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81289B1 - 브이씨알 도어 로크 장치 - Google Patents

브이씨알 도어 로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289B1
KR0181289B1 KR1019960002976A KR19960002976A KR0181289B1 KR 0181289 B1 KR0181289 B1 KR 0181289B1 KR 1019960002976 A KR1019960002976 A KR 1019960002976A KR 19960002976 A KR19960002976 A KR 19960002976A KR 0181289 B1 KR0181289 B1 KR 0181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ape
sensor
opened
vc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29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3238A (ko
Inventor
권영기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029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289B1/ko
Publication of KR9700632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32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2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27Cov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Landscapes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CR의 도어 로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VCR의 도어 개방시 도어 배면에 형성된 보호구에 의해 센서에서 도어개방을 감지한 센서 출력을 마이콤에 인식시키고 마이콤에서는 도어 마이콤에 인식시키고 마이콤에서는 도어 개방시 테이프 추출키가 눌리더라도 추출동작을 수행시키지 않도록 하므로써 도어 파손을 방지하고 도어개방시 테이프 추출동작이 진행되어 손가락이 부상당하는 위험을 없앤 것이다.

Description

VCR 도어 로크장치
제1a도는 본 발명의 센서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1b도는 본 발명 도어의 개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마이콤 주변도.
제3도는 본 발명의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 20 : 보호구
30 : 센서 40 : 발광다이오드
50 : 마이콤
본 발명은 VCR의 도어로크장치에 관한 것으로, 테이프 추출동작시 개방되어지는 도어에 손을 넣을 경우 테이프 추출동작을 중지시켜 손가락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VCR에서 테이프를 추출하고 삽입할 때 개폐되어지는 도어에 손가락이 끼게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이 경우 손가락을 다칠 우려와 함께 도어가 망가지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특히 테이프가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어를 열고 손을 밀어 넣은 상태로 테이프를 추출시키는 동작을 수행시키게 되면 손가락을 다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기존에는 덱크에 별도의 기구적 도어 로크 장치를 설치하여 테이프가 VCR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도어록크 장치를 작동시켜 도어를 로크시킴으로써 테이프가 VCR 내부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도어가 열리지 않아 테이프 추출시 손가락을 다치게 되는 경우를 없애주도록 하고 있다.
상기 도어로크장치는 VCR 도어의 일측을 걸어주는 기구적 레버를 VCR 하우징에 설치한 후 테이프 삽입시는 상기 기구적 레버를 테이프가 밀어 도어를 로크시킴으로써 테이프가 삽입된 상태에서 도어가 열리지 않도록 하고, 테이프 추출동작시는 상기 기구적 레버가 원위치되면서 도어로크상태를 해제시킴으로써 도어가 열리면서 테이프가 추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테이프 삽입시에는 도어로크 장치의 기구적 레버에 의해 도어의 일측을 로크시키게 되나 기구적으로 도어의 일측만 로크시키게 되고 타측은 로크시키지 못하게 되므로, 도어의 타측을 강제로 밀 경우 도어로크가 해제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한편 무리한 힘을 가했을 때 도어 또는 도어로크장치의 기구적 레버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된 도어로크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센서를 이용하여 VCR 도어개폐여부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도어개방되어 있을 때는 테이프 추출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므로써 도어가 개방된 상태인데도 테이프 추출동작이 진행되어 도어가 파손되거나 손가락이 부상당하는 위험을 없앤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어의 열리고 닫힘을 감지하는 센서와, 도어 배면부에 형성되어 도어개방시 센서를 동작시키는 보호구와, 도어센서 출력을 인식하여 도어개방상태에서는 테이프 추출동작을 정지시키는 마이콤으로 이루어지며, 도어개방시 도어 배면에 형성된 보호구에 의해 센서에서 도어개방을 감지한 센서출력을 마이콤에 인식시키고 마이콤에서는 도어가 개방되었음이 인식되면 테이프 추출키가 눌리더라도 추출동작을 수행시키지 않게 되는 것으로 도어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만 테이프 추출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VCR의 도어(10) 배면부에는 빛을 차단하는 보호구(20)를 형성시키고, 상기 도어(10)가 개방된 상태에서 발광다이오드(40)의 빛이 보호구(20)에 의해 센서(30)에 전달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도록 도어(10)의 양측 하우징에 센서(30)와 발광다이오드(40)를 설치하며, 상기 센서(30)의 검출출력은 마이콤(50)에서 인식하여 테이프 추출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센서(30)는 발광다이오드(40)에서 발생된 빛을 검출하는 소자로써 도어(20)가 고정된 하우징의 상부 양측에 대향된 위치로 설치되어, 도어(10)닫힘시는 발광다이오드(40)의 빛이 센서(30)로 인가되고, 도어(10)개방시는 도어(10)배면의 보호구(20)가 발광다이오드(40)와 센서(30)사이에 위치되어 발광다이오드(40)의 빛이 센서(30)로 인가되지 않게 한다.
도어(10)배면에 형성되는 보호구(20)는 형태에 관계없이 도어(10)개방시 센서(30)에 인가되는 빛을 차단시키고 도어(10)닫힘시는 빛을 차단시키지 않으면 된다. 마이콤(50)은 센서(30)의 검출출력을 인식하여 도어(10)가 닫혔을 때는 추출키 입력시 정상적인 추출동작이 이루어지게 하고, 도어(10)가 열렸을 때는 추출키가 입력되더라도 추출동작을 수행시키지 않으며, 도어(10)개방되었을 때 추출키가 눌렸을 경우 테이프 추출을 시키지 않음은 물론 화면이나 FLT 등의 표시소자에 도어개방중임을 표시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시킨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서 도어(10)가 개방되지 않았을 경우 발광다이오드(40)의 빛이 센서(30)에 그대로 인가되고 도어(10)가 개방되면 보호구(20)가 발광다이오드(40)의 빛을 차단하여 센서(30)에 인가되는 빛이 없게 된다.
센서(30)는 발광다이오드(40)의 빛을 감지하느냐 못하느냐에 따라 각기 다른 센서출력을 출력시키게되므로 마이콤(50)에서는 상기 센서(30)출력을 감지하여 도어(10)가 개방되었는지 여부를 인식하게 된다. 마이콤(50)은 테이프 추출키가 눌렸을 경우 상기된 센서(30)출력을 감지하여 도어(10)가 개방되었는지 또는 닫혔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게 되고, 테이프 추출키가 눌렸을 때 도어(10)가 닫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로딩모터를 회전시켜 정상적인 테이프 추출동작이 이루어지게 한다.
즉 도어(10)가 닫혀 있는 경우는 도어(10)를 밀어 손가락또는 다른 이물질이 투입되지 않은 상태이므로 테이프 추출키 입력시 정상적인 테이프 추출동작을 수행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테이프 추출키가 눌렸을 때 센서(30)출력을 감지한 결과가 도어(10)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로딩모터 구동을 중단시켜 테이프 추출동작을 수행시키지 않는다.
즉 도어(10)가 개방된 것으로 판단되면 테이프 추출키가 눌리더라도 테이프 추출동작을 수행시키지 않으므로 손가락부상 등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시키는 것이다.
또한 도어(10)가 개방된 상태에서 테이프 추출키가 눌리면 테이프 추출동작을 수행시키지 않는 한편 화면 또는 FLT에 도어(10)개방을 나타내는 경고문자를 디스플레이시키도록 하므로써 테이프 추출이 되지 않는 이유가 도어(10)개방에 의해 테이프 추출동작이 수행되지 않고 있음을 알리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VCR의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테이프 추출키가 눌리면 테이프 추출동작을 수행시키지 않고 경고문자를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테이프 추출동작이 일어나 도어가 파손되거나 손가락을 부상당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Claims (2)

  1. 도어를 통하여 테이프를 로딩시키고 추출시키는 비데오테이프레코더에 있어서, 테이프가 삽입되는 도어의 양측 하우징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도어의 열리고 닫힘을 발광다이오드의 불빛으로 감지하는 센서와, 도어의 배면부에 돌출 형성되고 도어 개방시에만 발광다이오드에서 센서에 인가되는 빛을 차단하는 보호구와, 상기 센서의 검출출력을 인식하여 도어 개방시는 테이프 추출키가 입력되더라도 테이프 추출동작을 정지시키는 마이콤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R 도어 로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테이프 추출키가 눌리면 화면이나 FLT에 경고문자를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CR 도어 로크장치.
KR1019960002976A 1996-02-05 1996-02-05 브이씨알 도어 로크 장치 KR0181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2976A KR0181289B1 (ko) 1996-02-05 1996-02-05 브이씨알 도어 로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2976A KR0181289B1 (ko) 1996-02-05 1996-02-05 브이씨알 도어 로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238A KR970063238A (ko) 1997-09-12
KR0181289B1 true KR0181289B1 (ko) 1999-04-15

Family

ID=19450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2976A KR0181289B1 (ko) 1996-02-05 1996-02-05 브이씨알 도어 로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28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238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7745B1 (en) Housing for an alarm
KR0181289B1 (ko) 브이씨알 도어 로크 장치
US20100050535A1 (en) Detector of attempt to break a lock, lock, door and alarm system comprising such a detector
US5499115A (en)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having a video tape recorder unit therein with a function for preventing an electric shock
ATE229209T1 (de) Einbruchsicherung
NO822517L (no) Anordning som skal hindre forsoek paa aa aapne laaser.
EP3139311B1 (en) Shield member for selectively securing an electrical device
US6595425B1 (en) Mechanism and method for holding portable information card, and information appliance using the mechanism
KR20090046577A (ko) 서랍형 금고
KR930008296Y1 (ko) 비데오 카세트의 안전 삽입장치
KR0153837B1 (ko) 광학용 드라이브의 도어 개폐장치
KR20090046572A (ko) 서랍식 금고
KR920000826B1 (ko) 자기카드 리더의 유사카드 인입방지장치
KR940001241B1 (ko) Vcr의 멘브레인 손상방지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40011798A (ko) 자동차용 후드래치의 도난방지장치
KR0115560Y1 (ko) 카스테레오의 리모콘 보관장치
KR100195150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프론트 도어 잠금장치
KR0135280Y1 (ko) 자동차 후드개방용 릴리스 레버 록킹장치
KR930000947Y1 (ko) 자동 이탈식 방범 안전 창막이
KR200146499Y1 (ko) 자동차의 트렁크리드 안전장치
KR19980029298A (ko) 본네트 및 트렁크 리드 오픈 경고장치
JPS6314972A (ja) キ−抜き忘れ警報装置
KR19980017569A (ko) 자동차의 도어 중앙 잠금 장치
JPS61151382A (ja) キ−抜き忘れ防止装置
KR19980053237U (ko) 자동차의 오디오 보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2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0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1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1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6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