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07670Y1 -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 - Google Patents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07670Y1
KR0107670Y1 KR2019970007686U KR19970007686U KR0107670Y1 KR 0107670 Y1 KR0107670 Y1 KR 0107670Y1 KR 2019970007686 U KR2019970007686 U KR 2019970007686U KR 19970007686 U KR19970007686 U KR 19970007686U KR 0107670 Y1 KR0107670 Y1 KR 01076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urrent
high frequency
unit
fluoresc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6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상오
Original Assignee
엄상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30026366A external-priority patent/KR950023229A/ko
Application filed by 엄상오 filed Critical 엄상오
Priority to KR20199700076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076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076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07670Y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소정 볼트의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화하는 직류전류 변환부(10)와, 상기 전류를 입력받아 이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조정부(20)와, 상기 교류전압을 필터링하여 고주파전류를 발생하기 위한 고주파전류발생부(40)와, 상기 고주파전류를 교류전압으로 변화하여 조도를 일정하게 유지토록 하기 위한 일정조도 유지부(50) 및 형광램프(LAMP1, LAMP2) 사이에 연결되어 와트를 조정하기 위한 와트 조정부(60)를 구비한 통상의 형광등 안정기에 있어서; 상기의 전압 조정부(20)에서 조정된 전압이 소정의 레벨을 초과하는가를 검지하기 위한 제너다이오드(ZD)와 콘덴서(C6) 및 저항(R1,R2)으로 된 오버전류감지부(30)를 상기 전압 조정부(20)와 고주파전류발생부(40) 사이에 연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

Description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
본 고안은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이 발생하지 않고 입력전원의 변동 및 사용 기간에 무관하게 조도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 형광램프의 깜박임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의 조명을 위한 형광등은 교류전압을 직류로 변환하고 이를 스위칭하여 형광램프를 점등토록 되어있는바, 이의 일 예로서는 대한민국 특허 공개 제89-7616호(발명의 명칭:형광등 점등회로)에 개시된 것이 있다.
상기의 형광등 점등회로는 직류회로와 스위칭회로와 타이머회로 및 형광등회로로 구성되는바, 타이머회로는 릴레이를 트랜지스터에 의해 구동하여 형광등의 필라멘트의 예열에 의하여 순간 점등이 가능토록 하고, 예열 후에는 타이머에 의하여 자동으로 차단되도록 하여 전력의 소모가 감소되도록 하고, 형광등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특허는 형광등의 순간점 등을 위한 타이머회로에 관한 것에 불과하며, 형광등 안정기 자체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예방 할 수는 없었다.
일반적으로 형광등 안정기는 자체에서 상당히 열이 발생되고,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형광램프의 조도(Lux)가 낮아지게 되는바, 이러한 원인중 한가지는 형광램프를 형광등으로부터 제거하더라도 누설전류가 계속 흐르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형광램프의 수명이 단축되며, 또한 불필요한 전력이 안정기 자체에서 소모된다.
따라서, 종래의 형광등 안정기는 입력전류가 변화할 경우 형광램프에 공급되는 전류가 변화하여 형광램프의 수명 단축은 물론 형광램프의 양측에 흑화현상(黑化現象)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형광램프에 공급되는 전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되 형광램프를 제거할 경우에는 누설 전류가 전혀 없어 안정기 자체에서 열이 발생하지 않고, 시간이 경과되거나 입력전압이 어느 정도 변화하더라도 조도가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형광램프의 깜박임 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의 회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의 결선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직류전류 변환부 20:전압 조정부
30:오버전류감지부 40:고주파전류 발생부
50:일정조도 유지부 60:와트 조정부
LAMP1,LAMP2:형광램프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는 도1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소정 볼트의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는 직류전류 변환부(10)와, 상기 전류를 입력받아 이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조정부(20)를 구비한 통상의 형광등 안정기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정부(20)에서 조정된 전압이 소정의 레벨을 초과하는가를 검지하기 위한 오버전류감지부(30)와; 상기의 교류전압을 필터링하여 고주파전류를 발생하기 위한 고주파전류 발생부(40)와; 상기 고주파전류를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조도를 일정하게 유지토록 하기 위한 유지부(50); 및 상기의 일정조도 유지부(50)와 형광램프(LAMP1,LAMP2) 사이에 연결되어 와트를 조정하기 위한 와트 조정부(60)로 구성하여서 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도1에서 직류전류 변환부(10)는 전압 서어저(Z1)와 250V, 5A의 휴즈, 콘덴서(CR1) 및 브릿지 다이오드(D14)로 구성되어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게 된다. 즉, 입력전류가 입력되면 전압 서어저(Z1)에서 오버전류를 체크하여 라인트랜스포머(L1)를 통하여 브리지 다이오드(D14)에서 교류전류를 직류전류로 변환시켜 전압 조정부(20)로 인가하게 된다.
전압 조정부(20)에서는 다이오드(D5,D6,D7)와 콘덴서(C2-C5)로 하여금 전압을 자유롭게 조정하게 된다. 여기에서 콘덴서(C2)는 발생되는 고조파 성분을 제거하여 역으로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라인트랜스포머(L2)는 종래의 역할을 하며 후단에 전류가 원활하게 흐르도록 한다.
라인트랜스포머(L2)를 통과한 전류는 오버전류감지부(30)에 인가되는바, 저항(R1)과 저항(R2)사이에 제너 다이오드(ZD)를 사용하여 오버전류를 흐르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일정한 전류만이 고주파전류 발생부(40)로 공급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제너 다이오드(ZD)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성분은 콘덴서(C6)에서 제거된다.
고주파전류발생부(40)의 커플링 콘덴서(C31)를 통과한 교류전류는 다이악(DIAC)과 저항(R3)을 경유하여 콘덴서(C41)에서 라인필터트랜스포머(LF)에 인가되고 그의 2번으로 흐르게 된다. 다이악(DIAC)과 저항(R3)사이에는 트랜지스터(TR1)의 베이스가 연결되고, 트랜지스터(TR1)의 턴온 시에 입력된 전류는 그의 에미터로 출력되고, 여기에서 다이오드(D7)는 역 전류를 방지하게된다.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는 라인필터트랜스포머(LF)의 5번에 연결된다. 그리고 4번 코일을 통해 콘덴서(C51)를 통과하여 저항(R4,R5)과 다이오드(D8)를 연결하고 다이오드(D8)는 트랜지스터(TR1)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TR2)의 에미터 사이에 연결함으로써 여기에서 발생하는 고주파전류를 형광램프(LAMP1,LAMP2)에 공급되도록 한다.
일정조도 유지부(50)는 고속다이오드(D9-D12)를 병렬로 연결하여 마이너스(-)는 마이너스전류로 연결하고 마이너스전류에서 트랜지스터(TR1)의 에미터와 다이오드(D7)사이에 연결하여 줌으로써 여기에서 발생하는 고주파전류는 교류로 변환되어 형광램프(LAMP1,LAMP2)에 흐르게 된다. 여기에서 콘덴서(C61,C7,C8,C9)는 고속다이오드(D9-D12)에 연결함으로써 콘덴서의 용량에 따라 조도를 변환시키게되는 것이다.
라인필터 트랜스포머(LF)의 1번에는 출력트랜스포머(L3,L4)을 연결하고 각각의 출력 트랜스포머(L3,L4)에는 형광램프(LAMP1,LAMP2)를 연결하며 이 형광램프(LAMP1,LAMP2)의 양단에는 전류 또는 전력량(Watt)의 소모를 결정하는 콘덴서(C10,C11)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직류전류 변환부(10)에서 소정 볼트의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전압 조정부(20)에 인가하면 전압 조정부(20)에서는 이를 적절히 조정하여 일정조도 유지부(50)에 공급하는데, 이러한 공급 시에 전압 조정부(20)에서 조정된 전압이 소정의 레벨을 초과하는가를 오버전류감지부(30)의 제너 다이오드(ZD)에서 감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고주파전류 발생부(40)는 교류전압을 필터링 하여 고주파전류를 발생하여 트랜지스터(TR1,TR2)를 작동시키고 다이악(DIAC)을 통과한 전압은 라인필터 트랜스포머(LF)를 작동시키고, 그에 따라 출력트랜스포머(L3,L4)를 경유하여 형광램프(LAMP1,LAMP2)를 점등시키게 된다.
일정조도 유지부(50)는 고속 스위칭 다이오드(D9-D12)를 사용하여 고주파전류를 교류를 변환함으로써 형광램프(LAMP1,LAMP2)에 제공하게됨으로써, 입력전압이 변동되더라도 전압 조정부(20)가 일정한 전압을 유지토록 하고, 또한 형광램프(LAMP1,LAMP2)를 제거할 경우에는 전류가 차단됨으로써 안정기 자체에서 열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이점이 있고, 또한 콘덴서(C61,C7,C8,C9)에 의해 항상 일정한 조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형광램프에 공급되는 전압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흑화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에 의하면, 형광램프에 공급되는 전류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되 형광램프를 제거할 경우에는 누설 전류가 전혀 없어 안정기 자체에서 열이 발생하지 않고, 시간이 경과되거나 입력전압이 어느 정도 변화하더라도 조도가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형광램프의 깜박임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소정 볼트의 교류전압을 직류전압으로 변화하는 직류전류 변환부(10)와, 상기 전류를 입력받아 이를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조정부(20)와, 상기 교류전압을 필터링하여 고주파전류를 발생하기 위한 고주파전류발생부(40)와, 상기 고주파전류를 교류전압으로 변환하여 조도를 일정하게 유지토록 하기 위한 일정조도 유지부(50) 및 형광램프(LAMP1,MAMP2) 사이에 연결되어 와트를 조정하기 위한 와트 조정부(60)를 구비한 통상의 형광등 안정기에 있어서; 상기 전압 조정부(20)에서 조정된 전압이 소정의 레벨을 초과하는가를 검지하기 위한 제너다이오드(ZD)와 콘덴서(C6) 및 저항(R1,R2)으로 된 오버전류감지부(30)를 상기 전압 조정부(20)와 고주파저류발생부(40) 사이에 연결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
KR2019970007686U 1993-12-03 1997-04-14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 Expired - Fee Related KR01076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686U KR0107670Y1 (ko) 1993-12-03 1997-04-14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6366A KR950023229A (ko) 1993-12-03 1993-12-03 전자식 형광등 안전기(ballast)
KR2019970007686U KR0107670Y1 (ko) 1993-12-03 1997-04-14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6366A Division KR950023229A (ko) 1993-12-03 1993-12-03 전자식 형광등 안전기(balla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07670Y1 true KR0107670Y1 (ko) 1998-08-01

Family

ID=26630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686U Expired - Fee Related KR0107670Y1 (ko) 1993-12-03 1997-04-14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076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842A (ko) * 2002-01-21 2003-07-28 엄상오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842A (ko) * 2002-01-21 2003-07-28 엄상오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27527A (en) Dimmable electronic gas discharge lamp ballast
US5866993A (en) Three-way dimming ballast circuit with passive power factor correction
US5994847A (en) Electronic ballast with lamp current valley-fill power factor correction
EP1168893B1 (en) Ballast for discharge lamp
CA2271446C (en) Circuit arrangement for operating electrical lamps
KR20120124756A (ko) 엘이디 램프
US7279853B2 (en) Fluorescent lamp dimmer control
KR0107670Y1 (ko)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
KR200273686Y1 (ko)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
KR100283312B1 (ko) 형광등 자동 점멸장치
KR200219334Y1 (ko) 형광램프의 예열 및 점등 제어장치
JPH11307291A (ja) 放電灯点灯装置
KR20030062842A (ko) 전자식 형광등 안정기
US5426348A (en) High efficiency ballast for operation of electronic lamps
KR900009197Y1 (ko) 전자식 안정기 회로
KR0169367B1 (ko) 전자식 안정기 제어 시스템의 입력전류 제어회로
JPH10340791A (ja) 放電灯点灯装置
KR970000100Y1 (ko) 방전등용 전자식 안정기 회로
JP2658042B2 (ja) 放電灯点灯装置
JP3304164B2 (ja) 放電灯点灯装置
JP4140219B2 (ja) 放電灯点灯装置
JPH11307290A (ja) 放電灯点灯装置
KR200271095Y1 (ko) 소형 램프용 발라스터 소켓
KR200177634Y1 (ko) 형광등용 전자식 안정기
KR910007922Y1 (ko) 형광등 점등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UA0105 Converted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9-cnv-UA0105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21-cnv-UA0105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UA02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UE0701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UR0701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UR100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UG16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5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6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2

Year of fee payment: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Fee payment year number: 7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UR100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UC1903 Unpaid annual fee

Not in force date: 2005080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UC1903

UC1903 Unpaid annual fee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50801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UC1903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