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1993B1 - 두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께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두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께 측정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51993B1 KR0151993B1 KR1019950027205A KR19950027205A KR0151993B1 KR 0151993 B1 KR0151993 B1 KR 0151993B1 KR 1019950027205 A KR1019950027205 A KR 1019950027205A KR 19950027205 A KR19950027205 A KR 19950027205A KR 0151993 B1 KR0151993 B1 KR 01519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ecimen
- thickness
- axis
- sensor
- measur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3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691 measurement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06 Fillers/Extender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Landscapes
- Length Measuring Devices With Unspecified Measuring Mean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4)
- 시편을 유지하고 X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X축 이송부(10), 상기 X축 이송부(10)를 유지하고 Y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Y축 이송부(20) 및 상기 X축 이송부(10)와 Y축 이송부(20)를 유지하고 Z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Z축 이송부(30)를 포함하는 시편유지부(100); 와 그 상부에 상, 하 이동이 가능하게 상부센서(41)가 유지되는 센서유지부(40), 및 상기 시편유지부(100)를 유지하고 하부센서(42)가 고정되어 있는 시편유지부 지지테이블(50)을 포함하는 센싱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X축 이송부(10), Y축 이송부(20), 및 Z축 이송부(30)는 각각 시편유지대(11), X축 이송부 유지대(21) 및 Y축 이송부 유지대(31)를 포함하고; 상기 시편유지대(11), X축 이송부 유지대(21) 및 Y축 이송부 유지대(31)에는 각각 X축 관통홀(114), Y축 관통홀(213) 및 Z축 관통홀(31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시편유지대(11) 및 X축 이송부 유지대(21)에는 각각 X 선형스케일센서(15) 및 Y축 선형 스케일 센서(24)가 구비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X축 이송부 유지대(21) 및 Y축 이송부 유지대(31)에는 X축 선형스케일센서(15) 및 Y축 선형 스케일 센서(24)에 각각 대응하게 X축 스케일(25) 및 Y축 스케일(34)이 각각 형성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측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X축 이송부(10)가 상기 X축 관통홀(114)을 가로질러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가로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께 측정장치.
- X, Y 및 Z축 방향으로 각각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X, Y 및 Z축 이송부(10)(20) 및 (30)를 포함하는 시편유지부(100)와 그 상부에는 상, 하 이동가능하게 상부 센서(41)가 유지되는 센서유지부(40) 및 하부센서(42)가 고정되어 있는 시편 유지부 지지테이블(50)을 포함하는 센싱부(200)를 포함하는 두께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단계에 따라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 측정방법 측정하고자 하는 시편의 두께(Tn)를 통상적인 두께 측정장치에 의해 개략적으로 측정한 후, 측정시편을 X축 이송부(10)의 시편유지대(11)에 장착하는 단계; 하기식(1)을 만족하는 기준두께(G)를 갖는 표준시편을 선정하여 시편 유지대(11)의 표준시편 유지대(112)에 장착하는 단계;(여기서, S : 센서의 최대 측정거리)상기 시편유지부(100)를 작동시켜 시편유지부 지지테이블(50)에 고정되어 있는 하부센서(42)의 측정범위에 상기 표준시편의 하부면이 위치되도록 한 다음, 센서유지부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유지되는 상부센서(41)를 상, 하 이동시켜 표준시편의 상부면이 상부센서의 측정범위에 위치되도록 하여 표준시편에 대한 각각의 센서의 측정점까지의 거리값이 0(Zero)이 되도록 상, 하부 센서(41)(42)를 세팅하는 단계; 상기 시편유지부(100)를 작동시켜, 상, 하부 센서(41)(42)의 측정범위에, 미리 설정된 측정시편의 최초의 측정점이 위치되도록 한 후, 이 점에서의 측정시편의 두께(tsi)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최초의 측정점에서의 측정시편의 두께(tsi)를 측정한 후, 시편 유지부(100)를 작동시켜 미리 설정된 다음의 측정점이 상, 하부 센서(41)(42)의 측정범위에 위치되도록 한 후, 두 측정점 사이의 거리(Xi-Xi-1)와 각 측정점에서의 두께(tsi)를 측정하는 단계; 각 측정점에서 각각이 센서에 의해 측정두께(tsi)와 기준두께(G)와의 차이를 구한 다음, 하기 식(2)에 의해 측정시편의 각각의 측정점에서의 두께(ti)를 측정하는 단계; 및(여기서, △Ai, △Bi : 두께 센서 변위)상기와 같이 측정된 두 측정점에서의 두께값(ti)을 하기 식(3) 및 (4)에 의해 교정하여(θ : 수평면에 대한 측정시편의 경사각; Zi 및 Zi-1 : 각 측정점에서의 시편 중심과 상부센서 선단부 사이의 거리 : 및 Xi 및 Xi-1 : 두 측정점 사이의 거리)(tic : 교정두께)각 점에서의 최종 시편두께(tic)를 측정하는 단계
- X, Y 및 Z축 방향으로 각각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X, Y 및 Z축 이송부(10)(20) 및 (30)를 포함하는 시편유지부(100)와 그 상부에는 상, 하 이동가능하게 상부 센서(41)가 유지되는 센서유지부(40) 및 하부센서(42)가 고정되어 있는 시편 유지부 지지테이블(50)을 포함하는 센싱부(200)를 포함하는 두께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단계에 따라 두께를 측정하는 두께 측정방법 측정하고자 하는 시편의 두께(Tn)를 통상적인 두께 측정장치에 의해 개략적으로 측정한 후, 측정시편을 X축 이송부(10)의 시편유지대(11)에 장착하는 단계;하기식(1)을 만족하는 기준두께(G)를 갖는 표준시편을 선정하여 시편유지대(11)의 표준시편 유지대(12)에 장착하는 단계;(여기서, S : 센서의 최대 측정거리)상기 시편유지부(100)를 작동시켜 시편유지부 지지테이블(50)에 고정되어 잇는 하부센서(42)의 측정범위에 상기 표준시편의 하부면이 위치되도록 한 다음, 센서유지부(100)의 상부에 이동가능하게 유지되는 상부센서(41)를 상, 하 이동시켜 표준시편의 상부면이 상부센서(41)의 측정범위에 위치되도록 하여 표준 시편에 대한 각각의 센서의 측정점까지의 거리값이 0(Zero)이 되도록 상, 하부 센서(41)(42)를 세팅하는 단계; 상기 시편유지부(100)를 작동시켜 상, 하부 센서(41)(42)의 측정범위에, 미리 설정된 측정시편의 최초의 측정점이 위치되도록 한 후, 이 점에서 측정시편의 두께(tsi)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와 같이 최초의 측정점에서의 측정시편의 두께(tsi)를 측정한 후, 시편 유지부를 작동시켜 미리 설정된 다음의 측정점이 상, 하부 센서(41)(42)의 측정 범위에 위치되도록 한 후, 두 측정점 사이의 거리(Xi-Xi-1)와 각 측정점에서의 두께(tsi)를 측정하는 단계; 각 측정점에서 각각의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두께(tsi)와 기준두께(G)와의 차이를 구한 다음, 하기 식(2)에 의해 측정시편의 각각의 측정점에서의 두께(ti)를 측정하는 단계; 및(여기서, △Ai, △Bi : 두께를 센서 변위)상기와 같이 측정된 두께값(ti) 중의 어느 하나의 측정점을 기준으로 한 X 및 Y 방향 각각의 한점에 대한 경사각(θ) 및 (ψ)을 이용하여 하기 식(5)에 의해 교정하여(θ : X방향에 대한 시편의 경사각, ψ : Y방향에 대한 시편의 경사각)각 점에서의 최종 시편두께(tif)를 측정하는 단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27205A KR0151993B1 (ko) | 1995-08-29 | 1995-08-29 | 두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께 측정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27205A KR0151993B1 (ko) | 1995-08-29 | 1995-08-29 | 두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께 측정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0151993B1 true KR0151993B1 (ko) | 1998-12-01 |
Family
ID=19424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27205A KR0151993B1 (ko) | 1995-08-29 | 1995-08-29 | 두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께 측정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51993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3553B1 (ko) * | 2002-12-24 | 2009-10-27 | 주식회사 포스코 | 스트립의 압연 정밀도 측정방법 |
KR100928773B1 (ko) * | 2002-12-20 | 2009-11-25 | 주식회사 포스코 | 용접기 클램프 변형 검사용 시편 두께의 자동 측정 장치 |
KR101141419B1 (ko) * | 2010-07-29 | 2012-05-04 | 삼성전기주식회사 | 압전 센서를 이용한 용출성 측정 시스템 |
KR101369347B1 (ko) * | 2012-07-24 | 2014-03-06 | 주식회사 포스코 | 하이드로포밍 제품 검사 장치 |
KR20190074737A (ko) * | 2017-12-20 | 2019-06-28 | 주식회사 포스코 | 시편 고정 장치 |
-
1995
- 1995-08-29 KR KR1019950027205A patent/KR015199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8773B1 (ko) * | 2002-12-20 | 2009-11-25 | 주식회사 포스코 | 용접기 클램프 변형 검사용 시편 두께의 자동 측정 장치 |
KR100923553B1 (ko) * | 2002-12-24 | 2009-10-27 | 주식회사 포스코 | 스트립의 압연 정밀도 측정방법 |
KR101141419B1 (ko) * | 2010-07-29 | 2012-05-04 | 삼성전기주식회사 | 압전 센서를 이용한 용출성 측정 시스템 |
KR101369347B1 (ko) * | 2012-07-24 | 2014-03-06 | 주식회사 포스코 | 하이드로포밍 제품 검사 장치 |
KR20190074737A (ko) * | 2017-12-20 | 2019-06-28 | 주식회사 포스코 | 시편 고정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327495B1 (en) | Measuring method and device, machine tool having such device, and work processing method | |
US5542188A (en) | Measuring apparatus for checking the dimensions of cylindrical workpieces | |
US5671541A (en) | Accuracy verification devices for coordinate measuring machines | |
CA225253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the thickness of an article at a plurality of points | |
JP2006509194A (ja) | 加工物検査方法 | |
US6895682B2 (en) | Polar coordinate-based profilometer and methods | |
EP0223555A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measuring properties of cylindrical objects | |
KR0151993B1 (ko) | 두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두께 측정방법 | |
CN107525457B (zh) | 工业机械 | |
JP2002005653A (ja) | ねじ寸法測定方法及び装置 | |
US6038779A (en) | Apparatus for measuring thickness and method therefor | |
JP3472897B2 (ja) | 線形測定装置及びこの装置を調整する方法 | |
US6351313B1 (en) | Device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wo bodies | |
US20170252885A1 (en) | Position measuring device for use on a machine tool | |
US5107132A (en) | Apparatus for the verification of corrected surfaces or in the process of correction | |
GB2112942A (en) | Measuring instruments | |
KR100923553B1 (ko) | 스트립의 압연 정밀도 측정방법 | |
US6580956B1 (en) | Positioning system | |
KR100232285B1 (ko) | 3차원 표면형상 측정장치 | |
JPH09189501A (ja) | 外径測定装置 | |
US20240230490A1 (en) | Method and measuring device for detecting measurement signals | |
JPH06185946A (ja) | 形状測定装置 | |
KR102418946B1 (ko) | 판재 가공대상물 평탄도 측정장치 | |
CN217179490U (zh) | 一种带测量功能用于三维弯曲型材的检具 | |
CN220270352U (zh) | 一种表面平整度检测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8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8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5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6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806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106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06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306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