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66738B1 - 브이씨알의 페이드편집장치 - Google Patents

브이씨알의 페이드편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6738B1
KR0166738B1 KR1019950007475A KR19950007475A KR0166738B1 KR 0166738 B1 KR0166738 B1 KR 0166738B1 KR 1019950007475 A KR1019950007475 A KR 1019950007475A KR 19950007475 A KR19950007475 A KR 19950007475A KR 0166738 B1 KR0166738 B1 KR 0166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diting
video
audio
fa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7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607A (ko
Inventor
김정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07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6738B1/ko
Publication of KR960035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6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6738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2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on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2Mean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recorded information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Circuits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데오카세트레코드(VCR; Video Cassette Recorder)의 신호편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리를 이용하여 테이프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재생신호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합성하는 페이드편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신호편집시, 테이프에 기록된 신호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의 합성을 하는 페이드 인/아웃 기능은 기록전용헤드와 재생전용헤드를 따로 가진 방송용 VCR에서만 가능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메모리를 이용하여 하나의 헤드만을 가지고 페이드 인/아웃 편집기능이 가능하도록 하는 잇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브리씨알의 페이드편집장치
제1도는 기록전용헤드(REC) 및 재생전용헤드(PB)가 따로 구비된 방송용 VCR의 헤드드럼을 나타내는 구성도.
제2도는 비데오테이프에 기록된 신호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페이드편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제3도는 제2도에서 크로스 페이드부(30)를 나타내는 상세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브이씨알의 페이드편집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1 : 데크부 42 : 오디오/비데오신호 분리부
43 : 제어부 44,48 : 신호처리부
45, 49 : 신호출력부 46,50 : 신호추출부
47,51 : 제1,2메모리 100 : 신호합성수단
120,140 : 제1,2크로스페이드부 160 : 오디오/비데오신호합성부
본 발명은 비데오카세트레코더(VCR; Video Cassette Recorder)의 신호편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메모리를 이용하여 테이프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재생신호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데오신호를 합성하는 브이씨알의 페이드편집장치에 관한 것이다.
페이드(Fade)는 음성이나 영상을 차츰 강하게 나타내는 페이드 인(Fade In)기능과 음성 또는 영상이 차츰 약해져서 소멸디어 가는 페이드 아웃(Fade Out)기능이 있으며, 테이프상에 기록된 기존의 신호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합성하여 편집하는 데에 있어서, 이 페이드 기능은 각기 다른 두 신호의 자연스러운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신호의 페이드 인/아웃 편집기능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외부에 스위처(Switcher)를 붙여서 구현하거나 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두 개의 헤드드럼 즉, 재생전용헤드, 녹화전용헤드를 부착하고, 재생신호와 녹화신호의 혼합부를 구성하여 비데오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고 이를 외부 라인의 입력 신호와 합성하여 재생 및 기록을 동시에 할 뿐만 아니라 재생신호의 페이드아웃 또는 입력신호의 페이드인을 실현하여 비데오신호 및 오디오신호의 오버랩 기능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방송용 VCR의 페이드 편집장치를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겠다. 제1도는 기록(REC)전용헤드 및 재생(PB)전용헤드가 따로 구비되어 있는 방송용 페이드 편집장치의 헤드드럼을 나타낸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헤드드럼을 갖는 장치로 페이드 편집기능을 구현하고자 하는 경우, 제2(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규정된 테이프 트랙의 편집구간(A∼B)을 먼저 재생헤드(PB)가 스캐닝(scanning)하여 재생신호를 읽어낸다. 여기서, 편집구간은 5ms ∼ 10ms 정도로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그 다음에 제2(b)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재생헤드(PB)는 비데오테이프상의 편집시작점(A)에서부터 편집종료점(B)까지 읽어들인 데이터를 크로스페이드부(30)로 전달한다. 또한, 기록하고자 하는 외부 신호도 크로스페이드부(30)로 인가된다. 크로스페이드부(30)는 제어신호에 따라 이 재생신호와 기록신호를 동시에 인가받아 합성하여 테이프에 새롭게 기록하고자 하는 기록신호를 출력하고, 기록전용헤드(REC)는 비데오테이프에 이를 기록한다.
제3도는 크로스페이드부(30)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제3도를 참조하여 크로스페이드부(30)의 구성 및 동작을 간단히 설명하겠다. 크로스페이드부(30)는 외부 입력신호를 인가받는 페이드인부(34)와 테이프에 기록된 재생신호를 인가받는 페이드아웃부(36)로 구성된다. 가중치조절부(32)는 이 페이드인부(34) 및 페이드아웃부(36)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연결된다. 합성부(38)는 페이드인부(34) 및 페이드아웃부(36)로부터 출력신호를 인가받아 이 두 신호를 합성하여 새롭게 기록하고자 하는 기록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크로스페이드부(30)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가중치조절부(32)는 재생헤드(PB)가 읽어들인 재생신호의 크기가 점차 줄어들도록 페이드아웃부(36)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가중치조절부(32)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의 크기가 점차 커지도록 페이드인부(34)로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즉, 가중치조절부(32)는 편집시작점(A)에서는 재생신호에 대해서 100%의 가중치를 주고, 외부 입력신호에 대해서는 0%의 가중치를 주어서 외부신호가 전혀 기록이 되지 않게 한다. 그 다음 가중치조절부(32)는 점차 반대로 가중치를 조정하여 편집종료점(B)에서는 재생신호에 대해서는 0%의 가중치를 주고, 외부 입력신호에 대해서는 100%의 가중치를 주도록 페이드인부(34) 및 페이드아웃부(36)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합성부(38)는 이렇게 조절된 두 신호를 각각 인가받아 두 신호를 합성하여 기록신호로 출력한다. 여기서, 가중치란 신호의 크기값을 조절하는 이득값을 말한다. 결국, 크로스페이드부(30)에서는 테이프상에 설정딘 편집구간 안에서 기록되어 있는 재생신호의 크기를 서서히 감소시킴과 동시에 기록하고자 하는 기록신호의 크기를 서서히 증가시켜 신호의 편집시 끊어지는 부분이 없이 자연스럽게 두 신호가 연결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기술은 페이드 인/아웃 편집기능은 원만히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각기 재생전용헤드와 기록전용헤드를 독립적으로 구비하여야만 한다. 이러한, 페이드 편집기능은 재생 및 기록헤드가 따로 구비된 고가의 방송용 장비에서는 가능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간단한 편집기능을 요구하는 가정용 VCR에서는 단가의 문제 때문에 하나의 헤드를 사용하여 재생 및 기록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가정용 VCR의 하나의 헤드만으로는 페이드 인/아웃 편집기능을 구현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위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프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재생신호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편집하는 데에 있어서, 하나의 헤드만을 가지고 먼저 편집구간의 재생신호를 읽어들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저장이 끝나면 테이프를 편집구간의 시작점으로 되감는다. 그 다음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와 크로스페이드편집으로 두 신호를 합성하여 편집구간에 기록하는 VCR의 페이드편집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비데오테이프에 기록된 재생신호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기록신호를 기설정한 편집구간에서 합성하는 편집장치에 있어서, 기록/재생용 헤드를 구비하며, 이 기록/재생용 헤드를 통해 편집시작점과 편집종료점 사이의 재생신호를 독출하고, 제어부의 제어하에 신호합성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기록하는 데크수단, 상기 비데오테이프로부터의 재생신호를 인가받아 출력하기에 적합한 신호로 처리하는 신호처리수단, 상기 편집시작점과 편집종료점 사이의 재생신호를 저장하는 신호저장수단, 상기 신호저장수단에 저장된 재생신호와 상기 외부로부터의 기록신호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가하여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크로스페이드 편집을 수행하는 신호합성수단 및 상기 편집구간동안 상기 테이프로부터 독출한 데이터의 저장이 끝나면, 상기 편집구간의 시작점으로 상기 테이프를 되감기하라는 제어신호를 상기 데크부로 출력하고, 상기 크로스페이드 편집된 신호를 상기 테이프의 편집구간의 시작점에서부터 종료점까지의 편집구간에 기록하도록 상기 데크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브이씨알의 페이드편집장치에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장치인 VCR의 페이드편집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데크부(41)는 제어부(43)의 제어하에 비데오테이프에 기록된 재생신호를 오디오/비데오신호분리부(42)로 출력한다. 오디오신호처리부(44)는 오디오/비데오신호분리부(42)로 출력한다. 오디오신호처리부(44)는 오디오/비데오신호분리부(42)로부터 인가받은 오디오신호를 출력형태에 알맞게 신호처리한다. 오디어신호출력부(45)는 신호처리된 신호를 인가받아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한다. 또한, 오디오신호처리부(44)의 출력단에는 오디오신호추출부(46)가 연결되어 있다. 오디오신호추출부(46)는 오디오신호처리부(44)로부터 신호처리된 오디오데이터를 편집구간(A∼B)동안 추출한다. 제1메모리(47)는 이렇게 추출된 오디오데이터를 저장한다.
한편, 오디오/비데오신호분리부(42)에서 추출된 비데오신호는 비데오신호처리부(48)로 인가된다. 비데오신호처리부(48)는 인가받은 비데오신호를 출력형태로 알맞게 신호처리한다. 비데오신호출력부(49)는 신호처리된 비데오신호를 인가받아 증폭하여 모니터로 출력한다. 또한, 비데오신호처리부(48)의 출력단에는 비데오신호추출부(50)가 연결되어 있다. 비데오신호추출부(50)는 비데오신호처리부(48)로부터 신호처리된 비데오데이터를 페이드편집하고자 하는 편집구간동안 추출한다. 제2메모리(51)는 이렇게 추출된 비데오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러한, 제1메모리(47) 및 제2메모리(51)의 각각의 출력단에는 신호를 합성하는 신호합성수단(100)이 연결된다. 이 신호합성수단(100)은 오디오신호를 크로스페이드편집하는 제1크로스페이드부(120)와 비데오신호를 크로스페이드편집하는 제2크로스페이드부(140)로 구성된다. 이 제1, 제2크로스페이드부(120,140)의 출력단에는 각각의 신호를 인가받아 전체기록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비데오신호합성부(160)가 연결된다. 여기서, 크로스페이드부(120,140)는 제3도의 구성을 모두 포함한 것으로, 그 동작은 제3도에서 설명하였으니, 이하에서는 크로스페이드 편집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을 다시한번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사용자는 비데오테이프상에 페이드편집 하고자 하는 구간을 설정하여 입력한다. 사용자가 편집시작점(A)과 편집종료점(B)을 설정하면, 제어부(43)는 데크부(41)의 헤드를 구동하여 편집시작점(A)과 편집종료점(B) 사이의 신호를 재생한다. 이때, 오디오/비데오신호분리부(42)는 재생되는 신호를 오디오신호와 비데오신호로 분리하여 각각 오디오신호처리부(44) 및 비데오신호처리부(48)로 출력한다. 이때, 오디오신호추출부(46)는 오디오신호처리부(44)로부터의 오디어데이터를 기설정된 편집구간(A∼B)동안 추출한다. 그리고, 비데오신호추출부(50)는 비데오신호처리부(48)로부터 비데오신호를 기설정된 편집구간(A∼B)동안 추출한다. 제1메모리(47) 및 제2메모리(51)는 제어부(43)의 제어하에 이 추출된 오디오신호 및 비데오신호를 각각 저장한다. 각 메모리(47,51)는 이렇게 각각 추출된 신호를 전부 저장한다. 그러면, 제어부(43)는 재생시 앞으로 감긴 테이프를 다시 편집구간의 시작점으로 되감기 하라는 구동제어신호를 데크부(41)로 인가한다. 테이프가 다시 편집시작점(A)으로 되감기면, 제1크로스페이드부(120)는 제1메모리(47)에 저장된 오디오신호를 읽어들이고, 동시에 외부 오디어 입력신호도 읽어들여 두 신호를 합성하여 오디오페이드편집을 한다. =또한, 제2크로스페이드부(140)는 제어부(43)의 제어하에 제2메모리(51)에 저장된 비데오신호를 읽어 들이고, 동시에 외부 비데오 입력신호도 읽어들여 두 신호를 합성하여 비데오페이드편집을 한다. 오디오/비데오신호합성부(160)는 제1, 제2크로스페이드부(120,140)로부터의 각각의 오디오신호와 비데오신호를 인가받아 두 신호를 합성하여 전체 기록신호로 출력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VCR에서 신호편집시, 테이프에 기록된 비데오신호 및 오디오신호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비데오신호 및 오디오신호의 합성을 하는 페이드 인/아웃 기능이 기록전용헤드와 재생전용헤드를 따로 가진 방송용 VCR에서만 가능했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헤드만을 가지고 페이드 인/아웃 편집기능이 가능하도록 하는 잇점을 제공한다.

Claims (5)

  1. 비데오테이프에 기록된 재생신호와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기록신호를 기설정한 편집구간에서 합성되는 편집장치에 있어서, 기록/재생용 헤드를 구비하며, 이 기록/재생용 헤드를 통해 편집시작점과 편집종료점 사이의 재생신호를 독출하고, 제어부의 제어하에 신호합성수단으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기록하는 데크수단; 상기 비데오테이프로부터의 재생신호를 인가받아 출력하기에 적합한 신호로 처리하는 신호처리수단; 상기 편집시작점과 편집종료점 사이의 재생신호를 저장하는 신호저장수단; 상기 신호저장수단에 저장된 재생신호와 상기 외부로부터의 기록신호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가하여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크로스페이드 편집을 수행하는 신호합성수단; 및 상기 편집구간동안 상기 테이프로부터 독출한 데이터의 저장이 끝나면, 상기 편집구간의 시작점으로 상기 테이프를 되감기하라는 제어신호를 상기 데크부로 출력하고, 상기 크로스페이드 편집된 신호를 상기 테이프의 편집구간의 시작점에서부터 종료점까지의 편집구간에 기록하도록 상기 데크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브이씨알의 페이드편집구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상기 편집시작점과 편집종료점 사이의 재생신호를 비데오 재생신호와 오디오 재생신호로 분리하는 오디오/비데오신호분리부; 상기 오디오/비데오신호분리부로부터 분리된 오디오 재생신호를 인가받아 스피커로 출력하기에 적합한 신호로 처리하는 오디오신호처리부; 상기 오디오신호처리부로부터의 오디오 재생신호를 상기 편집구간동안 추출하는 오디오신호추출부; 상기 오디오/비데오신호분리부로부터 분리된 비데오 재생신호를 인가받아 모니터로 출력하기에 적합한 신호로 처리하는 비데오신호처리부; 및 상기 비데오신호처리부로부터의 비데오 재생신호를 상기 편집구간동안 추출하는 비데오신호추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페이드편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수단은 상기 오디오신호추출부로부터 추출된 편집시작점과 편집종료점 사이의 오디오 재생신호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 상기 비데오신호추출부로부터 추출된 편집시작점과 편집종료점 사이의 비데오 재생신호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브이씨알의 페이드편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합성수단은 상기 제1메모리로부터의 오디오 재생신호와 상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오디오기록신호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가한 크로스페이드 편집으로 두 신호를 합성하여 오디오페이드편집을 하는 제1크로스페이드부; 상기 제2메모리로부터의 비데오데이터와 상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비데오기록신호에 서로 다른 가중치를 부가한 크로스페이드 편집으로 두 신호를 합성하여 비데오페이드편집을 하는 제2크로스페이드부; 상기 오디오페이드편집신호와 상기 비데오페이드편집신호를 상기 편집구간에 기록될 전체기록신호로 합성하는 오디오/비데오신호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페이드편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페이드 편집은 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이득값인 가중치를 부가하는데 있어서, 편집시작점에서는 재생신호에 대해서 큰 가중치를 주고, 외부 입력신호에 대해서는 적은 가중치를 주며, 편집종료점까지 점차적으로 그 가중치가 서로 반대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페이드편집장치.
KR1019950007475A 1995-03-31 1995-03-31 브이씨알의 페이드편집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0166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7475A KR0166738B1 (ko) 1995-03-31 1995-03-31 브이씨알의 페이드편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7475A KR0166738B1 (ko) 1995-03-31 1995-03-31 브이씨알의 페이드편집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607A KR960035607A (ko) 1996-10-24
KR0166738B1 true KR0166738B1 (ko) 1999-03-20

Family

ID=19411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7475A Expired - Fee Related KR0166738B1 (ko) 1995-03-31 1995-03-31 브이씨알의 페이드편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67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607A (ko) 1996-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4087B2 (ja) 編集方法及び編集装置
JP3241402B2 (ja) 情報記録媒体
JPS6342341B2 (ko)
KR0166738B1 (ko) 브이씨알의 페이드편집장치
US5655051A (en) Digital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JPH0574007A (ja) デイジタルvtr
JPH04367178A (ja) 磁気記録再生システム
JPH06309843A (ja) 画像記録再生装置
JP3813416B2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
KR100209189B1 (ko) 디지탈 비디오 카메라의 오디오편집장치
JP2001060383A (ja) 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2666566B2 (ja) ディジタル信号処理装置
JP2001060384A (ja) 編集装置および方法
JP3462644B2 (ja) 記録再生装置
JP2689981B2 (ja) 再生装置
JP2508495B2 (ja) ビデオ信号再生装置
JP2508496B2 (ja) ビデオ信号記録装置
JP3603307B2 (ja) 音声信号の再生装置
JP3422423B2 (ja) 記録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3311855B2 (ja) ディジタル磁気記録再生装置
JP2001060382A (ja) 再生装置および方法
JPS6032180A (ja) ビデオディスクプレ−ヤ装置
JPH0410279A (ja) 録画再生装置
JPH0314379A (ja) ディジタル信号の信号処理装置
JPH04353603A (ja) アフターレコーディ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33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11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503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8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9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9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8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8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8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3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8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0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