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69367B1 -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 - Google Patents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367B1
KR0169367B1 KR1019950046789A KR19950046789A KR0169367B1 KR 0169367 B1 KR0169367 B1 KR 0169367B1 KR 1019950046789 A KR1019950046789 A KR 1019950046789A KR 19950046789 A KR19950046789 A KR 19950046789A KR 0169367 B1 KR0169367 B1 KR 0169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input current
resistor
electronic ballast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6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377A (ko
Inventor
서용석
성환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50046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9367B1/ko
Publication of KR970058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3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9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and specially adapted for lamps with preheating electrodes, e.g. for fluorescent lamps
    • H05B41/298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출력이 저항을 거쳐 (-)단자로 궤환되며, (+)단자는 저항을 거쳐 접지되고, 외부의 입력전류 검출회로에서 출력되어, 저항을 거쳐 입력된 전류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오피 앰프와; 출력이 저항을 거쳐 (-)단자로 궤환되며, (-)단자로 상기한 오피 앰프의 출력을 저항을 거쳐 입력받고, (+)단자로 기준 전압을 입력받아, 두 입력의 오차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에러 앰프와; 상기한 에러 앰프의 출력을 저주파 통과 필터를 거쳐 입력받고, 특정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제어 발진기와; 상기한 오피 앰프의 출력이 음극 단자에 연결된 오프셋 전원의 양극 단자가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한 에러 앰프의 출력이 저항을 거쳐 (+)단자에 연결되며, 특정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와; 상기한 비교기의 출력을 입력받으며, 상기한 전압제어 발진기의 신호를 입력받아 특정 부하에 흐르는 전력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드라이브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입력전류(Iin)의 제어를 통해 형광등의 불밝기 조절기능을 하고, 초기 점등시 소프트-스타트기능, 무부하 보호기능 등을 간단한 제어회로로써 구현하여,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제조 원가를 대폭적으로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전류 제어회로를 사용한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2도는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공진형 컨버터 전력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교류/직류 정류회로 200 : 공진형 컨버터 전력회로
300 : 입력전류 제어회로 400 : 형광등 부하
320 : 오피 앰프 330 : 에러 앰프
340 : 전압제어 발진기 350 : 비교기
360 : 게이트 드라이브 회로 500 : 입력전류 검출회로
이 발명은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공진형 컨버터를 이용한 전자식 안정기의 입력전류를 검출하여 부하 소비 전력을 제어하는,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로는 1) 형광 램프 구동에 적합한 영전압 스위칭 방식의 공진형 컨버터에 관한 연구(1991년, P1∼P59, KAIST)와 2) Zero-Voltage-Switched Resonant Half-Bridge High-Voltage DC/DC Converter(1988년, P332∼P343, HFPC, ATT Bell Lab)가 있다.
종래의 자려식 전자식 안정기에서는 입력 전압, 부하 임피던스, 주변 소자 값들이 변할 경우, 형광등에 전달되는 전력이, 상기한 값에 따라 변화하여 불빛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120Hz 전원 리플(Ripple)에 대한 광 리플은 자려식 전자식 안정기에서는 피할 수 없는 문제점이기도 하다. 또, 형광등 수명 말기의 관(형광등 Lamp) 특성 변화에 따른 형광등 소비 전력 변화는 일정한 불밝기 유지 측면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 효율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이다.
그리고, 종래의 일부 타려식 전자식 안정기에서는 입력전압과 입력전류의 곱인 입력 전력을 집적 제어하며, 자려식 전자식 안정기의 불밝기 변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나, 제어 시스템이 복잡해지므로 해서 전체 시스템의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공진형 컨버터를 이용한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전류를 제어하여, 형광등에 전달되는 전력(형광등의 불밝기)을 원하는 양으로 조절하기 위한,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이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입력전류의 제어를 통해 형광등 초기점등 시의 소프트-스타트(Soft-start) 및 무부하시의 시스템 보호 기능을 별도 제어 시스템의 추가없이 입력전류 제어회로 블럭내에서 간단하게 구현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 발명의 구성은, 출력이 저항을 거쳐 (-)단자로 궤환(Feedback)되며, (+)단자는 저항을 거쳐 접지되고, 외부의 입력전류 검출회로에서 출력되어, 저항을 거쳐 입력된 전류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오피 앰프(OP AMP)와; 출력이 저항을 거쳐 (-)단자로 궤환되며, (-)단자로 상기한 오피 앰프의 출력을 저항을 거쳐 입력받고, (+)단자로 기준 전압을 입력받아, 두 입력의 오차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에러 앰프(Error AMP)와; 상기한 에러 앰프의 출력을 저주파 통과 필터를 거쳐 입력받고, 특정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제어 발진기(VCO;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와; 상기한 오피 앰프의 출력이 음극 단자에 연결된 오프셋 전원의 양극 단자가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한 에러 앰프의 출력이 저항을 거쳐 (+)단자에 연결되며, 특정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와; 상기한 비교기의 출력을 입력받으며, 상기한 전압제어 발진기의 신호를 입력받아 특정 부하에 흐르는 전력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드라이브(Gate Drive)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여,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3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300)는, 출력이 저항(R24)을 거쳐 (-)단자로 궤환되며, (+)단자는 저항(R23)을 거쳐 접지되고, 외부의 입력전류 검출회로(500)에서 출력되어, 저항(R21,R22)을 거쳐 두 단자(-,+)로 각각 입력된 전류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오피 앰프(320)와; 출력이 저항(R32)을 거쳐 (-)단자로 궤환되며, (-)단자로 상기한 오피 앰프(320)의 출력을 저항(R31)을 거쳐 입력받고, (+)단자로 기준 전압(VREF)을 입력받아, 두 입력의 오차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에러 앰프(330)와; 상기한 에러 앰프(330)의 출력을 저주파 통과 필터(R41,C41)를 거쳐 입력받고, 전압에 반비례하는 주파수의 톱니파를 출력하는 전압제어 발진기(340)와; 상기한 오피 앰프(320)의 출력이 음극 단자에 연결된 오프셋 전원(VOFFSET)의 양극 단자가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한 에러 앰프(330)의 출력이 저항(R41)을 거쳐 (+)단자에 연결되며, 셧-다운(Shut-Down)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350)와; 상기한 비교기(350)의 출력을 입력받으며, 상기한 전압제어 발진기(340)의 신호를 입력받아 형광등 부하에 흐르는 전력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구형파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드라이브 회로(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한 저주파 통과 필터(R41,C41)는, 한쪽단이 상기한 에러 앰프(33)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단이 상기한 전압제어 발진기(340)에 연결된 저항(R41)과; (+)단이 상기한 저항(R41)과 상기한 비교기(350)의 (+)단자와 상기한 전압제어 발진기(340)의 접점에 연결되고, (-)단이 접지된 커패시터(C41)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한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300)는, 상기한 전압제어 발진기(340)의 전단에, 캐소드(cathode)가 상기한 전압제어 발진기(340)에 연결되고, 애노드(anode)가 접지된 제너 다이오드(ZD)를 더 포함한다.
한편,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전류 제어회로를 사용한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전류 제어회로를 사용한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은, 교류전원에서 입력된 교류를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교류/직류 정류회로(100)와; 상기한 교류/직류 정류회로(100)에서 입력된 직류전압을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공진형 컨버터 전력회로(200)와; 상기한 교류/직류 정류회로(100)와 상기한 공진형 컨버터 전력회로(200)사이에 연결되어 입력전류(Iin)를 검출하는 입력전류 검출회로(500)와; 상기한 입력전류 검출회로(500)에서 입력전류(Iin)를 입력받아, 상기한 공진형 컨버터 전력회로(200) 내의 스위칭 주파수를 제어하는 구형파를 출력하는 입력전류 제어회로(300)와; 상기한 입력전류 제어회로(300)의 제어신호 출력을, 상기한 공진형 컨버터 전력회로(200)를 통해서 입력받아, 전력(형광등 불밝기)이 조절되는 형광등 부하(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전류 제어회로를 사용한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블럭도이고,
제2도는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공진형 컨버터 전력회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원이 인가되어 회로의 동작이 시작되면, 교류 전원은 교류/직류 정류회로(100)를 거치면서 직류전압으로 변환된다. 공진형 컨버터 전력 회로(200)는 직류전압을 교류 전압으로 변환시켜 형광등 부하(400)에 공급해준다. 형광등 부하(400)에 전달되는 전력 양은 공진형 컨버터 전력 회로(200) 내의 스위치의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조절된다. 입력전류 제어회로(300)는 공진형 컨버터 전력 회로(200)로 입력되는 입력 전류(Iin)를 입력전류 검출회로(500)를 통해서 감지하여 스위칭 주파수를 적절하게 바꾸어 준다.
또, 제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공진형 컨버터 전력회로(200)는 두 개의 스위치(T1,T2; NMOS Transistor)로 이루어진 하프-브리지(Half-Bridge)로 되어 있다. 두 개의 스위치(T1,T2)가 같은 주기로 번갈아 스위칭하면서 코일(CL)과 3개의 커패시터(C3,C4,C5)가 서로 공진한다.
공진 전류(IL)는 형광등 부하(400)에 흐르게 되는데, 스위칭 주파수에 따라 형광등 부하(400)에 흐르는 공진 전류(IL)의 양이 조절되어 형광등 부하(400)에 공급되는 전력 양이 바뀌게 된다. 두 다이오드(D1,D2)는 영전압 스위칭 조건(스위치의 발열방지, 수명연장, 노이즈방지)을 만들어 주는 역할을 하며, 두 커패시터(C1,C2)는 스위치 턴 오프(Turn Off)시에 스위치 손실을 저감시키는 스너버 커패시터이다. 제3커패시터(C3)는 무부하시 형광등 방전 개시 전압 이상의 높은 전압을 유기시켜 형광등을 초기 점등시키는 역할과 아울러 점등 동작 중에는 부하에 흐르는 순환 전류의 통로 역할도 한다. 두 다이오드(D3,D4)는 스위치 턴 오프 시간을 짧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두 저항(R1,R2)은 스위치 턴 온(Turn On) 시간을 적절히 조정해 주어 두 스위치(T1,T2)가 동시에 꺼지는 데드 타임(Dead Time)을 확보해 준다.
그리고, 제3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공진형 컨버터 전력 회로(200)의 입력전류(Iin)는 입력전류 검출회로(500)에 의해 검출된다. 이 전류 신호는 크기가 작기 때문에 오피 앰프(320)에 의해 증폭된다. 증폭된 전류 신호는 입력전류의 양을 갖는 전압신호가 되는데, 에러 앰프(330)에 의해 기준 전압(VREF)과의 오차가 증폭된다. 결국 에러 앰프(330)의 출력 전압은 공진형 컨버터 전력 회로(200)의 입력전류(Iin)의 양과 기준 전류값인 기준 전압(VREF)과의 오차가 증폭된 신호로 나타난다. RC 회로(R41,C41)는 저주파 통과 필터를 구성하며, 스위칭 주파수 대역과 120Hz 전원 리플(Ripple) 신호를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다. 에러 앰프(330)의 출력 전압은 전압제어 발진기(340)를 거치면서 전압에 반비례하는 주파수의 톱니파로 변환된다. 즉, 오차값이 크면 낮은 주파수 값의 톱니파가 되고, 오차값이 작으면 높은 주파수 값의 톱니파가 된다. 전압제어 발진기(340)의 전압/주파수 반비례 특성은 공진형 컨버터 전력 회로(200)의 주파수 대 전력 특성에 기인한다. 스위칭 주파수는 공진형 컨버터 전력 회로(200)의 공진 주파수 보다 큰 영역에서 변화되는데, 형광등 부하(400)에 공급되는 전력은 주파수에 반비례하게 된다. 전압제어 발진기(340)의 출력인 톱니파 파형은 적절한 게이트 로직을 거쳐 게이트 드라이브 회로(360)에서 구형파로 바뀌게 되면서 공진형 컨버터 전력 회로(200)의 두 스위치(T1,T2)의 게이트 단자에 입력된다. 비교기(350)는 무부하 시에 게이트 드라이브 회로(360)의 출력을 셧-다운(Shut-down)시켜 전자식 안정기 시스템을 보호해 주는 기능을 한다. 즉, 입력전류 검출회로(500)에서 입력전류(Iin)를 검출했을 때, 무부하시에는 입력전류(Iin)가 거의 흐르지 않기 때문에 오피 앰프(320)의 출력 전압은 낮아지고, 따라서 에러 앰프(330)의 출력 전압이 높아진다. 이 때 비교기(350)의 출력이 하이(High)가 되면서 셧-다운이 된다. 오프셋 전원(VOFFSET)의 오프셋 전압은 정상 동작 초기시의 셧-다운을 방지해 준다. 베너 다이오드(ZD)는 에러 앰프(330)의 출력 전압을 제한하면서 최소 스위칭 주파수를 결정해 준다. 최소 스위칭 주파수로 인해 형광등 부하(400)에 전달되는 최대 전력은 제한이 되어, 비정상적인 동작시의 전력 상승을 방지해 준다.
이상에서 각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 작용을 종합적으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진형 컨버터 전력 회로(200)의 입력 전류(Iin)는 입력전류 제어회로(300)에 의해 검출되고, 에러 앰프(330)의 기준 전압(VREF)과의 오차만큼 주파수가 변하면서 스위칭 주파수가 바뀌게 된다. 피드백 루프의 동작에 의해 입력전류(Iin)는 기준 전압(VREF)에 대응하는 기준 전류값으로 계속 쫓아 가면서 스위칭 주파수가 바뀌게 된다. 즉, 입력전류(Iin)는 입력전류 제어회로(300)에 의해 일정한 값으로 제어된다. 형광등 부하(400)에 전달되는 전력을 조절하여, 형광등의 불밝기를 바꾸고 싶을 때는 에러 앰프(330)의 기준 전압(VREF)을 조정해 주면 그 값으로 입력전류(Iin)가 따라 가기 때문에 자동적으로 불밝기가 조절(dimming)된다.
한편, 초기 형광등 점등 시에, 전압제어 발진기(340)의 입력전압이 저주파 통과 필터(R41,C41)의 시정수에 의해 영 전압부터 정상 전압까지 상승하는데, 이 때 전압제어 발진기(340)의 출력 주파수는 반대로 아주 높은 주파수에서부터 정상 주파수까지 감소하게 된다. 결국 형광등 양단의 필라멘트에 적절한 열을 가해주는 결과가 되어 방전 개시 전압이 낮아지면서 소프트-스타트가 이루어진다.
또, 무부하 시에는 입력전류(Iin)가 작아지는 성질을 이용하여 비교기(350)를 통해 게이트 드라이브 회로(360)의 출력을 셧-다운 시켜준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입력전류(Iin)의 제어를 통해 형광등의 불밝기 조절기능을 하고, 초기 점등시 소프트-스타트기능, 무부하 보호기능 등을 간단한 제어회로로써 구현하여,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제조 원가를 대폭적으로 낮출 수 있는 효과를 가진,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이러한 효과는 모든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출력이 저항을 거쳐 (-)단자로 궤환되며, (+)단자는 저항을 거쳐 접지되고, 외부의 입력전류 검출회로에서 출력되어, 저항을 거쳐 입력된 전류신호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오피 앰프와; 출력이 저항을 거쳐 (-)단자로 궤환되며, (-)단자로 상기한 오피 앰프의 출력을 저항을 거쳐 입력받고, (+)단자로 기준 전압을 입력받아, 두 입력의 오차를 증폭하여 출력하는 에러 앰프와; 상기한 에러 앰프의 출력을 저주파 통과 필터를 거쳐 입력받고, 특정 신호를 출력하는 전압제어 발진기와; 상기한 오피 앰프의 출력이 음극 단자에 연결된 오프셋 전원의 양극 단자가 (-)단자에 연결되고, 상기한 에러 앰프의 출력이 저항을 거쳐 (+)단자에 연결되며, 특정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와; 상기한 비교기의 출력을 입력받으며, 상기한 전압제어 발진기의 신호를 입력받아 특정 부하에 흐르는 전력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드라이브 회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저주파 통과 필터(R41,C41)는, 한쪽단이 상기한 에러 앰프(330)에 연결되고, 다른 한쪽단이 상기한 전압 제어 발진기(340)에 연결된 저항(R41)과; (+)단이 상기한 저항(R41)과 상기한 비교기(350)의 (+)단자와 상기한 전압제어 발진기(340)의 접점에 연결되고, (-)단이 접지된 커패시터(C4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저주파 통과 필터(R41,C41)는, 스위칭 주파수 대역과 120Hz 전원 리플 신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압제어 발진기(340)의 전단에, 캐소드가 상기한 전압제어 발진기(340)에 연결되고, 애노드가 접지된 제너 다이오드(ZD)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너 다이오드(ZD)는, 상기한 에러 앰프(330)의 출력 전압을 제한하면서 최소 스위칭 주파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특정 부하가 형광등 부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전압제어 발진기(340)가 출력하는 특정 신호가 전압에 반비례하는 주파수의 톱니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비교기(350)가 출력하는 특정 신호가 무부하시에 상기한 게이트 드라이브 회로(360)의 출력을 셧-다운시켜 시스템을 보호해 주는 셧-다운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
  9.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게이트 드라이브 회로(360)가 출력하는 신호가 형광등 부하에 흐르는 전력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구형파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
  10.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에러 앰프(330)의 기준 전압(VREF)을 조정해 주면, 형광등 부하에 흐르는 전력 양을 조절(dimming)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
  11.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초기 형광등 점등시에, 상기한 전압제어 발진기(340)의 입력전압이 상기한 저주파 통과 필터(R41,C41)의 시정수에 의해 영 전압부터 정상 전압까지 상승하고, 이 때 상기한 전압제어 발진기(340)의 출력 주파수는 반대로 아주 높은 주파수에서부터 정상 주파수까지 감소하게 되어, 형광등 부하의 방전 개시 전압이 낮아지면서 소프트-스타트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오프셋 전원(VOFFSET)의 오프셋 전압은 시스템의 정상 동작 초기시에 셧-다운을 방지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
KR1019950046789A 1995-12-05 1995-12-05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 KR0169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6789A KR0169367B1 (ko) 1995-12-05 1995-12-05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6789A KR0169367B1 (ko) 1995-12-05 1995-12-05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377A KR970058377A (ko) 1997-07-31
KR0169367B1 true KR0169367B1 (ko) 1999-04-15

Family

ID=19437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6789A KR0169367B1 (ko) 1995-12-05 1995-12-05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93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760B1 (ko) * 1998-12-11 2006-10-04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 전류 제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3760B1 (ko) * 1998-12-11 2006-10-04 페어차일드코리아반도체 주식회사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 전류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377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8617A (en) Magnetic feedback ballast circuit for fluorescent lamp
US5821699A (en) Ballast circuit for fluorescent lamps
CA1227527A (en) Dimmable electronic gas discharge lamp ballast
KR970011552B1 (ko) 자동 고온정지 회로를 지닌 조광 가능한 고역률, 고효율 전자안정기 제어기의 집적회로
US6724152B2 (en) Lighting control system with variable arc control including start-up circuit for providing a bias voltage supply
US5866993A (en) Three-way dimming ballast circuit with passive power factor correction
US5831395A (en) Three-way fluorescent adapter
US5457360A (en) Dimming circuit for powering gas discharge lamps
JPH11501454A (ja) 広い入力電圧範囲および広い調光範囲を持つ調光可能な電子式蛍光ランプ安定器の制御および保護
US5892335A (en) Gas discharge lamp with active crest factor correction
US4970437A (en) Chopper for conventional ballast system
US7279853B2 (en) Fluorescent lamp dimmer control
KR0169367B1 (ko)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
JPH09102398A (ja) ガス放電灯用電子式バラスト
KR100283312B1 (ko) 형광등 자동 점멸장치
US5353214A (en) Neon circuit including a protective structure
KR200228628Y1 (ko) 개별디밍 전자식 안정기
KR0169368B1 (ko) 입력전류를 이용하여 무부하 보호기능을 갖는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
US20040183468A1 (en) Variable frequency half bridge driver
US6911788B2 (en) Electronic ballast of high power factor for compact fluorescent lamp
KR200177634Y1 (ko) 형광등용 전자식 안정기
KR0107670Y1 (ko)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
JP4140219B2 (ja) 放電灯点灯装置
KR200273686Y1 (ko)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
KR200305047Y1 (ko) 소형형광램프용 고역율 전자식 안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2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0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0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9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9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9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9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8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918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7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1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