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74801B1 - 부란병 방제용 조성물 및 도포제로서의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부란병 방제용 조성물 및 도포제로서의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801B1
KR0174801B1 KR1019960037010A KR19960037010A KR0174801B1 KR 0174801 B1 KR0174801 B1 KR 0174801B1 KR 1019960037010 A KR1019960037010 A KR 1019960037010A KR 19960037010 A KR19960037010 A KR 19960037010A KR 0174801 B1 KR0174801 B1 KR 0174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present
surfactant
thickener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7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7251A (ko
Inventor
김정원
윤채혁
Original Assignee
김정원
윤채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원, 윤채혁 filed Critical 김정원
Priority to KR1019960037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4801B1/ko
Publication of KR19980017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72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8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and sulfu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3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haracterised by the surfacta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란병에 감염된 병반에 도포하기만 하여도 약제가 흘러내리지 않고 한번의 도포로 부란병의 치료 및 예방이 가능한 부란병 방제용 조성물 및 도포제로서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그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메틸아소닉산의 페릭암모늄염(ferric ammonium salt of methyl arsonic acid) 2-20%, 계면활성제 1-5%, 소포제 0.2-2.0%, 증점제 50-70% 및 나머지 조성의 물로 이루어지고, 1-5%의 고결제로 더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한 구연산 등의 안정제 2-5%, 유기 증점제에 대하여 그 이용가치가 특히 현저한 방부제로서 포르말린 또는 벤지소티아조린 소디움염을 0.1-0.6%, 겨울철 동결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비중조절의 역할도 하는 부동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을 1-10%, 증량제로서 파이로필라이트와 활석을 각각 1-3% 더 포함할 수 있는 부란병 방제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약제가 그 도포방법 면에서나 방제효과 면에서 여러가지 문제점을 노출하였던 반면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그 도포방법이 매우 간단하고 부란병의 방제 효과 또한 매우 우수하며, 농가수익 증대 및 국내의 농촌발전 면에서 매우 유익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부란병 방제용 조성물 및 도포제로서의 사용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약제 처리 후 80일이 경과한 다음의 상태를 나타냄.
제2도는 본 발명의 약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의 80일 이후의 상태를 나타냄.
제3도는 부란병이 크게 번져 고사되고 있는 사과나무를 나타냄.
제4도는 사진 4는 부란병으로 완전히 고사된 사과나무를 나타냄.
본 발명은 비소화합물을 포함하는 부란병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및 그 도포제로서의 사용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부란병에 감염된 병반에 도포하기만 하여도 약제가 흘러내리지 않고 한번의 도포로 부란병의 치료 및 예방이 가능한 부란병 방제용 조성물 및 그것을 사과나무에 도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과나무는 장미과의 낙엽교목 또는 관목으로서, 보통 연평균 기온이 7-12℃인 곳을 재배적지로 하여 동남부 유럽 및 서부 아시아 지역을 원산지로 하며,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과수이기도 하다.
이러한 사과나무에는 여러가지 병해가 많이 발생하므로 종합 방제계획을 세워서 효과적인 대책을 강구하여야 한다. 여기서 사과나무 병해의 예를 들면 비료 부족, 건조, 밀식(密植) 등 관리를 잘 해주지 않아서 수세가 약할 때 발생하고 보통 4-5월부터 발생하여 7-8월경에 최성기를 맞는 사과나무 갈색무늬병, 성목(成木)에 새로운 품종을 접목시 중간대목인 기존의 품종이 바이러스에 의해 2-3년 후에 급격히 또는 천천히 쇠약해지면서 결국 나무 전체가 말라죽게 되는 사과나무 고접병, 5-6월의 고온다습한 기후에 초기발생이 심하고 장마가 늦게까지 계속될 경우 밀식된 과수원이나 질소비료가 과잉공급된 과수원에서 많이 발생하며 균사체의 병원균(Alternaria mali)에 의해서 잎, 가지, 열매 등에 발생하는 사과나무 반점낙엽병, 및 본 발명의 조성물의 적용 대상인 사과나무 부란병 등이 있다.
부란병은 전세계에서 극동지역에서만 유독 문제가 되는 사과나무에서 관찰되는 특이한 병해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전국의 각지에 널리 분포하며 최근에는 충청남북도, 경상북도 지방에서 많이 발생하고,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2월 하순 내지 3월 상순경부터 발생하기 시작하며 봄과 가을에 2번 발생한다.
이러한 부란병은 특히 상처를 입거나 동해(凍害)를 입은 나무의 줄기나 가지에서 많이 발생하며, 처음에는 껍질이 갈색으로 변하면서 부풀어 오르다가 손으로 누르면 쑥 들어가고 벗겨진다. 병든 부분이 마르면 우묵하게 되고 많은 검은색 소립이 형성되는데, 병든 껍질을 벗기면 알코올 냄새가 나는 것이 특징이다. 병원균은 Valsa mali이며, 균사 또는 병포자, 자낭포자의 형태로 월동하여 다음해의 제1차 전염원이 되고, 제2차 전염은 빗물, 곤충에 의한 포자의 이동 및 포자의 공기전염에 의하여 주로 기주 식물체의 상처를 통해 병원균이 숙주체내에 침입하게 된다.
일단 부란병이 발병하게 되면 병에 걸린 나무는 잘라내지 않을 수 없을 만큼 치명적인 피해를 주므로, 이의 방제는 사과나무를 재배하는 농민들에게는 매우 큰 관심사가 아닐 수 없었다.
부란병의 치료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미 형성되어 있는 병반을 치료하고 병원균이 다른 부위로 더 감염되지 않도록 하는 것인데, 종래 제안된 부란병의 방제법으로는 거름을 충분히 주어 나무를 튼튼히 키우는 동시에 병든 껍질을 칼로 벗기고 그 자리에 폴리겔 도포제, 톱신페스트, PCP 구리제 등을 발라주거나, 가지를 자르고 상처가 빨리 아물 수 있도록 톱신-M을 뿌려주는 방법, 또는 병반부를 깍아내고 지오판 등 도포제를 바르는 외과적 처치법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할 경우 엄청난 시간적, 물리적 노력이 소요되고 효과면에서도 재발되는 등 만족스럽지 못하여 부란병이 많이 발생한 과수원에서는 아예 치료를 포기하는 사례가 많았다.
다행히 1987년에는 네오아소진을 이용한 방제법이 개발되고 1989년부터 이것이 부란병 약제로 등록되어 생산됨으로써 부란병 방제에 있어서 기존의 방제약제에 비하여 탁월한 효과를 나타내어 현재는 거의 이 약제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기는 하지만, 이 약제의 사용시 원액을 2주 간격으로 2-3회 분무하거나 붓으로 발라주어야 하며, 이 때 약제가 나무에 잘 도포되지 않아서 흘러내리는 경우가 많고 건전조직에 직접 닿게 되면 오히려 심한 약해가 발생되며, 특히 10년 이하의 유목에서는 약제가 직접 닿지 않는 잎에서도 황변현상 등이 일어나는 경우가 있고, 더구나 약제 처리 후 24시간 이내에 강우가 있을 시에는 약효가 저하됨은 물론 심한 약해가 발생할 우려가 높았다. 그러므로 병반에만 정확히 약제를 처리할 필요가 있었으나 상기 네오아소진 약제를 건전조직에 닿지 않게 병반에만 처리하기는 그 약제의 성질상 어려움이 많았다.
한편 사과나무의 부란병을 치료하는 치료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특허출원으로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83-8497호(1983. 12. 10자 공개 사과나무 부란병 치료제의 제조방법)가 있는데, 상기 공개특허에서는 비름과에 속하는 1년생 식물인 소비름 줄기를 서서히 가열하여 얻은 서탕액을 착출하여 상온으로 응고시킨 다음 이에 발효균주를 투입하여 장기간 동안 저온발효시켜서 얻어진 발효물을 인공적인 섬유질 부활제와 코팅제를 소량 혼가하여 사과나무 부란병 치료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였으며, 또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85-919호(1985. 3. 14자 공개 부란병 치료제의 제조방법)에서는 황백(일명 황벽) 또는 황련가루 2-4g이나 화학성분인 베르베린(이소퀴노린계 성분도 가능) 20-40mg과 갈근가루 1-3g을 100cc의 용기내에 넣고 완전히 발효된 마치현엑기스 용액을 채워 전체적으로 100cc의 부피가 되도록 교반, 혼합하여서 얻어진 생약제인 부란병 치료제의 제조방법을 개시하였다. 그러나 이들 제조방법에 의한 부란병 치료제는 발효과정을 거쳐야 하는 등 그 공정이 간단하지 아니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치료제를 사과나무에 처리시 여전히 병반부위 뿐만 아니라 다른 부위에도 흘러내려 악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여, 병반부위를 절단하거나 깍아낼 필요없이 치료가 가능하고 건전부위까지 약제가 흘러내려 약해를 주지 않도록 하는 약제를 오랜동안 연구한 결과, 비소화합물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조제하는데 성공하였다.
즉 본 발명은 부란병의 병반부를 깍아낼 필요없이 붓 등을 이용하여 1회 도포하기만 하면 완전히 치유가 가능하며, 도포력이 뛰어나 약제가 흘러내리지도 않고 건전부위에 해를 주는 일 없이 부란병을 완전히 치유할 수 있는 부란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점성이 있어서 나무에 도포력이 뛰어나며 약액을 도포하고 수분후에 응고되기 시작하여 1시간 이내에 표면이 완전 고결, 코팅됨으로써 강우 등에 의하여 약액이 소실될 염려도 없는 부란병 방제용 조성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메틸아소닉산의 페릭암모늄염 (ferric ammonium salt of methyl arsonic acid)등의 비소화합물 2-20%, 계면활성제 1-5%, 소포제 0.2-2.0%, 증점제 50-70% 및 나머지 조성의 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1-5%의 고결제로 더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구연산 등의 안정제 2-5%, 유기 증점제에 대하여 그 이용가치가 특히 높은 방부제로서 포르말린 또는 벤지소티아조린 소디움염을 0.1-0.6%, 겨울철 동결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비중조절의 역할도 하는 부동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을 1-10%, 증량제로서 파이로필라이트(pyrophyllite)와 활석을 각각 1-3% 첨가할 수 있다.
상기 메틸아소닉산의 페릭암모늄염은 진공 감압기에서 약 100℃로 건조시켜 고상으로 이용할 수 있고, 통상의 용매에 용해시켜 액상으로도 이용가능하다.
상기에서 계면활성제로는 소디움알킬아릴나프탈렌설포네이트 소디움리그노설페이트(sodium alkal aryl naphthalene sulfonate sodium lignosulfate)를 주제로 한 제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의 예로는 한농화성이나 거영사가 제조한 Hy-100DY를 예로 들 수 있고, 이 외에 나프탈렌설포네이트계 음이온활성제, 숙신산계 음이온활성제와 비이온활성제의 배합물, 소디움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가 이용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친수성과 더불어 친유성을 가짐으로 인하여 2상계면에 잘 흡착되며 계면의 자유에너지 또는 표면장력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작용을 한다.
상기에서 소포제는 발포에 의한 제제화의 곤란을 해소하거나 제품물성의 측정상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능한 한 발포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 첨가되며, 상기의 범위를 초과하거나 못미치게 이용될 경우 오히려 전체 조성물의 물성을 나쁘게 할 수도 있으므로 조심하여야 한다. 실리콘 오일을 주제로 한 제제가 적합하며, 실제 사용된 소포제는 실리콘코리아사가 제조한 Silicon KM73이었다.
상기의 증점제는 원료 조성물을 현탁제 중에 균일하게 분산 안정화시켜 침강을 방지하기 위하여 첨가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무기 또는 천연 및 합성 유기고분자 물질이 사용되며, 상기의 사용범위를 초과하여 사용될 경우 필요이상으로 점도가 증가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과나무에 도포시 불편함을 초래하게 된다. 증점제의 예로는 폴리비닐중합체 유도체, 메틸셀룰로오스 또는 칼슘스테아레이트(calcium stearate)를 들 수 있으며, 유기고분자 물질을 사용할 경우 제제의 안정성을 위하여 방부제로 포르말린을 약 0.2% 사용하도록 한다. 폴리비닐중합유도체로서는 시중의 Hy-117PAB(한농화성 또는 거영)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성물은 상기의 비소화합물 및 계면활성제, 소포제, 증점제, 및 물을 필수 구성요소로 하며, 이에 고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고결제는 폴리비닐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병반에 도포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신속히 고화되어 표면을 코팅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고결제가 상기 조성비율 이상 사용되면 너무 빨리 고결되어 도포작업시 오히려 곤란함을 줄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조성비에 못미치게 사용될 경우 고결과정이 너무 완만하게 진행되어 병반부에 대한 최대 약효과를 이루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조성비를 가지는 각 화합물과 나머지 조성의 물을 혼합하여 교반하면서 덩어리를 분쇄함으로써 제조되며, 일정시간 혼합, 균질화하고 나면 겔상의 액상 조성물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안정제로서 구연산이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2-5% 첨가될 수 있으며, 유기 증점제에 대하여 특히 그 사용의의가 있는 방부제로서 포르말린 또는 벤지소티아조린 소디움염이 0.1-0.6% 이용될 수 있고, 겨울철 동결을 방지하는 목적 이외에 비중조절의 역할도 하는 부동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이 1-10% 이용가능하다. 또 파이로필라이트와 활석과 같은 증량제도 1-3% 첨가하여 이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부란병에 감염된 사과나무의 병반에 도포처리하면, 병반이 진전되지 않고 병반 주위에 캘로스(callus)가 형성되어 병환부를 건전부로부터 격리시켜 전체 사과나무를 구제하게 되는데, 이에 식물 생장호르몬인 지베렐린을 첨가하게 되면 캘로스의 형성이 더욱 촉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하도록 하겠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메틸아소닉산의 페릭암모늄염(ferric ammonium salt of methyl arsonic acid ; 이하 MAFA) 10%, 시중에서 구매가능한 계면활성제 Hy-100DY 4%, 실리콘 오일을 주제로 한 소포제로서 Silicon KM73을 1.0%, 폴리비닐중합유도체로 이루어지는 시중의 증점제 Hy-117PAB을 60% 및 25%의 물을 혼합하여 덩어리를 완전히 분쇄하고 균질화시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메틸아소닉산의 페릭암모늄염(MAFA) 10%, 계면활성제 Hy-100DY 4%, 실리콘 오일을 주제로 한 소포제로서 Silicon KM73을 1.0%, 폴리비닐중합유도체를 주제로 하는 증점제 Hy-117PAB을 60%에 고결제로서 2.0%의 폴리비닐알콜을 첨가하고, 이에 23%의 물을 혼합하면서 덩어리를 완전히 분쇄하고 균질화시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메틸아소닉산의 페릭암모늄염(MAFA) 4%, 계면활성제 Hy-100DY 3%, 실리콘 오일을 주제로 한 소포제로서 Silicon KM73을 0.5%, 폴리비닐중합유도체를 주제로 하는 증점제 Hy-117PAB 55%, 폴리비닐알콜 5%, 구연산 3%, 포르말린 0.2%, 프로필렌글리콜 5%, 파이로필라이트와 활석 각각 2% 및 나머지는 물을 혼합하여 덩어리를 완전히 분쇄하면서 균질화시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3에서 메틸아소닉산의 페릭암모늄염은 진공감압기에서 약 100℃로 건조시켜서 제조한 고체상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3과 동일하되, 다만 고상의 MAFA 대신 액상의 MAFA를 10% 사용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다만 계면활성제로서 숙신산계 음이온 활성제와 비이온 활성제의 배합물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다만 계면활성제로서 나프탈렌설포네이트계 음이온 활성제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다만 계면활성제로서 소디움 라우릴설페이트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다만 증점제로서 메틸셀룰로오스를 이용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다만 증점제로서 스테아릭산칼슘염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다만 방부제로서 벤지소티아조린 소디움염을 이용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다만 부동제로서 프로필렌글리콜 대신 글리세린을 이용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부란병 방제용 조성물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부란병에 노출된 사과나무의 부위를 바늘로 꽂아 표시한 후 붓으로 발라 도포하여 약 80일간의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이와 비교하여 부란병에 노출된 다른 사과나무의 병반부를 바늘로 꽂아 약제처리를 하지 않고 (비교예) 동시기 동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이 비교되는 처리결과가 얻어졌으며, 이를 입증하기 위하여 도면을 첨부하도록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도포처리한 다음 80일이 경과된 상태를 나타내는데, 병반의 진전이 없고 병반 주위에 캘로스(callus)가 형성되어 병환부를 건전부로부터 격리시킴으로써 병반이 완전히 치유되었음을 나타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고 부란병에 감염된 상태에서 80일이 경과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바늘을 꽂은 병반경계를 넘어 약 7-10cm 병반이 진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조성물이 단 1회 처리만으로도 완전하게 부란병을 방제하는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으며, 종래의 약제가 그 도포방법 면에서나 방제효과 면에서 여러가지 문제점을 노출하였던 반면에 본 발명의 조성물을 처리할 경우 그 도포방법이 매우 간단하고 그 효과 또한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는 바, 본 발명의 부란병 방제용 조성물은 농가수익증대 및 국내의 농촌발전 면에서 매우 유익한 발명이라 할 것이다.

Claims (7)

  1. 비소화합물 2-20%(중량비)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란병 방제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소화합물로서 메틸아소닉산의 페릭암모늄염(ferric ammonium salt of methyl arsonic acid)을 2-20%, 계면활성제 1-5%, 소포제 0.2-2.0%, 증점제 50-70% 및 나머지 조성의 물로 이루어지는 부란병 방제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틸아소닉산의 페릭암모늄염(MAFA) 2-20%, 상기 계면활성제로서 소디움알킬아릴나프탈렌설포네이트 소디움리그노설페이트를 주제로 한 제제 1-5%, 상기 소포제로서 실리콘오일을 주제로 하는 제제 0.2-2.0%, 폴리비닐중합유도체로 이루어지는 상기 증점제 50-70% 및 나머지 조성의 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란병 방제용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1-5%의 고결제로 더 이루어지는 부란병 방제용 조성물.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결제는 폴리비닐알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란병 방제용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구연산 2-5%, 포르말린 0.1-0.6%, 프로필렌글리콜 1-10%, 파이로필라이트 1-3% 및 활석 1-3%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부란병 방제용 조성물.
  7. 제1항의 조성물을 사과나무에 도포하여 부란병 방제에 사용하는 방법.
KR1019960037010A 1996-08-30 1996-08-30 부란병 방제용 조성물 및 도포제로서의 사용방법 KR0174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010A KR0174801B1 (ko) 1996-08-30 1996-08-30 부란병 방제용 조성물 및 도포제로서의 사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7010A KR0174801B1 (ko) 1996-08-30 1996-08-30 부란병 방제용 조성물 및 도포제로서의 사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251A KR19980017251A (ko) 1998-06-05
KR0174801B1 true KR0174801B1 (ko) 1999-02-01

Family

ID=19471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7010A KR0174801B1 (ko) 1996-08-30 1996-08-30 부란병 방제용 조성물 및 도포제로서의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48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3390A (zh) * 2018-11-14 2019-03-15 张永 一种关于预防和治疗树木腐烂病的配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082A (ko) * 2002-03-22 2003-09-26 윤채혁 고농도 사과부란병 예방제제 및 살포제로서의 사용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3390A (zh) * 2018-11-14 2019-03-15 张永 一种关于预防和治疗树木腐烂病的配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7251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83746B (zh) 一种果树、林木枝干病害治疗剂
CN102524316B (zh) 一种壳聚糖基橡胶树割面防冻抗菌喷雾剂及其制备方法
CN104381321B (zh) 一种植物源生物组合物、其制备方法及其在防治葱蛆中的应用
CN107135798A (zh) 一种地膜花生的种植方法
WO2011147721A1 (en) Pod sealing method
CN106747964A (zh) 一种防根腐病的沃柑种植专用肥及其制备方法
JP2004026568A (ja) 植物用肥料
CN111955459B (zh) 一种杂交水稻穗萌抑制剂及其制备方法和抑制杂交水稻穗萌的方法
KR0174801B1 (ko) 부란병 방제용 조성물 및 도포제로서의 사용방법
CN104365611B (zh) 一种含吲唑磺菌胺与双炔酰菌胺的杀菌组合物及应用
CN106577715A (zh) 含有苯唑氟草酮和烟嘧磺隆以及氯氟吡氧乙酸的农药组合物
CN106889106A (zh) 一种增强水稻抗旱性的植物生长调节剂
CN113749130B (zh) 一种甘蔗生物种茎包衣剂及其制备方法
CN105010422A (zh) 一种植物源稻飞虱驱避剂
CN108934544A (zh) 一种苗木抗寒防冻的方法
KR20190099866A (ko) 담배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삼 뿌리썩음병원균 방제용 조성물
CN112998029A (zh) 一种含卵磷脂的功能性农用组合物
CN105685110A (zh) 一种防治地老虎的植物源组合物及其植物源杀虫剂与应用
CN110150301A (zh) 组合物、制剂及其应用
CN105288926B (zh) 具有降解农药残留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0050799A (zh) 一种含有木醋液的生防制剂及其应用、制备和使用方法
CN115024340B (zh) 一种种子处理悬浮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H01113308A (ja) 線虫忌避剤
CN108684723A (zh) 一种水稻专用防病害组合物的制备方法
CN108409431A (zh) 一种水稻专用防病害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8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8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8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3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