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59045B1 - 체중감량용 제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체중감량용 제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9045B1
KR0159045B1 KR1019920700029A KR920700029A KR0159045B1 KR 0159045 B1 KR0159045 B1 KR 0159045B1 KR 1019920700029 A KR1019920700029 A KR 1019920700029A KR 920700029 A KR920700029 A KR 920700029A KR 0159045 B1 KR0159045 B1 KR 0159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phedrine
caffeine
study
patient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0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스트룹 아르네
Original Assignee
안네 바게르 한센
나이코메드 다크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네 바게르 한센, 나이코메드 다크에이/에스 filed Critical 안네 바게르 한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9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90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5Quinolines; Isoquinolines having an indole ring, e.g. yohimbine, reserpine, strychnine, vinblas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경구, 직장, 코 또는 비경구 투여후 초-부가적 발열효과를 얻기 위해 β 아고니스트와 크산틴의, 예컨대 에페드린과 카페인과의 중량비 약 1:8 내지 약 1:24(L-에페드린의 등온발열량(β아고니스트가 L-에페드린이 아닌 경우) 및 카페인의 등온발열량(크산틴이 카페인이 아닌 경우)에 기초하여 산출된 비율임)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체중과다 및 비만 또는 이들의 합병증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또한, 가축에 체중에서 지방이 차지는 함량을 감소시키고 살코기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목적으로 가축에 대해 사용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체중감량용 제약 조성물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a도는 상이한 투여량의 에페드린 염산염과 위약(PB=위약:placebo) 투여후의 에너지 소비변화를, 제1b도는 기준치위의 통합반응을 나타낸다.
제2a도는 상이한 투여량의 카페인과 위약 투여후의 에너지 소비변화를, 제2b도는 기준치위의 통합반응을 나타낸다.
제3도는 실시예 2 및 3에 따른, 에페드린과 카페인을 배합한 제약 조성물의 예측된 발열효과 및 실측된 발열효과를 나타낸다. 투여량 배합은 ㎎에페드린 염산염/㎎카페인으로 주어진다.
제4도는 12명의 지원자에게 카페인 정제 200㎎과 에페드린/카페인 배합정제 20/200㎎을 각각 투여한 후 카페인(제4a도), 테오브로민(제4b도) 및 파라크산티(제4c도)(㎍/㎖)의 평균혈청 농도치 및 12명의 지원자에게 에페드린 정제 20㎎(-X-) 및 에페드린/카페인 배합정제 20/200㎎을 각각 투여한 후의 에페드린의 평균 배설률 곡선(제4d도)을 도시한 것이다.
제5도는 EFK 정제, 에페드린 정제 20㎎, 카페인정제 200㎎ 및 위약을 각각 투여하여 24주일간 치료하는 동안 초기 중량의 백분률로서 주어진 체중변화를 도시한다. 자세한 내용은 실시예 5 참조.
제6도는 EFK 정제, 에페드린 정제 200㎎, 카페인정제 200㎎ 및 위약을 각각 투여하여 24주일간 치료하는 동안의 심장수축 혈압변화를 도시한다. 자세한 내용은 실시예 5 참조.
제7도는 EFK 정제, 에페드린 정제 20㎎, 카페인정제 200㎎ 및 위약을 각각 투여하여 24주일간 치료하는 동안의 심장이완 혈압변화를 도시한다. 자세한 내용은 실시예 5 참조.
제8도는 EFK 정제, 에페드린 정제 20㎎, 카페인정제 200㎎ 및 위약을 각각 투여하여 24주일간 치료하는 동안의 심박도수 변화를 도시한다. 자세한 내용은 실시예 5 참조.
제9도는 EFK 정제, 에페드린 정제 20㎎, 카페인정제 200㎎ 및 위약을 각각 투여한 다음, 이 4군 모두에게 EFK 정제 처리하여 24주일간 치료하는 동안의 초기 체중에 대한 백분률로서 주어진 체중변화를 도시한다. 자세한 내용은 실시예 5 참조.
제10도는 26주의 체중 백분률로서 주어진 체중 변화를 나타낸다. 자세한 내용은 실시예 6 참조.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예컨데, 에페드린과 같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작용하여 β-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와 예컨대 카페인과 같은 크산틴으로 이루어진 제약 조성물, 체중과다(overweight)나 비만(obesity), 또는 체중과다나 비만의 합병증을 치료하기 위한 그의 용도 및 체중에 있어서 지방이 차지하는 함량 대산 살코기가 차지하는 함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가축에 있어서의 이들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체중과다 및 비만]
비만은 잘살고, 산업화된 나라에서 특히 만연하는 질병이다. 비만은 체내에 과량의 지방이 축적된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지방의 과다축적은 에너지 수용과다(예컨대, 과량의 음식물)나 또는 에너지 소비 감소에 의해 일어나는, 에너지 소비보다 에너지 수용이 많은 경우의 결과로서 일어날 수 있다.
실제적인 목적에서, 일반적으로 체중과다는 체중이 바람직한 체중을 초과하는 경우에 있는 것인 반면, 비만은 바람직한 체중을 20%이상 초과하는 것이라느데 대체로 동의되고 있다(1). 사람에 있어서 바람직한 체중은 Metropolitan Height 및 Weight Tables(1)에 따르면 보통-크기의 사람의 범위에서 중간점으로 정의될 수 있다.
비만은 경미(20-30% 체중과다), 중간(30-60% 체중과다) 또는 심각(60% 체중과다)한 상태로 분류될 수 있다. 비만증은 여러가지로 건강을 해칠 수 있다. 비만은 심장 및 폐기능을 모두 해칠 수 있으며, 내분비기능을 혼란시키고 감정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고혈압, 손상된 글루코스 인내성 및 비-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및 과콜레스테롤혈증들은 정상체중을 갖는 사람보다 체중과다인 사람에게 더욱 흔한 증상이다. 그러므로 비만은 예컨대 고혈압, 발작, 당뇨병 타잎 Ⅱ, 어떠한 유형의 암, 담낭질환 및 허혈성 심장병과 같은 질환에 시달리는 사람의 이병률 및 사망률에 한 몫을 할 수가 있다. 중간 및 심각한 비만 케이스는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결장 및 직장암은 종종 자궁내막 또는 담낭암에 걸린 비만의 남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질병이다. 또한, 체중과다의 증가는 거의 결국에는 정신적 및 사회적 문제를 일으키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치료방법]
비만의 원인은 복잡하며 완전히 이해되지 않고 있다. 비만은 생활습관, 즉, 물리적 활동의 유형 및 음식물 소비나 또는, 비만인의 유전적 성향의 결과일 수 있다. 유전적 영향은 대개 인간의 뚱뚱함 및 비만을 결정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여러약물로 치료처리한 후 비만 발달 형태로 악영향이 관찰될 수 있다.
비만 또는 체중과다의 치료의 기본 원리는 네거티브 에너지 균형을 수립하는 것이다. 네거티브 에너지 균형은 주로 3가지 상이한 치료법 또는 그의 조합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첫째, 효율적인 치료법은 에너지 수용, 즉 음식물 섭취의 감소이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오로지 식이요법을 통해서만 달성될 수 있는 것인데, 이는 음식물의 흡수불량은 약물요법이나 외과수술을 통해서는 안전하게 달성될 수 없기 때문이다. 식이요법은 체중감소뿐 아니라 그것을 유지하는 식이로 이루어져야 한다. 만족할 만큼 체중이 감소된 후에는, 체중이 환자에게 영양을 공급하고 이용가능한 음식물 공급으로 안정될때까지 에너지 공급을 서서히 증가시켜야 한다. 장기간 식이요법의 주요성은 환자의 경우 10-20%만이 그들의 감소된 체중을 유지할 수 있다는 사실에서 찾아볼 수 있다.
둘째, 신체운동의 증가는 에너지 소비를 증대시키고 결국 네거티브 에너지 균형으로 이끌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당한 정도로 체중을 감량하기 위해서는 매일 수시간씩 신체운동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신체 운동 단독은 기타 종류의 치료에 매우 중요한 보조수단이기는 하지만 비만 치료에는 적은 역할만을 할 뿐이다. 또한, 신체운동은 에너지 소비 감소의 축소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는 에너지 제한을 구성하는 식이요법을 수반한다.
셋째, 비만치료에 약물을 단독으로, 또는 식이요법 및/또는 신체운동의 증가와 병용할 수 있다. 비만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은 식욕감퇴 약물 및/또는 발열약물일 수 있다. 그러나, 종종 두가지 카테고리내에서 중복되는 경우가 관찰될 수 있다. 식욕감퇴제는 주로 에너지 섭취를 줄임으로써 효과를 발휘한다. 음식물 섭취 감소는 식욕 조절에 관계된 뇌 전달계에 작용하는 약물 활동의 결과이다. 이러한 약물의 작용은 여러 부위에서 시상하부를 통해 중깨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 작용은 아드레날린, 도파민 또는 세로로닌 경로나 또는 그의 배합적인 경료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어떠한 시스템이 관련되건, 최종결과는 포만 중심의 자극 및 감퇴된 식욕을 초래하는 급식 중심의 작용의 동시적인 감소이다. 공지의 식욕감퇴제의 예로는 에페드린, 페닐프로판올아민, 암페타민 및 펜플루라민이 있다.
비만치료에 이용되는 발열약물은 이제 일반적으로 잠재적인 치료가치를 지니는 것으로 인정되고 있으며 최근 몇년 동안 새로운 발열 화합물을 찾기 위한 시도가 왕성하게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흥미는 주로 비만이 유전적으로 결정될지 모른다는 널리 수용되고 있는 제안에 관련된다. 비만의 가능한 발생에 책임이 있는 유전적 결함은 비만인 발열 결합(즉, 대사 시스템에 있어서의 결함)에 관련된다(2). 발열결함의 본성은 완전히 드러나지 않았으나, 심파토아드레날 시스템의 결여적인 반응성 경향의 강력한 증거가 있다(3). Dulloo 및 Miller(2)는 비만인의 발열 결함이 신경전달에 대한 무감각보다는 노르에피네프린의 감소된 방출에 관련된다고 제안하고 있다. 따라서, 교감신경계의 활성을 모방하고 대사율을 증가시키는 약물은 비만치료에 상당한 치료 잠재력을 제공한다.
발열약물은 대사율을 상승시킬 수 있느 약물, 즉,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는 약물로 정의할 수 있다. 공지의 발열약물로는 예컨대, 에페드린,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4), 이소프로테레놀, 페닐프로판올아민 및 카페인(5)을 들 수 있다.
사람뿐만 아니라 동물의 비만치료에 관한 연구도 발열약물을 단독이나 또는 배합 사용하여 행해져 왔다. 설치류에 있어서 고온 발생이 일어나는 주요조직은 갈색 지방조직(BAT : brown adipose tissue)인 것으로 최근 드러났다(4). 이것은 자발적으로 과식한 래트와 마우스에 있어서 비만에 대한 내성이 BAT에 있어서의 촉진된 발열반응에 기인한다는 발견에 의해 지지된다. BAT는 사람에 있어서도 에너지 소비의 결정인자 구실을 하며 BAT에서의 결함적인 발열반응은 사람에게 비만을 일으킨다는 것이 제안되어 왔다. 인간의 BAT는 교감신경 신경지배를 받으나, BAT의 양은 미소하다. 사람의 BAT의 발열반응적 잠재력은 인체의 총 발열반응에 비해 중요성이 덜한 것으로 증명되어 왔다(4). 휴지중인 골격근육은 에페드린에 의해 유도되는 총 인체 발열반응의 50% 이상을 차지할 것이며(6), 골격 근육은 아마도 사람에 있어서 음식물의 열효과 뿐아니라 휴지대사율의 주요 결정인자인 것 같다(7). 발열반응의 주요 결정인자는 따라서 사람과 설치류에 있어서 상당히 다르며 이 때문에 사람과 설치류의 연구결과를 비교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다음에 사람에 대한 연구결과만을 실었다.
Dullo 및 Miller(8)는 최근 에페드린과 메틸크산틴(22㎎ 에페드린, 30㎎ 카페인 및 50㎎ 테오필린)을 함유하는 오버-더-카운더 정체(Do-Do pill, Ciba Geygy, UK)가 뚱뚱한 자원자와 마른 자원자 모두에 있어서 대사율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에페드린 단독보다 2배나 더 효과적임을 보여주었다. Dullo 및 Miller(2)에 의해 개략된 바와같이, 메틸크산틴의 효과가 에페드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이지만 사람에 대해서는 자세히 연구되지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Cesarii(9)등은 비만한 여자들을 대상으로 4개월간 무작위추출 이중맹시험한 연구결과를 보고한 바 있다. 이 여성들에게 각각 에페드린 단독(50㎎), 에페드린과 카페인(50㎎+100㎎) 또는 활성 성분없이 위약을 경구 투여하였다. 연구결과 3 치료군에 있어서 체중감량이 크게 차이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에페드린과 카페인 사이에 상호작용이 없음을 가리키는 것이다.
에페드린 20㎎, 카페인 55㎎ 및 비사코딜 1㎎으로 구성된 Elsinore 정제(10)은 처음 천식에 사용되었는데 체중감량을 일으키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64명의 비만환자에 대해 이 조성물과 에페드린 20㎎(2+2+1 정제/1일)의 효과를 이중맹임상시도에서 비교하였다(41). 18주일 후, 에페드린 정제와 Elsinore 정제 투여후의 평균 체중감량은 각각 7.9㎏ 및 9.4㎏이었다. 그러나,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었다(P0.10).
문헌상 페닐프로판올아민 염산염과 카페인의 배합으로 된 경구 조성물이 설명되었다(11). 카페인은 촉진 특성이 있기 때문에 피로를 경감하기 위해 이들 조성물에 첨가되온듯 하다(12).
에페드린이나 슈도에페드린 및 메틸크산틴의 여러가지 기타 배합물은 재채기, 천명, 숨가쁨 치료 및 가슴을 맑게 하기 위한 치료에서 오버-더-카운더 제약 조성물로서 나타났다. 이러한 배합에 사용되는 이들 치료 용도의 지침에서는, 이러한 오버-더-카운더 물질의 발열 조성물로서의 잠재적인 용도가 상기 Dulloo 및 Miller(8)의 연구에 언급된 Do-Do 알약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잘 개시되어 있지 않다.
[가축의 사체품질]
식용 동물에 있어 사체품질을 향상시키는 것, 즉, 지방조직 체중/지방이 없는 조직체중 비율을 줄이는 것은 가축과학에 있어서 한가지 목표인데, 이는 과량의 지방 생성은 가축 및 육가공산업에 있어 비효율적인 근원이 되기 때문이다. 또한, 사람이 이러한 식용 지질을 과량 섭취하면 인구집단중 관상동맥성 심장병의 발병률이 높아지게 된다.
식용 동물의 사체 조성은 전체 웅성을 이용한 급식 전략이나 또는 성숙한 중량의 비율이 낮을 때 동물을 도살한 다음 선택프로그램을 통해 변화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해, 소에 있어서 신체 성장을 촉진하고 단백질 침착을 촉진하기 위해 동화성 스테로이드가 많이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화성 스테로이드는 최근 EEC 국가에서 금지되었기 때문에 이로인해 새로운 부류의 화합물, 예컨대, β2-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클렌부테롤, 시마테롤, 락토프라민 및 살부타몰(42-45)) 및 성장 호르몬과 같은 새로운 화합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킴으로써 유기체 내의 에너지 균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화합물의 치료적 요구에 관한 논의는 전술된 바와 같으며 이러한 발열 화합물의 예도 주어졌다.
놀랍게도 발열약물 에페드린과 카페인의 특정 배합물을 투여하면 2가지 활성 성분에 관련된 발열효과 뿐 아니라 개개 화합물의 각 발열효과에 기초하여 예상되는 것보다 훨씬 높은 발열효과가 초래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므로, 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와 크산틴을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하면 에너지 균형 시스템의 이상(예컨대, 비만)이나 체중과다 또는 비만의 복합작용에 기인하는 여러가지 증상에 대해 매우 이로운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 2가지 활성 성분의 배합효과로 인해 가축의 사체 품질 개선도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발견에 기초하며, 한 측면에서, 필수 활성 성분으로서, 에페드린이나 기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작용하는 발열 활성 및/또는 β 아고니스트(예컨대 β1, β2 및/또는 β3 아고니스트)와 같은 식욕감퇴성 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와 카페인 또는 기타 발열화성 크산틴과의, L-에페드린의 등온 발열량에 기초하고(β아고니스트가 L-에페드린이 아닌 경우) 카페인의 등온 발열량에 기초하여(크산틴이 카페인이 아닌 경우) 산출할때 약 1:8 내지 약 1:24의 중량비로 이루어진 배합물을 함유하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체중과다나 비만의 전통적인 치료와 대조적으로 상술한 에페드린과 카페인의 배합으로된 제약 정제 조성물을 체중과다 또는 비만 환자에게 이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라 탁월한 임상 결과가 얻어졌다. 이 임상 연구로부터의 결과는 에페드린과 카페인의 배합에 의한 작용이 2가지 약물의 예기치 못한 상승효과에 기인하는 것임을 명확히 입증해 주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동물에게 에페드린이나 기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작용하는 발열화성 및/또는 β아고니스트(예컨대 β1, β2 및/또는 β3아고니스트)와 같은 식욕감퇴성 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와 카페인 또는 기타 발열화성 크산틴과의, L-에페드린의 등온발열량에 기초하고(β아고니스트가 L-에페드린이 아닌 경우) 카페인의 등온발열량에 기초하여(크산틴이 카페인이 아닌 경우) 산출할때 약 1:8 내지 약 1:24의 중량비로 이루어진 배합물을 발열 유효투여량 투여하는 것으로 되는(상기 투여는 2가지 활성 약물의 배합물로 된 단일 투여제를 투여하거나 또는 각 활성 약물을 각각 함유하는 별개의 투여제를 동시에 투여하여 행한다) 체중을 감량하거나 지방조직체중/지방이 없는 조직체중 비율을 줄임으로써 설치류를 제외한 동물의 체중 과다나 비만을 치료하는 방법에도 관한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동물에게 에페드린이나 기타 직접 또는 간접으로 작용하는 발열화성 및/또는 β아고니스트(예컨대 β1, β2 및/또는 β3아고니스트)와 같은 식욕감퇴성 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와 카페인 또는 기타 발열화성 크산틴과의, L-에페드린의 등온발열량에 기초하고(β아고니스트가 L-에페드린이 아닌 경우) 카페인의 등온발열량에 기초하여(크산틴이 카페인이 아닌 경우) 산출할 때 약 1:8 내지 약 1:24의 중량비로 이루어진 배합물을 발열 유효 투여량으로 투여하는 것으로 되는(상기 투여는 2가지 활성 약물의 배합물로 된 단일 투여제를 투여하거나 또는 각 활성 약물을 각각 함유하는 별개의 투여제를 동시에 투여하여 행한다) 당뇨병 타잎 Ⅱ, 과콜레스테롤혈증, 과트리글리세린혈증 및 고혈압과 같은 체중과다나 비만의 합병증을 치료하는 방법에도 관한다.
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와 크산틴의 배합물을 투여하면서 식이요법을 병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또한 체중과다나 비만 또는 그의 악화된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L-에페드린의 등온발열량에 기초하고(β-아고니스트가 L-에페드린이 아닌 경우) 카페인의 등온발열량에 기초하여 산출할때(크산틴이 카페인이 아닌경우), 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와 크산틴과의 약 1:8 내지 약 1:24의 중량비로 된 배합물의 용도에도 관한다. 이 제약 조성물은 2가지 약물을 동시 함유하는 단일 투여 형태로 되거나 또는 각 활성성분을 2가지 다른 용기에 각각 함유하여 두 약물을 함께 섭취하도록 하여 투여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β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예컨대, 에페드린)와 크산틴(예컨대, 카페인)의 배합물의 유효 투여량을 동물에게 투여하는 것으로 되는, 가축의 지방조직체중/지방이 없는 조직체중 비율을 줄이는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또한 지방조직체중/지방이 없는 조직체중 비율을 감소시킴으로써 가축의 사체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조성물 제조에 있어서, β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예컨대 에페드린)와 크산틴(예컨대 카페인)의 배합물의 용도에도 관한다.
아드레날린 수용체에 직접 작용하거나 또는 매개물을 방출한 다음 수용체에 작용하는 약물들은 일반적으로 교감신경흥분제 또는 아드레날린제라고 불리고 있다. 교감신경흥분제는 그들의 작용 양식에 따라 다음의 세가지 카테고리로 분류될 수 있다 : 직접 효과를 갖는 것들, 내인성 카테콜아민 방출을 통해 간접작용을 발휘하는 것들 및, 혼합효과, 즉 두가지 기작에 의해 작용하는 것들이 그것이다(13). 본문에서 직접 또는 간접으로 작용하는 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라 함은 직접, 간접 또는 혼합양식의 작용에 의해 효과를 발휘하여 교감신경흥분제로서 작용하는 물질을 말한다.
아드레날린 수용체를 α 및 β로 분류하는 것은 이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 개념은 여러 작용 부위에서 일련의 교감신경흥분제의 활성순에 기초한 것으로 각 수용체에 대한 특정 블로킹제가 개발되었을 때 크게 강화되었다. α 수용체와 관련된 기능은 주료 혈관수축 및 산동이다. β 수용체는 예컨대 혈관확장, 심계촉진, 기관지이완, 내장이완 및 지방분해, 포도당신생 증가등과 같은 대사효과를 중개한다. 2가 주요한 유형의 β 수용체, 즉 β1 및 β2가 알려져 있다. 여러 조직중 이들 수용체 유형의 분포는 현재 충분히 밝혀져 있지는 않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β1 수용체는 주로 심장에 분포하는 반면 β2 수용체는 기관지와 혈관계 및 간과 췌장의 평활근 조직에 분포한다. 지방세포상의 β 수용체는 β1과 β2가 혼합된 반면 골격근에는 실제로 β2 수용체만 분포한다. 최근 다른 유형의 β 수용체가 존재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따라서, 래트의 갈색 지방세포중의 β아드레노 수용체는 β1 타잎도 β2 타잎도 아니다(14).
본문에서 발열화합물이나 발열화성 화합물은 살아있는 동물내에서 대사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즉,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화합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화합물은 치료 활성적인 2가지 상이한 부류의 물질, 즉 β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로 된 한 부류와 크산틴으로 된 또다른 부류에서 발견된다. 본문에서 치료 활성적인 물질이라는 용어는 설치류를 제외한 동물, 특히 인간, 영장류 및 가축과 같은 포유류에 있어서 국소 또는 전신 효과를 내는 생리적 또는 약리적 활성 물질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직접 또는 간접으로 작용하는 발열활성 및/또는 식욕감퇴성 β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의 예로는 에페드린, 살부타몰, 테르부탈린, 클렌부테롤, 이소프로테레놀, 메타라미놀, 에틸레프린, 노르에페드린 및 슈도에페드린, 요힘빈, 타이라민, 암페타민, 신나메드린, 히드록시에페드린, 메틸에페드린, 메펜테르민, 페닐에프린, 닐리드린, 이속수프린 및 디에틸프로피온이나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또는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에페드린의 한가지 사용 구체예는 (1R, 2S)-2-메틸-아미노-1-페닐-1-프로판올, (1R, 2S)-2-메틸아미노-1-페닐-1-프로판올 및 그의 배합물중에서 선택된 L-에페드린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그룹에는 또한 이 화합물들의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염 및 전구약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활성 크산틴으로는 카페인, 테오브로민, 테오필린, 아미노필린, 아세피필린, 에토필린, 프록시필린, 디프로피린, 콜린, 테오필리네이트, 엔프로필린, 바미필린, 부필린, 에타미필린, 헵타미노아세필리네이트, 피메필린, 니코티네이트, 프로테오브로핀 및 숙사미도필린과 같은 메틸크산틴 또는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착체 또는 유도체를 들 수 있다. 특히 카페인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에는 염산염, 황산염, 질산염 및 초산염과 같이 강한 무기산이나 약한 유기산이 포함된다.
본문에서, 전구약물(prodrug)이라함은 생변환가능한(bioreversible) 약물 유도체를 말하는 것으로, 생변환가능한 유도체는 그 자체로는 치료적으로 불활성이지만 생명체내에서 효소적 또는 비효소적 경로에 의해 활성 약물로 전환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 화합물의 적합한 전구약물의 예에는 모약물의 하나이상의 반응군을 적절히 생변환 유도시켜 얻어진 화합물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열 화합물의 약리적 허용가능한 착체에는 벤조산나트륨 카페인이 포함된다.
L-에페드린의 등온 발열량에 기초하고(β아고니스트가 L-에페드린이 아닌 경우) 카페인의 등온 발열량에 기초하여(크산틴이 카페인이 아닌 경우) 산출했을 때 2 발열화합물이 중량비 약 1:8 내지 1:24, 바람직하게는 약 1:8 내지 약 1:20, 특히 약 1:8 내지 1:18, 특히 약 1:10 내지 약 1:16, 예컨대 약 1:12의 비율로 배합된 본 발명에 따른 배합물을 설치류를 제외한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특히 바람직하게는 사람에게 투여하면 초-부가적인(supra-additive) 발열효과를 얻는다.
2 화합물의 배합물의 초-부가적인 효과는 위약 제어 임상연구 이중맹 시험에서 사람 지원자에게 이 화합물들을 각각 별도로 그리고 배합하여 투여한 후 발열효과를 측정하여 인식할 수 있다. 본문에서, 초-부가적인 발열효과(SAE : supra-additive thermogenic effect)는 2가지 약물의 배합물의 실제 발열효과(AEC : actual effect of the combination)와 이 배합물의 추정 발열효과(PEC : predicted theremogenic effect of the combination)사이의 비율로 정의한다. PEC는 β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예컨대, 에페드린)의 발열효과와 메틸크산틴(예컨대, 카페인)의 발열효과를 더하여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발열효과는 개별적으로 측정하여, 각 약물의 효과는 위약효과에 대해 각각 보정한다. 초-부가적인 효과의 실제값은 다음 방정식을 이용하여 백분율로 나타낼 수 있다 :
식중 분모의 ┃PEC┃는 PEC의 절대치이다.
이러한, 위약-통제하의 이중맹 임상시험 연구결과, 측정된 초-부가적인 발열효과는 상술한 바와 같이 계산했을때, 단독의 치료제로서 별도의 투여한 성분들의 각 발열활성의 합보다 대개 약 10% 이상 더 높게, 특히 약 30% 이상 더 높게, 더욱 바람직한 경우 약 50%이상, 특히 바람직한 경우 약 70%이상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적으로 의미있는 상기-부가적인 발열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배합사용된 두 약물은 L-에페드린의 등온발열량(β아고니스트가 L-에페드린이 아닌 경우)과 카페인의 등온발열량(크산틴이 카페인이 아닌 경우)에 기초하여 계산할 때 β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와 크산틴이 중량비율이 약 1:8 내지 약 1:24, 바람직하게는 약 1:8 내지 약 1:20, 특히 약 1:8 내지 약 1:18, 특히 약 1:10 내지 1:16, 예컨대 약 1:12의 비율로 존재하여야 한다.
본문에서 2가지 이상 화합물의 등온발열량이라 함은 단식 환자에게 경구 투여후 총 체에너지 소비를 동인한 정도까지 증가시키는 투여량을 말한다. 이 연구는 건강한 자원자에 대해 수행되어야 하며 총 체에너지 소비는 투여후 적당한 시간에서의 상기 기준치(베이스라인)위의 곡선의 통합부분으로서 계산한다. 이 곡선은 시간에 대한 에너지 소비를 플로팅하여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제약 조성물은 필수 활성 성분으로서 에페드린과 카페인을 중량비 약 1:8 내지 약 1:24, 바람직하게는 약 1:8 내지 약 1:20, 특히 약 1:8 내지 1:18, 특히 약 1:10 내지 1:16, 예컨대 약 1:12로 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치료 투여범위는 치료될 동물의 크기 및 요구도 그리고 특정 질병 또는 증상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말해서, 다음의 지침에 따르는 것이 만족스럽다. 경구 투여의 경우, L-에페드린이나 기타 직접 또는 간접 작용하는 발열활성 및/또는 식욕-감퇴 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 예컨대 β아고니스트의 양은 L-에페드린의 등온발열량에 기초하여 산출할 때(β아고니스트가 L-에페드린이 아닌 경우) 단위투여당 약 10-40㎎, 특히 10-30㎎, 예컨대 단위투여당 약 16-17㎎이다. 이 투여량은 1일 1 내지 10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약 8회, 특히 2 내지 약 4회 주어질 수 있다. 이 투여량범위는 유리 염기 형태의 L-에페드린에 기초한 것이다. 예컨대 에페드린 염산염의 해당 투여량 범위는 유리 염기 형태의 에페드린과 염산염 형태의 에페드린의 분자량의 차이를 고려하여 산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유리염기 형태의 에페드린 1㎎은 1㎎×(에페드린 염산염의 MW/에페드린의 MW)=1㎎×1.20=1.20㎎의 염산염 형태의 에페드린에 상당한다.
경구 투여에 있어서, 카페인 또는 기타 크산틴의 양은 카페인의 등온발열량에 기초하여 산출할때(크산틴이 카페인이 아닌 경우) 단위투여당 약 80㎎-19g, 특히 약 80㎎-720㎎, 특히 80㎎-500㎎, 예컨대 180㎎-220㎎이다. 투여는 1일 1 내지 약 10회, 바람직하게는 1일 2 내지 약 8회, 특히 2 내지 약 4회로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경구, 직장, 코, 국소(피부) 또는 비경구 투여경로와 같은 적절한 경로에 투여하기 위해 조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조성물은 정제, 캡슐제, 현탁제, 유제, 용액제, 주사제, 좌제, 분무제, 에어로졸제 및 기타 적당한 형태일 수 있다.
경구용 제제에는 활성 성분을 비독성의 제약적으로 허용되는 부형제와 혼합 함유하는 정제가 포함된다. 이들 부형제로는, 예컨대, 탄산칼슘, 염화나트륨, 락토스, 인산칼슘 또는 인산나트륨과 같은 불활성 희석제 ; 감자전분 또는 알긴산과 같은 과립 및 붕해제 ; 전분, 젤라틴 또는 아카시아와 같은 결합제 ;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스테아르산 또는 탈크와 같은 윤활제를 들 수 있다. 기타 약리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에는 색소, 풍미제, 가소제, 보습제등이 포함된다. 정제는 임의로 붕해 및 위장관에서 흡수를 늦추고 그에따라 더 오랜 기간동안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공지기술에 의해 코팅하거나 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나 글리세릴 디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시간 지연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경구용 조제는 또한 츄잉 정제나 또는 예컨대 탄산칼슘, 인산칼슘 또는 카올린과 활성성분이 혼합된 경질 젤라틴 캡슐, 또는 활성성분이 예컨대 낙화생유, 액체 파라핀 또는 올리브유와 같은 오일 매질이나 물에 혼합되어 있는 연질젤라틴 캡슐제로 제조될 수 있다.
물의 첨가에 의해 수성 현탁액을 만들기에 적합한 분말, 분산성 분말 또는 과립 역시 본 발명의 바람직한 투여 형태이다. 현탁액으로서의 제제는 활성성분을 분산 또는 습윤제, 현탁제 및 하나 이상의 보존제와 함께 혼합물로서 제공한다. 적절한 분산 또는 습윤제로는 예컨대 레시틴과 같은 자연 발생적인 인지질이나 에틸렌 옥사이드와 예컨대 지방산, 즉 긴 지방족 알코올 사슬 또는 지방산으로부터 유도된 부분 에스테르와의 축합 생성물 및 헥시톨 또는 무수 헥시톨,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스테아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모노올리에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등을 들 수 있다. 적절한 현탁제로는, 예컨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나트륨, 메틸셀룰로스, 알긴산나트륨등을 들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은 또한 통상적인, 비독성의 제약성 허용되는 담체 및 보존제를 함유하는 제제나 투여형태로서 비경구적으로(정맥내, 근육내, 피하등)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의 제제화 및 처방은 제약조제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특정 조제화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교재에서 참고로 할 수 있다.
비경구 사용을 위해,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발열 화합물을 멸균 주사제 형태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발열 화합물을 비경구용으로 허용가능한 액상 담체에 용해 또는 현탁시킨다. 허용가능한 담체 및 용매로는 물, 염산, 수산화나트륨 또는 적절한 완충제를 적량가하여 pH를 적당히 조정한 물, 1,3-부탄디올, Ringer'액 및 등장성 염화나트륨 용액을 들 수 있다. 수성 조성물은 또한 한가지 이상의 방부제, 예컨대, 메틸, 에틸 또는 n-프로필 p-히드록시벤조에이트를 함유할 수 있다.
직장 투여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적절한 투여 형태에는 좌제(유제 또는 현탁제 타잎) 및 직장용 젤라틴 캡슐(용액 또는 현탁제)이 포함된다. 전형적인 좌제 조성물에서는, 발열화합물을 코코아 버터, 에스테르화 지방산, 글리세린화 젤라틴, 및 여러가지 수용성 또는 분산성 염기, 예컨대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와 같은 적당한 제약적으로 허용되는 좌제 베이스에 결합시킨다. 촉진제나 계면활성제와 같은 여러가지 첨가물도 혼입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코에 적용하기 위한 전형적인 투여형태에는 코스프레이 및 흡입용 에어로졸이 포함된다. 전형적인 코 조제에서는, 적절한 담체에 활성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시킨다.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및 부형제와 조성물에 존재하는 임의의 기타 제약상 허용되는 물질, 예컨대, 희석제, 촉진제, 풍미제, 방부제등은 모두 제약조제 분야의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통상적인 제약실무에 따라 선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약 조성물은 또한 마이크로스피어 및 리포좀을 포함하여 통상적인 비독성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및 부형제를 함유하는 투여 형태 또는 조제로서 경피 흡수를 위해 피부에 국소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제에는 크림, 연고, 로션, 찰제, 겔, 하이드로겔, 용액, 현탁액, 페이스트, 반창고 및 기타유형의 경피 약물 전달계가 포함된다.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부형제에는 유화제, 황산화제, 완충제, 방부제, 보습제, 침투촉진제, 킬이팅제, 겔형성제, 연고 베이스, 향료 및 피부 보호제가 포함된다.
유화제의 예로는 예컨대 검 아카시아, 또는 검 트라가탄트와 같은 자연발생 검류, 대두 레시틴 및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 유도체와 같은 자연발생 인지질을 들 수 있다.
황산화제의 예로는 부틸화 히드록시아니솔(BHA), 아스코르브산 및 그의 유도체, 토코페롤 및 그의 유도체와 시스테인을 들 수 있다.
방부제의 예로는 파라벤 및 염화 벤잘코늄을 들 수 있다.
보습제의 예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소르비톨 및 요소를 들 수 있다.
침투촉진제의 예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DMSO, 트리에탄올아민,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2-피롤리돈 및 그의 유도체,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알코올 및 Azone을 들 수 있다.
킬레이팅제의 예로는 소듐 EDTA, 시트르산 및 인산을 들 수 있다.
겔 형성제의 예로는 Carbopol, 셀룰로스 유도체, 벤토아니트, 알기네이트, 젤라틴 및 PVP를 들 수 있다.
연고 베이스의 예로는 밀랍, 파라핀, 세틸 필리테이트, 채종유, 지방산의 소르비탄 에스테르(Span),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지방산의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산화에틸렌간의 축합 생성물, 예컨대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리에이트(Tween)를 들 수 있다.
상술한 조성물의 조성 및 제제화는 제약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특별한 조성예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에서 참조할 수 있다(15).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약 조성물은 β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와 크산틴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배합 생성물로 된 것이다. 즉, 정제의 경우, 한 정제가 2가지 활성 성분의 혼합물로 되는 경우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2가지 별도의 용기, 즉, 한 용기는 β아드레날린 화합물 투여 형태를 함유하고 다른 한 용기는 크산틴 화합물의 투여형태를 함유하는 2가지 별도의 용기로 된 하나의 패키지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품에는 실제로 두 약물을 동시에 사용하는데 필요한 지침서가 동봉되어 있어야 한다. 2가지 투여형태는 동일할 수도, 상이할 수도 있으나, 두형태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β아드레날린 제제와 크산틴의 배합물을 설치류를 제외한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류, 특히 사람에게 투여하는 것으로 되는 의료 목적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개체, 특히 사람의 체중과다나 비만을 치료하는 방법 또는 개체, 특히 사람이나 가축에 있어서 지방조직 체중/지방이 없는 조직체중 비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다.
본문에서 체중과다라는 용어는 신체가 바람직한 체중을 초과하는 중량을 갖는 경우를 가리키는 반면, 비만이라는 용어는 바람직한 체중을 20%이상 초과하는 경우 사용된다. 사람에 있어 바람직한 체중은 Council on Scientific Affairs(1)에 주어져 있으며 이 문헌은 Metropolitan Height and Weight Tafles에 따라 중간-크기의 사람 범위의 중간점으로서 바람직한 체중을 규정하고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체중과다나 비만의 합병증인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에도 관한다. 이들 질병 또는 증상으로는 당뇨병 타잎 Ⅱ, 과콜레스테롤혈증, 과트리글리세리드혈증 및 고혈압이 포함된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또한 개체에게 식이요법을 시킴으로써 지방조직체중/지방없는 조직체중 비율을 줄이는 방법 또는 체중과다나 비만 또는 이의 합병증을 치료하는 방법에도 관한다.
본 발명 조성물의 투여와 병용될 수 있는 식이요법에는 저탄수화물, 저지방 및 저에너지 식이, 예컨대, 800-2500kcal/l일의 식이요법이 포함될 수 있다.
또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또다른 체중과다나 비만 또는 그의 악화된 질환 치료를 위한 제약조성물 제조를 위한 β아드레날린제와 크산틴의 배합물의 용도에도 관한다.
수의 용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동물의 퍼포먼스(일일 체중 획득량 및 사료 이용성)를 개선하거나 사체 품질을 개선하거나 또는 이 두가지 모두를 위하여 가축에게 투여할 수도 있다. 사체 품질은 지방조직체중/지방 없는 조직체중 비율을 저하시킴으로써, 즉, 지방이 차지하는 체중의 비율을 감소시키고 살코기의 체중 함량을 증가시킴으로써 일반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이러한 퍼포먼스 및 사체 품질의 개선은 지방 유착 감소 및/또는 골격근 유착 증가에 의해 야기되는 것으로 제안되어 왔다. 발육중의 동물에 있어서, 지질 존재량은 지방분해 및 지방형성의 상대적인 비율에 의해 좌우되는 것으로 제안된다(46). 지방조직에 있어서 지방분해의 촉진 및/또는 지방형성 억제는 지방 유착을 감소시킬 것이다. 돼지와 반추동물에 대한 생체내 및 시험관내 연구는 (47-50) 특정 β아고니스트가 지방조직에서 지방분해를 촉진하고 지방형성을 억제하여 지방유착을 감소시킨다는 것을 나타낼 수도 있다.
골격근의 유착은 단백질 분해 억제나 단백질 합성 증가와 관련될 수 있다. 이전의 연구는 단백질 합성 또는 분해에 미치는 β아고니스트의 효과를 조명하기 위해 특정 β아고니스트에 대해 수행되었으나(51,52) 현재, 단백질 유착에 대한 정확한 착용 양식은 완전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동물에게 투여하면, 특히 돼지, 수퇘지, 소, 양 및 가금류와 같은 가축에 있어서, 체내 지방을 줄이고 지방이 없는 몸체 매스를 증가시키는데 유용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동물의 크기에 상응하는 적절한 투여량으로 하여 사료와 혼합하여 투여할 수 있다.
에페드린염산염과 같은 β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와 카페인과 같은 크산틴의 배합물로 된 조성물은 분말 형태(동물에게 일상적으로 공급하는 사료인 식용 분말과 잘 혼합된 분말)로 하여 경구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용 분말은 특정 동물의 최적 성장에 일반적으로 추천되는 단백질, 지방 및 비타민을 함유하거나 또는 분말을 동물이 치료에 의해 단백질 합성이 증가하는 경우 이용될 단백질 공급을 충분히 하도록 단백질을 약간 과량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경구 및 비경구 투여용 조성물은 물론 가축에게 투여할 수도 있다. 경구 투여용 조성물은 그대로 투여할 수도 있고 식용사료와 혼합하여 투여할 수도 있다.
β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와 크산틴간의 중량비는 대체로 약 1:8 내지 1:24, 바람직하게는 약 1:8 내지 약 1:20, 특히 약 1:8 내지 1:18, 특히 약 1:10 내지 1:16, 예컨대 약 1:12의 범위이다. 그러나, 최적 효과(즉, β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와 크산틴의 초-부가 효과나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비율은 특정화합물 및 특정 동물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β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와 크산틴의 배합물의 1일 투여량은 투여경로와 치료받는 동물종에 의존한다. 대체로, 에페드린 염산염의 1일 투여량은 체중 ㎏당 0.005-50㎎, 바람직하게는 약 0.05㎎-20㎎이고, 카페인의 1일 투여량은 체중 ㎏당 0.04-1200㎎, 바람직하게는 0.5-500㎎이다.
지방조직체중/지방 없는 조직체중 비율은 특정 동물의 사체를 절단한 후 지방이 차지하는 체중을 살코기가 차지는 체중으로 나눈 값으로 정의한다.
예컨대 체중 456㎏의 발육중인 황소는 약 174㎏의 살코기, 약 31㎏의 지방 및 약 45㎏의 뼈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지방조직체중/지방 없는 조직체중 비율은 약 0.17이다. 예컨대 체중이 약 90㎏인 돼지는 보통 약 35㎏의 살코기, 약 20㎏의 지방 및 약 7㎏ 뼈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돼지에 있어서 상기 비율은 0.57이다. 그러므로 지방조직체중/지방이 없는 조직체중의 보통 범위는 특정동물종에 따라 다르며 사체 품질의 개선은 대상동물의 평균 비율치에 비해 상기 비율치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에페드린과 카페인의 배합물을 경구투여한 후 정상적인 비율치로부터 5%이상, 바람직하게는 10%이상의 감소가 예상된다.
다음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A]
에페드린 및 카페인을 함유하는 캡슐의 제조
에페드린과 카페인을 함유하는 캡슐을 다음의 성분으로 제조하였다 ;
상기의 양은 캡슐당 주어진 것이다.
성분들을 사별하고, 혼합한 다음 캡슐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젤라틴 캡슐에 충진시켰다.
[실시예 1B]
에페드린 및 카페인을 함유하는 정제의 제조
습식 과립화를 포함하여 정제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표 1에 나타낸 다음 성분으로부터 에페드린과 카페인을 함유하는 정제를 만들었다.
필요시, 후속단계에서 정제를 상법에 따라 코팅시킬 수 있다.
[실시예 1C]
에페드린 및 카페인을 함유하는 정제의 제조
직접 압착에 의해 정제제조에 통상 이용되는 방법을 이용하여 다음 표 2에 나타난 성분으로부터 에페드린과 카페인을 함유하는 정제를 제조하였다.
필요시, 후속단계에서 상법에 따라 정제를 코팅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카페인, 에페드인의 별도 및 배합시 발열효과의 투여량-반응연구
이 연구는 The Institute of Medical Physiology C. Panum Institute, University of Copenhagen, 덴마크에서 행하였다.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선택된 투여량의 카페인, 에페드린 및 이들의 배합물과 발열, 심장혈관 및 대사효과의 관계를 시험하는 데 있다.
[연구 구상]
연구는 2 파트에 대해 행하였다. 첫번째 파트는 위약-통제하고, 3가지 상이한 투여량의 카페인, 3가지 상이한 투여량의 에페드린 및 2가지 위약 샘플의 효과에 대해 이중맹시험을 하였다. 시험의 순서는 완전히 무작위적이지는 않았으나, 잔여(carry-over)효과를 테스트할 수 있게 하는 순서로 조직하였다.
첫번째 파트로부터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이한 투여량의 카페인 및 에페드린의 3가지 배합물을 선택하여 무작위, 이중맹 시험으로 계획된 두번째 파트에서 테스트하였다.
이 연구의 두 파트에서 지원자들은 동일하였으며, 이 계획에 의해 어떠한 편견도 없이 무작위 블록으로서 모든 시험을 간주하여, 2가지 시도로부터의 데이타를 직접 비교할 수 있었다.
[대상 선정]
20세에서 32세의 연령층의 정상체중을 가진 건장한 지원자 6명(남녀 3명씩)을 동의를 얻은후 시험에 포함시켰다. 지원자 6명의 평균 연령은 25(±1)세, 신장 179(±11)㎝ ; 체중 70(±13)㎏ ; 체중과다 백분율, -1.7(±8.3)% 및 체지방, 13(±3)㎏이었다. 괄호안의 숫자는 표준편차이다. 체중과다 백분율은 Metropolitan Life Insurance Company(1)의 바람직한 중량 표에 주어진 평균 프레임의 중간점(MMF : midpoint of medium frame)을 이용하여 개인의 체중(IBM : Individual body weight)로부터 산출하였다.
체지방 함량 평가는 각각 다른 2일에 Harpender caliper로 이두근, 삼두근, 하견갑골 및 상장골 피부를 이중 측정하여 행하였다(16). 커피를 1일 1-2컵(카페인100-200㎎)보다 더 많이 습관적으로 음용하는 사람은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지원자에게는 시험약물을 제외하고는 어떠한 약물의 복용도 금지시켰다. 지원자 6명 모두 연구를 완수하였다.
[투여 치료]
A. 에페드린 염산염을 각각 10㎎, 20㎎ 또는 40㎎ 함유하는 에페드린 캡슐 치료.
B. 카페인을 각각 100㎎, 200㎎ 또는 400㎎ 함유하는 카페인 캡슐 치료.
C. 실시예 1A에 따라 에페드린 염산염과 카페인을 각각 (20㎎+200㎎), (20㎎+100㎎) 및 (10㎎+200㎎) 함유하는 에페드린 및 카페인 캡슐 치료.
D. 활성 성분없는 위약 캡슐 치료.
모든 캡슐은 외형 및 맛이 모두 동일하였으며, 불활성 충전제로는 락토스를 이용하였다.
캡슐은 단일 투여제로 수돗물(20℃) 300㎖와 함께 경구적으로 삼키게 하였다.
[연구 계획]
지원자 각각에게 모든 치료를 행하였다. 2가지 연속적인 테스트는 적어도 3일의 간격을 두고 행하였다.
테스트를 시작하기 전에, 지원자들에게 시험전 적어도 12시간 동안은 커피, 차 및 흡연과 같이 자극제를 함유하는 식품 및 카페인을 섭취하지 말라고 주의시켰다. 또한, 테스트전에는 신체 활동을 시키지 않았다.
테스트 물질의 섭취를 감독하고 섭취전후의 메틸크산틴 대사물의 혈장농도를 측정하여 순응성을 조절하였다. 이 분석의 결과적인 기준치(baseline value)를 이용하여 지원자가 프로토콜에 따라 자극물이나 음식물에 함유된 카페인 섭취를 삼가했음을 증명하였다.
연구에 앞서, 호흡향진등을 예방하기 위해 지원자(연구에 포함된 실험대상)들이 실험과정에 익숙해지도록 하였다.
연구 개시전 적어도 60분전에 채혈을 위해 녹색 Venflon 카테테르를 antecubital vein에 경피적으로 삽입하였다. 매 채혈후 등장 염화나트륨 용액(154mmol/l)을 주입함으로써 연구하는 동안 카테테르를 열어놓았다. 실온은 25-27℃로 유지시켰다.
연구진행중, 환자들은 반드시 눕게 하였으나 수면은 허락하지 않았다. 에너지 소비 및 카테콜아민 수준에 신체 활동이 조금이라도 영향을 끼치는 것을 막기 위해 자세 변화나 움직임은 허락하지 않았다.
주전 정맥으로부터 기질, 대사물 및 호르몬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 전혈 샘플을 채취하였다. 혈액샘플은 캡슐섭취(제0시간)에 대해 -30, 0, 30, 60, 90, 120, 150 및 180분에 채취하였다. 대상자들은 저-저항 Scuba 일방 마우스피쓰를 통해 호흡하였다. 적용한지 약 10분후, 호기(呼氣) Douglas백에 10분간 수집하였다. 매 채혈후 이렇게 호기를 수집하였다.
[효능 평가]
[에너지 소비]
사람의 에너지 소비는 직접 열량측정을 통해 매우 정확히 측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것은 매우 값비싼 장비를 요구하고 체내의 열저장 변화로 인해(17) 발열제의 단기간 효과를 평가하는데는 이용할 수 없다. 열적으로 안정하고 평온한 조건하에서는 간접 열량측정(산소 소비 및 이사노하탄소 제거 측정)과 직접 열량 측정이 휴지중의 사람에 있어 거의 동일한 결과를 나타낸다(17). 산소소비 및 이산화탄소 제거에 있어 재현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간접 열량측정은 매우 정확한 기술인 것으로 증명되어왔다. 또한, 간접 열량측정의 상이한 기술 비교결과 환기된 후드, 안면 마스크 및 마우스피쓰가 유사한 결과를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18). 1일간격 및 1주일 간격을 두고 휴지중의 에너지 소비에 있어서의 편차계수는 후술하는 기술에 의할때 2.4% 및 2.2%인 것으로 밝혀졌다.
에너지 소비는 간접 열량 측정에 의해 측정하였다. Godart Rapox Oxygenmeter와 Beckman LB-1 Medical Gas Analyzer를 이용하여 내쉬는 숨의 산소 및 이산화탄소 함량을 계속 분석하였다. 말기-호흡 이산화탄소 분획이 일정할때는 호흡 정상상태가 존재하는 것으로 간주하였다. 호기를 Douglas백에 수집하고 산-염기 분석기(PHM 71, Copenhagen, Denmark)에 연결된 Radiometer 기체-전극으로 산소 및 이산화탄소의 함량을 분석하고, 호기 용량을 가스 미터로 측정하였다. 낮은 편차계수의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 사용전에, 즉 호기분석을 위한 매 샘플링 이전에 공지 조성물의 표준 기체로 기체 전극을 적절히 조정하였다. 기체 분획에 대한 측정오차가0.0005%가 되도록, 즉, 호기의 측정 오차가 ±0.1-0.2%가 되도록, Scholander 미세기술을 이용하여 표준 기체를 분석하였다(19). 본 연구에 사용된 기구는 반복된 시간 측정에서의 편차 계수가 ≤3%인 것으로 나타났다. 소변의 질소로부터의 정확한 보정을 생략함에 의한 에너지 소비 계산상의 오차는 무시해도 될만한 것이었으므로, 고정 단백질 이화를 상정하였다(20). 드 노보 지방합성을 고려하여 에너지 소비를 산출하였다(21).
[실험 방법]
내재 주전 캐뉼러를 통해, 빙냉 시린지로 혈행 정지없이 혈액을 채취하였다. 다음 혈액 샘플을 4℃에서 원심분리하고 이 혈액샘플로부터 비에스테르화 지방산(NEFA)를 즉시 추출하여 (22)에 설명된 바와 같이 후에 측정하였다. 혈장중의 글루코스 농도를 글루코스 산화효소법(23)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혈장중의 글리세롤의 농도는 Laurell 및 Tibbling(24)의 방법으로 측정하며, 혈장중의 락테이트의 농도는 Noll(25)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혈장중의 트리글리세리드 농도는 Giegel(26)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메틸크산틴 대사물 측정용 혈액샘플을 감소된 글루타치온 및 에틸렌 글리콜-비스(β-아미노에틸)-N,N,N',N'-테트라아세트산(EGTA)을 함유하는 시험관에 채집하였다. 샘플을 즉시 원심분리하고 메틸크산틴 측정을 수행할 때까지 이 혈장을 -40℃에서 저장하였다(실시예 4 참조). Novo사(Copenhagen)로부터 구입한 방사능면역분석 키트를 이용하여 혈장샘플중의 면역반응성 인슐린, 췌장 호르몬과 메틸크산틴 대사물 측정을 위한 모든 혈장 분액에 암호를 달고 분석 순서에 기인하는 어떠한 착오도 피하기 위해 무작위순서로 분석하였다. 혈장 샘플중의 나트륨 및 칼륨 농도를 플레임 분광공도계로 측정하였다.
[안정성 평가]
맥파기록기 a.m. Riva-Rocci에 의해 오른쪽 팔에서 동맥 혈압을 측정하고 동측 요골 동맥중의 주변 심장박동을 촉진함으로써 심장박동을 측정하였다. 이 측정은 매 채혈후 수행하였다.
PyMaH사(Copenhagen)에 의해 제조된 Trimline기구를 이용하여 동맥 혈압을 측정하였다. 12-14㎝폭의 가압대를 이용하였다. 혈압계 압력을 20mmHg에서 서서히 점진적으로 저하시키고 최초의 Korotkoff음을 최고 혈압으로서 기록하였다. Korotkoff음질이 똑똑거리는 소리에서 둔탁하게 변화할때 최소혈압을 혈압계 압력으로서 측정하였다.
실제 테스트 물질을 경구투여하는 각 연구 말기에, 실험 대상자에게 부작용 느낌을 질문하여 평가하였다.
[통계분석]
반응곡선의 통합 수치면적(부등변사각형 접근)과 기준치에 의해 결정된 사각 면적의 차이로서 각 대상자에 있어서 시험 물질에 대한 반응을 각각 평가하였다. 에페드린과 카페인 배합물의 예측적, 이론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평균 위약 반응을 공제한 후 단일 투여 반응을 첨가하였다. 통계분석전에 각 대상자에 대해 이 계산을 개별적으로 행하였다. 동일 실험에서의 실험기간의 차이와 상이한 자극(테스트 물질)에 대한 반응 사이의 차이를 시험하기 위해 무작위 블록에 대해 차이의 이중분석을 행하였다(28). 2 평균치를 비교하기 위해 Post-Hoc 시험을 적용하였다(28). 한쌍의 t-시험을 이용하여 2 위약기간으로부터 얻은 데이타를 비교함으로써 가능한 잔여효과를 평가하였다. P0.05 값이면 유의적인 것으로 고려하였다. 선형 복귀 및 상관분석을 표준법으로 수행하였다(28). 모든 결과는 평균치 ±평균치의 표준오차(SE)로서 표시한다.
프로토콜 편차나 중도탈락은 없었다.
[결과]
[효과 평가]
[에너지 소비 및 호흡률]
2가지 위약 테스트에 있어서 기준 에너지 소비치는 각각 1.10±0.08kcal/분 및 1.09±1.10kcal/분이었다. 일일간 변화계수는 2.4%였다. 표 3에 발열효과를 3시간의 연구동안 2가지 위약 테스트에 있어서의 평균 에너지 소비로서 표시하였다. 평균 에너지 소비는 곡선 아래의 면적으로서 산출하고 투여전 값은 기준 값이다(즉, 표 3에 위약에 대한 통합 반응을 나타냈다).
[에페드린]
에페드린 염산염과 위약을 상기한 투여량으로 경구 투여한 후 기준치 이상의 에너지 소비 및 통합 반응에서의 변화를 제1도에 나타내었다. 에페드린 염산염을 10, 20 및 40㎎ 투여한 후의 평균적인 에너지 소비는 각각 16.0±10.9kcal/3시간(p=0.016), 6.3±5.3kcal/3시간(무의미) 및 12.1±4.9kcal/3시간(p=0.05)로서 위약의 경우보다 모두 컸다. 상이한 처리 및 위약사이의 에너지 소비율을 표 4에 나타내었다.
a) 에페드린 염산염 형태로 투여
b) 투여량은 에페드린 염산염의 ㎎으로서 주어진 것임
복용후 3시간이 지날때까지 에너지 소비가 기준치로 돌아오지 않았으므로 이들값은 최소수치이다. 또한, 투여량과 발열반응사이에는 명확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카페인]
상이한 투여량의 카페인과 위약을 경구 투여한 후 기준치 이상의 에너지 소비 및 통합 반응에서의 변화를 제2도에 나타내었다. 카페인을 100, 200 및 400㎎ 투여한 후의 평균적인 에너지 소비는 각각 9.2±5.7kcal/3시간(p=0.11), 7.2±6.0kcal/3시간(p=0.17) 및 32.4±8.2kcal/3시간(p0.001)로서 위약의 경우보다 모두 높았다(표 4). 전술한 바와 같이, 복용후 3시간이 지날때까지 에너지 소비가 기준치로 되돌아오지 않았으므로 이값들은 최소 수치이다. 선형회귀 분석은 카페인 투여량과 혈장 농도 기준치 이상의 통합반응사이에 유의적인 선형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투여전 값을 기준치로 한다. p=0.000015. 마찬가지로, 카페인 투여량과 발열반응(에너지 소비)(p=0.006)사이에도 유의적인 관계가 발견되었다.
[에페드린과 카페인과의 배합물]
에페드린과 카페인과의 배합물을 투여량을 달리하여 투여한 후 기준치 이상의 통합반응 변화를 제3도에 나타내었다. 에페드린/염산염 및 카페인의 투여량을 (10㎎ 및 200㎎), (200㎎ 및 100㎎) 그리고 (200㎎ 및 200㎎)으로 하여 투여한 후, 평균적인 에너지 소비는 각각 16.6±7.4kcal/3시간, 13.9±2.7kcal/3시간 및 24.0±8.6kcal/3시간으로서, 모두 위약의 경우보다 모두 컸다(표 4). 복용후 3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에너지 소비가 기준치로 돌아오지 않았으므로, 이 값들은 최소수치이다.
에페드린과 카페인을 따로따로 투여했을 때의 결과에 기초하여, 이들을 배합물로 경구투여한 경우의 예측되는 발열반응(에너지 소비)은 각 지원자에 대해 β아고니스트(에페드린)의 개별적인 발열효과에 메틸크산틴(카페인)의 개별적인 발열효과를 플러스 한 값에서 위약의 발열효과를 두배한 값을 공제하여 산출할 수 있다. 표 5에 실제 위약-보정된 발열 반응 및 예측치를 나타내었다. 위약-보정은 실제 처리에 의한 총 발열반응에서 위약치를 뺌으로써 행한다.
a) 에페드린 염산염으로서 투여
b) 평균
c) 표준오차
d) 10/200이란 이 조성물이 에페드린 염산염 100㎎과 카페인 200㎎을 함유함을 가리킨다.
*) p값은 예측된 발열반응과 위약-보정된 발열반응사이의 통계차를 나타낸다.
예측반응과 실측 반응의 비교는 10/200과 20/100이 예상했던 것보다 조금 더 낮거나 유사한 발열효과를 가짐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 차이들은 무의미하다. 그러나 측정된 효과 (24.0±8.6kcal/3시간)은 예측된 효과(12.3±10.9kcal/3시간, p=0.02)보다 유의미하게 높았기 때문에, 20/200 배합물을 투여한 후에는 분명히 초-부가적인 발열효과가 있다(초-부가적 발열효과의 정의에 관해서는 실시예 3 참조). 예측치에 비해 측정된 평균치에 있어서 훨씬 낮은 표준오차가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에페드린, 카페인 및 이들의 배합물은 발열활성을 갖는다. 에페드린 염산염 20㎎과 카페인 200㎎을 함유하는, 에페드린과 카페인과의 조성물을 경구 투여한 후에는 초-부가적 발열효과가 증명된 반면, 나머지 에페드린과 카페인과의 기타 조성물(10/200 및 20/100)은 단비 부가 효과만을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실험에서 호흡률이 저하하였는데 이것은 약물에 의해 유도된 에너지 소비가 증가된 탄수화물 및 지질 산화에 기인한 것임을 가리킨다.
[안정성 평가]
[부작용]
카페인 400㎎(p0.01)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활성 화합물들 및 위약 투여후 부작용은 발생하지 않았다. 카페인 400㎎은 이후의 제2부 연구에서 제외시켰다. 40㎎투여량의 에페드린 염산염 역시 제외시켰는데 이는 수축 혈압과 심박도수가 과도하게 상승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카페인 400㎎ 및 에페드린 염산염 40㎎으로 처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심각한 치료 부작용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방법]
혈청 글루코스, 혈청 비에스테르화 지방산(NEFA) 및 글리세롤에 대한 값에서만 모든 치료에 대한 영향 변화가 관찰되었다.
[혈청 글루코스]
위약에 비해, 카페인 뿐아니라 에페드린의 경구투여는 과혈당효과를 일으켰다. 이 효과는 에페드린 염산염 20 및 40㎎에 대해 똑같이 일반적으로 현저했다. 에페드린과 카페인과의 이 배합조성물은 예측된 효과와 크게 다르지 않은 효과를 가졌으며 20/200 배합물은 가장 뛰어난 반응을 나타내었다.
혈청 비에스테르화 지방산 및 글리세롤
에페드린과 카페인 그리고 이들의 배합물을 경구 투여하자 혈청중의 NEFA 및 글리세롤 농도가 증가되었는데, 이는 아마도 단식에 의해 유도된 지방분해의 결과인듯 하다.
요약 :
1. 에페드린과 카페인은 두가지 모두 발열활성을 지니며,
2. 에페드린과 카페인의 발열 효과는 20㎎ 에페드린 염산염 및 200㎎ 카페인으로 된 에페드린과 배합물의 제약 조성물을 경구 투여한 후 강화된다.
상기 특정 배합물은 초-부가적 발열 활성을 나타낸다.
[실시예 3]
초-부가적이기 위한 상승 작용을 위해 만족되어야 할 조건 두가지 화합물의 배합물의 초-부가적 발열효과(SAE : supra-additive thermogenic effect)를 인식하기 위해, 건강한 자원자를 대상으로 이들 화합물의 발열효과를 별도로, 그리고 배합하여 실제로 측정한다. 이 테스트는 이중맹 방식으로, 위약-조절하여 수행하여야 한다.
정의 :
AEC(Actual effect combination) : β아고니스트(예컨대, 에페드린) 및 메닐크산틴(예컨대, 카페인)과의 배합물의 측정된 발열효과 마이너스 위약 반응, 발열효과는 복용후 적어도 3시간 동안 기준치 이상의 에너지 소비에 있어서의 통합된 증거이다.
PEC(Predicted effect of combination) : 각각 개별측정된 β아고니스트(예컨대, 에페드린)의 발열효과와 메틸크산틴(예컨대, 카페인)의 발열효과를 플러스한 값에서 위약의 발열효과의 2배치를 마이너스한 값.
자유도 2로 주어질때 반복 측정 3이 되도록, 즉, ACEPEC, 반복 측정의 분산의 2방 분석에 의해 통계 평가를 수행하나, 2방 시험에 의한 유의수준 p0.05
실제 SAE의 백분유 값은 다음 식으로 산출할 수 있다 :
상기중 분모의 ┃PEC┃는 PEC의 절대치이다.
실시예 2의 표 5에 나타난 데이타를 상기 정의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다음 표 6을 얻고, 이를 제3도에 도시하였다.
a) ㎎에페드린 염산염/㎎카페인으로 주어짐
통계 분석에 의해, 20/200 배합물에서 중요성이 발견되었다(p=0.02)
[실시예 4]
건강한 자원자에 있어서 에페드린/카페인 배합 정제 대 에페드린 정제와 카페인 정제의 생체 이용성 연구
이 연구는 DAK-Laboratoriet, 코펜하겐에서 수행하였다.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1) 에페드린/카페인 배합 정제로부터의 에페드린 및 카페인의 흡수량과 단일 약물 정제(각각, 에페드린 정제 및 카페인 정제)의 흡수량을 비교하고 2) 에페드린과 카페인을 배합 정제로 하여 동시에 투여한 후 가능한 약물 상호작용을 약동학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다른 정제들을 경구 투여한 후 T½(생물적 반감기), Tmax(최대 약물 혈장농도 시간) 및 Cmax(최대 약물농도)등의 약동학적 변수를 비교하는데 있다.
[연구 구상]
개방적, 무작위적, 교차시도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원자들을 6명씩 2블록으로 나누었다. 각 지원자에게 적어도 6일의 간격을 두고 세가지 상이한 정제를 단일 투여하였다.
[지원자]
13명의 건강한 성인 지원자를 연구에 포함시켰다. 이중, 지원자 1명은 카페인 금단 증상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 연구 시작 다음날부터 연구에 참여하지 않았다. 12명의 지원자가 연구에 끝까지 참여하였으며(남성 3, 여성 9), 이들의 평균 연령은 37세(28-42세), 평균 체중은 66㎏(50-82㎏ 범위)이고 평균 신장은 167㎝(159-179㎝)였다. 모든 지원자들은 동의를 표시하였다. 4명의지원자는 담배를 하루에 약 20개피, 1명은 1-3개피 피우고 그리고 7명은 전혀 흡연하지 않았다.
다음의 대상자 제외 기준을 이용하였다 :
- 임신 또는 수유부 또는 임신을 원하는 여성
- 경구용 피임구를 포함하여 장기적으로 의약(단, 비타민과 미네랄은 제외)을 복용한 지원자.
- 정제중의 어느 화합물에 대해서는 공지의 알레르기를 갖는 지원자.
- 책임있는 연구자가 판단할때
a) 지원자의 건강,
b) 연구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급성 또는 만성 질환이 있는 지원자.
- 연구 개시전 2주일 동안 혈액을 기증한 지원자.
- 순종형이 아닌 것으로 여겨지는 지원자.
- 예비 실험 측정시 임상적으로 심각한 이상이 있는 지원자.
치료에 앞서, 연구자중 1명이 지원자 전원을 대상으로 혈압, 심박도수 및 ECG 측정등 통상적인 측정을 행하였다. 다음 실험 테스트를 위해 혈액 시료를 채집하였다 ; 헤모글로빈, 백혈구, ASAT, LDH,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아밀라제 및 크레아티닌. 뇨시료를 이용하여 당, 혈액 및 알부민을 정량 테스트하였다.
다음의 실험치를 정상범위로 삼았다 :
헤모글로빈 : 남성:8-11mmol/l, 여성:7-10mmol/l; 백혈구:3-9×10 /l; ASAT:10-40U/l; LDH:200-450U/l; 알칼라인 포스파타제:50-275U/l; 아밀라제:70-300U/l; 및 크레아티닌:60-130μmol/l
의사가 판정할때 모든 지원자는 건강한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정되었으며,이들의 실험치는 정상범위에 들었다.
지원자중 어느 누구도 대상제 제외 기준에 들지 않았다.
[투여치료]
A : 카페인 정제 200㎎, 정제당 카페인 200㎎을 함유하는 DAK
B : 에페드린 정제 20㎎, 정제당 에페드린 20㎎을 함유하는 DAK
C : 에페드린/카페인 정제 20/200㎎, 에페드린 염산염 20㎎과 카페인 200㎎을 함유하는 DAK, 이 정제는 실시예 1B에 따라 제조하였다.
모든 정제물은 중량, 외형 및 맛이 모두 동일하였다.
[연구 계획]
약물
1정을 오전 8시 30분에 물 150㎖와 함께 복용하였다.
음식물
지원자들은 연구하는 날에는 오전 7.00시 이전에 가벼운 아침식사를 하도록 하였다. 이 가벼운 아침식사에는 버터 및 가능하게는 잼이 발린 빵 2장, 쥬스, 물 또는 기타 카페인 무함유 음료(유제품 제외)가 포함되었다. 오전 7.00시부터 가벼운 표준 중식을 들게되는 오후 1.00시까지 지원자는 아무것도 먹지 못하게 하였다. 오전 10.00시 이후에는 음료수는 허용하였다. 중식후에는, 지원자들은 마음껏 먹고 마실수 있게 하였다.
제한
연구 3일전부터(72시간), 그리고 연구 제2일에 최후로 채혈할때까지 지원자들은 카페인이 든 음식 또는 음료를 섭취하지 못하게 하였다. 카페인이 들어있는 음식물 또는 음료는 다음의 것들일 수 있다. 모든 종류의 초콜렛 제품뿐 아니라 커피, 차, 코코아, 콜라 또는 카페인이 함유된 기타 음료.
지원자들은 시료채취 1일전(24시간) 및 채취기간중에 알코올 음료는 마시지 못하게 하였다.
연구기간동안 지원자들은 흡연습관을 바꾸지 않게 하였다.
기타 약물처리
연구일 3일전부터, 그리고 연구일 동안에는 어떠한 약물도 허용하지 않았다.(비타민과 미네랄은 제외).
[시료채취]
혈액 채취
약물 투여전 및 약물 투여후 다음 시간대에 정맥 천자(vein puncture)(VenFlon 기술, 처음 12시간 동안)를 이용하여 16가지 혈액 시료를 채취하였다. 15, 20, 45, 60분, 1.5, 2, 3, 4, 6, 8, 10, 12, 24, 28 및 32시간.
혈액 시료를 빛을 차단한채 30분간 방치한 다음, 30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혈청을 다른 바이알에 옮기고 분석때까지 냉동시켰다.
소변 채취
정제 B와 정제 C 섭취후 소변을 채취하였다. 정제 A 섭취후에는 채뇨하지 않았다.
약물 투여 직전 및 약물 투여 후 다음 시간대에 목이 넓은 갈색 유리에 소변 분획을 채취하였다: 0-3, 3-6, 6-9, 9-12, 12-24, 24-32 및 32-48시간.
뇨시료를 실온에 도달하게 하였다. 채취기간 24시간 내에 총용량 및 pH를 측정하고, 시료의 한 분액을 적은 바이알에 옮겨 담아 분석할 때까지 냉동하였다.
[시료 분석]
혈청중의 카페인 분석
Williams등(29)의 방법에 따라,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혈청중의 카페인 및 대사 테오브로민, 테오필린 및 파라크산틴 농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방법은 이동상, 파장, 추출 및 가드 컬럼을 약간 변형하여 이용하였으며 내부 표준은 포함되지 않았다 :
혈정 200㎕를 0.1M염산 200㎕로 산성화하고 5.0㎖ 2-프로판올 : 디클로로메탄(1:9 v/v)와 함께 와동시켰다 : 유기상 4㎖를 원심분리후 새로운 바이알에 옮기고 질소 흐름 하 45℃에서 증발건조시켰다. 전사를 200㎕ 멸균수에 재용해시키고 50㎕를 크로마토그래피 시스템에 주입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 명세
컬럼 : Lichrosorb RP8(10㎛) (250㎜×4.6㎜, 내경). Bondapack C-8/corasil(37-50㎛)을 함유하는 가드 컬럼(23㎜×3.9㎜, 내경)이 구비됨.
기구 : Waters Assoc. Chromatgraphy pump M6000A, Waters Assoc. Model 450 가변 파장 검색기, UK6 주입기 및 Servogor Z10 프린터.
이동상 : 테트라히드로퓨란-물(4.2:95.8 v/v)
유속 : 2㎖/분
파장 : 270㎚
압력 : 3000 PSI
컬럼온도 : 25℃
AUFS : 10mV에서 0.01-0.02-0.04-0.1
체류시간 : 테오브로민 2.8분, 파라크산틴, 3.6분, 테오필린 3.9분, 카페인 5.2분
시료중의 카페인, 테오필린, 파라크산틴 및 테오브로민의 농도는 개인 자신의 표준곡선(0-1-5-10㎍/㎖)으로부터 개인의 블랭크 값을 공제한후 산출하였다.
표준곡선은 1-10㎍/㎖에서 선형이었으며, 4화합물의 혼합물의 첨가량을 함유하는 혈청에서의 회수율은 4화합물(0.2㎍/㎖)을 모두 함유하는 수용액에 비했을 때 83%(테오브로민), 81%(파라크산틴), 90%(테오필린) 및 99%(카페인)이었다. 실제 측정범위의 상대 표준편차는 3.2%(테오브로민), 4.9%(파라크산틴), 4.4%(테오필린) 및 5.7%(카페인)이었다. 검색한계는 0.04㎍/㎖(테오브로민), 0.06㎍/㎖(테오필린 및 파라크산틴), 및 0.08㎍/㎖(카페인)이었다.
혈청 시료는 냉동고(-20℃)에서 5주일 이상 분해되지 않고 저장될 수 있었다.
소변중 에페드린 분석
Lurie(30) 및 Lai등(31)의 조합 방법을 이동상, 가드 컬럼 및 추출법등의 관점에서 약간 변형시켜 이용하여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PHLC)에 의해 소변중 에페드린 및 대사 노르에페드린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내부 기준은 이용하지 않았다 :
소변 2㎖를 5% 수산화칼륨 0.5㎖로 염기성화 하고 5㎖ 헥산 : 디클로로메탄(60:40v/v)과 함께 와동시켰다. 원심분리 후, 유기상 3.5㎖를 새로운 바이알에 옮겨담고 0.1M 염산 100㎕와 함께 와동한 다음 질소 흐름하, 40℃에서 증발 건조시켰다. 잔사를 100㎕ 물에 재용해시키고 50㎕를 크로마토그래피 계에 주입하였다.
크로마토그래피 명세
컬럼 : μBondapak C-18(10㎛) (300㎜×3.9㎜, 내경). Bondapack C-/corasil(37-50㎛)을 함유하는 가드 컬럼(23㎜×3.9㎜ 내경)이 구비됨.
기구 : Waters Assoc. Chromatgraphy pump Model 510, Waters Assoc. Model 440 Absorbance detectors, UK 6 주입기 및 Servogor Z10 프린터.
이동상 : 메탄올 : 0.02Mn-술폰산 나트륨염;1% 아세트산 acid(35:64:1 v/v)
유속 : 2㎖/분
파장 : 254㎚
압력 : 2500 PSI
컬럼온도 : 40℃
AUFS : 10mV에서 0.005-0.01-0.02-0.05-0.1
체류시간 : 에페드린 9.5분., 분노르에페드린 8.6분
각 지원자의 개별적인 소변 표준 곡선(0-5-10-50㎍/㎖)으로부터 시료중의 에페드린 및 노르에페드린 함량을 산출하였다.
표준곡선은 0-50㎍/㎖ 범위에서 직선이었고, 2가지 화합물(50㎍/㎖) 수용액에 비해 2가지 화합물의 혼합물 첨가량을 함유하는 소변에서의 회수율은 87%(에페드린) 및 36%(노르에페드린)이었다. 실제 측정범위의 상대 표준편차는 6.6%(에페드린) 및 7.7%(노르에페드린)였다. 검색 한계는 0.3㎍/㎖(에페드린) 및 0.6㎍/㎖(노르에페드린)이었다.
소변 시료는 냉동고(-20℃)에서 적어도 3주일간 분해되지 않고 보관할 수 있었다.
안정성 평가
혈압 및 심박도수를 투여전 및 투여후 2시간, 4시간 후에 측정하였다.
약물의 나쁜 영향은 지원자에 의해 자발적으로 보고되었다. 이벤트의 증상, 개시시간, 기간 및 정도(약함, 보통 또는 심함)가 기록되었다.
약동학 계산
카페인 및 대사물
카페인 및 그의 대사물, 테오브로민, 및 파라크산틴의 최고농도(Cmax) 및 최고 농도에 이르는 시간(Tmax)을 기록하였다. 혈청농도-시간곡선 아래의 총면적(AUC-∞)을 부등변사각형 툴에 의해 측정하고 C시간(투여후 32시간에서의 혈청농도)부터 무한대까지는 C시간을 ke(제거율 상수)로 나눔으로써 외섭하였다. 심플렉스법(SIMPFIT)(32)을 이용하여 곡선 고정에 의해 AUC-∞, 제거반감기(T½), 평균체류시간(MRT), 카페인의 흡수 반감기(T½), 파라크산틴의 대사 반감기(T½)을 산출하였다.
AUC-∞을 ke에 의해 더욱 보정하여 상이한 치료일에 있어서의 제거율 차이를 정착시켰다.
에페드린 및 노르에페드린
48시간 내의 소변에 배설된 에페드린 및 노르에페드린의 실제량(Ae ), 최대분비율(△Ae/△t) 및 최대 분비율에 이르는 시간()을 계산하였다.
통계 분석
모든 약동학 변수 및 대수 전환 변수에 대해 SAS, GLM으로 2중분석 분산을 수행하였다. 실제 혈압 및 심박도수 측정대신 심장혈관 데이타에 대해 차이(2-0시간), (4-0시간), 및 (4-2시간)에 대해 동일 분석을 행하였다.
결과
카페인 및 대사물
12명의 지원자에게, 각각 카페인 정제 200㎎ 및 에페드린/카페인의 정제 20/200㎎을 투여한 후, 카페인, 테오브로민 및 파라크산틴의 혈청농도(㎍/㎖)를 측정하였다. 또다른 대사물인 테오필린은 검색되지 않았다(즉, 테오필린은 검색 한계 농도 0.66㎍/㎖ 미만의 농도로 존재하거나, 존재하지 않았다). 평균치를 제4도에 나타냈다.
표 7에 평균 및 S.D.(표준 편차), p-값 계산치, 이중분석분산(SAS.GLM)을 나타내어, 곡선 및 곡선 고정에 의해 카페인, 테오브로민 및 파라크산틴의 약동학 변수를 실었다.
a) 20㎎ 에페드린 염산염 및 200㎎ 카페인
2 정제제제(카페인 정제 200㎎ 및 에페드린/카페인 정제 20/200㎎)투여 후 파라크산틴의 T만이 유의차를 나타내고, 기타 모든 변수는 무의미하였다(p0.05).
에페드린 및 노르에페드린
12명의 지원자에게 에페드린 정제 20㎎ 및 에페드린/카페인 정제 20/200㎎을 투여한 후 적절한 채취 간격에 배설된 에페드린 및 대사물 노르에페드린(㎎)의 양 및 48시간 후에 분비된 총량(㎎) 및 채취간격에 배설된 소변 용량을 측정하였다. 또한, 소변 시료의 pH도 측정하였다.
제4도는 에페드린 배설률의 평균 곡선을 도시한다.
에페드린 저해제 20㎎ 및 에페드린/카페인 정제 20/200㎎ 정제를 각각 투여한 후 약동학 변수
표 8에 에페드린 및 에페드린에 대한 Ae , △Ae/△t및를 평균치 S.D., p-값, 이중분석 분산(SAS.GLM)에 대해 산출하였다.
노르에페드린 △Ae/△tmax만이 유의적이었고, 기타 변수는 무의미하였다(p0.05)
그러므로, 이 연구는 카페인 정제 200㎎ 및 에페드린/카페인 정제 20/200㎎으로부터의 카페인의 흡수(즉, 흡수량 또는 흡수율) 및 에페드린 정제 20㎎ 및 에페드린/카페인 정제 20/200㎎으로부터 에페드린 흡수가 어떠한 유의차를 전혀 나타내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다른 말로 하면, 에페드린과 카페인 사이에는 약동학적 상호작용이 전혀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20㎎ 에페드린 염산염과 200㎎ 카페인의 배합물로부터의 배합물을 경구 투여한 후 관찰된 초-부가적 효과(실시예 2 참조)는 실제 초-부가적 효과이며 이 배합물 정제를 투여한 후의 에페드린 및 카페인의 약동학의 변화에 기인한 것은 아니다.
더우기, 카페인 및 에페드린 또는 이들의 대사물 사이에는 임상적으로 중요한 약동학적 상호작용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결국 에페드린과 카페인을 함유하는 배합물 정제 투여후 독성 대사물은 축적되지 않을 것이다.
[실시예 5]
에페드린, 카페인 및 위약 정제와 비교한 에페드린/카페인 배합 정제(EFK)와 비만증 환자에 대한 체중감량 효과 및 안정성의 이중맹, 조절연구
이 연구는 Hvidovre Hospital University of Copenhagen, 덴마크에서 수행하였다.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1) 비만증 환자에 있어서 에페드린, 카페인 및 위약 정제에 비교한 에페드린/카페인 배합 정제(EFK)의 체중 감량 효과 및 안전성을 연구하고, 2) 에페드린과 카페인의 배합물이 체중감량에 초-부가적 효과를 갖는지를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 구상
이 연구는 2×2 팩토리알 계획으로 4 치료그룹에 대해 이중맹, 무작위, 병행 연구로서 구상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시도 약물 치료하고 24주일간 4.2MJ/일 식이 처방하였다.
환자 선정
20% 내지 80% 체중과다의 20-65세 연령층의 환자 180명이 포함되었다. 이들은 동의를 표시하였다.
배제된 대상자들은 :
1) 고혈압(확장 혈압이 110mmHg가 넘는) 환자 및/또는 이뇨제 이외의 항고압 치료를 받는 환자,
2) 임신 또는 수유부, 또는 임신을 원하는 여성,
3) 시도약물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상이한 질환이 있거나, 또는 시도약물이 환자의 건강에 잠재적인 위험을 끼칠 수 있는 경우, 예컨대, 약물 흡수를 지연시킬 위장질환 ; 부정맥, WPW 증후군 및 비보상 심장질환과 같은 심장질환 ; 치료가 요구되는 심각한 내분비계 질환(타잎 Ⅰ 당뇨병) ; 또는 갑상선 질환에 걸린 환자,
4) 지난 5년간 정신질환, 약물중독등 악성 질환(기저세포암 제외)에 걸린 환자,
5) 연구 개시전 14일간 체중과다를 조장하는 것으로 알려진 약물로 치료받거나, 모노아민 옥시다제 저해제 치료를 받은 환자,
6) 화장적 수술을 제외하고, 체중과다 치료를 위한 외과수술을 받은 환자
7) 지난 3개월 동안 경구 피임제를 바꾸거나 연구에 들어가기 전달에 테오필린 또는 메틸크산틴 치료를 받은 환자,
8) 연구에 참여하면 환자의 건강이 해치게 될 것으로 보이는 비정상적 실험결과를 보인 환자, 및
9) 연구 개시전 2개월간 살빼는 치료를 개시하여 8㎏이상을 뺀 환자들이었다.
그러나, 혈청중 트리글리세리드산 및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가 증가된 사람은 제외하지 않았다.
141명이 연구를 마쳤다 : EFK(에페드린과 카페인의 배합), 에페드린 및 위약 그룹에 35명씩 그리고 카페인 그룹에 36명이었다. 시작 환자중 39명이 중도에 연구참여를 그만두었는데, 이중 6명은 의약품 부작용에 의해서 였고 ; 3명은 EFK 그룹, 1명은 에페드린 그룹 그리고 2명은 카페인 그룹에서 탈퇴하였다. 모든 경우, 철회 또는 탈락이 치료실패, 의약품 부작용, 비정상적 실험치, 질환 합병증, 임신, 비순응, 연구에 참여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 등등에 의한 것인지를 기록하였다. 의약품 부작용, 비정상적 실험치, 이상혈압 또는 ECG 변화에 의해 환자가 중도 탈락한 경우, 이들 증상이 사라질때까지 이들을 관찰한 다음 적어도 3개월간 한달 간격으로 이들과 접촉하였다.
투여 치료
A. EFK 그룹 : 실시예 1B에 따라 제조된 20㎎ 에페드린 염산염과 200㎎ 카페인과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EFK 정제.
B. 에페드린 그룹 : 20㎎ 에페드린 염산염을 함유하는 에페드린 정제.
C. 카페인 그룹 : 200㎎ 카페인을 함유하는 카페인 정제.
D. 위약 그룹 : 활성 약물 성분이 없는 위약 정제.
이 정제들은 중량, 외관 및 맛이 모두 동일하였다.
매일 3회씩 4.2MJ/일 식사 1시간 전에 1정씩 복용토록 하였다. 이 식사는 NUPO단백질 영양분말(33)(1.6MJ/일)과 나머지는 자유로이 선택된 음식(2.6MJ/일)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식사를 24주일간 계속시켰다.
연구 기간중, 체중과다 또는 비만의 기타 치료는 허용하지 않았다. 연구 약물과 반응하지 않을 거라고 의사가 판단한 치료만 허용하였다. 송환된 정제수를 계수함으로써 순응도를 체크하였다.
연구 계획
연구에 들어가기에 앞서, 환자들에게 연구에 대해 알려주고, 이들의 초기 임상상태를 시험하여 이들로부터 연구에 참여하는데 대한 동의를 얻었다.
카페인 소비 및 부수되는 의약치료와 환자의 연령, 신장, 체중 및 성별을 기록하고, 환자에게 식이를 지시하였다.
매주마다, 환자에게 식이요법을 지시하고 영양사가 체중을 달았다. 환자가 NUPO에 순응적이지 않으면, NUPO이 함유되지 않은 4.2MJ/일 식이로 바꾸었다.
4주일 마다, 환자들은 의사가 검진하였다.
무작위화에 의해, 환자들을 4 치료 그룹에 배정하였다(각각 EFK, 에페드린, 카페인 및 위약). 4 그룹에 있어서의 성 분포는 통계적으로 상이하지 않았다(p=0.09). 환자의 평균 연령은 36세, 평균신장은 167㎝, 평균 체중은 95㎏이고 평균 체중과다%는 51%였다. 4 그룹은 연령(p=0.59), 신장(p=0.48), 체중(p=0.68) 및 %체중과다(p=0.79) 측면에서 필적할만 하였다. 초기의 평균 수축 혈압은 126mmHg, 초기 평균 확장 혈압은 81mmHg였으며 초기 평균 심박도수는 77BPM(분당뛰는 횟수 : beats per minute)이었다. 4 그룹은 초기 수축혈압(p=0.36), 초기 확장혈압(p=0.38) 및 초기 심박도수(p=0.32) 측면에서 서로 엇비슷하였다. 이 4 그룹은 또한 초기 카페인 소비 측면에서도 유사하였다. 즉 1일 커피를 평균 5.8 임의 컵 소비하였다(p=0.20).
효과 평가
체중
영양사 방문시마다 10진 체중계로 환자의 체중을 측정하였다. Seca 전기 저울(모델 707)을 이용하였다. 체중 한계는 200㎏으로, 100g 눈금으로 매겨져 있었다. 매주마다 눈금을 보정하였다.
안정성 평가
주관적 방법
연구자 방문시마다 직접 질문 및/또는 환자의 자발적인 보고에 의해 의약품 부작용을 기록하였다.
실험중지 14일 후, 정신과의사가 이 기간동안 환자가 가졌을 수 있는 모든 불편함을 기록하고 육체적 증상과 심리적 증상을 기록하였다.
객관적 방법
일반 물리 시험
연구에 들어가기 앞서, 연구자들은 모든 환자에 대해 일반적인 물리 시험을 수행하였다.
혈압 및 심박도수 측정
매 4주마다 Trimline 맥박계(PyMaH)를 이용하여 연구자가 혈압을 측정하였다. 적어도 10분간 휴식 후, 환자를 앉힌 자세에서 a.m. Riva-Rocci 환자의 오른팔에서 측정하였다. 14-16㎝의 가압대를 사용하였다. 혈압계가 서서히 점진적으로 200mmHg에서 감소되고 최초의 Korotkoff음을 수축 혈압으로서 기록하였다. Korotkoff음이 똑똑거리는 소리에서 둔탁한 음으로 바뀔때 혈압계에서 확장 혈압을 측정하였다.
우측 관상동맥에서 말초 심박도수를 촉진함으로써 심박도수를 측정하였다.
ECG
치료하기 전 및 치료후 12 및 24주일에 9-리드 ECG를 취하였다. 연구에 2 ECG 기구(Minigraf 3 마이너, Mass., USA 및 MAC1, Marquette Electronics Inc., USA)를 이용하였다. 전달 속도는 25㎜/분 이었다.
실험방법
실험 테스트용 혈액 시료와 뇨시료를 시험 개시전, 개시후 12 및 24주에 채취하였다.
다음 시험을 수행하였다 :
혈액학 변수 : 헤모글로빈, 백혈구 계수 및 혈소판을 분석하고 분화 적혈구를 계수하였다.
혈장 단백질 변수 : 알부민을 분석하였다.
산-알칼리 균형 변수 : 총 중탄산염을 분석하였다.
전해질 변수 : 나트륨 및 칼륨을 분석하였다.
간 변수 : 간 기능을 조절하기 위해 빌리루빈,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락테이트 데히드로게나제(LDH) 및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랜스페라제(ASAT)를 분석하였다.
신장변수 : 크레아티닌과 요산을 분석하였다. 정성 스틱 테스트에 의해 소변을 글루코스, 헤모글로빈 및 단백질에 대해 시험하였다.
대사인자 : 연구 기간중 환자의 글루코스 및 지질대사 변화를 평가하기 위해, 트리클리세리드산(TGA), 콜레스테롤 및 단식 글루코스를 분석하였다.
Department of Clinical Chemistry, Hvidovre Hospital에서 자체의 통상법 및 분석법에 따라, 수행 컬러티 통제와 함께, 소변에 대한 테스트 스트립 및 TGA를 제외하고 모든 임상-화학 분석을 행하였다. 이 방법 및 분석법은 통상적인 것으로 잘 문서화되어 있다(7,40-48). TGA를 분석하고 소변에 대한 테스트 스트립을 상기 동일한 상법(26)에 따라 Hvidovre Hospital의 자체 실험기관인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 Division of Endocrinology에서 평가하였다.
평가 방법
체중 감량의 통계적 분석은 초기체중의 대수에서 실제 방문시 체중의 대수를 마이너스한 것에 기초한다. 이것은 초기 최대체중을 갖고 체중감량을 최대로 한 환자에 기인하는 데이타의 곡해에 의하였다.
통계 분석을 위해, 스튜던트 원-샘플 t-테스트 SAM.GLM을 이용하였다.
분산 분석에 의해 체중과 트리글리세리드산, 콜레스테롤 및 단식 글루코스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초-부가적 효과는 카페인 존재시의 에페드린 효과 마이너스 카페인 부재시의 에페드린 효과로서 표시하였다. 즉, 초-부가적 효과는 EFK의 효과 마이너스 에페드린의 효과, 마이너스 카페인의 효과, 플러스 위약의 효과였다. 데이타를 상기 표현한 대로 대수전환시키자, 음성값이 초-부가적 효과에 상응한다. Nil은 부가 효과에 상응하여 양성값은 서브-부가효과에 해당한다.
일방 분산 분석(SAS.GLM)에 의해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각각의 4 치료그룹에 대해 인구통계 자료를 평균치로서 표시하여 일방 분산 분석(SAS.GLM)에 의해 비교하였다. 각 그룹에서의 최초 환자수(남성 및 여성)를 Chi2-테스트(SAS PROC FREQ)에 의해 비교하였다.
Students' one Sample t-테스트(SAS)에 의해 제12주 및 제24주에서 초기값(제10주)과 혈압, 심박도수 및 실험 데이타의 평균차를 비교하였다. 일방 분산 분석(SAS.GLM)에 의해 특정 방문시 치료그룹들을 비교하였다. 그러므로, 높은 값을 가진 사람이 중도 탈락하면 다음 콘트롤에 실제 차이없이, 영향을 미칠 것이다.
결과
체중감량
카페인 치료그룹중 한 환자는 나머지 환자에 비해 비정상적으로 큰폭의 체중감량을 일으켰다. 24주일 동안 전체 그룹의 평균치가 11.7㎏인데 비해 그는 무려 42.6㎏을 감량하였다. 따라서 이 환자의 결과는 분석에서 제외하였으며 분석을 140명 환자(118명 여성, 22명 남성)에 대해 수행하였다.
모든 4 치료그룹에서 치료 4주후 및 나머지 연구기간동안 환자들이 유의적인 체중감량을 실현하였다. 치료 8주후 EFK로 치료된 환자들은 위약 처리된 환자들에 비해 체중감량이 훨씬 높았다(제5도).
치료 24주후의 상대체중 감량(즉,)은 EFK 그룹에서 82.5%, 에페드린 그룹에서 84.7%, 카페인 그룹에서 87.6%이고 위약 그룹에서 86.5%였다. 표 9에 이를 나타내었다.
a) 그룹들간의 차이, 일방 분산분석(SAS, GLM), 유의값 p가 주어짐
b) EFK 대 에페드린 및 카페인 두가지 모두
에페드린과 카페인을 별도 투여한 후 예측된 체중감량과 비교적으로, EFK 투여후에는 3.5㎏의 예측치 못한 부가적인 체중감량이 발견되었다.
결국, EFK는 위약보다 유의적으로 우수한 체중감량 효과를 가지며 EFK는 에페드린과 카페인의 배합물의 예측된, 이론적으로 평가된 효과에 비해 유의적인 초-부가적 효과를 나타냈으며, 여기서 계산은 두가지 약물을 별도 투여후 표 9에 나타난 데이타에 기초하여 계산한 것이다. 즉, 평균 위약 반응을 공제한 후, 별도 투여 반응을 부가하였다.
안정성 평가
39명의 환자가 연구를 중단하였으며, 이중 6명은 부작용 때문에 연구를 그만둔 것이었다. 74명의 환자가 의약품 부작용에 대해 불평을 하였다 : EFK 그룹에서 27명, 에페드린 그룹에서 20명, 카페인 그룹에서 16명 및 위약 그룹에서 11명이었다. 활성 처리군으로부터 가장 빈번히 보고된 증상은 CNS 증상, 예컨대 불면증, 경련 및 현기증이었다. 빈박, 심계항진, 체위성 저혈압 및 고혈압 역시 보고되었다. 대부분의 의약품 부작용은 연구개시 무렵 보고되었으며 이들은 대개 단기적이었다. 치료 24주후에는 신체적 또는 심리적 금단증상은 없었다. 그러나 몇몇 환자들은 약물 중단후 불편함을 호소하였다. 34명의 환자가 배고픔을 호소하였는데, 카페인 그룹에서 두드러졌다. 마지막으로, EFK 그룹에서는 다른 그룹에서보다 훨씬 많은 환자들이 약물 중단후 피로를 호소하였다.
따라서, 모든 치료그룹에서 심각한 부작용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혈압 및 심박도수 측정
모든 4 치료 그룹에서 치료기간중 수축혈압과 확장혈압이 모두 감소하였다(제6도 및 7도).
제24주에서의 평균 수축혈압 감소는 EFK 그룹에서 4.8mmHg(초기치의 4.0%), 에페드린 그룹에서 8.7mmHg(초기치의 7.0%), 카페인 그룹에서 9.3mmHg(초기치의 7.3%) 및 위약 그룹에서 6.7mmHg(초기치의 5.2%)였다. 각 그룹들간에는 통계적 유의차들 없었으나(p=0.42), 12주 후에는 그룹내의 감소가 두드러졌다.
제24주에서의 평균 확장 혈압 감소는 EFK 그룹에서 5.0mmHg(초기치의 6.3%), 에페드린 그룹에서 6.9mmHg(초기치의 8.6%), 카페인 그룹에서 8.9mmHg(초기치의 11.0%) 및 위약 그룹에서 5.2mmHg(초기치의 6.3%)였다. 수축 혈압에 관한 연구부분의 결과와 유사하게, 각 그룹들간에는 평균 확장 혈압의 통계적 유의차는 관찰되지 않았으나(p=0.36) 12주일 후에는 그룹들간의 평균 확장 혈압 감소가 두드러졌다(p값 0.0001 내지 0.01). 확장 혈압 차이는 12주일 후와 24주일 후 모두에서 모든 환자에 대해 계산된 체중 감량과 관련되어 있다(각각 p=0.01 및 0.03).
그러므로 혈압과 관련할 때, EFK 투여와 식이요법을 병행하면 수축 및 확장 혈압 모두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고 결론지을 수 없다.
제24주에서의 평균 심박도수 감소는 EFK 그룹에서 0.9BPM(초기치의 1.2%), 에페드린 그룹에서 -3.1BPM(즉, 증가)(초기치의 -4.3%), 카페인 그룹에서 5.7BPM(초기치의 7.3%) 및 위약 그룹에서 4.7BPM(초기치의 6.2%)이었다. 제8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치료기간동안 EFK 그룹과 에페드린 그룹에서의 심박도수가 특히 유동적이었다. 치료 12주 및 24주후 4 치료 그룹간의 차이는 p값 각각 0.3 및 0.003으로서 통계적으로 의미있었다. 덧붙여, 제12주 및 24주에서 심박도수 감소와 체중감량의 상관관계는 의미가 있었다(각각 p=0.04 및 0.008).
그러므로, EFK 치료와 식이요법을 병행하면 심박도수를 크게 저하시킬 수 있다.
실험 방법
임상적으로 영향을 미친 변화는 혈청 트리글리세리드산과 단식 혈청 글루코스에 관한 값에서만 관찰되었다. 4가지 모든 치료그룹에서 트리글리세리드 및 단식 글루코스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감소가 관찰되었다. 다음의 표 10 및 11에 이를 나타내었다.
a) 초기치가 주어짐(참조치 4.2-6.2mmol/l)
b) 초기치와의 차이
괄호안의 값은 유의치, p. Students one sample t-테스트(SAS Univariate)
a) 초기치가 주어짐(참조치 0.09-1.41mmol/l)
b) 초기치와의 차이
괄호안의 값은 유의치, p. Students one sample t-테스트(SAS Univariate)
또한, 혈청 트리글리세리드산의 감소는 체중감소와 크게 관련이 되어 있었다. EFK, 에페드린, 카페인 및 위약 그룹의 p-값은 각각 0.07, 0.2, 0.002 및 0.0001이었다.
개략적으로, 치료 24주후 임상적으로 통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1. EFK는 4.2MJ/일 식이요법과 병행시 비만 치료에 효과적이고,
2. EFK는 초-부가적 체중 감소효과를 가지며,
3. EFK 치료는 혈압(수축혈압 및 확장혈압 두가지 모두) 및 심박도수를 저하시키고,
4. EFK 치료는 단식 혈청 글루코스 및 혈청 트리글리세리드 값을 크게 저하시키며,
5. EFK 치료는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중단후 금단증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실시예 6]
체중과다 및 비만 치료에 있어 에페드린/카페인 배합 정제(EFK)의 장기간 효능 및 안정성의 공개 평가
이 연구는 Hvidovre Hospital, University of Copenhagen, 덴마크에서 행하였다.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5.04MJ/일 식이용법과 병행하여 체중과다 또는 비만을 24주일간 치료후 1) EFK 정제의 장기간에 걸친 부작용 프로필을 연구하고 2) EFK의 장기간 효능을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 구상
이 연구는 공개 연구로서 행하였다. 모든 환자에게 EFK로 치료하고 24주일간 5.04MJ/일의 식이요법을 시켰다.
환자 선정
실시예 5에 설명된 24주간의 연구를 의약품 부작용 없이 완수하고, 이에 더하여 2주일간 치료받지 않은 환자가 포함되었다. 또한, 이 환자들은 본 연구 개시무렵 10% 이상 체중과다 상태였다. 따라서, 128명의 환자가 다음의 연구에 참여하였다. 30명은 EFK 그룹, 31명은 에페드린 그룹, 35명은 카페인 그룹, 그리고 32명은 위약 그룹으로 부터 였음.
101명의 환자(85명 여성, 16명 남성)가 50주일간의 총 연구기간을 완수하였다. 27명은 연구중 철회하거나 탈락되었다. EFK그룹으로부터 6명, 나머지그룹으로부터 7명씩.
모든 경우 이러한 중도철회가 치료실패, 의약품 부작용, 비정상적 실험치, 복합질환, 임신, 비순응, 치료에 첨가하는 것에 대한 거부감등의 이유때문인지를 기록하였다. 또한 환자가 자신의 이상적인 체중에 도달했기 때문에 연구를 그만둔 것인지도 기록하였다. 만약, 의약품 부작용이나 비정상적 실험치 때문에 환자가 연구를 철회한 경우, 증상이 사라질 때까지 이들을 계속 관찰한 다음 적어도 3개월 동안 이들과 매달마다 접촉하였다.
다음과 같은 환자들은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
1) 고혈압(확장 혈압이 110mmHg가 넘는) 환자 및/또는 이뇨제를 제외한 항고혈압 치료를 받는 환자,
2) 임신 또는 수유부, 또는 임신을 원하는 환자
3) 치료 약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다른 질환에 걸리거나 또는 치료약물이 환자의 건강에 잠재적으로 위험을 줄 수 있는 경우, 예컨대, 약물 흡수를 지연시킬 수 있는 위장질환 ; 부정맥, WPW 증후군 및 비보상 심장질환과 같은 심장질환 ; 치료를 요하는 심각한 내분비 질환(타잎 Ⅰ 당뇨병) ; 또는 갑상선 질환이 있는 환자,
4) 지난 5년간 악성 질환(기저세포암 제외), 정신질환, 약물중독 또는 약물 의존성이 있는 환자,
5) 연구 개시전 14일 동안 EFK, 에페드린 또는 카페인 이외의 식욕감퇴제, 체중과다를 조장하는 것으로 알려진 약물로 치료를 받거나, 모노아민 옥시다제 저해제로 치료받는 환자,
6) 연구 개시전 3개월간 경구용 피임제를 바꾸거나, 연구 개시전 1개월 동안 테오필린이나 기타 메틸크산틴으로 치료받는 환자
7) 화장 외과수술을 제외하고, 비만을 외과적으로 치료받은 환자,
8) 연구에 참여하면 건강을 해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지는 비정상적 실혐결과를 나타낸 환자.
그러나 혈청 트리글리세리드산 및 혈청 콜레스테롤의 증가된 수준은 환자 배제 대상에 포함하지 않았다.
투여 치료
실시예 1C에 따라 에페드린 염산염 20㎎ 및 카페인 200㎎을 함유하는 EFK 정제.
환자들은 5.04MJ/일 식이요법(34)을 따르게 하고 매일 3회씩 식사 1시간 전에 1정씩 복용토록 하였다.
연구기간중, 여타의 체중과다 또는 비만치료는 허용하지 않았다. 의사상담후 연구 약물과 상호작용하지 않는 치료만 허용하였다.
송환된 정제를 계수하여 순응도를 체크하였다.
연구 계획
연구 개시전, 환자들에게 연구내용을 알려주고 포함 및 배제 기준에 기초하여 적격성 여부를 평가하였다. 환자들로부터 자발적인 동의를 얻었으며, 환자의 체중을 기록하였다.
환자들은 실시예 5에 설명된 연구를 종결한 후 28일 이내에 투약을 시작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5로부터, 환자들의 연령, 성별 및 체중과 부수적 의약 및 총 카페인 소비가 알려져 있으며 이 연구에 예비 연구 평가로서 사용된 변수들도 알려져 있다.
매 4주일마다, 환자들은 영양사와 접촉하였다. 실시예 5의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 주간을 연속해서 주일 계산에 포함시켰다 ; 본 연구에서의 방문은 제 26, 30, 34, 38, 42, 46 및 50주에 이루어졌다. 이들 방문시, 환자들에게 식이를 지시하고 체중을 기록했으며 의약품 부작용에 관해 물어보았다.
이 연구기간중 환자들이 자신의 이상적인 체중에 도달하면, 약물요법을 중단하였으나 영양사와는 계속 만날 수 있도록 하였다.
제 38주 및 50주에, 의사가 이들의 혈압과 심박도수를 측정하고 의약품 부작용과 부수되는 치료의 변화를 기록하였다.
실험 테스트를 위한 ECG 및 혈액 시료를 제50주에 채취하였다.
효과 평가
체중
영양사가 방문시마다 환자를 10진 눈금 저울로 체중을 측정하였다. Seca 전기 저울을 이용하였다(모델 707), 체중 상한가는 200㎏이었으며 100g별로 눈금이 새겨졌다. 매주마다 저울을 눈금조정하였다.
안정성 평가
주관적 방법
간접 질문 및/또는 환자의 자발적 보고에 의해 연구자 방문시마다 의약품 부작용을 기록하였다.
객관적 방법
혈압 및 심박도수 측정
연구자는 제 38주 및 50주에 Trimline 맥박계(PyMaH)를 이용하여 혈압을 측정하였다. 적어도 10분간 휴식 후, 환자를 앉힌 자세로 하여 오른팔 a.m. Riva-Rocci 측정하였다. 14㎝-16㎝의 가압대를 이용하였다. 혈압이 200mmHg로부터 서서히 점진적으로 하강되었고 최초의 Korotkoff음을 수축혈압으로서 기록하였다. 확장혈압은 Korotkoff 음질이 똑똑거리는 소리에서 둔탁한 변할때의 혈압으로서 결정하였다.
역시 제38주 및 50주에, 오른쪽 관상 동맥에서 말초 심박도수를 촉진함으로써 심박도수를 측정하였다.
ECG
제50주에 9-리드 ECG를 취하였다(자세한 내용은 실시예 5 참조).
실험 방법
제50주에 실험 테스트용 혈액 및 소변 시료를 취하였다. 실시예 5에 따른 동일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통계 방법
실시예 5에 설명되 연구에 주어진 의약 치료(즉, EFK, 에페드린, 카페인 및 위약)가 본 연구로부터의 결과에 효능 및 안전성 측면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시험하기 위해 전술한 약물 치료에 대해 자료를 분석하였다(즉, 환자를 실시예 5로부터의 4 치료 그룹에 여전히 배정하였다).
실시예 5에 설명된 통계 분석에 따라 체중 데이타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즉, 기준치(제26주)와의 차이로서 주어진 결과에 대해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는 매 4주 마다의 방문시 얻었다.
Students' 원 샘플-t-테스트(SAS Univariate)를 이용하여 각 치료그룹에 대해 제38주 및 제50주에서의 각각의 혈압과 심박도수의 기준치(제0주)의 평균차 및 제24주 내지 50주의 값을 기준차와 비교하였다. 특정 방문시 치료그룹의 비교는 일방 분산 분석(SAS, GLM)에 따라 행하였다.
실험 데이타 분석은 기준치(제0주)와 제50주의 값의 차이에 기초했다.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추계학적 분산을 막기 위해 기준치로부터의 차이를 이용했다. 결과가 기준치와의 차이로서 주어지지 않으면, 예컨데 연구를 후반에 그만둔 높은 값의 환자가 존재하는 실제 차이없이 다음 콘트롤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따라서, 결과를 곡해할 수 있다. 특이적 특성을 갖는 환자의 수를 기타 모든 연구에 이용하고 Chi -테스트로 분석하였다(SAS PROC FREQ).
결 과
체중 감량
이 연구에서는 환자를 모두 EFK로 처리하였다. 비록 본 연구의 24주일간의 체중감량은 통계적으로는 실시예 5의 연구의 경우보다 훨씬 낮았지만 부가적인 체중 감소가 있다. 그러나, 먼저의 실시예 5의 경우 4.2MJ/일의 식이가 이용된데 비해 본 연구에서는 5.04MJ/일의 식이법이 취해졌음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 5의 연구 말기에서 10% 체중과다 이상의 환자들만 포함되었다. 따라서, 제 0주에 본래 포함된 환자들 전부가 제26주에 개시된 본 연구에 참여한 것은 아니었다.
제 26주에, 전체 환자 집단의 평균 체중은 83.9㎏이었다. 체중 감소는 후속적인 이 연구기간동안 계속되었으며 제 50주에서의 평균 체중감량은 2.2㎏(p=0.0001)이었다. 체중은 제 26주 체중에 비교했을 때 전체 연구동안 훨씬 낮은 것이었다.
전술한 4 치료 그룹(실시예 5)에서의 체중 감소를 비교하고, 모든 치료 그룹을 제 26주부터 EFK 정제로 처리하자, 평균 체중 감소가 EFK 그룹에서는 1.6㎏(p=0.12), 에페드린 그룹에서는 0.8㎏(p=0.33), 카페인 그룹에서는 3.1㎏(p=0.001), 위약 그룹에서는 3.3㎏(p=0.003)이었다. 따라서, 실시예 5의 연구에서 카페인이나 위약으로 치료받은 환자들은 본 연구기간중 부가적으로 체중이 감소된 반면, EFK 및 에페드린군은 단지 경미한 정도로만 체중이 감소되었을 뿐이다. 50주일 후에는 그룹들간에 차이가 없었다.
제 0주(즉 실시예 5의 연구 개시) 및 제 26주(즉, 본 연구 개시)의 기준치로부터의 상대적인 체중 백분율은 각각 제9도 및 10도에 도시하였다. 곡선 경로 때문에 환자들은 실시예 5의 4 치료 그룹에 배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여진다.
결론적으로, 모든 환자들은 체중이 더 감소되었다. 최대 효과는 앞서의 연구에서 처리받지 않거나 카페인 치료된 환자(각각 위약 또는 카페인 그룹)들에서 나타났으며, 이는 EFK가 위약 및 카페인 보다 효과가 월등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안전성 평가
27명의환자가 본 연구중 철회 또는 탈락되었다. 이중 4명은 부작용(카페인 및 에페드린 그룹으로부터 2명) 때문이었고, 2명은 불면증, 1명은 우울증, 신경과민 및 불안, 그리고 1명은 발한 증가, 손가락의 이상감각 및 졸리움 때문이었다. 다른 23명의 환자는 그밖의 이유, 예컨대 비순응, 연구 계속에 대한 거부감, 임신 또는 여러 복합적인 이유(예컨대, 감염성 질환) 때문에 연구를 철회 또는 탈락되었다.
환자의 80%가 의약품 부작용을 불평하였다. 이것은 주로 중추신경 및 심장혈관계와 관련된 것이었다. 부작용의 대부분은 경미하고 단기적이었으며 이들의 대부분(75%)은 연구 초반 무렵에 일어났다.
따라서, EFK 치료에는 심각한 부작용이 관련되지 않았다.
객관적 방법
혈압 및 심박도수 측정
수축혈압 및 확장혈압 모두 50주일의 연구기간 동안 감소하였다.
전체 환자 집단에서는 수축혈압은 치료개시(제 0주)에 비해 제 38주(p=0.0001) 및 제 50주(p=0.0002) 모두에 대해 약 6mmHg 감소하였다. 마지막 24주간의 치료동안에는 수축 혈압이 변화하지 않았다. 50주간의 치료가 끝난후 모든 4 그룹에서 수축혈압이 감소되었다. 그룹간에는 차이가 없었다(p=0.88).
전체 환자 집단에서 확장 혈압은 38주 후에는 약 2mmHg(p=0.02), 50주일 후에는 4mmHg(p=0.0002) 감소하였다. 50주일의 치료후, EFK 그룹에서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지 않았으나(p=0.15) 모든 4 그룹에서 확장 혈압이 감소하였다. 그룹들간에는 차이가 없었다(p=0.57).
38주 및 50주일 후, 전체 환자 집단에 대해 평균 심박도수가 무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실험 방법
변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제 50주와 제 0주 사이의 차이를 이용하였다. 유의적으로 감소된 혈청 트리글리세리드, 단식 글루코스 및 콜레스테롤을(각각 표 12, 13 및 14) 제외하고는, 실험치에 아무변화도 없었다.
a) 초기치가 주어짐(참조치 4.2-6.2mmol/l)
b) 초기치와의 차이
괄호안의 숫자는 유의치, p. Students 원 샘플 t-테스트(SAS Univariate)
a) 초기치가 주어짐(참조치 3.5-8.0mmol/l)
b) 초기치와의 차이
괄호안의 숫자는 유의치, p. Students 원 샘플 t-테스트(SAS Univariate)
a) 초기치가 주어짐(참조치 0.09-1.41mmol/l)
b) 초기치와의 차이
괄호안의 숫자는 유의치, p. Students 원 샘플 t-테스트(SAS Univariate)
대사 인자
단식 글루코스
표 1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식 혈청 글루코스는 크게 저하되었다(10% 초과=0.58mmol/l). 그룹들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콜레스테롤
치료는 50주일 후 혈청 콜레스테롤에 영향을 주었다. 표 13으로부터 보는 바와 같이, 24주일 후에는 큰 변화가 발견되었으나(실시예 5), 제 50주에는, 모든 4 그룹에서 혈청 콜레스테롤이 저하하였다. 이 저하는 실질적이고(약 5%) 유의적이었다(p=0.002). 그룹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트리글리세리드(TGA)
본 치료는 혈청 TGA를 저하시켰다. 표 1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 저하는 실제적이고(약 20%) 매우 유의적이었다(p=0.0001). 그룹들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것과 별도로, 환자 2명은 연구 말기에 빌리루빈치 증가를 나타내었으나, 간에 영향을 준다는 기타 징후는 갖지 않았다.
실시예 5의 결과에 덧붙여, 설명된 개방 평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
1. EFK는 5.04MJ/일 식이법과 병행시, 체중과다 또는 비만증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을 제시하고,
2. 제 0-24주에 EFK 투여후 달성된 체중 감소는 본 연구동안 유지되었으며,
3. EFK 치료에 의해 혈청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 및 글루코스 농도가 유의적으로 저하된다.
[실시예 7]
메틸크산틴 : 테오필린, 카페인 및 배합물의 등온발열 효과 측정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테오필린의 3가지 선정 투여량(50㎎, 100㎎ 및 200㎎), 카페인 200㎎, 카페인 30㎎과 테오필린 50㎎과의 배합물 및 위약의 발열효과의 관계를 시험하는데 있다. 테오필린의 효과에 있어서의 가능한 투여량-반응 관계를 연구하고, 카페인과 테오필린의 등온발열 투여량을 확인한다.
여기서, 2가지 이상 화합물의 등온발열 투여량은 경구 투여후 14시간 단식한 대상자에게 총 체에너지 소비(체에너지 소비는 기준치위로 적어도 3시간 이상 통합된 것임)를 동일한 정도로 증가시키는 투여량이다.
연구 구상
본 연구는 위약-조절, 이중맹 시험으로 구상한다. 테스트 순서는 전적으로 무작위적으로 한다.
대상자 선정
동의를 얻은 후 건강한, 정상체중의 남성과 여성을 포함시켰다.
습관적으로 커피를 하루 1-2잔(카페인100-200㎎) 보다 더 마시는 사람은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지원자들은 연구기간중 시도약물외의 어떠한 약물도 복용하지 못하게 하였다.
투여 치료
A. 테오필린을 각각 50㎎, 100㎎ 또는 200㎎ 함유하는 테오필린 정제치료.
B. 카페인 200㎎을 함유하는 카페인 정제치료.
C. 카페인 30㎎과 테오필린 50㎎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정제치료.
D. 활성 약물을 함유하지 않은 위약 치료.
모든 정제는 중량, 외관 및 맛이 모두 동일하였다.
수돗물 30㎖와 함께 단일 투여로 정제를 경구 투여시킨다.
연구 계획, 에너지 소비 측정 및 다양한 실험 방법 접근으로 이루어지는 효과 평가, 안전성 평가 및 통계 분석은 실시예 2에 상술하였으며, 이를 참조한다.
결 과
얻어진 데이타로부터, 테오필린의 효과는 투여량-반응 관계를 시험하고 테오필린과 카페인의 등온발열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테오필린 50㎎과 카페인 30㎎의 배합물의 발열효과가 결정될 것이다.
[실시예 8]
비만환자 치료에 있어 에페드린/카페인 배합정제(EFK) 대 덕스펜플루라민을 함유하는 Isomeride정제의 일반적 체중-감소 효과에 있어서 예기되는, 무작위, 이중맹 다중-중심 연구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일반적 수행으로 15주일간의 치료 기간동안 에너지 제한 식이와 신체 운동량 증가 프로그램 병행시 EFK(에페드린 염산염 20㎎과 카페인 200㎎의 배합물, DAK) 및 이소메리드(Isomeride: 덱스펜플루라민 15㎎, Servier)의 체중 감소효과와 안전성을 시험하는데 있다.
연구 구상
이 연구는 2 치료 그룹(이소메리드 그룹 및 EFK 그룹)에 대한 이중맹, 무작위, 병행 연구로 구성하였다.
모든 환자에게 15주일간 시도 약물을 투여하고 5.0MJ/일 식이를 처방하였다. 또한, 환자들에게 신체운동량을 증가시키도록 지시하였다.
환자 선정
남성과 여성을 포함하여 103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53명은 이소메리드 그룹에, 50명은 EFK 그룹에 포함시켰다. 일반 개업의로부터 환자들을 모집하였다. 환자들은 10 센터로부터 포함시켰다. 환자들의 주요 부분은 3 센터(67명)로부터, 나머지 7 센터는 각각 4-7 환자들을 포함하였다.
이들은 20% 초과, 80% 미만의 체중과다 증상이 있는 18-75세 연령층의 환자들로서 이들은 동의를 표시하였다.
대상자에서 다음의 환자들을 제외하였다 :
1) 지난 2개월간 식욕감퇴제 치료를 받은 환자,
2) 약물 흡수를 방해할 위장 질환에 걸린 환자,
3) 임신 또는 수유부, 또는 임신을 원하는 여성,
4) 지난 5년간 악성 질환(기저세포암종 제외)을 앓았던 환자,
5) 화장수술을 제외하고, 비만치료를 위해 외과치료를 받은 환자,
6) 이전, 또는 현재에 약물 중독 도는 알코올 중독인 환자,
7) 치료적 처치를 요하는 질환, 타잎 Ⅰ 당뇨병(IDDM) 또는 갑상선 질환과 같이 심각한 내분비 질환을 앓는 환자,
8) 치료 개시 14일전 모노아민 옥시다제 저해제로 치료받은 환자,
9) 예컨대, 리튬, 밸프로에이트, 트리시클릭 항우울제 또는 신경이완제와 같이, 체중과다를 조장하는 것으로 알려진 약물로 치료된 환자,
10) 치료 개시전 3개월 동안 에스트로겐 치료를 바꾸었던 환자,
11) 지난 2개월간 체중을 8㎏ 이상 감량한 환자,
12) 고혈압(이완 혈압 115mmHg 이상) 환자 및/또는 이뇨제외의 항고혈압제로 항고혈압 치료를 받을 필요가 있는 환자,
13) 부정맥, WPW 증후군 또는 비보상 심장질환등의 심장질환 환자,
14) 이전 또는 현재, 녹내장을 앓는 환자,
15) 이전 또는 현재, 정신질환이 있거나 정신질환 치료를 받은 환자,
81명의 환자가 연구를 끝마쳤다 : 이소메리드 그룹에서 43명, EFK 그룹에서 38명.
22명의 환작 중도에 연구를 그만두었다 : 이소메리드 그룹에서 10명, EFK 그룹에서 12명. 그만둔 환자중 8명의 의약품 부작용에 의해서였다 : EFK 그룹 6명 및 이소메리드 그룹 2명. 5명의 환자를 효과 평가에서 제외시켰는데, 이는 2회의 콘트롤 방문사이에 7-10 주일이 경과하였기 때문이다. 나머지 탈락자는 기타 이유(치료 실패, 의약품 부작용(ADR), 합병증, 임신, 비순응, 거부감)로 생겼다.
연구를 마친 81명에 대해 체중 데이타를 분석한 반면, 기타의 데이타는 개별적인 콘트롤 방문시 모든 환자에 대해 분석하였다.
투여 치료
A. 실시예 1C에 따라 제조된 에페드린 염산염 20㎎ 및 카페인 200㎎을 함유하는 EFK 배합 정제.
B. 활성 약물이 없는 위약 정제.
C. 덱스펜플루라민 15㎎을 함유하는 이소메리드캡슐제.
D. 활성 약물이 없는 위약 캡슐제.
정제와 캡슐제는 각각 중량, 외관 및 맛이 같았다.
치료 그룹 :
Ⅰ : 1일 3회 EFK 정제 1정 및 1일 2회 위약 캡슐제 1캡슐.
Ⅱ : 1일 2회 이소메리드캡슐제 1캡슐 및 1일 3회 위약 정제 1정
투여량
15주일 동안 아침에 1정 및 1캡슐, 점심에 1정, 저녁에 1정 및 1캡슐을 복용시켰다.
연구기간 동안, 체중과다나 비만을 위한 기타 치료는 허용하지 않았다. 일반 개업의와 상담후 연구 약물과 상호작용하지 않는 치료만 허용하였다. 송환된 캡슐제와 정제를 계수함으로써 순응도를 체크하였다.
연구 계획
연구에 들어가기 앞서, 환자들에게 연구에 대해 설명하고 시도 기준에 따라 환자들을 포함시키기 위해 이들의 초기 임상상태를 시험하였다. 환자들로부터 연구에 참여한다는 동의를 자발적으로 얻었다.
부수되는 의약에 따른 환자의 연령, 신장, 체중 및 성별을 기록하고, 환자에게 식이법과 운동을 지침을 전달하였다. 또한, 혈액 시료를 채취하여 적절한 임상 변수를 체크하였다.
제 1주, 제 3주 및 매 3주마다 환자의 체중, 혈압 및 심박도수를 콘트롤 방문시 기록하고 환자에게 식이법과 운동지침을 전달하였다.
최근의(제 1주) 최초 콘트롤 발문시, 혈액 샘플로부터 실험치의 결과를 평가하였다. 비정상치인 경우, 그 환자를 제외시켜야 할 것인지를 의사가 결정하였다.
치료 제 0주 및 15주에 혈액 샘플을 채취하였다.
무작위화에 의해 환자들은 2 치료 그룹으로 나누었다. 2 그룹간의 성별 분포는 통계적으로 다르지 않았다(p=0.52). 환자의 평균 연령은 42세, 평균 신장은 167㎝, 평균 체중은 91㎏이고, 평균 체중과다%는 46%였다. 2 그룹 신장(p=0.62), 체중(p=0.37) 및 체중과다%(p=0.56) 측면에서 필적할만 하였다. 이소메리드 그룹의 환자들이 EFK 그룹보다 더 젊었고, 이소메리드 그룹과 EFK 그룹의 평균 연령은 각각 39세 및 46세였다(p=0.003). 초기 평균 수축 혈압으 이소메리드 그룹에서는 132mmHg이고 EFK 그룹에서는 139mmHg였다(p=0.06). 초기 평균 확장 혈압은 이소메리드 그룹에서는 85mmHg이고 EFK 그룹에서는 89mmHg였다(p=0.12). 전체 집단에서의 초기 평균 심박도수는 75BPM이었고 그룹간 차이는 없었다(p=0.81). 제 0주에서 환자들의 평균 신체 매스 인덱스(BMI : body mass index)는 33㎏/㎡이었고, 그룹간 차이는 없었다(p=0.62).
효과 평가
체중
각 콘트롤 방문시마다 십진 눈금 저울로 환자의 체중을 달았다.
혈액 시료
제 0주 및 제 15주에 채취한 혈액 시료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혈성 콜레스테롤에 대해(전체 및 HDL) 치료 효과를 평가하였다.
안전성 평가
주관적 방법
간접 질문 또는 환자의 자발적 보고에 의해 매 방문시마다 일반 개업의에 의해 부작용을 기록하였다.
객관적 방법
일반 물리 시험
연구에 들어가기 전에, 일반 개업의가 모든 환자에 대해 일반적인 물리시험을 수행하였다.
혈압 및 심박도수 측정
실시예 5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매 콘트롤 방문시 환자의 혈압과 심박도수를 측정하였다.
실험 방법
제 0주 및 15주에 채혈하였다.
다음의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
혈액학 변수 :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간 변수 : 빌리루빈, 알칼라인 포스파타제, 락테이트 데히드로게나제(HDL),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랜스페라지 SGOT/ASAT.
신장 변수 : 크레아티닌
대사 인자 : 콜레스테롤(전체 및 HDL)
모든 임상-화학분석은 Medical (aboratories, 코펜하겐, 덴마크에서 수행하였다. 수행된 분석법은 널리 인정되고 있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행하였다.
통계 방법
주요 효과 인자는 치료 15주일 후의 체중 감소였다.
두번째 변수는 ADR 수축 및 확장 혈압, 그리고 심박도수의 임상-화학값이었다.
데이타는 전형적인, 소위 반복 측정 프로필이었으며 전통적인 방법(통상의 t-테스트)과 Kenward(35)에 의한 방법 2가지로 분석하였다. 즉, 이 방법의 아이디어는 하나 또는 2가지의 이전의 측정기간으로부터의 체중을 이용하여 주어진 시간에 체중을 설명하는 것이다. 편차는 이렇게 또는 저렇게 가능한 치료 효과의 탓일 수 있다. 따라서 이 방법은 데이타의 실제 전개를 설명한다. 이 분석법의 장점은 결과적인 테스트가 독립적이며 전통적인 t-테스트보다 더 민감하다는 것이다.
통계분석은 다음과 같이 체중 데이타를 변환시켜 행하였다 :
di= log10(체중i/체중o)
상기중 di는 i주에 있어서의 변환 변수,
log10은 십진 대수,
체중i는 i주에서의 체중이고
체중1o은 0주에서의 체중이다.
이러한 변환은 체중과다 정도가 더 높은 환자들이 체중과다 정도가 낮은 환자들보다 체중을 더 많이 감량했기 때문에 이용한 것이다.
데이타에 있어서 소의 전-구조(ante-structure)의 결정은 주일간에 강력하고 단지 약하게 저하하는 상관관계와 주일을 통해 변동이 증가함을 보여준다. 이러한 상태는 통상적인 분석을 극히 어렵게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주어진 환자에 대해 가장 최근의 몇가지 측정을 이용하여 새로운 측정을 예견하였다. 이전 측정의 필요한 횟수는 전-구조의 크기에 의존한다. 크기 평가는 역상관 패트릭스와 관련하여 얻는다. 전-구조의 정도는 타당한 크기를 갖는, 매트릭스내의 제2 대각선의 수로부터 나타난다. 본 연구의 경우, 타당한 크기는, 2인 것으로, 즉, 본 연구에 필요한 이전 측정은 2회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제1주 및 3주에서의 측정은 특별하였는데, 이는 이 시간내에 각각 이전의 측정이 아무것도 없었으나 오직 1회만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치료 효과의 테스트는 여전히 독립적이다. 다음에 데이타 유형이 간주된다 :
- (제i주의 체중/제o주의 체중)의 대수.
- 제i주의 수축 혈압-제o주의 수축 혈압
- 제i주의 확장 혈압-제o주의 확장 혈압
- 제i주의 심박도수-제o주의 심박도수
각 시간의 측정에서의 치료효과에 통상적인 t-테스트를 이용하였다. 전-구조가 이용된 경우 치료효과에 t-테스트를 이용하였다.
심장혈관 데이타 분석 방법
상술한 바와같이, 즉 모든 시간에 통상적인 t-테스트로, 그리고 조정 가능한 t-테스트로 수축 및 확장 혈압과 심박도수를 측정하였다. 전-구조는 체중 일 : 이와 동일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ADR 분석 방법
치료당 ADR 수와 ADR이 있는 환자수를 X2-테스트로 분석하였다. 이 분석은 ADR의 총 발생 횟수와 주일당 ADR이 있는 환자와 없는 환자의 수, 상이한 기관계의 ADR을 모두 커버한다.
임상-화학 데이타 분석 방법
간단한 t-테스트(SAS PROC t-테스트)를 이용하여 포함 및 제 15주에서의 값을 분석하였다. 제15주 및 제0주의 값의 차이를 역신 간단한 t-테스트(SAS PROC univariate)로 테스트하였다.
인구 통계 데이타 분석 방법
인구통계 데이타(즉, 연구 시작시의 값)와 치료 그룹간의 어떠한 차이도 t-테스트(SAS PROC t-테스트)로 테스트하였다. 인구집단의 정상분포에 대해서는 분석하지 않았다.
결과
체중 감소
15주일가의 치료후의 체중 감소는 이소메리드 그룹에서는 초기 체중의 92.0%, EFK 그룹에서는 초기 체중의 90.5%였다. 이 감소는 각각 이소메리드 그룹에서는 6.9㎏, EFK 그룹에서는 8.3㎏에 상당한다. 환자의 체중 데이타를 표 15에 나타내었다.
표 16 및 17에 t-테스트 크기가 나타나 있다.
대체로 두가지 치료후에 모두 체중 감소가 관찰되었다. 이소메리드 치료는 15주일간의 연구를 모두 마친 환자들에 있어 1주일 후 EFK 치료보다 훨씬 체중 감소 효과가 컸다(p=0.013).
제 3주에서, 이소메리드 치료는 EFK 보다 체중 감소 효과가 훨씬 컸다. 이 유의성은 15주일의 연구를 모두 마친 환자들에서 가장 컸다(adj-t-테스트, p=0.018).
전체 치료에 대한 실제 평가 시점인 제15주에서, 이소메리드 보다 우수한 EFK에 대한 비-유의적인 경향도 있었다(adj-t-테스트, p=0.12).
보디 매스 인덱스, BMI≥30인 환자의 체중감소.
BMI는 다음으로 정의된다.
개인간의 체중과다를 비교하기 위해, 주어진 인구집단에서 개인간의 신장 분산이 적은 경우 BMI를 한 척도로서 이용할 수 있다. BMI의 정상범위는 20-25㎏/㎡이고, Ⅰ등급의 체중과다는 20-25㎏/㎡ 범위의 BMI, Ⅱ등급의 체중과다는 30-40㎏/㎡범위의 BMI에 해당하고, 마지막으로, 극도의 체중과다는 BMI40㎏/㎡에 상응한다. 20% 체중과다는 남성의 경우 약 26.4㎏/㎡, 여성의 경우 25.8㎏/㎡에 상당한다.
비만 또는 체중과다로 분류된, 즉, BMI≥30㎏/㎡으로 분류된 환자들로부터 얻은 체중 데이타를 분석하였다.
시도 그룹의 59명은 BMI≥30㎏/㎡이었다 : 29명은 이소메리드 그룹, 30명은 EFK 그룹이었다. 15주일간의 치료기간이 지난후, 이소메리드 그룹의 평균 체중은 초기치의 92.6%였고, EFK 그룹의 경우에는 90.1%였다. 이 값들은 각각 이소메리드 그룹에서는 평균 체중 감량이 7.0㎏, EFK 그룹에서는 9.0㎏임에 상당한다. EFK 치료후의 체중 감소 효과는 15주일 후 비교할 때 이소메리드 그룹보다 훨씬 우수하였다(adj-t-테스트, p=0.032).
안전성 평가
50명의 환자들이 ADR을 호소하였다 : 이소메리드 그룹 43%, EFK 그룹 54%
대부분의 환자들은 제1주에 ADR을 호소하였다 : 이소메리드 그룹 16명, EFK 그룹(p=0.48). 제 3주에는, 이소메리드 그룹에서 14명, EFK 그룹에서 7명이 ADR을 호소하였다(p=0.13). 나머지 연구기간동안, ADR을 호소하는 사람은 극히 소수였으며 치료그룹간의 차이는 없었다.
2 치료 그룹의 ADR 유형은 약간 상이하다. EFK 치료 환자들은 불면증, 구토, 경련 및 흥분이 주요 증상인 반면, 이소메리드 치료 환자들은 구토, 갈증, 현기증, 피로 및 지각이상 증상을 주로 호소하였다. EFK 그룹 환자들은 이소메리드 그룹 환자들보다 흥분(p=0.001) 및 심계항진(0=0.04)을 더 많이 호소한 반면, 위장증상(p=0.025)는 그룹 EFK 그룹보다 이소메리드 그룹 환자들이 더 많이 호소하였다.
혈 압
15주일의 치료 연구후, 수축 혈압이 EFK 그룹에서는 10.6mmHg(p=0.0001)이 저하되고, 이소메리드 그룹에서는 7.8mmHg(p=0.001) 저하되었다. 치료 그룹간에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p=0.41).
실험 방법
두 그룹 모두에서 15주일의 치료연구후 전체 혈청 콜레스테롤이 감소하였다. 이 감소는 이소메리드 그룹에서는 0.64mmol/l(p=0.0001)이었고 EFK 그룹에서는 0.36mmol/l(p=0.006)이었다. 그룹간에는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p=0.14).
결 론
EFK 치료는 20-80% 체중과다 환자의 효과적이고 안전한 치료법이다. EFK 치료를 받은 환자들은 초기 체중의 90.5%로 체중 감량을 하였으며 이는 이소메리드 그룹의 92.0%인 것과 비교되는 것이다(p=0.12). 이것은 EFK 그룹에서는 8.3㎏, 이소메리드 그룹에서는 6.9㎏의 체중 감소에 상당한다. 환자들의 서브그룹, 즉, BMI≥30㎏/㎡인 환자(59명)들에 있어서, 초기 체중의 평균 감소는 EFK 그룹에서는 90.1%(9.0㎏)이고 이소메리드 그룹에서는 92.6%(7.0㎏)으로서, 2 그룹간의 차이는 매우 유의적이다(p=0.03). 그러므로, 에페드린 염산염 20㎎과 카페인 200㎎의 배합물로 된 EFK를 이용한 비만 치료는 이소메리드 캡슐 치료보다 우수하다.
또한, 치료 15주일 후, 혈청 콜레스테롤도 저하하였다.
[실시예 9]
저에너지 식이가 처방된 비만 여성에 대한 에페드린/카페인 배합 정제의 발열촉진 효과에 대한 이중맹 위약통제 연구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이중맹 시험으로 고안된 40명의 비만 여성 - 활성치료 또는 위약 치료되는 - 에 있어서 에페드린과 카페인 20㎎ 에페드린 염산염 및 200㎎ 카페인)의 배합물을 함유하는 발열/식욕감퇴 정제를 이용한 8주일의 치료가 에너지 흡수 및 24시간 에너지 소비에 미치는 효과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단백질 이화 및 체 조성에 대한 β아드레날린 촉진의 영향은 연구할 예정이다. 24시간 에너지 소비는 치료전 호흡 챔버내에서, 치료 제1일에는 다이어트없이, 에너지 제한 식이가 병행된 치료 8주후에 측정한다.
환자 선정
Metropolitan Life Insurnace Table, 1983에 따라 30% 초과 80% 미만의 체중과다 또는 비만증의 18-60세 여성 40명을 포함시켰다. 모든 환자들이 동의를 표시하였다.
다음의 환자들은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
1) 고혈압 환자(확장 혈압이 130mmHg를 초과하는 환자)
2) 임신 또는 수유부,
3) 정신질환, 약물 중독 또는 알코올 중독 환자,
4) 인슐린-요구성 당뇨병, mb. Addison, mb, Cushing, 갑상선 기능항진 또는 부전증 또는 기타 내분비계 질환 환자,
5) 비만치료를 위해 외과치료를 받은 환자,
6) 에너지 균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약물 치료를 받은 환자,
7) 지난 2개월간 경구용 피임제를 바꾼 환자,
8) 지난 2개월간 체중이 8㎏ 이상 감량된 환자,
9) 비정상적 실험치를 갖는 환자,
투여 치료
A. 실시예 1C에 따라 제조된 에페드린 염산염 20㎎ 및 카페인 200㎎을 함유하는 EFK 배합 정제.
B. 활성 약물이 없는 위약 정제.
모든 정제는 외관, 맛 및 중량이 모두 동일하다.
정제를 1일 3회 수돗물 400㎖와 함께 경구 투여시켰다. 또한 Quaade 및 Astrup(34)가 설명한 식이원리에 따라 1000kcal 식이/1일을 부수적으로 처방하였다.
연구 계획
각 치료군(A 및 B)에 환자를 20명씩 배정하고 호흡 챔버에서 1일 머물기 적어도 1주일전에 40kcal/㎏ 지방이 없는 몸체 매스(LBM) 식이를 시켰다. 호흡 챔버에서 24시간 머무는 동안, 간접 열량계로 에너지 소비를 측정한다. 챔버에서 머문후 음식물 섭취, 자전거 타기등 표준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호흡 챔버에서 처음 머문 후, EFK 또는 위약 정제 치료를 개시한다. 치료 제 1일 및 8주일 후 호흡 챔버에서 2번 더 머문다. 또한, 매주마다 체중과 혈압 및 심박도수를 측정하고, 제 2, 4, 6 및 8주에 추가 분석을 위해 채혈하였다.
얻어진 데이타는 예컨대 다중-인자 분산 분석과 같은 통계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하고 2 치료 그룹간에 에너지 소비가 상이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결과를 제공한다.
[실시예 10]
돼지에게 경구 투여후, 식이요법과 병용된 에페드린 및 카페인 배합 조성물의 각각 살코기 및 지방의 체 조성에 대한 효과에 대한 수의 연구
연구 구상
5×5 팩토리알 구상으로 5 치료 그룹에 대해 병행 연구한다.
동 물
체중 60 내지 100㎏의 5 마리 불깐 수퇘지(대니쉬 랜드종과 요크셔종과의 교배종)의 6배 새끼(6 litters)에 대해 실험을 하였다.
불깐 수퇘지는 지방질을 더 많이 함유하기 때문에 암퇘지(gills)나 전체 수퇘지를 제치고 연구대상동물로 선정하였다. 따라서, EFK에 의해 지방유착 감소효과는 더 현저하고 측정하기 쉬울것으로 생각된다.
동물의 수
동물의 수는 다음의 전제에 기초하여 제안된다.
1. 살코기 함량 분산 = 7%(=σ)이고
2. 실험이 5%의 차(δ)를 검색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전제를 가지고, 치료 그룹당 동물수는 다음과 같이 산출할 수 있다(40) :
실험은 한배 새끼 수퇘지에 대해 수행되므로, 관찰은 페어로서 고려될 수 있다(40).
따라서
이고α=0.05이고 β=0.10 n=6 동물/그룹
5 치료군이므로 동물수는 6×5=30마리이다.
이방분산 분석에서, 자유도는 전체 평균 [1], 한배 새끼[4], 치료[4] 및 오차[IC] 사이로 나뉠 수 있다.
투여 처리
모든 치료그룹(Ⅰ,Ⅱ,Ⅲ,Ⅳ 및 Ⅴ)에게 에페드린 염산염과 카페인의 적절한 배합물을 분산형태로 사료에 포함시켜 투여한다. 식이의 조성을 표 18에 나타내었다. 사료 분말중 EFK 농도를 정확하게 구하기 위해 사용전 상이한 양의 에페드린 염산염과 카페인을 식이 사료에 첨가하여 잘 혼합된다. 돼지는 연구기간 동안 무제한 먹인다. 단백질의 식이 수준은 최적 성장을 위한 정상치(17%) 보다 높다. EFK는 단백질 합성을 촉진할 것이라는 가정, 즉, 살코기의 체함량을 증가시키기라는 가정으로 상기와 같이 높은 수준을 선택한다. 이러한 효과는 최적 성장을 위해 단백질을 정상적으로 함유하는 식이를 사킨 돼지에서는 밝혀지지 않을 것이다.
치료 그룹
6배의 새끼들간에, EFK 농도를 증가시키는 5 치료 그룹에 불깐 수퇘지들을 배정한다.
Ⅰ : 위약-식이 사료중 에페드린 염산염도 카페인도 포함되지 않음.
Ⅱ : 14㎎ 에페드린 염산염 및 140㎎ 카페인/㎏ 사료(다음에서, 14/140㎎ EFK란 상응하는 에페드린 염산염/카페인을 의미한다).
Ⅲ : 사료중 20/280㎎ EFK
Ⅳ : 사료중 56/560㎎ EFK
Ⅴ : 사료중 112/1120㎎ EFK.
체중 80㎏인 불깐 수퇘지는 매일 약 3㎏의 사료를 소비한다고(36,37) 가정하여, EFK의 식이 수준은 ㎏생체중당 0/0, 0.5/5, 1.0/10, 2.0/20 및 4/40㎎ EFK로 한다. 생체중 60㎏에서, 사료 소비는 1일 약 2.7㎏인 반면, 생체중 100㎏인 경우, 사료 섭취는 3.5㎏이다(36,37). 이것은 ㎏ 생체중으로 표현된 투여량이 실험기간 동안 약간 변함을 의미한다. ㎏ 비지방 체중에 대해 표시될때, 이 차이는 더 낮아질 것인데 이는 이 기간 동안 지방 유착이 증가하기 때문이다(36, 37).
투여량 범위의 선택은 사람연구 결과에 기초하였는데, 사람 연구에서는 20/200㎎ EFK를 1일 3회 투여하면 효과적이었다. 즉, 체중 ㎏당 약 0.5-0.7㎎ 에페드린 염산염과 1.5-2.3㎎ 카페인에 상당하는 투여량이 효과적이었다.
또한, 성장중인 돼지에 있어서 3ppm(3㎎/㎏ 사료)의 살부타몰은 지방 유착을 저하시키고 단백질 유착은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8,39). 사람의 천식치료에서 권장 투여량은 살부타몰의 경우 에페드린 보다 10배나 더 많다. 따라서, 돼지에 있어서의 EFK의 최적 반응은 제안된 범위내에서 나올 것으로 가정된다.
연구 계획
성장중 기록
사료 섭취 및 돼지의 체중을 주일 단위로 기록한다. 이 데이타로부터, 1일 체중 증가, 사료 섭취 및 사료 이용이 산출된다.
도 살
체중 100㎏이된 돼지를 이산화탄소 분위기에서 기절시켜 도살한다. 도살된 사체를 살코기, 피하 지방, 근육간 지방, 가죽 및 뼈로 분리한다. 또한, 마지막 갈비뼈에서의 M. 배측 최장근의 단면적을 측정한다(53). 이 사체 해체는 도체의 체중에 대한 상이한 해부 해체 분획의 산출을 가능케 하며, 지방조직 체중/비지방 조직 체중 비율을 결정하게 해준다.
얻어진 데이타는 예컨대, 다중-인자 분산분석과 같은 통계법을 이용하여 평가하고 5 치료 그룹으로부터 살코기와 지방의 체함량의 차이가 있으면 이를 보여주기 위해 상기 결과를 제시한다.
참고 문헌
1. Council on Scientific Affairs (1988). Treatment of dbesity in adults. JAMA 260, 2547048.
2. Dullo, A. 및 D. S. Miller (1989). Ephedrine, caffeine and aspirin : Over-the-counter drugs that interact to stimulate thermogenesis in the obese. Nutrition 5, 7-9.
3. Astrup, A. V. (1989). Treatment of obesity with thermogenic agents. Nutrition 5, p. 70.
4. Astrup A. (1986). Thermogenesis in human brown adipose tissue and skeletal muscle induced by sympatomimetic stimulation. Acta Endocrinol. 112, suppl. 276, 1-32.
5. Hollands, M. A., J. R. S. Arch 및 M. A. Cowthorne (1981). A simple apparatus for comparative measurements of energy expenditure in human subjects : The thermic effect of caffeine. Am. J. Clin. Nutr. 34, 2291-2294.
6. Astrup. A., J. Bulow, J. Madsen 및 N. J. Christensen (1985). Contribution of BAT and skeletal muscle to thermogenesis induced by ephedrine in man. Am. J. Physiol. 248. E 507-514.
7. Astrup, A. (1987) Reduced energy expenditure contributes to obesity in predisposed individuals : Implications for treatment with thermogenic agents. J. Obes. Weight Reg. 6, 3-20.
8. Dullo, A. G. 및 D. S. Miller (1986). The thermogenic properties of ephedrine/methylxanthine mixtures : Human studies. Int. J. Obesity 10, 467-481.
9. Cesari, H. P., R. Pasquali, F. Casimirri, N. Melchionda, C. Stefanini 및 A. Raitano (1989). The therapeutic dilemma of ephedrine in obesity and the inefficacy of caffeine. Int. J. Obesity 13, Suppl. 1, 152.
10. Eriksen, N. (1982). 영국 특허 2004183B.
11. Editorial (1984). Drug Treatment, July 1984, 43-51.
12. Sebok, M. (1985). A double-blinded placebo-controlled, clinical study of the efficacy of a phenylpropanolamine/caffeine combination product an an aid to weight loss in adults. Curr. Ther. Res. 37, 701-708.
13. Goth, A. (1981). Medical Pharmacology, 제10판. Ed., Mosby Publ., U.S.A. p. 190ff.
14. Arch, J.R.S., A.T. Ainsworth, M.A. Cawthorne, V. Piercy, M. V. Sennitt, V. E. Thody, C. Wilson 및 S. Wilson (1984). Nature, 309, 163-165.
15. Remimton's Pharmaceutical Sciences, 제16판. Ed. (1980),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U.S.A.
16. Durin, J.V.G.A. 및 J. Womersley (1974). Body fat assessed from total body density and its estimation from skinfold thickness. Br. J. Nutr. 32, 77-97.
17. Jecquier, E. (1987). Energy metabolism in the human body. In Bender, A.E. and L.J. Brookes (eds.): Body weight control, Churchill Livingstone, 17.
18. Segal, K.R. (1987). Comparison of indirect calorimetric measurements of resting energy expenditure with a ventilated hood facemask, and mouth piece. Am. J. Clin. Nutr. 45, 1420-1423.
19. Scholander, P. F. (1947). Analyses for accurate estimation of respiratory gases in one-half cobic centimeter samples. J. Biol. Chem. 167, 235.
20. Weir, J.B. de V. (1949). New methods for calculating metabolic rate with special reference to protein metabolism. J.Physiol. 109, 1-9.
21. Garby, L. 및 A. Astrup (1987).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spiratory quotient and the energy equivalent of oxygen during simultaneous glucose and lipid oxidation and lipogenesis. Acta Physiol. Scand. 129, 443-444.
22. Laurell, S. 및 G. Tibbling (1967). Colorimetric microdetermination of free fatty acids in plasma, Clin. Chim. Acta. 16, 57-62.
23. Bergmayer, H.V. 및 E. Bernt. Bestimmung mit Clucoseoxydase und Peroxydase (1970). In Bergmayer H.V. (ed.): Methoden der enzymatischen Analyes, Verlag Chemie, Wenheim, 1172-1181.
24. Laurell, S. 및 G. Tibbling (1966). An enzymatic fluorometric micro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glycerol. Clin. Chem. Acta 13, 317-322.
25. Noll, F. (1974) L(+)-Lactate. Determination with LDH, GPT and NAD. In Bergmeyer H.V. (ed.): Methods of enzymatic analysis, 2nd ed., Academic Press, New York, 1475.
26. Giegel, J. L., A.B. Ham 및 W. Clema (1975). Manual and semiautomated procedures for measurement of triglyceride in serum. Clin. Chem. 21, 1575-1581.
27. Christensen, N.J., P. Vestergaard, T. Sorensen and O.J. Refealsen (1980). Cerebrospinal fluid adrenaline and noradrenaline in depressed patients. Acta Psychiat. Scand. 61, 178-182.
28. Brown, B.W. and M. Hollander (1977). Statistics, a biochemical introduction, John Wiley Son, New York, 261-292.
29. Willems, H.J.J., A. van der Horst, P.N.F.C. de Goede and G.J. Haakmeester (1985). Determination of some anticonvulsants, antiarrhytimics, benzidiazepines, xanthines, paracetamol and chloramphenicol by reversed phase HPLC. Pharm. Weelbl. Sci. Ed. 7, 150.
30. Lurie, I.S. (1981), Improved isocratic mobile phases for the reverse phase ion-pair chromatographic analysis of drugs of forensic interest. J. Li1. Chromatogr. 4, 339.
31. Lai, C.M., M.G. Stoll, Z.M. Look and A. Jacobi (1979). Urinary excretion of chlorpheniramine and pseudoephedrine in humans. J. Pharm. Sci. 68, 1243.
32. Nelder, J.A. 및 R. Mead (1965). Comput. J. 7, 308.
33. Andersen, T., O.G. Backer, A. Astrup and F. Quaade (1986). Nutrition 2, 83-86.
34. Quaade, F. 및 A. Astrup (1988). Is a good quality of life compatible with a slimming diet? What can we do to make dieting easier for the obese. Medicographica 10, 21-23.
35. Kenward, M.G. (1987). A method for comparing profiles of repeated measurements. Appl. Statist. 36, 296-308.
36. Whitlemore, C. T., Tullis, J.B. Emmans, G.S. 1988. Protein growth in pigs, Anim. Prod. 46, 437-445.
37. Donker, R.A., Den Harlog, L.A., Brascamp, E.W., Merks, J.W.M., Noordewier, G. J. Buiting, G.A.J. 1986. Restriction of feed intake to optimize the overall performance and composition of pigs. Livest. Prod. Sci. 15, 353-365.
38. Oksbjerg, N., Blackshaw, A., Henckel, P., Fernandez, J.A.F. Agengaard, N. 1990. Alterations in protein accretion and histochemical charateristics of the M. longissimus dorsi in pigs caused by salbutamol (a β-adrenergic agonist). Acta Agric. Scand. (submitted).
39. Warriss, P.D., Kerstin, S.C., Rolph, T.P. Brown, S.N. 1990. The effects of the beta-adrenergic agonist salbutamol on meat quality in pigs. J. Anim. Sci. 68, 128-136.
40. Scendecor, G.W. Cockran, W.G. Statistical Methods. Sixth edition. Ames, Iowa, USA.
41. Jensen, K.B., Dan, P. Drby, N., Hansen, S.H. Kanstrup, J. 1980, Helsingr-pillen som slankemiddel. Ugeskr. Lger, 1499-1501.
42. Williams, P.E.V. 1987. The use of β agonists as a means of altering body composition in livestock species. Nutrition Abstracts and Reviews (Series B). 57, 453-464.
43. Hanrahan, J.P. 1987. Beta-agonists and their effects animal growth and carcass quality.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and new York.
44. Anderson, D.B., Veenhuizen, E.L., Waitt, W.P. Paxton, R.E. and Young, s.s. 1987. The effect of dietary protein on nitrogen metabolism, growth performance and carcass composition of finishing pigs fed ractopamine. Federation Proceedings. 1021 (Abstract).
45. Warris, P.D. Kestin, S.C., Rolph, T.P. and Brown, S.N. 1990. The effects of the beta-adrenergic agonist salbutamol on meat quality in pigs. J. Anim. Sci. 68. 128-136.
46. Buttery, P.J. 및 Dawson, J.H. 1987. The mode of action of beta-agonists as manipulators of carcass composition. In Beta-agonists and their effects on animal growth and carcass quality. Elsevier Applied Science, London and New York. 29-44.
47. Veehuizen, E.L. Schmiegel, K.K., Waitt, W.P. and Anderseon, D.B. 1987, Lipolytic growth, feed efficiency, and carcass responses to phenethanolamines in swine. J. Anim. Sci. 65, 130.
48. Peterla, T.A., Richs, C.A. 및 Scanes, C.G. 1987. Comparison of effects of β agonists and recombinant bovine somatotropin on lipolysis and lipogenesis in ovine adipose tissue. J. Anim. Sci. 65, 278.
49. Peterla, T.A. Richs, C.A. 및 Scanes, C.G. 1988. Cimaterol, α-, β-adernergic agonist, directly affects lipolysis and lipogenesis in procine adipose tissue in vitro. J. Anim. Sci. 66, 249.
50. Thornton, R.F., Tume, R.K., Payne, G., Larsen, T.W., Johnson, G.W., and Hohenhaus, M.A., 1985. The influence of the β2-adrenergic agonist, clenbuterol, on lipid metabolism and carcass composition of sheep. Proc. New Zealand Soc. Anim. Prod. 45, 97-101.
51. Adeola, O., Ball, A.O., Young, L.G., 1989, Ractopamine stimulates porcine myofibrillar protein synthesis, J. Anim. Sci. 67, Suppl. 1, 191.
52. Wilson, M.A. Zhong, C., Forsberg, N. E., Dalrymple, R.H. and Ricks, C.A. 1988. Effects of cimaterol on protein synthesis protein degradation, amino acid trasport and acetate oxidation in sheep external infercostal muscle. Nutrition Research 8, 1287-1296.
53. EEC 1979. Development of uniform methods for pig carcass classification in the EEC Document VI/5804/78 rev.

Claims (18)

  1. 에페드린이나 β1, β2및/또는 β3아고니스트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기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발열활성적이고 및/또는 식욕-감퇴성인 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와 카페인 또는 기타 발열활성적인 크산틴을 L-에페드린의 등온 발열량과(β-아고니스트가 L-에페드린이 아닌 경우) 카페인의 등온 발열량(크산틴이 카페인이 아닌 경우)에 대해 산출할 때 약 1:8 내지 약 1:24의 중량비로 함유하는 배합물을 필수 활성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체중 과다 또는 비만 치료용, 체중 과다 또는 비만의 합병증 치료용, 또는 정상치에 비해 지방조직 체중/지방없는 조직 체중 비율이 높은 증상의 치료를 위한 제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중량비가 약 1:8 내지 1:20인 제약 조성물.
  3.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에페드린이 (1R, 2S)-2-메틸-아미노-1-페닐-1-프로판올, (1S, 2R)-2-메틸아미노-1-페닐-1-프로판올 및 그의 배합물이나 또는 이들의 제약상 허용가능한 염중에서 선택된 L-에페드린인 것이 특징인 제약 조성물.
  4.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β 아고니스트와 같이 기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발열 활성적이고 및/또는 식욕-감퇴 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가 살부타몰, 터부탈린, 클렌부테롤, 이소프로테레놀, 메타라미놀, 에틸레프린, 노르에페드린, 슈도에페드린, 요힘빈, 티라민, 암페타민, 신나메드린, 히드록시에페드린, 메틸에페드린, 메펜테르민, 페닐레프린, 닐리드린, 이속수프린 및 디에틸프로피온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이들의 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특징인 제약 조성물.
  5.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다른 크산틴이 메틸크산틴 또는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복합체인 것이 특징인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다른 크산틴이 테어브로민, 테오필린, 아미노필린, 아세피필린, 에토필린, 프록시필린, 디프로필린, 콜린, 테오필리네이트, 엔프로필린, 바미필린, 부필린, 에타미필린, 헵타미노아세필리네이트, 피메필린 니코티네이트, 프로테오브로민 및 숙사미도필린, 또는 제약상 허용되는 이들의 염, 복합체 중에서 선택된 제약 조성물.
  7.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필수 활성성분이 에페드린과 카페인과의 배합물인 제약 조성물.
  8.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중량비가 1:8 내지 1:18인 제약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중량비가 1:10 내지 1:16인 제약 조성물.
  10.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에페드린 또는 β 아고니스트와 같이 기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발열활성적이고 및/또는 식욕-감퇴성인 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의 양이 L-에페드린의 등온 발열량에 기초하여 산출했을 때(β 아고니스트가 L-에페드린이 아닌 경우) 단위 투여 당 10-40㎎인 제약 조성물.
  11.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치료하고자 하는 체중과다 또는 비만의 합병증이 당뇨병 타입 Ⅱ, 과콜레스테롤 혈증, 과트리글리세리드 혈증 또는 고혈압인 제약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중량비가 약 1:12인 제약 조성물.
  13. 에페드린 또는 β 아고니스트(예컨대, β1, β2및/또는 β3아고니스트)와 같은 기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발열활성적이고 및/또는 식욕-감퇴성인 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와 카페인 또는 기타 발열활성적인 크산틴과를 β 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와 크산틴간의 중량비로 환산할 때 약 1:8 내지 약 1:24의 비율로 함유하는 배합물을 필수 활성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가축의 지방조직 체중/지방없는 조직 체중 비율을 감소시킴으로써 가축의 식용 조직의 품질을 개선시키기 위한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β 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가 (1R, 2S)-2-메틸-아미노-1-페닐-1-프로판올, (1S, 2R)-2-메틸아미노-1-페닐-1-프로판올 및 그의 배합물이나 또는 이들의 약리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중에서 선택된 에페드린인 조성물.
  15. 제13항 또는 14항에 있어서, 크산틴이 카페인 또는 약리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복합체인 조성물.
  16. 제13항 또는 14항에 있어서, 가축이 소, 돼지 및 양 중에서 선택되는 조성물.
  17. 제10항에 있어서, 에페드린 또는 β 아고니스트와 같이 기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발열활성적이고 및/또는 식욕-감퇴성인 아드레날린 아고니스트의 양이 L-에페드린의 등온 발열량에 기초하여 산출했을 때 (β 아고니스트가 L-에페드린이 아닌 경우) 단위 투여 당 16-17㎎인 제약 조성물.
  18. 제13항에 있어서, 필수 활성성분이 에페드린과 카페인과의 배합물인 제약 조성물.
KR1019920700029A 1989-07-07 1990-04-20 체중감량용 제약 조성물 KR0159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339289A DK339289D0 (da) 1989-07-07 1989-07-07 Farmaceutisk praeparat
DK3392/89 1989-07-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59045B1 true KR0159045B1 (ko) 1998-12-01

Family

ID=8122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0029A KR0159045B1 (ko) 1989-07-07 1990-04-20 체중감량용 제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5422352A (ko)
EP (1) EP0480934B1 (ko)
JP (1) JP2584899B2 (ko)
KR (1) KR0159045B1 (ko)
AT (1) ATE107858T1 (ko)
AU (1) AU638992B2 (ko)
CA (1) CA2063598C (ko)
DE (1) DE69010336T2 (ko)
DK (2) DK339289D0 (ko)
ES (1) ES2055911T3 (ko)
FI (1) FI920026A0 (ko)
HK (1) HK1001821A1 (ko)
HU (1) HU220071B (ko)
LT (1) LT3536B (ko)
LV (1) LV10192B (ko)
NO (1) NO920051L (ko)
RU (1) RU2109511C1 (ko)
UA (1) UA27779C2 (ko)
WO (1) WO19910007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5869A (en) * 1991-08-02 1999-02-02 Ecologel Usa, Inc. Solution for plant root watering
WO1994000432A1 (en) * 1992-06-30 1994-01-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norectic epinephrine derivatives
JPH08509203A (ja) * 1992-10-15 1996-10-01 ダナ−ファーバー キャンサー インステテュート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TNF−α作用の拮抗剤を用いる肥満関連糖尿病▲II▼型のインスリン耐性の治療
ES2094687B1 (es) * 1994-08-02 1997-12-16 S A L V A T Lab Sa Combinacion farmaceutica contra la obesidad o el sobrepeso.
FR2746644A1 (fr) * 1996-03-18 1997-10-03 Firion Jackie Produit parapharmaceutique moderateur d'appetit
CA2248854C (en) * 1996-09-30 2004-03-30 Dennis Jones The regulation of appetite, body weight and athletic function with materials derived from citrus varieties
US6224873B1 (en) 1996-09-30 2001-05-01 Zhishin, Llc Regulation of appetite, body weight and athletic function with materials derived from citrus varieties
ES2259806T5 (es) 1996-12-23 2009-05-01 S.L.A. Pharma Ag Composicion farmaceutica para tratar la incontinencia fecal.
US6162455A (en) * 1997-01-22 2000-12-19 American Cyanamid Company Method for increasing lean meat, improving the lean meat to fat ratio and improving amino acid utilization in warm-blooded animals
US5798101A (en) * 1997-01-22 1998-08-25 Hpf, L.L.C. Herbal appetite suppressant and weight loss composition
US5985282A (en) * 1997-01-22 1999-11-16 Hpf, L.L.C. Herbal appetite suppressant and weight loss composition
HUP9700654A2 (hu) 1997-03-26 1999-09-28 Dezső Korbonits Teobromin tartalmú köhögéscsillapító készítmények
US6468519B1 (en) * 1997-09-10 2002-10-22 Rutgers,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Polyanhydrides with biologically active degradation products
US7232830B2 (en) 1998-06-26 2007-06-19 Elaine A Delack Method for treatment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and effects of aging
AU744550B2 (en) 1998-06-26 2002-02-28 Elaine A. Delack Treatment for multiple sclerosis
US6340482B1 (en) * 2000-05-18 2002-01-22 Zhishin, Llc Methods for inducing weight loss in a human with materials derived from Citrus varieties
US6113949A (en) * 1998-10-27 2000-09-05 Prolab Nutrition, Inc. Weight control product and method of treating hyperlipidemia and increasing vigor with said product
US6475514B1 (en) * 1998-12-03 2002-11-05 Andrew Blitzer Athletic patch
US6576272B1 (en) * 1999-03-05 2003-06-10 Twin Laboratories Incorporated Dietary supplement and method of using same
WO2001005356A2 (en) * 1999-07-20 2001-01-25 Natrol, Inc. Weight control product comprising a synergistic mixture of guggul extract, phosphate salt and metabolic stimulant
WO2001013935A2 (en) * 1999-08-23 2001-03-01 The Administrators Of The Tulane Educational Fund Modulation of the blood-brain barrier transporter for leptin
US6723737B1 (en) * 1999-10-20 2004-04-20 Eliezer Rapaport Methods, pharmaceutical and therapeutic compostions for administering adenosine
US7115297B2 (en) * 2000-02-22 2006-10-03 Suzanne Jaffe Stillman Nutritionally fortified liquid composition with added value delivery systems/elements/additives
US8178150B2 (en) 2000-02-22 2012-05-15 Suzanne Jaffe Stillman Water containing soluble fiber
US7892586B2 (en) 2001-02-22 2011-02-22 Suzanne Jaffe Stillman Water containing soluble fiber
DE10011541A1 (de) * 2000-03-06 2001-09-20 Reimann Hartmut Verwendung einer Kombination aus Ephedrin und Coffein und/oder Theophyllin zur Vitalisierung von Knochenfischen, Wasserzusatz zur Vitalisierung von Knochenfischen
US6316499B1 (en) 2000-05-18 2001-11-13 Zhishin, Llc Methods for increasing the muscle mass of a human with materials derived from citrus varieties
KR20030005204A (ko) * 2000-12-25 2003-01-17 가부시키가이샤 시세이도 교감신경 활성화 향료 조성물
US7048941B2 (en) * 2001-03-30 2006-05-23 New World Enterprizes, Inc. Chocolate composition as delivery system for nutrients and medications
US7041305B2 (en) * 2001-09-07 2006-05-09 Western Holdings, Llc Stable water in oil aminophylline emulsions
GB0130763D0 (en) 2001-12-21 2002-02-06 Norgine Res Ltd Treatment methods
WO2003088953A2 (en) * 2002-04-19 2003-10-30 N.V. Nutricia Multiphasic diet
US8142810B2 (en) * 2002-05-30 2012-03-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etary method for modulating glucose metabolism and associated conditions and increasing longevity
US20040077530A1 (en) * 2002-10-18 2004-04-22 Robert Portman Composition for reducing caloric intake
US20040224031A1 (en) * 2003-05-06 2004-11-11 Antonio Zorzano Olarte Combination of amines and vanadium (IV)/(V) compounds for the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diabetes mellitus
US20050130933A1 (en) * 2003-10-17 2005-06-16 Ira Jacobs Weight-loss supplement
CA2545559A1 (en) * 2003-11-20 2005-06-09 Alteragon Pty Ltd. Method of decreasing fat deposits and body weight in mammals and birds
CA2455248A1 (en) * 2004-01-29 2005-07-29 Alexander Zolotoy Oral administration of r-albuterol against obesity
US7524064B2 (en) * 2004-03-09 2009-04-28 Research Foundation Of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ssing retinal damage
US20060074057A1 (en) * 2004-10-04 2006-04-06 Eric Marchewitz Use of chenodeoxycholic acid for reducing adipose tissue
US20060134230A1 (en) * 2004-12-17 2006-06-22 Sal Abraham Weight loss composition and formulation
US20060204599A1 (en) * 2005-03-14 2006-09-14 Wheat Jared R Dietary supplement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090214682A1 (en) * 2008-02-22 2009-08-27 Heuer Marvin A Composition and methods for weight loss in a subject
US9044606B2 (en) 2010-01-22 2015-06-02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activating brown adipose tissue using electrical energy
US9610429B2 (en) * 2010-12-29 2017-04-04 Ethicon Endo-Surgery, Inc. Methods and devices for activating brown adipose tissue with targeted substance delivery
AU2013330213B2 (en) * 2012-10-08 2016-04-14 Rivalea (Australia) Pty Ltd Animal feed supplement comprising ractopamine and caffeine
US9877434B2 (en) 2013-05-30 2018-01-30 Ecologel Solutions, Llc Granular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drought mitigation
US10143664B2 (en) * 2014-03-26 2018-12-04 Rivalea (Australia) Pty Ltd Method for improving feed efficiency in ruminants
US10092738B2 (en) 2014-12-29 2018-10-09 Ethicon Llc Methods and devices for inhibiting nerves when activating brown adipose tissue
US10080884B2 (en) 2014-12-29 2018-09-25 Ethicon Llc Methods and devices for activating brown adipose tissue using electrical energy
MX2017010321A (es) 2015-02-13 2017-12-07 Mars Inc Sistema de alimentacion para mascotas.
WO2016167855A1 (en) * 2015-04-14 2016-10-20 Board Of Supervisors Of Louisiana State University And Agricultural And Mechanical College Combination of albuterol and caffeine as synergistic treatment for obesity or sarcopenia
GB201522296D0 (en) 2015-12-17 2016-02-03 Mars Inc Food product to reduce body fat
AU2020276619A1 (en) 2019-05-16 2021-12-16 Nexus Pharmaceuticals, Inc. Compositions comprising ephedrine or an ephedrine salt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90164A1 (fr) * 1977-05-13 1978-12-08 Blanie Paul Association a action anti-asthmatique
NL7710582A (nl) * 1977-06-03 1978-12-05 Pharmaceutical Export Promotio Werkwijze ter bereiding van een vermagerings- preparaat.
US4364922A (en) * 1980-10-14 1982-12-21 University Of Virginia Alumni Patents Foundation Adenosine antagonists in the treatment and diagnosis of A-V node conduction disturbances
US4525359A (en) * 1982-12-10 1985-06-25 Greenway Frank L Iii Treatment for selective weight control
US5011843A (en) * 1988-05-31 1991-04-30 Iolab Corporation Treatment of glaucoma using phosphodiesterase inhibi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80934A1 (en) 1992-04-22
LV10192A (lv) 1994-10-20
DE69010336D1 (de) 1994-08-04
RU2109511C1 (ru) 1998-04-27
HU9200051D0 (en) 1992-06-29
DK0480934T3 (da) 1994-11-07
WO1991000730A1 (en) 1991-01-24
AU638992B2 (en) 1993-07-15
NO920051D0 (no) 1992-01-03
LTIP702A (en) 1995-01-31
EP0480934B1 (en) 1994-06-29
HU220071B (hu) 2001-10-28
CA2063598C (en) 1997-12-09
CA2063598A1 (en) 1991-01-08
UA27779C2 (uk) 2000-10-16
DK339289D0 (da) 1989-07-07
DE69010336T2 (de) 1994-11-03
US5422352A (en) 1995-06-06
LT3536B (en) 1995-11-27
LV10192B (en) 1995-06-20
FI920026A0 (fi) 1992-01-03
JP2584899B2 (ja) 1997-02-26
AU5630890A (en) 1991-02-06
ATE107858T1 (de) 1994-07-15
ES2055911T3 (es) 1994-09-01
HK1001821A1 (en) 1998-07-10
JPH04507091A (ja) 1992-12-10
NO920051L (no) 1992-01-31
HUT62798A (en) 1993-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9045B1 (ko) 체중감량용 제약 조성물
Tam et al. Yohimbine: a clinical review
US7867526B2 (en) Composition for weight reduction comprising capsaicin, green tea extract, L-tyrosine and caffeine
CA2039194C (en) Uses of l-deprenyl and compositions for same
EP3043789B1 (en) Use of a ppar-delta agonists for treating muscle atrophy
Atmaca et al. Weight gain and serum leptin levels in patients on lithium treatment
Pacifici et al. Effect of amantadine on drug‐induced parkisonism: relationship between plasma levels and effect.
KR20020010527A (ko) 기능적 건강 상태를 향상시키기 위한 성장 호르몬분비촉진물질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Mendelson et al. Acute effects of marihuana on leteinizing hormone in menopausal women
Bendriss et al. Inhibition of caffeine metabolism by 5‐methoxypsoralen in patients with psoriasis
Alger et al. Effect of phenylpropanolamine on energy expenditure and weight loss in overweight women
US20150216794A1 (en) Methods of treating pain associated with osteoarthritis of a joint with a topical formulation of a spiro-oxindole compound
US20180055848A1 (en) Combination of Albuterol and Caffeine as Synergistic Treatment for Obesity or Sarcopenia
WO2004054567A1 (en) Use of carnitines for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disorders caused by the andropause
AU2021271500A1 (en) Composition containing sesamin or like and NR and/or NMN
Green et al. Metabolism of an oral tryptophan load. II: Effect of pretreatment with the putative tryptophan pyrrolase inhibitors nicotinamide or allopurinol.
BR112019024373A2 (pt) método para melhorar desempenho físico e método de tratamento para melhorar o desempenho físico ou mental
Pfitzer The respiratory physiology of opioid immobilisation in African antelope
Vobig et al. ocular side effects of levitra®(vardenafil)–results of a double-blind crossover study in healthy male
EA045639B1 (ru) Применение растительной композиции, содержащей мангиферин, для повышения спортивной работоспособности
Clark The effects of oestradiol administration on energy metabolism during prolonged exercise in amenorrheic athletes
Calvey et al. Proceeding of the British Pharmacological Society, Clinical Pharmacology Section, 16‐18th December, 1980, University of London. Abstracts.
DE FARMACOLOGIA BRITISH PHARMACOLOGICAL SOCIETY Joint meeting with
PERUCCA et al. Britbsh Pharmacoloqical
Shelmadine The acute effects of Pterocarpus marsupium supplementation on insulin-dependent and insulin-independent signaling pathways at rest, after a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and after intense exercise in overweight pre-diabetic fema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1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4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201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8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6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8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8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7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80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8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6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