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49878B1 -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878B1
KR0149878B1 KR1019930031261A KR930031261A KR0149878B1 KR 0149878 B1 KR0149878 B1 KR 0149878B1 KR 1019930031261 A KR1019930031261 A KR 1019930031261A KR 930031261 A KR930031261 A KR 930031261A KR 0149878 B1 KR0149878 B1 KR 0149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articles
polyethylene
naphthalate film
magnetic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1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8190A (ko
Inventor
최복돌
김진사
이병일
Original Assignee
하기주
주식회사코오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기주, 주식회사코오롱 filed Critical 하기주
Priority to KR1019930031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9878B1/ko
Publication of KR950018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81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8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평균입경이 0.1∼1.2μm이고 하기식 (1)로 정의되는 S값이 1.10∼2.0 범위에 있는 구형입자(입자 A)와, 하기식 (2)로 정의되는 R값이 1.1∼3.5 범위에 있는 입자(입자 B)를 포함하는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은 전자변환 특성이 우수하였고, 마찰특성이 좋음으로 인해 필름생산시 작업성, 권취성이 좋을 뿐 아니라, 비디오 테이프 주행시 순간정지-미끌림(stick-slip) 현상이 없이 내마모성이 우수하였으며, 고탄성으로 인해 반복주행시에도 테이프의 늘어남이나 가장자리의 손상이 거의 없었다. 또한 칫수 안정성이 좋음으로 재생시 수축으로 인한 화면 찌그러짐이 전혀 없는 기재필름이다.
(상기식에서 D90은 입자크기가 작은 쪽에서부터 누적갯수가 전체의 90%일 때의 입자직경이고, D10입자크기가 작은 쪽에서부터 누적갯수가 전체의 10%일 때의 입자직경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자기테이프의 기재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밀도 기록용 및 장시간 녹화재생용 자기테이프의 기재필름으로 사용되는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최근의 각광받는 대표적인 자기기록매체로는 고화질 비디오 테이프, 8mm 비디오 테이프와 180분 이상의 장시간 녹화용 비디오 테이프가 있으며, 이들 자기기록매체는 소형화, 경량화, 고밀도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에 따라 비디오 테이프의 두께가 얇아지고 평활해져야 하는 요구에 맞춰 여기에 사용되는 기재필름도 고평활성과 이활성, 장시간 녹화 재생용에서는 박막화와 그에 수반되는 높은 영의 탄성율이 요구되고 있다. 박막화의 그에 수반되는 높은 영의 탄성율을 가지는 자기 테이프용 기재필름으로 최근까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다. 이들 자기기록매체는 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고배율 연신하여 고분자 사슬을 고배향화시켜 사용하여 왔다. 그러나 고배율 연신에 따른 생산성 감소 및 생산설비의 고가, 그리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가지는 한계등으로 인해 점차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으로 대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는 분자사슬 중에 강직한 나프탈렌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연신비에서도 1.5배 이상의 높은 생산성으로 필름을 생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높은 평활성과 우수한 이활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지금까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적용하여 왔던 기술들을 그대로 이용하여 왔다. 예를들면 주로 불활성 미립자들을 첨가하여 필름 표면에 미세한 돌기를 형성하여 이활성을 부여하되 평활성을 부여하기 위해 구형의 단분산 미립자들을 일정량 1종 또는 2종이상 첨가하거나(일본 특허 공개 소63-289029), 구형의 단분산 미립자를 일반적인 불규칙형상의 입도분포가 넓은 입자와 병용하는 기술들이 제시되어 있다(한국 특허 공개 93-4362).
[발명이 해결하려 하는 과제]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을 제조함에 있어 고평활성과,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드롭아웃등의 결함발생이 적고 필름 제조시의 권취특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많은 연구 및 실험을 통하여 위의 단분산구형 실리카들과 입도분포가 유사한 단분산구형 실리콘 수지미립자가 고평활성과 이활성을 부여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평균입경이 0.1∼1.2μm이고 하기식 (1)로 정의되는 S값이 1.10∼2.0 범위에 있는 구형입자(입자 A)와, 하기식 (2)로 정의되는 R값이 1.1∼3.5 범위에 있는 입자(입자 B)를 포함하는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식에서 D90은 입자크기가 작은 쪽에서부터 누적갯수가 전체의 90%일 때의 입자직경이고, D10입자크기가 작은 쪽에서부터 누적갯수가 전체의 10%일 때의 입자직경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구형입자(A)는 폴리알킬실세스퀴옥산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구형입자(A)를 최종 필름내에 0.05∼0.5중량%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입자(B)는 폴리알킬실세스퀴옥산, 비정질 구형 실리카, 탄산칼슘, 탈크, 카글린, 이산화규소, 이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한 입자(B)를 최종 필름내에 0.005∼0.1중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필름길이 방향의 영모듈러스가 550kgf/mm2이상이고, 폭방향의 영모듈러스는 500kgf/mm2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들 필름은 100℃, 1시간 무장력하에서 열처리했을 때 길이방향의 열수축율이 0.1% 이하이고, 폭방향 열수축율이 0.08%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분산구형 실리콘 수지 미립자는 상세하게는 폴리알킬실세스퀴옥산 수지로서 실록산결합으로 3차원적 망상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규소원자에 1개의 알틸킬기가 결합된 유기와 무기의 중간적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형 실리카의 밀도가 1.9∼2.0인데 비해 실리콘 수지 미립자는 1.30∼1.35로 밀도가 낮고 비표면적도 구형 실리카의 3배 이상으로 크므로 단위 무게당 입자갯수가 3배정도 많은 특징이 있다.
위의 구형 폴리알킬실세스퀴옥산 입자의 제법은 일특개소 63-295637에 기술되어 있다.
[작용]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요 산성분으로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와, 주요 글리콜 성분으로는 에틸렌글리콜로부터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가 얻어진다. 상기의 주요 성분에 부가하여 소량의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디페닐술폰디카르복실산,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신산 등의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소량의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1,6-헥산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등과 같은 글리콜 성분을 각각 10몰% 이하로 부가하여도 무방하다.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는 공지된 방법에 의해 필요한 경우 촉매 및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또는 내열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되며, 중합과정의 임의의 시점에서 상기의 입자 A, B를 첨가하되 에스테르 교환반응 또는 에스테르화 반응초기 또는 에스테르 교환반응 또는 에스테르화 반응직후 중축합반응이 시작되기 전에 투입하는 것이 좋으며, 투입시는 에틸렌글리콜에 미리 분산시킨 슬러리 상태로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되는 입자는 상기의 식(1), (2)를 만족하는 입자 A, B를 첨가하되 입자 A는 D90/D10으로 표시되는 S값이 1.1∼2.0 범위를 만족하는 구형 폴리알킬실세스퀴옥산 입자를 0.05∼0.5중량% 첨가하고, 입자 B는 상기 식(2)로 표시되는 R값이 1.1∼3.5 범위를 만족하는 구형 폴리알킬실세스퀴옥산 입자 또는 비정질구형 실리카 또는 탄산칼슘, 탈크, 카올린, 이산화규소, 이산화티탄중 1종 이상을 0.005∼0.1중량%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구형 폴리알킬실세스퀴옥산 입자 또는 비정질구형 실리카, 구형 또는 럭비공 형상의 탄산칼슘이 바람직하다. 입자 A의 S값이 1.1보다 작은 것은 문제가 없으나 현실적으로 그렇게 제조하기가 불가능하며 2.0보다 크면, 혼용하는 의미가 없어지고 이활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게 되며 3.5보다 크면 필름표면에 형성된 큰 돌기들로 인해 비디오 테이프의 자성층 도막에 표면전사현상을 초래하여 전자변환 특성이 불량하고 드롭아웃이 많아지는 요인이 된다.
또한 최종 기재 필름내에 입자 A의 함유량이 0.05중량% 미만이면 이활성이 악화되고 내마모성이 떨어지며 0.5중량%를 초과하면 이활성이 너무 좋게 되어 필름의 권취시 또는 슬리팅공정에서 롤 폼(ROLL FORM)이 불량하게 되고, 자성체를 도포한 후 판 케이크상으로 권취하기가 어렵게 된다.
최종 기재필름내에 입자 B의 함유량이 0.005중량%보다 적으면 이활성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0.1중량%보다 많으면 평활성이 저하되어 좋지 않다. 입자 B는 최종 기재필름내에서 입자 A보다 적게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축합이 완료된 중합체는 0.40∼0.90 범위의 고유점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을 제조하는 기술은 공지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제조 기술을 응용할 수도 있고, 공지의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제조 기술을 이용하면 된다.
위의 기술들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면, 상기 방법으로 얻어진 중합체는 칩상으로 잘라 건조공정을 거쳐 압출다이를 통해 시이트상으로 급냉, 고화시켜 결정화도가 10% 이하인 무정형 시이트를 얻는다. 급냉 고화시킬 때 정전압 인가법이나, 알콜류를 이용한 밀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를 길이방향 및 폭방향으로 연신하되 길이-폭방향 축차연신 또는 동시연신법, 폭-길이방향 축차이축 연신법, 또는 더욱 고탄성률을 얻기 위하여 길이방향 재연신이나, 폭방향재연신, 또는 폭방향재연신법중 어느 방법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을 8mm 비디오 테이프나 장시간 녹화재생용 테이프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MOD.MD(Machinary Direction에서의 Modulus)가 적어도 550kg/mm2이상되어야 하고, MOD.TD(Transverse Direction에서의 Modulus)가 적어도 500kg/mm2이상되어야 한다. MOD.가 상기 값을 만족시키지 못한 필름으로 제조된 비디오 테이프는 사용중 장력에 의해 늘어나게 되거나 테이프의 폭방향의 형태안정성이 저하되어 테이프의 가장자리부분이 쉽게 손상받게 된다. 또한 100℃에서 1시간 열처리 한 필름의 열수축을 이 길이방향은 0.1% 이하, 폭방향은 0.08% 이하가 되도록 필름제조공정 중에서 최종 연신이 끝난 직후 2∼8% 이완하면서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수축율이 상기 범위를 넘으면 자성층을 도포한 후 건조과정에서 필름이 수축하게 되고, 비디오 테이프를 보관 또는 사용 중 주위 분위기의 온도, 습도가 높은 경우 비디오 테이프가 변형되어 녹화된 내용을 재생할 때 화면의 찌그러짐이 발생하게 되므로 좋지 않다.
위의 MOD. 및 열수축율을 만족시키기 위한 필름 연신 및 열처리조건은 축차 이축 연신방법의 경우(유리전이 온도 +10℃)∼(유리전이 온도 +60℃)의 온도에서 길이방향으로 1단 내지 3단에 걸쳐 3.5∼5.0배 연신하고, (유리전이 온도 -10℃)∼(유리전이 온도 +50℃)의 온도범위에서 3.5∼4.5배 연신한 후 180∼Tm(결정이 녹는 온도) 이하에서 1∼60초간 열처리하되 2∼8% 이완 열처리하여 최종 필름의 두께가 15um 이하가 되도록 한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은 0.35 이하의 마찰계수를 갖는 이활성과 SRa(중심선 평균 거칠기)가 3∼8mm의 고평활성을 만족하며, MOD.MD와 MOD.TD가 각각 550kg/mm2이상, 500kg/mm2이상인 고탄성이고 칫수 안정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을 얻을 수 있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0.2UM의 평균입경을 갖는 단분산구형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입자 A(D90/D10=1.3)를 0.1중량% 함유하고 0.5UM의 평균입경을 갖는 단분산구형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입자 B(D90/D10=1.4)를 0.015중량% 함유하는 고유점도 0.55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를 175℃에서 건조시킨 후 295℃에서 용융압출시킬 때 40℃의 냉각드럼상에서 급냉시켜 10% 이하의 무정형 시이트를 만든 후 140℃에서 길이방향으로 4.3배 연신한 후 150℃에서 폭방향으로 4.0배 연신하여 220℃에서 4초간 열처리하여 다시 폭방향 3%로 이완하면서 200℃에서 2초간 열처리한 후 10UM 두께를 갖는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2]
0.3UM의 평균입경을 갖는 단분산구형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입자 A(D90/D10=1.3)를 0.15중량% 함유하고 0.6UM의 평균입경을 갖는 탄산칼슘 입자 B(D90/D10=1.9)를 0.02중량% 함유하는 고유점도 0.60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를 175℃에서 건조시킨 후 300℃에서 용융압출시킬 때 40℃의 냉각드럼상에서 급냉시켜 10% 이하의 무정형 시이트를 만든 후 140℃에서 길이방향으로 4.3배 연신한 후 140℃에서 폭방향으로 4.0배 연신하여 220℃에서 4초간 열처리하여 다시 폭방향 3%로 이완하면서 200℃에서 2초간 열처리한 후 10UM 두께를 갖는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3]
0.3UM의 평균입경을 갖는 단분산구형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입자 A(D90/D10=1.3)를 0.2중량% 함유하고 0.7UM의 평균입경을 갖는 단분산구형 실리카 입자 B(D90/D10=1.42)를 0.03중량% 함유하는 고유점도 0.50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를 175℃에서 건조시킨 후 300℃에서 용융압출시킬 때 40℃의 냉각드럼상에서 급냉시켜 10% 이하의 무정형 시이트를 만든 후 140℃에서 길이방향으로 3.0배 연신한 후 135℃에서 폭방향으로 4.2배 연신하여 160℃에서 4초간 열처리하여 다시 길이방향으로 155℃에서 1.5배 재연신한 후 200℃∼220℃에서 2초간 5% 이완열처리한 후 7UM 두께를 갖는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4]
0.2UM의 평균입경을 갖는 단분산구형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입자 A(D90/D10=1.3)를 0.25중량% 함유하고 0.6um의 평균입경을 갖는 구형상의 탄산칼슘 입자 B(D90/D10=1.45)를 0.02중량% 함유하는 고유점도 0.57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를 175℃에서 건조시킨 후 300℃에서 용융압출시킬 때 30℃의 냉각드럼상에서 급냉시켜 10% 이하의 무정형 시이트를 만든 후 140℃에서 길이방향으로 4.2배 연신한 후 130℃에서 길이방향으로 4.3배 연신하여 200℃에서 4초간 열처리하여 폭방향 3%로 이완하면서 200℃에서 2초간 열처리한 후 10UM 두께를 갖는 필름을 얻었다.
[비교실시예 1]
0.2UM의 평균입경을 갖는 단분산구형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입자 A를 0.2중량% 함유하고 1.0UM의 평균입경을 갖는 단분산구형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입자 B를 0.015중량% 함유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한 실시예 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실시하여 필름을 얻었다.
[비교실시예 2]
0.2UM의 평균입경을 갖는 단분산구형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입자 A를 0.015중량% 함유하고 0.5UM의 평균입경을 갖는 단분산구형 실리카 입자 B를 0.1중량% 함유하는 것 이외에는 상기한 실시예 2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실시하여 필름을 얻었다.
[비교실시예 3]
0.3UM의 평균입경을 갖는 D90/D10가 2.3인 이산화티탄 0.3중량% 함유하고, 평균입경 0.5UM인 단분산구형 실리카를 0.04중량% 함유하는 것이외에는 상기한 실시예 3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실시하여 필름을 얻었다.
[비교실시예 4]
0.2UM의 평균입경을 갖는 단분산구형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입자 A(D90/D10=1.3)를 0.2중량% 함유하고 평균입경 0.5UM의 평균입경을 갖는 단분산구형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입자 B(D90/D10=1.4)를 0.15중량% 함유하는 고유점도 0.55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를 175℃에서 건조시킨 후 295℃에서 용융압출시킬 때 40℃의 냉각드럼상에서 급냉시켜 10% 이하의 무정형 시이트를 만든 후 140℃에서 길이방향으로 4.3배 연신한 후 150℃에서 폭방향으로 4.0배 연신하여 220℃에서 4초간 열처리하여 폭방향 3%로 이완하면서 200℃에서 2초간 열처리한 후 10UM 두께를 갖는 필름을 얻었다.
[비교실시예 5]
실시예 3에서 이완시키지 않고 열처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실시하여 필름을 얻었다.
[비교실시예 6]
폭방향 연신비가 4.0이고, 길이방향 연신비가 3.5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필름을 얻었다.
[비교실시예 7]
0.2UM의 평균입경을 갖는 단분산구형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 입자 A(D90/D10=1.3)를 0.6중량% 첨가하여 고유점도 0.55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를 제조하여 실시예 1과 같이 필름을 제조하고자 하였으나, 파단이 2회/일이상으로 잦아 생산성이 크게 저하되었다.
상기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한 필름에 자성층을 하기한 방법으로 도포한 후 그들의 특성치를 다음과 같은 측정법에 의하여 특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한 표에 나타내었다.
1) 평균 입경 및 입도 분포
브부크하벤(BROOKHABEN)사의 DCP 파티클 사이저(PARTICLE SIZER)를 사용하여 입자를 일정량 분산매에 분산시켜 원심력에 의해 이동하는 입자를 광산란법을 이용, 입자수와 입자크기를 계산한 후 이로부터 평균입경을 구하고 작은 입자로부터 총입자 갯수의 10%일 때의 누적 입자경 D10과 90%일 때의 누적입자경 D90을 구한다.
위 방법으로 측정한 평균입자 경과 D10및 D90의 값은 전자 현미경에 의한 사진으로 500개의 입자의 크기로부터 측정한 값과 거의 일치하였다.
2) 영의 탄성율(MODULUS)
ASTM D-882에 의하여 필름폭을 15mm, 척(chuck)간 거리를 50mm, 인장속도를 500mm/min으로 만능인장 시험기로 인장하였을 때의 변형율-응력곡선에서 2% 신장시의 곡선의 기울기(응력/변형율)를 영의 탄성율로 하였다.
3) 필름의 표면 조도(SRa)
비접촉식 3차원 표면 조도계(기기명:WYKO사의 TOPO-3D)로 측정된 중심선 평균 거칠기를 SRa로 하였다.
여기서,
z=f(x,y)=(x,y) 위치에서의 표면 높이
I=측정숫자
N=측정된 데이타 포인트의 갯수
4) 고유점도
고분자 1g을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6/4(중량비)인 혼합용매 100ml에 용해시켜 계수를 측정하여 이활성을 평가하였다.
5) 이활성(마찰계수)
ASTM D-1894에 의하여 25℃, 60±5% RH의 분위기에서 필름과 필름을 마찰시켜 동마찰계수를 측정하여 이활성을 평가하였다.
6) 열수축율
필름을 폭 1cm, 길이 20cm로 잘라 100℃의 열풍 오븐속에서 장력없이 1시간 열처리한 후 다음식에 의해 열수축율을 계산하였다.
7) RF 출력
비디오 테이프를 일본 VICTOR사의 비디오 데크(BR-7000)에 장착하여 100% 백색신호를 기록한 뒤 재생시의 출력을 측정하고, 자사의 기준 테이프의 RF 출력을 0dB로 가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그 차이를 나타냈다.
8) 크로마 S/N
VHS 방식의 VTR을 사용하여 비디오 테이프에 단색 크로마 신호를 기록한 후 재생하면서 칼라 비디오 노이즈 측정기를 이용하여 재생신호의 AM 노이즈를 측정하여 S/N을 산출하고 자사의 기준 테이프의 크로마 S/N을 0dB로 가정하고 이를 기준으로 하여 그 상대치를 계산하여 나타냈다.
9) 주행내구성
비디오 테이프를 70℃, 65%RH에서 1시간 방치한 후 VICTOR사의 비디오 데크(BR-7000)에 장착하여, 주행과 정지조작을 반복하면서 100시간 주행시킨 후 테이프의 변형 및 마모상태를 3단계로 평가한다.
등급 A:테이프의 양변부가 늘어난 부분이 없고, 마모분 및 마모흔적이 없다.
등급 B:테이프의 양변부가 조금씩 늘어나 있고, 소량의 마모분 부착 및 마모흔적이 있다.
등급 C:테이프 양변부의 변형정도가 심하고, 마모흔적 및 마모분 부착이 심하다.
9) 도포방법
(자성층)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다음과 같은 조성물을 혼합, 분산시킨 뒤 3um 두께로 자성층을 도포하여 건조, 칼렌더링하였다.
-자성층 도료 조성-
강자성 분말(Co-γ-Fe2O3:BET=31M2/g)………………100중량부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미국 UCC사:유카막 527)……10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미국 모톤사:CA사 128)…………………10중량부
연마제(α-Al2O3)………………………………………… 3중량부
카본블랙……………………………………………………… 5중량부
미리시딕산…………………………………………………… 1중량부
노말부틸스테아레이트……………………………………… 1중량부
경화제(콜로네이트-L)……………………………………… 5중량부
사이클로헥사논……………………………………………… 85중량부
메틸에틸케톤………………………………………………… 85중량부
톨루엔………………………………………………………… 85중량부
(백코오팅층)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에 다음과 같은 조성을 혼합, 분산시켜 자성층 반대면에 0.7um 두께로 도포하여 백코오팅층을 형성시킨 다음 70℃ 이상에서 건조하고 칼렌더링, 경화, 슬리팅하여 1/2인치 비디오 테이프를 제조하여 R/F 출력, 드롭아웃을 평가한다.
-백코오팅층 도로 조성-
카본블랙(입경 24um)…………………………………………100중량부
염화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50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50중량부
충진제(일본 촉매화학 에포스타 에스:입경 0.6um)……… 6중량부
실리콘 오일(일본, 시네츠사 TA-4230)………………… 5중량부
폴리이소시아네이트(콜로네이트-L)………………………… 20중량부
사이클로헥사논………………………………………………… 375중량부
메틸에틸케톤…………………………………………………… 375중량부
톨루엔…………………………………………………………… 375중량부
[효과]
상기한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자기테이프는 높은 평활성으로 인해 자성체 도포면이 매우 평활하여 자기헤드 드럼과의 공간손실이 적음으로 전자변환 특성이 우수하고, 마찰특성이 좋음으로 인해 필름생산시 작업성, 권취성이 좋을 뿐아니라, 비디오 테이프 주행시 순간정지-미끌림(stick-slip) 현상이 없이 내마모성이 우수하며, 고탄성으로 인해 반복주행시에도 테이프의 늘어남이나 가장자리의 손상이 거의 없다. 또한 칫수 안정성이 좋음으로 재생시 수축으로 인한 화면 찌그러짐이 전혀 없다.

Claims (7)

  1. 평균입경이 0.1∼1.2μm이고 하기식 (1)로 정의되는 S값이 1.10∼2.0 범위에 있는 구형입자(입자 A)와, 하기식 (2)로 정의되는 R값이 1.1∼3.5 범위에 있는 입자(입자 B)를 포함하는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
    (상기식에서 D90은 입자크기가 작은 쪽에서부터 누적갯수가 전체의 90%일 때의 입자직경이고, D10입자크기가 작은 쪽에서부터 누적갯수가 전체의 10%일 때의 입자직경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형입자(A)는 폴리알킬실세스퀴옥산인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형입자(A)를 최종 필름내에 0.05∼0.5중량%을 포함하는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입자(B)는 폴리알킬실세스퀴옥산, 비정질 구형 실리카, 탄산칼슘, 탈크, 카글린, 이산화규소, 이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인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입자(B)를 최종 필름내에 0.005∼0.1중량% 포함하는 자기기록매체용 이축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필름이 영모듈러스 550kgf/mm2이상이고, 폭방향의 영모듈러스 500kgf/mm2이상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필름은 100℃, 1시간 무장력하에서 열처리했을 때 길이방향의 열수축율이 0.1% 이하이고, 폭방향 열수축율이 0.08% 이하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
KR1019930031261A 1993-12-30 1993-12-30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KR0149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261A KR0149878B1 (ko) 1993-12-30 1993-12-30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261A KR0149878B1 (ko) 1993-12-30 1993-12-30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190A KR950018190A (ko) 1995-07-22
KR0149878B1 true KR0149878B1 (ko) 1999-05-15

Family

ID=19374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1261A KR0149878B1 (ko) 1993-12-30 1993-12-30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987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8190A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7401B1 (ko)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의 이축 배향 필름
US5164439A (en) Polyester film for magnetic recording media
US6190753B1 (en)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for magnetic recording media
JP3306088B2 (ja) 高密度磁気記録媒体
EP0520504A1 (en) Polyester film for magnetic recording media,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and magnetic recording medium
US6461726B1 (en) Laminate film with organic particulate for a magnetic recording medium
JP2732997B2 (ja) 二軸配向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KR100297271B1 (ko) 디지탈오디오테이프레코더카세트용자기테이프및그에사용되는이축배향폴리에스테르기재필름
JP7303999B2 (ja) 積層ポリ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塗布型磁気記録テープ
KR0149878B1 (ko) 자기기록매체용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필름의 제조방법
KR0184605B1 (ko) 2축 배향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세로로 긴 필름 및 이를 사용한 자기 테이프
KR100230632B1 (ko)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의 이축 배향 필름(biaxially oriented film of polyethylene-2, 6-naphthaleneddicarboxylate)
KR980008553A (ko) 적층 필름
JP2738644B2 (ja) 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3068945B2 (ja) 二軸配向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KR100291275B1 (ko) 자기 기록 매체용 필름
JP3048737B2 (ja) 二軸配向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の製造法
JP3797903B2 (ja) 2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磁気記録媒体の製造方法
JP2001162750A (ja) 易接着性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9130777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JP4151994B2 (ja) 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3942410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磁気記録媒体
JP2738645B2 (ja) 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JP3068320B2 (ja) 磁気記録媒体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06136166A (ja) ポリエチレン−2,6−ナフタレート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1230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61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312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5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6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6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5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4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6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