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68847B1 - 자계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회로 - Google Patents

자계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847B1
KR0168847B1 KR1019900702379A KR900702379A KR0168847B1 KR 0168847 B1 KR0168847 B1 KR 0168847B1 KR 1019900702379 A KR1019900702379 A KR 1019900702379A KR 900702379 A KR900702379 A KR 900702379A KR 0168847 B1 KR0168847 B1 KR 0168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lable
input
switch
circui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702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0450A (ko
Inventor
프리드헬름 쮸커
Original Assignee
롤프-디이터 베르거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롤프-디이터 베르거,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롤프-디이터 베르거
Publication of KR9207004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04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8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51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 H03K17/56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 H03K17/6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nents used by the use, as active elements, of semiconductor devices the devices being bipolar transistors
    • H03K17/66Switching arrangements for passing the current in either direction at will; Switching arrangements for reversing the current at will
    • H03K17/661Switching arrangements for passing the current in either direction at will; Switching arrangements for reversing the current at will connected to both load terminals
    • H03K17/662Switching arrangements for passing the current in either direction at will; Switching arrangements for reversing the current at will connected to both load terminals each output circuit comprising more than one controlled bipolar transist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02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operation to be executed
    • G11B11/10504Recording
    • G11B11/10508Recording by modulating only the magnetic field at the transduc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1/0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11/10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 G11B11/105Recording on or reproducing from the same record carrier wherein for these two operations the methods are covered by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G11B3/00 - G11B7/00 or by different subgroups of group G11B9/00; Record carriers therefor using recording by magnetic means or other means for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e.g. light induced spin magnetisation; Demagnetisation by thermal or stress means in the presence or not of an orienting magnetic field using a beam of light or a magnetic field for recording by change of magnetisation and a beam of light for reproducing, i.e. magneto-optical, e.g. light-induced thermomagnetic recording, spin magnetisation recording, Kerr or Faraday effect reproducing
    • G11B11/1059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Abstract

자기 광학 기록기 및 재생기는 데이터의 기록을 위해 자기 광학디스크의 자기 광학층의 자화방향을 바꿀 수 있는 전자석으로 구성된다. 빠르고 확실한 자계방향의 전환을 보장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다이오드(D1, D2)로 구성된 직렬회로, 제3 및 제4 다이오드(D3, D4)로 구성된 직렬회로 그리고 정전압원(U)이 병렬로 접속된다. 제1 및 제2 다이오드(D1, D2)의 공통 접속점(A)은 코일(L)을 통해 제3 및 제4 다이오드(D3, D4)의 공통 접속점(B)에 접속된다. 제2 다이오드(D2)는 제어 가능한 제1 스위치(S1)에 의해 그리고 제4 다이오드(D4)는 제어 가능한 제2 스위치(S3)에 의해 브리지 연결된다. 전류센서(SF)의 한 입력은 제어 가능한 제3 스위치(S3)에 의해 코일(L)의 한 접속점(A)에 접속되고 그리고 제어 가능한 제4 스위치(S4)에 의해서 다른 접속점(B)에 접속된다. 전류센서(SF)의 다른 입력은 제1 및 제3 다이오드(D1, D3)의 공통 접속점에 접속된다. 전류센서(SF)의 출력은 제어회로(S)의 입력에 접속되고, 그 제어회로의 출력(A1, A2, A3, A4)은 제어 가능한 스위치(S1, S2, S3, S4)의 제어입력에 접속된다. 다이오드(D1, D2, D3, D4)는 정전암원(U)에 대해 비젼도 방향으로 극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도 자기 및 자기 광학 기록기에 적용된다.

Description

자계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회로
제1도 내지 제4도는 상이한 스위치상태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6도는 제어 가능한 스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전류 파형도, 전압 파형도 및 제어 가능한 스위치에 대한 제어신호를 시간에 대해 나타낸 도면.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고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서는 2개의 다이오드 D1 및 D2로 구성된 직렬회로, 2개의 다이오드 D3 및 D4로 구성된 직렬회로, 정전압원 U 및 커패시터 C1이 서로 병렬로 배치된다. 다이오드 D1 및 D2의 공통 접속점 A는 코일 L을 지나 다이오드 D3 및 D4의 공통 접속점 B와 접속된다. 다이오드 D2는 제어 가능한 스위치 S1에 의해 브리지 접속되며, 다이오드 D4는 제어 가능한 스위치 S2에 의해 브리지 접속된다. 다이오드 D1 및 D2, 제어 가능한 스위치 S1 및 코일 L의 공통 접속점 A를 제어 가능한 스위치 S3를 통해 전류센서 SF의 접점과 접속한다. 다이오드 D3 및 D4, 제어 가능한 스위치 S2 및 코일 L의 공통 접속점 B를 제어 가능한 스위치 S4를 통해 한편으로는 전류센서 SF의 한 접점과 마찬가지로 접속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의 다른 접점을 다이오드 D1 및 D3, 정전압원 U 및 커패시터 C1의 공통 접속점과 접속한다. 입력 E를 전류센서 SF의 출력과 접속시키는 제어회로 S의 출력 A1 내지 A4를 제어 가능한 스위치 S1 내지 S4의 제어입력들과 접속한다. 전류센서 SF는 예컨대 한계치 검전기로서 동작된다. 보다 개괄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제어회로 S는 제2도 내지 제4도에서 생략했다.
코일 L로부터 발생된 자계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하여 제어회로 S가 순서에 따라 제어 가능한 스위치 S1 내지 S4를 개폐시키는 것이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고로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제1도에서는 제어 가능한 스위치 S1 및 S4가 폐쇄되는 반면에 제어 가능한 스위치 S2 및 S3는 개방되어 있다. 그런 까닭에 정전압원 U의 양극에서 나온 전류 I는 전류센서 SF, 제어 가능한 스위치 S4, 코일 L 및 제어 가능한 스위치 S1을 통과하여 정전압원 U의 음극으로 흐른다. 급상승된 이 전류가 미리 주어진 한계치에 도달되는 순간, 전류센서 SF는 제어회로 S에 신호를 보내어 즉시 제어 가능한 스위치 S4가 개방되도록 동작한다. 그런 까닭에 접속점 B에서의 전압은 마침내 다이오드 D4가 도통될때까지 급강하 된다.
제2도에 도시된 이 스위치상태에서 전류 I는 코일 L, 제어 가능한 스위치 S1 및 다이오드 D4로 구성된 폐로에서 코일 L을 통하여 계속해서 같은 방향으로 흐른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자계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제어가능한 스위치 S2 및 S3을 폐쇄되고, 그에 반하여 제어 가능한 스위치 S1을 개방한다. 접속점 A에서의 전압은 빠르게 상승하므로, 현재 정전압원 U의 양극에서 나온 전류 I는 전류센서 SF, 제어 가능한 스위치 S3, 코일 L 및 제어 가능한 스위치 S2를 통하여 정전압원 U의 음극으로 흐른다. 전류 I가 미리 주어진 한계치에 도달되는 순간, 전류센서 SF는 제어회로 S에 신호를 보내어 제어 가능한 스위치 S3를 개방하게 한다. 접속점 A에서의 전압은 점프하듯이 급강하하기 때문에, 다이오드 D2가 도통되기 시작한다.
제4도에 도시된 이 스위치 상태에서 전류 I는 코일 L, 다이오드 D2 및 제어 가능한 스위치 S2로 구성된 폐로에서 코일 L을 통해 계속해서 같은 방향으로 흐른다.
자계의 방향을 다시 전환하기 위하여 제어 가능한 스위치 S2를 개방하고, 반대로 제어 가능한 스위치 S1 및 S4를 폐쇄한다. 다시 제1도에 도시된 스위치상태를 얻는다.
예컨대 자계의 방향을 주기적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고로하여 설명된 제어회로 S의 스위치 과정을 주기적으로 반복한다.
본 발명의 명확한 장점은 정전압원 U의 전압을 아주 높게 - 몇 백 볼트까지 - 선택할 수 있다는 데에 있다. 고전압 때문에 전류 및 그로인한 자계의 아주 빠른 전환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는 회로는 고전압에도 불구하고 단지 아주 적은 에너지를 소비하며, 그리고 전류 방향을 전환하면 코일 L은 전원 U 또는 병렬로 접속된 커패시터 C1에 자체적으로 축적된 에너지를 다시 제공한다.
제5도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전류센서에 다이오드 D5가 직렬로 접속된다는 점에서 제1도의 회로도와는 구별된다. 이 다이오드 D5는 전류가 전류센서 SF를 통하여 잘못된 방향으로 흐를 수 있는 것을 방지한다.
제6도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어 가능한 스위치 S1 내지 S4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의 실시예로 우선 서술되었으며 또한 덧붙여 제1도에 도시된 펄스도의 도움으로 상세히 설명된다.
이미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자기 광학 기록매체의 자기층의 역자화방향을 전환시키는데 매우 적합하다.
자기 광학 디스크상에 기록할 수 있는 디지털 데이터 신호 DS 및 클럭발생기 G로부터 클럭된 신호가 시프트 레지스터 SR의 데이터 입력에 전송한다. 지연되지 않은 데이터 신호가 인출될 수 있는 시프트 레지스터 SR의 제1출력 TO를 AND-게이트 U1의 제1입력과 접속하며 또한 제1인버터 I1을 통해 AND-게이트 U2의 제1입력과 접속한다. 클럭에 대해 지연된 데이터 신호가 인출된 수 있는 시프트 레지스터 SR의 제2출력 T1을 AND-게이트 U2의 제2입력과 접속하며 또한 인버터 I2를 통해 AND-게이트 U1의 제2입력과 접속한다. AND-게이트 U1의 출력을 인버터 I3의 입력과 접속하며 그리고 커패시터 C2를 통해 RS-플립플롭 F1의 세트입력과 접속한다. AND-게이트 U2의 출력을 인버터 I4의 입력과 접속하고 또한 커패시터 C3을 통해 RS-플립플롭 F2의 세트입력과 접속한다. 두 개의 RS-플립플롭 F1 및 F2의 세트 입력들은 저항 R1 내지 R2 및 다이오드 D6 내지 D7으로 구성된 각 병렬회로를 통해 기준전압에 접속된다. 전류센서 SF의 출력을 두 개의 RS-플립플롭 F1 및 F2의 리세트입력과 접속한다. 제어 가능한 스위치 S1에 대한 제어신호는 인버터 I3의 출력에서 인출하며, 제어 가능한 스위치 S2에 대한 제어신호는 인버터 I4의 출력에서 인출하고, 제어 가능한 스위치 S3에 대한 제어신호는 RS-플립플롭 F1의 Q-출력에서 인출될 수 있으며 그리고 끝으로 제어 가능한 스위치 S4에 대한 제어신호는 RS-플립플롭 F2의 Q-출력에서 인출될 수 있다.
저항 R1 및 커패시터 C2로 구성된 비교기는 AND-게이트 U1의 출력에서의 펄스를 축소하는 일을 한다. 마찬가지로 저항 R2 및 커패시터 C2로 구성된 비교기는 AND-게이트 U2의 출력에서의 펄스를 축소한다. 두 개의 AND-게이트 U1 및 U2의 출력에서의 신호가 하이(HIGH)에서 로우(LOW)로 변화되면, 다이오드 D6 및 D7들이 또한 하강 에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RS-플립플롭이 전류센서 SF로부터 리세트 펄스를 수신할 때, 두 개의 RS-플립플롭 F1 및 F2의 세트 입력들이 항상 LOW에 놓여지도록 하기위하여 두 AND-게이트의 출력에서 두 비교기로부터 펄스의 축소가 필요하다.
제7도에 도시된 펄스도는 시프트 레지스터 SR, 지연되지 않은 데이터 신호 DS 및 클럭에 대해 지연된 데이터 신호 TS에 대한 클럭 G를 나타낸다. 코일 L을 통하여 흐르는 전류 I의 방향은 데이터 신호 DS의 각 에지에서 전환되어야 한다. 지금 데이터 신호의 각각의 상승에지에서 AND-게이트 U1은 펄스를 주고, 인버터 I3으로부터 반전된 상기 펄스는 펄스의 지속시간을 위해 제어 가능한 스위치 S1을 개방시킨다. AND-게이트 출력에서 펄스로부터 동시에 RS-플립플롭을 세트하기 때문에, 제어 가능한 스위치 S3는 폐쇄된다. 그런데, 코일 L을 통과한 전류 I의 값이 미리 주어진 한계치에 도달하는 순간, 전류센서 SF의 RS-플립플롭이 리세트되고, 그럼으로써 제어 가능한 스위치 S3는 다시 개방된다.
데이터 신호 DS의 각각의 하강에지에서 AND-게이트 U2는 펄스를 주고, 인버터 I4로부터 반전된 상기 펄스는 펄스의 지속시간을 위해 제어 가능한 스위치 S2를 개방한다. AND-게이트 U2의 출력에서 RS-플립플롭은 펄스에 의해 세트되기 때문에, 제어 가능한 스위치 S4는 동시에 폐쇄된다. 전류 I의 값이 코일 L을 통하여 미리 주어진 한계치에 도달하면, 제어 가능한 스위치 S4를 다시 개방하기 위하여 전류센서 SF는 RS-플립플롭 F2를 리세트시킨다. 코일 L에서 강하된 전압 U은 데이터 신호 DS의 각각 상승에지에서 펄스와 같이 상승하고, 그에 반하여 하강에지에서 전압 U는 음극의 펄스와 같이 하강한다. 코일 L을 통한 전류 I는 데이터 신호 DS에 따라 값 및 방향을 변화시킨다. 데이터 신호 DS의 상승에지에서 전류 I가 상승하고, 그 전류는 코일 L을 통해 낮은 한계치로부터 높은 한계치로 급하게 흐르고, 한편 하강에지에서도 전류가 마찬가지로 높은 한계치로부터 낮은 한계치로 급강하 된다. 전류센서 SF를 통해 흐른 전류는 데이터 신호 DS에 따라 단지 자신의 값만 변화시키며, 그렇지만 자신의 방향을 그대로 유지한다. 데이터 신호 DS의 각 에지에서 전류는 신속하게 0의 값으로 하강하기 위하여 한계치 검출기인 전류센서 SF에서 선택된 한계치로 급상승 된다.
본 발명의 장점은 자기 광학 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이미 데이터가 기록된 자기 광학 레코드상에 새로운 데이터를 직접 중복할 수 있다는 데에 있다. 이에 반하여 이미 공지된 자기 광학 기록 및 재생장치에서는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하기 전에, 우선적으로 예전의 데이터를 지운다.
이 목적을 위하여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 해야하는 부분에서의 자기 광학층은 레이저에 의해 보상온도로 가열된다. 그럼으로써 이 부분은 한 방향으로 자화된다. 이 과정에 대해 전문용어로 설명한다면 레코드가 초기화 된다라고 표현한다. 최종적으로 코일에서 발생된 자계의 방향은 다시 전환되어진다.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하여 메모리되어 질 수 있는 비트에 따라 낮은 값 및 높은 값 사이에 레이저출력이 스위칭된다. 예컨대 이미 지워진 부분에 논리 0를 메모리한다면, 레이저는 보상온도에 도달되지 않기 위하여 낮은 출력으로 작용한다. 이에 반해 논리 1을 기록하기 위해서 레이저는 새롭게 기록할 수 있는 부분을 보상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이 부분의 자화방향이 코일에 의하여 전환될 수 없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적합한 새로운 데이터를 기록하기 전에, 자기 광학 레코드상에 있는 데이터를 먼저 지운다.
본 발명은 자기 광학장치를 위해서 뿐만 아니라, 다른 자기 기록장치를 위해서도 적합한다.
본 발명은 자계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회로는 예컨대, 자기 광학 기록 및 재생장치에서 자기 광학기록매체의 자기층내의 자화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사용된다.
자기 광학 기록매체로는 예컨대 자기 광학 디스크가 공지되어 있으며, 자기 광학 디스크의 경우 광 투과층 다음에 자기 광학층이 놓이고, 이 자기 광학층에 데이터가 기록되며 이 자기 광학 층으로부터 데이터가 판독된다. 자기 광학 디스크에 데이터가 기록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디스크상에 포커싱되는 레이저 빔에 의해 자기 광학 층이 퀴리온도 근처의 온도로 가열된다. 그러나, 대개 자기 광학 층은 대략 퀴리온도 이하의 보상온도까지만 가열되면 충분하다. 디스크상의 초점 뒤에는 전자석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석은 레이저 빔에 의해 가열되는 부분을 하나의 또는 다른 자화방향으로 자화시킨다. 레이저 빔의 차단후 가열된 부분을 다시 보상온도 이하로 냉각시키기 때문에 전자석에 의해 정해진 자화방향이 유지된다. 말하자면, 자화방향이 동결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각 비트가 상이한 자화방향의 영역에 기억된다. 예컨대, 한 영역의 한 자화방향은 논리 1을 나타내는 반면, 반대 자화방향은 논리 0를 나타낸다.
데이터의 판독에는 커효과(Kerr effect)를 이용한다. 선형으로 편광된 광빔의 편광면은 자화된 거울에 반사시 측정 가능한 각만큼 회전된다. 거울이 어떤 방향으로 자화되어 있느냐에 따라 반사된 광빔의 편광면이 오른쪽으로 또는 왼쪽으로 회전된다. 디스크상의 각 영역이 자화된 거울과 같이 작용하기 때문에, 스캐닝하는 광빔의 편광면이 스캐닝되는 영역의 자화방향에 따라 측정 가능한 각만큼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회전된다.
디스크에 의해 반사되는 광빔의 편광면의 회전으로부터, 광학 스캐닝 장치는 어떤 비트인지를, 즉 논리 1인지 또는 논리 0인지를 안다.
자기 광학 층을 하나의 또는 다른 방향으로 자화시키는 공지된 방법은 자기 광학 디스크 뒤에 전자석으로 작용하는, 코일을 자신 회로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코일은 광학 스캐닝 장치가 스위프하는 전체영역의 자화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치수로 설계되어야 한다. 상기 영역은 기록 및 재생장치의 타입에 따라 디스크 가장자리로부터 디스크중심으로 형성된 예컨대, 방사상 또는 원호형 스트립이다. 스트립의 자화방향을 전환하기 위해, 전체 스트립상에서 자계강도가 최소값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코일의 횡단면 및 인덕턴스가 비교적 커야한다.
또 다른 공지된 방법에서는 코일이 광학 스캐닝 장치상에 고정된다. 상기 코일은 예컨대, 광학 스캐닝 장치의 대물렌즈 둘레에 감겨질 수 있다. 이 방법의 경우 코일은 광학 스캐닝 장치와 함께 트래킹 제어회로에 의해 자기 광학 디스크상의 데이타 트랙을 따라 이동하므로, 방사상 또는 원호형 스트립의 자화방향을 전환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광학층의 중심점인 거의 점 형태의 레이저 점을 가진 보다 작은 예컨대, 원형 영역만의 자화방향을 전환시키면 되므로 동일한 최소 자계 강도를 발생시키는데 보다 작은 횡단면 및 인덕턴스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계방향의 전환이 보다 확실하고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코일을 가진 회로를 형성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와 같은 구성으로 해결된다. 본원 발명의 회로는 제1 및 제2 다이오드로 구성된 직렬회로, 제3 및 제4 다이오드로 구성된 직렬회로 및 정전압원이 서로 병렬로 접속되고, 제1 및 제2 다이오드의 공통 접속점이 코일을 통해 제3 및 제4 다이오드의 공통 접속점과 접속되며 ; 제2 다이오드가 제어 가능한 제1 스위치에 의해 브리지 접속되고 제4 다이오드가 제어 가능한 제2 스위치에 의해 브리지 접속되며 ; 코일의 한 접속점이 제어 가능한 제3 스위치를 통해 또한 다른 접속점이 제어 가능한 제4 스위치를 통해 전류센서의 한 입력과 접속되며 ; 전류센서 SF의 다른 입력이 제1 및 제3 다이오드의 공통 접속점과 접속되고 ; 모든 다이오드가 정전압원에 대해 차단 방향으로 극성되며 ; 전류센서의 출력이 제어회로의 입력과 접속되고 ; 제어회로의 출력이 제어 가능한 스위치의 제어입력과 접속되도록 구성된다.

Claims (8)

  1. 자계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회로에 있어서, 제1 및 제2 다이오드(D1, D2)로 구성된 직렬회로, 제3 및 제4 다이오드(D3, D4)로 구성된 직렬회로 및 정전압원(U)이 서로 병렬로 접속되고, 제1 및 제2 다이오드(D1, D2)의 공통 접속점(A)은 코일(L)을 통해 제3 및 제4 다이오드(D3, D4)의 공통 접속점(B)와 접속되며 ; 제2 다이오드(D2)는 제어 가능한 제1 스위치(S1)에 의해 브리지 접속되고 제4 다이오드(D4)는 제어 가능한 제2 스위치(S2)에 의해 브리지 접속되며 ; 코일(L)의 한 접속점(A)은 제어 가능한 제3 스위치(S3)를 통해 또한 다른 접속점(B)은 제어 가능한 제4 스위치(S4)를 통해 전류센서(SF)의 한 입력과 접속되며 ; 전류센서(SF)의 다른 입력은 제1 및 제3 다이오드(D1, D3)의 공통 접속점과 접속되고 ; 모든 다이오드(D1, D2, D3, D4)는 정전압원(U)에 대해 차단 방향으로 극성되며 ; 전류센서(SF)의 출력은 제어회로(S)의 입력(E)과 접속되고 ; 제어회로(S)의 출력(A1, A2, A3, A4)은 제어 가능한 스위치(S1, S2, S3, S4)의 제어입력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계의 방향을 전환 시키기 위한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정전압원(U)에 병렬로 접속된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류센서(SF)와 직렬로 제5 다이오드(D5)가 접속되며, 제5 다이오드(D5)는 정전압원(U)에 대해 도통방향으로 극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제1단계에 있어, 제어 가능한 제2 및 제3 스위치(S2, S3)가 개방되어 있는 동안 제어 가능한 제1 및 제4 스위치(S1, S4)는 폐쇄되어 있으며 ; 제2단계에 있어, 코일(L)을 통과하는 전류(I)의 값이 미리 주어진 한계치를 초과하면, 제어 가능한 제4 스위치(S4)는 개방되며 ; 제3단계에 있엇, 코일(L)을 통과하는 전류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제어 가능한 제1 스위치(S1)는 개방되고, 그에 반하여 제어 가능한 제2 및 제3 스위치(S2, S3)는 폐쇄되며 ; 제4 단계에 있어, 코일(L)을 통과하는 전류(I)의 값이 미리 주어진 한계치를 초과하면, 제어 가능한 스위치(S3)는 개방되며 ; 제5단계에 있어, 코일(L)을 통과하는 전류(I)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제어 가능한 제2 스위치(S2)는 개방되며, 이와 반대로 제어 가능한 제1 및 제4 스위치(S1, S4)는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코일(L)을 통과하는 전류(I)의 방향을 주기적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제어회로(S)에 의하여 제2 내지 제5의 단계를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6.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전류 센서(SF)로서 한계치 검출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7. 제1항에 있어서, 클럭 발생기(G)로부터 클럭된 디지털 신호(DS)가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입력에 전송되고, 시프트 레지스터의 출력(T0, T1)에서의 신호와 전류센서(SF)의 출력 신호가 논리회로에서 서로 접속되어 있으며, 논리회로의 출력으로부터의 제어신호가 제어 가능한 스위치(S1, S2, S3, S4)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제1 출력(TO)은 제1 AND-게이트(U1)의 제1 입력과 접속되고 제1 인버터(I1)를 통해 제2 AND-게이트(U2)의 제1 입력과 접속되며 ; 시프트 레지스터(SR)의 제2 출력(T1)은 제2 AND-게이트(U2)의 제2 입력과 접속되고 제2 인버터(i2)를 통해 제1 AND-게이트(U1)의 제2 입력과 접속되며 ; 제1 AND-게이트(U1)의 출력은 제3 인버터(I3)의 입력에 접속되고 제2 커패시터(C2)를 통해 제1 RS-플립플롭(F1)의 세트 입력과 접속되며 ; 제2 AND-게이트(U2)의 출력은 제4 인버터(I4)의 입력에 접속되고 제3 커패시터(C3)를 통해 제2 RS-플립플롭(F2)의 세트 입력과 접속되며 ; 제1 RS-플립플롭(F1)의 세트입력은 제1 저항(R1) 및 제6 다이오드(D6)로 구성된 병렬회로를 통해 기준전압에 접속되며 ; 제2 RS-플립플롭(F2)의 세트입력은 제2 저항(R2) 및 제7 다이오드(D7)로 구성된 병렬회로를 통해 기준전압에 접속되며 ; 전류센서(SF)의 출력은 제1 및 제2 RS-플립플롭(F1, F2)의 리세트 입력과 접속되며 ; 제3 인버터(I3)의 출력은 제어 가능한 제1 스위치(S1)의 제어입력과 접속되며, 제4 인버터(I4)의 출력은 제어 가능한 제2 스위치(S2)의 제어입력과 접속되며 ; 제1 RS-플립플롭의 Q-출력은 제어 가능한 제3 스위치(S3)의 제어입력과 접속되고 제2 RS-플립플롭(F2)의 Q-출력은 제어 가능한 제4 스위치(S4)의 제어입력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KR1019900702379A 1989-03-04 1990-02-22 자계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회로 KR0168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P3907057.3 1989-03-04
DE3907057A DE3907057A1 (de) 1989-03-04 1989-03-04 Schaltungsanordnung zur umkehrung eines magnetfeldes
DEP39070573 1989-03-04
PCT/EP1990/000297 WO1990010290A1 (de) 1989-03-04 1990-02-22 Schaltungsanordnung zur umkehrung eines magnetfeld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0450A KR920700450A (ko) 1992-02-19
KR0168847B1 true KR0168847B1 (ko) 1999-03-20

Family

ID=63755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702379A KR0168847B1 (ko) 1989-03-04 1990-02-22 자계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회로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5220467A (ko)
EP (1) EP0461132B1 (ko)
JP (1) JP2807082B2 (ko)
KR (1) KR0168847B1 (ko)
CN (2) CN1020013C (ko)
AT (1) ATE93079T1 (ko)
AU (1) AU5109590A (ko)
DE (2) DE3907057A1 (ko)
DK (1) DK0461132T3 (ko)
ES (1) ES2044563T3 (ko)
HK (1) HK183396A (ko)
WO (1) WO19900102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110B1 (ko) * 2012-02-08 2013-07-17 김종훈 에코 힐링 저주파 자계 생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38858A1 (de) * 1988-11-17 1990-05-23 Thomson Brandt Gmbh Schaltungsanordnung zur umkehrung eines magnetfeldes
DE4103777A1 (de) * 1991-02-08 1992-08-13 Mueller A & K Gmbh Co Kg Eigenmediumbetaetigtes, durch ein bistabiles magnetventil gesteuertes servoventil fuer fluessige und gasfoermige medien
US5587851A (en) * 1991-12-24 1996-12-24 Sharp Kabushiki Kaisha Magnetic head driving device with prerecording energization
US5404342A (en) * 1992-01-16 1995-04-04 Sony Corporation Magnetic head device for magneto-optical disc system and magnetic head driving circuit
JP2976697B2 (ja) * 1992-05-29 1999-11-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磁気ディスク用変調磁界発生装置
JP3098896B2 (ja) * 1992-06-23 2000-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磁気記録装置
JP3211999B2 (ja) * 1992-06-26 2001-09-25 キヤノン株式会社 光磁気記録装置
JP3365435B2 (ja) * 1993-06-23 2003-01-14 キヤノン株式会社 光磁気記録装置
JP2976923B2 (ja) * 1997-04-25 1999-11-10 日本電気株式会社 容量性負荷の駆動装置
DE19747033A1 (de) * 1997-10-24 1999-04-29 Daimler Chrysler Ag Elektronische Schalteinrichtung für Magneten
DE19830772A1 (de) * 1998-07-09 2000-01-13 Bosch Gmbh Robert Bus-betreibbare Sensorvorrichtung und entsprechendes Prüfverfahren
CN101588116B (zh) * 2008-05-21 2013-01-02 孙立蓉 风力磁浮发电机
KR101516735B1 (ko) * 2013-06-25 2015-05-04 신명섭 다목적 회전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37305C2 (de) * 1980-10-02 1986-04-03 Flowtec AG, Reinach, Basel Anordnung zur Erzeugung magnetischer Gleichfelder wechselnder Polarität für die magnetisch-induktive Durchflußmessung
JPH0619863B2 (ja) * 1984-06-13 1994-03-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光磁気情報記憶方法及び装置
JPS6161626U (ko) * 1984-09-28 1986-04-25
GB8530930D0 (en) * 1985-12-16 1986-01-29 Mansfield P Inductive circuit arrangements
EP0312143B1 (en) * 1987-10-14 1993-08-1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agneto-optical recording apparatus and energizing circuit for use in such a magneto-optical recording apparatus
FR2632438A1 (fr) * 1988-06-07 1989-12-08 Philips Nv Enregistreur magneto-optique a champ magnetique module
FR2647940B1 (fr) * 1989-06-02 1994-03-04 Thomson Csf Circuit de commande de modulation du champ magnetique pour l'enregistrement d'une memoire magneto-optiqu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110B1 (ko) * 2012-02-08 2013-07-17 김종훈 에코 힐링 저주파 자계 생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0013C (zh) 1993-03-03
DE59002336D1 (de) 1993-09-16
ES2044563T3 (es) 1994-01-01
KR920700450A (ko) 1992-02-19
DE3907057A1 (de) 1990-09-13
HK183396A (en) 1996-10-11
AU5109590A (en) 1990-09-26
JP2807082B2 (ja) 1998-09-30
CN1054684A (zh) 1991-09-18
JPH04504022A (ja) 1992-07-16
EP0461132A1 (de) 1991-12-18
CN1054864A (zh) 1991-09-25
US5220467A (en) 1993-06-15
ATE93079T1 (de) 1993-08-15
EP0461132B1 (de) 1993-08-11
DK0461132T3 (da) 1993-10-18
WO1990010290A1 (de) 199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8847B1 (ko) 자계의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회로
US5229902A (en) Circuitry for reversing a magnetic field
KR920005757B1 (ko) 광자기 정보처리방법 및 그 장치
US4672594A (en) Magneto-optical recording system utilizing a leakage magnetic field of focusing actuator
US51213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overwriting information on a magneto-optical recording medium using constant laser beam modulated magnetic field generator
KR0169119B1 (ko) 자계 전환 회로
CN1048107C (zh) 用于磁光存储器记录的磁场调制控制电路
US4789972A (en) Selectively controlling the erasure in a magneto-optic recording medium
JP2850966B2 (ja) 光磁気記録装置
KR100239989B1 (ko) 자계반전을 위한 회로
US537172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riting and reading a magneto-optical record carrier
US5748573A (en) Magnetic head driving circuit, including magnetic head coil switching circuits and a control pulse generator for the switching circuits, which is operable with recording data transferred at a higher than normal transfer rate
JPH0551975B2 (ko)
US5197048A (en) Magneto-optic recording medium, magneto-optic recording system and magneto-optic recording method
US4916680A (en) Magnetooptic recording member having selectively-reversed erasure directions in predetermined recording areas of the record member
US5566147A (en) Magneto-optical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odulating the strength of a generated magnetic field into three levels
CA1328133C (en) Analog signal switching device for use in an optical memory device
US5475658A (en) Magneto-optical recording device for improving C/N ratio
US4937800A (en) Method of recording using selective-erasure directions for magnetooptic record members
US5189567A (en) High speed switching circuit for controlling current flow in a bridge circuit coil for use in a magneto-optic direct overwrite system
JP2539585B2 (ja) 光磁気情報記憶方法
JPH03272038A (ja) 磁気ヘッド装置
JPH04370502A (ja) 磁気記録装置
JPH08190702A (ja) 磁気ヘッド磁界の反転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11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1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011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4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9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0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10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9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