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69519B1 - 감광재료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감광재료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519B1
KR0169519B1 KR1019940013355A KR19940013355A KR0169519B1 KR 0169519 B1 KR0169519 B1 KR 0169519B1 KR 1019940013355 A KR1019940013355 A KR 1019940013355A KR 19940013355 A KR19940013355 A KR 19940013355A KR 0169519 B1 KR0169519 B1 KR 0169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sensitive material
sheets
roller
material sheets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33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401A (ko
Inventor
겐지 도도키
Original Assignee
니시모토 간이치
노리츠 고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모토 간이치, 노리츠 고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모토 간이치
Publication of KR950001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5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15/00Apparatus for treating processed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03B27/46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for automatic sequential copying of different originals, e.g. enlargers, roll film printers
    • G03B27/46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for automatic sequential copying of different originals, e.g. enlargers, roll film printers in enlargers, e.g. roll film prin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7/00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 G03B27/32Projection printing apparatus, e.g. enlarger, copying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13/00Processing apparatu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covered by groups G11B3/00 - G11B11/00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13/00Processing apparatu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covered by groups G11B3/00 - G11B11/00
    • G03D13/003Film feed or extraction in development apparatu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3/00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 G03D3/08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having progressive mechanical movement of exposed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graphic Processing Devices Using Wet Methods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필름인화/현상장치에 제공되는 감광재료시트들을 정렬하는 장치. 크기에 따라 감광재료시트들을 선택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분류가이드가 제공된다.
분류된 시트들은 1렬 배열로 아니면, 2열 지그재그 배열로 상부출구 또는 하부출구에 가이드에 의해 더 이송된다. 하부출구로의 경로를 따라서는 원웨이로울러와 고속로울러들이 설치되어 2열 지그재그 배열의 감광재료시트들이 고속으로 이송하게 된다.
하부출구에 이와같이 이송되어나온 감광재료시트들은 한롤의 필름에서의 프레임순서로 콘베이어에 의해 팬에 차곡차곡 겹쳐지게 된다.

Description

감광재료 정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감광재료 정렬장치를 갖는 필름인화/현상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A-A선을 따라 본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B부근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인화 및 현상된 감광재료시트들을 소정의 순서로 정렬하기 위해 사용되는 감광재료시트들의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필름 인화/ 현상장치에서는, 감광재료의 롤을 노광장치로 연속이송하는데 여기서 음화(negative)필름상의 프레임의 필름상을 노광대 위에서 감광재료시트상에 노광한다. 감광재료시트들을 현상장치에 이송하고 현상액을 함유하는 탱크를 통과시키면서 현상한 후, 그것들을 건조시키고 꺼낸다.
노광대에서 노광되는 감광재료는 현상전에 시트들로 전달된다. 시트들은 현상장치로 일렬로 이송되는데 거기에는 시트들간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 감광재료시트들간에 틈이 있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필름인화/ 현상장치에서, 현상장치에서 감광재료시트들을 현상하는 속도는 노광장치에서 시트들에 상을 노광하는 속도 보다 훨씬 더 낮다. 그러므로, 필름인화/ 현상장치의 처리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현상장치의 처리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감광재료시트들이 일렬로 이송된다는 가정하에 제안된 한가지 방법은 시간당 현상되는 시트 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반송장치에서 랙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랙 길이가 길수록, 현상장치의 길이 전체가 길어지고 탱크 크기도 커지며 현상액의 양도 많아진다.
또 다른 해결책으로서 노광된 감광재료시트들의 이송방향을 비틀거리게하고 이송방향을 조절하여 그것들이 지그재그 배열로 이송되어 현상되도록 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이 현상방법으로, 현상장치의 랙 길이를 증가시키지 않고 현상장치의 처리능력을 상당히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감광재료의 시트들이 비틀거리고 현상장치에 2열로 이송되기 때문에, 만일 감광재료 시트들의 순서가 한롤의 필름에서의 순서에 일치하게 하려면, 2열로 이송된 시트들은 다시 1열로 배열되어야 한다.
한롤의 필름에서의 순서로 그것들을 겹치기 위해 현상장치의 출구근처에 연속구동되는 콘베이어를 설치한다고 하자. 이 경우에, 선행하는 시트가 완전히 콘베이어 위에 놓일 때 다음 시트의 일부는 이미 배출된다. 이것은 다음 시트의 가장자리를 콘베이어와의 접촉으로 인해 손상시킬수도 있다. 더욱이, 감광재료의 시트들은 연속구동하는 콘베이어 위에 떨어뜨리면 정연하게 배열 될 수 있다.
상기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감광재료시트들이 현상장치로부터 2열 지그재그 배열로 배출될지라도 그것들이 2열로 겹치지 않고 한롤의 필름에서의 프레임과 같은 순서로 일렬로 겹치는 필름인화/ 노광장치에서 감광재료의 시트들을 정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화장치 및 현상장치를 갖는 필름인하/ 현상장치에 감광재료시트들을 정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이 장치는 필름인화/ 현상장치의 출구근처에 감광재료 시트를 이송하기 위해 복수의 원웨이로울러 쌍들과 복수의 고속로울러들로 이루어지는 반송수단; 그리고 간헐적으로 구동되도록 감광재료시트가 배출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출구의 외부에 제공된 콘베이어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감광재료시트를 고속으로 이송하기 위해, 각 고속로울러는 바람직하게는 구동로울러, 종동로울러 그리고 종동로울러의 양측에 제공되고 종동로울러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한쌍의 로울러로 이루어져, 따라서 감광재료시트들이 호형상으로 굽어지게 되도록 한다.
더욱이, 감광재료시트의 크기에 따라 원웨이로울러로 아니면, 스토커로 시트들을 선택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분류(sorting)가이드가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서 원웨이로울러에 의해 지그재그 배열로 이송된 감광재료시트는 고속로울러에 의해 고속으로 이송된다. 그것들은 콘베이어에 놓이자마자 더 이송되고, 팬에 차곡차곡 정렬되고, 겹치게 된다.
본 발명의 장치에는 원웨이로울러와 고속로울러로 이루어지는 반송장치(carrier unit)와 반송장치의 출구의 외부에 제공된 거기에 수직한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구동되는, 콘베이어가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2열 지그재그 배열로 공급된 감광재료 시트들은 콘베이어에 고속으로 이송되고 한롤의 필름에 프레임의 순서로 정렬된다. 이것은 시트의 순서가 뒤섞여 겹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목적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X는 인화(노광)장치를 칭하며, Y는 현상장치이다. 인화(노광)장치(X)의 구조는 공지이나, 단지 주 구성요소를 이하에 언급할 것이다. 그것은 감광재료(PC)의 롤을 함유하는 매거진(1), 커터(2), 흡인벨트(3), 광원(4), 미러(mirror)터널(5), 음화마스크(6) 및 렌즈장치(7)로 이루어진다.
감광재료시트들(PC)은 인화(노광)장치(X)에서 인화 및 노광된 후, 반송장치에 의해 화살표방향으로 분류장치(10)로 이송된다. 분류장치(10)는 다른 크기들의 시트들을 분류하기 위한 분류장치(11)와 이와같이 분류된 감광재료시트들(PC)을 현상장치(Y)에 이송하기 위한 콘베이어(12)로 이루어진다.
분류장치(11)에 일직선상으로 이송된 감광재료시트들(PC)이 소정의 크기보다 작다면, 분류장치(11)는 지그재그 배열로 2열로 그것들을 이송할 것이다. 만일 더 크면, 분류장치(11)는 계속 일열로 시트들을 이송하게 된다. 콘베이어(12)는 1열 또는 2열 지그재그 배열을 유지하면서 현상장치(Y)에 시트를 이송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분류장치(11)는 시트를 교차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대를 갖는다.
탱크(20)는 복수의 칸막이 벽들(21)에 의해 구획된 복수의 부분들에 다른 종류의 현상액(W)들을 함유한다.
또한, 폐기액 탱크 및 보충탱크가 보통 제공되나,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다. 건조장치(22)에서, 감광재료시트들(PC)은 그것들이 콘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면서 가열기에 의해 건조된다.
그 다음 90도 방향회전 후, 시트들은 출구를 향해 수평으로 이송된다.
상기한 경로를 따라, 정렬장치(30)가 제공된다. 그것을 제2도 내지 제4도에 상세히 나타내었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광재료시트들(PC)은 정렬장치(30)에서 분류가이드(33)에 의해 분류되고, 출구(34)에 수평방향으로 아니면, 아래로 90도 방향 회전한 후 출구(38)로 이송된다.
도면에서, 복수쌍의 반송로울러(31), 가이드(32) 및 광감지기(PH1)에 예시하고 있다.
감광재료시트들(PC)의 폭이 89mm내지 6인치이면, 그것들은 하향회전하여 분류가이드(33)에 의해 출구(38)로 안내된다. 만일 6.5인치 내지 254mm(10인치)크기이면, 그것들은 출구(34)에 수평으로 이송된다. 따라서, 분류가이드(33)는 제1도에 1점 쇄선으로 나타낸 수평이송로의 중앙선으로부터 위 또는 아래로 회전이동 가능하다.
출구(34)의 외부에 팬(35)이 고정되어 있다.
수직경로를 따라 복수쌍의 원웨이로울러(36) 및 고속로울러(37)가 설치되어 있다. 출구(38)는 감광재료시트들(PC)을 수직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해 수직경로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고소로울러(37)와 가이드(37b)와 협력하는 종동로울러(37a)가 제공되어 있다.
원웨이로울러(36)의 상세한 구조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다.
각 원웨이로울러(36)는 예를 들면, 스프링에 의한 맞물림에 의해 중심축(36a)과 함께 회전된다.
원웨이로울러(36)에 의해 샌드위치되어 이송된 감광재료시트들(PC)은 고속로울러(37)에 의해 고속으로 당겨진다.
만일, 인장력에 의해 생긴 토오크가 원웨이로울러(36)의 토으크 보다 더 크면, 원웨이로울러(36)는 스프링 미끄럼에 의해 맞물림 부분과 같은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것이다.
원웨이로울러(36)는 이 구체예에서 상기와 같이 배열되나, 그것들은 어떤 다른 방법으로 배열될수도 있다.
고속로울러(37)는 고속으로 구동되나 그것의 타이밍등은 후에 설명하기로 한다.
고속로울러(37)의 회전속도는 다른 로울러들 보다 2내지 15배 더 크다. PH2는 감광재료 시트들(PC)의 수를 검출하기 위한 한쌍의 광감지기이다.
출구(38)의 외부에 수직경로에 관하여 수직방향으로 감광재료시트들(PC)을 이송하는 콘베이어(39)가 제공된다.
제3도는 콘베이어(39)의 사시도인데, 이것은 풀리(39a)에 결합된 구동장치(도시않음)에 의해 구동된다.
압착기 로울러(40)도 제공된다.
콘베이어(39)의 하류에 감광재료시트들(PC)을 받는 복수단의 팬(41)이 제공된다. 팬(41)은 수직 이동성의 순환벨트(도시않음)에 부착되어 있고, 그들 각 단이 콘베이어의 높이로 이동될 때 수평이 되도록 배열된다.
한롤의 필름에 함유된 프레임에 해당하는 감광재료시트들(PC)이 팬(41)의 한 단에 정렬된 후, 그것은 하향이동하고 다음단이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베이어(39)와 같은 높이로 오게된다.
제4도는 제3동의 A-A선으로부터 본 정면도이고, 제5도는 제4도에 B로 칭한 부분의 확대도이다.
제4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감광재료시트들(PC)은 그것들이 원웨이로울러(36)를 통과할 때 2열 지그재그 배열로 이송된다. 이것은 시트들(PC)이 이미 현상장치에서 탱크(20)에서 현상되면서 2열 지그재그 배열로 되었고, 그 후 이 배열로 전방 이송되기 때문이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로울러(37c)는 감광재료시트들(PC)의 양쪽 가장자리를 호형상으로 굽히기 위해 각 종동로울러(37a)의 양쪽에 설치된다.
이것은 비교적 긴 감광재료시트들(PC), 특히 파노라마사이즈가 배출되면서 아래로 늘어지거나 또는 정전기로 인해 콘베이어벨트에 들러붙거나 또는 출구근처 로울러에 붙들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감광재료시트들(PC)을 정렬하기 위한 장치는 다음 방법으로 작동된다. 반송로울러(31)에 의해 수평이송된 감광재료시트들(PC)은 분류가이드(33)에 의해 크기에 따라 상기와 같이 분류된다. 만일 시트가 89mm내지 5인치의 폭을 갖는다면, 그것들은 2열 지그재그 배열로 하향 이송된다. 만일 6인치 폭이면, 그것들은 1열 배열로 원웨이로울러(36)의 쌍들 중간에서 하향 이송된다. 만일 그것들이 6.5인치 내지 254mm폭이면, 그것들은 상부로부터 수평배출된다. 즉, 6.5인치 이상이면, 종래장치에서와 같이 그것들은 현상의 동안에 1열로 이송된 다음 이 배열로 배출된다. 따라서, 그것들은 그것들이 배출됨에 따라 차례로 차곡차곡 겹친다.
분류가이드(33)에 의해 분류되는 감광재료시트들(PC)은 광감지기(PH1)로부터 공급된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구별된다.
제어회로는 시트가 6.5인치 이상의 폭을 갖는다는 정보를 수용하고 광감지기(PH1)가 시트의 정면단부가 통과했음을 검출한다면, 양 신호들은 솔레노이드를 가동하여 분류가이드(33)가 시트(PC)를 수평으로 이송을 일으키도록 명령할 것이다.
만일 6인치이거나 5인치 미만이면, 분류가이드(33)는 하향회전하여 시트들을 하향 이송한다.
시트들은 하향이동하면서 원웨이로울러(36)에 의해 이송된다.
그것의 정면 단부가 고속로울러(37)를 통과했을 때, 시트는 고속으로 출구(38)로 이송되고, 그것을 통해 배출될 것이다.
만일 시트의 후단부가 여전히 원웨이로울러(36)와 접촉되어 있다면, 그것은 고속로울러(37)에 의해 당겨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 경우에도, 시트들은 원웨이로울러(36)가 감광재료시트들(PC) 사이에서 미끄러지기 때문에 파손이 방지된다.
배출시트(PC)는 콘베이어(39)에 의한 수직로에 관하여 수직방향으로 (즉, 수평방향으로) 이송된다. 이 상태에서, 5인치 미만 폭을 갖는 시트들은 2열 지그재그 배열로 이송된다. 콘베어어(39)는 시트들중 하나를 그 위에 받자마자 가동되고, 팬(41)에 그것을 이동시킨다. 구체예에서, 이송속도는 다음 시트가 고속로울러(37)에 아직 오지않도록 하는 속도로 한다.
첫 번 시트가 팬(41)에 이송된 후, 콘베이어(39)는 가동을 중지한다. 다음 시트가 콘베이어(39)에 배출될 때, 그것은 다시 가동된다. 따라서, 차곡차곡 이송된 시트들은 간헐적으로 구동되는 콘베이어(39)에 의해 팬(41)에 겹쳐진다. 감광재료시트들(PC)은 한 필름에서의 프레임 순서로 차곡차곡 겹쳐진다.
폭이 6인치라면, 시트들은 원웨이로울러(36)의 중간에 이송된다. 그러므로, 시트들은 콘베이어(39)로부터 배출되는 바와 같이 차곡차곡 정렬되고 겹쳐진다.
콘베이어(39)의 간헐 가동의 동안에 고속으로 이송된 시트의 후단부는 각 시트가 통과할 때 광감지기(PH2)에 의해 검출된다. 각 시트의 후단부가 통과한 후 소정 시간 후, 콘베이어(39)는 구동되어 그것을 이송한다.
또한, 통과한 시트들의 수는 광감지기(PH2)로 부터의 신호에 의해 계수된다. 그 다음, 제어회로는 이 수를 한롤의 필름에서 프레임 수와 비교한다. 만일 그것들이 모든 감광재료시트들이 팬(41)에 이동되었음을 검출하면, 그것은 하향이동 될 것이다.
상기 구체예에서, 시트들은 분류가이드(33)에 의해 크기에 따라 분류되나, 그것은 생략될 수도 있다.
그런 경우에는, 모든 감광재료시트들(PC)이 원웨이로울러(36)로 만들어진 경로를 따라 이송된다.

Claims (3)

  1. 인화장치 및 현상장치를 갖는 필름인화/ 현상장치에 감광재료시트들을 정렬하는 장치에 있어서, 필름인화/ 현상장치의 출구근처에 감광재료시트를 이송하기 위해 복수의 원웨이로울러쌍들과 복수의 고속로울러들로 이루어지는 반송수단; 그리고 간헐적으로 구동되도록 감광재료시트가 배출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출구의 외부에 제공된 콘베이어로 이루어지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로울러들의 각각은 구동로울러, 종동로울러 그리고 이 종동로울러 양측에 배열되고, 이 종동로울러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한쌍의 로울러로 이루어져 감광재료시트들을 호형상으로 이송하도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감광재료시트의 크기에 따라 상기 원웨이로울러로 아니면, 스토커로시트들을 선택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분류가이드가 상기 원웨이로울러의 상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40013355A 1993-06-15 1994-06-14 감광재료 정렬장치 KR01695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43422 1993-06-15
JP5143422A JP2812143B2 (ja) 1993-06-15 1993-06-15 感光材料整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401A KR950001401A (ko) 1995-01-03
KR0169519B1 true KR0169519B1 (ko) 1999-01-15

Family

ID=15338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3355A KR0169519B1 (ko) 1993-06-15 1994-06-14 감광재료 정렬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446520A (ko)
EP (1) EP0629915B1 (ko)
JP (1) JP2812143B2 (ko)
KR (1) KR0169519B1 (ko)
CN (1) CN1036031C (ko)
CA (1) CA2127162C (ko)
DE (1) DE6942061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22114A3 (en) * 1995-01-11 1996-09-25 Eastman Kodak Co Printer with support shoe and output media guide member
JP3412361B2 (ja) * 1995-01-30 2003-06-03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写真焼付現像処理装置
JPH08314022A (ja) * 1995-05-17 1996-11-29 Fuji Photo Film Co Ltd 感光材料の露光方法及び感光材料の露光装置
JP2765652B2 (ja) * 1995-10-25 1998-06-18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感光材料整列装置
JP3714447B2 (ja) * 1998-06-15 2005-11-09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感光材料排出装置
JP3862127B2 (ja) * 1998-12-17 2006-12-27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搬送処理手段およびこれを用いた写真処理装置
JP3536742B2 (ja) * 1999-10-05 2004-06-14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感光材料搬送装置
JP3700483B2 (ja) * 1999-08-05 2005-09-28 ノーリツ鋼機株式会社 写真焼付装置
KR100415150B1 (ko) * 2001-08-27 2004-01-16 학교법인 인하학원 미세조류의 대량배양을 위한 발광 터빈 장치가 설치된교반형 광생물 반응기
JP2004299871A (ja) * 2003-03-31 2004-10-28 Fuji Photo Film Co Ltd シート排出装置
JP4043410B2 (ja) * 2003-06-26 2008-02-06 東京応化工業株式会社 インライン式現像処理装置
CN101765501A (zh) * 2007-08-02 2010-06-30 诺日士钢机株式会社 喷墨打印机
JP2009083103A (ja) * 2007-09-27 2009-04-23 Noritsu Koki Co Ltd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5074A (en) * 1975-12-15 1977-07-1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Step and repeat camera having an improved film processor
US4200275A (en) * 1977-11-02 1980-04-29 Gruner & Jahr Ag & Co. Collating machine
JPS6023343B2 (ja) * 1976-12-06 1985-06-07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現像機の印画紙取出装置
JPS5810739A (ja) * 1981-07-13 1983-01-21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自動現像機における帯状写真フイルムの搬送方法
JPH0310510Y2 (ko) * 1985-04-27 1991-03-15
JPS6223255U (ko) * 1985-07-24 1987-02-12
EP0214096B1 (de) * 1985-08-19 1990-12-12 GRETAG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teilen von Einzelobjekten auf mehrere Transportbahnen
JP2581540B2 (ja) * 1986-05-23 1997-02-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紙葉類搬送システム
JPS6313952U (ko) * 1986-07-11 1988-01-29
DE3711584A1 (de) * 1987-04-06 1988-10-27 Will E C H Gmbh & Co Vorrichtung zum querabfoerdern von stapeln aus blattfoermigem material
ES2034366T3 (es) * 1987-07-21 1993-04-01 Gretag Aktiengesellschaft Dispositivo para la realizacion de copias fotograficas.
JPH0830912B2 (ja) * 1987-08-19 1996-03-2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4926211A (en) * 1987-10-12 1990-05-15 Fuji Photo Film Co., Ltd. Printing paper conveying apparatus f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JP2512969B2 (ja) * 1987-11-27 1996-07-0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2178190A (ja) * 1988-12-28 1990-07-1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942863B2 (ja) * 1988-12-28 1999-08-30 トッパン・フォームズ株式会社 スタッカ装置
JPH0442228A (ja) * 1990-06-08 1992-02-12 Konica Corp 印画紙整列装置
JP2838915B2 (ja) * 1991-02-12 1998-12-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用紙位置補正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12143B2 (ja) 1998-10-22
EP0629915B1 (en) 1999-09-15
EP0629915A2 (en) 1994-12-21
EP0629915A3 (en) 1995-05-24
CN1036031C (zh) 1997-10-01
US5446520A (en) 1995-08-29
DE69420618D1 (de) 1999-10-21
DE69420618T2 (de) 2000-03-09
KR950001401A (ko) 1995-01-03
CN1103723A (zh) 1995-06-14
JPH075671A (ja) 1995-01-10
CA2127162A1 (en) 1994-12-16
CA2127162C (en) 1998-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9519B1 (ko) 감광재료 정렬장치
JPH08314022A (ja) 感光材料の露光方法及び感光材料の露光装置
JP2765652B2 (ja) 感光材料整列装置
JP3170954B2 (ja) 感光材料の現像処理方法及び装置
US6179495B1 (en) Photosensitive material discharging apparatus
EP0854387B1 (en) Photo-processing apparatus
US5675836A (en) Method of processing recording media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ecording media
JPH0777744A (ja) 写真処理装置
JPH10260520A (ja) 搬送路切替機構
JP3700483B2 (ja) 写真焼付装置
JP2760252B2 (ja) リーダストッカおよびリーダストック装置
JPH1165078A (ja) 感光材料処理装置
EP0724188B1 (en) Photographic printing and developing apparatus
JP2817681B2 (ja) ソータ
JPH11352665A (ja) 現像処理装置
JP3208924B2 (ja) 写真処理装置
US6364548B1 (en) Transfer apparatus for transferring pre-processed sheet materials, and photographic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3267587A (ja) シート搬送装置
JPH1195330A (ja) 感光材料露光装置
JPH11133578A (ja) 写真フィルム処理装置
JPH10186622A (ja) 写真処理装置
JP2001083683A (ja) シート材仕分け装置
JPH08245037A (ja) 写真プリンタの振り分け装置
JPH1164981A (ja) 写真プリンタの振り分け装置
JP2004115248A (ja) シート整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6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2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406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0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0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2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