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47206B1 - 연삭식 정곡기의 저항체 조절기구 - Google Patents

연삭식 정곡기의 저항체 조절기구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206B1
KR0147206B1 KR1019940019223A KR19940019223A KR0147206B1 KR 0147206 B1 KR0147206 B1 KR 0147206B1 KR 1019940019223 A KR1019940019223 A KR 1019940019223A KR 19940019223 A KR19940019223 A KR 19940019223A KR 0147206 B1 KR0147206 B1 KR 0147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roll
vertical
chamber
resis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9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5374A (ko
Inventor
사또루 사따께
유따까 오까다
시게루 아리지
Original Assignee
사또루 사따께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또루 사따께,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사또루 사따께
Publication of KR950005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53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2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4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 B02B7/02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Landscapes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는, 롤 장치의 원주방향에서 곡물입자의 운동에 저항에 부여하도록 정곡실낼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며 또한 각기의 돌출량이 조절가능하게 만들어진 다수의 수직으로 배열된 저항체를 구비하며, 또한 상이한 수직위치에 위치한 다수의 저항체의 반경방향에서 각돌출량을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돌출량 조절 수단을 구비하며 정곡실의 외주를 형성하는 기능을 하는 천공된 원통형체를 포함하고, 따라서, 정곡실의 하류측구역 및 상류측구역의 각각에서 정곡실내의 곡물입자의 운동에 부여된 저항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삭식 정곡기의 저항체 조절기구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의 수직 단면도 (또는 제3도의 선 Ⅰ-Ⅰ을 따른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정곡기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 Ⅲ-Ⅲ 을 따른 정곡기의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정곡기의 저항톱과 연삭롤장치의 사이의 관계(거리관계) 를 과장하여 나타낸 설명도.
제5도는 제4도의 저항톱의 배열의 변형예를 나타낸 설명도.
제6도는 제4도의 저항톱의 배열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설명도.
제7도는 제4도의 저항톱의 배열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설명도.
제8도는 제1도의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의 변형예에서의 연삭롤 장치와 주입룰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삭식 정미기 (정곡기) 2 : 기부
3 : 주축 14 : 롤소자
16 : 연삭식 롤 장치 18 : 스페이서
36 : 분풍공 40 : 정백실 (정곡실)
42 : 다공성 원통형체 43 : 제당실
45 : 저항부여 조절기구 46 : 다공성 만곡판체
51 : 지주 53 : 저항톱
57 : 놉볼트 59 : 셋볼트
72 : 간격 81 : 주입롤
96 : 배출구 104 : 집당실
본 발명은 정곡될 곡물입자가 정곡실의 수직방향의 한 단부로부터 정곡실로 도입되고 또 정곡된 곡물입자는 그의 타단부로 부터 배출되는 수직형 정곡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수직방향으로 신장한 주축에 탑재된 연삭식 롤 장치와, 롤 장치의 외주면과 상호작용하여 롤 장치의 둘레에 원통형 정곡실을 형성하도록 간격을 두고 롤장치의 둘레에서 수직방향으로 신장하고, 정곡실내에서 생성된 겨가 방출될 수 있는 다수의 구멍을 가지며, 또한 롤장치의 원주방향에서 곡물입자의 운동에 저항을 부여하도록 정곡실내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며 또한 돌출량 또는 크기가 조절가능하게 만들어진 수직으로 배열된 저항체가 부분적으로 설치된 다공성 또는 천공된 원통형체를 포함하는 종류의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용 저항체 조절 기구에 관한 것이다. 정곡될 곡물입자는 (米粒) 에 한저외지 않고 소맥립 또는 원두와 같은 다른 입자도 된다.
일본국 특공소 54 - 3098 (B) 와 그에 대응하는 미합중국 특허 제 3,960,068 호에는, 저항체로서 정곡 롤 장치의 원주방향에서 곡물입자의 운동에 저항을 부여하도록 다공성 또는 천공된 원통형체의 주몸체로서 기능하는 드럼 스크린의 벽부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정곡실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나이프와, 나이프의 돌출량 또는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조절기구로 기능하는 핸들 - 작동식의 링크 기구를 포함하는 수직형 정곡기가 개시된다. 특히, 이정곡기는 2 개의 나이프를 포함하며, 이들 2 개의 나이프는 상호 직경방향에서 반대인 드럼스크린의 벽부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신장하도록 배열된다.
이 선행기술에서 개시된 정곡기는 마찰식 정곡기임이 주목된다.
이 선행기술의 정곡기에서, 미립과 같은 정곡될 곡물입자는 나사주입기에 의해 하단부에서 정곡실 또는 정백실로 도입되고, 또 그것들이 정백실내의 마찰식 정곡 또는 정백롤에 의해서 원주방향으로 강제회전 됨과 동시에 수직방향에서 상방으로 보내질때, 미립은 상호 마찰되고 그 외면은 정백 또는 정곡되도록 깍이게 된다. 미립 사이의 마찰은, 저항체로서 기능하는 나이프의 돌출량이 원주방향에서의 미립의 운동에 더 높은 저항을 부여하도록 증가함에 따라서 더욱 강화되며, 그결과 정곡 또는 정백작용은 더욱 강력하게 실시된다.
그러나, 미립의 크기가 미립의 정곡 또는 정백의 진행에 따라서 작아지며, 미립이 예컨데 일정유속으로 공급되는 정상상태의 정곡기에서, 미립의 운동 또는 유동에 부여된 저항은 정백실의 상류측 (하부) 구역보다 그 하류측 (상부) 구역에서 작게된다. 따라서, 하류측 구역에서, 저항체로서 기능하는 나이프의 돌출량에 의해 결정되는 미립사이의 마찰의 세기가 상류측 구역보다 낮게 되기 때문에, 충분한 정백작용을 달성하기 힘들게 될 가능성이 있다. 특히 연삭식 정곡기의 경우에, 이 경향은 현저하다. 또한 연삭식 정곡기내에 상기 저항 조절 기구를 사용하는 경우에, 정백작용중에 그 기구를 조절하는 것은 곤란하게 된다.
일본국 특공소 61 - 50653 (B) 에는 , 나이프가 다공성 원통형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저항체로서 기능하는 나이프에 대향하는 나이프와 롤의 외주상에 설치되고, 도 소정 두께의 끼움쇠(shim)가 원통형체의 나이프와 룰의 외주상의 나이프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롤과 각 외주 나이프 사이에 배치되는 기술이 개시된다.
상기 관점에서 고려하면, 일본국 특공소 61 - 50653 (B) 에 개시된 기술은 일본국 특공소 54 - 3098 (B) 또는 미합중국 특허 제 3,960,068 호의 기술이 갖는 문제 가능성과 동일한 가능성이 있다.
더우기, 일본국 특공소 32 - 3020 호에는 롤장치가 주축이 신장하는 방향에서 상호 이격되면서 수평 주축상에 탑재된 다수의 연삭식롤 소자에 의해 형성되고, 또 곡물입자의 운동방향에 대하여 상류측 구역에서의 롤소자의 수평두께와 인접한 롤 소자 사이의 거리는 하류측 구역의 그것과 상이하고, 따라서 상류측 구역과 하류측 구역사이의 제당조건과 정곡 조건의 상이함을 극복할 수 있게 되는 연삭식 정곡기가 개시된다.
그러나, 일본국 특공소 32 - 3020 호에서, 저항체와 관련한 기술에 대한 설명이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를 제공하는 것이며, 특히 정곡실의 하류측 구역과 상류측 구역의 각각에서 정곡실내의 입자의 운동에 부여된 저항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저항 조절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원통형체는 롤장치의 원주방향에서 곡물입자의 운동에 저항을 부여하도록 정곡실내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며 또한 각각의 돌출량이 조절 가능하게 만들어진 다수의 수직으로 배열된 저항체와, 상이한 수직위치에 위치한 다수의 저항체의 반경방향에서의 돌출량 각각을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돌출량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에서, 상이한 수직위치에 위치한, 즉, 정곡실의 하류측구역과 상류측 구역에 위치한 다수의 저항체의 각각의 반경방향의 돌출량이 돌출량 조절수단에 의해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연삭롤 장치의 외주면과 저항체 사이의 거리는 정곡실의 하류측 구역과 상류측 구역 각각에서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고, 그 결과 정곡실내의 유동 곡물입자에 부여된 저항은 정곡실의 하류측구역과 상류측구역의 각각에서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형체는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신장하고 상호 원주방향에서 이격된 다수의 지주와, 각각 원통형체의 실린더의 일부를 형성하고 또 원주방향에서 인접한 지주 사이에 배치된 다공성 또는 천공된 만곡판체를 포함하고, 다수의 지지체는 하나 이상의 지주에 대하여 롤장치의 반경방향에서 가동적임과 동시에 돌출량 조절수단을 통하여 정곡실에 대면하는 지주 중 하나 이상의 측면상의 상이한 수직 위치에 놓여지도록 다수의 지주 중 하나 이상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경우, 다수의 저항체의 배치 또는 위치 제어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형체는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신장하고 상호 원주방향에서 이격된 다수의 지주와, 각각 원통형체의 실린더의 일부를 형성하고 또 원주방향에서 인접한 지주 사이에 배치된 다공성 또는 천공된 만곡판체를 포함하고, 다수의 지지체는 조합된 지주에 대하여 롤장치의 반겨방향에서 가동적임과 동시에 돌출량 조절수단을 통하여 정곡실에 대면하는 조합된 지주의 한 측면상의 상이한 수직위치에 놓여지도록 다수의 지주 각각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곡물입자와 자전뿐 아니라 원주방향에서의 공전이, 정곡 또는 정백을 상승시키도록 다수의 저항체의 각각에서 억제 또는 감쇠되고, 상기 억제 또는 감쇠의 정도는 저항 또는 돌출의 정도에 따라서 변경되고, 따라서 곡물입자용 정곡작용을 변경할 수도 있고, 또 곡물입자의 부분이 주로 정곡 또는 깍이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지주에 지지된 다수의 지지체의 각각은 수직방향으로 신장하고 도한 수직방향에서 인접한 저항체의 인접한 단부 사이의 거리는 정곡될 곡물입자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저항체의 인접한 단부 사이의 작은 간격이 곡물입자등으로 폐쇄될 가능성이 없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지주는 실질적으로 U 자형 단면을 가지며, 또한 U 자형의 오목부가 상기 각 지주에 지지된 다수의 저항체가 롤장치에 대하여 반경방향 외측부에서 오목부내에 위치되도록 롤 장치에 대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다수의 저항체의 위치는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독립적으로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돌출량 조절 수단은, 저항체가 롤장치의 외주면과 접촉할때까지 저항체의 각각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기에 적합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예컨대 평균크기가 상이한 곡물입자의 정곡조차도 저항체의 반경방향 위치를 조절함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장치는 주축이 신장하는 수직방향에서 상호 이격됨과 동시에 주축에 접합된 다수의 롤 소자를 포함하고, 또한 수직방향에서 인접한 저항체의 인접한 단부는 롤 소자 사이의 공간의 레벨에서 그들사이에 작은 간격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연삭작용에 롤소자에 의해 곡물입자에 인가된 압압력 때문에 곡물입자가 작은 간격내로 압입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또한, 롤장치는 주축이 신장하는 수직방향에서 상호 이격됨과 동시에 주축에 접합도니 다수의 롤 소자를 포함하고, 또한 수직방향에서 인접한 저항체의 인접한 단부는 롤 소자 사이의 공간의 레벨에서 그들사이에 작은 간격을 형성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 상하 저항체 양자 사이의 간격을 가능한한 작게 만드는 것이 요구 또는 소망된다.
더우기, 상류 및 하류 단부에서 각 저항체의 돌출량은 상이하게 될 수 있다. 예컨데, 단일의 저하체가 하류측으로 갈수록 더욱 돌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저항체와 롤장치의 표면사이의 거리는 소망된 정곡작용의 상세에 따라서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저항체가 수직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신장하는한, 그것은 주축과 평행하게 수직방향으로 신장되지 않아도 좋다. 즉, 저항체는 수직방향 및 원주방향의 성분을 갖도록 다소 나선형으로 신장해도 좋다.
상기 나선의 방향은 정백될 곡물입자가 정백실내에서 전체로서 운동하는 방향과 반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저항체에 의해서 곡물입자에 부여된 저항력은 최대한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언급한 목적 및 이와 다른 목적, 장점, 특징이 이하의 도면을 참조로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로하게 될 것이다.
다음으로 곡물류의 일예로서 쌀을 정미 또는 정백하는 경우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인 연삭식 수직형 정미기가 제1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도리 것이다.
연삭식 수직형 정미기(1)의 전체적인 수직단면도인 제1도에서, 부호2는 기부를 표시한다. 기부 (2)의 중앙부에서, 수직방향으로 신장하는 중공축에 의해 형성된 주축 (3) 이 상하부 베어링 (4, 5)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모터 (6)의 출력축 (7)의 회전은 풀리 (8), 웨지 벨트 또는 Ⅴ벨트 (9) 및 풀리 (10) 를 통하여 주축 (3)까지 전달되도록 모터 (6)가 기부 (2) 의 측방향에 장치되며, 따라서 주축 (3) 이 적합한 회전속력 (일반적으로 이후 설명될 연삭식 롤장치 (16)의 외주속력이 외주면에서 약 600 m/min 인 회전속력) 으로 회전하도록 만든다.
캡형 단면을 갖는 하부 회전저판 (11)은, 상부베어링(4)상에 배치되도록 주축(3)에 고정되며, 또 정백 또는 정미된 쌀을 방출하는 교반익(12)을 형성한 상부 회전저판(13)은 하부 회전저판(11)에 고정된다.
상부 회전저판(13)은 중간에 개재된 롤소자 스페이서(15)를 갖는 연삭식 롤 소자(14)의 많은 수의 적재에 의해 형성된다.
각 롤소자(14)는 주축(3)에 고정도니 보스부(21)를 구비한 강성 연삭 실린더 지지체(24), 아암부(22)의 신장된 단부가 일체 형성된 원통형부(23)와 보스부(21)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신장하고 보스부(21)가 일체 형성된 다수의 아암부(22) 및 금강사 입자 (카보런덤 (Carborundum,상표명))의 집합체로서 형성되고 지지체(24)에 안정하게 고정된 연삭 실린더(26)를 포함한다.
부언하면, 연삭 실린더(26)중에서 최상부 연삭 실린더, 즉, 정백될 미립의 유동방향의 최상류측에 위치하는 연삭실린더(26a)는 미립의 유동 또는 미립을 안내하기 위하여 원추 절두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중공의 주축(3)에는 연삭식 롤 장치가 고정된 부분에 다수의 통풍공(29)이 형성되며, 또 각 롤 소자(14)의 연삭 실린더 지지체(24)의 보스부(21)에는 통풍공(30)이 역시 형성된다. 따라서,롤 소자(14)의 연삭 실린더 지지체(24)가 중공 주축(3)에 고정되는 경우에, 각 보스부(21)에 형성된 통풍공(30)의 최소한 일부는 주축(3)에 형성된 통풍공(29)의 최소한 일부와 연통하며, 따라서 공기가 중공의 주축(3)의 내부공간으로부터 통풍공(29,30)을 통과하여 연삭실린더(26)의 내측까지 유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 롤 소자 스페이서(15)는 제3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보스부(21)보다 큰 외경을 갖는 보스부(32)와, 보스부(32)에서 실질적으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며 또 보스부(32)가 일체 형성된 다수의 아암부(33)를 포함한다. 각 아암부(33)는 반경방향으로 신장된 기부측 아암부(34)와, 스페이서(15)의 회전방향에 반대방향으로 치우치며 기부측 아암부(34)의 단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신장하는 테이퍼진 선단측 아암부(35)를 포함한다.
따라서, 통풍공(29,30)을 통하여 중공 주축(3)의 내부공간(31)으로부터 연삭실린더(26)의 내측까지 유출된 공기는 인접한 룰 소자(14,14)사이를 통하여 또한 각 롤소자 스페이서(15)의 인접한 아암부분(33,33)사이에 형성된 공간(36)을 통하여 유출될 수 있다. 즉, 스페이스(36)는 연삭식 롤 장치(16)의 제당 공기분출구로서 기능한다.
연삭식 롤 장치(16)주위에 롤 장치(16)의 외주면과 상호작용하는 다공성 또는 천공된 원통형체(42)가 배치되어서 롤 장치(16)의 주위에 원통형 정백실 또는 정곡실(40)을 형성하게 된다. 다공성 원통형체(42)가 롤 장치(16)로부터 공간을 두고 수직으로 신장하고 또 정백실(40)에서 만들어진 겨가 방출될 다수의 구멍(41)을 갖는다.
다공성 원통형체(42)주위에 겨를 집적 및 방출하는 제당실(43)을 형성하기 위하여 다공성 원통형체(42)와 상호작동하는 원통형 카바(44)가 배치된다.
다공성 원통형체(42) 및 원통형 카바(44)는 기부(2)에 고정된 이중 원통형 지지체(2a)에 설치 고정된다. 이중 원통형 지지체(2a)는 저부 플랜지에서 기부(2)에 고정된 외측 원통형 지지부(26), 네게의 외주점에서 외측 원통형 지지부(26)로부터 내향 돌출하는 리브(2c)및 리브(2c)를 통해 외측 원통형 지지부(2b)와 일체 성형된 내측 원통현 지지부(2b)를 포함한다.
제3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다공성 원통형체(42)는, 원통형체(42)에 의해 형성된 실린더가 균일한 4부분으로 구분되도록 하는 외주 위치에 배치된 4개의 저항부여 조절 기구(45)와, 인접한 저항 부여 조절기구(45,45)사이의 원통면 부분을 형성하는 금속제 다공성 또는 천공된 만곡판채(46)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당실(43)은 네개의 저항부여 조절기구(45)에 의해 네 영역 또는 네개의 방으로 나누어진다. 저항 부여 조절 기구(45)의 수는 3이하이거나 5이상이다. 다수의 저항부여 조절기구(45)가 예컨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체(42)의 원주방향에 등간격으로 배열된다. 또한, 제1 및 제2도에서 조이는 바와 같이, 유동 저항 부여 조절 기구(45)및 다공성 만곡판체(46)가 정백실(40)의 전수직길이에 걸쳐서 신장하도록 각각 형성된다. 다공성 판체(46)의 내주면과 연삭롤 소자(14)의 외주면 사이의 거리 (H)는 예컨대, 약 10~15mm의 범위이다. 거리(H)는 정곡될 곡물의 종류, 연삭롤 소자(14)의 금강사 입자의 크기, 연삭롤소자(14)의 회전속력 등에 의해 결정된다.
각 유동 저장 부여 조절기구(45)는, 자판(50)을 통하여 리브(21c)의 상단부에 설치 및 고정되고 또 수직방향으로 신장하는 실질적으로 U자형 단면의 지주 또는 기둥(51), 상하부 저항체(상하부 저항톱인 경우에, 총칭하여 부호 53으로 표시된다.)로 기능하기 위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개방되고 또 각 지주(51)의 U 의 수직방향으로 신장하는 오목부(52)에 맞물리지 않게 접합되고 또 예컨대 고무로 만들어진 각주상의 저항톱(53a, 53b), 지주(51) (즉, 상하부 저항톱(53a,53b)와 연삭롤 소자(14)사이의 거리(J1,J2) (총칭하여, J로 표시된다)에 대한 저항톱(53)의 방향 위치를 조절하기 위하여 숫 나사부(56)로 각 저항톱(53)의 상하 나사공(54,55)에 나사 결합된 조절 부재로서 놉볼트(57), 및 저항톱(53)의 위치의 조절후에, 선단을 저항톱(53)의 외측 단면(58)과 접하게 함에 의해서 지주(51)에 저항톱(53)을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지주(51)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된 셋볼트(59)를 포함한다. 이하, 부호 a와 b는, 놉볼트(57) 및 셋볼트(59)와 같이 상하 저항체에 동일하게 설치된 부재 또는 부분에 고나해 설명하는 경우에 있어서 필요한 경우에 부가되는바, 즉 부호 a는 상부 저항 톱에 결합된 부재 또는 부분에 부가되고 또 부호 b는 하부 저항톱에 결합된 부재 또는 부분에 부가될 것이다. 저항톱(53)은 고무대신에 적합한 강도 및 경도를 갖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료로 만들어진다.
상술하면, 경화에 의해 높은 내미모성을 갖는 각주상의 보강편(62,62)이 오목부(52)의 양측 또는 지주(51)의 내주단부에서 지주(51)에 나사 결합되어서, 전체로서 지주 조립체(63)를 형성한다. 부어하면 각 보강편(62)은 예컨대 약 2mm 정도로 원형 만곡된 형상으로 굽혀진 다공성 만곡판체(46)를 넘어 반경 방향 내측으로 약간 돌출한다. 한편, 각 다공성 만곡판체(46)의 외주연부(46a,46b)는 보강판(64)에 의해 결합된 지주조립체(63)의 측벽에 고정되며 가압된다.
부호 66은 중공의 스터드볼트를 표시한다. 볼트(66)의 소경의 수나사부(66a)는 지주(51)의 나사공에 나사결합되고, 카바(67)를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너트(86)는 볼트(66)의 대경의 수나사부(66b)에 나사결합된다. 한편 놉볼트(69a)의 수나사부(56)는 중공볼트(66)의 구멍(69)의 소경부(69a)에 느슨하게 접합되며, 놉볼트(57)의 대경부(57A)는 구멍(69)의 대경부(69b)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부언하면 놉볼트(57)의 대경부(57A)의 단면(57B)가 구멍(69)의 벽의 계단부(69c)와 접촉하는 상태에서, 스토퍼링(70)이 놉볼트(57)의 환형홈(57c)에 접합되고 스터드볼트(66)의 단부가 메워지고, 따라서 놉볼트(57)가 볼트(66)에 따라서 지주(51)에 축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저항톱(53)과 롤소자(14)사이의 거리(J)를 조절하는 경우에 셋볼트(59)가 먼저 분리 또는 느슨해지고, 다음에 지주(51)의 나사공(54)에 각각 나사결합된 놉볼트(57)가 돌려져서, 저항톱(53)의 상하부가 롤소자(14)로부터 소정길이로서 근접이간된다. 계속하여,셋볼트(59)가 다시 최종결합된다.
보통, 저항톱(52)이 실질적으로 정확하게 수직방향으로 신장하도록 하기 위하여, 놉볼트(57)가 조절을 위해 나사공(54)에 대해 돌려지는 각도가 상호 동일하게 만들어진다. 그러나, 소망한다면, 놉볼트(57,57)가 나사공(54,55)에 대해서 조절을 위해 돌려지는 각도가 상호 상이하여서 저항톱(53)과 연삭롤 장치(16)사이의 거리(J)가 예컨대 하방으로 갈수록 작아지거나 커지게 되도록 저항톱(53)을 약간 경사지게 한다. 이 경우, 수직방향 편차 (또는 경사각도)가 저항톱(53)의 길이에 대해 작게된다.
저항톱의 조절위치의 상기 조작은 결합된 놉볼트(57a,57b)와 셋볼트(59a,59b)를 각각 조작 또는 운전함에 의해서 각 상하 저항톱(53a,53b)에 독립적으로 실행한다. 예컨대, 겨가 정백실(40)에서 충분히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미립을 가압하는 강도가 미립의 표면을 정백하는 과정에서 정백실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저하될 가능성이 있는 경우에, 상부 저항톱(53a)과 연삭롤 장치(16)사이의 거리(J1)는 하부 저항톱(53b)과 연삭롤 장치(16)사이의 거리(J2)보다 크게 된다 (제4도 참조). 한편, 예컨대, 겨를 충분히 제거하기 곤란하고 따라서 겨가 정백실(40)의 하부에 집적되기 쉬운 경우에, 상부 저항톱(53a)과 연삭롤 장치(16)사이의 거리(J1)은 하부 저항톱(53a)과 연삭롤 장치(16)사이의 거리(J2)보다 작게된다. 부언하면, 상하부 저항톱(53a,53b)과 연삭롤 장치(16)사이의 거리(J1,J2)를 선택 및 설정하는데에, 다른 소망되는 다양한 이유와 조건이 고려된다.
또한 제1내지 제4도의 경우에, 상부 저항톱(53a)이 하부 저항톱(53b)보다 수직길이가 짧지만, 제5도에서는 상부 저항톱(53a)의 길이는 하부 저항톱(53b)의 길이보다 길게 만들어진다. 더우기, 제4도에서 가상선 8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저항톱(53)에는 공기분출구(36)와 그 근처가 미립에 의해 막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공기 분출구(36)와 대면하는 위치에 홈이 형성된다.
또한, 제1 및 2도에서 도시된 경우에서, 상부 저항톱(53a)의 하단부와 하부 저항톱(53b)의 상단부 사이의 작은 간격(72)은 롤 소자(14,14)사이의 분출구(36)에 대면하는 레벨에 정확히 위치되지만, 제4도에서 가상선 72a 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부 저항톱(53a,53b)의길이는 다수의 롤소자(14)중 하나의 외주면과 대면하는 레벨에 간격(72a)를 형성하도록 선택된다. 부언하면, 저항톱(53)이 정백실(40)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신장되는 것으로 보이지만 , 그 전체길이의 일부에 걸쳐서 신장되도록 설치되는데, 즉 그것은 예컨대,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상선 79의 레벨보다 높지 않은 영역에 위치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간격(72)의 크기는 미립이 정백될 미립의 유동을 방해하도록 간격내에 포착 또는 파악될 확률을 경감하는 범위에서 선택된다. 더우기, 제4도의 가상선 72b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저항톱(53b)의 상단부와 상부 저항톱의 하단부중 최소한 하나는 테이퍼지거나 라운딩된다.
또한, 일련의 단일의 지주 조립체(63)에 의해 실질적으로 지지되고 또 놉볼트(57) 및 셋볼트(59)에 의해 각각 독립적으로 조절된 위치를 갖는 저항톱(53)의 수는 2개가 아닌, 제3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3개 이상이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 전체의 4개의 원주상의 지점에 설치된 두개의 저항톱(53a,53b)은 각각 동일 길이와 형상을 갖는 것으로 가정되지만, 4개의 원주상의 지점중 최소한 하나에, 예컨대 4개의 지점 모두에 설치된 저항톱(53)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항톱(53a,53b)등의 상이한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제6 및 7도에서 도시된 경우에, 미립의 유동에 부여된 저항은, 둘이상의 저항톱이 수직위치에 고정됨에 따라서 정교하게 조절 또는 변경될 수 있다.
제3도로 돌아가서, 상세히 도시되어 있지만, 제당실(43)의 외주벽으로 기능하는 원통형 카바(44)는 놉볼트(57)에 대응하는 위치에 접합부(74)를 가지며, 놉볼트(57)의 외부카바(76)는 각 접합부(74)의 굽힘부(75)에 접합된다. 카바(76)의외면 (76a)에는 조절용 놉볼트(57)의 회전각에 비례한 저항톱(53)의 조절된 거리(J)를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된다. 부언하면 카바(44)의 각 굽힘부(75)는 제당실(43)내의 놉볼트(57)의 가동부 주위를 덮을 수 있도록 신장된다. 각 신장된 부분(77)은 또한 지주(51)의 고정 시트(seat)에 분리가능하게 접합된다.
제1도 및 2도로 돌아가면, 부호 81은 외주면상에 피드나사를 갖는 중공의 저부없는 주입롤을 표시한다. 주입롤(81)은 주축(3)상의 보스부(81a)에 접합되어서 최상부 롤소자(14)에 설치되고 또 주축(3)의 상단부의 나사공에 나사 결합된 볼트(82)에 의해서 연삭롤 장치(16)와 함께 주축(3)에 고정된다. 또한, 부호83은 주입롤(81)과 상호 작용하여 정백될 미립의 공급실(84)을 형성하는 주입실린더를 표시하고, 주입실린더(83)의 하단부의 플랜지부(83a)는 정미기(1)의 프레임의 일부로서 원통형 카바(44) 및 지주(51)의 상단에 설치 및 고정된다.
또한, 부호 86은 정백될 미립이 투입될 호퍼를 표시하고, 87은 상부 미립 안내체를 표시하고, 또한 88은 주입량 조정 게이트를 표시한다. 게이트(88)은 호퍼(86)의 저부의 개구부(86a)에 대한 개구부(91a)를 갖는 가동판(91)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모터(90)에 의해 자동적으로 또는 핸들(89)을 통하여 수동으로 작동되며, 따라서 호퍼(86)으로부터 공급실(84)로 주입될 미립의 양이 조정된다. 부호92는 공급실(84)로 게이트(88)를 통하여 도입된 미립을 주입하고 또 분산시키는 기능을 하는 저부 안내체를 표시한다. 부호95는 정백실(40)내에서 정미된 미립이 배출되는 배출구(6)에 설치된 저항판을 표시한다. 저항판(95)에 의해서 정백실(40)내의 미립에 인가된 압압력은 핸들 (놉) (100)로써 피봇축(97)에 지지된 레버(98)의 하나의 아암(98a)에 나사결합된 중량(99)의 위치를 조절함에 의해조정된다. 부호101은 인장 스프링(101)을 표시한다.
부호103은 제당실(43)의 저부에 형성된 집당실(104)내에 집적된 겨를 배출 파이프(105)를 통하여 방출하는 기능을 갖는 집당용팬을 표시한다. 부언하면, 집당실(104)의 내주벽을 형성하는 저부의 원통형체(106)가 하부 회전저판에 고정되고, 저부의 원통형체에는, 저부의 원통형체 (106)가 하부 회전저판(11)과 함께 회전할때 집당실(104)에서 겨의배출을 상승시키는 기능을 갖는 배출익(107)이 설치된다.
다음으로, 제1 내지 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형성된 정미기(1)의 조작 및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먼저, 연삭식 수직형 정미기(1)의 정미조건은 정백될 미립의 특성에 따라서 설정 및 조절된다.
특히, 정미전의 장축 및 단축의 양 방향에서의 정백될 미립의 크기에 의해 결정되는 입자형, 정미후에 얻어지는 장축 및 단축의 양방향에서의 미립의 평균크기, 및 정미기(1)에 의해 제거될 미립의 표면층의 두께와 경도등과 같은 다양한 특성에 따라서, 저항톱 (53a,53b)의 반경방향 위치가, 연삭식 롤장치(16)의 회전속력 및 직경, 연삭롤 소자(14)의 연삭특성, 배출팬(103)을 구비한 제당장치의 제당 특성등을 고려하면서 셋볼트(59)와 놉볼트(57)을 조작함에 의해서 조절된다.
상부 저항톱(53a)와 연삭롤소자(14)사이의 거리(J1)은 주로 정미전의 장축 및 단축의 양방향에서의 정백될 미립의 크기와 정미후의 미립의 소망되는 크기 사이의 관계에 따라서 조절 및 설정되는 한편, 연삭롤소자(14)와 하부 저항톱(53b)사이의 거리(J2)는 즉, 하부저항톱(53b)와 상부 저항톱(53a)사이의 반경방향 위치의 차이(J1-J2)는 주로 정미후에 얻어지는 미립의 장축 및 단축의 양방향에서의 소망크기(일반적으로, 형상)에 따라서 조절 및 설정된다.
부언하면, 하부 저항톱(53b)와 연삭롤소자(14)사이의 거리(J2)는 일반적으로 정미기(1)에 의해 제거될 표면층의 경도의 감소에 따라서 다소 크게 설정된다. 거리(J1,J2)의 상기한 조절은 정미동작시에 연삭롤장치(16)의 회전을 정지하면서(또는 특정한 경우에는 롤장치(16)의 회전을 정지하면서 (또는 특정한 경우에는 롤장치(16)를 회전시키면서)실행될 수 있다.
한편, 놉 (100)을 회전함으로써 레버(98a)상의 중량(99)의 위치조절에 의해서, 저항판(95)으로부터 기인한 압압력, 즉, 저항판(95)에 의해 정백실(40)의 미립에 인가된 압력이 조정된다. 부언(95)에 의해 정백실(40)의 미립에 인가된 압력이 조정된다. 부언하면, 이압력 조정은 또한 정백중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언급된 초기설정후에, 게이트(88)가 폐쇄된 상태에서 카바(86b)는 개방되고 또 정백될 미립은 호퍼(86)에 투입되며, 동시에 모터(6)는, 주축(3)을 통해서 주입률(81) 및 연삭롤 장치(16)를 회전시키도록 시동되며, 배출팬은 제당을 위한 공기 송풍을 시작하도록 시동된다.
다음으로, 핸들(89) 또는 모터(90)는, 정백될 미립이 호퍼(86)로부터 공급실(84)로 도입되기 시작하도록 주입량 조정게이트(88)를 개방하도록 작동된다. 이 경우, 미립은 상하안내체(87, 92)에 의해 원주방향으로 균일하게 분산되면서, 공급실(84)로 연속 공급된다. 공급실(84)에 수용된 미립은 주입롤(81)에 의해 정백실(40)의 상단부(40c)에 연속주입된다.
정미기(1)의 정백동작의 정상 상태에서, 정백실(40)에 공급된 미립은 비교적 저압압력하에서 회전 연삭록 장치(16)과 정상적인 다공성 또는 천공된 원통형체(42)사이의 반복되는 간헐적인 자전 및 공전(또는 주축주위를 원운동)을 하면서 정백실(40)에 공급된 미립은 점차 하방이동하며, 이 동안에 미립의 표면은 연삭실린더(26)에 의해 박리되도록 연삭롤 장치(16)의 롤 장치(14)의 연삭실린더(26)와 접촉하게 된다. 더욱 상술하면, 미립이 저항톱(53a)에 도달한때에 연삭롤 장치(16)와 저항톱(53a)에 포착되기 때문에, 그의 회전 또는 공전 속력은 제동 작용하에 감소되고 또한 큰 차이가 공정 속력과 연삭롤 장치의 회전속력과의 사이에서 비롯되고, 미립의 표면이 롤 장치(16)의 연삭 실린더(26)의 금강사에 의해 박리된다. 또한, 저항톱(53a)는 정백실(40)내의 미립의 전체적인 또는 집중적인 유동을 제동하는 기능을 갖기 때문에, 정백실(40)내의 미립의 자전속도 및 공전속도는 간헐적으로 변화하고, 그 결과 정백이 서서히 진행된다. 더우기, 미립의 공전속력과 자전속력 사이의 관계가 저항톱(53a)의 조절에 의해 정교하게 변화될 수있기 때문에, 정백후에 배출될 미립의 형상도 이 관계를 이용하여 변화될 수 있다.
정백실(40)의 상부(40a)에서 부분적으로 정백되고 따라서 약간 크기가 작아진, 미립의 정백실(40)의 하부(40b)에 도달했을때, 상기 설명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저항톱(53a)의 조절에 의해 정교하게 변화될 수 있기 때문에, 정백후에 배출될 미립의 형상도 이 관계를 이용하여 변화될 수 있다.
정백실(40)의 상부(40a)에서 부분적으로 정백되고 따라서 약간크기가 작아진, 미립이 정백실(40)의 하부(40b)에 도달했을때, 상기 설명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저항톱(53b)와 연삭롤 소자(14)사이의 거리(J2)가 연삭롤 소자(14)와 저항톱(53a)사이에 거리(J1)과 상이한 적합한 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소망한 정백을 정백실(40)의 상부(40a)뿐 아니라 하부(40b) 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출구압력이 중량(99)의 힘이 인가된 저항판(95)에 의해 정백실(40)에 인가되기 때문에, 전술한 방식으로 미립을 정백하는 경우에, 미립이 연속적으로 유동하는 한, 미립은 적합한 밀도로 정백실(40)에 충전된 상태에서 연삭 또는 정백된다.
정백된 미립은 정백실(40)의 하단부(40d) 아래의 집적부(108)에 집적된다. 집적부(108)내의 미립은 하부 회전저판(11)에 부착된 회전교반익(12)에 의해 교반하면서 중량(99)의 압압력에 대하여 저부 저항판(95)을 개방함으로써 슈트(111)를 통해 집적부(112)에 모인다.
또, 배출팬(103)이 동작하면, 공기는 배출관(105)을 통하여 유출 또는 방출된다. 따라서, 주축(3)의 내부통로(31), 통풍공(29,30), 분출구(36), 정백실(40), 다공성 또는 천공된 원통형체(42)의 구멍(41) 및 제당실(43)로 언급된 순서대로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 또는 흐름이 발생된다. 이 공기의 흐름으로 인하여, 정백중에 정백실(40)에서 생성된 겨와 같은 가루재료는 다공성 원통형체(42)의 구멍 또는 천공(41)을 통하여 제당실(43)로 배출된다. 또한, 정백실(40)내의 공기 흐름이 정백실(40)내의 미립의 온도의 상승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분출구(36)로부터 오는 공기의 흐름은 저항톱(53a,53b)사이의 간격(72)으로부터의 겨 등 재료를 제거하는 기능을 한다. 제당실(43)로 도입된 겨는 집당실(104)에 집적되고 배출익(107)에 의해 배출된다. 또한, 호퍼(86)에는, 이 공기유동통로를 통하여 호퍼(86)로 통과한 공기가 정백실(40)로부터의 겨의 방출을 돕는 역할을 하도록, 공기 유동 통로(도시 않음)가 또한 형성된다. 더우기, 분출구(36)의 깊이까지 도달한 겨는, 공기 흐름 또는 유동뿐 아니라 아암(33)의 회전에 기인한 원심력에 의해서, 정백실(40)로 복귀할 수 있다.
상기 설명은 미립의 정부에서 저부로 유동하는 동안에 정백되는 경우에 대하여이루어진 것이지만, 미립이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A 의 상방으로 저부에서 정부를 유동하면서 정백되도록 주입룰(81)이 연삭롤장치(16)의 아래에 배치되는 상승식(lift type)의 연삭식 수직형 정미기도 사용할 수 있다.
정곡될 곡물입자는 미립대신에 소맥립과 같은 다른 곡물입자일수도 있다. 이경우, 정곡기의 정곡 조건은 제거될 표층의 두께, 경도등 뿐아니라 곡물입자의 종류에 따른 곡물입자 크기 차이에 따라서 변경된다.
부언하면, 저항톱의 위치조절기구는 설명된 실시예에서 채용된 놉볼트 대신에 예컨대 피스톤-실린더 장치 등의 수단일 수도 있다. 또한 이것들은 전기 또는 유압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

Claims (10)

  1. 수직방향으로 신장한 주축(3)에 탑재된 연삭식 정곡롤 장치(16)와, 상기 롤 장치(16)의 외주면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롤 장치(16)의 둘레에 원통형 정곡실(40)을 형성하도록 상기 롤 장치(16)의 둘레에서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신장하며, 또 상기 정곡실(40)내에서 생성된 겨가 방출될수 있는 다수의 구멍(41)을 갖는 천공된 원통형체(42)를 포함하며, 정곡될 곡물입자는 정곡실(40)의 수직방향의 일 단부에서 정곡실(40)로 도입되고 또한 정곡된 곡물입자는 그의 다른 단부로 배출되는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로서, 상기 원통형체(42)는, 상기 롤 장치(16)의 원주방향에서 곡물입자의 운동에 대하여 저항을 부여하도록 정곡실(40)내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어 각각의 돌출랴이 조절가능하게 형성된 수직으로 배열된 다수의 저항체(53)와,상이한 수직위치에 위치한 상기 다수의 저항체(53)의 반경방향에서의 돌출량 각각을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돌출량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체(42)는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신장하고 사오 원주방향에서 이격된 다수의 지주(51)와, 각각 상기 원통형체(42)의 실린더의 일부를 형성하고 또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지주(51)사이에 배치된 천공된 만곡판체(46)를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지주(51)에 대하여 상기 롤 장치(16)의 반경 방향으로 가동적임과 동시에 상기 돌출량 조절수단을 통하여 정곡실(40)에 대면하는 상기 지주(51)중 하나 이상의 측면상의 상이한 수직위치에 놓여지도록 다수의 상기 저항체(53)가 다수의 상기 지주(51)중 하나 이상의 지주에 부착되는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체(42)는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신장하고 상호 원주방향에서 이격된 다수의 지주(51)와, 각각 상기 원통형체(42)의 실린더의 일부를 형성하고 또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지주(51)사이에 배치된 천공된 만곡판체(46)를 포함하고, 조합된 지주(51)에 대하여 상기 롤 장치(16)의 반경 방향으로 가동적임과 동시에 상기 돌출량 조절수단을 통하여 정곡실(40)에 대면는 조합된 지주(51)의 한 측면상의 상이한 수직위치에 놓여지도록 다수의 상기 저항체(53)는 다수의 상기 지주(51)각각에 부착되는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51)각각에 지지된 다수의 저항체(53)의 각각은 수직방향으로 신장하고 또한 수직방향으로 인접한 저항체(53)의 인접한 단부 사이의 거리는 정곡될 곡물입자의 크기보다 작은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51)각각은 실질적으로 U자형 단면을 가지며, 또한 U형의 오목부가, 각각의 상기 지주(51)에 의해 지지된 다수의 상기 저항체(53)가 상기 롤 장치(16)에 대하여 반경방향 외측부에서 상기 오목부내에 위치되도록 상기 롤 장치(16)에 대향하는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6. 제3항에 있어서, 정곡될 곡물입자의 유동방향에서 상류측에 위치된 저항체(53)의 수직방향 길이는 하류측의 저항체(53)의 길이보다 짧은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7. 제3항에 있어서, 원주방향으로 인접한 지주(51)사이에 각각 형성된 다수의 제당실(43)을 또한 포함하는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량 조절수단은, 상기 저항체(53)가 상기 롤 장치(16)의 외주면과 접촉할 때까지 상기 저항체(53)의 각각을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시킬 수 잇기에 적합한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 장치(16)는 상기 주축(3)이 신장하는 수직방향에서 상호 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주축(3)에 접합된 다수의 롤 소자(14)를 포함하고, 또한 수직방향으로 인접한 저항체(53)의 인접한 단부는 롤 소자(14)사이의 공간의 레벨에서 그들 사이에 작은 간격을 형성하는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 장치(16)는 상기 주축(3)이 신장하는 수직방향에서 상호 이격됨과 동시에 상기 주축(3)에 접합된 다수의 롤 소자(14)를 포함하고, 또한 수직방향으로 인접한 저항체(53)의 인접한 단부는 롤 소자(14)중 하나의 외주면과 대면하는 레벨에서 그들 사이에 작은 간격을 형성하는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KR1019940019223A 1993-08-06 1994-08-03 연삭식 정곡기의 저항체 조절기구 KR0147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215072 1993-08-06
JP21507293A JP3266167B2 (ja) 1993-08-06 1993-08-06 竪型研削式精穀機の抵抗体調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5374A KR950005374A (ko) 1995-03-20
KR0147206B1 true KR0147206B1 (ko) 1998-08-17

Family

ID=16666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9223A KR0147206B1 (ko) 1993-08-06 1994-08-03 연삭식 정곡기의 저항체 조절기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413034A (ko)
EP (1) EP0637464B1 (ko)
JP (1) JP3266167B2 (ko)
KR (1) KR0147206B1 (ko)
AU (1) AU660584B2 (ko)
CA (1) CA2125819C (ko)
DE (1) DE69422235T2 (ko)
ES (1) ES2141784T3 (ko)
MY (1) MY111003A (ko)
PH (1) PH31015A (ko)
TW (1) TW23525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7550A (ja) * 1994-02-17 1995-08-29 Satake Eng Co Ltd 研削式竪型精穀機
PH31195A (en) * 1995-05-08 1998-04-24 Satake Eng Co Ltd Abrasive type vertical grain milling machine.
JPH09122510A (ja) * 1995-11-02 1997-05-13 Satake Eng Co Ltd 脱ぷ装置
US6409105B1 (en) 1999-08-19 2002-06-25 The Quaker Oats Company Corn milling and separating device and method
US6327970B1 (en) 2000-03-06 2001-12-11 John C. Kooima Grain husk cracking plate
US6234072B1 (en) * 2000-03-06 2001-05-22 John C. Kooima Grain husk cracking plate
DE10251490A1 (de) * 2002-11-04 2004-05-13 Büh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chälen und Entkeimen von Getreide
DE10341223A1 (de) * 2003-09-04 2005-03-24 Bühler AG Schleif- bzw. Poliermaschine
JP4610254B2 (ja) * 2004-07-29 2011-01-12 株式会社山本製作所 研米機
CN100430142C (zh) * 2006-12-15 2008-11-05 肖崇业 一种有序化碾米加工方法及有序化加工碾米机
US20080226784A1 (en) * 2007-03-15 2008-09-18 Satake Usa, Inc. Corn mill having increased through production
BR112013003447B1 (pt) * 2010-10-27 2018-04-24 Buhler India Conjunto de rolo abrasivo, conjunto transportador para uma máquina de moagem de grãos e máquina de moagem do tipo abrasivo vertical
JP2014039888A (ja) * 2011-05-13 2014-03-06 Satake Corp 精穀機の抵抗体調節装置
JP4930956B1 (ja) * 2011-08-30 2012-05-16 株式会社サタケ 精穀機における抵抗体調節方法及びその抵抗体調節治具
JP5930395B2 (ja) * 2012-07-17 2016-06-08 株式会社サタケ 低品位玄米の搗精方法及びその装置
JP6548014B2 (ja) * 2015-07-24 2019-07-24 株式会社サタケ 研削式竪型精穀機
EP3383540B1 (de) * 2015-12-04 2020-10-28 Bühler AG Rotor, schleifmaschine, luftabsaugummantelung und schleifelement für eine schleifmaschine
KR102299290B1 (ko) * 2020-12-08 2021-09-08 주식회사 엘씨에스바이오텍 식물 유래 천연 왁스의 분획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975A (en) * 1907-01-18 1907-08-13 Peter Kerr Grain-huller.
US1100190A (en) * 1911-05-05 1914-06-16 Robert Lund Cover for outer linings for cylinders.
US1099317A (en) * 1913-03-12 1914-06-09 Charles A Shultz Scouring-case.
US1707198A (en) * 1928-08-02 1929-03-26 Standard Rice Company Inc Polishing machine
US2618307A (en) * 1948-10-31 1952-11-18 Keller Bernhard Abrasion type hulling machine
CH280080A (de) * 1950-05-05 1952-01-15 Keller Bernhard Schälmaschine, insbesondere für Hülsenfrüchte und Getreide.
US3960068A (en) * 1975-01-29 1976-06-01 Felipe Salete Machine for whitening, polishing or pearling grains and cereals and more particularly rice
FR2423494A1 (fr) * 1977-06-02 1979-11-16 Parcor Benzo (b) thieno pyridin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s applications therapeutiques
MX159213A (es) * 1984-05-14 1989-04-20 Felipe Salete Garces Ensamble de criba y rotor para maquinas descascaradoras,descortezadoras,pulidoras y blanqueadoras de granos
JPS6150653A (ja) * 1984-08-15 1986-03-12 Mitsubishi Heavy Ind Ltd 海砂の塩分除去方法および装置
CH673596A5 (ko) * 1987-07-22 1990-03-30 Buehler Ag
JPH0822389B2 (ja) * 1987-07-27 1996-03-06 株式会社佐竹製作所 竪軸型摩擦切削式精米機
US5048407A (en) * 1989-11-07 1991-09-17 Salete Garces Felipe Grain husking and polishing machine
US5209158A (en) * 1992-08-21 1993-05-11 Felipe Salete Grain cleaning and polishing machine
JP3201496B2 (ja) * 1993-03-23 2001-08-20 株式会社サタケ 研削式竪型精米機
JPH07323020A (ja) * 1994-05-31 1995-12-12 Shimadzu Corp Mrイメージ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37464B1 (en) 1999-12-22
AU6469094A (en) 1995-02-16
ES2141784T3 (es) 2000-04-01
TW235253B (en) 1994-12-01
CA2125819C (en) 2000-02-08
PH31015A (en) 1997-12-29
CA2125819A1 (en) 1995-02-07
KR950005374A (ko) 1995-03-20
AU660584B2 (en) 1995-06-29
JP3266167B2 (ja) 2002-03-18
MY111003A (en) 1999-07-31
JPH0747292A (ja) 1995-02-21
EP0637464A3 (en) 1995-03-22
US5413034A (en) 1995-05-09
DE69422235T2 (de) 2000-05-11
EP0637464A2 (en) 1995-02-08
DE69422235D1 (de) 200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7206B1 (ko) 연삭식 정곡기의 저항체 조절기구
KR0147204B1 (ko) 연삭식 수직형 정곡기
CA2116758C (en) Spacer for abrasive roll of abrasive type grain milling machine
US5752664A (en) Vertical grain milling machine
US5295629A (en) Vertical type grain-milling machine
KR0156619B1 (ko) 연마형 수직 곡물 제분기
CA1105413A (en) Centrifugal screening apparatus
KR860000418B1 (ko) 직립 연삭식 정곡장치
EP0699478B1 (en) Vertical whitening machine
KR910001231B1 (ko) 정 곡 기
US293047A (en) Milling apparatus
KR100357758B1 (ko) 직립형정미장치
JP2001212473A (ja) 石臼装置
US5292080A (en) Impact mill
JPH049097B2 (ko)
KR850001562Y1 (ko) 정미기
JPH07171427A (ja) 精穀装置
CA1282665C (en) Cereal-grain polishing apparatus
JPH03101849A (ja) 精米機
JPH05337382A (ja) ロール式籾摺装置
JPH0353021B2 (ko)
JPS643535B2 (ko)
JPH04210245A (ja) 精穀装置
JPH0815566B2 (ja) 精米機
JPH07106323B2 (ja) 竪軸型摩擦切削式精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08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080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12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4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5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5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3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3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3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3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4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4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1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3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4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