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81150B1 -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경로 변경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경로 변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150B1
KR0181150B1 KR1019960003417A KR19960003417A KR0181150B1 KR 0181150 B1 KR0181150 B1 KR 0181150B1 KR 1019960003417 A KR1019960003417 A KR 1019960003417A KR 19960003417 A KR19960003417 A KR 19960003417A KR 0181150 B1 KR0181150 B1 KR 0181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ath changing
dischar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3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2823A (ko
Inventor
김성우
김용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03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150B1/ko
Priority to US08/799,992 priority patent/US5996995A/en
Publication of KR9700628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28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15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9/00Delivering or advancing articles from machines; Advancing articles to or into piles
    • B65H29/58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 B65H29/60Article switches or diverters diverting the stream into alternative p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20Actuating means angular
    • B65H2555/23Actuating means angular magnetic, e.g. rotary soleno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용지의 이송경로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팩시밀리기능 혹은 복사기능 혹은 프린트기능에 필요한 용지의 이송경로일부를 공유한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경로변경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은 배지시에 배지되는 장소를 선택할 수 있는 장치, 즉 용지의 급지, 반송, 배지등의 이송시에 사용될 수 있는 이송경로변경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하는 것이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송신부와 수신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용지와 원고의 경로를 공유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의 전면에 용지가 배지되어지도록 배지트레이를 설치하고, 상기 배지트레이의 직전에 위치하는 배지롤러직전의 고정프레임에 전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전자석에 전류인가 여부에 따라서 접촉 및 이탈을 반복하도록 일측이 압축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지된 회동수단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회동수단의 타측에 등간격으로 D형 커팅홈이 형성된 샤프트를 고정하고, 상기 D형 커팅홈에 경로변경수단을 설치하여 기록용지는 배지트레이쪽으로 배출되고, 원고는 배출롤러쪽으로 배출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경로변경장치는 사용자의 관점에서 배지시에 자동으로 배지되는 장소를 선택가능하게 하여 편리한 잇점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경로 변경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화상형성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멍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경로 변경장치를 나타내는 일부분리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용지경로 변경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로변경수단 1a : 가이드면
2 : 샤프트 2a,2b : D형 커팅홈
3 : 회동수단 3a : 장공
3b,2c : 핀홀 4 : 핀
5 : 압축코일 스프링 6 : 전자석
7 : 고정프레임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용지의 이송경로를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팩시밀리기능 혹은 복사기능 혹은 프린트기능에 필요한 용지의 이송경로일부를 공유한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경로 변경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보다 효율적인 사무환경의 추구 및 자동화 추세에 발맞추어 다양한 기능들을 통합한 기기들이 출현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를 들자면, 팩시밀리기능 혹은 복사기능 혹은 프린트기능을 복합적으로 가지는 화상형성장치가 그것이다.
즉, 팩스, 복사기 등의 사무기기가 각각 그 기능에 따라 단독으로 존재하였으나, 각종 전자산업의 발달과 이에 따른 부품의 발달로 소형화 경향등으로 인하여 팩스와 프린터, 혹은 복사기와 프린터등의 기능이 통합된 복합기가 등장하고 있다. 팩스는 현재에도 복사기능을 갖추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언급한 세가지 사무기기의 경우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기능은 인쇄(화상을 인쇄매체에 형성하는)기능이라 할 수 있다.
팩스는 송신할 원고를 받아들이는 스캐너부와, 수신한 원고를 인쇄하는 출력부와, 팩스송수신기능의 수행을 위해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팩스제어회로부와, 파워부를 최소한 가지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복사기는 복사할 화상을 받아들이는 스캐너부와, 스캐닝한 화상을 인쇄하기 위한 출력부와, 복사기능의 수행을 위해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복사제어회로부와 파워부를 가지고 있다.
프린터는 컴퓨터로부터 신호화된 화상정보를 받아 이를 인쇄하는 출력부와, 프린트기능의 수행을 위해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프린트제어회로부와, 파워부를 가지고 있다.
이들기기들의 구성상 공통점은 출력부와 파워부를 모두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공통으로 갖고 있지 않은 고유의 기능수행을 위한 부분만 복합하여 제어회로부를 구현할 수 있다면, 상기 세가지 기능을 다 수행하는 하나의 복합기를 구성해 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복합기는 세가지 기능의 기기를 따로 따로 모은것보다는 부피가 줄어드나, 하나의 기능을 할 때 보다는 크기가 여전히 커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던 바, 소형화라는 과제가 여전히 남아 있었다.
이러한 소형화과제를 해결한 화상형성장치가 등장하였는데, 이러한 화상형성장치는 소형화의 장점은 있으나, 사용자의 편리함이 부족한 문제점이 발생한다.
복사기로 사용될 경우, 예를 들면, 같은 장소로 용지와 원고의 배지를 하게 되므로 복사의 경우 복사원고와 인쇄된 용지가 같은 장소에 있어서 사용자가 분류하여야 한다. 특히, 여러매 복사의 경우, 원고독취와 복사동작을 반복하면 인쇄된 용지와 원고가 엇갈려 배지되므로 더욱 불편하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배지부를 가지는 구조를 선택할 수 있다. 이는 많은 화상형성장치에서 채택되고 있으나, 이 역시 한 번 사용시에는 하나의 배지부를 사용함으로 사용자의 불편이라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완전하지 못하다.
또한, 송신 및 수신의 경우에도 팩스로 사용할 경우, 송신하기 위해 스캐너를 통해 독취한 원고와 수신되어 인쇄된 용지가 같은 장소에 배지되므로 사용자는 이를 일일이 손으로 분류하여야 한다.
이 역시 복수개의 배지수단을 가진 팩스기능이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사용하면, 어느 정도 해소되나, 사용자가 수신을 위해서 어느 하나의 배지수단을 선택하여 두고 사용하다가 송신시는 다른 배지수단을 선택하여 송신을 위한 원고가 배지되도록 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지시에 배지되는 장소를 선택할 수 있는 장치, 즉 용지의 급지, 반송, 배지 등의 이송시에 사용될 수 있는 용지의 이송경로변경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하는 것이다.
프린터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송신부와 수신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용지와 원고의 경로를 공유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의 급지트레이 반대방향의 전면에 용지가 배지되어지도록 한 배지트레이를 설치하고, 상기 배지트레이의 전방에 위치하는 히팅룰러와 압착롤러부근의 고정프레임에 전자석을 설치하고, 상기 전자석에 전류인가 여부에 따라서 접촉 및 이탈을 반복하도록 일측이 압축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지된 회동수단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회동수단의 타측에 등간격으로 D형 커팅홈이 형성된 샤프트를 고정하고, 상기 D형 커팅홈에 경로변경수단을 견고하게 설치하여 기록용지는 배지트레이쪽으로 배출되고, 원고는 배출롤러쪽으로 배출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도를 참조하여 일반적인 송신부와 수신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팩시밀리의 송신부를 설명하면, 전자사진 팩시밀리(100)의 배면 일측에 설치된 급지트레이(40)에는 원고(50)가 적재되어지며, 수신모터(motor)의 구동력으로 동작되어지는 자동급지 이송롤러(32)와 원고(50)의 마찰력이 상기 원고(50)와 원고(50)사이의 마찰력, 또는 상기 원고(50)와 급지롤러(32)의 고무패드사이의 마찰력 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원고(50)는 자동급지롤러(32)와 반송롤러(33)에 의해 데이터(data)를 독취하여 송신하는 밀착형 이미지센서(42:CIS:contact image sensor)로 이송되어진다.
이때, 상기 밀착형 이미지센서(42)의 하부에 설치된 스캔용 화이트롤러(34:white roller)는 원고에 대한 데이터(data)의 독취전에 기준 데이터(data)를 조회하며,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원고(50)를 이송시키며, 원고(50)의 데이터(data)를 독취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원고(50)가 이송되기 전에 밀착형 이미지센서(42)의 발광체에서 빛을 발하여 기준 데이터(data) 조회를 위해 상기 화이터롤러(34)로부터 반사된 광을 광센서에 의해 독취하여 상기 데이터(data)를 코딩(cording) 및 압축처리하여 전화 라인(line)을 통하여 송신되며,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송신되어진 원고(50)는 감광드럼(36)에 의해 정착기 즉, 히팅롤러(37a:heating roller)와 압착롤러(36b:pressure roller) 사이로 급지되어져 배지롤러(38)측으로 이송되고, 이어서 배출롤러(39)측으로 이송되어짐으로서 송신 과정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감광드럼(36)과 히팅롤러(37a)와 압착롤러(37b)는 전자사진 프로세서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원고(50)를 단순히 이송시키기 위한 롤러(roller)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1도를 참조하여 송신부와 수신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팩시밀리(100)의 수신부를 설명하면, 전자사진 팩시밀리의 내부에 설치된 대전기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감광드럼(36)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하고, 상기 감광드럼(36)의 회전에 의해 대전된 부분은 노광부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수신되어진 전기적 신호를 상기 감광드럼(36)표면에 노광시키면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은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정전잠상을 토너(toner) 화상으로 만들기 위해 상기 감광드럼(36)표면과 인접하고 있는 현상기를 지나는 동안 토너(toner)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되고, 이어서는 급지카세트(43:(cassette))에 장착된 기록용지(30)는 수신 모터(motor)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급지롤러(31)에 의해 급지된 기록용지(30) 위에 전사기의 고압작용으로 상기 감광드럼(36) 표면의 토너(toner) 화상을 기록용지(30)로 전사되게 한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30)는 이송되어져 정착부의 히팅롤러(37a)와 압착롤러(37b)사이를 통과하면 열과 압력에 의해 기록용지면에 상(image)이 정착되어 인쇄된 용지(30)가 배지롤러(38)와 배출롤러(39)측으로 이송되며, 한편, 상기 전사기를 지난 상기 감광드럼(36)표면에 잔여분의 토너(toner)와 잠상이 존재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토너(toner) 청소기에 의해 제거되며, 상기 잔류전하는 잠상제거 램프에 의해 제거되므로서 수신 과정이 완료된다.
제1도를 참조하여 팩시밀리의 복사부를 설명하면, 전자사진 팩시밀리(100)의 배면 일측에 설치된 급지트레이(40)에는 원고(50)가 적재되어지며, 수신 모터(motor)의 구동력으로 동작되어지는 자동급지롤러(32)와 상기 원고(50)의 마찰력이 상기 원고와 원고사이의 마찰력, 또는 상기 원고(50)와 급지롤러(32)의 고무패드사이의 마찰력 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원고(50)는 자동급지 이송롤러(33)에 의해 데이터(data)를 독취하여 송신하는 밀착형 이미지센서(42)로 이송되어진다.
이때, 상기 밀착형 이미지센서(42)의 하부에 설치된 스캔용 화이트롤러(34)는 원고(50)에 대한 데이터(data)의 독취전에 기준 데이터(data)를 조회하고,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원고(50)를 이송시키며 원고(50)의 데이터(data)를 독취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원고(50)가 이송되기 전에 밀착형 이미지센서(42)의 발광체에서 빛을 발하여 기준 데이터(data) 조회를 위해 상기 화이터롤러(34)로부터 반사된 광을 광센서에 의해 상기 원고(50)의 데이터(data)를 독취하여 노광부 전해지며, 이때, 상기 감광드럼(36)과 히팅롤러(37a)와 압축롤러(37b)는 전자사진 프로세서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원고(50)를 단순히 이송시키기 위한 롤러(roller)의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기 원고(50)는 감광드럼(36)에 의해 히팅롤러(37a)와 압착롤러(37b)사이로 급지되어져 배지롤러(38)측으로 이송되며, 동시에 대전기 코로나 방전에 의해 감광드럼(36)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하고, 상기 감광드럼(36)의 회전에 의해 대전된 부분은 상기원고(50)의 데이터(data)가 전해진 노광부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받아 상기 감광드럼(50) 표면을 노광시키면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은 정전잠상이 형성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정전잠상을 토너(toner) 화상으로 만들기 위해 상기 감광드럼(36) 표면과 인접하고 있는 현상기를 지나는 동안 토너(toner)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되고, 이어서 카세트(43:cassette)에 정착된 기록용지(30)는 수신 모터(motor)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급지롤러(31)에 의해 급지된 기록용지(30) 위에 전사기의 고압작용으로 상기 감광드럼(36) 표면의 토너(toner) 화상을 기록용지(30)로 전사되게 한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30)는 이송되어져 정착부의 히팅롤러(37a)와 압착롤러(37b) 사이를 통과하면 열과 압력에 의해 기록용지(30)면에 상(image)이 정착되어 인쇄된 용지가 배지롤러(38)와 배출롤러(39)측으로 이송되며, 한편, 상기 전사기를 지난 상기 감광드럼(36)표면에 잔여분의 토너(toner)와 잠상이 존재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토너(toner)는 청소기에 의해 제거되며, 상기 잔류전하는 잠상제거 램프에 의해 제거되므로서, 복사 과정이 완료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작동하는 송신부와 수신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팩시밀리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카세트(43)에 적재된 용지(30)나 급지트레이(40)에 적재된 원고(50)가 히팅롤러(37a)와 압착롤러(37b)를 지나, 배지롤러(38)까지는 공유하게 되나, 그 이후, 즉 상기 용지(30)와 원고(50)가 급지되어 원고(50)는 배출롤러(39)측으로 이송되고, 용지(30)는 배지트레이(41)측으로 이송되어지도록 즉, 기록용지(30)와 원고(50)가 각각 다른측으로 분류되어 적재되도록 용지경로 변경장치를 바로 배지롤러(38)측 직전에 설치한다.
본 발명의 용지경로 변경장치는 제2도에 도시되었듯이, 화상형성장치의 전면에 용지(30)가 배지되어 적재되는 배지트레이(41)를 설치하고, 상기 배지트레이(41)의 전방에 위치하는 배지롤러(38)측 직전의 고정프레임(7)에 전자석(6)을 설치하고, 상기 전자석(6)에 전류인가 여부에 따라서 접촉 및 이탈을 반복하도록 압축코일 스프링(5)에 의해 탄지된 회동수단(3)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회동수단(3)의 타측에 등간격으로 D형 커팅홈(2a, 2b)이 형성된 샤프트(2)를 고정하고, 상기 D형 커팅홈(2a, 2b)에 용지경로 변경수단(1)을 삽입고정하여 설치한다.
상기 회동수단(3)은 일측으로 구동판(3d)을 형성하고, 타측으로 상기 샤프트(2)가 고정되어 지도록 장공(3a)과 핀홀(3b)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판(3d)에는 상기 압축코일 스프링(5)을 고정하기 위하여 스프링 고정걸이(3c)를 형성한다.
상기 샤프트(2)를 상기 회동수단(3)에 고정할 시, 상기 회동수단(3)에 샤프트(2)의 일단을 삽입하고, 이어서 상기 장공(3a) 안둘레에는 핀홀(3b)과 상기 샤프트(2)의 일단에 핀홀(2c)이 형성되어 핀(4)이 상기 핀홀(2c, 3b)을 관통함으로서 견고히 고정가능하다.
또한, D형 커팅홈(2a, 2b)이 등간격으로 형성된 샤프트(2)에 경로변경수단(1)을 상기 D형 커팅홈(2a, 2b)에 고정할 시, 상기 경로변경수단(1)은 일측으로 평탄면(1d)이 형성되고, 중간 경사진부위에 가이드면(1a)을 형성하며, 타측으로 고정부(1b)를형성하고, 상기 고정부(1c)에 상기 D형 커팅홈(2a, 2b)이 형성된 샤프트(2)와 대응하는 형상의 삽입구멍(1c)을 형성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용지경로 변경수단(1)은 샤프트(2)에 다수개 설치되어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2)는 상기 회동수단(3)에 의해 회전이동이 제한되며, 상기 회동수단(3)은 상기 전자석(6)의 전류인가여부에 따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제3도의 (A)에 도시되었듯이, 본 발명은 전자사진 팩시밀리의 배면 일측에 설치된 급지트레이(40)에 원고(50)가 적재되어지며, 수신모터(motor)의 구동력으로 동작되어지는 자동급지롤러(32)와 상기 원고(50)의 마찰력이 상기 원고(50)와 원고(50) 사이의 마찰력, 또는 상기 원고(50)와 급지롤러(32)의 고무패드사이의 마찰력 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원고(50)는 자동급지롤러(32)와 반송롤러(33)에 의해 데이터(data)를 독취하여 송신하는 밀착형 이미지센서(42:CIS:contact image sensor)로 이송되어진다.
이때, 상기 밀착형 이미지센서(42)의 하부에 설치된 스캔용 화이트롤러(34:white roller)는 원고(50)에 대한 데이터(data)의 독취전에 기준 데이터(data)를 조회하며, 마찰력을 이용하여 상기 원고(50)를 이송시키며, 원고(50)의 데이터(data)를 독취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원고(50)가 이송되기 전에 밀착형 이미지센서(42)의 발광체에서 빛을 발하여 기준 데이터(data) 조회를 위해 상기 화이터롤러(34)로부터 반사된 광을 광센서에 의해 독취하여 상기 데이터(data)를 코딩(cording) 및 압축처리하여 전화 라인(line)을 통하여 송신되며,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송신되어진 원고(50)는 감광드럼(36)에 의해 히팅롤러(37a:heating roller)와 압착롤러(37b: pressure roller) 사이로 급지되어져 배지롤러(38)를 지나 배출롤러(39)측으로 이송되므로서 송신 과정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감광드럼(36)과 히팅롤러(37a)와 압착롤러(37b)는 전자사진 프로세서를 수행하지 않고, 상기 원고(50)를 단순히 이송시키기 위한 롤러(roller)의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경로변경장치(1)는 구동수단과 제어수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회동수단(3)의 구동판(3d)이 전자석(6)에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접촉을 하고,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여 원고(50)는 그의 가이드면(1a)을 따라 배출롤러(39)쪽으로 가이드된다.
팩시밀리의 수신과정은 상기 기술한 바와같이 동일하므로 이작동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도의 (b)에 도시되었듯이, 본 발명의 팩시밀리의 프린팅과정에 있어서, 용지(30)에 프린팅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전자사진 팩시밀리의 내부에 설치된 대전기의 코로나 방전에 의해 감광드럼(36)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균일하게 대전하고, 상기 감광드럼(36)의 회전에 의해 대전된 부분은 노광부를 통해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수신되어진 전기적 신호를 상기 감광드럼(36)표면에 노광시키면 초기 대전된 상태에서 빛을 받은 부분은 정전잠상(electro-static latent image)이 형성하게 되며, 이때 상기 정전잠상을 토너(toner) 화상으로 만들기 위해 상기 감광드럼(36) 표면과 인접하고 있는 현상기를 지나는 동안 토너(toner)로 현상되어 가시상으로 변하게 되고, 이어서 급지카세트(30:cassette)에 적재된 기록용지(30)는 수신모터(motor)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급지롤러(31)에 의해 급지된 기록용지(30) 위에 전사기의 고압작용으로 상기 감광드럼(36) 표면의 토너(toner) 화상을 기록용지(30)로 전사되게 한다.
그후, 상기 기록용지(30)는 이송되어져 정착부의 히팅롤러(37a)와 압착롤러(37b)사이를 통과하면 열과 압력에 의해 기록용지(30)면에 상(image)이 정착되고, 이때, 상기 경로변경장치(1)에 있어서, 회동수단(3)의 구동판(3d)의 일측을 탄지하는 압축코일 스프링(5)과 전기적으로 구동수단과 제어수단이 연결된 전자석(6)에 이것의 지시에 따라서 전류가 흐르지 않음으로서, 전자석에 자성이 띠지 않고, 따라서 인성이 작용하지 않아 상기 경로변경수단(1)은 상기 압축코일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되어, 인쇄된 용지(30)가 배지트레이(41)측으로 이송되며, 한편, 상기 전사기를 지난 상기 감광드럼()표면에 잔여분의 토너(toner)와 잠상이 존재하게 되는데, 여기서 상기 토너(toner)는 청소기에 의해 제거되며, 상기 잔류전하는 잠상제거 램프에 의해 제거되므로서 프링팅 과정이 완료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상형성장치의 경로변경장치는 사용자의 관점에서 기록용지와 원고의 배지시에 배지되는 장소를 자동적으로 선택가능하게 하여 편리한 잇점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경로변경장치는 설치장소가 배지부가 아니라 어디라도 경로가 갈라지는 곳이면 설치가능하며, 본 발명은 스프링과 전자석을 사용하였으나, 다른 방법으로 두 개의 전자석을 이용하여 각 경로를 선택할 때마다 교대로 작동시키는 방법도 가능하다. 즉, 경로변환수단을 회동시키는 동력을 선택적으로 발생시키기만 하면 그 외 어떤 장치도 사용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3)

  1. 송신부와 수신부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용지와 원고의 경로를 공유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형성장치의 전면에 용지(30)가 배지되어지도록 배지트레이(41)를 설치하고, 상기 배지트레이(41)의 직전에 위치하는 배지롤러(38)직전의 고정프레임(7)에 전자석(6)을 설치하고, 상기 전자석(6)에 전류인가 여부에 따라서 접촉 및 이탈을 반복하도록 일측이 압축코일 스프링(5)에 의해 탄지된 회동수단(3)을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회동수단(3)의 타측에 등간격으로 D형 커팅홈(2a, 2b)이 형성된 샤프트(2)를 고정하고, 상기 D형 커팅홈(2a, 2b)에 경로변경수단(1)을 삽입고정하여 설치하여 기록용지(30)는 배지트레이(41)쪽으로 배출되고, 원고(50)는 배출롤러(39)쪽으로 배출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경로변경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3)은 일측으로 구동판(3d)을 형성하고, 타측으로 상기 샤프트(2)가 고정되어지도록 장공(3a)과 핀홀(3b)이 형성되며, 상기 구동판(3d)을 탄지하도록 압축코일 스프링(5)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경로변경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로변경수단(1)이 일측으로 평탄면(1d)이 형성되고, 중간 경사진 부위에 가이드면(1a)을 형성하며, 타측으로 고정부(1b)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1b)에 상기 D형 커팅홈(2a, 2b)과 대응하는 형상의 삽입구멍(1c)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경로변경장치.
KR1019960003417A 1996-02-13 1996-02-13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경로 변경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0181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3417A KR0181150B1 (ko) 1996-02-13 1996-02-13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경로 변경장치
US08/799,992 US5996995A (en) 1996-02-13 1997-02-13 Device for switching paper passage in multi-functional image produc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3417A KR0181150B1 (ko) 1996-02-13 1996-02-13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경로 변경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2823A KR970062823A (ko) 1997-09-12
KR0181150B1 true KR0181150B1 (ko) 1999-04-01

Family

ID=19451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3417A Expired - Fee Related KR0181150B1 (ko) 1996-02-13 1996-02-13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경로 변경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996995A (ko)
KR (1) KR01811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1884B1 (en) * 1998-03-30 2001-01-30 Minolta Co., Ltd. Image producing apparatus having an image reading unit
US6131902A (en) * 1998-11-20 2000-10-17 Ricoh Company, Ltd. Sheet feeding paths for apparatus with feed paths selectable to correspond to desired function of apparatus
US6840384B2 (en) * 2002-10-01 2005-01-11 James D. Yurko Gate assembly for diverting articles and the like
US20040144697A1 (en) * 2003-01-24 2004-07-29 Roland Ramonowski Diverter gate with wear attachment
US7292820B2 (en) * 2003-07-30 2007-11-06 Lexmark International, Inc. Integrated media input tray including electronics
TWI251542B (en) * 2005-06-14 2006-03-21 Benq Corp Printer with pick wheel protection mechanism
JP4613768B2 (ja) * 2005-09-13 2011-01-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給紙装置、及びこの給紙装置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US20070248365A1 (en) * 2006-04-19 2007-10-25 Lexmark International, Inc. Methods for moving a media sheet within an image forming device
US20070248366A1 (en) * 2006-04-19 2007-10-25 Lexmark International, Inc. Devices for moving a media sheet with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7699305B2 (en) 2007-03-29 2010-04-20 Lexmark International, Inc. Smart pick control algorithm for an image forming device
JP4957408B2 (ja) * 2007-06-28 2012-06-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排出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641040B2 (en) * 2008-08-11 2014-02-04 Lexmark International, Inc. Kiosk-installable printer with duplex path utilized to deliver printed media sheets to lower front exterior of printer
JP2010124441A (ja) * 2008-11-21 2010-06-03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読取装置
JP6112470B2 (ja) * 2012-11-16 2017-04-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自動原稿送り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DE102013109534A1 (de) * 2013-09-02 2015-03-05 Manroland Web Systems Gmbh Vorrichtung zur Druckweiterverarbeitung
US10142503B2 (en) * 2016-06-28 2018-11-27 Seiko Epson Corporation Image reading apparatus
US10354219B1 (en) * 2016-10-18 2019-07-16 ROSCH Logistical Technologies, LlC Process for selecting an order in an Item-on-Demand order selection system
JP2020115220A (ja) * 2020-04-01 2020-07-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20115221A (ja) * 2020-04-01 2020-07-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73246A (en) * 1931-01-19 1934-09-11 Ibm Adding and sorting machine
US3519801A (en) * 1965-02-15 1970-07-07 Ibm Record card processing machine
DE2757848A1 (de) * 1977-12-23 1979-06-28 Agfa Gevaert Ag Vorrichtung zum sortieren von fotografischen bildern
US4518161A (en) * 1982-01-22 1985-05-21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Sheet sorting apparatus
JPS6357467A (ja) * 1986-08-27 1988-03-12 Hitachi Ltd 紙葉類取扱い装置
JPH0213566A (ja) * 1988-06-30 1990-01-17 Fujitsu Ltd 紙葉類搬送分岐機構
JP2692957B2 (ja) * 1989-06-12 1997-12-17 キヤノン株式会社 再給紙搬送路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H03232660A (ja) * 1990-02-07 1991-10-16 Tokyo Electric Co Ltd 用紙排出装置
AR243695A1 (es) * 1991-12-03 1993-08-31 Martinez Taylor Roberto Nuevo dispositivo seleccionador de documentos aplicable a maquinas lectoras y clasificadora de documentos, particularmente documentos con codigos de barras
US5394992A (en) * 1993-06-08 1995-03-07 Brandt, Inc. Document so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996995A (en) 1999-12-07
KR970062823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1150B1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경로 변경장치
CN101355621B (zh) 图像读取装置及具有该图像读取装置的成像设备
CN101676810A (zh) 图像形成装置
US7035568B2 (en)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image reader
US5712676A (en) Image scanning and printing system having a common paper feeding passage
US8355182B2 (en) Image scanner and copier
JPH02264556A (ja) フアクシミリの給紙装置
US2005020776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system
KR200145744Y1 (ko) 현상기 내부의 토너량 유.무 감지장치
US20110140346A1 (en) Sheet detection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0255835A (ja) 用紙巻付検知装置
JP346681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311334A (ja) 原稿読取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WO2020009743A1 (en) Paper feeding device for preventing paper slip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0150152B1 (ko) 송신부와 수신부의 일체형 전자사진 팩시밀리
CN111381476B (zh) 图像形成装置
JP370036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2202691A (ja) 画像形成装置
JP2002006671A (ja) 画像形成装置
US7162196B2 (en) Imaging devices including document finishing capability
US2021033374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canner mounted on upper cover thereof
JP3862568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およびプログラム
JP3627950B2 (ja) 給紙装置
JP3065366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19096A (ja) 画像形成装置の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および自動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8120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8120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