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6529B1 -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46529B1 KR0146529B1 KR1019950004592A KR19950004592A KR0146529B1 KR 0146529 B1 KR0146529 B1 KR 0146529B1 KR 1019950004592 A KR1019950004592 A KR 1019950004592A KR 19950004592 A KR19950004592 A KR 19950004592A KR 0146529 B1 KR0146529 B1 KR 01465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orming
- etching
- contact point
- contact hole
- contac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97—Formation of self-aligned vias or contact plugs, i.e. involving a lithographically uncritical ste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44—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using mas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16)
-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에 있어서, 필드 산화막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상에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한 후, 상기 게이트 산화막을 포함한 상기 반도체 기판상에 워드라인용 폴리실리콘을 증착하는 단계와, 리소그라피 공정 및 식각공정에 의해 상기 워드라인용 폴리실리콘의 소정부분을 식각하여 워드라인과 제1콘택 포인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마스크를 사용한 리소그라피 공정 및 고농도 불순물 이온 주입공정에 의해 접합부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워드라인과 상기 제1콘택 포인트를 포함한 반도체 기판상에 제1층간 절연막을 형성한 후, 비트라인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비트라인 콘택홀을 포함한 상기 제1층간 절연막상에 비트라인용 폴리실리콘을 증착하는 단계와, 리소그라피 공정 및 식각공정에 의해 상기 비트라인용 폴리실리콘의 소정부분을 식각하여 비트라인과 상기 제1콘택 포인트 상부쪽에 대응되는 제2콘택 포인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비트라인과 상기 제2콘택 포인트를 포함한 상기 제1층간 절연막상에 제2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콘택 포인트 상부쪽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된 포토레지스트를 상기 제2층간 절연막상에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개방된 포토레지스트를 식각 마스크로한 다단계 식각공정으로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된 포토레지스트를 식각 마스크로한 상기 다단계 식각공정은 상기 제2층간 절연막의 노출된 부분을 상기 제2콘택 포인트가 노출되는 시점까지 1차로 식각하여 제1식각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식각홈의 저면부를 이루는 상기 제2콘택 포인트를 상기 제1층간 절연막이 노출되는 시점까지 2차로 식각하여 제2식각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식각홈의 저면부를 이루는 상기 제1층간 절연막의 노출된 부분을 상기 제1콘택 포인트가 노출되는 시점까지 3차로 식각하여 제3식각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3식각홈의 저면부를 이루는 상기 제1콘택 포인트를 상기 게이트 산화막이 노출되는 시점까지 4차로 식각하여 제4식각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4식각홈의 저면부를 이루는 상기 게이트 산화막을 제거하여 콘택홀을 형성하 는 단계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2층간 절연막은 산화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2콘택 포인트는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 제1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홀을 위한 다단계 식각공정은 비등방성 식각공정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에 있어서, 접합부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상에 제1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1절연막상에 제1콘택 포인트를 애스팩트 비가 큰 콘택홀이 형성될 콘택영역에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1콘택 포인트를 포함한 상기 제1절연막상에 제2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콘택 포인트 상부쪽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절연막상에 제2콘택 포인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콘택 포인트를 포함한 상기 제2절연막상에 제3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콘택 포인트 상부쪽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된 포토레지스트를 상기 제3절연막상에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개방된 포토레지스트를 식각 마스크로하여 상기 제3절연막의 노출된 부분을 상기 제2콘택 포인트가 노출되는 시점까지 1차로 식각하여 제1식각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1식각홈의 저면부를 이루는 상기 제2콘택 포인트를 상기 제2절연막이 노출되는 시점까지 2차로 식각하여 제2식각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2식각홈의 저면부를 이루는 상기 제2절연막의 노출된 부분을 상기 제1콘택 포인트가 노출되는 시점까지 3차로 식각하여 제3식각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3식각홈의 저면부를 이루는 상기 제1콘택 포인트를 상기 제1절연막이 노출되는 시점까지 4차로 식각하여 제4식각홈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4식각홈의 저면부를 이루는 상기 제1절연막을 상기 접합부가 노출되는 시점까지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2콘택 포인트와 상기 제1, 2 및 3절연막은 상호 식각 선택비가 다른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및 3절연막은 산화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2콘택 포인트는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홀을 형성하기 위한 다단계 식각공정은 비등방성 식각공정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에 있어서, 애스팩트 비가 큰 콘택홀 형성시에 콘택홀이 형성될 부위의 절연막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택 포인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택 포인트 상부쪽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된 포토레지스트를 상기 절연막상에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개방된 포토레지스트를 식각 마스크로 한 다단계 식각공정으로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된 포토레지스트를 식각 마스크로한 상기 다단계 식각공정은 상기 절연막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택 포인트의 식각을 콘택홀이 형성되는 시점까지 순차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 제11 또는 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택 포인트와 상기 절연막은 상호 식각 선택비가 다른 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 제11 또는 1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산화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 제11 또는 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택 포인트는 폴리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 제11 또는 12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홀을 형성하기 위한 다단계 식각공정을 비등방성 식각공정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04592A KR0146529B1 (ko) | 1995-03-07 | 1995-03-07 |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50004592A KR0146529B1 (ko) | 1995-03-07 | 1995-03-07 |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35807A KR960035807A (ko) | 1996-10-28 |
KR0146529B1 true KR0146529B1 (ko) | 1998-11-02 |
Family
ID=1940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50004592A KR0146529B1 (ko) | 1995-03-07 | 1995-03-07 |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4652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70955B1 (ko) * | 1998-03-16 | 2000-12-01 | 윤종용 |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1995
- 1995-03-07 KR KR1019950004592A patent/KR014652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35807A (ko) | 1996-10-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278273B1 (ko) | 반도체장치의콘택홀형성방법 | |
KR100268894B1 (ko) | 플래쉬 메모리 소자의 제조방법 | |
KR100471410B1 (ko) | 반도체소자의 비트라인 콘택 형성방법 | |
KR20010056888A (ko) | 반도체 메모리 제조방법 | |
KR0146529B1 (ko) |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 |
US5994223A (en) | Method of manufacturing analog semiconductor device | |
US5268332A (en) | Method of integrated circuit fabrication having planarized dielectrics | |
KR100303318B1 (ko) | 반도체 소자의 자기정렬 콘택홀 형성방법 | |
KR100654350B1 (ko) | 실리사이드막을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및이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소자 | |
KR100379531B1 (ko)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
KR100321758B1 (ko) | 반도체소자의제조방법 | |
KR100548594B1 (ko) | 디램의 커패시터 노드 형성방법 | |
KR100218735B1 (ko) |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 |
JPH10144788A (ja) |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 |
KR100198637B1 (ko) |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 |
KR100396685B1 (ko) | 반도체소자의배선및그제조방법 | |
KR100568789B1 (ko) |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 |
KR20020066585A (ko) | 반도체 소자의 비트라인 콘택 형성방법 | |
KR100277883B1 (ko) |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 |
KR0147770B1 (ko) | 반도체 장치 제조방법 | |
KR100218302B1 (ko) | 메모리셀 캐패시터의 제조방법 | |
KR100321759B1 (ko) | 반도체소자제조방법 | |
KR20020002682A (ko)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
KR19990055802A (ko) | 반도체소자 제조방법 | |
KR100386625B1 (ko) |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3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3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4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5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199805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104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204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304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403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42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504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7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