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000B1 - 자동 정의된 베이스 전극을 갖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구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정의된 베이스 전극을 갖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구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71000B1 KR0171000B1 KR1019950050517A KR19950050517A KR0171000B1 KR 0171000 B1 KR0171000 B1 KR 0171000B1 KR 1019950050517 A KR1019950050517 A KR 1019950050517A KR 19950050517 A KR19950050517 A KR 19950050517A KR 0171000 B1 KR0171000 B1 KR 01710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gion
- trench
- conductivity type
- impurity
- oxide film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0
- 229910021420 polycrystalline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4
- 238000009792 diffus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7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29920005591 polysilico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7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151 depos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312 dry etching Methods 0.000 claims 5
- 239000002019 dop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3071 parasitic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68 ion impla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25 referenc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48/00—Individual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10D1/00 - H10D44/00
- H10D48/30—Devices controlled by electric currents or voltages
- H10D48/32—Devices controlled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10D48/34—Bipolar devi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0—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
- H10D10/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D10/051—Manufacture or treatment of vertical BJ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D—INORGANIC ELECTRIC SEMICONDUCTOR DEVICES
- H10D10/00—Bipolar junction transistors [BJT]
- H10D10/40—Vertical BJTs
Landscapes
- Bipolar Transistor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58)
- 소자의 활성 영역과 콜렉터 영역을 한정하는 소정깊이의 트랜치와, 이 각각의 트랜치 내에 실리콘 기둥을 갖는 제1도전형의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트랜치 내의 하단과 콜렉터 영역의 실리콘 기둥에 상기 반도체 기판을 형성하는 제1도전형과다른 제2도전형의 고농도의 불순물 확산이 이루어진 불순물 확산 영역과; 상기 활성 영역의 실리콘 기둥 상단에 상기 제2도전형과 동일 도전형의 고농도의 불순물 확산이 이루어진 불순물층의 에미터 영역과; 상기 활성 영역의 실리콘 기둥 하단에 형성된 불순물 확산 영역과 실리콘 기둥 상단에 형성된 상기 에미터 영역의 중간에 상기 제1도전형과 동일 도전형의 불순물 확산이 이루어진 불순물층의 베이스 영역과; 상기 콜렉터 영역의 실리콘 기둥에 상기 제2도전형과 동일 도전형의 고농도의 불순물 확산이 이루어진 불순물층의 콜렉터 영역과; 상기 활성 영역의 트랜치 영역에 매립된 형태의 제1도전형의 다결정 실리콘 베이스 전극과; 상기 다결정 실리콘 베이스 전극과 상기 반도체 기판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해 상기 트랜치 내에 형성된 산화막; 및 상기 베이스 영역과 다결정실리콘 베이스 전극의 일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베이스접속부로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전극을 금속 전극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영역의 트랜치 영역이 베이스 전극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영역의 트랜치 하단에 형성된 고농도의 제2도전형으로 불순물 확산되어진 영역과 콜렉터 영역의 실리콘 기둥에 형성된 고농도의 제2도전형으로 불순물 확산되어진 영역을 불순물 열 확산에 의해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구조.
-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형이 P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구조.
-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형이 N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구조.
-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형이 N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구조.
-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형이 P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구조.
- 소자의 활성 영역과 콜렉터 영역을 한정하는 소정 깊이의 트랜치와, 이 각각의 트랜치 내에 실리콘 기둥을 갖는 제1도전형의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트랜치 내의 하단과 콜렉터 영역의 실리콘 기둥에 상기 반도체 기판을 형성하는 제1도전형과 다른 제2도전형의 고농도의 불순물 확산이 이루어진 불순물 확산 영역과; 상기 활성 영역의 실리콘 기둥 상단에 상기 제2도전형과 동일 도전형의 고농도의 불순물 확산이 이루어진 불순물층의 에미터 영역과; 상기 활성 영역의 실리콘 기둥 하단에 형성된 불순물 확산영역과 실리콘 기둥 상단에 형성된 상기 에미터 영역의 중간에 상기 제1도전형과 동일 도전형의 불순물 확산이 이루어진 불순물층의 베이스 영역과; 상기 콜렉터 영역의 실리콘 기둥에 상기 제2도전형과 동일 도전형의 고농도의 불순물 확산이 이루어진 불순물층의 콜렉터 영역과; 상기 활성 영역의 트랜치 영역에 매립된 형태의 제1도전형의 다결정 실리콘 베이스 전극과; 상기 다결정 실리콘 베이스 전극과 상기 반도체 기판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해 상기 트랜치 내에 형성된 산화막; 및 상기 베이스 영역과 다결정실리콘 베이스 전극의 일부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베이스접속부로 구성되는 트랜지스터를 두 개 이상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하여 트랜치 하단에 구비되어 있는 제2도전형의 고농도의 불순물 확산이 이루어진 불순물 확산층을 불순물 열 확산법으로 연결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영역의 트랜치 영역이 베이스 전극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영역의 트랜치 하단에 형성된 고농도의 제2도전형으로 불순물 확산되어진 영역과 콜렉터 영역의 실리콘 기둥에 형성된 고농도의 제2도전형으로 불순물 확산되어진 영역을 불순물 열 확산에 의해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 제8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형이 P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 제8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형이 N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 제8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형이 N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 제8항 내지 제10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형이 P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 제1도전형 실리콘 반도체 기판상에 소정 두께의 제1산화막을 형성한 후 일정 부분의 제1산화막을 제거하고, 상기 제1산화막이 제거된 부분을 식각하여 소정 깊이의 트랜치를 형성하는 제1공정과; 상기 공정으로 형성된 트랜치 벽면에만 제2산화막을 형성한 후 포토 마스크 공정에 의해 콜렉터 전극용 트랜치 기둥의 제2산화막만을 제거하고 불순물 확산 마스크로 이용하여 노출된 부분에 상기 반도체 기판을 형성하는 제1도전형과 다른 제2도전형의 불순물을 소정농도로 확산시켜 불순물 확산 영역을 형성하는 제2공정과; 상기 공정에서 형성된 제1, 제2 산화막을 제거한 후 제1도전형의 불순물을 소정농도로 도핑시켜 불순물층인 베이스 영역을 형성한 후 기판 전면에 소정두께의 제3산화막을 형성하는 제3공정과; 상기 제3산화막 상부에 제1도전형 불순물이 소정농도로 도핑된 제1다결정 실리콘층을 소정의 두께로 형성한 후 평탄화하고 상기 트랜치 영역에 매립된 상기 제1다결정 실리콘층을 소정 두께로 식각하는 제4공정과; 상기 트랜치 기둥주변의 산화막을 제거하여 베이스 전극의 접속부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제5공정과; 상기 제5공정을 통하여 산화막이 제거된 부분에 제1다결정 실리콘층을 사용하여 베이스전극을 접속시킨 후 상기 트랜치 기둥의 상부에 제2도전형 불순물이 소정농도로 도핑된 제2다결정 실리콘층을 소정두께로 형성하여 에미터 전극을 형성시키는 제6공정; 및 상기 반도체 기판상에 소정두께의 제3산화막을 증착시킨 후 상기 공정으로 형성된 다결정실리콘 베이스 전극 영역과 다결정실리콘 에미터 전극영역 및 고농도 제2도전형 콜렉터 전극영역의 상부를 노출시킨 후 각 영역에 금속 전극을 형성하는 제7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공정은 상기 제1도전형 반도체 기판상에 소정두께의 제2산화막을 형성하는 제1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형성된 제2산화막을 이등방성 건식 식각하여 트렌치 벽면에만 상기 제2산화막을 남겨두고, 트랜치 밑면의 산화막을 제거하는 제2단계와; 포토 마스크 공정에 의해 콜렉터 전극용 트랜치 기둥의 산화막을 제거하는 제3단계와; 상기 단계를 통하여 제거되지 않은 산화막을 불순물 확산 마스크로 이용하여 노출된 부분에 상기 제2도전형의 불순물을 소정농도로 확산시켜 불순물 확산 영역을 형성하는 제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형성되는 제2산화막의 두께는 최하 20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형성되는 제2산화막의 두께는 최대 30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형성되는 제2산화막의 두께는 2000Å~30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형성되는 불순물 확산 영역의 제2도전형의 불순물을 농도가 1×102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형성되는 불순물 확산 영역의 제2도전형의 불순물을 농도가 1×1021/㎠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형성되는 불순물 확산 영역의 제2도전형의 불순물을 농도가 1×1020~1×102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에서 형성되는 제1산화막의 두께는 최소 20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에서 형성되는 제1산화막의 두께는 최대 50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에서 형성되는 제1산화막의 두께는 2000 ~ 5000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에서 트랜치를 형성하는 방식은 반도체 기판이 노출된 부분을 이등방성 건식 식각하는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에서 형성되는 트랜치의 식각 깊이는 최소 0.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에서 형성되는 트랜치의 식각 깊이는 최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공정에서 형성되는 트랜치의 식각 깊이는 0.7~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정에서 베이스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도핑되는 제1도전형의 불순물 농도가 5×1016/㎤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정에서 베이스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도핑되는 제1도전형의 불순물 농도가 1×101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정에서 베이스 영역을 형성하기 위해 도핑되는 제1도전형의 불순물 농도가 5×1016~1×101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정에서 형성되는 제3산화막의 두께는 최소 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정에서 형성되는 제3산화막의 두께는 최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공정에서 형성되는 제3산화막의 두께는 0.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공정에서 상기 제3산화막 상부에 형성된 제1다결정 실리콘층을 형성하기 위해 도핑된 제1도전형 불순물의 농도가 1×102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공정에서 상기 제3산화막 상부에 형성된 제1다결정 실리콘층을 형성하기 위해 도핑된 제1도전형 불순물의 농도가 1×10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공정에서 상기 제3산화막 상부에 형성된 제1다결정 실리콘층을 형성하기 위해 도핑된 제1도전형 불순물의 농도가 1×1020~1×102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공정에서 상기 제3산화막 상부에 형성된 제1다결정 실리콘층을 형성하기 위해 도핑된 제1도전형 불순물의 두께가 최소 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공정에서 상기 제3산화막 상부에 형성된 제1다결정 실리콘층을 형성하기 위해 도핑된 제1도전형 불순물의 두께가 최대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공정에서 상기 제3산화막 상부에 형성된 제1다결정 실리콘층을 형성하기 위해 도핑된 제1도전형 불순물의 두께가 0.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공정에서 상기 제1다결정 실리콘층을 평탄화하는 방식은 기계 화학적 연마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공정에서 상기 제1다결정 실리콘층을 이등방성 건식 식각하는 두께는 최소 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공정에서 상기 제1다결정 실리콘층을 이등방성 건식 식각하는 두께는 최대 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4공정에서 상기 제1다결정 실리콘층을 이등방성 건식 식각하는 두께는 0.1~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6공정에서 트랜치 기둥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다결정 실리콘층을 형성하기 위해 도핑하는 제2도전형의 불순물 농도가 1×1020/㎤ 이상인 것을 특징을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6공정에서 트랜지 기둥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다결정 실리콘층을 형성하기 위해 도핑되는 제2도전형의 불순물 농도가 1×10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6공정에서 트랜치 기둥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다결정 실리콘층을 형성하기 위해 도핑되는 제2도전형의 불순물 농도가 1×1020~1×102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6공정에서 트랜치 기둥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다결정 실리콘층의 두께가 최소 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6공정에서 트랜치 기둥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다결정 실리콘층의 두께가 최대 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6공정에서 트랜치 기둥의 상부에 형성되는 제2다결정 실리콘층의 두께가 0.1~0.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7공정에서 증착되는 제3산화막의 두께는 최소 0.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7공정에서 증착되는 제3산화막의 두께는 최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7공정에서 증착되는 제3산화막의 두께는 0.5~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 내지 제5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형이 P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 내지 제5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형이 N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 내지 제5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형이 N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제15항 내지 제5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전형이 P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50517A KR0171000B1 (ko) | 1995-12-15 | 1995-12-15 | 자동 정의된 베이스 전극을 갖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구조 및 그 제조방법 |
US08/696,256 US5747871A (en) | 1995-12-15 | 1996-08-13 | Bipolar transistor having a self-aligned base 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JP21554296A JP3242000B2 (ja) | 1995-12-15 | 1996-08-15 | 自己整列されたベース電極を有する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50517A KR0171000B1 (ko) | 1995-12-15 | 1995-12-15 | 자동 정의된 베이스 전극을 갖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구조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54341A KR970054341A (ko) | 1997-07-31 |
KR0171000B1 true KR0171000B1 (ko) | 1999-02-01 |
Family
ID=19440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50517A KR0171000B1 (ko) | 1995-12-15 | 1995-12-15 | 자동 정의된 베이스 전극을 갖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구조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5747871A (ko) |
JP (1) | JP3242000B2 (ko) |
KR (1) | KR017100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94177A (en) * | 1999-02-05 | 1999-11-30 |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 Dynamic threshold MOSFET using accumulated base BJT level shifter for low voltage sub-quarter micron transistor |
US6853048B1 (en) * | 2000-08-11 | 2005-02-08 | Agere Systems Inc. | Bipolar transistor having an isolation structure located under the base, emitter and collector and a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
EP1342271B1 (en) * | 2000-12-11 | 2013-11-20 | Cree, Inc. | Method of fabricating a self-aligned bipolar junction transistor in silicon carbide and resulting devices |
ATE500609T1 (de) * | 2005-04-29 | 2011-03-15 | Nxp Bv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ipolartransistors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14594B2 (ko) * | 1973-10-17 | 1977-04-22 | ||
NL7709363A (nl) * | 1977-08-25 | 1979-02-27 | Philips Nv | Werkwijze ter vervaardiging van een halfgeleider- inrichting en halfgeleiderinrichting vervaardigd onder toepassing van een dergelijke werkwijze. |
US4149915A (en) * | 1978-01-27 | 1979-04-17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Process for producing defect-free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overlapping high conductivity impurity regions |
JPS5640275A (en) * | 1979-09-12 | 1981-04-16 | Hitachi Ltd | Preparation of semiconductor device |
US4318751A (en) * | 1980-03-13 | 1982-03-09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Self-aligned process for providing an improved high performance bipolar transistor |
EP0199497B1 (en) * | 1985-04-10 | 1992-01-02 | Fujitsu Limited | Process for fabricating a self-aligned bipolar transistor |
US4674173A (en) * | 1985-06-28 | 1987-06-23 |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 Method for fabricating bipolar transistor |
US4887145A (en) * | 1985-12-04 | 1989-12-12 | Hitachi, Ltd. | Semiconductor device in which electrodes are formed in a self-aligned manner |
JPS6489365A (en) * | 1987-09-29 | 1989-04-03 | Nec Corp | Semiconductor device |
KR890011103A (ko) * | 1987-12-04 | 1989-08-12 | 미다 가쓰시게 | 반도체 집적회로장치의 제조방법 |
NL8800157A (nl) * | 1988-01-25 | 1989-08-16 | Philips Nv | Halfgeleiderinrichting en werkwijze ter vervaardiging daarvan. |
DE4445345C2 (de) * | 1994-12-19 | 2001-08-23 | Korea Electronics Telecomm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ipolartransistors |
-
1995
- 1995-12-15 KR KR1019950050517A patent/KR017100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6
- 1996-08-13 US US08/696,256 patent/US5747871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6-08-15 JP JP21554296A patent/JP324200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5747871A (en) | 1998-05-05 |
JPH09181083A (ja) | 1997-07-11 |
JP3242000B2 (ja) | 2001-12-25 |
KR970054341A (ko) | 1997-07-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591672B1 (en) | Method for fabricating bipolar junction and MOS transistors on SOI | |
US6638807B2 (en) | Technique for gated lateral bipolar transistors | |
US4985745A (en) | Substrate structure for composite semiconductor device | |
JP2000196103A (ja) | Soi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 |
KR0152640B1 (ko) | 반도체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 |
US5476809A (en) |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KR20020065375A (ko) | 반도체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JPH0123949B2 (ko) | ||
US4980748A (en) | Semiconductor device made with a trenching process | |
KR100292905B1 (ko) | 절연체상의반도체기판상의바이폴라트랜지스터및그제조방법 | |
KR0128339B1 (ko) | Cmos 기술을 이용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 |
EP1630863B1 (en) | Method of fabricating a monolithically integrated vertical semiconducting device in an soi substrate | |
JP3074708B2 (ja) | 高出力用集積回路のための半導体構造 | |
US5395789A (en) | Integrated circuit with self-aligned isolation | |
US5406113A (en) | Bipolar transistor having a buried collector layer | |
KR0171000B1 (ko) | 자동 정의된 베이스 전극을 갖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구조 및 그 제조방법 | |
US5763931A (en) | Semiconductor device with SOI structur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 |
GB2296377A (en) | Pillar bipolar transistors | |
KR910001909B1 (ko) | 집적회로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KR100211950B1 (ko) | 기둥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 |
JP3257523B2 (ja)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
KR0149130B1 (ko) | 기둥형 바이폴라 트랜지스터 및 그의 제조방법 | |
KR0128022B1 (ko) | 에스·오·아이(soi) 기판을 갖는 동종접합 쌍극자 트랜지스터 장치의 제조방법 | |
KR0175327B1 (ko) |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KR100206579B1 (ko) | 집적 주입 논리(i l)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2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0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810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9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10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10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10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10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9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10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10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1001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100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2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