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71696B1 - 저온 액화가스의 저장탱크 - Google Patents

저온 액화가스의 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696B1
KR0171696B1 KR1019960014406A KR19960014406A KR0171696B1 KR 0171696 B1 KR0171696 B1 KR 0171696B1 KR 1019960014406 A KR1019960014406 A KR 1019960014406A KR 19960014406 A KR19960014406 A KR 19960014406A KR 0171696 B1 KR0171696 B1 KR 0171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ank
liquefied gas
tank
gas
pip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4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5636A (ko
Inventor
히로아키 스즈키
유지 모리모토
야스오 타나카
다쓰루 야마우치
Original Assignee
아오키 히로시
다이도 혹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86376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964310B2/ja
Application filed by 아오키 히로시, 다이도 혹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오키 히로시
Publication of KR970075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56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6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3/00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3/02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 F17C3/08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provision for thermal insulation by vacuum spaces, e.g. Dewar flas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9/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 F17C9/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rom vessels not under pressure with change of state, e.g. vapor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1Shape
    • F17C2201/0104Shape cylindrical
    • F17C2201/0109Shape cylindrical with exteriorly curved end-pie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1/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geometry, arrangement or size
    • F17C2201/03Orientation
    • F17C2201/032Orientation with substantially vertical main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1Reinforcing or suspension means
    • F17C2203/014Suspension means
    • F17C2203/015Ba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3Thermal insu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3/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walls or details thereof
    • F17C2203/06Materials for walls or layers thereof; Properties or structures of walls or their materials
    • F17C2203/0602Wall structures; Special features thereof
    • F17C2203/0612Wall structures
    • F17C2203/0626Multiple walls
    • F17C2203/0629Two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1Mounting arrangements
    • F17C2205/0123Moun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number of vessels
    • F17C2205/013Two or more vessels
    • F17C2205/0149Vessel mounted inside another 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05/00Vessel construction, in particular mounting arrangements, attachments or identifications means
    • F17C2205/03Fluid connections, filters, valves, closure means or other attachments
    • F17C2205/0302Fittings, valves, filters, or components in connection with the gas storage device
    • F17C2205/0323Valves
    • F17C2205/0332Safety valves or 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1Oxy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3Carbone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4Nitrog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1/00Handled fluid, in particular type of fluid
    • F17C2221/01Pure fluids
    • F17C2221/016Noble gases (Ar, Kr, X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1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hase
    • F17C2223/0146Two-phase
    • F17C2223/0153Liquefied gas, e.g. LPG, GPL
    • F17C2223/0161Liquefied gas, e.g. LPG, GPL cryogenic, e.g. LNG, GNL, PL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3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the pressure level
    • F17C2223/033Small pressure, e.g. for liquefied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4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other properties of 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 F17C2223/042Localisation of the removal point
    • F17C2223/043Localisation of the removal point in the gas
    • F17C2223/045Localisation of the removal point in the gas with a dip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3/00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3/04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i.e. state of fluid when stored in the vessel or before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other properties of handled fluid before transfer
    • F17C2223/042Localisation of the removal point
    • F17C2223/046Localisation of the removal point in the liquid
    • F17C2223/047Localisation of the removal point in the liquid with a dip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4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other properties of handled fluid after transfer
    • F17C2225/042Localisation of the filling point
    • F17C2225/043Localisation of the filling point in the gas
    • F17C2225/044Localisation of the filling point in the gas at several points, e.g. with a device for recondensing g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4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other properties of handled fluid after transfer
    • F17C2225/042Localisation of the filling point
    • F17C2225/043Localisation of the filling point in the gas
    • F17C2225/045Localisation of the filling point in the gas with a dip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5/00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 F17C2225/04Handled fluid after transfer, i.e. state of fluid after transfer from the vessel characterised by other properties of handled fluid after transfer
    • F17C2225/042Localisation of the filling point
    • F17C2225/046Localisation of the filling point in the liquid
    • F17C2225/047Localisation of the filling point in the liquid with a dip tub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27/00Transfer of fluids, i.e. method or means for transferring the fluid; 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Heat exchange with the fluid
    • F17C2227/0302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 F17C2227/0306Heat exchange with the fluid by heating using the same fl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1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or manufacturing
    • F17C2260/011Improving streng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1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or manufacturing
    • F17C2260/013Reducing manufacturing time or eff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0/00Purposes of gas storage and gas handling
    • F17C2260/01Improving mechanical properties or manufacturing
    • F17C2260/015Facilitating mainte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65/00Effects achieved by gas storage or gas handling
    • F17C2265/02Mixing fluids
    • F17C2265/025Mixing fluids different flu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2Applications for medical applications
    • F17C2270/025Breath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5Applications for industrial use
    • F17C2270/0518Semiconduc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2/00Refrigeration
    • Y10S62/902Apparatus
    • Y10S62/903Heat exchange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2/00Refrigeration
    • Y10S62/902Apparatus
    • Y10S62/905Colum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산소나 질소등 복수액화가스를 저장해서, 그 가스를 의료기관이나 각종 공장등에 공급하기 위한 저온액화가스 저장탱크에 대해, 그 건설용지의 스페이스 절약화를 도모할 수 있고, 각 액화가스의 등온화를 도모하여, 그 수요선으로 확실한 가스공급을 보전한다.
외측탱크(2)내에 상하 복수의 단으로 내측탱크(4)를 단열층(3)을 개재하여 배설하여 용지를 유효하게 이용한다.
또한 상부의 내측탱크(4a) 고비등점인 액화가스(LG1)를 열교환부(11)에 의하여 하부의 내측탱크(4b)의 저비등점인 액화가스(LG2)의 공급에 의하여 정온화시키는 것과 그 내부압력을 안정시켜, 상부의 내측탱크(4a)에서의 수요선에 대해 가스(G1)의 소비량 변동에 따르는 내부압력의 변동을 억제해서, 그 안정공급을 보전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저온액화가스의 저장탱크
제1도는 본 발명의 저온액화가스의 저장탱크에 대한 사용상태의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저온액화가스의 저장탱크에 대한 사용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종단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저온액화가스의 저장탱크에 대한 사용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종단 정면도.
제4도는 종래의 저온액화가스의 저장탱크에 대한 사용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외측탱크 3 : 단열층
4 : 내측탱크 4a : 상부의 내측탱크
4b : 하부의 내측탱크 7 : 전열지지체
8 : 외부배관계통 9 : 내부배관계통
9d : 같은온도용 다른종류의 액화가스 내측탱크배관
9e : 같은온도용 한가지 종류의 액화가스 내측탱크배관
10 : 수요선 11 : 열교환부
12 : 열교환부 G1: 가스
G2: 가스 LG1: 액화가스
LG2: 액화가스
본 발명은 아르곤액화가스, 산소액화가스, 질소액화가스, 탄산가스액화가스등을 저장하고, 이 가스의 저장으로 화학공장, 반도체공장, 아르곤산소용접장치등의 수요선에 각각 아르곤, 산소, 질소, 탄산가스등의 가스를 공급하거나, 산소액화가스와 질소액화가스를 저장할 수 있고, 여기에서 산소와 질소를 각각 인공 공기제조장치에 공급하고, 또한, 이 인공공기제조장치에서 얻어진 인공공기를 병원과 같은 의료기관에서 무균실이나 인공호흡기 등으로 급송한다는 용도로 제공하기 위하여 소정의 장소에 세워지는 저온액화가스 저장탱크(COLD EVAPORATER(이하 CE라 칭함)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여기까지의 CE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장소인 용지(用地)(A)에 세워진 압연강판으로 만들어진 외측탱크(B)내에 있어서, 오오스테나이트(Austenite) 게통의 스테인레스 강판등, 초저온에서도 취약성이 일어나지 아니하는데 충분한 강도와 강인성을 보유한 원재료에 의한 하나의 내측탱크(C)를, 열전도가 적은 분말단열재(진주암)등으로 형성한 진공단열층(D)을 끼워넣는 것으로 배설하고, 이 내측탱크(C)에 연결한 내부배관계통(E)을, 진공단열층(D)에 통하도록 장치하여 외측탱크(B)로 도출시켜, 이 내부배관계통(E)을, 외측탱크(B)에 부설한 외부배관계통(F)에 연결시킨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내측탱크(C)에는 산소액화가스와 같은 일종의 저온액화가스만이 저장하게되므로, 상기와 같은 인공 공기의 제조에 있어서는, 소정의 용지(A)에 산소액화가스용과 질소액화가스용의 각 CE를, 합계 2기를 설치해야하고, 이로 인하여 한정되어 있는 용지인 경우에는 입지가 곤란하거나, 입지조건은 양호하다하더라도 상당히 넓은 스페이스가 점유되고, 따라서 예를들면 질소와 산소의 공급을 받게되는 시가지의 병원등에 있어서는 그 부지를 확보할 수가 없게 된다.
또한 종래의 CE에 있어서는,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한 외부배관계통(F)에 있어서, 그 충전라인(L1)에서 액체입구밸브(a)을 거쳐, 탱크화차등으로 운반하여온 소정의 액화가스(LG)를 실선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내부배관계통(E)에서 하부내부배관계통(E1)(E1')에 의하여 내측탱크(C)의 각 저부와 상부에서 공급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것 역시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해서 내측탱크(C)에 공급된 액화가스(LG)는, 이 내측탱크(C)내의 기상(G')이 있는 내부압력에 의하여, 상기 액화가스(LG)내에 침입해 있는 유체탱크배관(E2)을 통해서, 외부배관계통(F)에 있어서 이송 가스라인(L2)에 유입되는 것이고, 여기에서 이송액밸브(b)에 의하여 유입한 액화가스(LG)가, 이송가스증발기(d)에 의하여 기화되고 이로 인하여 얻어진 파선으로 나타낸 가스(G)가, 필요한 수요선인 소비계통으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이송가스증발기(d)로는, 일반적으로 알루미핀관(Alumipin)으로 제작된 공기를 열원(熱源)으로 하는 공온식 증발기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가스(G)를 수요선에 정상적으로 공급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외부배관계통(F)에는, 이것 또한 알려진 바와 같이 가압라인(L3)에 배관되어 있어서, 이것에 의하여, 상기와 같이 이송가스라인(L2)에 의하여 가스(G)가 공급되는 것이므로, 내측탱크(C)내의 액체가스(LG)가 소비되더라도, 그 기상(G')의 압력강하를 방지해서, 내측탱크(C)내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액화가스(LG)가 유액내측탱크배관(E2)으로 압입되도록 하였다.
즉, 이 가압라인(L3)에 있어서 가압자동밸브(e)는, 상기 내측탱크(C)의 기상(G')에 있어서 내부의 압력이 내려가게되면 자동적으로 개변하게 되고, 내측탱크(C)의 저부에서 하부내측탱크배관(E1), 그리하여 가압밸브(f)를 거쳐서 유입한 액화가스(LG)가, 가압증발기(g)에 의해 기화되고, 이로 인하여 얻어진 가스(G)가 파선 화살표아 같이, 가압라인(L3)의 가압가스밸브(h)를 거쳐서 가압용 내측밸브배관(L3)에서 내측밸브(C)의 기상(G')으로 압압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물론 소정의 내부압력에 도달하게 되면, 가압자동밸브(e)는 폐쇄되고, 이로인하여 소정의 내부압력을 유지할 수가 있게 되고, 이 가압증발기(g)에는, 일반적으로 공온식(空溫式)증발기가 사용된다.
제4도의 i는 이송가스라인(L2)의 가스출구밸브를 나타내고 있다.
종래의 CE에 있어서는 상기 내측탱크(C)의 내부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가압증발기(e)의 설치만이 아니고,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탱크(C)의 내부 압력을 일정치까지 강하시키는 이코노마이서(economiser)밸브(k)와 탱크내 안전밸브(j)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부재는, 저온액화가스 저장탱크의 가동중에 있어서, 빈번하게 작동하는 것에서부터 이들이, CE에 있어서 메인터넨스(maintenance)의 대부분을 점하여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와 내구성에 있어서도 개선할 점이 있다는 것이 현실정이다.
즉, 상기 에코노마이서 밸브(k)는, 제4도의 에코노마이서 라인(L4)에 에코노마이서 체크밸브(m)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고, 열침입에 의하여 내측탱크(C)의 액화가스(LG)가 기화해서, 이 내측탱크(C)의 내부 압력이 상승하였을 때, 이 기상(G')의 기화가스가, 내부배관계통(E)의 가압용내측탱크배관(E3)에서 화살표(EG1)와 같이 유입하고, 가압가스밸브(h)를 거쳐서, 화살표(EG2)와 같이 자동적으로 개변된 에코노마이서 밸브(k) 그 다음에 에코노마이서 체크밸브(m)에 의하여, 이송가스라인(L2)의 내부배관계통(E)으로 유입하고, 액화가스(LG)와 같이 소비계통인 이송가스라인(L2)으로 낭비됨이 없이 공급되어, 이로 인하여 기상(G')의 내부압력을 내리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한 내측탱크의 안전밸브(j)는, 이송가스라인(L2)으로부터 수요선으로 가스공급이 행하여지지 아니한때나, 상기와 같이 에코노마이서 밸브(k)가 작동하여도, 내측탱크(C)의 압력상승을 방지할 수 없고, 이로 인하여 이 내측탱크(C)의 압력이 일정한 안전치를 초과한 경우에 작동하여, 이 내측탱크 안전밸브(j)의 개변으로 내측탱크(C)의 기상(G')이 외부로 방출하고, 이로 인하여, 그 내부압력을 소정의 압력으로 강하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CE의 액화가스가 이송가스라인(L2)으로 송출되어서 소비되었을 경우에는, 내측탱크(C)의 내부 압력이 저하하기 때문에 액체의 온도 역시 강하하게 되므로, 이 내부압력을 소정의 압력으로 복귀하기 위하여, 상기와 같이 압력라인(L3)에 있어서 가압증발기(g)를 작동시켜, 액화가스(LG)의 소비가 정지하던가, 소비량이 떨어진 경우에는, 외부로부터 열침입에 의하여, CE내의 액화가스가 내측탱크(C)내에서 기화해서, 그 내부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이것을 소정의 압력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에코노마이서 밸브(k)나 내측탱크 안전밸브(j)가 작동하는 것이고, 이 결과, 이와같은 CE에 있어서는 에코노마이서 밸브(k)나 내측탱크 안전밸브(j), 다음에 가압증발기(e)의 어느것이, 이 CE의 소비조건에 의하여 빈번하게 작동하게 된다.
이와 관련해서, 상기 가압증발기(e)는 내측탱크(c)의 내부압력이 5.5-6.5kg/m2이하에서 작동하고, 에코노마이서 밸브(k)는 7.0-8.0kg/m2이상에서 작동하도록 하고, 또한 내측탱크 안전밸브(j)는, 그 내부 압력이 9.5-10kg/m2이상이 되었을 때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CE가 지니고 있는 어려운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 우선,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입설하여있는 외측탱크내에, 산소가스용의 내측탱크뿐만 아니라, 질소가스용 내측탱크를 2단으로, 또한 3종류 이상의 이종인 액화가스를 상하로 여러단층이 되도록 단열층을 두어서 배설하도록 하고, 이것에 의하여, 소요용지가 좁더라도 설치가 가능하여 절약된 스페이스화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는, 청구범위 제1항의 구성에 덧붙여서 외측탱크에, 상하 2단으로 이루어지도록 상부의 내측탱크와 하부의 내측탱크를 전열지지체를 개재하여 내설함과 동시에, 이때, 하부의 내측탱크에 저비등점(低沸騰點)의 액화가스를 저장하지만, 상부의 내측탱크에는, 이것보다도 고비등점의 액화가스를 저장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하부의 내측탱크에 있어서 기상의 내부압력을 크게하고, 이것에 대하여, 상부의 내측탱크에 있어서 기상의 내부압력을 적개하여, 당해 상하부의 내측탱크의 액체온도차를 떨어뜨려 단열성능을 향상시킨다.
이리하여, 상하부의 내측탱크의 액체온도등온화(等溫化)에 의하여, 하부의 내측탱크의 내부압력이 크게되고, 이 내부압력에 견디도록 설계된 하부의 내측탱크는, 상부의 내측탱크의 중량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강도로 되고, 또한, 하부의 내측탱크의 두께도 두껍게 되므로서, CE의 중심위치가 내려가서 흔들림에 견디게 설개한 설계상에서도 적절하게 하는 것이 제1목적이다.
또한,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의 내측탱크와 하부의 내측탱크를 전열지지체에 의하여 연설하므로서, 전체에 대한 구성 강도를 크게할뿐만 아니라, 예를들면 하부의 내측탱크의 액화가스에 비하여, 상부의 내측탱크의 액화가스가 대량으로 소비된 경우, 상부의 내측탱크의 액호가스는 온도가 내려가서 내부압력도 저하하게되지만, 저비등점의 액화가스를 저장하고 있는 하부의 내측탱크의 온도에 의하여, 고비등점의 액화가스를 저장하여 있는 상부의 내측탱크의 온도를 상술시켜, 이로 인하여, 두 개의 내측탱크에 같은 온도화의 경향을 가지고 있도록 하므로서, 상부의 내측탱크의 기상에 있어서 내부압력을 대폭적으로는 변동되지 않게하고, 상부의 내측탱크에 있어서 사용되는 외부배관계통의 가압증발기에 대해, 그 가동시간을 떨어트려, 그 내구성과 메인터넨스에 대해 개선하려는 것이 그 목적이다.
청구범위 제3항에 있어서는, 청구범위 제1항 또는 청구범위 제2항에 관한 'CE에 있어서, 하부의 내측탱크에 있어서 저비등점의 액화가스를, 같은 온도용 다른종류의 액화가스 내부배관에 의하여, 상부의 내측탱크에 안쪽에 설치된 열교환부를 통과시키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여, 상부의 내측탱크의 액화가스를 하부의 내측탱크에 있어서 저비등점의 액체가스와 같은 온도가 되도록 온도를 높이고, 이리하여, 상부의 내측탱크의 액화가스에 대한 정온화(定溫化)에 의하여, 그 기상에 있어서 가스의 내부압력을 정상화해서, 상부의 내측탱크에 대한 외부배관계통에 있어서, 종래 불가결로 되어 있던 가압증발기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던가, 그 가동시간을 단축하도록 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청구범위 제4항의 'CE에 있어서는, 청구범위 제1항의 구성에 가하여, 청구범위 제3항과 같이 하부의 내측탱크에 대한 액화가스를, 등온용(等溫用) 다른종류의 액화가스 내부배관에 의하여, 상부의 내측탱크에 내설된 열교환부를 통과시키는 것으로, 상부의 내측탱크의 액화가스를 하부의 내측탱크의 액화가스와 같은 온도가 되도록 승온시킬뿐만 아니라, 상부의 내측탱크에 대한 액화가스를, 별도 증설한 등온용 다른종류의 액화가스 내부배관에 의하여, 하부의 내측탱크에 내설된 열교환부를 통과시키는 것으로, 하부의 내측탱크의 액화가스를, 상부의 내측탱크의 액화가스와 등온이 되도록 온도를 강하하도록 하고, 이로 인하여, 한층더 두 개의 내측탱크에 대한 등온화를 촉진하고, 서로가 보다 바람직한 일정한 내부의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있다.
이로 인하여, 청구범위 제4항에 의할 경우에는, 에코너마이서 밸브, 안전밸브, 가압증발기의 가압자동밸브에 대해, 그 가동을 극력으로 억제해서, 이들 각 부재의 내구성을 대폭적으로 개선함과 동시에, 안전밸브에 의한 무리한 가스의 방출을 더욱 작게하는 것으로서, 장기간에 걸쳐서 가스의 보존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는 세워진 외측탱크내에, 단열층을 개재해서, 종류가 다른 액화가스용의 내측탱크를 소요되는 여러개의 단을 상하로 배설하고, 이들 각 내측탱크에 대해 각각 외측탱크의 외측에 배설되어서, 각 액화가스를 각 내측탱크에 공급하고, 또한, 각 액화가스에 의한 각 가스를 수요선으로 공급하는 각 외부배관계통을 구비하고, 이것과 연결되는 각 내부배관계통이, 각 내측탱크와 연결되어서, 상기한 단열층을 거쳐서 외측탱크에서 도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액화가스 저장탱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2항에 있어서는, 세워진 외측탱크내에, 단열층을 기재해서, 각각 고비등점의 일종인 액화가스용의 상부의 내측탱크와, 이것과 전열지지체로 연설된 저비등점의 다른종류인 액화가스용 하부의 내측탱크를 배설하고, 상기 외측탱크의 외측에 배설되어서, 일종의 액화가스를 상부의 내측탱크에 공급하고, 또한, 당해 일종인 액화가스에 의한 일종의 가스를 수요선으로 공급하는 일종인 외부배관계통을 구비하고, 이것과 연결하는 일종인 내부배관계통이, 상부의 내측탱크에 연결되어서, 단열층을 거쳐서 외측탱크로부터 도출됨과 동시에, 상기 외측탱크의 외측에 배설되어서, 다른종류인 액화가스를 하부의 내측탱크에 공급하고, 또한 당해 다른종류인 액화가스에 의한 다른종류의 가스를 수요선으로 공급하는 다른종류인 외부배관계통을 구비하고, 이것과 연결하는 다른종류인 내부배관계통이, 하부의 내측탱크에 연결되어서, 단열층을 거쳐 외측탱크에서 도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액화가스 저장탱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3항의 경우에는 세워진 외측탱크내에 단열층을 개재하여, 각각 고비등점의 일종인 액화가스용의 상부의 내측탱크와, 이것과 단열조건하에 또는, 전열지지체로 연설된 저비등점의 다른종류인 액화가스용 하부의 내측탱크를 배설하고, 상기 외측탱크의 외측에 배설되어서, 상기 일종인 액화가스를 상부의 내측탱크에 공급하고, 또한, 당해 일종인 액화가스에 의한 일종의 가스를 수요선으로 공급하는 일종인 외부배관계통을 구비하고, 이것과 연결한 일종인 내부배관계통이, 상부으 내측탱크에 연결되어서, 단열층을 거쳐 상기한 외측탱크에서 도출됨과 동시에, 외측탱크의 외측에 배설되어서, 다른종류인 액화가스를 하부의 내측탱크에 공급하고, 또한, 당해 다른종류인 액화가스에 대한 다른종류의 가스를 수요선으로 공급하는 다른종류인 외부배관계통을 구비하고, 이것과 연결한 다른종류인 내부배관계통이, 하부의 내측탱크에 연결되어서, 상기한 단열층을 거쳐서 외측탱크에서 도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한 다른종류인 내부배관계통중에, 하부의 내측탱크의 다른종류인 액화가스를 흡인하는 같은 온도용의 다른종류의 액화가스 내측탱크 배관을 상부의 내측탱크에 내설한 열교환부를 거쳐서, 단열층에서 다른종류의 외부배관계통중에, 다른종류인 가스를 수요선으로 공급하는 이송 가스라인에 연결하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액화가스 저장탱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4항에 있어서, 세워진 외측탱크내에, 단열층을 개재해서, 각각 일종인 액화가스용 상부의 내측탱크와 여러 종류인 액화가스용 하부의 내측탱크를 배설하고, 상기 외측탱크의 외측에 배설되어서, 일종인 액화가스를 상부의 내측탱크에 공급하고, 또한, 당해 일종인 액화가스에 의한 일종인 가스를 수요선으로 공급하는 일종인 외부배관계통을 구비하고, 이것과 연결한 일종인 내부배관계통이, 상부의 내측탱크에 연결되어서, 단열층을 거쳐서 외측탱크에서 도출됨과 동시에, 외측탱크의 외측에 배설되어서, 다른종류인 액화가스를 하부의 내측탱크에 공급하고, 또한, 다른종류인 액화가스에 의한 다른종류의 가스를 수요선에 공급하는 다른종류인 외부배관계통을 구비하고, 이것과 연결한 다른종류인 내부배관계통이, 하부의 내측탱크에 연결되어서, 단열층을 거쳐서 외측탱크에서 도출되도록 함고 동시에, 일종인 내부배관계통중에, 상부의 내측탱크의 일종인 액화가스를 흡인하는 당온용(當溫用)일종 액화가스 내측탱크배관을, 하부의 내측탱크에 내설된 열교환부를 거쳐서, 상기 단열층에서 일종외부배관계통중에, 내부 일종인 가스를 수요선으로 공급하는 이송가스라인에 연설하고, 또한, 다른종류인 내부배관계통중에, 하부의 내측탱크의 다른종류인 액화가스를 흡인하는 등온용 다른종류 액화가스내측탱크배관을, 상부의 내측탱크에 내설한 열교환부를 거쳐서, 상기 단열층에서 다른종류 외부배관계통중에 내부, 다른종류인 가스를 수요선으로 공급하는 이송가스라인에 연설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액화가스 저장탱크를 제공하려 하고 있다.
청구범위 제1항의 CE에 의할 경우, 한 개의 외측탱크내에, 여러개의 내측탱크가 단열층을 개재하여서 상하로 배설되어, 또한, 각 내측탱크의 내부배관계통이 각각 외측탱크에 설치된 각 외부배관계통과 연결되도록 하여 있으므로, 소요하는 여러종류의 액화가스를, 외측탱크 일기를 세우는 용지면적내에 저장이 가능하여, 절약 스페이스형의 저온액화가스 저장탱크로 사용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2항에 의할 경우는, 외측탱크내에 전열지지체를 개재하여 상하 2단으로 배설한 상부의 내측탱크와 하부의 내측탱크에, 각각 예를들면 산소액화가스와 같이 고비등점의 액화가스, 질소액화가스와 같이 저비등점의 액화가스를 저장하도록 한 것이어서, 상부의 내측탱크와 하부의 내측탱크의 각 액화가스가, 전열지지체에 의하여 등온화됨에 따라, 하부의 내측탱크의 액화가스에 의한 내부압력이 상부의 내측탱크의 액화가스에 의한 내부압력보다도 크게된다.
이로 인하여, 하부의 내측탱크는 당해 고압인 내부압력으로 설계되므로, 그 상부중량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는 강도가 얻어져서, 또한, 하부의 내측탱크의 두께도 두껍게 되어 무겁게 되기 때문에, 중심위치도 내려가고, 내진성(耐振性)이 양호한 CE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청구범위 제2항에서는, 상부의 내측탱크와 하부의 내측탱크가 전열지지체에 의하여 연설하여 있기 때문에, 전체의 강도를 크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의 내측탱크의 저비등점에 대한 액화가스에 의한 온도에 의하여, 상부의 내측탱크의 고비등점인 액화가스를, 약간 온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하부의 내측탱크의 기상(氣相)온도에 의하여, 상부의 내측탱크의 온도변화가 어느정도 억제할 수 있게 되므로, 당해 두 개의 내측탱크의 등온화 경향에 의하여 상부의 내측탱크 기상에 대한, 내부압력이 대폭으로 변화되지 아니하고, 그 결과, 당해 상부의 내측탱크의 외부배관계통에 있어서 가압증발기가 빈번하게 가동하는 일이 없고, 당해 외부배관계통의 가압라인에 대한 여러 가지 부재에 대해, 내구적으로 사용기간을 장기화할 수 있고, 메인터넨스에 요하는 작업을 삭감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3항에 관한 'CE의 경우에 있어서는, 청구범위 제2항과 같이 전열지지체에 의하여 상부의 내측탱크와 하부의 내측탱크에 대한 액화가스의 등온화를 도모하는 것은 아니고, 하부의 내측탱크의 액화가스를 열교환기를 거쳐서, 상부의 내측탱크로 흘러서, 이로 인하여, 그 액화가스를 승온(昇溫)시키려는 것으로, 당해 두 개의 액화가스는 효율적으로 등온화가되고, 따라서, 청구범위 제2항에 의한 작용이, 보다 효과적으로 발휘되는 것은 물론, 하부의 내측탱크의 액화가스를, 그 외부배관계통에 있어서, 가압증발기에 의해 적당한 압력으로 유지하고 있으면 이것에 의해 규제되는 하부의 내측탱크의 액화가스와, 상부의 내측탱크에 대한 액화가스가 등온으로 분리하게 되므로, 이 결과, 상부의 내측탱크의 기상에 대한 내부압력도 일정하게 되어서, 상부의 내측탱크에서 이송가스라인으로 향해 소정량의 가스를 공급할 수 있게 되고, 이 때문에, 당해 상부의 내측탱크에 관한 외부배관계통에 있어서는, 가열증발기를 생략하던가, 그 가동시간을 단축할 수가 있다.
청구범위 제4항의 CE에 의한 경우에는, 상부의 내측탱크와 하부의 내측탱크에 대한, 각 액화가스의 사용량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경우라든가, 한쪽의 내측탱크에 대한 액화가스만이 소비된다는 경우에, 다음과 같은 작용이 발휘하게 된다. 즉, 상기 전자의 예로는, 인공 공기제조장치에, 상부의 내측탱크에서 산소가스를, 하부의 내측탱크에서는 질소가스를 공급한다고 말한 경우이고, 이때 산소와 질소의 사용량에 대한 비율은 약 1:4로 되는 경우, 산소의 소비량이 적지 않기 때문에, 상부의 내측탱크의 내부압력은 상승경향이되어서 승온하게되고, 이것에 대한 질소의 소비량이 많기 때문에 하부의 내측탱크의 내부압력은 하강 경향이어서 온도가 내려간다.
그런데, 이 CE에 의할때에는, 상부의 내측탱크의 액화산소가스가 하부의 내측탱크의 액화질소가스를, 그 열교환기를 거쳐서 승온시키면서 인공 공기제조장치의 혼합기에 공급되어, 게다가, 하부의 내측탱크의 액화질소가스는, 상부의 내측탱크의 액화산소를, 그 열교환기를 거쳐서 강온시키면서, 상기 혼합기에 공급시키게 된다.
이 결과, 상부의 내측탱크의 액화산소가스와, 하부의 내측탱크의 액화질소가스의 액체온도는, 적극적으로 등온화되게 되고, 이로인하여, 상부의 내측탱크에 관한 에코노아이서 밸브는 그 가동회수가 적게되고, 하부의 내측탱크에 있어서는, 이것에 관한 가압증발기의 부하를 접게 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와 같은 인공 공기제조장치에는 없고, 고기압산소치료장치의 경우이면, 전자와는 역으로 산소의 소비량이 많게 되는 것과 인공 공기제조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산소와 질소와의 관계란, 역사용이 되지만 동질의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또한, 상부의 내측탱크와 하부의 내측탱크에 대한 각 액화가스에 대해, 상기와 같이 소비량에 대소의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고, 한쪽의 액화가스만이 소비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당해 소비되는 일이 없는 내측탱크는, 그 내부압력이 상승하게 되는 것, 소비되는 쪽의 내측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액화가스에 의하여, 소비되지 아니하는 쪽의 액화가스가 온도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므로, 이 경우에는 내측탱크 안전밸브의 가동회수가 감소하고, 그 내구성과 메인터넨스작업에 대해, 좋은 결과를 얻게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을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있어서는 용지(A)에 다리(1)를 세워서 외측탱크(2)의 저부(2a)가 세워설치되고, 외부배관계통(2)에는 단열층(3)을 개재하여서 아래위로 여러개의 단을 배치하여, 소요되는 개수의 내측탱크(4)(4)…가 간격을 두어서 내설되어 있다. 부호 5는 상부의 내측탱크지지체이고, 6은 하부의 내측탱크지지체, 7은 중간부의 전열지지체이고, 내측탱크지지체(5)가 내측탱크(4)에 고착된 금속부재(5a)와 외측탱크(2)에 지지된 베이클라이트로된 단엷주재(5b)에 의하여, 내측탱크지지체(6)는 최하위의 내측탱크(4)에 고정된 금속부재(6a)에 의하여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1도의 실시예에서는, 상하 2단 뿐인 내측탱크(4)(4)가 배설되어, 이 각 내측탱크(4)(4)에는, 이것에 대응하는 각 외부배관계통(8)(8)이 외측탱크(2)의 외측에 배설되어서, 이들은 어느것이나 제4도의 종래의 예에 의하여 설명한 외부배관계통(F)과 같은 구성으로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충전라인(L1)과 이송가스라인(L2) 다음에 가압라인(L3)을 구비하고, 이것과 연결되는 각 내부배관계통(9)(9)이, 각 내측탱크(4)(4)에 연결되어서, 상기한 단열층(3)을 거쳐서 외측탱크(2)로부터 도출된다.
그리하여, 이것 또한 상기한 종래의 예와같이, 산소액화가스, 질소액화가스등의 액화가스(LG1)(LG2)를 각 내측탱크(4)(4)에 각 충전라인(L1)을 거쳐서 공급할 수가 있고, 또한, 각 이송가스라인(L2)을 거쳐서 각 가스(G1)(G2)를 수요선(10)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외부배관계통(8)(8)에 대한, 각 충전라인(L1)과 각 이송가스라인(L2) 및 각 가압라인(L3)의 각 구성부재에 대해서도, 편의상 상기한 종래의 예와 동일한 부호에 의하여 도시하여 있고, 충전라인(L1)에는 액체입구밸브(a)(a')가 설치되어서, 이것이, 내부배관계통(9)(9)에 대한 각 하부의 내측탱크배관(9a)(9a')(9a)(9a')를 거쳐서, 각 내측탱크(4)(4)의 저부와 상부로 각각 관설되어 있다.
또한, 종래의 예와같이, 각 가스출구밸브(i)와 각 이송가스증발기(d) 및 각 이송액밸브(b)가 설치되어 있는 각 이송가스라인(L2)은, 각 내측탱크(4)(4)이 천정부에 관설되어서, 그 저장된 각 액화가스(LG1)(LG2)에 침지된 내부배관계통(9)(9)에 대한 액유내측탱크배관(9a)(9b)에 연통되고, 또한, 각 가읍가스밸브(f)와 각 가압각증발기(g), 각 가압자동밸브(e), 각 가압가스밸브(h) 및 내측탱크안전밸브(j)를 구비한 각 가압라인(L3)은 내부배관부(9)(9)에 대한 각 가압내측탱크배관(9c)(9c)을 거쳐서, 각 내측탱크(4)(4)의 천장부에서, 각 가스(G1)(G2)에 의한 기상(4A)(4B)에 개구되어, 각 외부배관계통(8)(8)과 내부배관계통(9)(9)에 의한 작용에 대해서도 상기한 종래의 예와 같다.
여기에서, 제1도에 대한 내측탱크지지체(5)(6)는 불가결한 것은 아니지만, 내설한 쪽이 강도상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가 있고, 이리하여 상기한 청구범위 제1항에 관한 CE에 의한 경우는, 그 건설용지의 스페이스 절약화에 이바지하는 것이 크지만, 청구범위 제2항의 CE가, 상기 청구범위 제1항의 내용과 상위하는 부분은, 외측탱크(2)내에 있어서, 그 상위에 있는 상부의 내측탱크(4a)와, 하위에 있는 하부의 내측탱크(4b)가, 상기와 같이 전열지지체(7)에 의하여 연설되어 있는 것과, 상부의 내측탱크(4a)에는, 예를들면 산소액화가스와 같이 고비등점의 일종인 액화가스를, 다음에 하위에 있는 하부의 내측탱크(4b)는, 예를들면 질소액화가스와 같이 저비등점의 다른종류인 액화가스를 수납하는 것이고, 그 이외의 점에서는 전혀 같다.
청구범위 제2항에 의할 경우에는, 제2도에 명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중간부에 대한, 상부의 내측탱크(4a)와 하부의 내측탱크(4b)가, 전열지지체(7)에 의하여 연설되어 있고, 이로인하여 전체의 구성에 대한 강도를 크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요 금속재등으로 형성한 이 전열지지체에 의하여, 상부의 내측탱크(4a)를 저비등점인 액화가스가 수납된 하부의 내측탱크(4b)의 액온(液溫)에 의하여 가온하든가, 냉각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부의 내측탱크(4a)가 하부의 내측탱크(4b)의 액온에 의하여 정온화(定溫化)의 영향을 받아, 우선, 상부의 내측탱크(4a)와 하부의 내측탱크(4b)에 대한 각 액화가스가 등온화되는 것으로, 하부의 내측탱크(4b)의 기상(4A)에 관한 내부압력쪽이 높게되므로, 이 내부압력을 설계의 기초로 하는 것인데, 상부의 내측탱크(4a)에 비하여 하부의 내측탱크(4b)가 두껍게 형성하게 된다.
딴라서, CE에 대한 상부측의 중량을 안전하게 지탱하든가, 중심위치를 낮게하게 되고, CE의 설계상, 소망하는 결과를 얻을 수가 있다.
게다가, 상기한것에서 상부의 내측탱크(4a)의 기상(4A)에 대한, 내부압력이 상기와 같이 정온화 때문에 대폭으로는 변동하지 아니하게 되므로, 상부의 내측탱크(4a)내에 대한 고비등점인 액화가스의 소비량이, 그렇게 많지 아니한 경우에는, 액온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부내측탱크계의 외부배관계통(8)에 대한 에코노마이서 라인(L4)의 에코노마이서 밸브(K)등을, 그렇게 빈번하게 가동시키는 것도 끝나게되고, 효율적인 운전과 내구성을 유지하는데 바람직한 형편이 된다.
그리고, 상부의 내측탱크(4a)의 액화가스소비량이 많은 경우에는, 이와는 반대로, 하부의 내측탱크(4b)의 액화가스가 지니고 있는 액온으로, 상부의 내측탱크(4a)내의 액화가스가 지니고 있는 액온이 가온되어서, 가압라인(L3)의 가압증발기(g)등의 가동빈도가 저하하게 된다.
다음에 청구범위 제3항의 저온액화가스 저장탱크에 대하여, 제2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이 경우에 있어서도 즉 상부의 내측탱크(4a)와 하부의 내측탱크(4b)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도와 같이 양자간에 단열층(3)을 충전하던가, 전열지지체(7)를 채택하므로서, 당해 두 개의 탱크(4a)(4b)를 전열상태로 하여도 좋다.
청구범위 제3항에 대해 특별히 기술한 점은, 내부배관계통(9)중에서, 하부의 내측탱크(4b)에 수납되어 있는 저비등점의 다른종류인 액화가스(LG2)를 흡인하는 등온용 다른종류액화가스 내측탱크배관(9d)이, 다만 직접외부배관계통(8)에 대한 이송가스라인(L2)에 연결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하부의 내측탱크(4b)로부터 인출된 다음에, 고비등점의 일종인 액화가스(LG1)가 수납되어 있는 상부의 내측탱크(4a)내에 인입되어서, 여기에 안쪽 설치된 열교환부(11)를 거쳐서, 다시 단열층(3)내로 끌어내져서, 이것이 상기와 같이 이송가스라인(L2)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한 열교환부(11)는,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의 내측탱크(4a)내의 일종인 액화가스(LG1)에 침지하도록 하여도, 또한, 그 기상(4A)에 걸쳐지는 식으로 배설하여도 좋다. 상기 구성에 의거할 경우에는, 상부의 내측탱크(4a)에 대한 일종인 액화가스(LG1)가, 하부의 내측탱크(4b)에 대한 저비등점의 다른종류인 액화가스(LG2)에 의한 액온의 열로 승온 또는 냉각되어, 이 결과로 소정의 온도로 등온화되기 때문에, 상부의 내측탱크(4a)의 기상(4A)에 대한 내부의 압력도 상승 또는 강하하는 일이 없이 정상화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의 내측탱크(4a)에 대응하는 외부배관계통(8)에 있어서, 이제까지 불가결로 되어 있던 가압증발기(g)를 구비한 가압라인(L3)이나 에코노마이서 밸브(K)를 지니고 있는 에코노마이서 라인(L4)이 없다고 하더라도, 정상압을 유지하는 기상(4A)에 의하여 수요선으로의 가스공급이 확보할 수 있을지, 가압라인(L3)이나 에코노마이서 라인(L4)을 구비하여 있는 경우에도, 그 가압증발기(g)나 가압자동밸브(e) 및 에코노마이서 밸브(K)는, 그만큼 빈번히 가동시키지 아니하여서 해결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부의 내측탱크(4a)의 산소액화가스와 하부의 내측탱크(4b)의 질소액화가스를 사용해서, 수요선(10)에 대한 인공공기를 제조하고, 이것을 병원등으로 공급하려고한 경우에는 특히 산소가스의 소비량은 질소가스의 그것에 비하여 1/4정도로 적어지는 것에서, 질소액화가스와 균등한 온도로 유지하게 되는 산소액화가스는, 상부의 내측탱크(4a)에 대해 외부에서 침입하는 열에 의한 증발이 억제되기 때문에,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지 아니하고, 상부쪽의 외부배관계통에 대한 에코노마이서 밸브(K)의 가동이 없는지, 약간의 가동에 의하여, 그 공급이, 충분히 마련해 공급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산소사용량이 많은 경우는, 역으로 하부의 내측탱크(4b)의 액화가스액온에 의하여 가온되어서, 가압증발기(g)의 가동이 없든가, 약간의 가동으로, 그 공급이 충분히 마련해 공급할 수 있도록 된다.
그와 관련하여, 내부용적 2500리터의 상부의 내측탱크와 하부의 내측탱크에, 각 산소액화가스와 질소액화가스를 수납하고, 두 내측탱크의 균등온도를 섭씨 157도로 설정하였더니, 당해 상부의 내측탱크의 내부압력은 7kgf/cm2, 하부의 내측탱크의 내부압력은 20kgf/cm2로 되었다.
이때, 상기와 같이 전열지지체(7A)를 배설한때에는 하부의 내측탱크(4b)에 대한 가스(G2)가, 수요선(10)으로 공급되지 아니한 경우 다른종류인 액화가스(LG2)가 열교환부(11)를 통과하지 아니하게 되므로, 이와같은 때에는, 전열지지체(7)를 거쳐서, 하부의 내측탱크(4b)의 저온열에 의하여 일종인 액화가스(LG1)의 승온화가 방지되게 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부(11)는, 액상은 아닌 상부의 내측탱크(4A)에 대한 기상(4A)에 배설하도록 하여도 좋다.
청구범위 제4항에 대한, CE에 있어서 제3도에 의하여 설며하면, 상기한 청구범위 제1항과 같이 해서, 세워진 외측탱크(2)내에 단열층(3)을 기재하여서, 일종인 액화가스(LG1)용의 상부의 내측탱크(4a)와, 다른종류인 액화가스(LG2)의 하부의 내측탱크(4b)가 배설되어 있고, 게다가 이들 상하부의 내측탱크(4a)(4b)에 대하여, 각각 상기 외측탱크(2)의 외측에 배설되어서, 각 액화가스(LG1)(LG2)를 각 내측탱크(4a)(4b)에 공급하고, 또한, 각 액화가스(LG1)(LG2)에 의한 각 가스(G1)(G2)를 수요선으로 공급하는 각 외부배관계통(8)(8)을 구비하고, 이것과 연결되는 각 내부배관계통(9)(9)이 각 내측탱크(4a)(4b)와 연결되어서, 단열층(3)을 개재하여 외측탱크(2)에서 도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청구범위 제4항에 대해서는, 더욱이, 상기한 일종인 액화가스(LG1)에 관한 내부배관에 관한 내부배관계통(9)에 있어서, 상부의 내측탱크(4a)의 액화가스(LG1)를 흡인하는 액류(液流)내측탱크배관(9b)이, 청구범위 제4항에 관한 제3도와 같이 내부배관계통(9)을 거쳐서, 바로 외부배관계통(8)의 이송가스라인(L2)으로 보내주어서 가는 것이 아니고, 상기한 액류내측탱크배관(9b)이 흡인한 액화가스(LG1)를, 외측탱크(2)의 단열층(3)에 내설한 등온용 일종액화가스 내측탱크배관(9e)에 의하여, 하부의 내측탱크(4b)에 내설한 열교환부(12)에 도입하고, 또한 이것을 단열층(3)의 내부배관계통(9)에서, 가스(G1)를 수요선으로 공급하는 이송가스라인(L2)에 송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같은 도면중 L4는 제4도에서 설명한 종래의 에코노마이서 라인으로, 상부의 내측탱크(4a)의 기상(4A)과 연통하는 내부배관계통(9)과 연결되어서, 이송가스라인(L2)의 유입쪽에 도입되어, k와 m은 당해 에코노마이서 라인(L4)에 직렬로 연결한 각 에코노마이서 밸브와 에코노마이서 체크밸브를 나타내고 있다.
게다가, 청구범위 제5항에서는, 상기한 열교환부(12)뿐만 아니라, 청구범위 제4항에 관한 제3도에 명시한 바와 같이 열교환부(11)가 상부의 내측탱크(4a)에 내설되어, 이것에는, 하부의 내측탱크(4b)에 대한 다른종류의 액화가스(LG2)가, 액류 내측탱크배관(9b)을 거쳐서 도입된 다음, 등온용 다른종류 액화가스 내측탱크배관(9d)을 통하여, 하부의 내측탱크(4b)에 관한 내부배관계통(9)으로부터, 그 외부배관계통(8)의 이송가스라인(L2)에 유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4도에 있어서 L4, k, m은, 상부의 내측탱크(4a)에 대해 설명한 것과 같이, 합주의 내측탱크(4b)에 대한 각각 에코노마이서 라인, 에코노마이서 밸브, 그 다음에 에코노마이서 체크밸브를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하게 되면, 상부의 내측탱크(4a)내의 액화산소가스가, 하부의 내측탱크(4b)내의 액화질소가스보다도, 그 사용량이 적은 경우에 있어서도, 하부의 내측탱크(4b)의 내부압력 저하에 의하여 강온상태로 되어 있는 액화질소가스는, 상부의 내측탱크(4a)의 내부압력 상승에 의하여, 승온상태로 되어 있는 액화산소가스에 의하여, 열교환부(12)를 거쳐서 가온하게 되므로, 제4도에 있어서 인공 공기제조장치의 혼합기(10)에 대하여, 액화질소가스에 의한 질소가스가, 충분히 공급되어 잇따르게 되는 것이다.
또한 청구범위 제5항에서는 열교환부(12)뿐만 아니라, 열교환부(11)를 더 상부의 내측탱크(4a)에 설치하여 있으므로, 하부의 내측탱크(4b)의 액화질소가스도, 상부의 내측탱크(4a)에 대한 액화질소가스를 강온상태로 해서 산소가스를 혼합기(10)에 공급하게 되므로, 상부의 내측탱크(4a)와 하부의 내측탱크(4b)는 항상 등온화되게 되고, 이 결과, 상부의 내측탱크(4a)의 에코노마이서 밸브(k) 및 하부의 내측탱크(4b)에 관한 가압증발기(e)의 가동회수를, 같이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인공 공기제조장치가 아니고, 산소의 소비량이 많게되는 고기압산소치료장치의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산소라든가 질소중에, 어느 한쪽의 액화가스가 소비되지 아니한다 한 경우에 있어서도, 소비되지 아니한 쪽의 내측탱크가 상승하는 것의, 소비되는 쪽의 내측탱크에 있어서 액화가스가 전자인 소비되지 아니한 액화가스를 강온하게 되므로, 내측탱크 안전밸브(j)의 가동회수를 더 삭감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청구범위 제1항에 의할 경우에는, 좁은 용지에도 여러 종류의 액화가스를 저장할 수 있는 CE의 건설이 가능하고, 청구범위 제2항의 경우에는, 상부의 내측탱크나 하부의 내측탱크에 각각 고비등점, 저비등점의 액화가스를 수납하고, 또한 상부의 내측탱크와 하부의 내측탱크를 전열지지체에 의하여 연설하도록 한 것이므로, 두 내측탱크에 대한 액온의 등온화에 의하여, 하부의 내측탱크의 내부압력이 크게 되어, 그 두께 역시 두껍게되므로 중심이 내려가고, 내진동성도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저온인 하부의 내측탱크의 열로 인하여, 상부의 내측탱크를 어느정도 강온시킬 수가 있고, 상부의 내측탱크의 정온화에 바람직한 영향을 주게되므로, 그 정도만이 상부의 내측탱크에 관한 외부배관계통의 압력안정기능을 다하는 가압증발기와 가압자동밸브 및 에코노마이서 밸브에 대해, 그 가동시간을 삭감할 수 있고, 그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된다.
그리하여, 청구범위 제3항의 CE에 의할 경우에는, 하부의 내측탱크(4b)의 액화가스에 의하여, 상부 내측탱크의 액화가스가 열교환부를 거쳐서 냉각 또는 가온되게 되므로, 상부의 내측탱크(4a)의 액화가스는 당해 승온 또는 강온에 의한 소정의 온도로 정온화되어서, 이것에 의한 내부압력의 정상화에 의하여, 이것까지 필요로 되어 있던 가압라인의 가압증발기 및 강압기능을 다하는 에코노마이서 밸브의 생략이 가능하게되든가, 그 가동시간을 대폭으로 단축할 수 있어, 가압증발기나 가압자동밸브 다음에 에코노마이서 밸브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고, 또한 메인테넌스를 위하여 작업빈도 및 노력에 대해서도, 이것을 경감할 수가 있다.
또한, 청구범위 제4항에 의할 경우에는, 두 개의 내측탱크의 경우 각각의 열교환기를 배설하는 것으로, 상부의 내측탱크와 하부의 내측탱크의 온도를, 서로 등온화시키는 작용을 하게되고, 종래의 메인테넌스의 대부분을 점하는 안전밸브, 에코노마이서 밸브, 가압증발기에 있어서 가압자동밸브의 내구성을 개선할 수가 있다.
그리고 안전밸브의 작업을 약간 할 수 있어서, 종래 외부로 방출하던 쓸데없는 가스를 삭감할 수가 있어, 소정량의 가스공급에 대한 장기간에 걸친 액화가스의 보존도 가능하다. 또한, 인공공기와 같이, 상부의 내측탱크와 하부의 내측탱크의 소비량이 일정한 비율로 상위하는 것과 같은 용법에 있어, 경우에 따라서는 상부의 내측탱크의 에코노마이서 밸브 및 하부의 내측탱크의 가압증발기를, 완전히 생략하여 버릴 가능성을 기대할 수가 있다.

Claims (4)

  1. 세워진 외측탱크내에, 단열층을 개재해서, 종류가 다른 액화가스용의 내측탱크를 소요되는 복수의 단만을 상하로 배설하고, 이들 각 내측탱크에 대해 각각 외측탱크의 외측에 배설되어서, 각 액화가스를 각 내측탱크에 공급하고, 또한, 각 액화가스에 의한 각 가스를 수요선으로 공급하는 각 외부배관계통을 구비하고, 이것과 연결되는 각 내부배관계통이, 각 내측탱크와 연결되어서, 상기한 단열층을 거쳐서 외측탱크에서 도출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액화가스 저장탱크.
  2. 세워진 외측탱크내에, 단열층을 개재해서, 각각 고비등점의 일종인 액화가스용의 상부의 내측탱크와, 이것과 전열지지체로 연설된 저비등점의 다른종류인 액화가스용 하부의 내측탱크를 배설하고, 상기 외측탱크의 외측에 배설되어서, 일종의 액화가스를 상부의 내측탱크에 공급하고, 또한, 당해 일종인 액화가스에 의한 일종의 가스를 수요선으로 공급하는 일종인 외부배관계통을 구비하고, 이것과 연결한 일종인 내부배관계통이, 상부의 내측탱크에 연결되어서, 단열층을 거쳐서 외측탱크로부터 도출됨과 동시에 외측탱크의 외측에 배설되어서, 다른종류인 액화가스를 하부의 내측탱크에 공급하고, 또한, 이 다른종류인 액화가스에 의한 다른종류의 가스를 수요선으로 공급하는 다른종류인 외부배관계통을 구비하고, 이것과 연결한 다른종류인 내부배관계통이, 하부의 내측탱크에 연결되어서, 상기 단열층을 거쳐서 외측탱크에서 도출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액화가스 저장탱크.
  3. 세워진 외측탱크내에, 단열층을 개재해서, 각각 고비등점의 일종인 액화가스용의 상부의 내측탱크와, 이것과 단열조건 또는 전열지지체로 연설된 저비등점의 다른종류인 액화가스용의 하부의 내측탱크를 배설하고, 외측탱크의 외측에 배설되어서, 상기 일종의 액화가스를 상부의 내측탱크에 공급하고, 또한, 이 일종인 액화가스에 의한 일종의 가스를 수요선으로 공급하는 일종인 외부배관계통을 구비하고, 이것과 연결한 일종인 내부배관계통이, 상부의 내측탱크에 연결되어서, 상기 단열층을 거쳐 외측탱크에서 도출됨과 동시에, 외측탱크의 외측에 배설되어서, 다른종류인 액화가스를 하부의 내측탱크에 공급하고, 또한, 이 다른종류인 액화가스에 의한 다른종류의 가스를 수요선으로 공급하는 다른종류인 외부배관계통을 구비하고, 이것과 연결한 다른종류인 내부배관계통이, 하부의 내측탱크에 연결되어서, 상기 단열층을 거쳐서 외측탱크에서 도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다른종류인 내부배관계통중에, 하부의 내측탱크의 다른종류인 액화가스를 흡인하는 등온용 다른종류 액화가스 내측탱크배관을, 상부의 내측탱크에 내설한 열교환부를 거쳐서, 상기 단열층에서 다른종류 외부배관계통중에, 다른종류인 가스를 수요선으로 공급하는 이송가스라인에 연결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액화가스 저장탱크.
  4. 세워진 외측탱크내에, 단열층을 개재해서, 각각 일종인 액화가스용의 상부의 내측탱크와 다른종류인 액화가스용의 하부의 내측탱크를 배설하고, 상기 외측탱크의 외측에 배설되어서, 상기 일종인 액화가스를 상부의 내측탱크에 공급하고, 또한 당해 일종인 액화가스에 의한 일종의 가스를 수요선으로 공급하는 일종인 외부배관계통을 구비하고, 이것과 연결한 일종인 내부배관계통이, 상부의 내측탱크에 연결되어서, 상기 단열층을 거쳐서 외측탱크에서 도출됨과 동시에, 상기 외측탱크의 외측에 배설되어서, 다른종류인 액화가스를 하부의 내측탱크에 공급하고, 또한, 다른종류인 액화가스에 의한 다른종류의 가스를 수요선으로 공급하는 다른종류인 외부배관계통을 구비하고, 이것과 연결한 다른종류인 내부배관계통이 하부의 내측탱크에 연결되어서, 상기 단열층을 거쳐 외측탱크에서 도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일종인 내부배관계통중에, 상부의 내측탱크의 일종인 액화가스를 흡이하는 등온용 일종 액화가스내측탱크배관을, 하부의 내측탱크에 내설한 열교환부를 거쳐서, 상기 단열층에서 일종 외부배관계통중에, 일종인 가스를 수요선으로 공급하는 이송가스라인에 연설하고, 또한, 상기 다른종류인 내부배관계통중에서, 하부의 내측탱크의 다른종류인 액화가스를 흡인하는 등온용 다른종류 액화가스 내부배관계통을, 상부의 내측탱크에 내설한 열교환부를 거쳐서, 상기 단열층에서 다른종류 외부배관계통중에, 다른종류인 가스를 수요선으로 공급하는 이송가스라인에 연설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액화가스 저장탱크.
KR1019960014406A 1995-06-29 1996-05-03 저온 액화가스의 저장탱크 KR0171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186376 1995-06-29
JP18637695A JP2964310B2 (ja) 1994-09-09 1995-06-29 低温液化ガス貯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5636A KR970075636A (ko) 1997-12-10
KR0171696B1 true KR0171696B1 (ko) 1999-03-30

Family

ID=16187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4406A KR0171696B1 (ko) 1995-06-29 1996-05-03 저온 액화가스의 저장탱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649433A (ko)
KR (1) KR0171696B1 (ko)
CN (1) CN1085318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8234B1 (fr) * 1998-04-30 2000-06-02 Air Liquide Installation de distillation d'air et boite froide correspondante
WO2001094838A1 (en) * 2000-06-07 2001-12-13 L'air Liquide, Societe Anonyme Pour L'etude Et L'exploitation Des Procedes Georges Claude Multiple tank cryogenic reservoir and mixed gas supply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FR2810260B1 (fr) * 2000-06-20 2002-08-30 Air Liquide Dispositif de stockage et de melange de deux gaz
JP2005147311A (ja) * 2003-11-18 2005-06-09 Taiyo Nippon Sanso Corp コールドエバポレータ
EP2547948B1 (en) 2010-03-17 2014-01-29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Cryogenic storage tank
US20130025302A1 (en) * 2011-07-27 2013-01-31 Lyubchenko Alexander V Cryosauna
CN102358476A (zh) * 2011-09-27 2012-02-22 唐宇峰 撬装式加油装置
CN102635776A (zh) * 2012-04-18 2012-08-15 宁波明欣化工机械有限责任公司 一种高集成绝热深冷容器
FR3016676B1 (fr) * 2014-01-21 2016-02-26 Cryolor Station et procede de fourniture d'un fluide carburant inflammable
CN103759136B (zh) * 2014-02-21 2016-01-20 沈阳航天新光集团有限公司 子母罐式液氮组合容器
CN103899909B (zh) * 2014-04-15 2015-09-09 太原融盛科技有限公司 一种活塞缸式的压缩空气储能装置
JP6423297B2 (ja) * 2015-03-20 2018-11-14 千代田化工建設株式会社 Bog処理装置
EP3787725A4 (en) * 2018-03-24 2022-03-23 Vladimir Belyaev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THE DELIVERY OF RESPIRATORY GASES
CN108332043B (zh) * 2018-04-25 2023-10-13 天津良华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加气储罐
US20220349526A1 (en) * 2021-05-03 2022-11-03 Chart Inc. Cryogenic fluid fuel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19232A (en) * 1957-05-27 1959-12-29 Armour & Co Batch deodorizer
FR1524343A (fr) * 1967-03-31 1968-05-10 Air Liquide Ensemble d'échange indirect de chaleur
US4397361A (en) * 1981-06-01 1983-08-09 Dresser Industries, Inc. Abradable cutter protection
JPS60253782A (ja) * 1984-05-30 1985-12-14 日本酸素株式会社 大型空気分離装置用凝縮器
FR2690231B1 (fr) * 1992-04-17 1994-06-03 Air Liquide Echangeur de chaleur a ruissellement et installation de distillation d'air comportant un tel echangeur.
CN2156888Y (zh) * 1993-07-10 1994-02-23 刘科 便携式呼吸用氧气释放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49433A (en) 1997-07-22
CN1140243A (zh) 1997-01-15
KR970075636A (ko) 1997-12-10
CN1085318C (zh) 200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1696B1 (ko) 저온 액화가스의 저장탱크
JP5190315B2 (ja) 低温液の気化ガス供給設備
TWI343975B (en) A storage vessel for cryogenic liquid
CN1330902C (zh) 高流率的气体输送
US5954101A (en) Mobile delivery and storage system for cryogenic fluids
KR101489737B1 (ko) 선박의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US6505469B1 (en) Gas dispensing system for cryogenic liquid vessels
US5218827A (en) Pumping of liquified gas
US4674289A (en) Cryogenic liquid container
DE60220573T2 (de) Pumpanlage und Verfahren zum Pumpen von Flüssigkeiten
EP0922901A2 (en) Pressure building device for a cryogenic tank
US5373701A (en) Cryogenic station
JPH0771698A (ja) 高圧ガス供給設備
WO2014121579A1 (zh) 高效节能的立式低温储罐
US20060037357A1 (en) Process and system for obtaining a gaseous pressure product by the cryogenic separation of air
JP2964310B2 (ja) 低温液化ガス貯槽
CZ20004024A3 (en) Air distillation apparatus and corresponding cooling box
EP113900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gulating gas flow
JP5715498B2 (ja) 液化水素貯蔵供給設備
CN212745961U (zh) 循环回路及包括该循环回路的低温液体运输/充装装置
EP3896328B1 (en) Gas dispensing system with tank pressure and heat management
CN111750262B (zh) 循环回路及包括该循环回路的低温液体运输/充装装置
JPH06307599A (ja) 圧力下のガスによって作動される器具にエネルギを供給する自己充填式装置、及びそれの冷凍設備への使用
US20040154315A1 (en) Method for vaporizing and heating compressed liquefied gases
US65783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supplying vaporized gas on consumer dem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5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5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0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0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00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02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0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01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007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18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