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7489B1 - 단일 입력을 차동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전압이득 증폭기 - Google Patents
단일 입력을 차동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전압이득 증폭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47489B1 KR0147489B1 KR1019950014664A KR19950014664A KR0147489B1 KR 0147489 B1 KR0147489 B1 KR 0147489B1 KR 1019950014664 A KR1019950014664 A KR 1019950014664A KR 19950014664 A KR19950014664 A KR 19950014664A KR 0147489 B1 KR0147489 B1 KR 014748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put
- capacitor
- voltage
- differential
- outpu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005—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using switched capacitors, e.g. dynamic amplifiers; using switched capacitors as resistors in differential amplifiers
-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475—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IC block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3)
- 제1 입력단 및 제2 입력단을 통해 두 신호를 입력받아 반전증폭시켜 각각 출력하는 차동 연산증폭수단; 입력전압을 충/방전한 제1 신호를 차동 연산증폭수단의 제1 입력단으로 출력하는 제1 단일입력 충/반전 수단; 상기 입력전압을 충/방전한 제2 신호를 상기 차동 연산증폭수단의 상기 제2 입력단으로 출력하되, 상기 제2 신호의 위상이 상기 제1 신호의 위상과 반대가 되도록 충/방전하는 제2 단일입력 충/방전 수단; 상기 차동 연산증폭수단의 제1 입력단과, 상기 제1 출력단 간에 접속되어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신호를 전달하는 제1 입력전압 전달 수단; 상기 차동 연산증폭수단의 제2 입력단과, 상기 제2 출력단 간에 접속되어 스위칭 동작에 따라 상기 제2 신호를 전달하는 제2 입력전압 전달 수단; 및 주어진 대역 내에서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상기 차동 연산증폭수단의 상기 증폭된 제1 및 제2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상기 주파수 보상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입력을 차동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전압이득 증폭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동 연산증폭수단의 상기 제1 입력단과 상기 제1 출력단, 또는 상기 차동연산증폭수단의 상기 제2 입력단과 상기 제2 출력단에 일측과 타측이 각각 연결되어 고주파수 잡음을 감쇠시키는 제1 및 제2 전압홀드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입력을 차동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전압이득 증폭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일입력 충/방전 수단은 상기 입력전압을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치; 일측이 상기 제1 스위치에 연결되는 제1 샘플링 커패시터; 상기 제1 샘플링 커패시터의 타측과 상기 차동 연산증폭수단의 상기 제1 입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스위치; 상기 제1 샘플링 커패시터의 일측과 접지 사이에 접속되는 제3 스위치; 및 상기 제1 샘플링 커패시터의 타측과 접지 사이에 접속되는 제4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입력을 차동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전압이득 증폭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일입력 충/방전 수단은 상기 입력전압을 스위칭하는 제5 스위치; 상기 제5 스위치와 상기 차동 연산증폭수단의 상기 제2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6 스위치; 일측이 상기 제5 스위치 및 상기 제6 스위치 사이에 연결되는 제2 샘플링 커패시터; 및 병렬로 상기 제2 샘플링 커패시터의 타측과 접지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제7 및 제8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입력을 차동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전압이득 증폭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전압 전달수단은 상기 차동 연산증폭수단의 상기 제1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9 스위치; 일측이 상기 제9 스위치에 연결되는 제3 샘플링 커패시터; 상기 제3 커패시터의 타측과 상기 제1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10 스위치; 및 상기 제3 커패시터의 양측과 접지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제11 및 제12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입력을 차동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전압이득 증폭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4, 제5, 제8, 제11 및 제12 스위치는 상기 제2, 제3, 제6, 제7, 제9 및 제10 스위치를 제어하는 클럭 신호의 위상에 반대되는 위상의 클럭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입력을 차동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전압이득 증폭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압홀드 수단은 상기 차동 연산증폭수단의 상기 제1 입력단 및 상기 제1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5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입력을 차동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전압이득 증폭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보상 수단은 상기 제1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제7 커패시터; 및 상기 제2 출력단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는 제8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입력을 차동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전압이득 증폭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일입력 충/방전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입력전압 충/방전수단은 각각, 다단으로 병렬연결되어 전압이득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입력을 차동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전압이득 증폭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단일입력 충/방전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입력전압 전달 수단이 4 스테이지로 병렬연결될 경우 제1 스테이지의 상기 제 1 및 제 2 입력전압 전달수단의 커패시터 정전용량은 제2 스테이지의 상기 제 1 및 제 2 입력전압 전달수단의 커패시터 정전용량과 같고, 제3 스테이지의 상기 제 1 및 제 2 입력전압 전달수단의 커패시터 정전용량은 2배의 상기 제1 스테이지의 제 1 및 제 2 입력전압 전달수단의 커패시터 정전용량과 같고, 제4 스테이지의 상기 제 1 및 제 2 입력전압 전달수단의 커패시터 정전용량은 4배의 상기 제1 스테이지의 제 1 및 제 2 입력전압 전달수단의 커패시터 정전용량과 같고, 상기 제1 스테이지의 상기 제 1 및 제 2 단일입력 충/방전수단의 커패시터 정전용량은 8배의 상기 제1 스테이지의 상기 제 1 및 제 2 입력전압 전달수단의 커패시터 정전용량과 같고, 상기 제2 스테이지의 상기 제 1 및 제 2 단일입력 충/방전수단의 커패시터 정전용량은 0.1885배의 상기 제1 스테이지의 상기 제 1 및 제 2 단일입력 충/방전수단의 커패시터 정전용량과 같고, 상기 제3 스테이지의 상기 제 1 및 제 2 단일입력 충/방전수단의 커패시터 정전용량은 0.22404배의 상기 제1 스테이지의 상기 제 1 및 제 2 단일입력 충/방전수단의 커패시터 정전용량과 같고, 상기 제4 스테이지의 상기 제 1 및 제 2 단일입력 충/방전수단의 커패시터 정전용량은 0.26626배의 상기 제1 스테이지의 상기 제 1 및 제 2 단일입력 충/방전수단의 커패시터 정전용량과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입력을 차동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전압이득 증폭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전압 전달 수단은 상기 차동 연산증폭수단의 상기 제2 입력단에 연결되는 제13 스위치; 일측이 상기 제13 스위치에 연결되는 제4 샘플링 커패시터; 상기 제4 커패시터의 타측과 상기 제2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14 스위치; 및 상기 제4 커패시터의 양측과 접지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제15 및 제16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입력을 차동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전압이득 증폭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4, 제5, 제8, 제15 및 제16 스위치는 상기 제2, 제3, 제6, 제7, 제13 및 제14 스위치를 제어하는 클럭 신호의 위상에 반대되는 위상의 클럭 신호에 의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입력을 차동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전압이득 증폭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압홀드 수단은 상기 차동 연산증폭수단의 상기 제2 입력단 및 상기 제2 출력단 사이에 연결되는 제6 커패시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일 입력을 차동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전압이득 증폭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14664A KR0147489B1 (ko) | 1995-06-02 | 1995-06-02 | 단일 입력을 차동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전압이득 증폭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14664A KR0147489B1 (ko) | 1995-06-02 | 1995-06-02 | 단일 입력을 차동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전압이득 증폭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4289A KR970004289A (ko) | 1997-01-29 |
KR0147489B1 true KR0147489B1 (ko) | 1998-12-01 |
Family
ID=19416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14664A KR0147489B1 (ko) | 1995-06-02 | 1995-06-02 | 단일 입력을 차동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전압이득 증폭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4748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15759A (ko) * | 2016-02-22 | 2018-10-23 | 자일링크스 인코포레이티드 | 선형 이득 코드가 인터리브된 자동 이득 제어 회로 |
KR20230070809A (ko) * | 2021-11-15 | 2023-05-23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오프셋이 발생하지 않는 가변 이득 커패시티브 증폭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44683B2 (ja) * | 2000-02-29 | 2010-09-15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物理乱数発生装置 |
-
1995
- 1995-06-02 KR KR1019950014664A patent/KR014748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115759A (ko) * | 2016-02-22 | 2018-10-23 | 자일링크스 인코포레이티드 | 선형 이득 코드가 인터리브된 자동 이득 제어 회로 |
KR20230070809A (ko) * | 2021-11-15 | 2023-05-23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오프셋이 발생하지 않는 가변 이득 커패시티브 증폭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04289A (ko) | 1997-01-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577185B1 (en) | Multi-stage operational amplifier for interstage amplification in a pipeline analog-to-digital converter | |
US6486820B1 (en) | Pipeline analog-to-digital converter with common mode following reference generator | |
JP3098243B2 (ja) | 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差動増幅器 | |
US5283579A (en) | Digital to analog converter having high multiplying bandwidth | |
US5892473A (en) | Switched capacitor digital-analog converter with a decreased harmonic distortion | |
US5446455A (en) | Auto-calibrated current-mode digital-to-analog converter and method therefor | |
KR20010023390A (ko) | 집적된 믹서와 시그마-델타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기를구비한 수신기 | |
US8542773B2 (en) | Digital RF converter, digital RF modulator and transmitter including the same | |
US7679540B2 (en) | Double sampling DAC and integrator | |
CA2229737A1 (en) | Analog to digital converter for radio applications | |
EP0331850B1 (en) | Variable gain analog-to-digital conversion apparatus and method | |
KR0147489B1 (ko) | 단일 입력을 차동 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전압이득 증폭기 | |
US6268815B1 (en) | High performance switched-capacitor filter for oversampling sigma-delta digital to analog converters | |
JPH04243326A (ja) | オーバサンプリングd−a変換器 | |
KR100733640B1 (ko) | 부동-소수점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 및 아날로그 입력 신호를 a/d 변환하는 방법 | |
WO2015098057A1 (ja) | 積分器、デルタシグマ変調器および通信装置 | |
JP2022553548A (ja) | gmCVDACを備えたシグマデルタアナログ-デジタル変換器 | |
TWI407701B (zh) | 具受控緩衝輸入之數位至類比轉換器 | |
CN112583408B (zh) | 可变增益的逐次逼近型的模数转换器以及片上系统 | |
CN115485777A (zh) | 基于电流的跟踪保持电路 | |
US5760728A (en) | Input stage for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 |
US514816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sion of the sampled signal of an analog input signal | |
KR200171366Y1 (ko) | 샘플-홀드증폭기 | |
KR101292667B1 (ko) | 디지털 rf 컨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rf 변조기와 송신기 | |
US4541103A (en) | Digitally controlled syllabic filter for a delta modul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6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6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4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8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04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4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4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3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4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605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704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804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4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4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42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42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22 Year of fee payment: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422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21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416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
|
EXPY | Expiration of term | ||
PC1801 | Expiration of term |
Termination date: 20151202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