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57310B1 - 재배치 가능벽에 연속 패널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상호 연결 구조물 - Google Patents

재배치 가능벽에 연속 패널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상호 연결 구조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7310B1
KR0157310B1 KR1019900008390A KR900008390A KR0157310B1 KR 0157310 B1 KR0157310 B1 KR 0157310B1 KR 1019900008390 A KR1019900008390 A KR 1019900008390A KR 900008390 A KR900008390 A KR 900008390A KR 0157310 B1 KR0157310 B1 KR 0157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key
block
cam
cam key
interconnect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8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1193A (ko
Inventor
지.잭슨 프란시스
Original Assignee
이반 씨.하터
하터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반 씨.하터, 하터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반 씨.하터
Publication of KR910001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7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7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7422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with separate framed panels without intermediary support posts
    • E04B2/7425Details of connection of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E04B1/610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 E04B1/612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 E04B1/6183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the frontal surfaces of the slabs connected together by means between frontal surfaces with rotatable locking means co-operating with a rece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7407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 E04B2/7416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assembled using frames with infill panels or coverings only; made-up of panels and a support structure incorporating posts with free upper edge, e.g. for use as office space dividers
    • E04B2002/742Details of panel top cap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04B2002/749Partitions with screw-type jac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S403/12Furniture type having a rotatable fastener or fastening element that tightens conn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etaining Wall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재배치 가능벽에 연속 패널을 해제가능하게 고정하는 상호 연결 구조물
제1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실시한 재배치 가능벽 구조의 분해도.
제2도는 재배치 가능벽의 적절한 부분에 따라 도시되고 본 발명의 원리를 실시한 상호 접속 구조물의 실시예를 상세히 도시한 제1도의 분해도의 확대도.
제3도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각 캠키블록의 측면 확대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캠키블록의 정면도.
제5도는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된 캠키블록의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실시한 캠키블록의 사용에 제공된 캠키의 정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선 7-7을 따른 종단면도.
제8도는 2개의 캠키블록과 캠키의 상호 결합 조립체의 확대 종단면도.
제9도는 4개의 캠키블록 및 거기에 설치된 보강판 조립체를 갖는 사각 포스트 부재의 사시도.
제10도는 제9도에 도시된 사각 포스트 부재에 하나 이상의 캠키블록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된 반쪽 보강판 조립체의 사시도.
제11도는 일반적으로 L형 교차부로 도시된 2개의 패널 모서리 포스트 조립체의 수평 단면도.
제12도는 T형 교차부로 도시된 3개의 패널 포스트 조립체의 수평 단면도.
제13도는 X형 교차부로 도시된 4개의 패널 포스트 조립체의 수평 단면도.
제14도는 캠키블록의 선택적 실시예의 사시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상호 접속 구조물을 사용한 각 재비치 가능벽 구조의 평면도.
제16도는 벽패널 조립체의 양 측단부에 장식 단부 캡을 보호하도록 설치되고 본 발명의 원리를 실시한 캠키블록상에서 제1도에 도시된 클립 특징을 변형시킨 변형된 클립의 측면 확대도.
제17도는 제16도에 도시된 클립의 평면도.
제18도는 캠키블록의 선택적 실시예의 확대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벽 패널 조립체 21 : 수직 프레임 부재
25 : 스트링거 27 : 수평 조절 기구
35,125,235 : 캠키블록 38,128 : 지지패드
46, 138 : 중심 슬롯 64 : 스프링 멈춤 부재
65,66,145,146 : 측부 로케이터 68,268 : 러그
75 : 캠키 80,81 : 로킹볼트
82 : 유지볼트 88 : 공구 결합장치
102 : 브래킷 116,122 : 벽캡
118 : 충전블록 155 : 클립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재배치 가능벽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일련의 인접한 또는 집중된 패널 조립체를 재배치 가능벽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는 매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일련의 패널을 재배치 가능벽에 해제가능하게 고정하는 개선된 상호 접속 구조물을 제공하는 독특한 로킹용 메카니즘과 그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련의 인접 패널을 결합시키는데 사용된 방법은 패널의 측면 구성부재로 형성된 수직 채널에 설치된 측면 이동 가능 접속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접속부재는 한 벽 패널내의 채널로부터 상기 접속부재의 하나의 패널에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또한 일련의 인접 패널내의 대칭 채널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위치까지 수평으로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접속부재는 키퍼 또는 클립 및 판에 의해 위치내에서 잠겨진다. 종래 기술의 개념을 실시한 대표적인 구조물이 미합중국 특허 제 4,031,675호와 제 2,999,568호에 기술되어 있다. 종래 기술의 구조물을 접속부재를 수평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얇은 블레이드 또는 주걱과 같은 기구를 사용한다. 따라서 상기 기구는 패널사이에서 접속부재의 측부 운동 효과를 위하여 상기 기구가 조작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변위시키는 탄성 단부를 갖는다.
또한 상기 부재가 로킹 클립과 결합된 후에 접속부재가 하강하여 판위에 위치되도록 상기 접속 부재를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런 구조물에서, 접속부재를 상승시키는데 사용된 기구는 패널 바닥의 개구부를 통하여 삽입된다. 상기 개구부는 조립후 성형에 의해 커버된다.
상술된 구조물에서, 접속 또는 결합부재는 패널이 접속된 위치에서 위치될 동안 하나의 수직 채널 내에 지지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결합부재를 사용하도록 긴 박스 등의 구조물이 실제부가 프레임 구조물 내에서 패널을 형성하기 전에 조립될 것을 요구한다.
재배치 가능한 벽과 디바이더를 이용한 공지된 대표적인 종래 구조물의 전범위가 하기의 미합중국 특허 제 1,154,66호, 제 2,730,209호, 제 2,787,812호, 제 2,832,101호, 제 3,694,975호, 제 3,713,257호, 제 3,492,766호, 제 3,429,601호, 제 3,488,908호, 제 3,852,926호, 제 2,107,624호, 제 3,299,594호, 제 3,075,253호, 제 2,371,300호, 제 3,194,361호, 제 3,377,756호, 제 3,643,395호, 제 3,919,820호에 기술되어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4,094,113호를 제외한 상기 특허는 급속 조립 및 분해에 적용된 이동가능한 벽이 아닌 처음 기술된 장치로서의 이동 가능한 벽을 기술하고 있다. 종래 기술의 재배치 가능벽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패널의 설치 이전에 프레임 구조물이 직립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것은 벽의 길이, 위치 또는 방향의 변화가 요구되면, 전체적인 재설계가 이루어져야 하며 프레임은 분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중요한 제1 목적은 인접벽 패널 조립체가 상호 접속 구조물에 의해 구조적으로 일체화되므로서 프레임 구조물을 벽패널 조립체로부터 분리할 필요성을 제거하는 복합 패널, 재배치 가능벽을 위한 개선된 상호 접속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그 대향 부품이 일련의 인접 벽 패널 조립체에 고정되는 캠 로킹용 구조물에 의해 각 벽 패널 조립체가 상호 접속되는 상술된 복합 패널, 재배치 가능벽을 위한 개선된 상호 접속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상호 접속 구조물이 일련의 인접벽 패널 조립체의 대향 단부상에 접한 관계로 캠키블록 수단을 가지며 상기 캠키블록 수단이 캠키 수단에 의해 받침대에 보호되는 상술된 복합 패널, 재비치가능 벽을 위한 상호 접속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4 목적은 개선된 상호 접속 구조물을 갖는 복합 패널 재배치 가능벽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상호 접속은 하나의 캠키블록 수단내에 캠키 수단을 삽입시키고, 일련의 인접벽 패널 조립체상에서 캠키블록 수단을 밀착 근접부내로 이동시키고, 캠키블록 수단을 받침대내로 가압하는 일련의 인접벽 패널 조립체상에서 캠키블록 수단과의 동시 결합주내로 캠키 수단을 회전시켜 일련의 인접벽 패널 조립체 사이에 요구된 상호 접속을 유지시키므로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5 목적은 일련의 인접벽 패널 조립체가 정렬된 직선형 상호 접속부내에서 상호 접속되는 것을 허용하는 상술된 복합 패널 재배치 가능벽을 위한 개선된 상호 접속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6 목적은 집중된 벽 패널 조립체가 모서리, L형 교차부, T형 교차부, X형 교차부에서 상호 접속되는 것을 허용하는 상술된 복합 패널, 재배치 가능벽을 위한 개선된 상호 접속 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 및 기타 다른 목적과 그 장점은 하기의 상세한 기술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명확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를 실시한 복합 패널, 재배치 가능벽을 위한 상호 접속 구조물은 프레임 구조물을 분리하거나 지지할 필요없이 재배치 가능벽의 급속 조립 및 급속 분해를 허용하는 신규한 상호 접속 구조물을 제공한다. 각 벽 패널 조립체는 각 벽 패널 조립체의 측단부에서 한쌍의 수직 방향의 매우 단단한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자체 유지 원형 프레임 부재를 갖는다. 상기 단단한 프레임 부재는 벽 패널 조립체와 외측으로 면한 수직 연장 채널 또는 홈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캠키블록이 로킹 수단에 의해 각 채널내에 보호된다.
각 캠키블록은 거기에 형성된 캠 표면을 갖는다. 측부 로케이터는 각 캠키블록으로부터 제공된다. 각 벽 패널 조립체의 한 측단부에 보호된 캠키블록상의 측부 로케이터는 각 벽 패널 조립체의 다른 측단부에 보호된 캠키블록상의 측부 로케이터와 상호 보완하고 있다. 따라서, 재배치 가능벽의 조립동안 일련의 인접벽 패널 조립체상의 대향 캠키블록이 합쳐질 때, 측부 로케이터는 대향 캠키블록의 측부 정렬을 수행하며 상호 결합되도록 배치되므로써 일련의 벽 패널 조립체가 보호된다. 이런 동일한 결과는 본 발명의 원리를 실시한 상호 접속 구조물을 이용한 삽입 포스트 장치의 사용을 통하여 보호될 때 얻어진다.
램키 수단은 2개의 대향 설치되어 상호 결합되는 캠키블록을 보호하도록 해제가능하게 사용된다. 캠키는 디스크부로부터 횡단하여 외측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2쌍의 로킹 볼트를 갖는 디스크부를 갖는다. 로킹 볼트의 쌍은 디스크부의 원주에 대하여 직경의 대향 위치에 배치되며, 로킹볼트는 보조 로킹면을 가지며 캠키블록상의 캠면과의 결합부 내외로 로킹 볼트쌍을 이동시키기 위해 캠키블록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회전 가능하다.
2개의 선택적인 캠키블록의 형태를 갖는 재배치 가능 벽을 위한 상호 접속 구조물의 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완전한 기술을 실시하기에 충분할 것이며,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이 아니라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다양한 모든 형태 및 수정을 전부 상세히 서술하지 않고 단지 첨부된 도면에 그 예로써 도시하고 첨부된 도면의 실시예에 의해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원리를 실시한 복합 패널 재배치 가능 벽을 위한 개선된 상호 접속 구조물의 대표적인 한 형태가 첨부된 도면에서 일반적으로 도면번호 10으로 도시된다.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의 부품은 유사한 특성을 나타내며 제15도는 일련의 정렬된 또는 집중된 벽 패널 조립체(11) 사이에서 거의 전형적으로 요구되는 결합자에 효과를 부여하는 상호 접속 구조물의 사용법을 표시하도록 배치된 다수의 벽 패널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예컨데, 벽 패널 조립체(11A,11B)(11D,11E,11G,11K도 동일)는 단순히 개선된 상호 접속 구조물(10)의 사용에 의해 직선형 교차부(12)로 결합된 것으로 도시된다. 벽 패널 조립체(11C,11D)는 모서리에서 L형 교차부(13)로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고, 벽 패널 조립체(11E,11F,11G)는 T형 교차부(14)로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며 벽 패널 조립체(11B,11H,11J,11K)는 X형 교차부(15)로 결합된 것으로 도시된다. 상기 각 L형 교차부(13), T형 교차부(14)로 결합된 것으로 도시되며 벽 패널 조립체(11B,11H,11J,11K)는 X형 교차부(15)로 결합된 것으로 도시된다. 상기 각 L형 교차부(13), T형 교차부(14), X형 교차부(15)는 포스트 장치(20)를 이용하지만 직선형 교차부(12)는 포스트 장치(20)를 요구하지 않는다. 그러나, 도시된 모든 교차는 개선된 상호 접속 구조물(10)을 이용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서술된 것처럼, 특수한 구조의 부재 또는부품 또는 장치가 한 위치 이상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형태의 부재 또는 부품 또는 장치를 기준할 때, 통상의 숫자표시가 사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표시된 하나의 구조부재, 부품, 장치가 각각 확인될 때, 상기 구조부재 또는 부품 또는 장치의 일반적인 표시를 위해 사용된 숫자 표시와 조합하여 사용된 문자에 의해 기준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명세서 및 도면에서 도면번호 11로 도시된 특히, 특정의 각 패널 조립체(11A,11B,11C 등)으로 도시된 적어도 2개의 벽 패널 조립체가 제공된다. 이런 표시가 명세서가 사용된다.
제1도 및 제2도는 직선으로 배치된 벽패널 조립체(11A,11B)의 대표적인 쌍의 확대 사시도이다. 상기 벽 패널 조립체(11A,11B)는 그 대향 축단부상에 수직 프레임 부재(21A,21B)를 갖는다. 각 수직 프레임 부재(21)는 각 수직 프레임 부재의 전 길이 방향으로 적합하게 연장되고 외측으로 면한 수직 방향의 채널 또는 홈(22)을 제공한다. 각 패널 조립체(11)의 수직 프레임 부재(21)는 바닥 프레임 부재(24)와 마찬가지로 상부 수평 프레임부재(23)에 보호된다. 따라서 제1도에 상세히 도시된 것처럼, 프레임부재(21A)는 벽 패널 조립체(11A)의 상부 수평 프레임부재(24B) 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된다. 또한, 프레임부재(21B)는 벽 패널 조립체(11B)의 상부 수평 프레임부재(23B)와 하부 수평 프레임부재(24B) 사이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또한, 수직 프레임부재(21) 사이에서 연장되며 수직으로 배치되는 중간 스트링거(stringer)(25)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링거(25A)가 벽 패널 조립체(11A)의 수직 프레임부재(21A,21C) 사이에서 수평으로 연장되는 것처럼, 유사한 중간 스트링거(25B)가 벽 패널 조립체(11B)에 사용된다. 서술된 상부 프레임부재, 하부 프레임부재, 중간 스트링거(25)는 컴퓨터 연결 케이블처럼 전기 및 전화선의 편리한 설치를 허용하는 채널형 레이스(26)와 협동한다.
상호 접속 구조물(10)에 대한 서술을 계속하기 전에, 각 벽 패널 조립체(11)는 바닥의 수평 상태와 관계없이 전 벽에 걸쳐 수평 방위의 형성에 사용되며 바닥위의 선정된 높이에 인접벽 패널 조립체를 설치하고 유지하도록 설계된 하나 이상의 발판 및 수평 조절기구(27)를 갖는 것이 기술되어야 한다. 도시된 발판 및 수평 조절기구(27)를 갖는 것이 기술되어야 한다. 도시된 발판 및 수평 조절기구(27)에 대한 상세한 서술은 1989년 6월 12일에 출원되어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계류중인 미합중국 특허출원 번호 제 호에 기술되어 있다.
다수의 앵커 슬롯(30)은 벽 패널 조립체(11)의 측단부 및 상단부를 도시하는 수직 프레임부재(21) 및 상부 프레임부재(23) 등으로 선정된 구조 부재를 따라 이격된다. 제2도에 상세히 도시된 것처럼 다수의 앵커 슬롯(30A)은 수직 프레임부재(21A)에 제공되고 다수의 앵커 슬롯(30B)은 수직 프레임부재(21B)에 제공되며, 대응의 앵커 슬롯(30C,30D)은 벽 패널 조립체(11A,11B)의 상부 프레임부재(23A,23B)에 각각 제공된다. 상기 앵커 슬롯(30)은 당 기술분야에 공지된 방법으로 벽 패널 조립체(11)에 장식 패널 덮개를 보호하도록 설치된다. 패널 덮개는 일반적으로 프레임에 제거가능하게 보호된 얇게 카바된 직물이다. 직물 덮개는 패널 조립체가 재배치 가능 벽을 형성하도록 서로 보호된 후에 추가된다. 당 기술분야에 잘 공지된 것처럼 상기 벽이 재장식을 목적으로 조립된 후에 직물 덮개가 변경될 수 있다.
근접 슬롯(31)은 각 수직 프레임부재(21)의 길이를 따라 선정된 위치에 제공된다. 상기 근접 슬롯(31)은 후술될 적합한 공구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부를 제공하며 수직 채널 또는 홈(22)의 측부를 한정하는 측부 플랜지(32A,32B)를 통하여 횡단으로 연장된다. 상기 공구의 목적은 상호 접속 구조물(10)의 작동 설명과 같이 후술될 것이다.
수직 채널(22)은 상호 접속 구조물(10)의 중요한 부품인 하나 이상의 캠키블록(35)를 수용하도록 설치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고 제3도 내지 제5도에 상세히 도시된 각 캠키블록은 몸체부(36)로부터 길이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패드(38A,38B)를 갖는 거의 장방형의 주몸체부(36)를 갖는다. 각 지지패드(38)는 로킹 수단(40)이 각 수직 프레임부재(21)의 홈(22)내에 캠키블록(35)를 보호하도록 삽입 가능하게 수용되는 개구(39)를 갖는다. 양호한 실시예에서 상기 로킹 수단(40)은 채널(22)의 웨브부(42)와 지형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각 지지패드(38) 내의 개구(39)를 통하여 연장되는 치형 장치를 포함한다. 그러나, 리벳과 같은 다른 보호 장치는 수직 프레임부재(21)의 채널(22) 내에서 캠키블록(35)을 보호하도록 사용되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각 캠키블록(35)의 몸체부(36)는 길이 방향축(43)과, 측부 횡단축(44), 상기 길이 방향축(43)과 측부 횡단축(44) 방향으로 좁고 길이 방향축(43) 방향으로 긴 일반적으로 장방형의 중심 슬롯(46)는 캠키블록(35)의 몸체부(36)를 관통하는 수직축(45)가 평행하게 연장된다. 몸체부(36)을 관통하므로써 상기 중심 슬롯(46)는 몸체부(36)의 배면(49)와 마찬가지로 정면(48)을 통하여 개구된다. 상기 정면(48)은 측부 횡단축(44)를 포함하는 평면에 위치하며 배면(49)은 정면(48)으로부터 치환되어 정면(48)과 평행한 평면에 위치된다.
한 쌍의 반원통형 베어링면(50A,50B)은 정면(48) 내에 수용되어 측부 횡단축(44)에 대하여 동심으로 설치된다. 몸체부(36)내의 각 베어링 면(50)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는 수용된 영역은 중심 슬롯(46)내에 수용되고 베어링 면(50) 상에서 저어널된 후술될 메카니즘의 접근을 허용하는 개구(51)를 포함한다. 근접 개구(51)의 목적은 하기에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중심 슬롯(46)의 대향측벽(53A,53B)은 한 쌍의 반환형 리브(54A,54B)에 의해 차단된다. 각 리브(54A,54B)상의 방사형 외면은 캠면(55A,55B)를 포함하며, 방사형 내면은 각 반원통형 베어링 면(50)과 관련되어 합병된다. 반원통형 베어링 면(50)이 측부 횡단축(44)에 대하여 중심 형성되는 반면 활 모양의 캠면(55A,55B)은 캠면(55A,55B)로부터 필요한 캠동작을 제공하기 위해 하기 상세히 서술된 도면번호 58로 도시된 천분의 수인치의 양으로 측부 횡단축(44)으로부터 옵셋되는 수직축(45)를 차단하는 축(56)에 대하여 적합하게 중심 형성된다. 요구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돈 것처럼 캠면(55A,55B)은 다소 타원형인 것이 명백하다.
한쌍의 정렬 돌출부(60A,60B)는 몸체부의 배면(49)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정렬 돌출부(60)는 채널(22)의 웨브벽을 따라 선정된 위치에 제공되는 그 다수의 슬롯으로부터 선정된 하나의 정렬 슬롯(제1도 참조)내에 수용되도록 설치된다. 적합한 정렬 슬롯(61)내의 정렬 슬롯의 결합부는 각 캠키블록(35)이 집중된 벽 패널 조립체 사이에 삽입된 어떤 포스트 장치(20)상의 캠키블록(35)처럼 일련의 인접벽 패널 조립체(11)의 대향 수직 프레임부재(21)상의 캠키블록(35) 사이에서 적합한 상호 작용을 보장하기에 필요한 각 수직 프레임 부재(21)의 채널(22)내의 요구된 수직 위치에 정확하게 배치된다.
제2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한 쌍의 앵커 리세스(62A,62B)가 각 캠키블록(35)의 배면(49)에 제공된다. 상기 리세스는 제1도에 각각 도시되어 하기에 상세히 서술될 스프링 멈춤부재(64)의 각 장착 기초부를 수용하도록 설치되거나 또는 위치한다.
한 쌍의 톱니형 측부 로케이터(65,66)는 정면(48)의 대향단부에 적합하게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다. 상기 각 측부 로케이터(65,66)는 돌출된 위치 제어용 러그(68)와 측면으로 인접한 위치 제어용 리세스(69)를 갖는다. 제3도 및 제5도에 상세히 도시된 것처럼, 각 측부 로케이터(65,66)의 러그(68A,68B)는 길이 방향축(43)의 동일한 측부와 측부 횡단축(44)의 길이 방향의 대향 측부상의 위치된다. 사실, 위치 제어용 러그는 중심 슬롯(46)의 길이 방향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각 측부 로케이터(65,66)의 위치 제어용 리세스(69A,69B)는 측부 횡단축(44)의 길이 방향의 대향 단부상과 러그(68A,68B)로부터 길이 방향축(43)의 축방향 대향 단부상에 위치된다. 경사 램프(70A)는 위치 제어용 러그(68A)의 꼭대기면(71A)과 측방향 인접 위치 제어용 리세스(69A)의 바닥(72A) 사이에서 연장된다. 또한, 경사 램프(70B)는 위치 제어용 러그(68B)의 꼭대기면(71B)과 축방향 인접위치 제어용 리세스(69B)의 바닥(72B) 사이에서 연장된다. 각 측부 로케이터(65,66)의 러그(68) 및 리세스(69)의 치수는 캠키블록(35A)이 대향 캠키블록(35B)과의 접촉 결합부내로 이동될 때 캠키블록(35A) 상의 위치 제어용 러그(68)가 접촉 병렬로 놓인 대향 캠키블록(35A,35B)상의 경사 램프(70)에 의해 캠키블록(35B)의 대향 위치 제어용 리세스(69) 내에 정확하게 수용되는 방법으로 선정된다. 또한, 각 위치 제어용 러그(68A,68B)상의 측면 외측으로 배치된 측벽(73A,73B)은 러그(68A,68B)가 그 내부에 수용되는 위치 제어용 리세스(69A,69B)의 측면 외측으로 배치된 측벽(74A,74B)과 대향으로 면하여 결합될 것이다. 측부 로케이터(65,66)의 각 면은 대향으로 상호 결합된 캠키블록(35) 사이에서 측부 정렬을 유지한다. 또한 측부 로케이터(65,66)의 형태는 대향 캠키블록(35) 상의 측부 로케이터가 대향의 캠키블록을 정렬된 배치내로 안내하여 그 안내된 배치에서 상호 결합 캠키블록을 보호하는 방법으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대향의 캠키블록(35A,35B)이 제8도에 도시된 일련의 벽 패널 조립체(11A,11B)에 보호되고, 상기 벽 패널 조립체가 제15도에 도시된 직선형 교차부(12) 내에 같이 이동될 때, 대향의 상호 결합 캠키블록(35)상의 측부 로케이터(65,66)는 불필요한 측부 변위에 대하여 벽 패널 조립체(11A,11B)를 보호할 것이다.
제6도 및 제7도는 길이방향 분리뿐만 아니라 대향의 캠키블록(35)을 단단한 결합부내로 이동시켜 유지시키는 대향으로 정렬되고 상호 결합된 캠키블록(35)을 보호하도록 설치된 대표적인 캠키(75)를 도시한다. 제1도, 제6도, 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캠키(75)는 저어널로 작용하는 중심 허브부(76)를 갖는다. 디스크부(78)는 원통형 외면(79)를 갖고, 다수의 로킹 볼트는 그 원통형 외면에 적합하게 근접하여 디스크부(78)로부터 축방향 외측으로 연장한다. 로킹 볼트(80,81)의 제1 및 제2 쌍은 직경 대향 방향의 디스크부(78)로의 축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한 쌍의 유지볼트(82)는 로킹 볼트(80,81)의 제1 및 제2 단부로부터 거의 90°(제6도 참조)로 위치된다. 로킹 또는 유지볼트를 갖지 않는 디스크부(78)의 원주를 따라 거의 180°스팬이 제공된다.
유지볼트(82)와 마찬가지로 각쌍의 로킹볼트(80,81)는 디스크부(78) 상의 원통면의 일부분이며 이것에 합병되는 외측 원통면을 갖는다. 로킹 볼트의 쌍은 방사형의 내부 로킹면(84,85)을 각각 갖는다. 상기 로킹면(84,85)은 제6도에 도시된 것처럼 평면이 적합하며, 로킹면(84,85)을 사용하는 이유는 하기에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그러나 유지볼트(82)상의 결합면은 제6도에 도시된 것처럼 활형이다.
공구 결합장치(88)는 도시된 것처럼 중심 허브부(76)상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벽(89,90)에 제공되며 중심 허브부(76)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연장한다. 공구 결합 장치(88)는 6각 렌치 또는 아렌 렌치와 같은 공구를 수용하도록 6각으로 표시된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상기 공구 결합 장치(88)는 표준 나사 드라이버를 블레이드를 수용하도록 슬롯 형성되어 있다. 상기 양쪽의 경우에 있어서, 공구 결합 장치(88) 내의 공구 수용은 캠키(75)가 선택적으로 회전되돌고 허용하며 그에 대한 필요성은 하기에 상세히 서술될 것이다.
제8도는 제15도에 도시된 것처럼 직선형 교차부(12)에서 일련의 인접벽 패널 조립체(11A,11B)에 각각 보호된 2개의 대향 캠키블록(35A,35B)의 상호결합을 도시한다. 각 캠키블록(35)은 로킹수단(40)에 의해 일련의 인접벽 패널 조립체(11A,11B)의 대향 수직 프레임 부재(21)내에 보호된다. 캠키블록이 이처럼 보호될 때, 스프링 멈춤부재(64)는 각 캠키블록(35)의 몸체부(36) 상의 배면(49)과 그 내부에 캠키블록(35)이 보호되는 채널(22)의 웨브부(42) 사이에서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특히, 스프링 멈춤부재(64)의 장착 기초부(63)가 리세스(62) 내에 수용되며 상기 장착 기초부(63) 사이에서 연장되는 스프링 멈춤부재(64)의 몸체부(91)은 상기 수용된 스프링 멈춤부재(64)를 갖는 캠키블록(35)의 중심슬롯(46)내에서 외측으로 굴곡된다. 멈춤 리세스(92)는 후술될 로킹볼트(80,81) 또는 유지볼트(82)를 선택적으로 해제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굴곡된 몸체부(91)의 중앙에 배치된다. 볼트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디스크(78) 상의 원통형 외면(79)이 멈춤 리세스(19)와 요구된 볼트 사이의 결합을 방지하도록 굴곡된 몸체부(91)가 도면번호 93(제2도 참조)에 도시된 것처럼 노치되는 것이 필요한 것을 주의해야 한다.
캠키(75)는 제1 및 제2 로킹볼트(80,81) 상의 평탄 원통면이 대향될 캠키블록(35A,35B)의 중심슬롯(46)내로 연장되는 리브(54)상의 캠면(55)과 결합하도록 대향 캠키블록(35A,35B)의 중심슬롯(46)내에 배치된다. 즉, 로킹볼트(80)tkD은 벽 패널 조립체(11A)에 보호된 캠키블록(35A)과 관련된 캠면(55)과 결합되고, 로킹볼트(81)의 쌍은 벽 패널 조립체(11B)에 보호된 캠키블록(35B)과 관련된 캠면(55)과 결합된다. 유지볼트(82) 쌍의 유지면(86)은 본 목적으로 작용되지 않으며 따라서 결합된 캠키블록(35)의 일치된 길이 방향축(43) 상에 동심으로 정렬된다.
평탄 로킹면(84,85)은 캠면(55)과 거의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술된 것처럼 캠면(55)의 치수 및 형상은 평탄 로킹면(84,85)이 거의 인접한 2개의 벽 패널 조립체(11A,11B)를 단단한 단부 대 단부 결합부내로 밀어넣는 형상 및 치수이다. 활형면(86)은 상기 캠면(55)과 단단하게 결합될 필요는 없으며 따라서 상기 활형면(86)은 캠면(55)의 활형치수보다 약간 큰 치수를 갖는다.
상술된 것처럼, 대향으로 정렬되고 상호 결합된 2개의 캠키블록(35A,35B)은 캠키(75)에 의해 서로 단단히 유지된다. 수직 이격된 쌍으로 위치된 4개의 캠키블록(35)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가장 적합한 벽 높이의 직선형 교차부(12)를 충분히 보호한다.
상호 접속 구조물(10)을 사용하므로써 일련의 인접 벽 패널 조립체(11)를 보호 또는 해제하는 것은 직선 전향 공정이다. 예컨데, 해제 공정을 시작하면서 제8도를 참고로 하여, 작업자는, 각 벽 패널 조립체(11A,11B)에 또는 그 일부에 장착되는 장식 패널 덮개(97A,97B) 사이에서 적합한 형태를 갖는 공구(도시되지 않음)만을 삽입시킬 필요가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상기 공구는 공구 결합 장치(88)의 일치된 형태를 결합시키도록 결합된 캠키블록(35A,35B) 사이에 제공된 근접 개구부(51)(제2도 및 제3도 참조)내로 통과된다. 그후에 공구의 90°(양쪽방향) 회전은 캠키블록(35A)에 의해 유지된 스프링 멈춤부재(64)의 굴곡 몸체부(91) 내에서 멈춤 리세스(92)에 의해 가해진 압력을 극복하도록 로킹볼트(80)의 쌍을 가압한다. 동시에, 회전력은 로킹볼트(81)가 캠키블록(35B)에 의해 유지된 스프링 멈춤부재(64)에서 멈춤 리세스(92)에 의해 가해진 압력을 극복시키도록 유도한다.
캠키(75)가 90°회전된 후에, 유지볼트(82)는 캠키 블록(35A,35B) 중의 하나와 관련된 멈춤 리세스(92)내로 스냅된다. 멈춤 리세스(92)를 갖는 유지볼트(82)의 결합부는 스프링 멈춤부재(64)가 멈춤 리세스(92)를 유지볼트(82) 쌍과의 결합부내로 스냅시킬 때 작업자에게 촉각 표시(회전저항의 증가에 의해 즉시로 수반되는 호전력의 급작스러운 해제)와 청각 표시를 제공한다. 일련의 2개의 인접 벽 패널 조립체(11A,11B)에 보호된 모든 상호 접속 구조물(10)이 이처럼 해제될 때, 벽 패널 조립체(11A,11B)는 2개의 캠키블록(35A,35B)를 해제시키도록 별도로 직선 이동한다.
각 캠키(75)는 하나의 캠키블록(35) 즉, 유지볼트(82)에 의해 결합되는 캠키블록(35)내에서만 유지될 것이다. 유지볼트(82)와 대향인 캠키(75)상의 원통형 외면(79)의 약 180°회전이 로킹볼트 및 유지볼트를 갖지 않기 때문에, 수직축(45) 방향으로 캠키블록(35)의 분리를 저항하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대향된 캠키블록(35)의 이런 분리는 로킹면(84,85)이 캠면(55)에 대하여 평탄하게 접하므로써 추가로 보장된다. 따라서 요구된 분리를 방지하도록 캠키블록(35)과 캠키(75)사이의 상호 작용을 억제할 수 없다.
캠키블록(35A,35B)이 완전히 분리된 후에도, 캠키블록(35)이 분리된 후 하나가 캠키(75)를 180°회전시키지 못하면 캠키(75)는 하나의 캠키블록(35)내에 보호된채로 유지될 것이다. 캠키(75)의 이런 회전은 유지볼트(82)를 캠키블록의 외부로 위치시키고, 이들이 캠면(55)과의 결합부 외측으로 리브(54)를 지나 이동가능하도록 로킹볼트(80,81)를 위치시킨다. 물론 단순히 캠키(75)를 본래의 위치에 놓은 것은 일련의 벽 패널 조립체에 있어서 벽 패널 조립체의 결합을 촉진시킨다.
벽 패널 조립체(11B)와 다른 벽 패널 조립체(11A)를 직선형 교차부(12)에 의해 결합을 실시하는 것은 상술된 것처럼 상기 직선형 교차부(12)로부터 벽 패널 조립체(11A,11B)를 분리시키므로써 이루어진다. 그러나, 결합 캠은 이미 하나의 캠키블록(35)의 중심슬롯(76)내로의 삽입을 촉진시키는 경향의 오차 또는 공간을 포함하므로써 쉽게 이루어진다. 캠키(75)를 삽입시키는 가장 어려운 점은 로킹 볼트(80,81)의 쌍을 중심슬롯(76)내로 삽입하는 것이다. 이것은 그 내부로 2개의 캠키(75)가 동시에 삽입되는 2개의 수직 이격으로 대향된 캠키블록 쌍이 제공될 때 더욱 어렵다. 그러나 이런 어려움은 하기 2개항의 구조적 순응을 이용하므로써 제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타원형의 캠면(55)를 사용하므로써 방사형의 내부 로킹면(84,85)과 캠면(55)이 제공된 리브(55A)의 단부(94A,94B) 및 리브(55B)의 단부(95A,95B) 사이에 개구를 제공하는 로킹면(84,85)를 평탄하게 하고, 캠키상의 원통형 외면(79)과 중심 슬롯의 길이방향 단벽(96,98)(제4도 참조) 사이에 적정 개구를 제공하도록 길이방향축(43)을 따라 중심 슬롯(36)의 크기를 연장시키는 것이다.
물론, 요구된 결과를 제공하도록 개구 치수가 증가 또는 확대되는 많은 방법이 제공된다. 중심 슬롯의 전체 길이방향 크기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키기 위해 예컨대 중심슬롯의 단벽(96,98)에 장방형 통로 계단이 제공되며, 상기 단부벽(96,98)은 외측으로 펼쳐지고 경사형성된 개구부를 정면(48)을 통하여 제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점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은 정면(48)을 통하여 개구된 중심슬롯(76)의 크기가 비합리적인 어려움 없이 결합가능한 인접 패널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다. 그러나 개구를 필요한 것보다 크게할 장점 또는 이유가 없다.
어떤 경우에도 캠키(75)가 대향의 캠키블록(35A,35B)의 중심슬롯내에 수용되면, 캠키(75)는 제8도에 도시된 위치를 형성하도록 양쪽으로 90°회전된다. 또한 멈춤 리세스(92)내의 로킹볼트(80,81)의 결합부는 정렬된 직선형 교차부(12)의 상호 접속 구조물(10)을 통하여 벽 패널 조립체가 차례로 보호되는 동일한 촉각 및 청각 신호를 제공할 것이다.
L형 교차부(13), T형 교차부(14), X형 교차부(15)를 제공하기 위해 포스트 장치(20)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0도에 도시된 보조 조립체와 함께 포스트 장치(20)의 세부가 제9도에 도시된다. 각 포스트 장치(20)은 직선형 교차부(12)에 대하여 후술될 캠키블록의 요구된 수직 이격 설치를 제공할 것이다. 직선으로 배치된 일련의 인접 벽 패널 조립체와는 달리 집중된 벽 패널 조립체 사이의 접속을 이루기 위해, 집중된 벽 패널 조립체는 직선형 교차부(12)에 대하여 상술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신규한 상호 접속 구조물(10)에 의해 포스트 장치(20)에 각각 보호된다.
따라서, 각 포스트 장치(2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각 포스트 장치(20)를 이용한 전형적인 사각 포스트 부재(100)에 필요 수량의 캠키블록(35)를 보호하도록 특수한 구성 성분의 공기가 제공된다. 제9도에 도시된 것처럼, 각 포스트 부재(100)는 각 선정된 수직 위치에서 거기에 보호된 2개 내지 4개의 캠키블록(35)를 갖는다. 제9도와 제11도 내지 제13도에 도시된 것처럼, 각 포스트부재(100) 상에 설치된 여러 세트의 캠키블록(35)은 최종 포스트 장치에 집중된 벽 패널 조립체(11)의 수로 결정된다. 필요한 캠키블록(35)은 캠키블록(35)를 수직 프레임부재(21)내에 보호시키는데 사용된 동일한 방법으로 도면번호 40(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그 위치가 하기에 매우 상세히 후술될)에 의해 표시된 화스너에 의해 포스트부재(100)에 보호된다. 그러나 첨가하여 각 캠키블록(35)은 제10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보강판(gusset) 조립체(101)에 의해 둘러싸인다.
각 보강판 조립체(101)은 U형 브래킷(102)을 적합하게 이용한다. 상기 각 U형 브래킷(102)은 하나의 전면(103)과 2개의 절반측부 또는 아암(104,105)을 갖는다. 상기 전면(103)은 장방형 개구(106)와 2개의 원통개구(108A,108B)를 갖는다. 장방형 개구(106)는 지지 패드(38)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캠키블록(35) 상의 몸체부(36)의 부분을 형성하며, 원형 개구(108A,108B)는 캠키블록(35)상의 2개의 지지패드(38)을 통하여 개구(39)와 일치된다.
절반측부 또는 아암(104,105)은 전면(103)의 측단부로부터 외측으로 거의 수직으로 연장된다. 아암(104)은 장방형 리세스(109A)와 2개의 반원형 리세스(110A, 110b)에서 종료된다. 또한, 아암(105)은 장방형 리세스(109B)와 2개의 반원형 리세스(111A,111B)에서 종료된다. 상술된 것처럼, 각 장방형 리세스(109A,109B)는 전면(103)의 도면부호 106에서 특별히 표시돈 것과 유사한 장방형 개구의 절반을 포함하며, 각 반원형 리세스(110,111)는 대응 원형 간극(108A,108B)의 절반을 포함한다.
따라서, 2개의 보강판 조립체(101A,101B)가 4각 포스트 부재(100)(제9도 참조)에 대하여 대항으로 장착될 때, 측부아암(105A,105B)와 마찬가지로 대향 측부아암(104A,104B)은 서로 전면(103)을 2배로 보완한다. 따라서, 2개의 보강판 조립체(101A,101B)는 최종 포스트 장치(20)의 4개의 측부상에서 장방형 개구 및 원형 개구를 위치시키며 동일한 형상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캠키블록(35)은 캠키블록(35)을 4각 포스트부재(100)에 포위시키는 보강판 조립체(101)와 다른 캠키블록(35)를 정착시키기 위하여, 지지패드(38)을 통하여 보강판 조립체(101)와 관련개구(39)를 관통하는 화스너를 사용하므로써 포스트장치(20)의 각 축부상에 보호된다.
한 쌍의 스페이서 브래킷(112A,112B)은 각 보강판 조립체(101)에 포함되어 그중 하나를 각 장방형 개구(105)의 양측부상에 배치시키며, 제3 스페이서 브래킷(112C)은 장방형 리세스(109A)에 인접한 축부 아암(104)에 보호되고, 제4 스페이서 브래킷(112D)은 리세스(109B)에 인접한 측부아암(105)에 보호된다. 상기 모든 스페이서 브래킷(112)은 수직 프레임부재(21)의 한 측부 플랜지(32)와 유사한 하나의 상승면(113)을 제공한다. 또한, 각 스페이서 브래킷(112)은 각 측부 플랜지(32)의 한 근접 슬롯(31)과 유사한 옵셋 리세스(114)와 협동한다. 스페이서 브래킷(112)은 가용접되거나 또는 적절한 보강판 조립체(101)의 U형 브래킷(102)에 보호된다. 옵셋 리세스(114)가 브래킷(102)과 결합하는 것처럼, 스페이서 브래킷(112)의 각 단부에서의 장착 태브(115,116)가 보강판 조립체(101)의 브래킷 전면(103)과 결합하는 곳에서 가용접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낟.
제11도 내지 제13도는 포스트 장치(20)의 3종류의 일반적인 사용법을 도시한다. 제11도는 2개의 패널 모서리 형태를 도시하며 간혹 L형 교차부(13)로 표시된다. L형 교차부(13)에서 포스트 장치(20A)는 제8도에 따라 도시된 유사한 방법으로 거기에 보호된 2개의 벽 패널 조립체(11C,11D)를 갖는다. 즉, 캠키(도시되지 않음)는 집중된 벽 패널 조립체상의 캠키블록(35C,35D)을 포스트 장치(20A)상의 대향 캠키블록(35E,35F)에 보호시키는데 사용된다.
일련의 2개의 벽 패널 조립체(11A,11B)(제8도 참조)의 결합자에 대하여 서술된 것처럼, 두 수직 위치에서의 캠키블록(35)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매우 만족스러운 결합자를 포스트 장치(20)의 상호 교차를 통하여 집중된 벽 패널 조립체를 같이 보호하도록 요구되는 모든 것을 의미한다.
캠키블록(35)의 사용이 필요없는 포스트 장치(20A)의 원주에 대한 이런 위치에서 벽 패널 조립체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캡은 장식 덮개를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L형 교차부(13)에서 2개의 벽 캡(116)은 포스트 장치(20)의 다른 2개의 노출면상에서 스페이서 브래킷(112)를 덮도록 사용한다. 충전 블록은 화스너가 보강판 조립체(101)를 붕괴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패드(38)과 거의 동일한 외단부 치수를 갖는다. 만일 필요하다면, 충전 블록(118)은 2개의 벽 캡(116)을 지지하는데 보조하는 스페이서 브래킷(112)의 높이와 거의 동일한 치수를 갖는 중심 기동부(119)를 갖는다. 상술된 것처럼 2개의 벽 캡(116)은 캠키블록(35)를 둘러싸지 않는 이런 스페이서(112) 위로 장식 덮개를 제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2개의 벽캡(116)은 수직 프레임부재(21)의 측부 플랜지(32)의 외단부를 따라 제공된 단부 슬롯(121) 내에 수용된 각 측단부를 따라 다수의 핑거(120)를 갖는다.
제12도에 도시된 포스트 장치(20B)는 3개의 패널 즉 T형 교차부(14)를 제공한다. T형 교차부에서 포스트 장치(20B)는 제8도에 따라 서술된 유사한 방법으로 보호된 3개의 벽 패널 조립체(11E,11F,11G)를 갖는다. 즉, 캠키(도시되지 않은)는 집중된 벽 패널 조립체(11E,11F,11G)상의 캠키블록(35E, 35F, 35G)을 포스트 장치(20B)상의 대향 캠키블록(35H,35J,35K)에 보호되도록 사용된다. T형 교차부(14)에서, 단지 하나의 충전 블록(118)은 사용이 요구된다. 상기 충전블록(118)은 하나의 장식벽 캡(122)에 의해 덮힌다. 이런 형태의 하나의 벽캡(122) 또한 수직 프레임부재(21)의 측부 플랜지(32)의 외단부를 따라 제공된 단부슬롯(121)내에 수용된 각 측단부를 따라 핑거(120)를 갖는다.
제13도에 도시된 포스트 장치(20C)는 4개의 패널 즉, X형 교차부(15)를 제공한다. X형 교차부(15)에서 포스트 장치(20C)는 제8도에 따라 서술된 유사한 방법으로 보호된 4개의 벽 패널 조립체(11B,11H,11J,11K)를 갖는다. 즉, 캠키(도시되지 않은)는 집중된 벽 패너 조립체(11B,11H,11J,11K)상의 캠키블록(35L,35M,35N,35P)을 포스트 장치(20C)상의 대향 캠키블록(35θ,35R,35S,35T)을 포스트 장치에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다. X형 교차부(15)에서 벽 패널 조립체가 포스트 장치(20C)의 모든 측부에 부착되기 때문에 충전블록(118) 및 캡은 요구되지 않는다.
제14도는 일반적으로 도면번호 125로 도시된 캠키블록을 위한 선택적인 장치를 도시한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따라 서술될 캠키블록(35)은 소결 금속부분이 적합하다. 이런 부분은 그 부분의 치수가 기계가공이 요구되지 않을 정도로 밀착 유지되는 반면 상당한 강도로 제조된다. 선택적 실시예의 캠키블록(125)은 일반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제조한 스탬프 형성된 금속 부분이다.
선택적 형상의 캠키블록(125)은 몸체부(126)와, 이 몸체부로부터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지지패드(128A,128B)를 갖는다. 각 지지패드(128)는 로킹수단(도시되지 않음)이 선정된 위치에서 보호된 캠키블록(125)에 삽입가능하게 수용되는 개구부(129)를 갖는다. 몸체부(126)는 길이방향축(130), 측부횡단면(131), 수직축(132)를 갖는다.
몸체부(125)는 레그(133A,133B)의 상단부 사이를 떠받치는 연결부(135)에 합병되도록 각 지지패드(128A,128B)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며 수직축(132)에 평행으로 배치된 한 쌍의 레그(133A,133B)를 포함한다. 연결부(135)는 길이방향축(130) 및 축부횡단축(131)에 형성된 평면내에 놓여진다.
연결부(135)의 중심부는 일반적으로 측부횡단축(131)에 대하여 집중된 거의 반원통형의 경사부(136)를 갖는다. 측부횡단축(131) 방향으로는 좁고 길이방향축(130) 방향으로 연장된 중심슬롯(138)은 경사부(136)와 인접하여 길이방향으로 경사부(136) 및 연결부(135)의 그 부분을 관통한다. 중심슬롯(138)의 길이방향 단부는 측부횡단축(131)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단스롯(139,140)에 의해 형성된다.
경사부(136)를 2등분 하므로써 한 쌍의 평행한 반환형 리브(141A,141B)가 형성된다. 리브(141)의 거의 반환형 면은 오목한 베어링면(142)을 포함하며, 리브(141)의 볼록면은 캠면(143)을 포함한다. 리브(141)는 정확한 반환형일 필요가 없으며, 타원형의 리브(141)는 캠키(75)의 중심 허브가 볼록 베어링면(142) 상에 저어널되는 것을 허용하는 능력을 상실하지 않고, 대향 캠키블록(125)를 로킹 결합부내로 끌어 들이도록 캠면(143)이 로킹볼트(80,81)를 가압하는 기능을 허용하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캠키(75)는 중심슬롯(138) 내에 삽입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캠키(75)상의 로킹볼트(80,81) 및 유지볼트(82)는 중심 허브(76)가 베어링면(142)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저어널되는 것을 허용하며 유지볼트(82) 상의 활형 유지면(86)처럼 평삭 로킹면(84,85)이 리브(141)상의 캠면(143)과의 결합을 허용하는 중심슬롯(139,140)을 통하여 관통될 수 있다.
몸체부(126)는 또한 측부 로케이터(145,146)를 제공한다. 서술되듯이, 측부 로케이터(145)는 개구부(151)를 이격시키는 연결부(135)에 대하여 거의 수직 외측으로 연장되는 연결부(135)로부터 타격된다. 제1 측부 로케이터(145)의 태브(148)과 제2 측부 로케이터(146)의 개구부(151)는 2개의 캠키블록(125)이 대향된 쌍으로 사용될 때 태브(148)가 개구부(151)에 정렬되는 것처럼 위치된다. 이런 상황에서 제1 측부 로케이터(145)의 태브(148)와 길이방향으로 인접 병렬로 위치될 것이다.
기본적인 캠키블록의 보조 변형은 제1도의 도면번호 155로 도시되어 장식 단부캡(156)을 벼패널 조립체(11)에 보호한 단부캡 클립이다. 클립(155)은 몸체부(158)로부터 길이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적합한 옵셋 지지 패드(159A,159B)를 갖는 거의 평탄한 몸체부(158)를 갖는다. 각 지지패드(159)는 장식 단부캡을 따라 선정된 위치에 클립(155)를 보호하도록 로킹수단(40)이 삽입가능하게 수용된 개구부(157)를 갖는다. 로킹수단(40)은 클립(155)을 정위치에 유지시키는 패드(159)를 가로놓이는 로킹수단(40)의 헤드부로 장식 단부캡(156)의 후부에 수용된다.
몸체부(158)는 일반적으로 몸체부(158)의 길이 방향의 크기를 따라 집중된 얕은 V 노치(160)를 갖는다. 긴 중심슬롯(161)은 인접 V 노치의 길이 방향으로 몸체부(161)의 그 부분과V 노치(160)을 관통한다. 중심 슬롯(161)의 길이방향 단부는 횡단슬롯(162,163)에 의해 형성된다. V 노치를 2등분하므로써 한 쌍의 평행한 V형 리브(165A,165B)가 형성된다. 리브(165) 내각면의 양 측부상의 면은 캠면(168)을 포함한다. 캠면(168)이 로킹볼트(80,81)을 가압하여 캠키블록(155)을 벽 패널 조립체(11)의 수직 프레임에 장착된 대향 캠키블록(35)과의 결합부내로 인입하므로써 장식 단부캡(156)을 장착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편리한 설치를 제공하도록 베어링면(166)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캠키블록(35)은 사용자에게 일련의 벽 패널 조립체(11)사이에서 선택적인 접속의 수행을 제공함을 인식해야 한다. 즉, 프레임부재(21)상의 캠키블록(35)의 방위는 대향 캠키블록(35)이 일련의 벽 패널 조립체(11)사이에서 결합자의 실시를 적합하게 일치시키는 여부와 관계없이 결정된다. 측부 로케이터(65,66)가 길이방향축(43)의 동일측부상에 형성되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간단히 캠키블록(35)의 적합한 바닥 대 상부 배치를 실시하므로써, 사용자는 측단부의 일치된 결합을 실시하는 것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어떤 두 벽 패널 조립체상의 선정된 측단부만 결합되는 것을 희망한다면, 캠키블록의 적합한 상부 대 바닥 배치는 한 벽 패널 조립체에 보호된 캠키블록(35)상의 돌출 러그(68)가 대항 벽 패널 조립체(11)의 캠키블록(35)상의 측부 리세스(69)와 일치되도록 유도할 것이며, 캠키블록(35)의 다순한 상부 대 바닥의 역전은 이것이 대향 캠키블록(35) 상의 리세스(69)와 일치하여 결합될 수 없는 배치로 캠키블록(35) 상의 돌출 러그(68)을 위치시킬 것이며, 상기 돌출 러그(68)는 서로 결합되어 결합자를 방지할 것이다.
반면에 대향 캠키블록이 대향 벽 패널 조립체상에서 그 상부 대 바닥 배치와 관계없이 일치하여 결합되도록 일반적으로 수용되기를 희망한다면, 캠키블록은 제18도의 도면번호 235로 도시된 형태로 협동가능하다.
선택적 형태의 캠키블록(35,235) 사이의 차이점은 지형측부 로케이터(265,266)의 배치에 관계된다. 따라서, 캠키블록(35)과 동일한 캠키블록(235)의 모든 부품은 캠키블록(35) 상의 동일한 부품을 표시하는데, 사용된 제18도의 동일한 도면번호로 표시될 것이다.
따라서 제18도에서 각 캠키블록(35)의 몸체부(36)는 길이 방향축(43)과, 측부 횡단축(44)과, 길이 방향축과 측부횡단축의 교차와 수직인 수직축(45)을 갖는다. 길이방향축(43)방향으로 길고 측부횡단축(44)방향으로 좁은 일반적인 장방형의 중심 슬롯(46)은 캠키블록(235)의 몸체부(36)를 관통하는 수직축(45)과 평행으로 연장된다. 몸체부(36)를 관통하므로써 중심슬롯(46)은 몸체부(36)의 배면(49)과 마찬가지로 정면(48)을 통하여 개구된다. 정면(48)은 측부횡단축(44)을 포함하는 평면에 위치 형성되고, 배면(49)은 배면과 평행한 정면에 배치되어 배면(48)으로부터 치환된다.
한쌍의 치형 측부 로케이터(265,266)는 정면(48)의 대향단부에서 적합하게 길이방향으로 이격된다. 상기 각 측부 로케이터(265,266)는 돌출된 위치 제어용 러그(268) 및 측부 인접 위치 제어용 리세스(269)를 갖는다. 제18도에 도시된 것처럼, 각 측부 로케이터(265,266)의 러그(268A,268B)는 측부횡단측(44)의 길이방향 대향측부와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축(43)의 대향측부상에 위치된다. 또한, 위치 제어용 러그(268A,268B)는 중심슬롯(46)의 길이 방향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각 측부 로케이터(265,266)의 위치 제어용 리세스(269A,269B)는 러그(268A,268B)로부터 길이 방향축(43)의 측면 대향측부상에 위치되며 상대방으로부터 길이방향축(43)의 측면 대향측부상에 위치된다. 위치 제어용 러그(268A,268B)처럼 위치 제어용 레그(269A,269B)도 측부횡단축(44)의 대향측부상에서 길이 방향으로 위치된다.
경사 램프(270A)는 위치 제어용 러그(268A)의 정면(271A)과 측부 인접 위치 제어용 리세스(269A)의 바닥(272A)사이에서 연장된다. 또한 상기 경사 램프(270A)는 위치 제어용 러그(268B)의 정면(271B)과 측부 인접 위치 제어용 리세스(269B)의 바닥(272B)사이에서 연장된다. 각 측부 로케이터(265,266)의 러그(268)와 리세스(269) 치수는 캠키블록(235)이 접촉 결합부내로 이동될 때 캠키블록상의 위치 제어용 러그(268)가 인접 병렬부에 놓인 대향 캠키블록상의 경사 램프(270)에 의해 대향 캠키블록(235)의 대향 위치 제어용 리세스(269)내에 안정되게 수용된다. 따라서, 각 위치 제어용 러그(268A,268B)상에서 측부 외측으로 배치된 측벽(273A,273B)은 대향으로 면하고 러그(268A,268B)가 그 내부에 수용된 위치 제어용 리세스(269A, 269B)의 측부 외측으로 배치된 측벽(274A, 274B)과 결합할 것이다.
또한, 축부 로케이터(265,266)의 다양한 면은 대향으로 상호 결합된 캠키블록(235) 사이에서 측부 정렬을 실시하고 유지한다. 특히, 상기 측부 로케이터(265,266)의 형태는 대향 캠키블록(235) 상의 측부 로케이터(265,266)가 캠키블록(235)의 상부 대 바닥 배치에 관계없이 대향 캠키블록(235)를 정렬된 배치내로 안내하여 상호 결합된 캠키블록(235)를 그 정렬된 배치로 보호하는 방법으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허용한다. 따라서, 대향 캠키블록(235)이 일련의 벽 페널 조립체(11)에 보호되고 그 벽 페널 조립체가 직선형 교차부(12)로 이동될 때, 상호 결합된 대향 캠키블록(235)은 불필요한 측부 변위에 대하여 벽 페널 조립체(11)를 보호할 것이다.
상기 서술된 것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수정 및 변형은 명백히 가능하다. 따라서 상술된 것처럼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실시한 상호 접속 구조물이 그 접속된 벽 페널 조립체에 구조적 일체성과 본 발명의 기타 목적을 실시하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Claims (23)

  1. 재배치가능 벽에 벽 페널 조립체를 결합시키는 상호 접속 구조물에 있어서, 캠키블록 수단과, 상기 캠키블록 수단에 형성된 캠면과, 디스크부를 갖는 캠키 수단과, 몸체부로부터 횡단 외측으로 연장되며 직경 대향으로 배치된 적어도 2개의 로킹 볼트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로킹 볼트 수단은 캠키블록 수단상의 상기 캠면에 알맞게 되어 있고 상기 캠키 수단은 로킹 볼트 수단을 상기 캠키블록 수단과 결합하여 선택적으로 위치시키도록 상기 캠키블록 수단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접속 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키블록 수단으로부터 돌출된 측부 로케이터도 포함하며, 상기 캠키블록 수단은 그 측부 정렬을 실시하는 측부 로케이터에 대하여 대향 쌍으로 배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접속 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키블록은 길이 방향축과 측부 횡단축을 가지며, 상기 측부 로케이터 수단은 각각이 돌출 러그와 이 돌출 러그의 측부에 위치된 리세스를 갖고 제1 및 제2 측부 로케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접속 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부 로케이터로부터 돌출된 돌출 러그는 갈이 방향축의 한 단부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측부 로케이터로부터 돌출된 돌출 러그는 길이 방향축의 대향 단부에 측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접속 구조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측부 로케이터로부터 돌출된 돌출 러그는 길이방향축의 한 단부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2 측부 로케이터로부터 돌출된 돌출 러그는 길이방향축의 동일한 측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접속 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로부터 외측으로 횡단하여 연장되는 유지볼트 수단도 포함하며, 상기 유지볼트 수단은 2개의 로킹볼트 수단의 중간에 재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접속 구조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캠키블록 수단은 길이 방향축과 측부 횡단축 그리고 상기 길이방향축 및 측부 횡단축에 수직인 수직축을 가지며, 중심 슬롯은 상기 수직축에 평행하게 캠키블록을 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캠키는 중심 슬롯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접속 구조물.
  8. 제7항에 있어서, 베어링 면은 캠키블록에 제공되어 상기 측부 횡단축과 동심으로 배치되며 상기 베어링면중 하나는 중심 슬롯 양측부에 위치되고, 상기 캠키는 상기 베어링 면상에 회전가능하게 저어널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접속 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키블록 수단은 길이 방향축과 측부 횡단축과 수직축을 갖는 몸체부를 가지며, 상기 수직축에 평행한 관계로 몸체부를 통하여 연장되는 중심 슬롯과 상기 중심 슬롯내로 돌출된 리브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캠면은 리브 수단으로 부터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접속 구조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 수단으로부터 돌출된 베어링 면도 포함하며, 상기 캠키 수단은 중심 허브를 갖고 중심 허브는 상기 베어링 면에 저어널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접속 구조물.
  11. 제10항에 있어서, 평탄한 로킹면은 상기 로킹볼트 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리브 수단상의 캠면과 결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접속 구조물.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로부터 횡단 외측으로 연장되는 유지볼트 수단도 포함하며 상기 유지볼트 수단은 상기 2개의 로킹 볼트 수단의 중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접속 구조물.
  13. 제12항에 있어서, 스프링 멈춤 수단은 상기 캠키 수단에 결합되도록 캠키블록 수단에 편의 상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접속 구조물.
  14. 제13항에 있어서, 멈춤 리세스는 상기 스프링 멈춤 수단으로 부터 제공되어 선정된 볼트 수단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접속 구조물.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키블록 수단은 길이 방향축과 측부 횡단축과 수직축을 가지며, 하나의 램키수단은 각 쌍의 대향 캠키블록 수단에 사용되며, 하나의 로킹볼트 수단상의 내부 로킹면이 하나의 캠키블록 수단상의 캠면과 결합되며, 다른 로킹볼트 수단상의 다른 내부 로킹면이 다른쌍의 캠키블록 수단상의 캠면과 결합되며, 상기 캠키가 상기 캠키블록 수단의 길이방향축 및 측부횡단축의 교차점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허브를 가져서 상기 대향 캠키블록 수단이 맞닿도록 유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접속 구조물.
  16. 재배치가능한 벽으로서 조립되는 적어도 2개의 일련의 인접 벽 패널 조립체와, 상기 각 수직 프레임 부재에 고정된 적어도 하나의 캠키블록과, 상기 디스크부의 횡단 외측으로 연장되는 로킹 볼트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캠키는 중심 허브부 및 디스크부를 가지며, 상기 각 벽 패널 조립체는 일련의 벽 패널 조립체에 결합된 적어도 그 측단부상에서 수직 프레임 부재를 갖고, 상기 각 캠키블록은 캠면과 베어링 면을 가지며, 상기 로킹볼트 수단은 디스크부상에서 직경 방향으로 위치되고, 제어 허브부는 상기 캠키의 선택적 회전을 허용하도록 상기 베어링 면에서 저어널되고, 상기 캠키는 상기 캠면으로부터 로킹볼트 수단을 선택적으로 결합 및 해체하도록 회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치 가능벽.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볼트 수단이 디스크부상에 직경 방향으로 이격되며, 유지볼트 수단이 상기 로킹볼트 수단 사이에서 약 90°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치 가능벽.
  18. 제17항에 있어서, 스프링 멈춤 수단은 상기 벽 페널 조립체의 수직 프레임 부재와 캠키블록 사이에 정착되며, 상기 스프링 멈춤 수단은 멈춤 요홈으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멈춤 리세스는 볼트 수단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로킹볼트 수단 및 유지볼트 수단에 선택적으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치 가능벽.
  19. 제16항에 있어서, 포스트 장치가 일련의 집중된 벽패널 조립체 사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치 가능벽.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장치는 포스트 부재와 소정수의 캠키블록을 상기 포스트 부재에 결합하도록 하는 보강판 조립체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치 가능벽.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 조립체는 한 쌍의 대향 U형 브래킷과, 상기 U형 브래킷에 고정된 다수의 스페이서 브래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치 가능벽.
  22. 제21항에 있어서, 캡은 벽패널 조립체가 배치되지 않는 위치에서 상기 보강판 조립체에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치 가능벽.
  23. 제22항에 있어서, 충전 블록은 상기 캡을 지지하도록 보강판 조립체에 의해 지지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배치 가능벽.
KR1019900008390A 1989-06-09 1990-06-08 재배치 가능벽에 연속 패널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상호 연결 구조물 KR0157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4,027 1989-06-09
US07/364,027 US4942713A (en) 1989-06-09 1989-06-09 Interconnecting structure for releasably securing successive panels in a relocatable wal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1193A KR910001193A (ko) 1991-01-30
KR0157310B1 true KR0157310B1 (ko) 1998-11-16

Family

ID=23432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390A KR0157310B1 (ko) 1989-06-09 1990-06-08 재배치 가능벽에 연속 패널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상호 연결 구조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942713A (ko)
JP (1) JPH0325136A (ko)
KR (1) KR0157310B1 (ko)
CA (1) CA2017666A1 (ko)
DE (1) DE4017584A1 (ko)
FR (1) FR2648195B1 (ko)
GB (1) GB223431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4826A (en) * 1991-04-23 1992-08-04 Precision Manufacturing, Inc. Structural panel connector for space dividing system
US5480117A (en) * 1994-04-28 1996-01-02 Fleming, Iii; Joseph C. Mounting bracket for wall panel locks
US5746034B1 (en) 1994-12-30 2000-10-17 Steelcase Inc Partition system
US6141926A (en) * 1995-10-26 2000-11-07 Tetrad Marketing/Sales Ltd. Panel construction and connection system
CA2161459A1 (en) * 1995-10-26 1997-04-27 V. Paul Rossiter Panel construction
US5768845A (en) * 1996-10-04 1998-06-23 Skyline Displays, Inc. Module panel and assembly
US5943834A (en) * 1996-12-17 1999-08-31 Steelcase Inc. Partition construction
US6910306B2 (en) 1996-12-24 2005-06-28 Steelcase Development Corporation Knock-down portable partition system
US6546684B2 (en) 1998-04-15 2003-04-15 Steelcase Development Corporation Partition panel
US5899035A (en) * 1997-05-15 1999-05-04 Steelcase, Inc. Knock-down portable partition system
US6301846B1 (en) 1996-12-24 2001-10-16 Steelcase Development Inc. Knock-down portable partition system
US6389773B1 (en) * 1999-06-04 2002-05-21 Knoll, Inc. Stackable panel system for modular office furniture
US7059093B2 (en) 2003-01-06 2006-06-13 Feature Presentation, Inc. Methods, systems, kits, and fabrications of acoustic-panel-based build-in wall structures providing for variable linear spans
US20080069631A1 (en) * 2006-09-15 2008-03-20 Dolf Zillmann Modular furniture
US9611641B2 (en) 2008-05-27 2017-04-04 Steelcase Inc. Beam assembly
US8910435B2 (en) 2008-05-27 2014-12-16 Steelcase Inc. Partition assembly
EP2354350B1 (de) * 2009-12-29 2017-10-25 Dietmar Lüning Distanzstück zum Verbinden von Wandelementen
GB2488176A (en) * 2011-02-21 2012-08-22 Hertel Technical Services Ltd Panel and connection system for blast proof shelter
US8601730B2 (en) 2012-07-31 2013-12-10 Nexxtshow Exposition Services Llc Tradeshow display system
CN203175265U (zh) * 2013-03-05 2013-09-04 佛山市爱迪尔卫浴有限公司 淋浴门组件
CN103452975B (zh) * 2013-06-25 2015-07-15 常州霍克展示器材制造有限公司 型材连接锁
CN109208789B (zh) * 2018-10-26 2020-03-17 重庆智酷智造集成房屋有限公司 一种用于装配式建筑用墙板的连接框体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71300A (en) * 1945-03-13 Knockdown office partition
US1154622A (en) * 1910-03-07 1915-09-28 Albert Johnson Sectional partition.
US2107624A (en) * 1936-09-15 1938-02-08 Berger Mannie Partition system
US2548681A (en) * 1946-02-13 1951-04-10 Joseph H Oswald Fastening
US2581816A (en) * 1948-08-17 1952-01-08 Simmons Fastener Corp Fastener for butt joints
US2787812A (en) * 1954-03-15 1957-04-09 Charles A Long Interlocking wall structure
US2832101A (en) * 1955-07-22 1958-04-29 Lamteck Corp Of America Paneled structure
US3075253A (en) * 1959-06-05 1963-01-29 Hammitt Partition assembly
US2999568A (en) * 1960-05-26 1961-09-12 Oskar R Ludwig Room divider partitions
US3194361A (en) * 1960-06-29 1965-07-13 Mills Company Partition structures
US3299594A (en) * 1963-12-16 1967-01-24 Paul H Kellert Multi-walled structure and method of assembly
US3377756A (en) * 1964-10-22 1968-04-16 Movable Interior Products Demountable building partition construction
GB1188285A (en) * 1966-04-15 1970-04-15 Vicker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ontainers
US3429601A (en) * 1966-07-21 1969-02-25 Victor M J Bremers Structure for the assembly of adjustable framework
US3488908A (en) * 1967-07-12 1970-01-13 Chicago Metallic Corp Concealed grid ceiling structure and panel therefor providing accessibility
US3492766A (en) * 1968-05-09 1970-02-03 Mccloskey Grant Corp Adjustable stud
US3643395A (en) * 1969-12-15 1972-02-22 Richard C Schuyler Reversible wall assembly
US3694975A (en) * 1970-07-27 1972-10-03 Mills Co The Partition structure
US3713257A (en) * 1970-10-19 1973-01-30 Design Prod Inc Free-standing panel system
US3664073A (en) * 1970-11-13 1972-05-23 Walter Scott E Building panel construction and securement means therefor
US3852926A (en) * 1971-06-08 1974-12-10 W Papsco Modular wall construction
US3919820A (en) * 1973-12-13 1975-11-18 Johns Manville Wall structure and device for sealing thereof
US4031675A (en) * 1975-05-29 1977-06-28 Roberts Raymond P Free standing redecoratable vertical wall or divider
US4094113A (en) * 1976-09-30 1978-06-13 Harter Corporation Modular wall panel structure
GB1573648A (en) * 1977-04-07 1980-08-28 Bonnet Ets Constructional panel assemblies
US4223500A (en) * 1978-05-10 1980-09-23 Clark Howard K Insulation molded, load bearing, prefabricated panels
DE2908475C2 (de) * 1979-03-05 1981-10-01 Karl Lautenschläger KG, Möbelbeschlagfabrik, 6107 Reinheim Verbindungsbeschlag
GB2106211A (en) * 1981-09-23 1983-04-07 Btr Plc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fasteners
US4439971A (en) * 1982-03-24 1984-04-03 Woodrite, Inc. Panel connector
US4512122A (en) * 1982-05-03 1985-04-23 Kason Industries Inc. Panel fastener system
CA1304907C (en) * 1988-03-29 1992-07-14 Gad Shaanan Cam action connector for joining furniture pan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648195B1 (fr) 1994-05-27
FR2648195A1 (fr) 1990-12-14
GB2234310B (en) 1993-02-24
KR910001193A (ko) 1991-01-30
DE4017584A1 (de) 1990-12-13
GB2234310A (en) 1991-01-30
JPH0325136A (ja) 1991-02-01
US4942713A (en) 1990-07-24
CA2017666A1 (en) 1990-12-09
GB9011000D0 (en) 1990-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57310B1 (ko) 재배치 가능벽에 연속 패널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상호 연결 구조물
CA1055226A (en) Furniture connecting means
KR960012151B1 (ko) 연결핀
CA2163292A1 (en) Interconnected lock
JPH0710054A (ja) 施錠可能なクイックレリース装置
US6318217B1 (en) Through-bolt gripping pliers with adjustable opening width
US6192722B1 (en) Anti-theft device for office equipment
AU2002234780B2 (en) Adjustable fence panel and method of assembly
EP0548541B1 (en) A connector
US4024929A (en) Ladder
AU2002234780A1 (en) Adjustable fence panel and method of assembly
US6634844B2 (en) Panel fastener assembly
CA2069425C (en) Interface for orbital replacement units
US5927514A (en) Instrumentation rack
EP1129266A1 (en) Arrangement for a grandstand
CA2306739A1 (en) Scoop for use with an anchor system for supporting a whipstock
US5641110A (en) Structure for connecting a nailing plate and magazine of a nailing machine
GB2322881A (en) Adjustable panelling
CA2219923A1 (en) Linkage mechanism between structural members
GB2290343A (en) Clamping device
JPH0345490Y2 (ko)
GB2093888A (en) Barrier
KR880002222Y1 (ko) 의자등판
CA1311604C (en) Autobody door aligning tool
GB2353558A (en) A scaffolding conn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006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4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006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5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7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7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2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