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49059B1 - 가스터빈연소기 - Google Patents

가스터빈연소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9059B1
KR0149059B1 KR1019940015020A KR19940015020A KR0149059B1 KR 0149059 B1 KR0149059 B1 KR 0149059B1 KR 1019940015020 A KR1019940015020 A KR 1019940015020A KR 19940015020 A KR19940015020 A KR 19940015020A KR 0149059 B1 KR0149059 B1 KR 0149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ombustion
nozzle
stage
gas tur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5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1074A (ko
Inventor
타케시 타카하라
타다시 고바야시
마사오 이토오
Original Assignee
사또 후미오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또 후미오,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사또 후미오
Publication of KR950001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9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90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23R3/286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having fuel-air premix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RGENERATING COMBUSTION PRODUCTS OF HIGH PRESSURE OR HIGH VELOCITY, e.g. GAS-TURBINE COMBUSTION CHAMBERS
    • F23R3/00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 F23R3/28Continuous combustion chambers using liquid or gaseous fuel characterised by the fuel supply
    • F23R3/34Feeding into different combustion zo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50/00Geometry
    • F05D2250/20Three-dimensional
    • F05D2250/23Three-dimensional prismatic
    • F05D2250/231Three-dimensional prismatic cylindr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70/00Control
    • F05D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F05D2270/31Fuel schedule for stage combus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2900/00Special features of, or arrangements for burners using fluid fuels or solid fuels suspended in a carrier gas
    • F23D2900/14Special features of gas burners
    • F23D2900/14021Premixing burners with swirling or vortices creating means for fuel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NOX의 발생이 많은 확산연소의 비율을 대폭으로 감소시켜서 보다 저NOX화를 도모하는 동시 에 확산연소비율을 감소시켜도 안정된 연소를 확보할 수 있는 가스터빈 연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가스터빈 연소기(15)는 연소기라이너(20) 내에 형성되는 연소실(21)을 연소기라이너(20) 두부측의 제1단연소역(26)과 이 연소역(26) 하류측의 제2단연소역(27)으로 구획하고, 상기 제1단연소역(26)에 제1단 연료(A)를 분사하는 제1단연료공급수단(30)과 제2단연소역(27)에 연료 희박상태로 예비 혼합된 제2단연료(C)를 분사시키는 제2단연료공급수단(31)을 각각 구비한 가스터빈 연소기(15)에 있어서, 상기 제1단연료수단(30)은 제1단연료(A)를 공급하는 제1단연료노즐(31)을 확산연소용노즐(35)과 예비 혼합연소용노즐(36)을 조합해서 구성하고, 상기 예비혼합 연소용노즐(36)은 제1단연료(A)와 공기를 예비혼합시키는 예비혼합부를 도중에 구비하고, 이 예비혼합부는 예비혼합류가 축류가 되도록 상류측보다 하류측의 지름을 작게 설정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스터빈 연소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터빈 연소기를 적용한 가스터빈 플랜트를 예시하는 개략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터빈 연소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가스터빈 연소기에 장치된 제1단 연료노즐로서의 파이롯연료노즐의 파이롯확산연소용 노즐의 선단부분을 나타낸 상세도.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터빈 연소기의 각 연료유량과 가스터빈 부하의 관계(연료배분)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터빈 연소기의 가스터빈 부하에 대한 NOX농도를 종래의 가스터빈 연소기의 NOX농도와 비교한 도면.
제6도는 저 NOX화 된 종래의 가스터빈 연소기의 일구조예를 나타낸 도면.
제7도는 제6도에 나타낸 가스터빈 연소기에 있어서의 각 연료배분을 나타낸 도면.
제8도는 저 NOX화 된 종래의 가스터빈 연소기의 다른 구조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에 나타낸 종래의 가스터빈 연소기를 변형시킨 구조예를 나타낸 도면.
제10도는 가스터빈 연소기에 있어서의 각 연료 배분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공기와 연료를 예비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가스터빈 연소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가스터빈 배기중에 포함되는 NOX농도를 저감시킨 가스터빈 연소기에 관한 것이다.
가스터빈 플랜트나 콘바인드사이클 발전 플랜트에는 가스터빈 연소기가 복수대장치되어 있고, 이 가스터빈 연소기로 연소시킨 연소가스를 가스터빈에 안내하여 가스터빈을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종류의 가스터빈 플랜트에서는 터빈입구온도를 상승시키면 터빈열효율이 향상됨이 알려져 있고, 터빈열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터빈 입구온도 즉, 가스터빈 연소기의 출구온도의 상승이 도모되고 있다.
가스터빈 연소기는 가스터빈이나 연소기재료의 내열한계에 의해서 연소가스온도가 여러 가지의 제약을 받거나 가스터빈 연소기에 있어서의 NOX(질소산화물)대책상, 연소가스온도는 제약을 받는다.
가스터빈 연소기의 NOX발생의 주원인은 가스터빈 연소기내에 있어서의 연소가스의 국소적인 고온화를 들 수 있고, NOX발생량은 가스터빈 연소기의 연소역의 연소가스온도에 의존한다. NOX는 가스터빈 연소기 내부에서 연료와 공기가 확산혼합하여 연소하는 중에서 연료와 공기가 당량비 1에 가까운 상태로 단열화재 온도에 가까운 고온으로 확산연소하는 경우에 다량으로 발생한다.
가스터빈 연소기에서 NOX의 발생을 낮게 억제하는 방법으로써 연료와 공기를 미리 연료희박상태로 혼합하여 연소시키는 희박예비 혼합연소방식이 있다.
희박예비혼합연소방식을 채용한 가스터빈 연소기로 일본실공평 4-43726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가스터빈 연소기는 제6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메인 연료의 예비혼합화에 더하여 파이롯연료도 일부예비혼합화 함으로써 NOx발생량이 많은 확산연소를 감소시켜 대폭적인 저 NOx를 도모한 것이다.
제6도에 나타낸 종래의 가스터빈 연소기는 연소기라이너(1)내가 제1단연소역(2)과 제2단연소역(3)으로 나누어진다. 연소기라이너(1)의 두부에 파이롯연료노즐(4)이 설비되고, 이 연료노즐(4)에서 제1단연소역(2)에 파이롯연료(A)를 공급하고 있다.
또, 연소기라이너(1)의 둘레에는 메인연료노즐(5)이 분출하는 메인연료(C)를 공기와 예비혼합하는 예비혼합닥트(6)가 설비되어 있고, 이 예비 혼합닥트(6)에서 예비 혼합된 메인연료(C)는 제2단연소역(3)에 분사되어서 연소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파이롯연료노즐(4)은 중심부에 축방향으로 뻗은 파이롯연료(A)의 연료통로부(4a)가 설비되어 있고, 이 연료통로부(4a)를 둘러싸고 공기통로부(4b)가 설비되어 있다. 공기통로부(4b)의 입구 및 출구(라이너입구)에는 공기흐름을 선회시키는 스와라(7,8)가 설치되었다. 각 스와라(7,8)내 또는 스와라 하류부에 파이롯연료(A)가 분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종래의 가스터빈 연소기의 운전은 착화에서 가스터빈 부하가 어느 정도 부분 부하까지는 제7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파이롯연료노즐(4)에서 분출되는 파이롯연료(A)만에 의한 연소운전이 행해진다. 이때 파이롯연료의 연료 유량은 1개의 연료제어변(9)에 의해서 콘트롤되어서 파이롯연료노즐(4)에 공급되고, 이 파이롯연료노즐(4)에서 파이롯확산연료(a)와 파이롯예비혼합연료(b)로 나누어진다.
파이롯확산연료(a)는 스와라(8)에 의해서 확산되어서 제1단연소역(2)에 공급되어서 연소되는 한편, 파이롯예비혼합연료(b)는 공기통로부(4b)에서 공기와 균일하게 혼합된 후에 스와라(8)에서 제1단연소역(2)내로 분사되어서 연소에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파이롯확산연료(3)와 파이롯예비혼합연료(b)의 연료배분은 각 연료분사구의 면적에 의해서 일의적으로 결정되나, 저NOX화를 도모하기 위하여 스와라(7,8) 및 공기통로부(4b)의 통로면적은 파이롯예비혼합연료의 연공비(연료의 중량유량/공기의 중량유량)를 충분히 낮게 되도록 비교적 크게 정해진다.
가스터빈이 고분하운전역으로 운전하도록 하려면 제7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연료제어변(9)을 조여 파이롯연료(A)를 감소시키고, 확산연소비율을 적게하는 동시에 연료제어변(10)을 열어 메인연료노즐(5)에 메인연료(C)를 공급한다. 공급된 메인연료(C)는 예비혼합닥트(6)내에서 균일하게 혼합된 후에 연소기라이너(1)내에 분사되어 제2단연소역(3) 에서 연소된다. 예비혼합닥트(6)는 전연료유량의 70∼80%를 점하는 메인연료를 충분히 희박 예비혼합시키는 공기가 흐르게 통로면적이 확보된다.
종래의 가스터빈연소기에서 메인연료에 더하여 파이롯연료(A)의 일부를 희박예비혼합 시키고 있기 때문에 파이롯확산연료(a)의 비율을 적게 할 수 있어서 대폭적인 저NOx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이 확산연료(a)의 비율은 전술한 바와같이 스와라(7,8)의 공기 통로면적이 비교적 크게 설계되어 있어서 공기유입량이 많기 때문에 연소안정성을 생각하면 전연료유량에 대해서 20% 정도까지만 작게 할 수 있어서, 그 이상 작게하는 것은 곤란하여 저NOx화에도 한계가 있었다.
종래의 가스터빈 연소기의 다른 예로써 일본특개평 4-98014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있다. 이 가스터빈연소기의 예를 제8도 및 제9도에 나타냈다. 이 가스터빈연소기는 제6도에 나타낸 가스터빈연소기와 기본적인 구조를 같게 하고, 연소기라이너(1)내에 형성된 연소실이 제1단연소역(2)과 그 하류측의 제2단연소역(3)으로 나누어진다. 연소기라이너(1)의 둘레에 복수의 예비혼합닥트(예비혼합관)(6)이 설비되고, 이 예비혼합닥트(6)에서 메인연료를 공기와 연료희박상태로 미리 균일하게 예비 혼합한 후에 예비혼합된 메인연료를 제2단연소역(3)에서 분출하여 연소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8도에 나타낸 가스터빈연소기는 파이롯연료노즐(4)이 확산연료노즐만으로 구성되고, 파이롯연료노즐(4)에서 분출되는 파이롯연료(A)는 파이롯연소용스와라(8)에 의해서 선회류로 형성된다. 이 선회류는 파이롯연료노즐(4) 하류측의 환상선회류가이드(11)에 의해서 안내되고, 선회류가이드(11)의 중심부위치에 형성된 제1단연소역(2)에서의 안정연소를 도모하고 있다.
이 안정연소는 NOX가 많은 파이롯확산연소를 행하는 파이롯연료(A)가 비교적 적을 때에도 얻어지므로 파이롯연료노즐(4)에 의한 확산연료를 적게 하고, NOX발생이 거의 없는 메인연료노즐(5)에 의한 예비혼합연소를 많게 하는 운전이 가능하게 되어 대폭적인 저NOX화가 도모된다.
다른 한편 제9도에 나타낸 가스터빈연소기는 제8도에 나타낸 가스터빈연소기의 파이롯연료노즐(4)을 일부 예비혼합화하여 대폭적인 저NOX화를 도모한것이다.
이 가스터빈연소기는 파이롯연료노즐(4)에서 분사되는 파이롯연료(A)에 선회류를 부여하는 파이롯연료용스와라(8)의 상류측에 파이롯예비혼합연료노즐(7)을 추가 설비하고, 이 예비혼합연료노즐(7)에서 파이롯예비혼합연료(b)를 분사하고, 공기통로부(12)내에서 연료희박 상태로 혼합하고, 제1단연소역(2)에서 예비 혼합연소시키기 때문에 NOX의 발생이 적게 되어 있다. 이때에 파이롯확산연료(a)는 제8도에 나타낸 가스터빈연소기에 비해서 적어져 있으므로 저NOX가 달성된다.
그러나 근년의 가스터빈플랜트에 있어서는 가스터빈의 열효율의 더 한층의 효율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가스터빈연소기에서의 연소가스 온도의 고온화가 모색되고, 이 연소가스 온도의 고온화에 수반되어 저NOX화에의 요구가 보다 높아지고 있다. 저NOX화의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NOX발생량이 많은 확산연소를 전연소량에 대해서 수% 정도로 억제하고, 나머지의 전부를 NOX가 거의 생기지 않는 예비혼합 희박연소시키는 저NOX의 가스터빈연소기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제6도에 나타낸 종래의 가스터빈연소기에서는 파이롯예비혼합연료(b)를 충분히 연료희박혼합시키기 위해서 비교적 다량의 공기를 파이롯예비연료용스와라(7)및 공기통로부(4b)에 흘리는 설계 구조이기 때문에 파이롯확산연료스와라(8)가 비교적 대형화되어 소형화를 도모하기가 곤란하다. 이 때문에 파이롯확산연료(a)를 전연료유량의 수% 정도로 감소시키면 불완전연소나 실화등의 불안정연소가 생기는 문제가 있었다. 또 하나의 파이롯연료노즐(4)로 연료분사구로 부터의 차압을 충분히 보지한채로 파이롯확산연소를 전연소유량의 30% 정도에서 수% 정도까지 변화시키는 운전은 불가능하였다.
또, 제9도에 나타낸 가스터빈연소기에 관해서도 아주 똑같은 문제로 전연료에 대한 파이롯확산연료(a)를 수% 정도까지 적게 할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 제8도에 나타낸 가스터연소기에서는 파이롯연료노즐(4)이 확산연료노즐만의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메인연료(C)에 예비혼합연소를 개시할 수 있는 가스터빈 부하까지는 NOX의 발생이 많은 파이롯확산연소단독의 운전으로 된다.
이 파이롯확산연소단독의 운전에서는 파이롯연료에 의한 확산연소를 유지하기 위해서 확산연소에 필요한 비교적 많은 공기량을 파이롯연료용스와라(8)에서 유입시키는 설계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8도에 나타낸 가스터빈연소기에 있어서 메인연료(C)가 투입되어서 저NOX의 예비혼합연소가 개시되는 가스터빈고부하영역에서는 파이롯확산연료비율을 저감시킬 수 없어서 수% 정도로 감소시키면 제6도에 나타낸 가스터빈연소기와 마찬가지로 불완전 연소나 실화등의 불안정 연소는 피할수 없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가스터빈연소기에서는 전연소유량에 대해서 수%의 파이롯확산연소를 행하기 위한 전용의 공기통로부와 보염기구를 구비하지 않은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고려하여 된 것이며, NOX의 발생이 많은 확산연소비율을 대폭 감소시킴으로써 저NOX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확산연소비율을 감소시켜도 안정된 연소를 확보할 수 있는 가스터빈연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스터빈의 정상 부하운전시에 확산연소비율을 전연료유량의 수% 이내로 억제하여 초저NOX화를 도모하는 동시에 확산연소용노즐의 소형화에 의한 안정연소를 확실하게 할 수 있는 가스터빈연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1단연료노즐의 예비혼합연소용노즐내를 안내하는 예비혼합류가 축류로 되도록 하여 예비혼합연료가스의 역화방지를 도모할 수 있어 대폭적인 저NOX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가스터빈연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1단연료노즐의 확산연소용노즐로 형성되는 연료통로부를 제1연료통로부와 제2연료통로부로 독립시켜 형성하고, 각 연료유량에 적합한 연료분사구를 형성함으로써 보다 한층 안정된 연소를 행할수 있는 가스터빈연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제1단연료노즐의 예비혼합연료용노즐로 형성된 예비혼합부에서 예비혼합연료와 공기를 더 한층 균일하게 혼합시켜 저NOX화를 도모할 수 있는 가스터빈연소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스터빈연소기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1 기재와 같이 연소기라이너내에 형성된 연소실을 연소기라이너두부측의 제1단연소역과 이 연소역하류측의 제2단연소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제1단연소역에 제1단연료를 분사하는 제1단연료 공급수단과 제2단연소역에 연료희박 상태로 예비혼합된 제2단연료를 분사시키는 제2단연료공급수단을 각각 구비한 가스터빈연소기에 있어서, 상기 제1단연료공급수단은 제1단연료를 공급하는 제1단연료노즐을 확산연소용노즐과 예비혼합연소용노즐을 조합해서 구성하고, 상기 예비혼합연소용노즐은 제1단연료와 공기를 예비혼합시키는 예비혼합부를 도중에 구비하고, 이 예비혼합부는 예비혼합류가 축류로 되도록 상류측보다 하류측의 직경은 작게 설정한 것이다.
또,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가스터빈연소기는 청구항1 기재내용에 더하여 청구항2에 기재한 바와같이 상기 제1단연료노즐은 중앙에 확산연소용노즐이 이 확산연소용노즐을 둘러싸고 예비혼합연소용 노즐이 각각 설비된 파이롯연료노즐이고, 또 청구항3에 기재한 바와같이 상기 제1단연료노즐의 확산연소용노즐을 중심부에 축방향으로 뻗는 연료통로부가 이 연료통로부의 외주에 공기 통로부가 각각 형성되고, 공기통로부의 제1단연소역측으로 공기에 선회를 부여하는 스와라와 연료통로부에서의 연료분출구를 설비한 것이고, 또 청구항 4에 기재한 바와같이 상기 제1단연료노즐의 확산연소용노즐에 형성된 연료통로부는 대유량의 제1단연료를 공급하는 제1연료통로부와 전연료유량에 대해서 수% 정도의 소유량의 재1단연료를 공급하는 제2연료통로가 각각 독립적으로 설비된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의한 가스터빈 연소기는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청구항1 또는 2의 기재내용에 더하여 청구항 5에 기재한 바와같이 상기 제1단연료노즐의 예비혼합연소용 노즐은 확산연소용노즐을 둘러싸고 애뉼러상의 공기통로부를 형성하고, 이 공기통로부는 입구측에 공기를 선회시키는 스와라를 도중에 공기와 연료를 예비혼합시키는 예비혼합부를 설비한 것이고, 또 청구항 6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연료노즐의 예비연소용노즐은 애뉴러상공기통로부에 연료를 분사시키는 연료분출구를 스와라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적어도 한쪽에 설비하고, 또 청구항 7에 기재한 바와같이 예비혼합연소용노즐의 연료분출구는 애뉼러상의 공기통로부에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기부에 각각 설비된 것이다.
이 가스터빈연소기는 제1단연료공급수단에 의해서 연소기라이너내의 제1단연소역에 연료를 분사시키는 한편, 제2단연료공급수단에 의해서 연료희박상태로 제2단연소역에 연료를 분사시켜서 연소기라이너내에서 연소시키는 한편, 제1단연료공급수단은 제1단연료노즐을 확산연소용노즐과 예비혼합연소용노즐을 조합해서 구성하고, 확산연소용노즐로 연소효율과 연소안정성이 우수한 확산연소를 실현시키는 동시에 예비혼합연소용노즐로 NOX가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연료희박상태로 예비혼합하는 예비혼합부를 상류측보다 하류측의 직경을 작게하여 예비혼합가스의 안정연소와 역화방지를 도모할 수 있고, NOX의 발생이 많은 확산 연소의 비율이 극히 적은 상태로 안정연소를 확보하여 대폭적인 저 NOX화가 도모되어 확산연소비율을 감소시켜도 안정된 연소를 확보할 수 있다.
가스터빈연소기에 구비되는 제1연료노즐의 확산연소용노즐은 중심부에 연료통로부를 이 통로부둘레에 동심상으로 전연료유량의 수%의 확산연료에 적합한 공기유량을 흘리는 공기통로부를 각각 형성하고, 공기 통로부의 연소기라이너 입구측에 공기가 선회하도록 스와라와 연료분사구를 설비한 구조로 함으로써 연료효율과 연소안정성이 우수한 확산연소를 실현시킬 수 있다.
이때 확산연소용노즐은 연료통로부를 제1연료통로부와 제2연료통로부를 각각 독립시켜서 설비했으므로 제1연료통로부를 가스터빈 저부하시에 비교적 다량의 확산연소용 연료를 흘리는 연료통로에 제2연료통로부를 가스터빈 고부하의 저NOX운전시에 전연료유량에 대해서 수%의 확산연소용 연료를 흘리는 연료유로로써 형성할 수 있고, 각 연료통로부의 하류측에 각 연료유량에 적합한 개구면적의 연료분사구를 설비함으로써 더 안정된 연소를 얻을수 있고 초저 NOX화가 도모된다.
또, 확산연소용 노즐의 공기통로부는 전 연료유량의 수%의 확산연료에 대응한 통로면적으로되므로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이 확산 연소용노즐의 소형화에 의한 안정연소를 확실하게 얻을수 있다.
또, 제1단연료공급수단의 예비혼합연소용노즐에 있어서 연료분출부를 애뉼러상의 공기통로부에 대해서 방사방향으로 돌기상으로 형성하고, 이 돌기부의 축방향위치에 복수의 연료분출구를 설비하여 연료를 분산시켜 분사함으로써 더한층 균일한 혼합을 얻을수 있어서 저NOX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스터빈연소기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가스터빈연소기(15)를 채용한 가스터빈플랜트(16)의 개략도이다. 이 가스터빈플랜트(16)는 가스터빈(17)과 동축에 콤프레서(18)를 설비한 예를 대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가스터빈플랜트(16)는 콤프레서(18)의 구동으로 토출된 압축공기를 가스터빈연소기(15)에 안내하고, 이 가스터빈연소기(15)의 연소기라이너(20)내에 형성되는 연소실(21)에서 연료와 함께 연소시키고, 그 연소가스를 트랜지션피스(22)를 거쳐서 가스터빈(17)에 안내하고, 이 가스터빈(17)을 구동시켜서 작업을 하고, 가스터빈(17)에 연결된 발전기(도시 않음)를 회전구동시키도록 되어있다. 가스터번연소기(15)는 콤프레서(18)와 가스터빈의 중간에 있어서 둘레방향으로 복수대 설치된다. 가스터빈연소기(15)는 제2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연소기외통(23)내에 연소기라이너(20)가 내통으로써 수납된다. 연소기라이너(20)내에는 연소실(21)이 형성되고, 외통(23)과 내통(20)과의 사이에 환상(슬립상)의 압축공기의 유로(24)가 형성된다. 이 공기유로(24)를 통해서 콤프레서(15)로 부터의 토출공기가 안내된다. 연소기라이너(20)내에 형성되는 연소실(21)은 연소기라이너(20)의 두부측에 형성되는 제1단연소역(26)과 이 연소역하류측에 형성된 제2단연소역(27)으로 구획된다.
또, 연소기라이너(20)의 두부측에는 제1단연소역(26)에 제1단연료로서의 파이롯연료를 분사시키는 제1단연료공급수단(30)이 설비되고, 이 제1단연료공급수단(30)은 제1단연소역(26)에 파이롯연료(A)를 공급하는 제1단연료노즐로서의 파이롯연료노즐(31)이 설치되고, 이 파이롯연료노즐(31)의 외측에 제2단연소역(27)에 제2단연료로서의 메인연료를 공급하는 제2단연료공급수단(32)이 설비된다. 제2단연료공급수단(32)은 파이롯연료노즐(31) 외주측에 설치된 복수개의 제2단연료노즐로서의 메인연료노즐(33)을 형성한다. 파이롯연료노즐(31)과 메인연료노즐(33)은 연소기외통(23)의 개구부를 덮는 헤드플레이트(34)에 설비된다. 파이롯연료노즐(31)은 중앙측의 파이롯확산연소용노즐(35)과 주변측의 파이롯예비혼합연소용노즐(36)로 구성되고, 연소기라이너(20)내의 제1연소역(26)에 연료를 분사시키도록 되어있다.
파이롯확산연소용노즐(35)의 연료통로부(37)는 동심상의 2중구조로 형성되고, 중심측에 파이롯제1확산연료(a1)을 안내하는 파이롯확산연료 제1통로부(38)가 이 제1통로부(38)를 둘러싸고 파이롯제2확산연료(a2)를 흘리는 파이롯확산연료제2통로부(39)가 각각 설비된다.
파이롯확산연소용노즐(35)에는 또, 파이롯확산연료제2통로부(39)를 둘러싸고 애뉼러상(슬립)상의 파이롯확산연소용공기통로부(40)가 구성된다. 이 공기통로부(40)는 전연료유량에 대해서 수% 정도 예를들면 2% ∼ 4%의 확산연료에 적합한 공기유량을 흘리는 유로구조로 형성된다. 이 확산연료용 공기통로부(40)의 선단(연소기라이너(20) 입구측)에는 제3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파이롯확산연소용스와라(41)와 서로 독립한 파이롯확산연료 제1 및 제2분사구(43,44)가 설비된다. 파이롯확산연료 제1분사구(43)와 제2분사구(44)는 파이롯확산연소용스와라(41)의 선회날개(도시 않음)사이에 개구하는 한편, 선회날개는 파이롯확산연소용공기통로부(40)의 출구측에 둘레방향으로 연하여 복수매, 예를들면 12매 설비된다.
한편, 파이롯연료노즐(31)의 파이롯예비혼합연소용노즐(36)은 파이롯확산연소용노즐(35)를 둘러싼 구조로 되어 있다. 파이롯예비혼합연소용노즐(36)은 파이롯확산연소용공기통로부(40)의 외측에 동심원상으로 형성된 파이롯예비혼합연소용 공기통로부(45)를 갖고, 이 공기통로부(45)는 애뉼러상(슬립상)통로로 되어 있다. 파이롯예비혼합연소용공기통로부(45)의 입구부에는 파이롯예비연소용스와라(46)가 애뉼러상의 공기통로부(45)의 스와라(46)의 하류측(또는 상류측)에는 파이롯예비혼합연소용노즐(47)이 방사상으로 돌출설비된다.
이 파이롯예비혼합연료노즐(47)에는 파이롯예비혼합연료(b)가 파이롯예비혼합헤더(48)를 거쳐서 예비혼합연료통로(49)에서 공급된다.
파이롯예비혼합연소용노즐(36)의 공기통로(45)는 도중(스왈라(46)의 하류측)이 공기와 파이롯예비혼합부로 연료를 혼합하는 예비혼합부로써 형성되고, 이 예비혼합부는 상류측에서 하류측의 연소기라이너 입구측의 직경이 좁아져 소직경화되어 예비혼합류는 축류로 되도록 구성된다.
또, 파이롯연소용노즐(31)의 파이롯확산연소용노즐(35)의 노즐선단부에는 제3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냉각용에어헤더(50)가 형성되고, 이 에어헤더(50)에서 연소기라이너(20)내에 복수의 임핀지구멍(소공)(51)이 뚫려있고, 파이롯확산연소용노즐(35)의 라이너측단면을 냉각시키고 있다. 에어헤더(50)에는 파이롯확산연소용노즐(35)의 공기통로부(40)가 파이롯확산연료 제1 및 제2분사구(43,44)를 우회하여 뻗는 에어공급구멍(도시 않음)을 거쳐서 연통되어 있다.
파일롯연료노즐(31)에 형성되는 공기통로부(40,45)에는 연통구를 거쳐서 공기유로(24)에 연통되어 있고, 콤프레서에서 토출된 압축 공기가 연통구를 거쳐서 각 공기통로부(40,45)로 달아나도록 되어 있다.
다른 한편 연소라이너(20)의 외주에는 예비혼합수단을 구성하는 복수의 예비혼합닥트 또는 예비혼합관(55)이 메인연료노즐(33)에 대향해서 설치되고, 제2단연료공급수단(32)이 구성된다. 예비혼합닥트(55)의 입구에는 제2단연료노즐로서의 메인연료노즐(33)이 있고, 메인연료노즐(33)에서 분사되는 메인연료(C)와 공기유로(24)를 통해서 보내진 압축공기(d)를 예비혼합닥트(55)내에서 균일하게 예비혼합시키고, 닥트출구에서 제2단연소역(27)내에 분사시키도록 되어 있다. 닥트출구에는 예비혼합닥트(55)의 긴쪽 방향에 연하여 복수의 연료분사구(56)가 개구하고 있다.
다음에 가스터빈연소기(15)의 작용을 설명하겠다.
가스터빈연소기(15)의 운전은 가스터빈(17)의 운전에 따라서 제어되고, 가스터빈(17)이 착화된 후에 가스터빈이 100%, 회전수 0% 부하까지는 제1단 연료노즐로서의 파일롯연료노즐(31)의 파일롯확산연료 제1통로부(38)에만 파일롯 제1확산연료(a1)이 공급된다.
파일롯확산연료제1통로부(a1)은 비교적 큰 개구면적을 갖는 파일롯확산연료 제1분사구(43)에서 비교적 다량의 파일롯제1확산연료(a1)이 분출된다. 분사된 파일롯제1확산연료(a1)은 확산연료용 스왈라(41)에서 선회하여 분출되는 연소공기와 반응하여 확산연소를 행하여 제1단연소역(26)내에서 안정연소된다.
가스터빈부하가 0% 부하에서 상승함에 수반되어 제4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토탈(전) 연료유량이 증가되므로, 파일롯제1확산연료(a1)에 더해서 파일롯제2확산연료(a2) 및 파일롯예비혼합연료(b)를 투입한다. 파일롯 제2확산연료(a2)는 터빈고부하운전역에 있어서 초저NOX연소운전을 행할때의 안정된 화종으로 되므로, 가스터빈(17)의 전운전부역에 걸쳐서 실선(F)로 나타낸 전연료유량의 수%가 항상 투입된다.
한편, 파이롯예비혼합연료(b)는 연료와 공기의 비인 연공비가 예비혼합연료의 연료희박측에서 가연범위로 보지되도록 연료유량이 결정된다. 토탈연료유량(F)에서 파일롯 제2확산연료 (a2)와 파일롯예비혼합유량(b)을 차감하고 나머지가 파일롯 제1확산연료 (a1)로서 투입된다.
파일롯예비혼합연소용노즐(47) 애뉼러상공기 통기통로부(45)에 대해서 방사상(반경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예비혼합연료노즐(47)의 축방향으로 복수의 연료분사구가 설비되어 있으므로, 파일롯예비혼합연소용노즐(36)의 예비혼합부내에서 극히 균일한 연료희박예비혼합가스(연료)를 얻을수 있다.
따라서 연소기라이너(20)의 제1단연소역(26) 내에서 연소하여도 NOx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파일롯예비혼합연소용노즐(36)의 예비혼합부의 하류측(연소기라이너 입구측)의 지름을 상류측의 지름보다 작게 함으로써 예비혼합가스의 유속이 증가되어 역화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파일롯예비혼합연소용스왈라(46)의 선회각을 예를들면 30°와 같이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연소기라이너(20)내에 분사된 파일롯예비혼합연료(b)는 부호 e로 나타낸 것과 같이 안정화염을 형성하고 있는 파일롯확산연료(a1,a2)의 흐름 f를 에워싸는 것처럼 흘릴수 있고, 연소효율이 높고, 또 안정된 예비혼합연소를 얻을수 있다.
또 가스터빈부하가 상승하면 연소기라이너(20)의 연소실(21)내에서의 가스온도가 제2단연료인 예비연소용메인연료(C)를 다량으로 투입하여도 CO등의 미연소가스는 거의 발생하지 않는 온도에 도달한다.
이 가스터빈부하의 시점에서 제4도에 파선(g)으로 나타낸 것과같이 메인연료(C)를 투입하고 반대로 파일롯제1확산연료(a1)을 줄여 공급을 정지시킨다. 이때 파일롯제2확산연료(a2)는 전연료유량의 수%, 바람직하기로는 2 ∼ 4% 정도, 파일롯예비혼합연료(b)는 연공비가 예비혼합가스연료의 가연범위내에서 가장 연료희박으로 되도록 투입된다.
메인연료(C)는 예비혼합닥트(55)내의 예비혼합메인연료가스(C)의 연공비가 상기 파일롯예비 혼합연료가스(b)와 동레벨이 되도록 투입한다. 메인연료(C)는 전연료유량(F)의 70% ∼ 80% 정도 투입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이 가스터빈연소기(15)는 파일롯예비혼합노즐(31)의 파일롯확산연소용노즐(35)의 공기통로부(40)에 파일롯확산연소용스왈라(41)를 설정하고, 이 스왈라(41)는 전연료유량(F)의 수%에 적합한 공기량이 되도록 통로면적이 설계할수 있기 때문에 미소량의 파일롯제2확산연료(a2)에서의 운전시에도 극히 안정된 순환류(f)를 제1단연소역(26)에 형성할 수 있고, 블로우나 꺼짐 등이 생기지 않아서 안정연소가 확보된다.
또, 파일롯제2확산연료분사구(44)가 파일롯제1확산연료분사구(43)에서 독립해서 설비되어 있으므로, 연료분사구전후의 연료차압을 필요한 충분한 값으로 설계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연소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한편 파일롯예비혼합연소용노즐(36)은 전술과 같이 파이롯예비혼합연료순환류(e)가 파일롯확산연료순환환류(f)를 에워싸도록 형성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희박한 예비혼합파일롯연료가스(b)로서는 충분한 연소를 얻을수 있고, 또한 NOX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또, 메인연료(c)의 예비혼합가스다트(55)에서 라이너축 중심 방향으로 또한 파일롯제2확산연료(a2)및 파일롯예비혼합연료(b)가 연소하는 안정된 착화원인 제1단연소역(26)의 직후의 제2단연소역(27)에 분사되므로, 고효율로 안정연소된다. 이 때 메인예비혼합연료(c)의 연소에서는 거의 NOX는 발생하지 않는다. 결국 NOX는 전연료유량(F)의 수퍼센트의 확산연소에서 발생할 뿐이므로 가스터빈연소기(15) 전체로서는 NOX의 발생이 극히 적은 초저 NOX운전이 가능하다.
이 메인연료(c)투입직후의 가스터빈 부하에서 100%의 터빈부하까지의 사이는 가스터빈연소기(15)출구의 연소가스온도가 거의 일정하게 보지된다. 즉 토탈연료(F)와 토탈공기량의 비가 항상 일정된 운전으로 된다. 따라서 제4도에 나타낸 것과같이 토탈연료에 대한 파일롯제2확산연료(a2) 파일롯예비혼합연료(b) 및 메인연료유량(C)의 비율을 거의 일정하게 보지한 안정운전을 할 수 있고, 넓은 가스터빈부하역에 걸쳐서 초저 NOx화를 달성할 수 있다.
제5도는 가스터빈연소기(15)의 운전으로 발생하는 NOX특성을 저NOX화 된 종래의 가스터빈연소기의 NOX특성과 비교한 실험데이타이고, 이 데이타에서 가스터빈연소기(15)는 종래의 저NOX가스터빈연소기에 비해서 NOX치가 1/2 ∼ 1/3로 감소되는 것을 알수 있다.
이 가스터빈연소기(15)에 있어서, NOX치가 피크치 h를 취할때, 예를들면 20% ∼ 20수%의 터빈부하일때, 예비혼합메인연료(C)의 투입이 개시되고, 예를들면 30% 정도의 가스터빈부하시에 NOX치가 최소로 된다. 이때, 파일롯제1확산연료(a1)의 공급이 정지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가스터빈연소기에 있어서는 연소성능이 가장 우수한 기본적인 구성예를 일실시예로 나타냈으나, 여러가지의 변형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들면 파일롯확산연료 제1 및 제2통로부의 위치를 바꾸거나 파일롯예비혼합연료노즐을 파일롯예비혼합연소용 스왈라의 상류측에 배치하거나 파일롯예비혼합연료의 노즐을 돌기형상으로 형성할 필요가 없고, 파일롯예비혼합연소용공기통로부의 내벽면 또는 외벽면 기타에서 파일롯예비혼합연료를 상기 공기통로부에 분사시키도록 하여도 좋고, 또 파일롯확산연료통로부가 제1연료통로와 제2연료통로로 분할하지 않고, 일체로 하나의 연결통로구조로 하여도 좋다. 이상 기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가스터빈연소기는 제1연료공급수단에 의해서 연소기라이너내의 제1단연소역에 연료를 분사시키는 한편, 제2단연료공급수단에 의해서 연료희박상태로 제2단연소역에 연료를 분사시켜서 연소기라이너내에서 연소시키는 한편 제1단연료공급수단은 제1단연료노즐을 확산연소용노즐과 예비혼합용노즐을 조합하여 구성하고, 확산연소용노즐로 연소효율과 연소안정성이 우수한 확산연소를 실현시키는 동시에 예비혼합연소용노즐로 NOX가 거의 발생하지 않도록 연료희박상태로 예비혼합하는 예비혼합부를 상류측보다 하류측의 지름을 작게하여 예비혼합가스의 안정연소와 역화방지를 도모할 수 있고, NOX의 발생의 많은 확산연소의 비율이 극히 적은 상태로 안정연소를 확보하여 대폭적인 저 NOX화가 도모되어 안정연소를 확보하면서 확산연소비율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가스터빈연소기에 구비되는 제1단연료노즐의 확산연소용노즐은 중심부에 연소통로부를 이 통로부 둘레에 동심상으로 전연료유량의 수%의 확산연료에 적합한 공기유량을 흘리는 공기통로부를 각각 형성하고, 공기통로부의 연소기라이너 입구측의 공기가 선회되도록 스왈라와 연료분사구를 설비한 구조로 함으로써 연료효율과 연료안정성이 우수한 확산연소를 실현시킬 수 있다.
그때 확산연소용노즐은 연료통로부를 제1연료통로부와 제2연료통로부에 각각 독립시켜서 설비했으므로, 제1연료통로부를 가스터빈 저부하시에 비교적 다량의 확산연료용 연료를 흘리는 연료통로에 제2연료통로부를 가스터빈 고부하의 저NOX운전시에 저연료유량에 대해서 수%의 확산연소용 연료를 흘리는 연료유로로서 형성할 수 있고, 각 연료통로부의 하류측에
각 연료유량에 적합한 개구면적의 연료분사구를 설비함으로써 더 한층 안정된 연소를 얻을수 있어서 초저 NOX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확산연소용노즐의 공기통로부는 전연료유량의 수%의 확산연료에 대응한 통로면적으로 되므로 소형화가 도모되어 이 확산연소용노즐의 소형화에 의한 안정연소를 확실하게 얻을수 있다.
또 제1단 연료공급수단의 예비혼합연소용노즐에 있어서 연료분출부를 애뉼러상의 공기통로부에 대해서 방사방향으로 돌기상으로 형성하고, 이 돌기부의 축방향위치에 복수의 연료분출구를 설비하여 연료를 분산하여 분사함으로써 보다 더 균일한 혼합을 얻을 수 있어서 저 NOX화를 도모할 수 있다.

Claims (7)

  1. 연소기라이너내에 형성되는 연소실을 연소기라이너 두부측의 제1단연소역과 이 연소역 하류측의 제2단연소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제1단연소역에 제1단연료를 분사하는 제1단연료 공급수단과 제2단연소역에 연료희박상태로 예비혼합된 제2단연료를 분사시키는 제2단연료 공급수단을 각각 구비한 가스터빈연소기에 있어서 상기 제1단연료 공급수단은 제1단연료를 공급하는 제1단연료노즐을 확산연소용노즐과 예비혼합연소용노즐을 조합해서 구성하고, 상기 예비혼합연소용노즐을 제1단연료와 공기를 예비혼합시키는 예비혼합부를 도중에 구비하고, 이 예비혼합부는 예비혼합류가 축류로 되도록 상류측 보다 하류측의 지름을 작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터빈연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연료노즐은 중앙에 확산연소용노즐이 이 확산연소용노즐을 둘러싸고, 예비혼합연소용 노즐이 각각 설비된 파일롯연료노즐인 가스터빈연소기.
  3. 제1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연료노즐의 확산연소용노즐은 중심부에 축방향으로 뻗는 연료통로부가 이 연료통로부의 외주에 공기통로부가 각각 형성되고, 공기통로부의 제1단연소역측에 공기에 선회를 부여하는 스왈라와 연료통로부로 부터의 분사출구를 설비한 가스터빈연소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연료노즐의 확산연소용노즐에 형성되는 연료통로부는 대유량의 제1단연료를 공급가능한 제1연료통로부와 전연료유량에 대해서 수% 정도의 소유량의 제1단연료를 공급가능한 제2연료통로부가 각각 독립적으로 설비된 가스터빈연소기.
  5. 제1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연료노즐의 예비혼합연소용노즐은 확산연소용노즐을 둘러싸고 애뉼러상의 공기통로부를 형성하고, 이 공기통로부는 입구측에 공기를 선회시키는 스왈라를 도중에 공기와 연료를 예비혼합시키는 예비혼합부를 설비한 가스터빈연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연료노즐의 예비혼합연소용 노즐은 애뉼러상공기 통로부에 연료를 분출시키는 연료분출구를 스왈라의 상류측 및 하류측의 적어도 한쪽에 설비한 가스터빈연소기.
  7. 제6항에 있어서, 예비혼합연소용노즐용 노즐의 연료분출구는 애뉼러상의 공기통로부에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기부를 각각 설비한 가스터빈연소기.
KR1019940015020A 1993-06-28 1994-06-28 가스터빈연소기 KR0149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57472 1993-06-28
JP15747293A JP3335713B2 (ja) 1993-06-28 1993-06-28 ガスタービン燃焼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1074A KR950001074A (ko) 1995-01-03
KR0149059B1 true KR0149059B1 (ko) 1998-10-01

Family

ID=15650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5020A KR0149059B1 (ko) 1993-06-28 1994-06-28 가스터빈연소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450725A (ko)
JP (1) JP3335713B2 (ko)
KR (1) KR0149059B1 (ko)
FR (1) FR2708338B1 (ko)
GB (1) GB22800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0720B2 (ja) * 1994-02-24 1999-09-20 株式会社東芝 ガスタービン燃焼装置およびその燃焼制御方法
GB2297151B (en) * 1995-01-13 1998-04-22 Europ Gas Turbines Ltd Fuel injector arrangement for gas-or liquid-fuelled turbine
JP2989515B2 (ja) * 1995-04-11 1999-12-1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の予混合式燃焼装置
DE69625744T2 (de) * 1995-06-05 2003-10-16 Rolls-Royce Corp., Indianapolis Magervormischbrenner mit niedrigem NOx-Ausstoss für industrielle Gasturbinen
JP2858104B2 (ja) * 1996-02-05 1999-02-1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3619626B2 (ja) 1996-11-29 2005-02-09 株式会社東芝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運転方法
DE59801583D1 (de) * 1997-07-17 2001-10-31 Siemens Ag Brenneranordnung für eine feuerungsanlage, insbesondere eine gasturbinenbrennkammer
US6176087B1 (en) * 1997-12-15 2001-01-23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Bluff body premixing fuel injector and method for premixing fuel and air
JP4205231B2 (ja) 1998-02-10 2009-01-07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バーナ
GB9818160D0 (en) 1998-08-21 1998-10-14 Rolls Royce Plc A combustion chamber
WO2000012940A1 (de) * 1998-08-31 2000-03-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 einer gasturbine und gasturbine
US6286300B1 (en) * 2000-01-27 2001-09-11 Honeywell International Inc. Combustor with fuel preparation chambers
US6363724B1 (en) 2000-08-31 2002-04-02 General Electric Company Gas only nozzle fuel tip
DE10108560A1 (de) * 2001-02-22 2002-09-05 Alstom Switzerland Ltd Verfahren zum Betrieb einer Ringbrennkammer sowie eine diesbezügliche Ringbrennkammer
US6539721B2 (en) 2001-07-10 2003-04-01 Pratt & Whitney Canada Corp. Gas-liquid premixer
JP2003035417A (ja) * 2001-07-24 2003-02-07 Mitsubishi Heavy Ind Ltd 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パイロットノズル
US6666029B2 (en) 2001-12-06 2003-12-23 Siemens Westinghouse Power Corporation Gas turbine pilot burner and method
US6691515B2 (en) * 2002-03-12 2004-02-17 Rolls-Royce Corporation Dry low combustion system with means for eliminating combustion noise
US6848260B2 (en) * 2002-09-23 2005-02-01 Siemens Westinghouse Power Corporation Premixed pilot burner for a combustion turbine engine
US7080515B2 (en) 2002-12-23 2006-07-25 Siemens Westinghouse Power Corporation Gas turbine can annular combustor
US7007486B2 (en) * 2003-03-26 2006-03-07 The Boeing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selecting a flow mixture
US7117676B2 (en) * 2003-03-26 2006-10-10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Apparatus for mixing fluids
DE60320863D1 (de) * 2003-07-25 2008-06-19 Ansaldo Energia Spa Gasturbinenbrenner
US7107773B2 (en) * 2003-09-04 2006-09-19 Siemens Power Generation, Inc. Turbine engine sequenced combustion
EP1524473A1 (de) * 2003-10-13 2005-04-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brennen von Brennstoff
AU2003289368A1 (en) * 2003-12-16 2005-07-05 Hitachi, Ltd. Combustor for gas turbine
US7127899B2 (en) * 2004-02-26 2006-10-31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Non-swirl dry low NOx (DLN) combustor
CN100590359C (zh) * 2004-03-03 2010-02-17 三菱重工业株式会社 燃烧器
JP4670035B2 (ja) * 2004-06-25 2011-04-13 独立行政法人 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4626251B2 (ja) * 2004-10-06 2011-02-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燃焼器及び燃焼器の燃焼方法
US20060191268A1 (en) * 2005-02-25 2006-08-31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gas turbine fuel nozzles
ITTO20050208A1 (it) * 2005-03-30 2006-09-30 Ansaldo Energia Spa Gruppo bruciatore a gas per una turbina a gas
JP4728176B2 (ja) * 2005-06-24 2011-07-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バーナ、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バーナの冷却方法
GB2429516B (en) * 2005-08-27 2010-12-29 Siemens Ind Turbomachinery Ltd An apparatus for modifying the content of a gaseous fuel
US20070089427A1 (en) * 2005-10-24 2007-04-26 Thomas Scarinci Two-branch mixing passage and method to control combustor pulsations
EP1950494A1 (de) * 2007-01-29 2008-07-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Brennkammer für eine Gasturbine
EP2187128A4 (en) * 2007-08-10 2015-07-29 Kawasaki Heavy Ind Ltd Combustor
US8393155B2 (en) * 2007-11-28 2013-03-12 Solar Turbines Incorporated Gas turbine fuel injector with insulating air shroud
EP2107313A1 (en) * 2008-04-01 2009-10-07 Siemens Aktiengesellschaft Fuel staging in a burner
BRPI0922853A2 (pt) 2008-12-10 2017-06-06 Ihi Corp combustor
EP2372240A4 (en) * 2008-12-10 2015-01-21 Ihi Corp COMBUSTION CHAMBER
US20100192582A1 (en) * 2009-02-04 2010-08-05 Robert Bland Combustor nozzle
US8789372B2 (en) * 2009-07-08 2014-07-29 General Electric Company Injector with integrated resonator
RU2534189C2 (ru) * 2010-02-16 2014-11-27 Дженерал Электрик Компани Камера сгорания для газовой турбины(варианты) и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газовой турбины
US8991187B2 (en) 2010-10-11 2015-03-31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ustor with a lean pre-nozzle fuel injection system
US8528338B2 (en) 2010-12-06 2013-09-10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operating an air-staged diffusion nozzle
US8522556B2 (en) 2010-12-06 2013-09-03 General Electric Company Air-staged diffusion nozzle
JP5649949B2 (ja) * 2010-12-28 2015-01-07 川崎重工業株式会社 燃焼装置
EP2698582B1 (en) * 2011-03-16 2017-11-22 Mitsubishi Hitachi Power Systems, Ltd. Gas turbine combustor and gas turbine
RU2550370C2 (ru) * 2011-05-11 2015-05-10 Альстом Текнолоджи Лтд Центробежная форсунка с выступающими частями
US9371989B2 (en) * 2011-05-18 2016-06-21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ustor nozzle and method for supplying fuel to a combustor
US8601820B2 (en) 2011-06-06 2013-12-10 General Electric Company Integrated late lean injection on a combustion liner and late lean injection sleeve assembly
WO2013002664A1 (en) * 2011-06-28 2013-01-03 General Electric Company Rational late lean injection
US9429325B2 (en) 2011-06-30 2016-08-30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ustor and method of supplying fuel to the combustor
CN103649642B (zh) 2011-06-30 2016-05-04 通用电气公司 燃烧器及向燃烧器供应燃料的方法
US8407892B2 (en) 2011-08-05 2013-04-02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relating to integrating late lean injection into combustion turbine engines
US9010120B2 (en) * 2011-08-05 2015-04-21 General Electric Company Assemblies and apparatus related to integrating late lean injection into combustion turbine engines
JP6050821B2 (ja) 2011-09-22 2016-12-21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燃焼器及び燃焼器に燃料を供給する方法
US20140238034A1 (en) * 2011-11-17 2014-08-28 General Electric Company Turbomachine combustor assembly and method of operating a turbomachine
US9140455B2 (en) 2012-01-04 2015-09-22 General Electric Company Flowsleeve of a turbomachine component
US9170024B2 (en) 2012-01-06 2015-10-27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a working fluid to a combustor
US9188337B2 (en) 2012-01-13 2015-11-17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a working fluid to a combustor via a non-uniform distribution manifold
US9097424B2 (en) 2012-03-12 2015-08-04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for supplying a fuel and working fluid mixture to a combustor
US9151500B2 (en) 2012-03-15 2015-10-06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for supplying a fuel and a working fluid through a liner to a combustion chamber
US9284888B2 (en) 2012-04-25 2016-03-15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for supplying fuel to late-lean fuel injectors of a combustor
US9052115B2 (en) 2012-04-25 2015-06-09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supplying a working fluid to a combustor
RU2493493C1 (ru) * 2012-06-25 2013-09-20 Николай Борисович Болотин Камера сгорания гтд
RU2493492C1 (ru) * 2012-06-25 2013-09-20 Николай Борисович Болотин Камера сгорания гтд и форсуночный модуль
RU2493495C1 (ru) * 2012-06-25 2013-09-20 Николай Борисович Болотин Камера сгорания гтд
RU2493494C1 (ru) * 2012-06-25 2013-09-20 Николай Борисович Болотин Камера сгорания гтд
RU2511977C2 (ru) * 2012-06-27 2014-04-10 Николай Борисович Болотин Форсуночный блок камеры сгорания гтд
US8479518B1 (en) 2012-07-11 2013-07-09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for supplying a working fluid to a combustor
DE102012216080A1 (de) * 2012-08-17 2014-02-20 Dürr Systems GmbH Brenner
US9212823B2 (en) * 2012-09-06 2015-12-15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combustion driven pressure fluctuations with a premix combustor having multiple premix times
US9310078B2 (en) 2012-10-31 2016-04-12 General Electric Company Fuel injection assemblies in combustion turbine engines
US9404659B2 (en) * 2012-12-17 2016-08-0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late lean injection premixing
US9422867B2 (en) * 2013-02-06 2016-08-23 General Electric Company Variable volume combustor with center hub fuel staging
US10436445B2 (en) 2013-03-18 2019-10-08 General Electric Company Assembly for controlling clearance between a liner and stationary nozzle within a gas turbine
US9316396B2 (en) 2013-03-18 2016-04-19 General Electric Company Hot gas path duct for a combustor of a gas turbine
US9360217B2 (en) 2013-03-18 2016-06-07 General Electric Company Flow sleeve for a combustion module of a gas turbine
US9400114B2 (en) 2013-03-18 2016-07-26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ustor support assembly for mounting a combustion module of a gas turbine
US9631812B2 (en) 2013-03-18 2017-04-25 General Electric Company Support frame and method for assembly of a combustion module of a gas turbine
US9383104B2 (en) 2013-03-18 2016-07-05 General Electric Company Continuous combustion liner for a combustor of a gas turbine
US9316155B2 (en) * 2013-03-18 2016-04-19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for providing fuel to a combustor
US9322556B2 (en) 2013-03-18 2016-04-26 General Electric Company Flow sleeve assembly for a combustion module of a gas turbine combustor
EP2789915A1 (en) * 2013-04-10 2014-10-15 Alstom Technology Ltd Method for operating a combustion chamber and combustion chamber
US9416975B2 (en) 2013-09-04 2016-08-16 General Electric Company Dual fuel combustor for a gas turbine engine including a toroidal injection manifold with inner and outer sleeves
US20150107255A1 (en) * 2013-10-18 2015-04-23 General Electric Company Turbomachine combustor having an externally fueled late lean injection (lli) system
US20150159877A1 (en) * 2013-12-06 2015-06-11 General Electric Company Late lean injection manifold mixing system
US9803555B2 (en) * 2014-04-23 2017-10-31 General Electric Company Fuel delivery system with moveably attached fuel tube
CN104110699B (zh) * 2014-07-09 2017-09-15 北京华清燃气轮机与煤气化联合循环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燃气轮机燃烧室的预混合喷嘴
US20160053681A1 (en) * 2014-08-20 2016-02-25 General Electric Company Liquid fuel combustor having an oxygen-depleted gas (odg) injection system for a gas turbomachine
RU2612687C1 (ru) * 2015-10-01 2017-03-13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Сатурн"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многорежимным многотопливным двигателем
US10677466B2 (en) * 2016-10-13 2020-06-09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ustor inlet flow conditioner
JP6879631B2 (ja) 2017-03-21 2021-06-02 東芝エネルギ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ガスタービン燃焼器
CN107975801B (zh) * 2017-05-25 2024-01-1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燃烧器用引射管及应用有该引射管的引射器
CN109424976B (zh) * 2017-09-05 2021-07-02 深圳意动航空科技有限公司 扁形航改燃机燃气喷嘴
RU2682218C1 (ru) * 2018-03-01 2019-03-15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ОДК - Уфимское моторостроительное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ПАО "ОДК-УМПО") Способ работы газотурбинной установки
DE102018125848A1 (de) * 2018-10-18 2020-04-23 Man Energy Solutions Se Brennkammer einer Gasturbine, Gasturb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US11371709B2 (en) 2020-06-30 2022-06-28 General Electric Company Combustor air flow path
US12221926B2 (en) * 2022-06-08 2025-02-11 General Electric Company Multi-temperature fuel injectors for a gas turbine engin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8288A (en) * 1978-10-13 1985-02-12 General Electric Company Fuel injection staged sectoral combustor for burning low-BTU fuel gas
US5193346A (en) * 1986-11-25 1993-03-16 General Electric Company Premixed secondary fuel nozzle with integral swirler
US4982570A (en) * 1986-11-25 1991-01-08 General Electric Company Premixed pilot nozzle for dry low Nox combustor
JP2644745B2 (ja) * 1987-03-06 1997-08-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タービン用燃焼器
JPH0684817B2 (ja) * 1988-08-08 1994-10-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ガスタービン燃焼器及びその運転方法
JPH0783289B2 (ja) * 1990-06-11 1995-09-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携帯用無線機
JPH05203148A (ja) * 1992-01-13 1993-08-10 Hitachi Ltd ガスタービン燃焼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2708338A1 (fr) 1995-02-03
JP3335713B2 (ja) 2002-10-21
KR950001074A (ko) 1995-01-03
GB2280022B (en) 1996-11-06
FR2708338B1 (fr) 1998-07-17
GB2280022A (en) 1995-01-18
JPH0719482A (ja) 1995-01-20
US5450725A (en) 1995-09-19
GB9412985D0 (en) 1994-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9059B1 (ko) 가스터빈연소기
US5836164A (en) Gas turbine combustor
US6532726B2 (en) Gas-turbine engine combustion system
US6935116B2 (en) Flamesheet combustor
US8763359B2 (en) Apparatus for combusting fuel within a gas turbine engine
EP1193449B1 (en) Multiple annular swirler
US6415594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gas turbine engine emissions
US5069029A (en) Gas turbine combustor and combustion method therefor
JP4632392B2 (ja) 噴霧パイロットを有する多重環状燃焼チャンバスワーラ
CA2451318C (en) Method and apparatus to decrease gas turbine engine combustor emissions
EP1167881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creasing combustor emissions with swirl stabilized mixer
JP4162430B2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の運転方法、燃焼器及びミキサ組立体
US6374615B1 (en) Low cost, low emissions natural gas combustor
CA2393863C (en) Pilot burner, premixing combustor, and gas turbine
JP2003262336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2000304261A (ja) タービンエンジンの燃焼カン
EP1426690B1 (en) Apparatus to decrease combustor emissions
US7059135B2 (en) Method to decrease combustor emissions
JP2005106305A (ja) 燃料燃焼用ノズルおよびガスタービン燃焼器の燃料供給方法
US20040011021A1 (en) Gas-turbine engine combustor
JPH0814565A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US20040011042A1 (en) Gas-turbine engine combustor
US6718769B2 (en) Gas-turbine engine combustor having venturi mixers for premixed and diffusive combustion
JP3499004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JPH09152105A (ja) ガスタービン用低NOxバ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6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6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3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6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6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3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2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2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52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1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02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41228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