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82768B1 - 무늬를 넣은 성형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무늬를 넣은 성형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768B1
KR0182768B1 KR1019910014839A KR910014839A KR0182768B1 KR 0182768 B1 KR0182768 B1 KR 0182768B1 KR 1019910014839 A KR1019910014839 A KR 1019910014839A KR 910014839 A KR910014839 A KR 910014839A KR 0182768 B1 KR0182768 B1 KR 0182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attern
auxiliary frame
base material
molded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4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4106A (ko
Inventor
히로시 우찌다
미쓰히로 오오누끼
히데로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히로시 우찌다
시시에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22536A external-priority patent/JP297934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222537A external-priority patent/JP2899826B2/ja
Application filed by 히로시 우찌다, 시시에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시 우찌다
Publication of KR920004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4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7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3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applying the material on to a core or other moulding surface to form a laye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6Moulds with flexibl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008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made from two or more material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34Moulds, cores, or mandrels of special material, e.g. destructible materials
    • B28B7/342Moulds, cores, or mandrels of special material, e.g. destructible materials which are at least partially destroyed, e.g. broken, molten, before demoulding; Moulding surfaces or spaces shaped by, or in, the ground, or sand or soil, whether bound or not; Cores consisting at least mainly of sand or soil, whether bound or no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FSPECIAL DESIGNS OR PICTURES
    • B44F9/00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 B44F9/04Designs imitating natural patterns of stone surfaces, e.g. mar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Adornment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 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s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Recrystallisation Techniqu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도, 차도등에 부설해서 고정하는 포장블록, 기타 콘크리트 제품, 인조석제품이나, 건조물의 벽, 천정슬러브, 방바닥등의 구조물등의 콘크리트 성형체, 및 인조석 성형체와 아울러 포장타일이나, 벽타일, 도자기, 소결 암석, 유리, 내화재료, 구조재료등의 세라믹스 성형체를 포함하는 무늬를 넣은 성형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늬를 넣은 성형체의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무늬를 넣은 성형체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무늬를 넣은 성형체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3도는 상기 성형체의 하나를 제조하기 위한 형틀과 보조틀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보조틀의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무늬를 넣은 성형체의 제3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성형체를 제조하기 위한 형틀과 보조틀의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보조틀의 사시도.
제8도는 제1도의 성형체의 제조형상을 보여주는 단면도.
제9도는 제2도의 성형체의 제조상태의 일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10도는 제2도의 성형체의 제조상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11도는 제5도의 성형체의 제조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12도는 저면에 높은 매트를 부설한 형틀을 사용한 성형체의 제조상태의 일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13도는 저면에 높은 매트를 부설한 형틀을 사용한 성형체의 제조상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14도는 저면에 핀을 세워놓은 시트를 부설한 형틀을 사용한 성형체의 제조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15도는 저면에 털을 심어놓은 시트를 부설한 형틀을 사용한 성형체의 제조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원통형상의 성형체를 제조하기 위한 형틀에 무늬용 재료와 기층용 재료를 충전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17도는 제16도의 형틀에 충전한 재료가 응고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18도는 제17도의 응고한 재료를 형틀마다 둥근 형태의 원통형 성형체의 사시도.
제1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 성형체의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2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 성형체의 제조방법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제21도는 제20도의 방법으로 제조한 원통형 성형체의 사시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하향으로 팽창한 성형체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사시도.
제23도는 제22도의 성형체의 제조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제24도는 본 발명에 의한 기와형상의 성형체의 제조방법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제25도는 제24도의 성형체의 제조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본 발명은, 보도, 차도등에 부설해서 고정하는 포장블록, 기타 콘크리트제품, 인조석제품이나, 건조물의 벽, 천정슬러브, 방바닥등의 구조물등의 콘크리트 성형체, 및 인조석 성형체와 아울러 포장타일이나, 벽타일, 도자기, 소결암석, 유리, 내화재료, 구조재료등의 세라믹스 성형체를 포함하는 무늬를 넣은 성형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포장블록의 표면의 일부에 횡단보도, 일시정지등의 교통표시의 무늬를 표현하거나, 표면전면에 무늬를 표현하는 경우, 종래에는 페인트등의 도료로 그리거나, 형상을 끼워넣는 방법밖에는 없었다. 또한 세라믹스의 표면에 무늬를 표현하는 경우는 전사, 인쇄등에 의하여 표면에 그리거나, 형상을 끼워넣는 방법밖에 없었다.
그러나, 포장블록의 표면의 일부나 전면에 그려진 무늬는, 그 위를 걸어다니는 사람의 신발이나, 그 위를 달리는 자동차등의 차바퀴로 마찰되어, 단기간에 마멸해버리기 때문에 빈번하게 다시 그려야할 필요가 있고, 또한 형상을 끼워넣는 방법은 제조에 잔손이 많이가서 비용이 대단히 많이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성형체의 표면이 마멸되어도, 표현된 무늬는 소실되거나, 보기에 흉하지 않는 무늬를 넣은 성형체를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성형체의 제조방법은, 성형체를 성형하는 형틀의 내부의 일정위치에, 표현해야할 무늬에 따라 보조틀을 배치하고, 상기 형틀과 보조틀로 구성한 무늬형중 일정위치의 형공(型孔)에 성형체의 무늬를 구성하는 건조한 재료를 충전하고, 상기 무늬용 재료를 충전하지 않는 나머지의 공간에는 성형체의 기층을 구성하는 기층용 재료를 충전하고, 상기 보조틀을 제외하여, 상기 형내에 충전한 무늬용 재료와 기층용 재료를 경화시킨 후, 형을 탈취하고, 다시 필요에 따라 소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술한 무늬용 재료와 기층용 재료로서, 시멘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를 사용하고, 무늬형에 각각 충전한후, 수분에 의하여 양자를 일체로 굳어지게 함으로써 무늬를 넣은 콘크리트 성형체가 제조된다.
또한 상술한 무늬용 재료와 기층용 재료로서, 골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를 사용하고 무늬형에 각각 충전한후 경화재료에 의하여 양자를 일체로 굳어지게 함으로써 무늬를 넣은 인조석 성형체가 제조된다.
더우기, 상술한 무늬용 재료와 기층용 재료로서, 소결재료를 주성분으로 하는 재료를 사용하고, 무늬형에 각각 충전하고, 가압해서 양자를 일체로한 소지를 성형하고, 이 소지를 형틀로부터 탈형후 소결함으로써 무늬를 넣은 세라믹스 성형체가 제조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무늬를 넣은 성형체는 무늬층을 바람직한 두께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표면이 마멸하거나, 오손되어도 무늬가 소실되거나 보기 흉해지는 일이 없으며, 또한 상기와 같이, 형틀에 보조틀을 사용하여 무늬형을 구성하므로 복잡한 무늬가 들어간 성형체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기타의 특징은 첨부도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다.
[실시예]
제1도, 제2도 및 제5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무늬삽입 성형체의 제1, 제2, 제3실시예를 각각 표시하고, 제1도 및 제2도의 실시예를 하나의 교통표시 무늬를 4개의 성형체를 조합해서 표현하고, 제5도의 실시예는 하나의 성형체로 하나의 그림무늬를 표현하고 있다.
제1도의 성형체는 같은 두께의 무늬층(2)과 기층(3)으로 이루어지고, 무늬층(2)은 성형체의 표면의 일부에 노출하고 있다. 이 성형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형틀(4)내에 배치한 보조틀(5)의 내부에 무늬용 재료를 충진함과 동시에, 보조틀의 외측의 형공에 기층용 재료를 상기 무늬용 재료와 같은 두께로 충전함으로써 제조한 것이다. 이에 대하여 제2도의 성형체도 무늬층(2)이 성형체의 표면의 일부에 노출되어 있지만 성형체의 이면부는 기층(3)만으로 성형되어 있다. 즉, 기층(3)의 두께는 무늬층(2)을 뒷받침하는 부분(3')에서는 엷고, 표면에 노출하는 부분에서는 두껍도록 되어 있다. 이 제2도의 성형체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형틀 내에 배치한 보조틀의 내부에 무늬용 재료를 충전함과 동시에, 보조틀의 외측의 형공을 포함하고, 형틀내부의 무늬용 재료가 들어가 있지 않는 나머지 부분 전체에 기층용 재료를 충전함으로써 제조한 것이다.
또한, 제5도의 성형체는 무늬층(2)이 표면의 전면을 성형하고, 이면부는 기층(3)이 형성되고, 기층(3)은 성형체의 표면에 노출하고 있지않다. 이 성형체는 후술한 바와같이 형틀내에 배치한 보조틀의 내부와, 보조틀의 외부와 같은 두께로 무늬용 재료를 충전함과 동시에, 형틀내부의 무늬용 재료가 들어가 있지 않은 나머지의 형공 전체에 기층용 재료를 충전해서 제조한 것이다. 더우기, 어느 성형체의 제조시에서나 무늬용 재료와 기층용 재료의 충전순서는 임의로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 제2, 제5도에 예시한 바와같은 표면의 일부, 또는 전면에 무늬층(2)이 노출하는 성형체를, 형틀(4)과 무늬에 따른 보조틀(5)을 사용하고, 무늬층(2)은 건조한 무늬용 재료로, 기층(3)은 기층용 재료로 성형하는 것으로서, 제1, 제2도의 성형체를 제조하기 위한 보조틀(5)은 제4도에, 이 보조틀을 형틀의 내부에 배치한 평면도는 제3도에, 또한, 제5도의 성형체를 제조하기 위한 보조틀(5)은 제7도에, 이 보조틀을 형틀내부에 배치한 평면도는 제6도에 각각 표시하였다.
상기한 형틀(4)과 보조틀(5)로 구성한 무늬형의 일정한 위치의 형공에 공급하는 무늬용 재료로서는, 성형체가 콘크리트의 경우는, 시멘트분, 또는 레진의 단체, 혹은 그들의 혼합체, 나아가서는 그들에 안료나 미세한 골재를 첨가한 혼합물로서, 수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물로 이겨 혼합되지 않고 있으며, 용이하게 풀어 공급할 수 있는 재료를 포함하며, 또한 콘크리트의 기층용 재료와는 시멘트분, 또는 레진의 단체 혹은 그들의 혼합체, 다시 그들에 미세한 골재를 첨가하는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마무리 과정에서 무늬용 재료와 색채, 광택, 성질등을 달리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서 안료나, 조골재와 각종 섬유의 어느 한쪽 또는 쌍방을 포함하고, 수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물로 이겨 혼합되어 있지 않고, 용이하게 풀어서 공급할 수 있는 기층구성용의 건조한 재료일지라도, 물로 이겨 혼합해서 이루어진 기층 구성용의 물을 첨가한 재료, 소위 생콘크리트라도 좋고, 무늬용 재료, 기층용 재료의 어느쪽에도 필요에 따라 화강암의 분쇄석, 분말, 대리석, 세라믹, 광재, 빛을 반사하는 미세입자 기타물질을 혼합하거나, 응결경화 촉진제, 방수제, 팽창제 기타의 혼합제를 혼합하는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각종 섬유라함은, 금속섬유, 탄소섬유, 합성섬유, 글라스 파이바 등이다.
상기와 같이 무늬용 재료 및 기층용 재료를 사용해서, 콘크리트 성형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금속판, 플라스틱, 고무, 목재, 종이, 포목 기타 물에 용해되지 않는 재료를 제작된 보조틀(5)을 사용하며, 이 보조틀은 형틀의 내부로 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상면 이외에 하면도 개방한 원통형으로 되어있다.
그리하여, 제1도의 성형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형틀(4)내에 배치한 보조틀(5)의 내부의 칸막이로 구획된 T 형상 형공(5a)중에는 적색의 건조한 무늬용 재료(9R), 2개의 부채꼴 형공(5b)중에는 청색의 건조한 무늬용 재료(9B)를, 보조틀(5)의 외측 형공에는 건조한 기층용 재료, 또는 물을 첨가한 기층용 재료(10)을 각각 같은 두께만큼 제8도와 같이 충전하고(각 재료의 충전순서는 임의로 한다), 충전이 끝난 후 보조틀을 형틀 밖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충전한 기층용 재료가 건조한 때에는 그의 기층용 재료(10)와, 무늬용 재료(9R),(9B)의 시멘트와 레진의 전량에 대하여 소요의 물 : 시멘트 비로 되도록 형틀의 내부 전체에 급수하고, 그의 수분으로, 또한, 기층용 재료가 물을 첨가한것인 때에는 기층용 재료(10)가 포함하는 수분으로, 무늬용 재료(9R),(9B)와 기층용 재료(10)를 일체로 굳어지게 해서 성형체를 제조하고, 굳어지면 형틀(4)로 부터 탈행한다.
제2도의 성형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제9도에서와 같이 형틀내의 보조틀(5) 내부의 형공(5a),(5b)에 성형체의 두께 보다도 얇게 건조한 무늬용 재료(9R),(9B)를 충전하고, 그 후 보조틀의 외측의 형공과, 무늬용 재료(9R),(9B) 상에 건조한 기층용 재료(10)를, 바람직한 두께의 성형체로 되도록 충전하고, 보조틀(5)을 제거함과 동시에, 기층용 재료가 건조했을 때에는 형틀의 내부 전체에 급수하고, 물을 첨가한 기층용 재료인 때에는 그것이 포함하는 수분으로 전부의 재료를 일체로 굳혀서 탈형하거나, 제10도에서와 같이, 형틀 내부 전체에 기층용 재료(10)를 얇게 충전하고, 그후 보조틀의 내부의 형공(5a)과 (5b)에 무늬용 재료(9R)와 (9B), 보조틀의 외측의 형공과 똑같이 기층용 재료(10)를, 일정한 두께의 성형체로 되도록 충전하고, 보조틀을 제거하는 동시에,
기층용 재료가 건조한 것인 때에는 형틀의 내부 전체에 소요량 급수하고, 물을 첨가한 기층용 재료인 때에는 그것이 포함하는 수분으로 전부의 재료를 일체로 굳게 해서 탈형한다.
또한, 제5도의 성형체를 제조할때에는, 제11도에서와 같이, 형틀내의 보조틀 내부의 형공(5c)에는 산정부의 눈과 같은 흰 건조한 무늬용 재료(9w), 형공(5d)에는, 다갈색의 건조한 무늬용 재료(9Br), 형공(5e)에는 바다의 색깔인 청색의 건조한 무늬용 재료(9B), 보조틀의 외측의 형공에는 하늘색의 무늬용 재료(9S)를 각각 성형체의 두께보다도 얇게 충전하고 그후에 형틀의 내부전체에 일정한 두께의 성형체로 되도록 건조한 기층용 재료 또는 물을 첨가한 기층용 재료(10)를 충전하거나, 상기와는 역으로 앞에 형틀의 내부 전체에 최초로 기층용 재료(10)를 충전하고, 그 후, 보조틀의 내부의 형공(5c), (5d), (5e) 및 보조틀의 외측의 형공에 건조한 무늬용 재료(9w), (9Br), (9B), (9S)를 충전한다. 그리하여, 보조틀을 형틀의 내부로 부터 제거하는 동시에, 충전한 기층용 재료가 건조한 것일때에는 형틀의 내부전체에 소요량, 급수하고, 물을 첨가한 기층용 재료인 때에는 그것이 포함하는 수분으로 전체의 재료를 일체로 굳어지게 해서 탈형한다. 그리하여 상기 재료를 형공에 충전할시에는, 성형하는 형틀 내부에는, 금속, 섬유등의 각종의 섬유나 화이바 외에 철근, 라스망, 에키스 팬드메탈, 각종의 로프나 와이어등의 보강재료를 짜넣음으로써, 강도있는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더우기, 앞서 충전한 기층재료(또는 무늬재료)위에 상기 보강 재료를 깔고, 그 위에 무늬재료(또는 기층재료)를 충전하면, 충전한 상하의 재료가 스쳐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무늬층과 기층의 결합을 계면에서 보강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의 어느 제조방법에서도, 형틀내로 부터의 보조틀(5)의 제거는, 전부의 무늬용 재료를 충전후, 보조틀을 제거해도 표현하는 무늬가 손상되지 않는 단계라면 기층용 재료(10)를 충전하기 전이라도, 충전한 후에도 좋다. 예컨대 제8도의 경우는 무늬용 재료(9R), (9B)를 충전후에 보조틀을 제거하면 무늬가 망가지므로 기층용 재료(10)를 보조틀(5)의 외측의 형공에 충전후에 제거하고, 제9도의 경우는 무늬용 재료(9R), (9B)와, 이것과 같은 높이로 되도록 기층용 재료(10)를 충전후에 보조틀(5)을 제거해도 좋고, 다시 각 재료 위에 기층용 재료를 충전후에 제거해도 좋다. 제10도의 경우는, 무늬용 재료(9R),(9B)와, 전부의 기층용 재료(10)를 충전후에 보조틀을 제거하고, 제11도의 경우는 무늬용 재료(9S),(9W),(9Br),(9B)의 전부를 충전후에 제거해도 좋고, 그의 각 무늬용 재료상에 기층용 재료(10)를 충전후에 제거해도 좋다. 이와같이 해서 보조틀을 제거하면, 보조틀의 벽(5')으로 격리되어 있던 부분의 무늬용 재료끼리, 그리고 무늬용 재료와 기층용 재료는 붕락하고, 제거된 보조틀의 벽의 흔적을 메운다. 더우기, 보조틀을 제거할 시에 형틀과 보조틀의 한쪽 혹은 양쪽을 진동기나. 초음파로 진동하거나, 보조틀을 제거해서 전부의 재료를 경화시킬 때에 프레스로 가압하면 재료의 붕락이 강제되고, 보조틀의 벽의 흔적을 메우는 것이 촉진되므로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충전하는 것이 건조한 기층용 재료인 경우는, 그의 기층용 재료 및 각 무늬용 재료를 포함하는 시멘트, 레진의 전량에 대해서 소요의 물비가 되도록 형틀이 내부 전체에 적량 급수하는 것이지만, 이 급수는 각재료의 움직임을 조정하고저 하는 경우 등, 필요에 따라 일부의 량을 먼저 급수해도 좋다. 또한, 충전하는 것이 물을 첨가한 기층용 재료의 경우는, 이 기층용 재료를 포함하는 수분으로 주로 각 무늬용 재료를 가습하기 때문에, 그것을 예상하여 기층용 재료(10)의 수분은 많아지도록 해둔다. 물론, 기층용 재료(10)의 수분만으로는 무늬용 재료를 가습하는 것이 부족할 때에는 추가로 급수해도 좋다.
그리하여, 보조틀(5)의 길이는 무늬용 재료를 충전하는 층의 두께와 같아도 좋지만, 도시한 바와같이 형틀(4)의 상면으로 부터 돌출하도록 해두면, 제거가 용이하게 행하여 진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물에 용해되지 않는 재료로 구성된 보조틀(5)을 사용하였지만, 오브라트, 기타 물에 용해하는 재료로 구성된 보조틀은 사용할 수도 있다. 보조틀(5)은 행틀(4)내에서 용해하기 때문에 상하의 양면이 개방할 원통형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하면의 바닥이 막힌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수용성 보조틀(5)을 사용한 콘크리트 성형체의 제조방법은 보조틀을 형틀내로 부터 제거하는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고, 그외에는 전술한 불용성 보조틀을 사용한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같으며, 재료로 공급한 물, 혹은 재료에 포함되고 있던 물에 의하여 용해, 소실한 보조틀의 흔적은 보조틀의 벽과 접촉하고 있던 무늬용 재료끼리, 혹은 무늬용 재료와 기층용 재료가 붕락해서 메워진다. 붕략을 촉진하기 위하여 진동케하거나 가압하면 좋다.
또한, 보조틀을 빨리 용해해서 두고싶은 경우등은, 각 건조한 무늬용재료를 전부 충전후에 급수해서 무늬용 재료를 먼저 가습하고, 그 후 기층용 재료를 충전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건조한 기층용 재료의 그후의 급수량은 적게하고, 또한 가수한 기층용 재료를, 무늬용 재료 보다도 앞서 충전하면, 무늬용 재료의 충전이 끝나기전에 보조틀이 용해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수용성이기는 하지만 용해에 시간을 요하는 보조틀을 사용한다.
그리하여, 보조틀은 형틀내에서 용해하고, 소실해버리기 때문에, 무늬용 재료의 충전두께와 같은 깊이를 가지고 있으면 좋고, 형틀 상면으로 부터 윗쪽으로 돌출시킬 필요는 없다.
상술한 콘크리트 성형체의 어느 제조방법에 있어서도, 형틀은 테이블 바이브레이터 상에 올려놓고, 각 무늬용 재료 및 기층용 재료를 충전할시에 진동을 가하면, 각 재료의 밀도는 높아지고, 치밀하게 충전할 수 있다.
또한 제12도에서와 같이 형틀(4)의 바닥의 내면에 압축가능한 두께가 높은 매트(6), 예컨대 천을 부설하여 그 위에 보조틀(4)을 올려놓고, 충전해야 할 건조한 무늬용 재료(9R),(9B)와, 보조틀의 외측의 형공에 충전해야할 기층용 재료(10)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일부, 혹은 전부, 이곳에서는 무늬용 재료(9R),(9B)에 팽창제를 혼합하면, 굳어질때 까지의 사이에 팽창제를 혼합하는 제13도에서와 같이 상기 매트(6)를 압축해서 팽창한다. 따라서, 무늬층이나, 기층의 표면을 성형체의 표면으로 부터 부풀어 오르게 하고, 무늬를 입체감이 나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표시한 실시예에서는 형틀(4)의 상면이 개방하고 있지만, 이 상면을 중량이 있는 뚜껑으로 폐쇄하면 재료는 매트(6)쪽으로 향하여서만 팽창하므로, 보다 입체감이 있는 무늬가 생긴다. 더우기 매트(6)에 흡수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면 나머지 물을 흡수하고, 각 재료에 수분을 균일하게 미치도록 하므로 성형체의 성능을 강도있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제12도, 제13도는 제8도의 실시예에 대응한 것이지만, 제9도나 제11도의 실시예에서도 똑같이 입체감의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0도에서는 충전한 기층용 재료(10)상에 무늬용 재료를 충전하므로, 예컨대 이 무늬용 재료에 팽창제를 혼합하고, 두께가 높은 매트를 사용함이 없이 무늬층을 성형체의 표면에 부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형틀의 바닥내면에 흡수성의 매트를 부설해 놓으면, 상술한 바와같이 성형체의 성능을 강도있게 향상시킬 수가 있다.
상기한 것은 성형체의 무늬를 넣은 콘크리트 성형체의 제조법이지만, 무늬를 넣는 콘크리트 성형체를 이미 부설한 콘크리트 표면에 고착시켜서, 콘크리트 표면을 장식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장식해야할 콘크리트 표면에, 제3도 또는 제6도에서와 같이 저면을 해방한 형틀(4)내에 보조틀(5)을 일정위치에 설정한 무늬형을 설치하고, 이 무늬형의 일정위치의 형공에 상술한 바와같은 건조한 무늬용 콘크리트 재료와 기층용 콘크리트 재료를 각각 충전하고, 충전이 끝나면 무늬형을 콘크리트 표면상으로 부터 제거하는 동시에, 각 무늬 및 기층용 재료의 시멘트나 레진의 전량에 대하여 바람직한 물비로 되도록 각 재료에 콘크리트 위에서 굳어지게 해서 콘크리트와 일체가 되게 한다.
상기의 무늬형의 제거는 재료를 충전해서 급수후, 아직 재료가 굳어지지 않는 단계에서 행하여도 좋다. 물론 보조틀(5)만을 제거해도 좋다. 보조틀(5)을 오브라트 등의 물에 용해하는 재료로 구성한 경우, 재료에 급수한 물에 의하여 점차 용해하므로, 보조틀의 제거는 불필요하게 된다.
수직의 기설 콘크리트 벽면을 무늬를 넣은 콘크리트로 장식하는 경우는, 저면을 봉쇄한 무늬로 미리 무늬용 콘크리트 재료와 기층용 콘크리트 재료를 미리 충전하고, 필요에 따라 일부를 탈형하고, 각 재료에 적량, 급수한 후, 무늬형으로 충전된 재료의 상면 또는 무늬형으로 부터 탈형한 재료를 벽면에 밀어붙여서, 적당한 수단으로 그의 상태로 유지하고, 재료를 굳어지게 해서 벽면과 일체화한다.
상기 무늬형의 벽면으로 부터의 제거는, 재료를 각각 형공으로 충전하고, 급수후, 아직 재료가 굳어지지 않는 단계에서 행하여도 좋다. 물론 보조틀(5)만을 제거해도 좋다. 보조틀(5)을 오브라트 등의 물에 용해하는 재료로 구성한 경우, 재료에 급수한 물에 의하여 점차 용해하므로 보조틀의 제거는 불필요하게 된다. 이미 설치한 벽면의부에 끼워넣는 경우를 제거하여 형틀(4)은 그대로 콘크리트 재료가 고착할때까지 유지함으로써 무늬를 넣는 콘크리트는 고착하게 된다. 이 방법에 의하면, 원통이나 파상형상판 등의 판판하지 않는 평면도 용이하게 장식할 수 있다.
성형체가 세라믹스의 경우, 건조한 무늬용 재료로서는, 점토, 암석이나 유리분말 또는 미세입자, 분말유의 1종 또는 2종이상, 혹은 이들에 안료, 착색제를 첨가한 것이 열거되며, 이 무늬재료는, 건조되어 있으므로 해서 수분 혹은 윤활결합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물 혹은 윤활결합제로 혼합되어 있지 않고 용이하게 개방해서 공급할 수 있는 상태의 것이면 좋다. 또한, 기층용 재들 로서는, 점토, 암석이나 초자의 분말 또는 미립자의 1종 또는 2종 이상, 혹은 이들에 안료, 착색제를 가한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마무리 과정에서 상기 무늬용 재료로서는 색체, 윤기, 성질등을 달리하는 물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기층용 재료는 수분 혹은 윤활결합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물 혹은 윤활결합제로 혼합되어 있지 않고, 용이하게 풀어 공급할 수 있는 건식재료일 지라도, 그리고 물 혹은 윤활결합제로 혼합해서 이루어진 습식재료일지라도 좋고, 무늬용 소결재료 기층용 소결재료의 어느쪽에서도 필요에 따라 도자기의 분쇄입자, 금속 기타의 광물질의 분말이나 입자등의 물질을 혼합하거나, 각종의 윤활제나 결합제 기타의 첨가제를 혼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무늬용 재료와 기층용 재료를 사용해서, 세라믹스, 고무, 목재, 종이, 천 기타의 물이나 용제에 용해되지 않는 재료제의 전술한 보조틀(51)을 사용하지만, 이 보조틀은 형틀내부로 부터 제거하기 때문에 상면 이외에 하면도 개방한 원통형으로 되어있다.
제1도의 세라믹스 성형체의 소지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3도의 형틀(4)내에 배치한 보조틀(5)의 내부의 칸막이로 구획된 T형 형공(5a) 중에는 소성하면 적색으로 되는 건조한 무늬용 재료(9R), 2개의 부채형 형공(5b)중에는 똑같이 청색으로 되는 건조한 무늬용 재료(9B)를, 보조틀(5)의 외측형공에는, 건식 또는 혼합된 습식의 기층용 재료(10)를 각각 같은 두께로만 제8도와 같이 충전하고(각 재료의 충전순서는 임의로 한다), 충전이 끝나면 보조틀을 형틀외로 제거한다.
더우기, 본 실시예의 경우, 무늬용 재료로서 소성후, 투광성을 갖는 재료를 충전함으로써, 무늬층이 투광성을 갖는 세라믹스 성형체로 된다.
제2도의 세라믹스 성형체의 소지를 성형하기 위해서는 제9도에서와 같이 형틀내의 보틀(5) 내부의 형공(5a)과 (5b)에 소지의 두께보다도 엷게 건조한 무늬용 재료(9R),(9B)를 충전하고, 그 후 보조틀의 외측의 형공과, 무늬용 재료(9R),(9B)상에 기층용 재료(10)를 , 필요로하는 두께의 소지로 되도록 충전하고, 보조틀을 제거하거나, 제10도에서와 같이, 형틀의 내부전체에 기층용 재료(10)를 얇게 충전하고, 그후 보조틀의 내부의 형공(5a)와 (5b)에 무늬용 재료(9R)와 (9B), 보조틀의 외축의 형공에는 똑같이 기층용 재료(10)를, 필요로 하는 두께의 소지로 되도록 충전하고, 보조틀을 제거한다.
또한, 제5도의 세라믹스 성형체의 소지를 성형함에 있어서는, 제11도에서와 같이, 형틀내의 보조틀의 내부의 형공(5c)은 소성에 의하여 백색으로 되고, 산의 정상부의 눈과 같은 건조한 무늬용 재료(9w), 형공(5d)에는 똑같이 다갈색으로 되고, 산표면을 표시하는 건조한 무늬용 재료(9Br), 형공(5e)은 청색으로 되고, 바다를 표시하는 건조한 무늬용 재료(9B), 보조틀의 외측형공에는 하늘색으로 되고, 하늘을 표시하는 무늬용 재료(9S)를 각각 소지의 두께 보다도 얇게 충전하고, 그 후에 형틀의 내부 전체 필요로 하는 두께의 소지로 되도록 건식 또는 습식의 기층용 재료(10)를 충전하거나, 상기와는 역으로 먼저 형틀의 내부전체의 최초로 기층용 재료(10)를 충전하고, 그후, 보조틀의 내부의 형공(5c),(5d),(5e) 및 보조틀의 외측형공을 각각 충전한다. 그리하여 보조틀을 형틀의 내부로 부터 제거한다.
상술한 것 중 어느 방법으로도, 형틀내로 부터의 보조틀(5)의 제거는, 전부의 무늬용 재료를 충전후, 보조틀을 제거해도 표현하는 무늬가 손상되지 않는 단계라면 기층용의 소결재료(10)를 충전하기 전이나, 또는 충전후에라도 좋다. 예컨대 제8도의 경우는 무늬용 재료(9R),(9B)를 충전후에 보조틀을 제거하면 무늬가 붕괴되므로 기층용 재료(10)를 보조틀의 외측형공에 충전한 후에 제거하고, 제9도의 경우는 무늬용 재료(9R),(9B)와, 이것과 같은 높이로 되도록 기층용 재료(10)를 충전후에 보조틀을 제거해도 좋다. 더우기 각 재료의 위에 기층용 재료(10)를 충전후에 제거해도 좋다. 제10도의 경우는 무늬용 재료(9R),(9B)와, 전부의 기층용 재료(10)를 충전후에 보조틀을 제거하고, 제11도의 경우는 무늬용 재료(9S),(9W),(9Br),(9B)의 전부를 충전후에 제거해도 좋고, 그의 각 무늬용 재료위에 기층용 재료(10)를 충전후에 제거해도 좋다. 이와같이 해서 보조틀(5)을 제거하면, 보조틀의 벽(5')으로 격리되어 있던 부분의 무늬용 재료 끼리, 그리고 무늬용 재료와 기층용 재료는 붕락하고, 제거된 보조틀의 벽의 흔적을 메운다. 더우기, 보조틀을 제거할 때는 형틀과 보조틀의 한쪽 또는 양쪽을 진동기나. 초음파로 진동하거나, 보조틀을 제거해서 전부의 재료를 프레스로 가압함으로써 재료의 붕락이 강제되고, 보조틀의 벽의 흔적을 메우는 일을 촉진할 수 있다. 그리하여, 충전하는 것이 건식의 기층용 재료의 경우에는 그의 기층용 재료 및 각 무늬용 재료의 전량에 대해서 소지를 가압성형하는데 필요한 함수율, 또는 함윤활 결합제율로 되도록 형틀의 내부 전체에 물 혹은 윤활결합제를 적량 공급하지만, 이 공급은 각 재료의 움직임을 조정하고자 하는 경우등, 필요에 따라 일부의 량을 먼저 공급해도 좋다.
또한, 충전하는 것이 습식의 기층용 재료로서, 이 기층용 재료가 필요 이상의 함수율 또는 함윤활 결합제율인 때에는 그의 물 또는 윤활결합제를 건조한 무늬용 재료로 공급한다. 물론, 기층용 재료와 무늬용 재료를 포함하는 물 또는 윤활결합제가 부족할때는 추가해서 공급한다.
이와같이 하여 보조틀(5)을 제거하고, 무늬용 재료와, 기층용 재료가 가압형성에 필요한 함수율 또는 함윤활 결합제율을 갖는때에, 형틀내의 양재료를 가압해서 세라믹스 성형체의 소지를 성형하고, 형틀로 부터 탈형해서 필요온도로 소성하고, 양재료를 일체로 하여 소결하고, 세라믹스 성형체가 되도록 한다. 물론, 탈형후, 필요에 의하여 소성전에 양재료의 함수율 또는 함윤활 결합제율이 일정하게 되도록 소지를 건조하거나, 소지에 유약을 칠한다.
보조틀(5)로서, 오브라트, 기타, 물이나 용제로 용해하는 재료로 구성한 것을 사용하는 경우는, 보조틀은 소실하기 때문에 상하의 양면이 개방한 원통형에 한정되지 않고, 하면이 밑바닥에서 폐쇄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같은 보조틀을 사용하여, 제1도, 제2도, 제5도의 세라믹스 성형체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보조틀이 재료에 포함되어 있는 물 혹은 윤활결합제 또는 공급한 물, 혹은 윤활결합제등에 의하여 소성하기 전에 용해함으로써 보조틀은 소실하기 때문에, 보조틀을 형틀내로 부터 제거하는 공정이 불필요하게 될 뿐이고, 나머지는 전술한 보조틀을 제거하는 실시예와 같으며, 용해, 소실한 보조틀의 흔적은 보조틀의 벽과 접촉하고 있던 무늬용재료 끼리, 그리고 무늬용 재료와 기층용 재료가 붕락해서 메워진다. 붕락을 촉진하기 위해서 진동하거나 가압하면 좋다.
그리고, 보조틀을 속성으로 용해하여 두고자 할 경우에는, 건조한 각 무늬용 재료를 전부 충전후에 물이나 윤활결합제를 공급하고, 그후 기층용 재료를 충전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건조한 기층용 재료에 대한 그 후의 물이나 윤활결합제의 공급량은 적게하고, 또한, 습식의 기층용 재료의 함수율 또는 함윤활 결합제율은 적도록 해둔다. 더우기, 습식의 기층용 재료를 무늬용 재료 보다도 먼저 충전하면, 무늬용 재료의 충전이 끝나지 않는 동안에 보조틀이 용해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보조틀에는 용해성이기는 하지만 용해에 시간을 요하는 것을 사용한다. 그리하여, 보조틀은 용해해 버리고, 형트로 부터 인출할 필요가 없으므로, 무늬용 재료의 충전두께와 같은 깊이를 가지면 좋고, 형틀 상면으로 부터 위로 돌출시키지 않아도 좋다.
상기 세라믹스 성형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형틀은 테이블 바이브레이터상에 올려놓고, 각 무늬용 재료 및 기층용 재료를 충전할 때에 진동을 가하면, 각 재료의 밀도는 높아지고, 치밀하게 충전할 수 있으며, 더우기, 제12도에서와 같이 형틀(4)의 바닥내면에 흡수성이나 흡유성의 매트(6), 예컨대 천을 부설하고, 그 위에 보조틀(5)을 올려놓고 각 재료의 충전을 행하면, 나머지 수분이나, 윤활 결합재를 흡수해버리고, 각 재료에 수분이나 윤활결합제를 균일하게 보급하는 동시에, 가압시에 재료로 부터의 탈기를 도울 수 있으므로, 성형, 탈형이 좋아진다.
이 제12도, 제13도는 제8도의 실시예에 대응한 것이지만, 제9도나 제11도의 실시예에서도 똑같다. 또한 제10도에서는 먼저 기층용재료(10)를 충전하고, 그 위에 무늬용 재료를 충전하므로, 소지의 표면 또는 형틀의 바닥의 내면에 흡수성이나 흡유성의 매트를 부설해두면, 상술한 바와같이 수분이나 윤활결합제를 균일하게 보급시키는 동시에, 가압시에 탈기를 도움으로 성형, 탈형이 좋아진다.
성형체가 인조석인 경우, 무늬용 재료로서 이용되는 골재는, 암석입자, 도자기 입자, 유리입자, 플라스틱 입자, 나무조각, 금속입자 등의 입체의 1종 또는 2종 이상, 혹은 이들과 안료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무늬용 재료는 완전 건조상태 내지는 물이나 용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용이하게 녹아서 형공으로 공급하게 되는 상태의 것이라면 좋다.
기층용 재료로서 사용되는 골재는 암석입자, 도자기 입자, 유리입자, 플라스틱입자의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서 이들에 안료를 혼합하지만, 마무리 과정에 있어서 상기 무늬용 골재와 생채, 성질 등을 달리하는 물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늬용 재료 및 기층용 재료를 무늬형으로 충전해서 경화시키는 경화재료 로서는, 시멘트 분말과 물, 시멘트 분말과 레진수, 혹은 레진과 물과 용제 또는 이들과 암석, 도자기, 유리, 플라스틱의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미세분말을 주성분으로 하는 혼합물이므로, 필요에 따라 각종 분말 또는 미세분말이나 각종 섬유, 각종 혼화제와 각종 첨가제를 혼합하는 것도 있다. 상기의 각종의 미세한 분말 또는 미세한 입자라 함은, 광재와 훌라이 애쉬, 빛을 반사하는 미세한 입자 그리고 그 밖의 물질이고, 각종 섬유라함은, 금속섬유, 탄소섬유, 합성섬유, 글라스 화이버 등이고, 각종 혼화제와 각종 첨가제라 함은, 수축방지제, 응결경화 촉진제, 지연제, 방수제, 팽창제, 감수제, 유동화제 등이다.
더욱이, 상기한 무늬골재와 기층용 골재에는, 경화재료와의 부착성을 좋게 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물, 용제, 표면처리제 등을 산포하기도 하고, 이것들에 침적처리를 해둔다.
상기 무늬용 골재 및 기층용 골재를 써서, 인조석 블록을 제조하는데는, 형틀(4)안에 배치한 보조틀(5)의 내부의 간막이로 구획된 T자형 형공(5a)의 가운데에 적색의 무늬용 골재(9R), 두개의 부채꼴형 형공(5b)의 가운데에 청색의 무늬용 골재(9B)를, 보조틀(5)의 외측 형공에 기층용 골재(10)를 각각 같은 두께로 제8도와 같이 충전하고(각 재료의 충전 순서는 임의이다), 충전이 끝나면 보조틀을 형틀의 외측 형공에서 제거하는 것과 함께, 경화재료를 각 골재료의 빈틈에 충전하고, 무늬용 골재(9R),(9B)와 기층용 골재(10)를 경화 재료로 일체로 굳게하여 성형체를 제조하고, 굳어지면 형틀(4)에서 탈형한다.
제2도의 블록을 제조하는 데에는 제9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형틀안의 보조틀(5)의 내부의 형공(5a)(5b)에 블록의 두께 보다도 얇게 건조된 무늬용 골재(9R)(9B)상에 기층용 골재(10)를, 소요되는 두께의 블록이 되도록 충전하고, 보조틀을 제거함과 함께, 경화재료를 각 골재간의 빈틈에 채우고 전부의 재료를 일체로 굳게하여 탈형 하든가,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형틀의 내부전체에 기층용 골재(10)를 얇게 충전하고, 그 후에 보조틀의 내부의 형공(5a)(5b)에 무늬용 골재(9R)(9B), 보조틀의 외측의 형공에 같은식의 기층용 골재(10)를 소요되는 두께의 블록이 되도록 충전하여, 보조틀을 제거하는 것과 함께, 경화재료를 각 골재간의 빈틈에 채워 전부의 재료를 일체로 굳게하여 탈형한다.
또, 제5도의 블록을 제조하는데에는, 제1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형틀내의 보조틀의 내부의 형공에 산정상의 눈과 같은 하얀 무늬용 골재(9W), 형공(5d)에 산표면을 나타내는 다갈색의 무늬용 골재(9Br), 형공(5e)에 바다를 나타내는 청색의 무늬용 골재(9B), 보조틀의 외측의, 형공에 하늘을 나타내는 건조된 하늘색의 무늬용 골재(9S)를 각각 성형체의 두께 보다도 얇게 충전하고, 그 후에 형틀의 내부 전체에 소요되는 두께의 성형체가 되도록 기층용 골재(10)를 충전하든가, 상기한 바와 역으로 먼저 형틀의 내부 전체에 최초로 기층용 골재(10)를 충전하며, 그 후에 보조틀의 내부의 형공(5c)(5d)(5e) 및 보조틀의 외측의 형공에 무늬용 골재(9W)(9Br)(9B)(9s)를 충전한다. 그리고, 보조틀을 형틀의 내부로 부터 제거하는 것과 함께, 경화재료를 골재료간의 빈틈에 채우고 전부의 재료를 일체로 굳게하여 탈형한다.
상기한 실시예의 어떠한 제조방법이라도, 형틀내로 부터의 보조틀(5)의 제거는, 전부의 무늬용 골재를 충전후, 보조틀을 제거해도 표현하는 무늬가 나타나는 단계에 있으면 기층용 골재(10)를 충전하기 전이나, 충전한 후에도 좋다. 예컨대, 제8도의 경우는 무늬용 골재(9R)(9B)를 충전후에 보조틀을 제거하면 무늬가 못쓰게 되므로 기층용 골재(10)를 보조틀의 외측의 형공에 충전후에 제거하고, 제9도의 경우는 무늬용 골재(9R)(9B)와 이것과 같은양의 기층용 골재(10)를 충전후에 보조틀을 제거해도 좋고, 더욱이 각 재료의 위에 기층용 골재를 충전후에 제거해도 좋다. 제10도의 경우는, 무늬용 골재(9R)(9B)와, 전부의 기층용 골재(10)를 충전후에 보조틀을 제거하고, 제11도의 경우는 무늬용 골재(9S)(9W)(9Br)(9B)의 전부를 충전후에 제거하여도 좋으며, 그 각각의 무늬용 골재위에 기층용 골재(10)를 충전후에 제거하여도 좋다. 이렇게 하여 보조틀을 제거하면, 보조틀의 벽(5')을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는 부분의 무늬용 골재끼리 및 무늬용 골재와 기층용 골재는 허물어져 떨어지고, 제거된 보조틀의 벽의 자취를 메운다. 더욱이, 보조틀을 제거할때 형틀과 보조틀의 일방 또는 쌍방을 진동기와 초음파로 진동시키고, 보조틀을 제거하여 전부의 재료를 경화시킬때에 프레스로 가압하면 재료의 허물어져 떨어짐이 억제되고, 보조틀의 벽의 자취를 메우는 것이 촉진될 수 있어 좋다.
그리고, 경화재료를 골재간의 빈틈전체에 충전하는데, 이 경화재료의 충전은 진공충전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더욱이 이 충전은 각 재료의 움직임을 조정하고 싶은 경우 등 필요에 따라 일부의 양을 먼저 충전해도 좋다. 또, 경화재료의 유동성에 의해 기층용 골재에는 미리 경화재료를 충전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그리하여, 보조틀(5)의 깊이는 무늬용 골재를 충전하는 층두께와 같아도 좋은데, 도시한 바와같이 형틀(4)의 상면으로 부터 돌출하도록 해놓으면, 제거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한 인조석 성형체의 제조방법은 보조틀이 비용해성 재료로 구성된 실예였지만, 보조틀을 오블라트, 그 밖에 물이나 용제로 용해하는 재료로 구성된 보조틀을 써서 제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보조틀은 경화재료로 용해시키게 되어, 그리하여, 보조틀은 형틀내에서 용해하기 위해 상하의 양면이 개방된 통형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하면이 밑에서 막혀진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성형체의 제조에 있어서는, 무늬용 골재 및 기층용 골재를 형틀과 보조틀로 구성된 무늬형에 충전한 다음에, 보조틀을 용해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보조틀을 형틀내로 부터 제거하는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는 것만으로, 그 다음은 상기한 불용성 보조틀을 사용한 제조방법과 실질적으로 같아서, 용해, 소실된 보조틀의 자취는 보조틀의 벽과 접촉하고 있던 무늬용 골재끼리 및 무늬용 골재와 기층용 골재가 허물어져 떨어져서 메워진다.
또, 보조틀을 조금 일찍 용해시켜 놓고 싶은 경우등은, 각 무늬용 골재를 전부 충전한 후에 경화재료를 충전하여 무늬용 골재에 먼저 경화재료를 충전하고, 그 후에 기층용 골재를 충전해도 좋다. 이 경우는 그 후의 경화재료의 충전량을 적게하면 좋다. 더욱이, 미리 경화재료를 충전시킨 기층용 골재를, 무늬용 골재보다도 먼저 충전하면, 무늬용 골재의 충전이 끝나지 않은 동안에 보조틀이 용해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용새성은 있지만 용해에 시간을 요하는 보조틀을 사용한다.
그래서, 보조틀은 형틀내에서 용해하고, 소실되어 버리기 때문에, 무늬용 골재의 충전두께와 같은 깊이를 가지면 좋고, 형틀 상면으로 부터 위로 돌출시킬 필요는 없다.
상기한 인조석 성형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도, 형틀은 테이블 바이브레이터상에 올려놓고, 각 무늬용 골재 및 기층용 골재를 충전할 때에 진동을 가해주면, 각 골재의 밀도는 높아지고, 치밀하게 충전할 수가 있다. 제1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형틀(4)의 밑의 내면에 압축 가능한 숭고성의 매트(6), 예컨대 부직포를 깔아서 그 위에 보조틀(5)을 올려놓고, 충전해야할 무늬용 골재(9R)(9B)와 보조틀의 외측의 형공에 충전해야할 기층용 골재(10)의 어느쪽엔가 한쪽, 또는 양쪽의 일부, 혹은 전부의 골재간의 빈틈에 충전하는 경화재료, 여기에서는 무늬용 골재(9R)(9B)의 골재간의 빈틈에 충전하는 경화재료에 팽창제를 혼합하면, 굳어지기 까지의 사이에 팽창제를 혼합한 재료는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매트(6)를 압축하여 팽창시킨다. 따라서, 무늬층과 기층의 표면을 성형체의 표면으로 부터 쌓아올려서 무늬를 입체감이 있도록 한다. 또, 도면에서는 형틀의 상면이 개방되어 있는데, 이 상면을 중량이 있는 뚜껑으로 닫으면 재료는 매트(6)의 방향으로 향할 뿐 팽창하기 때문에, 보다 입체감이 있는 무늬가 된다. 더욱이, 매트(6)에 흡수성과 흡유성을 갖는 것을 사용하면 잉여의 물과 잉여의 용제를 흡취하고, 각 재료에 수분과 용제를 균일하게 적용되도록 하기 때문에 성형체의 성능을 강도적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러한 제12도 및 13도는 제8도의 실시예에 대응한 것인데, 제9도와 제11도의 실시예에서도 같다. 또, 제10도에서는 충전한 기층용골재(10)위에 무늬용골재(9R)(9B)를 충전하기 때문에, 예를들면 이 무늬용골재의 골재간의 빈틈에 충전하는 경화재료에 팽창제를 혼합하고, 숭고성의 매트를 사용하지않고 무늬층을 성형체의 표면에 쌓아올릴 수 있다. 이 경우 형틀의 밑의 내면에 흡수성과 흡유성이 있는 매트를 부설해두면, 상기와 같이 성형체의 성능을 강도에 있어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무늬가 들어간 콘크리트 성형체, 세라믹 성형체 및 인조적 성형체의 제조방법을 개별적으로 설명했으나, 어느쪽의 성형체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도, 제14도 및 제1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형틀(4)의 밑의 내면에 핀과 작은 조각(7')을 갖는 판과 시트(7)와 그리고 식모, 기모, 첨모, 윤나(파일과 루프등)(8')를 갖는 시트(8)를 미리 부설하여 그 위에 보조틀(5)을 배치하고, 무늬재료(9R)(9B), 기층재료(10)를 공급한 실시예를 나타내고, 상기한 핀과 작은 조각(7') 또는 식모, 기모, 첨모, 윤나(8')에 의해 유지되고, 그 결과 각 재료가 굳어지기까지의 사이에 진동등에 의해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색의 무늬용 재료끼리의 경계와, 무늬용재료(9R)(9B)와 기층용재료(10)의 경계를 선명하게 표현할 수 있다.
상기의 핀, 작은 조각, 식모, 기모, 첨모, 윤나를 시트와 판과 함께 수용성이 있도록 하면 각 재료가 굳어지기까지의 사이에 그것들은 용해되어 소실되기 때문에 성형체로부터 박리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데, 그것들을 가용성이 있게 하든가, 불용성이 있게 하든가는 필요한 유지상태에 의해 잘 선택하여 사용한다.
다음에 변형가능한 재료로 구성된 형틀을 써서, 블록형상 이외의 형상의 무늬가 있는 성형체의 제조법에 대하여 제16도에서 제2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6도에서 18도까지는 원통형 성형체를 제조하는 실시예이고, 형틀(4)을 고무, 합성고무, 플라스틱 등으로된 변형가능한 주위틀(11)과, 상기 주위틀(11)을 위에 얹기 위한 금속박판, 플라스틱 쉬트, 종이, 금속, 부직포, 편직옷감, 고무 쉬트 등 감아돌릴 수 있는 밑의 쉬트(12)와로 구성하고, 밑의 쉬트(12)의 위에 주위틀(11)을 얹고, 주위틀(11)이 둘러싸는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보조틀(5)을 배치하고, 보조틀(5)의 내부에 건조시킨 무늬용재료(9R)(9B)를 충전하고, 보조틀(5)의 외측의 형공에 기층용재료(10)를 충전한다(제16도). 그리고 양재료가 응고등에 의해 변형가능한 상태로 되면 주위틀(11)의 위를 밑의 쉬트(11)와 같이 감아돌리는 것이 가능한 보조쉬트(13)로 덮고(제17도), 주위틀(11)이 둘러싸는 내부의 양재료를 밑의 쉬트(12)와 보조쉬트(13)의 사이에 지지하여 주위틀(11)과 함께 둥글게하고(제18도), 양재료가 굳어지기까지 둥글게 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세라믹의 경우는 또한번 소결하는 것)에 의해 원통형으로 주위면의 소요위치에 무늬층(2)이 노출된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또, 제19도는 상기 제16도와 같이 무늬용재료와 기층용재료를 충전후 응고등에 의해 변형가능한 상태로 되면 제조해야할 통형 성형체의 내부형에 일치하는 형(14)(통형 성형체가 원통형인 경우는 원통형)의 밖에 감고, 양재료가 단단히 굳기까지 그 상태를 유지하여 통형의 성형체를 제조한다. 이 경우는 주위틀(11)의 개방된 상면에 노출된 양재료(9R)(9B)(10)의 표면은 형(14)의 외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보조쉬트(13)는 생략가능한 것과 함께, 형(14)에 다각형의 물건을 사용하여 다각형 단면의 통형 성형체가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제18도, 제19도의 제조방법으로 둥글게 되기도하고, 말려지기도한 경우에, 주위틀(11)의 두개의 측부가장자리가 인접하면 기층용재료의 측연간에는 형공의 이음매가 생기므로, 양측면을 오버랩하여 내외에 약간 겹치고, 기층용 재료를 이음매에서 내외로 이중으로 하든가, 혹은 주위틀(11)의 각 측면을 잘라 내어, 각 측면에 노출되는 기층용재료를 맞대고, 이음매에 공간이 생기지않도록 한다.
같은 식으로 제16도와 같이 무늬용재료(9R)(9B)와 기층용재료(10)를 형틀(4)에 충전후, 응고등에 의해 변형가능한 상태로 되면, 제2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위틀(11)을 제거하고, 제조해야할 통형성형체의 내부형에 일치시키고, 한편 양단에 칼날부분(15')을 갖는 형(15)의 밖에 아래쉬트(12)와 함께 감아 붙여서, 양재료가 굳어지기까지 그 상태에 유지하며(제21도), 통형의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물론, 주위틀(11)의 내부형의 가로폭은 제19도의 경우와 같은 식으로 형(15)의 외주의 한 주위부의 길이와 합쳐두고, 세로는 칼날부분(15')의 간격에 일치시킨다. 이 경우도 보조쉬트(13)는 생략가능한 것과 함께, 형(15)에 다각형의 것을 사용하여 원통형 이외의 다각형 단면의 통형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한 것은, 통형성형체의 제조방법인데 형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변형시켜서 통형이외의 성형체도 제조할 수 있다.
예를들면, 제16도와 같이 무늬용재료(9R)(9B)와 기층용재료(10)를 형틀(4)에 충전후, 이것을 제2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면에 요부(16)를 갖게하고, 이 요부중에 겔(17)을 채운 아래형(18)위에 놓으며, 상기 요부(16)에 대응한 철부(19)를 갖는 상부형(20)으로 위에서 가압하며(제23도), 이것에 의해 상면이 철부(19)로 눌려져 움푹들어가고, 하면은 요부(16)에 눌려들어가서 하향으로 팽창된 성형체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는, 형틀에서 변형하는 것은 아래 쉬트(12)의 일부이기 때문에 주위틀(11)은 변형가능하지 않아도 된다. 또, 요부중에 채운 겔(17)은 상형(20)에서 가압하기까지의 사이에 요부(16)상에 위치하는 아래쉬트(12)의 부분을 평평하게 유지해두기 때문인 것으로, 상부형(20)의 가압이 개시되면 요부에 눌려들어가는 아래쉬트 및 그위의 재료에 의해 요부 위가장자리에서 돌아서 넘쳐 흘러나간다. 더욱이, 아래형(18)을 점토등의 소성재료로 하여도 좋고, 그 경우는 상부형의 가압으로 소성재료제의 하부형의 상면은 움푹들어가기 때문에, 요부(16)를 형성하고, 그중에 겔(17)을 채우는 것이 생략된다.
더욱이, 제16도와 같이 무늬용재료(9R)(9B)와 기층용재료(10)를 형틀(4)에 충전후, 이것을 제24도에서와 같이 요철로된 상면을 갖는 하부형(21) 위에 놓고, 위로부터 평평한 탄성판(22)으로 눌러(제25도), 이것에 의해 형틀(4)과 그 내부에 충전한 양재료를 하부형(21)의 요철로된 상면에 만들어 변형시키고, 기와무늬의 성형체를 제조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형틀(4)은 상기한 변형가능한 주위틀(11)과, 그 밑의 아래에 까는 아래쉬트(12)로 구성해도 좋은데, 변형가능한 주위틀의 저면을, 변형가능한 아래벽으로 닫은 하부를 갖는 것이어도 좋다.
상기한 바와같이 형틀의 일부 또는 전부를 변형시켜서 제조하는 경우, 보조틀이 불용성이어도 변형 가능하면, 형틀을 변형시킨 후에 보조틀을 탈형해도 좋다. 그러나, 보조틀이 불용성이고, 한편 변형 불가능한 때는 형틀을 변형시키기 전에 보조틀은 탈형하여 둔다. 또, 보조틀이 수용성인 때는 보조틀이 용해를 개시한 시점 이후에 형틀을 변형시키면 좋다.
그리하여 제8도, 제9도, 제10도의 각 실시예에서는 보조틀 중에 건조시킨 무늬용 재료(9R)(9B)를 충전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보조틀의 외측 형공과, 보조틀 내의 일부를 형공에 건조시킨 무늬용 재료(10)를 충전하고, 형틀내의 나머지의 전부에 건식 기층용 재료를 충전하여 성형체를 제조할 수도 있다.
또, 무늬용 재료와 기층용 재료의 충전은 사람의 손에 의하지 않고, 로보트에 의해 도트상으로 세밀하게 행할 수도 있다.
더욱이, 형틀내부의 무늬용재료와 기층용재료를 일체로 굳게 할때에 형틀의 내부를 프레스장치로 가압해도 좋으며, 재료의 충전시와 형틀에서 제품을 탈형할때에 형틀과 보조틀의 한쪽 또는 양쪽을 진동기와 초음파로 가진하여도 좋다.
또 제12도 및 제1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흡수성과 흡유성을 갖는 매트를 사용하면, 잉여의 물, 잉여의 윤화결합제, 잉여의 용제를 흡수하기도 하고, 재료 중의 수분, 윤활결합제, 용제가 부족한 부분에 공급하기도 하여, 성형체의 전체의 수분, 윤활결합제, 용제를 균일하게 하는 것과 함께 표면의 물(용제) 대 시멘트(레진)비를 작게 하고, 가압한 때에는 탈기를 돕기 때문에 성형체의 성능이 향상된다.
상기와 같이, 이 발명에 의해 무늬층이 성형체의 표면일부 또는 전면에 노출되어 무늬를 표현하는 콘크리트 성형체, 세라믹 성형체 또는 인조석 성형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 그리하여 성형체의 표면이 마멸되어도 표현된 무늬는 소정의 깊이까지 같기 때문에 소실되거나 일부가 결손되어도 보기흉하게 되지는 않는다. 더욱이 두께가 두꺼운 성형체를 성형하고, 슬라이싱하는 것에 의해 같은 무늬를 갖는 얇은 성형체가 다수 얻어진다.
또, 무늬층은 형틀내에 보조틀의 내부 또는 보조틀의 외측의 형틀내부에 충전한 건조된 무늬용재료로 형성하기 때문에, 틈이 없이 가득 충전할 수 있는 것과 함께, 제거하거나 소실된 보조틀의 자취는 무늬용재료와 기층용재료의 허물어져 떨어짐에 의해 묻혀지기 때문에 무늬층과 기층과의 경계가 세밀하게 표현되고, 상당히 선명한 무늬를 갖는 성형체를 얻게 된다. 더욱이 형틀내에 무늬용재료와 기층용재료를 충전한후에 보조틀을 제거하고 양재료의 경계부분 또는 전체를 적극적으로 동요시킴에 의해, 대리석 그밖의 각종 천연석과 같은 무늬를 갖는 성형체가 얻어진다. 더욱이, 상기 충전된 무늬층의 각 재료의 입도 및 충전률을 선정하는 것에 의해 무늬층을 다공질의 투수성이 있게 하기도 하고, 기층의 각 재료의 입도 및 충전률을 선정하는 것에 의해 기층을 다공질의 투수성이 있게 하기고 하며, 양쪽의 재료의 입도, 충전률을 선정하는 것에 의해 다공질이며 투수성을 갖는 성형체가 얻어진다.
더욱이, 무늬용재료는 형으로의 충전시에 건조되어 있으므로, 서로 틀린 위치에 충전된 경우에 전기 소제기식의 도구를 사용하여 흡인시켜 간단히 제거하고 수정할 수 있다.

Claims (22)

  1. 성형체를 성형하는 형틀 내부의 소정 위치에 표현하고자 하는 무늬에 상응하는 보조틀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형틀과 보조틀로 구성된 무늬형틀의 소정 위치의 중공내에 성형체의 무늬를 구성하는 건조한 재료를 충전하는 단계, 상기 무늬용 재료를 충전하지 않는 나머지 중공내에 성형체의 기층을 구성하는 기층용 재료를 충전하는 단계, 상기 보조틀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무늬용 재료와 기층용 단계를 경화시키는 단계, 및 경화시킨 성형체를 형틀로부터 탈형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무늬를 넣은 성형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형틀과 보조틀로 구성된 무늬형틀의 소정위치의 중공내에 무늬용 재료로서 시멘트 분말 및 수지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 및 기층용 재료로서 시멘트분말 및 수지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과 미세골재의 혼합물을 각각 충전하여 콘크리트 성형체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무늬형틀의 소정 위치의 중공내에 무늬용 재료로서 시멘트 분말 및 수지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과 안료 및 미세골재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의 혼합물, 및 기층용 재료로서 시멘트분말 및 수지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과 미세골재의 혼합물을 각각 충전하여 콘크리트 성형체를 제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무늬형틀에 충전된 무늬용 재료 및 기층용 재료에 물을 공급하여 상기 두개의 재료를 일체로 하여 응고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보조틀이 수용성 재료로 구성되고, 무늬용 재료 및 기층용 재료에 공급된 물의 수분에 의해 용해되어 제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무늬형틀에 기층용 재료로서 물이 첨가된 시멘트분말 및 수지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과 미세골재의 혼합물을 공급하고, 기층용 재료의 수분에 의해 무늬용 재료 및 기층용 재료를 일체로 하여 응고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보조틀이 수용성 재료로 구성되고, 기층용 재료의 수분에 의해 용해되어 제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콘크리트 성형체를 이미 설치한 콘트리트 표면에 고착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형틀과 보조틀로 구성된 무늬형틀의 소정위치의 중공내에 무늬용 재료로서의 골재 및 기층용 재료로서의 골재를 각각 공급하고, 두개의 골재의 골재간 틈새에 경화재료를 충전하여, 두개의 골재를 경화재료로서 일체로 응고시켜 인조석 성형체를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보조틀이 용해성 재료로 구성되고, 경화재료에 포함된 수분 또는 용매에 의해 용해되어 제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형틀과 보조틀과 구성된 무늬형틀의 소정위치의 중공내에 무늬용 재료로서 점토, 암석분말, 암석입자, 유리분말, 유리입자 및 유약분말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 및 기층용 재료로서 점토, 암석분말, 암석입자, 유리 분말 및 유리입자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각각 충전하고, 상기 두개의 재료를 가압하여 성형물을 성형하고, 이 성형물을 형틀로부터 탈형시켜 소결하여 세라믹스 성형체를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형틀과 보조틀로 구성된 무늬형틀의 소정위치의 중공내에 무늬용 재료로서 점토, 암석분말, 암석입자, 유리분말, 유리입자 및 유약분말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과 안료 및 착색제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과의 혼합물, 및 기층용 재료로서 점토, 암석분말, 암석입자, 유리분말 및 유리입자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각각 충전하고, 상기 두개의 재료를 가압해서 성형물을 성형하고, 이 성형물을 형틀로부터 탈형시켜 소결하여 세라믹스 성형체를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형틀과 보조틀로 구성된 무늬형틀의 소정위치의 중공내에 무늬형 재료로서 점토, 암석분말, 암석입자, 유리분말, 유리입자 및 유약분말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 및 기층용 재료로서 점토, 암석분말, 암석입자, 유리분말 및 유리입자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과 안료 및 착색제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각각 충전하고, 상기 두개의 재료를 가압해서 성형물을 성형하고, 이 성형물을 형틀로부터 탈형시켜 소결하여 세라믹스 성형체를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형틀과 보조틀로 구성된 무늬형틀의 소정위치의 중공내에 무늬용 재료로서 점토, 암석분말, 암석입자, 유리분말, 유리입자 및 유약분말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과 안료 및 착색제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의 혼합물, 및 기층용 재료로서 점토, 암석분말, 암석입자, 유리분말 및 유리입자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과 안료 및 착색제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의 혼합물을 각각 충전하고, 상기 두개의 재료를 가압해서 성형물을 성형하고, 이 성형물을 형틀로부터 탈형시켜 소결하여 세라믹스 성형체를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11항 내지 제1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개의 재료를 수분의 존재하에서 가압하여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11항 내지 제1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개의 재료를 윤활 결합제의 존재하에서 가압해서 성형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보조틀이 용해성 재료로 구성되고, 두개의 재료의 수분에 의해 용해되어 제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보조틀이 용해성 재료로 구성되고, 윤활 결합제에 의해 용해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형틀과 보조틀이 변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재료가 고무, 합성고무 또는 플라스틱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형틀이 바닥의 내부면에 핀 또는 작은 조각을 갖는 시트가 미리 설치되어 있는 형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항에 있어서, 형틀이 바닥의 내부면에 식모, 기모, 첨모 또는 올가미를 갖는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형틀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10014839A 1990-08-27 1991-08-27 무늬를 넣은 성형체의 제조방법 KR01827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222536 1990-08-27
JP90-222537 1990-08-27
JP2222536A JP2979340B2 (ja) 1990-08-27 1990-08-27 模様入りコンクリート成形体の製造方法
JP2222537A JP2899826B2 (ja) 1990-08-27 1990-08-27 コンクリート成形体の装飾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4106A KR920004106A (ko) 1992-03-27
KR0182768B1 true KR0182768B1 (ko) 1999-04-15

Family

ID=26524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4839A KR0182768B1 (ko) 1990-08-27 1991-08-27 무늬를 넣은 성형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376321A (ko)
EP (1) EP0473383B1 (ko)
KR (1) KR0182768B1 (ko)
CN (1) CN1060430A (ko)
AT (1) ATE134329T1 (ko)
BR (1) BR9103742A (ko)
CA (1) CA2050069A1 (ko)
DE (1) DE69117230T2 (ko)
ES (1) ES208293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1803B2 (ja) * 1992-05-22 2001-02-05 シーシーエイ株式会社 模様入り成形体の製造方法
EP0850736A3 (en) * 1992-09-16 1999-06-02 Mino Ganryo Kagaku Corporation Tile having a patter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A2106053C (en) * 1992-09-16 1998-08-04 Yoshinori Kakamu Tile having a pattern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ES2137214T3 (es) * 1992-09-16 1999-12-16 Mino Ganryo Kagaku Corp Baldosa con diseño incorporado y metodo para su fabricacion.
JPH06238639A (ja) * 1993-02-19 1994-08-30 C C A Kk 模様入り成形体の成形装置、及び模様入り成形体の製造方法
JPH071418A (ja) * 1993-06-16 1995-01-06 C C A Kk 模様入り成形体の成形装置及び、模様入り成形体の製造方法
JPH0768996A (ja) * 1993-08-24 1995-03-14 C C A Kk かき動かし部材を用いた模様入り成形体の成形方法
JPH0768519A (ja) * 1993-08-31 1995-03-14 C C A Kk 安息角形成部材を用いた模様入り成形体の成形方法
JP3310747B2 (ja) * 1993-12-21 2002-08-05 シーシーエイ株式会社 かき動かし部材を用いた粉粒体重合層による模様入り成形体の成形方法
JP3047366B2 (ja) * 1994-06-21 2000-05-29 美濃顔料化学株式会社 役物タイルの製造方法
US5814260A (en) * 1996-04-29 1998-09-29 Arai; Takeshi Method of casting-masking-molding thermoplastic resin product
US6103160A (en) * 1998-03-12 2000-08-15 Cca Inc. Method for producing patterned shaped articles
AT506893B1 (de) * 2008-05-21 2010-04-15 Swarovski & Co Zweifärbiges keramikformteil
DE102010025024A1 (de) 2009-06-25 2011-04-28 Michael Weiler Betonstein sowi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CN102173268B (zh) * 2011-01-22 2013-03-27 邢良坤 悬空无对接陶塑及其制作方法
WO2014066693A1 (en) 2012-10-25 2014-05-01 Kohler Co. Engineered composite material and products produced therefrom
CN119255898A (zh) * 2022-04-14 2025-01-03 萨克米伊莫拉机械合作社合作公司 制造陶瓷制品的制造系统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391297A (ko) *
US259863A (en) * 1882-06-20 compositions
US537703A (en) * 1895-04-16 Process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osaics
US699588A (en) * 1901-03-21 1902-05-06 Charles W Stevens Process of making artificial stone.
US723281A (en) * 1902-11-01 1903-03-24 Alfred O Crozier Making cementitious products or artificial stone.
US827287A (en) * 1904-11-11 1906-07-31 American Hydrolit Company Method of laying patterned cement floors.
US797906A (en) * 1905-04-07 1905-08-22 John Moore Mold for making tiles.
US1019414A (en) * 1909-04-06 1912-03-05 Concrete & Clay Products Company Manufacture of tiles.
US1105950A (en) * 1913-04-21 1914-08-04 Charles Duthie Process of manufacturing artificial marble.
US1120632A (en) * 1914-03-27 1914-12-08 Wilhelm Streitzig Manufacture of artificial marble.
US1453382A (en) * 1921-03-01 1923-05-01 Alessandro D Method of making tiles
US1524824A (en) * 1923-04-16 1925-02-03 Henroz Arthur Counterpattern used in the manufacture of tiles
US1641404A (en) * 1924-10-24 1927-09-06 Washington Irene Martha Concrete plaqu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1597373A (en) * 1925-08-07 1926-08-24 Alexander M Grimm Method of and mold for making pressed cement tiles
US1666232A (en) * 1927-07-16 1928-04-17 Boynton Sidney Hollis Method of making mosaics
US2007961A (en) * 1933-11-11 1935-07-16 Ralph S Bolto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varicolored tile
US2136022A (en) * 1937-02-10 1938-11-08 Sterling Grinding Wheel Compan Method of making abrasive articles
US2266646A (en) * 1938-12-05 1941-12-16 Donald E Lower Method of making ceramic products
US2434477A (en) * 1943-07-07 1948-01-13 Messrs Hornflowa Ltd Manufacture of moulded articles having differently shaded zones therein from moulding powders
US2389836A (en) * 1944-07-01 1945-11-27 Armstrong Cork Co Molded inlaid linoleum manufacture
US2665469A (en) * 1949-08-15 1954-01-12 Hymel Jean De Method of making decorative ceramic articles
US3515619A (en) * 1964-11-19 1970-06-02 Stanley R Barnette Resinous plastic sheets,shapes,panels and slabs simulating obsidian and quartz
US3484514A (en) * 1965-11-30 1969-12-16 Enrico Longinotti Process for molding decorative cement slabs
US3414642A (en) * 1966-03-11 1968-12-03 Robinson Lewis And Rubin Method of manufacturing ornamental plastic products
US3507940A (en) * 1967-03-14 1970-04-21 Armstrong Cork Co Shaped charge blending method and product
US3492391A (en) * 1968-03-18 1970-01-27 Jasper D Van Atten Method for producing decorative plastic panels
US3507946A (en) * 1968-11-12 1970-04-21 Armstrong Cork Co Blending method and apparatus
AU7337774A (en) * 1973-09-18 1976-03-25 Torrente F Tile
US3975480A (en) * 1974-10-24 1976-08-17 Ben Walters Method of making ornamental plastic articles
AU520177B2 (en) * 1977-08-15 1982-01-21 John Tilly Graeme Wall panel
JPS5945979A (ja) * 1982-09-03 1984-03-15 鹿島建設株式会社 タイル打ち込みコンクリ−トパネル
US4787597A (en) * 1985-05-28 1988-11-29 Kabushiki Kaisha Kumagaigumi Cloth faced form for forming concrete
AT389851B (de) * 1985-07-26 1990-02-12 Schopf Eric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waschbetonplatten
US4894004A (en) * 1988-11-04 1990-01-16 Davidson Textron Inc. Apparatus for molding multi-colored plastic shells
US4938675A (en) * 1988-12-12 1990-07-03 Contreras Joseph A Apparatus for making multi-sectioned and multi-colored solid products having a desired geometric or other shape
EP0374956A3 (en) * 1988-12-22 1991-04-24 Nkk Corporation Decay mold
US5009387A (en) * 1989-02-06 1991-04-23 Scott Samuel C Object retainer for upright concrete construction for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73383B1 (en) 1996-02-21
EP0473383A3 (en) 1992-08-26
ATE134329T1 (de) 1996-03-15
EP0473383A2 (en) 1992-03-04
ES2082933T3 (es) 1996-04-01
CA2050069A1 (en) 1992-02-28
BR9103742A (pt) 1992-06-09
DE69117230T2 (de) 1996-08-22
US5376321A (en) 1994-12-27
KR920004106A (ko) 1992-03-27
CN1060430A (zh) 1992-04-22
DE69117230D1 (de) 199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2767B1 (ko) 무늬를 넣은 성형체의 제조방법
KR0182768B1 (ko) 무늬를 넣은 성형체의 제조방법
JP3226591B2 (ja) 模様入り成形体の製造方法
EP0515098B1 (en) Method of producing patterned shaped article
JP3005835B2 (ja) 模様入り人造石成形体の製造方法
JP2979340B2 (ja) 模様入りコンクリート成形体の製造方法
ZA200604023B (en) Manufacture of moulded paving elements
JPH0760728A (ja) 立体成形体の成形方法
JP3044414B2 (ja) 模様入り人造石成形体の製造方法
JP3300015B2 (ja) 模様入りセラミックス成形体の製造方法
JP2929135B2 (ja) 模様入りコンクリート成形体の製造方法
JP3044413B2 (ja) 模様入りセラミックス成形体の製造方法
JPH0538707A (ja) 模様入りセラミツクス成形体の製造方法
JP3565523B2 (ja) コンクリート製化粧板の製造方法
JPH07195325A (ja) 粉粒体重合層による模様入り成形体の成形方法
JP2982025B2 (ja) 模様入りコンクリート成形体の製造方法
JPH0538708A (ja) 模様入り人造石成形体の製造方法
JPH04139083A (ja) コンクリート成形体の装飾方法
JPH04305408A (ja) 水硬化性材料による固形製品の成形方法
JP2004330643A (ja) 粗裏面を有する板状建材の製造方法
JPH05238767A (ja) 模様入り硝子成形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108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8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108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2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