-10 1981-11-19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r einstellung des drehmomentes einer brennkraftmaschine
JPS5762941A (en) * 1980-10-03 1982-04-16 Nissan Motor Co Ltd Lock-up controlling system for automatic transmission mounted on engine provided with fuel-cut system
DE3212091C2 (de) * 1982-04-01 1994-07-28 Volkswagen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Antriebsaggregates für Fahrzeuge
JPS6053256A (ja) * 1983-08-31 1985-03-26 Fuji Heavy Ind Ltd 無段変速機のキックダウン制御装置
US4677880A (en) * 1984-12-28 1987-07-07 Isuzu Motors Limited Method of controlling automatic transmission in accordance with engine operation
US4945481A (en) * 1986-05-08 1990-07-3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System for integrally controlling automatic transmission and engine
JPS6372956A (ja) * 1986-09-12 1988-04-02 Diesel Kiki Co Ltd 自動変速装置
US5036728A (en) * 1986-10-02 1991-08-06 Mazda Motor Corporation Engine control system for vehicle with automatic transmission
JPS644544A (en) * 1987-06-26 1989-01-09 Aisin Aw Co Speed change control device for automobile
JPS6414544A (en) * 1987-07-08 1989-01-18 Hitachi Ltd Air conditioner
US4843551A (en) * 1987-09-28 1989-06-27 Saturn Corporation Failure mode shift pattern alteration for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transmission
JPH0668324B2 (ja) * 1987-10-29 1994-08-31 マツダ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JPH07117151B2 (ja) * 1988-04-20 1995-12-1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2882528B2 (ja) * 1988-07-20 1999-04-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無段変速機のスロットル制御付き変速制御方法
JPH0715270B2 (ja) * 1988-08-08 1995-02-2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パワートレーンの総合制御装置
JPH0257441A (ja) * 1988-08-20 1990-02-27 Nissan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変速点制御装置
JPH0293163A (ja) * 1988-09-30 1990-04-03 Diesel Kiki Co Ltd 車輌用自動変速装置
JP2762504B2 (ja) * 1989-01-09 1998-06-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変速制御装置
JPH02253050A (ja) * 1989-03-27 1990-10-11 Diesel Kiki Co Ltd 車輌用自動変速装置の制御方法
DE3928814A1 (de) * 1989-08-31 1991-03-14 Porsche Ag Kraftfahrzeug mit einem selbsttaetig schaltenden getriebe
JP2522112Y2 (ja) * 1989-09-12 1997-01-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を備えた車両用の内燃機関の制御装置
KR0182775B1 (ko) * 1990-04-18 1999-04-01 미다 가쓰시게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746679A (en) 1998-05-05
US5343781A (en) 1994-09-06
US5580330A (en) 1996-12-03
DE4112413A1 (de) 1991-11-14
KR910018250A (ko) 1991-11-30
US5150635A (en) 199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2775B1 (ko) 자동차의 구동력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US4733581A (en) Automatic transmission provided with mode preventing increase in oil temperature
US4862854A (en) Control systems for vehicle engines
US4834045A (en) Engine control system
US6513610B2 (en) Shift control system for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H0570753B2 (ko)
US5245541A (en) System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automatic transmission
JP3527391B2 (ja) 車両用無段変速機の変速制御方法
JP2001349423A (ja) 機械式自動変速システムのシフト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H07239021A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KR100534797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 제어방법
JP3492843B2 (ja) 車両の自動変速装置
JP4178466B2 (ja)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
US20180273038A1 (en) Integrated control method for engine and transmission
US6676566B2 (en) Control system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of a vehicle
JP3157485B2 (ja) 無段変速機搭載車の変速制御装置
JP3759780B2 (ja) 無段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制御装置
US5931251A (en) Method of controlling automatic transmissions during traction control
JP3332034B2 (ja) 自動車の駆動力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H10148144A (ja) 自動車の駆動力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2002337572A (ja) 自動車の駆動力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US5343783A (en) Speed change controller for a vehicle automatic transmission
JPH10157491A (ja) 自動車の駆動力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H10159959A (ja) 自動車の駆動力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H0419337A (ja) 自動車の駆動力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40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4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104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