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57620B1 - 자동차용 마찰클러치판의 토오션 댐핑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마찰클러치판의 토오션 댐핑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7620B1
KR0157620B1 KR1019900001409A KR900001409A KR0157620B1 KR 0157620 B1 KR0157620 B1 KR 0157620B1 KR 1019900001409 A KR1019900001409 A KR 1019900001409A KR 900001409 A KR900001409 A KR 900001409A KR 0157620 B1 KR0157620 B1 KR 0157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ring
damper plate
rings
fi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1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2792A (ko
Inventor
그라똥 미셸
달비에쯔 앙드레
Original Assignee
마르 레메이르
발레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르 레메이르, 발레오 filed Critical 마르 레메이르
Publication of KR900012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2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7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7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9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characterised by friction-d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clu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자동차용 마찰클러치판의 토오션 댐핑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마찰 클러치의 축방향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화살표 Ⅱ 방향에서 본 도면.
제3도는 댐퍼플레이트와 허브사이에 배치된 유격커플링 수단의 개략도.
제4도는 제1도에도 나타나 있는 제1및 제2의 마찰수단을 도시하는 축방향 부분확대 단면도.
제5도는 상기 마찰수단 그 자체와 그것에 연결된 탄성수단만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제4도의 화살표 Ⅴ 방향에서 본 도면.
제6도는 본 발명의 보조핑거가 삽입되는, 댐퍼플레이트에 형성된 복수개의 윈도우중 하나를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
제7도는 제1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다른 실시예에 대한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클러치 디스크 2 : 마찰패드
3 : 허브 4 : 댐퍼플레이트
본 발명은 토오션 댐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용 마찰클러치의 클러치판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이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동차용 마찰클러치판의 토오션 댐퍼에 관하여는 미합중국 특허 제4,860,871호에 설명되어 있다. 이 특허는 2개의 가이드링, 댐퍼플레이트 및 허브를 가지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으며, 각각의 요소는 서로 동축상에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링은 댐퍼플레이트의 양측에 축방향으로 장착되어서, 소정의 각운동 범위내에서 당해 댐퍼플레이트에 대하여 회전운동한다. 또한, 이러한 회전운동은 제1의 마찰수단 및 제1의 원주방향 작용탄성수단에 의한 회전억지력을 극복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탄성수단은 통상의 클러치 플레이트 스프링으로 되어 있다.
허브는 댐퍼플레이트 및 가이드링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댐퍼플레이트와의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배열된다. 이러한 회전운동은 소정의 각운동 범위내에서 제2의 마찰수단 및 제2의 원주방향 작용탄성수단에 의한 회전억지력을 극복하게 이루어진다. 상술한 2개의 마찰수단, 즉 제1 및 제2의 마찰수단은 각각 공통의 가이드링과 댐퍼플레이트사이에서 축방향으로 배열된 마찰링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마찰링은 클러치 조합체의 중심축과 동심으로 되어 있다. 제1의 마찰링, 즉 제1마찰수단의 마찰링은 제2마찰수단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마찰링을 둘러싼다.
조립작업은 하나의 작업장에서 행하게 되며, 마찰판 및 댐퍼의 부품은 축방향으로 순서에 따라 조립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축방향으로 조립되는 부품의 수를 감소시켜서 온라인 조립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것이 바람직할수도 있다. 특히, 상술한 작업장과는 다른 별도의 작업장에서 가이드링 또는 댐퍼플레이트를 가진 부분조립체를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축방향으로 조립되는 부품의 수를 줄여서 상술한 요건을 충족시킴과 아울러 기타 여러가지의 잇점을 얻는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같은 일반적 유형의 토오션댐핑장치는, 2개의 마찰링과 댐퍼플레이트 또는 적절한 가이드링사이에 축방향 보유수단을 배치하고, 상기2개의 마찰링사이에도 축방향 보유수단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마찰링을 접속수단으로 사용하여 다른 하나의 마찰링을 댐퍼플레이트 또는 적절한 가이드링에 조립함으로써, 마찰링과 댐퍼플레이트 또는 가이드링을 포함하는 별도의 부분조립체를 만들수 있다. 이 부분조립체는 최종조립이 이루어지는 장소와는 다른 별도의 장소에서 헐거운 상태로 조립된다.
댐퍼의 용도에 따라서는, 마찰부품을 상호 마찰접촉시키기 위해 탄성수단을 부분조립체에 포함시킬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부분조립체에는 댐퍼플레이트와 가이드링을 모두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에는, 댐퍼플레이트와 돌출핑거의 단부 또는 스러스트링의 러그사이에 제1의 당접수단 예를 들면 상술한 미합중국 특허 제 4,860,871호에 기술된 것과 같은 링을 설치하는 한편, 내측의 마찰링과 가이드링사이에는 제2의 당접수단을 설치한다. 상기 2개의 당접수단은 마찰링중 하나에 복수개의 핑거를 포함할수도 있으며 이들 핑거는 가이드링에 형성된 대응개구를 통해 연장된다. 또한, 상기 핑거는 상기 가이드링을 통과한 다음, 원형 클립에 의해서 상호연결된다. 원형 클립은 상기 핑거의 자유단에 형성된 홈에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링과 여유있게 협동할 수 있도록 배열되어 있다.
당접수단은 스냅조립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스냅조립형 당접수단은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될수 있는 핑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각각의 핑거는 댐퍼플레이트 또는 가이드링에 형성된 개구를 통해 연장되어 상기 댐퍼플레이트 또는 가이드링의 양면중 하나에 걸려있게 된다. 상기 핑거는 마찰링과 일체화되는 것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합성물질로 제조한다. 또한, 핑거는 적절한 요소와 계합하도록 된 마찰링의 보스에 결합된다. 따라서, 마찰링과 가이드링은 함께 회전한다.
변형예에 있어서는, 마찰링과 댐퍼플레이트 또는 가이드링사이에도 상술한 것과 유사한 탄성핑거를 형성시켜서 부분조립체내에서 전자와 후자가 일체화되도록한다.
축방향 보유수단은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숄더를 포함할수 있다. 상기 숄더는 댐퍼플레이트 또는 가이드링을 향하고 있으며, 마찰수단중 하나에 달려있다. 다른 하나의 마찰수단은 상기 숄더와 협동하도록 된 당접면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면은, 클러치디스크 또는 지지체(1), 마찰패드(2) 및 허브(3)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디스크형 마찰클러치를 도시하고 있다.
클러치디스크(1)와 허브(3)는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할수 있는 것으로, 2개의 토오션 댐퍼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토오션댐퍼는 서로 협동하여 단차효과 또는 댐핑효과를 나타낸다. 이들 댐퍼는 예비댐퍼(A)및 주댐퍼(B)를 포함하며, 예비댐퍼는 주댐퍼에 비해서 감쇠력이 약하다. 클러치디스크(1)는 마찰패드(2)를 개재하여 클러치의 가압판과 반동판(도시하지 않음)사이에 협지되도록 배열되며, 상기 가압판과 반동판은 차량엔진의 크랭크샤프트에 부착되어서 그것과 함께 회전한다. 또한, 상기 클러치디스크(1)는 허브(3)를 통해 기어박스의 입력축(도시하지 않음)상에 장착되어서 당해 입력축을 구동시킨다.
예비댐퍼(A)는, 제한된 각운동 범위내에서 이른바 제2마찰수단(5)의 저항력을 극복하고 허브(3)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할수 있도록 설치된 댐퍼플레이트(4)를 포함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허브(3)의 외주면은 반경방향 칼라부(6)를 가진다. 상기 칼라부는 댐퍼플레이트(4)와 축방향으로 정렬되며, 그 내부에 위치한다. 댐퍼플레이트(4)의 내주연 및 상기 칼라부(6)에는 미국 특허 명세서 제 4,669,592 호 기술된 것과 같은 유형의 유격커플링수단(7)이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유격커플링수단은 복수개의 사다리꼴 톱니와 복수개의 상보형 슬롯으로 구성된다. 허브 또는 댐퍼플레이트에 형성된 각각의 톱니는 원주면상에 간극을 두고 댐퍼플레이트(4) 또는 허브(3)의 대응슬롯내로 돌출된다. 유격커플링수단(7)에는 이른바 탄성수단(8)이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2탄성수단은 칼라부(6)와 댐퍼플레이트(4)사이에 설치되어 원주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함으로써 저속주행시의 충격 또는 잡음을 감쇠시킨다. 상기 제2탄성수단(8)은 낮은 강성을 가지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2개의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다. 상기 코일스프링은 댐퍼플레이트(4)및 허브(3)에 형성된 슬롯(9)내에 서로 대칭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코일스프링(8)의 양단부와 슬롯(9)의 내측벽사이에는 스러스트인서트(10)가 끼워진다. 스러스트인서트(10)는 Ⅴ자형에 가까운 단면형상을 가진다.
주댐퍼(B)는 댐퍼플레이트(4)와 동심으로 설치되어 이른바 제1탄성수단(12)의 작용력을 극복하고 댐퍼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 할수 있도록 설치된 가이드링(11)(11')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상기 제1탄성수단(12)은 상술한 스프링(8)에 비해 높은 강성을 가지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댐퍼플레이트(4)에 대한 가이드링(11)(11')의 회전운동은 소정의 각운동 범위내로 제한된다. 상기 가이드링(11)(11')은 댐퍼플레이트(4)의 양측에 축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축방향 이격요소(13)에 의해 축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축방향 이격요소는 클러치디스크 또는 지지체(1)를 가이드링(11')에 고정시키는 역할도 한다. 상기 댐퍼플레이트(4)에는 통공(1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공내에는 축방향 이격요소(13)가 그 둘레에 약간의 간극을 두고 삽입된다.
댐퍼플레이트(4)와 가이드링(11)간의 상대적 각운동은 이격요소(13)와 통공(14)의 내측벽이 협동하여, 또는 스프링(12)의 압축에 의해서 제한된다. 이들 스프링(12)은 가이드링(11)(11')및 댐퍼플레이트(4)에 형성된 윈도우(15)(16)내에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댐퍼플레이트(4)는 위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유격커플링수단(7)을 개재하여 허브(3)에 조립되지만, 가이드링(11)(11')은 이러한 유격커플링수단없이 허브(3)의 둘레에 자유롭게 조립된다.
클러치디스크(1)와 댐퍼플레이트(4)사이에는, 대략 L자형상의 단면을 가진 원환상의 베어링(17)이 가이드링(11')의 내측에 반경방향으로 끼워져서 횡방향연장 이격링을 구성한다. 또한, 이 베어링(17)은 가이드링(11')의 내주면과 허브(3)의 외주면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베어링(17)은 가이드링(11')과 연결되어서 그것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베어링의 축방향 환상부는, 가이드링(11')에 형성된 상보형 요입부와 계합하도록 된 보스를 구비하고 있다.
다른 하나의 가이드링(11)과 댐퍼플레이트(4)사이에는 마찰링(18)(19)및 탄성수단(20)(21)이 끼워져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수단(20)(21)은 마찰링(18)(19)의 마찰작용을 도울수 있도록 접시링의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접시링(20)은 가이드링(11')을 부세하여 마찰링(18)을 댐퍼플레이트(4)쪽으로 바이어스시키므로써, 클러치디스크(1)와 가이드링(11')사이 및 클러치디스크(1)와 댐퍼플레이트(4)사이에 베어링(17)이 협지되도록 한다. 또한, 다른 하나의 접시링(21)은 가이드링(11)을 부세하여 마찰링(19)을 허브의 칼라부(6)쪽으로 바이어스시키므로써, 가이드링(11')과 칼라부(6)사이에 베어링(17)이 협지되도록 한다. 클러치디스크(1)는 칼라부(6)를 지나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다.
그리하여, 가이드링(11)(11')은 이른바 제1마찰수단(22)의 작용력을 극복하고 댐퍼플레이트(4)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할수 있게 된다. 제1마찰수단(22)은 마찰링(18), 접시링(20) 및 베어링(17)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허브(3)는 상술한 제2마찰수단(5)의 작용력을 극복하고 댐퍼플레이트(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할수있다. 제2마찰수단(5)은 마찰링(19), 접시링(21) 및 베어링(17)으로 구성된다. 상기 2개의 마찰수단(22)(5)은, 제1마찰수단이 제2마찰수단의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함과 아울러 링(18)(20)이 다른 링(19)(21)을 둘러싸도록 동축상에 배치된다.
마찰링(18)(19)중 하나와 댐퍼플레이트(4) 또는 가이드링(11)(11')과의 사이에는 당접수단(24)이 위치하고, 상기 2개의 마찰링(18)(19)사이에는 축방향보유수단(25)이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당접수단(24)은 스냅조립부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서, 마찰링(18)은 다른 마찰링(19) 및 베어링(17)과 마찬가지로 합성물질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축방향 돌출보스(26)의 형상으로 된 복수개의 러그를 가지게 된다. 보스는 마찰링(18)의 피치원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배치된다.
이러한 각각의 보스(26)는 가이드링(11)에 형성된 원형구멍(27)을 통해 연장되어서 당해 가이드링이 마찰링에 결합되어 동시에 회전할수 있도록 한다. 마찰링(18)은 각 보스(26)의 반경방향 외측에 대응핑거(28)를 가지며, 이 핑거는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다. 각각의 핑거(28)는 그에 대응하는 보스(26)에 비해서 반경방향폭은 좁지만 축방향 길이는 길다. 후에 상세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보스(26)의 넓은 부분의 횡방향 치수는 가이드링에 형성된 대응구멍(27)의 그것보다 작다.
각 핑거(28)의 자유단은, 구멍(27)을 통한 조립이 용이하도록 둥글게 형성된 단부표면(30)을 가지는 후크(29)로 되어 있다. 후크(29)는 조립체의 중심으로 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하나의 숄더를 규정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보스(26)는 축방향에서 보았을때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그러나, 직선형의 양변은 반원형의 베이스부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반원형의 베이스부는 보스의 반경방향 내측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대응구멍(27)에 대하여 상보적인 형상을 가진다.
각각의 핑거(28)는 그것의 후크(29)에 의해서 대응구멍(27)의 반경방향 외측벽과 협동한다. 상기 반경방향 외측벽은 직선형이며, 축방향에서 보았을때 핑거보다 넓다. 따라서 핑거(28)와 구멍(27)의 측벽간에는 아무런 접촉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제2도 참조).
각각의 핑거(28)와 대응보스(26)의 반경방향 외측벽사이에는 간극(31)이 위치한다. 마찰링(18)은 그 외주면에 복수개의 반경방향 돌출부(3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각 돌출부(32)에는 보스(26)및 대응 핑거(2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간극(31)은 제1도에서와 같이 그 일단부를 폐쇄할 수도 있고, 제4도에서와 같이 양단부를 개방시킬수도 있다. 후자의 구성에 의하면, 핑거(28)의 가요성이 커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4개의 돌출부(32)와 4개의 보스(26)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보스는 그에 대응하는 핑거(28)을 가진다. 상기 간극(31)은 댐퍼플레이트(4)를 향하고 있는 대응돌출부(32)의 표면영역에서 개방되어 있다.
물론, 각각의 구멍(27)에 대응하는 2개의 횡방향 연장핑거를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 각각의 핑거는 구멍(27)의 측벽 중 하나와 협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 구성은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단일 핑거의 구성에 비해서 불리하다. 그 이유는, 후자의 구성에 의하면 보스(26)에 최대한 많은 양의 재료를 투입시켜서 구멍(27)과의 접촉이 보다 잘 이루어질수 있도록 할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통상적으로 클러치에 설치되는 다이아프램에 의해서 간섭을 받는 일도 없다.
접시링(20)(21)은 가이드링(11)에 계합하는 그것의 주연부가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된다. 이들 접시링은 마찰링(18)(19)을 부세함과 아울러 보스(26)및 마찰링(19)의 내주연에 형성된 축방향연장 환상플랜지(33)에 의해서 각각 중심이 맞춰진다. 이러한 플랜지(33)는 또다른 보스(34)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보스는 가이드링(11)에 형성된 상보형 슬롯과 협동하여 당해 가이드링과 마찰링(19)이 함께 회전할수 있도록 한다.
이상으로 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접시링(20)(21)은 상술한 각종부품을 부세하여 마찰접촉시킨다. 접시링 대신에 주름형 와셔를 사용할수도 있다.
제4도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축방향 보유수단(25)은 마찰링(18)의 내주연에 형성된 반경방향숄더(36)를 포함한다. 이 숄더(36)는 마찰링(19)의 당접면(37)과 협동할수 있도록 가이드링(11)을 향하고 있으며, 마찰링의 외주연까지 연장되어 있다.
물론, 상기 당접면(37)은 가이드(11)과 대향하는 마찰링(19)의 표면상에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축방향 보유수단(25)은 분할되어 있다. 상기 당접면(37)은 마찰링(19)의 반경방향 돌출부(38)(제5도)에 형성되는 것으로, 당해 마찰링의 외주면으로 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돌출부(38)는 마찰링(18)의 내주면에 형성된 상보형 슬롯(39)과 계합한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슬롯(39)은 숄더(36)로 채워져 있다. 물론, 반대의 구성을 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마찰링(18)은 반경방향 내향연장부를 가지게 되며, 이들 각각의 연장부는 마찰링(19)의 외주연에 형성된 슬롯과 계합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리테이닝 숄더는 댐퍼플레이트(4)를 향해있는 마찰링(18)의 표면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반경방향으로 교호적으로 돌출하는 돌출요소의 형태를 취할수도 있다. 위에서 설명한 돌출부는 돌출요소에 비해서 길고, 이 돌출요소로부터 축방향으로 편위된다. 당접면은 마찰링(19)의 홈을 가이드링(11)에 가장 가까운 단부에서 폐쇄함으로써 일련의 홈을 제공하도록 형성시킬수도 있다. 이들 홈내에는 마찰링(18)의 돌출부가 계합한다. 다른 변형예에 있어서, 숄더(36)는 상기 돌출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연속적인 형태로 형성시킬수도 있다. 그러나, 숄더 그 자체는 출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연장된다.
이상의 설명으로 부터 알수있는 바와같이, 상기 구성에 의하면 마찰링(19)은 다른 마찰링(18)과 함께 회전할수 있도록 접속되고, 그 상대적인 위치가 결정된다. 마찰링(19)의 형상은 표준화를 고려하여 선택한다. 보스(34) 그 자체는 없앨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술한 복수개의 링(11)(19)(18)(20)(21)으로 구성된 일체형 부분조립체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접시링(21)을 조립하고, 마찰링(19)을 끼운다음, 접시링(20)을 조립하고, 마지막으로 마찰링(18)을 조립한다. 핑거(28)는 간극(31)으로 인하여 조립제의 중심축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휘어져서 그것의 후크(29)및 접시링(20)(21)의 작용에 의해 가이드링(11)의 반대면에 계합된다. 제4도를 참조하면, 마찰링(19)은 댐퍼플레이트(4)를 허브(3)에 조립하기전에 다른 마찰링(18)에 의해서 축방향으로 유지되고, 후자의 마찰링은 그것의 숄더(36)에 의해서 당접면(37)에 계합한다는 것을 알수 있을 것이다.
스페이서(13)를 최종적으로 조립한후, 마찰링(18)(19)은 서로 가압되고, 마찰링(19)과 숄더(36)사이 및 후크(29)와 가이드링(11)사이에는 축방향으로 간극이 존재한다. 물론, 당접수단(24)과 축방향 보유수단(25)에도 간극이 존재할 수 있으며, 후크(29)의 위치는 마찰링(18)이 사용중에 점차 마모되더라도 구멍(27)으로 부터 보스(26)가 이탈되는 일이 없도록 설정된다.
가이드링(11)(11')은 서로 동일하므로, 베어링(17)도 역시 가이드링(11')에 형성된 구멍(27)과 계합하기 위한 보스(26)및 핑거(28)를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가이드링(11')및 클러치디스크(1)로 이루어진 부분조립체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스페이서 바아(13)는 최종 조립시에 설치된다.
클러치디스크(1)가 허브(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을 하면, 스프링(8)이 먼저 압축되고, 가이드링(11)(11')은, 스프링(8)을 압축시키기에는 충분하지만 다른 스프링(12)을 압축시키기에는 충분하지 않은 힘이 작용하는 한, 댐퍼플레이트(4)와 함께 블록을 형성하고 있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유격커플링수단(7)의 간극이 없어질때까지 계속된다. 이어서, 제2단계에서는, 가이드링(11)(11')이 스프링(12)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댐퍼플레이트(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한다. 그러므로, 마찰링(19)은 제1단계에서도 작동하지만, 다른 마찰링(18)은 허브(3)에 대한 댐퍼플레이트(4)의 회전운동이 시작된 후에만 작동에 들어간다.
물론,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축방향 보유수단(25)은 마찰링(18)(20)의 내주연 및 외주연에 각각 형성된 상보형의 원추형 표면을 구비할 수도 있다. 서두에서 프랑스공개 특허출원 제 FR2611 245A호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같이, 숄더(36)는 당접수단(24)처럼 마찰링(19)상에 형성시키고, 마찰링(18)은 댐퍼플레이트(4)를 통해 조립할수도 있다. 이어서, 상술한 돌출부의 선단과 마찰링(18)을 향하고 있는 댐퍼플레이트의 표면사이에는 당접수단을 설치한다. 이러한 당접수단은 상술한 핑거(28)와 마찬가지로 후크를 가지는 탄성변형 가능한 핑거를 구비할수도 있다. 후크(29)는 조립체의 중심축을 향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당접수단(24)에 대응하는 상기 당접수단은 마찰링(19)과 같은 높이에 설치할수 있다. 이것은 사실상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해당한다. 이어서, 핑거(28)는 보스(34)와 연결된다.
핑거(28)는 그에 대응하는 보스(26)로 부터 상당히 떨어져 있을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가이드링(11)(11')에서와 마찬가지로 부가적인 구멍을 형성시킨다.
다음은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도면에 있어서, 보조핑거(28')는 상술한 핑거(28)에 대하여 축방향을 따라 반대방향으로 향하고 있으며, 댐퍼플레이트(4), 예를들면 당해 댐퍼플레이트의 대응 윈도우(16)를 통해서 연장된다. 핑거(28)는 가이드링(11)으로 부터 연장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윈도우(16)에는 핑거(28')가 원주면상에 간극을 두고 삽일될수 있도록 슬롯(100)이 형성된다. 상기 핑거의 후크(29')는 조립체의 중심축을 향하고 있다. 이들 모두는 하나의 보조당접수단을 형성한다. 이러한 보조핑거(28')로 인하여, 댐퍼플레이트(4)는 가이드링(11)과 마찰수단(22)(5)으로 구성된 부분조립체상의 스냅조립될 수 있다.
제7도를 잠조하면, 댐퍼플레이트(4)와 마찰수단(22)(5)으로 구성된 부분조립체는 가이드링(18)(19)의 방향이 역방향으로 되도록 하여 제작한다. 제7도에 있어서, 마찰링(18)은 댐퍼플레이트의 구멍(27)을 통하여 연장되고, 당접수단(24)은 댐퍼플레이트(4)와 마찰링(18)사이에서 그것의 핑거(28)및 보스(26)와 작용한다. 접시링(20)은 댐퍼플레이트(4)를 부세하여 마찰링(18)을 가이드링(11)과 접촉하도록 바이어스시킨다. 이와 마찬가지로, 접시링(21)은 허브의 칼라부(6)를 부세하여 마찰링(19)을 가이드링(11)과 접촉하도록 바이어스시킨다.
접시링(21)은 연속적인 형태이고 유격커플링수단(7)의 일부를 구성하는 댐퍼플레이트(4)의 톱니(제3도 참조)는 접시링(21)을 본래의 위치에 유지시키게 되므로, 각종부픔(4)(22)(5)으로 구성된 부분조립체로 부터 접시링(21)이 이탈되는 일은 없다. 또한, 마찰링(18)의 숄더는 댐퍼플레이트(4)를 향하고 있다. 상기 마찰링(18)은 가이드링(11)과 후크방식으로 계합할 수 있도록 된 상기 핑거(28)와 유사한 보조핑거를 구비할수도 있다.
참조번호(119)는 베어링을 나타내고, (116)은 스페이서스프링을 나타낸다.
물론, 가이드링과 댐퍼플레이트를 가진 예비댐퍼의 일부는 낮은 강성의 탄성수단(8)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예비댐퍼는 상술한 프랑스 공개특허 출원 제 FR 2,611,245A 호 및 미합중국 특허 제 4,883,156 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와같이 댐퍼플레이트(4)와 가이드링(11)(11')중 하나와의 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된다.
본 발명은 클러치디스크(1)를 사용하지 않는 용도에도 적용할수있다. 이경우에 있어서, 예를들면 가이드링(11)(11')중 하나는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에 고정된 플라이 휘일에 직접 부착되고, 허브는 기어박스의 입력축에 연결된다.
댐퍼플레이트(4)는 미합중국 특허 제 4,698,045 호에 기술된 바와 같이 분할형 일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탄성수단(8)(12)은 예를들면 고무로 제조한 탄성블록의 형태를 취할수도 있다.

Claims (4)

  1. 적어도 하나의 댐퍼플레이트(4)의 양측에 축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가이드링(11)(11')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링은 댐퍼플레이트와 동축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1마찰수단(22)및 제1원주방향작용 탄성수단(12)의 작용력을 극복하고 제한된 각운동범위내에서 상기 댐퍼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할수 있으며, 상기 댐퍼플레이트(4)와 상기 가이드링(11)(11')에 의해 둘러싸인 허브(3)를 포함하고, 상기 허브는 댐퍼플레이트(4)와 동축상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1마찰수단(5)및 제2원주방향작용 탄성수단(8)의 작용력을 극복하고 제한된 각운동범위내에서 상기 댐퍼플레이트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할수 있으며, 상기 제1및 제2의 마찰수단(22)(5)은 각각 마찰링(18)(19)을 구비하고, 상기 양자의 마찰링은 상기 가이드링중 하나(11)와 상기 댐퍼플레이트(4)사이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조립체의 중심축에 대하여 중심이 맞춰져 있고, 상기 제1마찰수단(22)의 상기 마찰링(18)은 상기 제2마찰수단(5)의 마찰링(19)을 둘러싸고, 상기 마찰링(18)(19)중 적어도 하나는 대응가이드링(11)과 함께 회전할수 있도록 그것과 결합된, 특히 자동차용 마찰클러치의 클러치판에 사용되는 토오션 댐핑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찰링(18)(19)중 하나와 이 마찰링에 연결되는 상기 댐퍼플레이트(4)및 상기 가이드링(11)또는 (11')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요소사이에는 당접수단(24)이 배치되고, 상기 2개의 마찰링(18)(19)사이에는 축방향보유수단(25)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션댐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당접수단(24)이 대응마찰링(18)또는 (19)로 부터 돌출되어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한 제1핑거(28)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핑거는 후크(29)를 구비한 것으로, 상기 요소에 형성된 구멍(27)를 통하여 연장됨으로써, 간극의 소멸후 그것의 후크가 상기 요소와 계합할수 있도록 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션 댐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마찰수단(22)의 상기 마찰링(18)이, 반경방향으로 탄성변형가능하고 후크(29')를 가지는 보조핑거(28')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핑거는 상기 핑거(28)와 반대방향으로 축방향으로 배향됨으로써, 당해보조핑거가 상기 요소의 구멍(27)에 삽입되어 간극이 소멸된 후, 상기 제1핑거(28)를 가지지 않는 상기 그룹의 요소와 보조핑거의 후크가 계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션 댐핑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방향 보유수단(25)이 반경방향으로 배향된 숄더(36)를 포함하고, 상기 숄더는 적당한 가이드링(11)또는(11')이나 댐퍼플레이트(4)를 향하는 것으로, 마찰링(18)(19)에 달려 있고, 다른 하나의 마찰링은 상기 숄더(36)와 협동하도록 된 당접면(3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오션 댐핑장치.
KR1019900001409A 1989-02-07 1990-02-06 자동차용 마찰클러치판의 토오션 댐핑장치 KR0157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8901537A FR2642805B1 (fr) 1989-02-07 1989-02-07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notamment pour disque de friction d'embrayage de vehicules automobiles
FR8901537 1989-02-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792A KR900012792A (ko) 1990-09-01
KR0157620B1 true KR0157620B1 (ko) 1998-10-15

Family

ID=937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1409A KR0157620B1 (ko) 1989-02-07 1990-02-06 자동차용 마찰클러치판의 토오션 댐핑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14842A (ko)
EP (1) EP0382616B1 (ko)
KR (1) KR0157620B1 (ko)
DE (1) DE69024673T2 (ko)
ES (1) ES2082839T3 (ko)
FR (1) FR26428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107B1 (ko) * 2007-05-18 2009-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디스크 댐퍼의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7125A1 (de) * 1991-03-06 1992-09-10 Fichtel & Sachs Ag Kupplungsscheibe mit reibeinrichtung
FR2674593B1 (fr) * 1991-03-29 1993-05-07 Valeo Amortisseur de torsion comportant un preamortisseur a boitier avec pattes a crochets,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9114585U1 (de) * 1991-11-23 1992-02-06 Fichtel & Sachs Ag, 8720 Schweinfurt Kupplungsscheibe mit Kunststoffring
DE4140643C2 (de) * 1991-12-10 1999-12-16 Mannesmann Sachs Ag Kupplungsscheibe mit elastischer Zentrierung
JP3510255B2 (ja) * 1993-03-19 2004-03-22 ヴァレオ 自動車の摩擦ライニングを支持するライニングホルダ板
FR2706005B1 (fr) * 1993-06-02 1995-07-28 Valeo Sous-ensemble unitaire de frottement pour amortisseur de torsion.
JP2606293Y2 (ja) * 1993-11-18 2000-10-10 ヴァレオユニシアトランスミッション株式会社 捩り振動低減装置
DE19514734C2 (de) * 1994-04-25 1999-11-18 Exedy Corp Kupplungsscheibenausbildung
FR2741925B1 (fr) * 1995-12-04 1998-01-09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JP3489927B2 (ja) 1996-01-11 2004-01-26 株式会社エクセディ クラッチディスク組立体
EP0826899B1 (en) * 1996-08-30 2006-02-01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Power transmitting mechanism
JPH10103407A (ja) * 1996-09-27 1998-04-21 Exedy Corp ダンパー機構
DE19709342B4 (de) * 1997-03-07 2006-12-28 Zf Sachs Ag Torsionsschwingungsdämpfer mit einer Gleitlagerung
JP2002213535A (ja) * 2001-01-18 2002-07-31 Exedy Corp ダンパー機構
JP4617845B2 (ja) * 2004-11-17 2011-01-2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クラッチディスク
JP6731436B2 (ja) * 2018-03-19 2020-07-29 株式会社エクセディ 動力伝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386729A1 (fr) * 1977-04-04 1978-11-03 Ferodo Sa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en particulier friction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FR2494795B1 (fr) * 1980-11-25 1986-04-11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notamment pour disque de friction d'embrayage de vehicule automobile
FR2524097A1 (fr) * 1982-03-26 1983-09-30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en particulier pour vehicule automobile
FR2560330B1 (fr) * 1984-02-23 1986-07-25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notamment pour disque de friction d'embrayage de vehicule automobile
US4634398A (en) * 1984-02-23 1987-01-06 Valeo Torsional damper device comprising two coaxial parts disposed to rotate relative to one another
FR2560328B1 (fr) * 1984-02-23 1987-03-20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notamment pour disque de friction d'embrayage de vehicule automobile
JPS60192124A (ja) * 1984-03-09 1985-09-30 Daikin Mfg Co Ltd ダンパ−デイスクの摩擦装置
DE3415926A1 (de) * 1984-04-28 1985-10-31 Fichtel & Sachs Ag, 8720 Schweinfurt Torsionsschwingungsdaempfer mit zweistufiger reibeinrichtung fuer den lastbereich
FR2566497B1 (fr) * 1984-06-22 1986-09-26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en particulier friction d'embrayag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DE3564728D1 (en) * 1984-06-22 1988-10-06 Valeo Torsional damping device, in particular a clutch friction plate, especially for a motor vehicle
JPH03574Y2 (ko) * 1986-02-06 1991-01-10
FR2611245B1 (fr) * 1987-02-24 1991-03-08 Valeo Disque de friction d'embrayage avec preamortisseur
FR2619182B2 (fr) * 1987-04-02 1992-06-12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a organe de transmission de mouvement
DE3810922C2 (de) * 1987-04-07 1998-07-23 Valeo Torsionsschwingungsdämpfer, insbesondere Reibscheibe für ein Kraftfahrzeug
FR2614080B1 (fr) * 1987-04-14 1992-04-10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a palier de centrage
FR2614081B1 (fr) * 1987-04-14 1992-04-10 Valeo Dispositif amortisseur de torsion a moyens d'engagement entre rondelles de frotteme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107B1 (ko) * 2007-05-18 2009-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클러치 디스크 댐퍼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24673D1 (de) 1996-02-22
EP0382616A2 (fr) 1990-08-16
US5014842A (en) 1991-05-14
EP0382616A3 (fr) 1994-03-30
FR2642805A1 (fr) 1990-08-10
DE69024673T2 (de) 1996-05-23
EP0382616B1 (fr) 1996-01-10
FR2642805B1 (fr) 1993-01-22
ES2082839T3 (es) 1996-04-01
KR900012792A (ko) 199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7620B1 (ko) 자동차용 마찰클러치판의 토오션 댐핑장치
KR100264297B1 (ko) 하우징과 후크형 텅을 갖는 프리댐퍼를 포함하는 토션 댐퍼
US4899862A (en) Torsion damping device with a centring ring member
US5080215A (en) Torsion vibration damper
US4782933A (en) Apparatus for compensating for fluctuations of torque between coaxial flywheels in a motor vehicle
US4222476A (en) Torsion damping device for friction plate having a flexible center
KR950013930B1 (ko) 자동차용 디스크형 마찰 클러치의 비틀림 감쇄 장치
US5117959A (en) Torsion damp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utomotive vehicles
JPS59166724A (ja) 摩擦クラツチ従動プレ−ト
JP3010432B2 (ja) 摩擦用クラッチ用のクラッチ・ディスク
JPH0468488B2 (ko)
US5816380A (en) Torsional damper, notably a clutch friction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US4270645A (en) Torsion damping center and a clutch plate assembly having such a torsion damping center
US6062103A (en) Motor vehicle double damping flywheel, comprising improved means for friction damping of vibrations
JP3637498B2 (ja) ねじり緩衝器用のサブアセンブリ
US5224576A (en) Damper disk
JP2001510537A (ja) 改良されたトーションダンパおよびこのトーションダンパを備えるダンピング装置
US4574932A (en) Torsion damping assembly for automotive clutches
US4538718A (en) Clutch disc arrangement
US5857914A (en) Configuration for connecting outer radial portions of disk portions of a damper disk assembly
JPH0921445A (ja) トーションダンパー
US5025904A (en) Torsion damping device, in particular for a friction clutch for an automotive vehicle
US4586596A (en) Clutch plate with a composite torsion damping hub
US5186293A (en) Damper disk
KR100634274B1 (ko) 비틀림 댐퍼 및 마찰 링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2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2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0020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4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7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7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6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6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19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6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