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47694B1 - 드럼브레이크 - Google Patents

드럼브레이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694B1
KR0147694B1 KR1019960000055A KR19960000055A KR0147694B1 KR 0147694 B1 KR0147694 B1 KR 0147694B1 KR 1019960000055 A KR1019960000055 A KR 1019960000055A KR 19960000055 A KR19960000055 A KR 19960000055A KR 0147694 B1 KR0147694 B1 KR 0147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
back plate
brake
fastening
brake sho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0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9525A (ko
Inventor
이병덕
Original Assignee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원
Priority to KR1019960000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7694B1/ko
Publication of KR970059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9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6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6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 F16D51/18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 F16D51/2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ir pivots
    • F16D51/22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ir pivots mechanically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02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one or more circumferential band
    • F16D51/04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one or more circumferential band mechanically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백플레이트에 웨브를 회동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그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부품수와 작업공정을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브레이크슈(52)를 백플레이트(3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체결부재(70)를 형성하기 위해 백플레이트(30)를 웨브(52a)와 접하도록 프레스 가공하고 이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벤딩하여 삽입홈(72)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 삽입홈(72)에 웨브(52a)의 내측 단부를 결합함으로써, 작동중에 웨브(52a)의 단부가 이 삽입홈(72)에서 삽탈되어 브레이크슈(52)가 백플레이트(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체결부재(70)의 형성이 용이하고 별도의 소요부품이 필요없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부품의 감소로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드럼브레이크
제 1도는 일반적인 드럼브레이크의 내부 구성을 보인 개략도이다.
제 2도는 제 1도의 Ⅰ-Ⅰ' 단면도로서, 종래의 브레이크슈를 백플레이트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브레이크의 내부 구성을 보인 개략도이다.
제 4도는 제 3도의 Ⅲ-Ⅲ ' 단면도로서, 브레이크슈를 백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체결하는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를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드럼 52 : 브레이크슈
52a : 웨브 52b : 림
54 : 라이닝 70 : 체결부재
71 : 결속판 72 : 삽입홈
본 발명은 드럼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브레이크슈의 웨브를 백플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체결하여 브레이크슈의 작동을 지지하는 체결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브레이크는 주행중의 자동차를 감속하거나 정지 또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브레이크는 주행중의 운동에너지를 기계적인 마찰장치에 의해서 열에너지로 바꾸어 그의 마찰열을 대기중에 방출하여 제동을 하는 방식으로써, 디스크식 유압 브레이크와 드럼식 유압 브레이크 등이 있는데, 이 드럼식 유압 브레이크는 디스크 대신에 휠과 더불어 회전하는 원통형의 드럼을 그 내부에서 라이닝과 마찰시켜 제동력을 얻는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드럼브레이크는 제 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플레이트(30)에 고정 앵커핀(53)을 이용하여 각각의 일단부가 체결되어 이를 중심으로 진퇴작동하는 한쌍의 반원형 브레이크슈(52)와 이 브레이크슈(52)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브레이크드럼(51)과 마찰하여 휠(미도시)을 제동하는 라이닝(54)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 브레이크슈(52)를 복원시키는 리턴스프링(55)과 브레이크슈(52)를 작동시키는 휠실린더(40)가 마련되는데, 이 휠실린더(40)의 양단에는 각각의 브레이크슈(52)의 타단이 접촉되어 있다.
각각의 브레이크슈(52)를 외향 작동시키는 이 휠실린더(40)는 그 몸체를 이루는 하우정(41)의 내부에 양면이 개방된 실린더(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이 실린더 내부에는 유압에 의해 진퇴운동하는 한쌍의 피스톤(미도시)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브레이크슈(52)는 그 외주면에 라이닝(54)이 안착되는 림(52b)과, 이 림(52b)의 내부에 그 측면이 결합되고 그 단부는 휠실린더(40)와 앵커 핀(53)에 각각 결합되어 림(52b)과 함께 외향 작동하는 웨브(52a)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슈(52)가 백플레이트(3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체결부재(60)가 마련되어 있는데, 이 체결부재(60)는 제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웨브(52a)와 백플레이트(30)를 체결하는 체결핀(61)과 압축스프링(6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일반적인 드럼브레이크는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미도시)을 밟게 되면 마스터 실린더(미도시)에서 배력이 발생하여 이 유압이 드럼브레이크의 휠실린더(40) 내부로 전달된다. 그리고 이 유압에 의해 피스돈이 작동하게 되어 브레이크슈(52)를 외향으로 밀어줌으로써, 브레이크슈(52)의 외부에 부착된 라이닝(54)이 드럼(51)의 내주면과 마찰하여 제동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체결부재(60)는 드럼브레이크의 작동중에 웨브(52a)를 백플레이트(30)에 회동가능하게 체결하여 이의 이탈을 방지한다.
이러한 체결부재(60)는 제 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우선 이의 구성을 살펴보면, 웨브(52a)와 백플레이트(30)에는 체결핀(61)이 관통하는 구멍(66,67)이 각각 대응하게 형성되어 있는데, 웨브(52a)에 형성된 구멍(66)은 체결핀(6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체결핀(61)이 여유있게 삽입되고 브레이크슈(52)의 작동중에 웨브(52a)의 진퇴운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체결부재(60)는 웨브(52a)와 백플레이트(30)에 형성된 각각의 구멍(66,67)을 동시에 관통하는 체결핀(61)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 양단부에는 걸림부(62,63)가 형성되어 있다. 일단에 형성된 제 1걸림부(62)는 백플레이트(30)에 형성된 구멍(67)에 걸리고 제 2걸림부(63)에는 와셔(6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와셔(64)와 웨브(52a) 사이의 체결핀(61) 외주부에는 압축스프링(65)이 설치되어 와셔(64)를 외측으로 탄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이의 설치순서는 먼저 체결핀(61)을 백플레이트(30)와 웨브(52a)에 형성된 구멍(67,66)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하고, 웨브(52a)의 구멍(66)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체결핀(61)의 외주부에는 압축스프링(65)이 결합된다. 그리고 압축스프링(65)의 이탈을 방지하는 와셔(64)가 체결핀(61) 타단부의 제 2걸림부(63)에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따라서 웨브(52a)와 백플레이트(30)는 체결핀(61)과 압축스프링(65)의 탄성력에 의해 체결되어 있는데, 웨브(52a)에 형성된 구멍(66)이 여유있게 형성되어 있어서 브레이크 작동중에 웨브(52a)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러나 이러한 체결구조는 웨브(52a)와 백플레으트(30)에 체결핀(61)이 관통하는 별도의 구멍(66,67)을 형성해야 하고, 또한 걸림부(62,63)가 형성된 체결핀(61), 압축스프링(65), 와셔(64) 등으로 이루어진 체결부재(60)는 다수개의 부품이 소요되어 부품수의 증대에 따른 작업공정과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백플레이트에 웨브를 회동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구조를 개선하여 그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부품수와 작업공정을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하는 드럼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 드럼의 내주면과 마찰하여 제동작용을 하는 라이닝, 라이닝이 안착되는 림과 림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이를 외향작동하는 웨브가 마련된 브레이크슈, 브레이크슈가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백플레이트, 백플레이트에 브레이크슈의 웨브를 회동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갖춘 드럼브레이크에 있어서, 체결부재는 그 일단이 백플레이트에 결합되고 그 타단이 웨브의 단부가 삽탈되는 삽입홈을 형성하도록 밴딩되 결속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브레이크의 전체적인 내부구성을 도시한 것이고, 제 4도는 제 3도의 III-III'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요부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드럼브레이크는 백플레이트에 웨브를 체결하는 체결부재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종래의 구성요소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부호와 동일명칭을 사용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럼브레이크는 드럼(51)의 내주면과 마찰하여 제동작용을 하는 라이닝(54)이 마련되고, 라이닝(54)이 안착되는 림(52b)과, 림(52b)의 내주면에 그 일면이 결합되고 그 양단은 각각 휠실린더(40)와 앵커 핀(53)에 고정되는 웨브(52a)로 이루어진 한쌍의 브레이크슈(52)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특징적인 요소로, 웨브(52a)를 백플레이트(30)에 체결하여 브레이크 작동시 브레이크슈(52)가 백플레이트(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결부재(70)가 마련된다. 이 체결부재(70)는 제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슈(52)와 상응하는 백플레이트(30)부분을 프레스 가공하여 웨브(51a)와 백플레이트(30)를 밀착시키고, 이 밀착된 백플레이트(30) 일부를 절개한 후 이를 다시 밴딩하여 그 내부에 삽입홈(72)을 형성하는 결속판(71)으로 구성된다. 즉, 밴딩된 결속판(71)에 의해 삽입홈(72)이 형성되고 이 삽입홈(72)에 웨브(52a)의 내측 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드럼브레이크의 일반적인 제동작용은 종래와 동일하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의 특징적인 작동은 다음과 같다. 휠실린더(40)의 작동에 따라 브레이크슈(52)가 외향작동하여 제동작용을 하는데, 이때 웨브(52a)는 밴딩된 결속판(71)에 의해 형성된 삽입홈(72)에 삽탈되기 때문에, 반복되는 제동작용중에 브레이크슈(52)가 백플레이트(30)로 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결국, 브레이크슈(5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백플레이트(30)를 웨브(52a)의 일면과 접촉하도록 프레스 가공하고, 이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밴딩하여 웨브(52a)의 일부가 결합되는 삽입홈(72)을 형성하는 결속판(71)을 마련하였다. 따라서 백플레이트(30)에 브레이크슈(52)를 설치하기 위해 별도의 부품이 필요없게되어 조립공정이 단순화 되고, 이에 따른 제조원가가 절감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브레이크슈를 백플레이트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백플레이트를 웨브와 접하도록 프레스 가공하고, 이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밴딩하여 삽입홈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 삽입홈에 웨브의 내측 단부를 결합함으로써, 작동중에 웨브의 단부가 이 삽입홈에서 삽탈되어 브레이크슈가 백플레이트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체결부재의 형성이 용이하고 별도의 소요부품이 필요없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부품의 감소로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51), 상기 드럼(51)의 내주면과 마찰하여 제동작용을 하는 라이닝(54), 상기 라이닝(54)이 안착되는 림(52b)과 상기 림(52b)의 내주면에 결합되어 이를 외향작동하는 웨브(52a)가 마련된 브레이크슈(52), 상기 브레이크슈(52)가 회동가능하게 체결되는 백플레이트(30), 상기 백플레이트(30)에 상기 브레이크슈(52)의 상기 웨브(52a)를 회동가능하게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갖춘 드럼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70)는 그 일단이 상기 백플레이트(30)에 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웨브(52a)의 단부가 삽탈되는 삽입홈(72)을 형성하도록 밴딩된 결속판(7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브레이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판(71)은 상기 백플레이트(30)를 절개하여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브레이크.
KR1019960000055A 1996-01-04 1996-01-04 드럼브레이크 KR0147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0055A KR0147694B1 (ko) 1996-01-04 1996-01-04 드럼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0055A KR0147694B1 (ko) 1996-01-04 1996-01-04 드럼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525A KR970059525A (ko) 1997-08-12
KR0147694B1 true KR0147694B1 (ko) 1998-08-17

Family

ID=19449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0055A KR0147694B1 (ko) 1996-01-04 1996-01-04 드럼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769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9525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7694B1 (ko) 드럼브레이크
KR200267458Y1 (ko) 차량용 브레이크장치의 드럼브레이크
KR100312596B1 (ko) 자동차의 드럼 브레이크 구조
JPH0359288B2 (ko)
KR200276250Y1 (ko) 드럼 브레이크의 주차용 작동레버
KR200388388Y1 (ko) 자동차용 디스크 브레이크
KR0163226B1 (ko) 드럼브레이크
KR0120460Y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0200864Y1 (ko) 디스크브레이크
KR200281960Y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0129241Y1 (ko) 브레이크페달 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바아의 체결장치
KR200276251Y1 (ko) 드럼 브레이크의 앵커블럭
KR0122584Y1 (ko) 유압식 브레이크장치의 클레비스구조
KR0118894Y1 (ko) 차량용 브레이크 패드
KR100694014B1 (ko) 차량용 디스크블레이크의 패드리턴스프링
KR19980049105A (ko) 페달아암과 마스터실린더 푸시로드의 체결장치
KR19980035545A (ko) 제동에너지 어큐믈레이터
KR200293357Y1 (ko) 차량용브레이크장치의드럼브레이크
KR19980033126U (ko) 자동차의 드럼 브레이크장치
KR19990025463U (ko) 눌림식 쉴드 회전방지구조를 구비한 드럼식 파크 브레이크
KR20040071880A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19980010154U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9980063007A (ko) 자동차 드럼식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슈 조립구조
KR19990028993U (ko) 드럼 브레이크
KR19980036497U (ko) 디스크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01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01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4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5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5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5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4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1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4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3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41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7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7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328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