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46434B1 - 비밀 정보의 입력 프로세스 및 관련 단말기 - Google Patents

비밀 정보의 입력 프로세스 및 관련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6434B1
KR0146434B1 KR1019950700857A KR19950700857A KR0146434B1 KR 0146434 B1 KR0146434 B1 KR 0146434B1 KR 1019950700857 A KR1019950700857 A KR 1019950700857A KR 19950700857 A KR19950700857 A KR 19950700857A KR 0146434 B1 KR0146434 B1 KR 0146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de
code string
codes
string
secret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0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쟈끄 파타렝
미셸 우공
Original Assignee
미쉘 꼴롱브
뷜 쎄뻬8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쉘 꼴롱브, 뷜 쎄뻬8 filed Critical 미쉘 꼴롱브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6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64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1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together with a coded signal, e.g. in the form of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lik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or biometric data
    • G07F7/1025Identification of user by a PIN code
    • G07F7/1033Details of the PIN pad
    • G07F7/1041PIN input keyboard gets new key allocation at each us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3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3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 G07C9/33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no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by means of a passwor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1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together with a coded signal, e.g. in the form of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lik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or biometric dat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Storing Facsimile Image Data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공급된 기밀 정보의 입력 프로세스에 관한 것으로, 이 정보는 제 1 부호열(3)에 속하는 여러 부호로 구성되고, 제 2 부호열(4)이 정의되며, 제 1 및 제 2 부호열은 비교적 랜덤한 위치에 표시되고, 이런 배치는 입력 동작을 보는 제 3자가 비밀정보를 알 수 없도록 비밀정보를 입력하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 프로세스에 관련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밀 정보의 입력 프로세스 및 관련 단말기
본 발명은 단말기에서 사용자에 의해 공급된 기밀 정보의 입력 프로세스에 관한 것으로, 이 정보는 제 1 부호열에 속하는 여러 부호로 구성된다.
단말기에 관련된 카드를 이용한 전자식 지불 수단은 점점 더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런 수단에는 티켓 자판기와 점포내 지불 수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카드 소지자나 오퍼레이터를 확인하려면, 단말기에 연결된 키보드를 이용해 일반적으로 코드라 불리우는 비밀 정보를 입력해야만 한다. 이런 코드를 키보드를 이용해 입력해야만 하는 상황에서는 일반적으로 키보드를 만족스럽게 숨길수 없기 때문에, 비밀 정보의 입력중에 제 3자가 키보드를 훔쳐볼 수 있다. 그후에는 악의를 갖는 모든 사람은 이 정보를 불순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어떤 시스템에서는, 사용중의 키보드상의 부호의 배치를 모르는 제 3자는 사용자가 두드리는 키의 위치를 관찰하여 비밀정보를 추측할 수 없도록 키보드마다 부호의 위치가 변하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이런 시스템에서는, 소정의 부호 배치에 익숙한 사용자라도 문제의 키보드가 통상의 배치를 갖지 않는다는 사실에 주의하지 않을 경우에는 비밀정보를 입력할 때 실수를 하고 키보드를 조작하기가 상당히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 경험이 많은 제 3자라면 사용자가 비밀정보를 입력하기 전이나 후에 특정 키보드상의 부호의 재배치를 분석하고 두드리는 키의 위치를 기억하여 결국 비밀정보를 추론해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 1 부호열에 속하는 여러 부호로 구성된 비밀정보의 입력작업이 제 3자에 의해 관찰되더라도 그 비밀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제 2 부호열을 형성하는 단계; 제 1 부호열의 각 부호가 제 2 부호열의 각 부호에 대응 배치되도록 제 1 및 제 2 부호열을 표시수단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비밀정보를 구성하는 제 1부호열중의 부호들의 배치에 대응하는 제 2 부호열중의 부호들을 이용하여 비밀정보를 지적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비밀정보를 구성하는 부호들을 직접 지적하지 않고, 오히려 표시수단에 명백히 나타나지 않는 관련 위치에 따라 이들 부호들과 관련된 제 2열의 부호들을 지적한다. 따라서, 제 3자가 표시수단을 관찰만 하여서는 입력되는 비밀정보를 추론해낼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의 첫번째 변형례에서는, 상기 표시수단과는 다르고 복수의 키가 달려있는 키보드를 이용하고, 제 2 부호열에 속하는 부호에 키보드상의 각 키를 할당하는 단계; 제 1 및 제 2 부호열을 단말기에 알려진 상호 랜덤한 분포상태로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비밀정보를 구성하는 제 1 부호열의 부호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 2 부호열중의 부호에 일치하는 부호가 달린 키보드상의 각 키를 눌러서 상기 비밀정보를 구성하는 제 1 부호열중의 부호를 지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비밀정보를 입력할 때, 그가 두드리는 키보드상의 키에는 코드의 부호들이 있지 않고, 2 부호열을 동시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주어지는 대응관계에 따른 대응 부호들이 있다. 이런 대응관계가 부호열의 상대적 배치의 함수로서 비밀정보를 입력할 때마다 변한다면, 입력과정중에 키보드상에서 두드린 키밖에 인식할 수 없으므로 제 3자에게는 아무 소용이 없다.
본 발명의 이런 측면의 잇점에 의하면, 상기 부호열중의 적어도 하나는 키보드상의 키를 두드리자 마자 사라진다. 따라서, 제 3자는 두드리는 키를 먼저 보고나서 표시되는 부호열을 관찰함으로써 제 1 열에 대응하는 부호를 알 수가 없다.
이상 설명한 변형례의 도움으로, 사용자는 이제부터 키보드나 화면만을 볼 수 있는 제 3자에게 전혀 드러내지 않고 비밀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의 제 2 변형례에 의하면, 화면과 키보드를 동시에 관찰할 수 있는 제 3자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바; 이를 위해, 단말기와 사용자에게 알려진 적어도 하나의 기준부호를 제 2열의 부호들중에서 비밀리에 구성한 뒤, 비밀정보를 구성하는 부호들중의 하나가 매번 기준부호에 대응 배치되도록 제 1 부호열중의 부호를 제 2 부호열의 부호에 대응되게 표시한다.
본 발명의 이런 변형례에서는, 모든 입력 동작중에 제 1 부호열중의 부호 쌍을 임의의 순서로 표시하고; 상기 부호 쌍을 제 2 부호열중의 부호에 대해 시프트하여, 상기 비밀정보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밀부호를 상기 기준부호 앞에 배치하며; 비밀부호가 기준부호 앞에 배치되었음을 지적하는 유효 명령을 사용자가 단말기에 주었을 때 입력이 유효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변형례에 의하면, 복수의 키가 달린 키보드를 사용하고, 제 1 부호열(3)에 속하는 부호를 각각의 키에 할당하며, 제 2 부호열(4)의 부호에 대응하는 제 1 부호열(3)의 각 부호는 이 부호가 할당된 키를 눌러서 표시되고, 이렁게 사용자에 의해 기준부호 앞에 배치된 제 1 부호열의 부호와 비밀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부호 사이를 비교하도록 단말기가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표시수단과, 사용자에 의해 공급되고 제 1 부호쌍에 속하는 복수의 부호로 구성된 비밀정보를 입력하는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 단말기는 제 1 부호열의 각 부호가 제 2 부호열의 부호에 대응 배치되게 상기 제 1 및 제 2 부호열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부호열중의 부호를 이용해 상기 비밀정보를 구성하는 제 1 부호열의 부호를 사용자가 지적할 수 있게하는 수단; 및 상기 입력을 유효화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과 이점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한 다음 설명에서 분명해질 것 이다.
-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의 제 1 변형례를 이용한 단말기의 개략도,
-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의 변형례로, 제1도보다 됫 단계의 표시화면의 개략도,
-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의 다른 변형례에 관련된 단말기의 화면의 개략도,
- 제4도는 제3도의 프로세스의 변형례로, 제3도 이후의 단말기 스크린의 개략도,
- 제5도는 화살표로 구성된 제 2 부호열을 구성된, 제3도에 따른 프로세스의 다른 예,
-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의 제 2 변형례를 이용하는 단말기의 개략도.
제1도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를 이행하는 제 1 변형례는 은행카드의 코드 등의 비밀정보를 단말기의 키보드로 입력하는 도중에 보호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제1도는 단말기의 키보드만을 도시한 것으로 키보드는 1로, 단말기의 표시화면은 2로 표시되어 있다. 기존의 방식에서는 비밀정보가 제 1 부호열에 속하는 부호,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숫자로 구성된다. 다음 설명에서는, 비밀정보가 4개의 부호로 구성되고 본 실시예에서 이들 4개의 부호가 4723이라고 가정하자.
본 발명의 이런 변형례에 의하면, 제 2 부호열은 단말기의 키보드(1)의 키(5)에 표시되어 있고, 표시화면상의 라인(3)에 배치된 제 1 부호열과 화면상에서 라인(3)의 제 1 부호열 위의 라인(4)에 배치된 제 2 부호열이 단말기에 표시되고; 제 1 및 제 2 부호열은 상대적인 랜덤 위치에 표시되고, 이것은 단말기에 카드를 끼울 때마다 제 1부호열의 부호와 제 2 부호열의 부호 사이의 대응관계가 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2개의 부호열을 새로 표시할 때마다 키보드상에서 두드리는 키가 변하므로, 사용자가 두드리는 키를 관찰한 제 3자라도 이렇게 얻은 정보를 그 뒤의 입력과정에서 재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제 1 변형례에 의하면, 사용자가 키보드상에 다른 부호들을 입력하는 동안 제 1 및 제 2 부호열이 동일한 상대 위치에 계속 표시된다고 하자. 이 경우, 사용자는 키보드상에로 표시된 키들을 차례로 두드린다. 비밀정보의 입력을 쉽게 하려면, 이미 입력된 부호의 갯수를 표시하는 마크를 화면(2)의 라인(6)에 표시하여 비밀정보의 사용자가 비밀정보의 어느위치에 도달했는지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라인(6)상의 부호들이 처음에는 점이지만, 사용자가 부호를 입력할 때마다 점차로 별표로 바뀐다.
본 발명의 이런 프로세스에서는 키보드만을 관찰하는 제 3자는 키보드에서 두드리는 부호와 코드를 구성하는 숫자들 사이의 대응관계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비밀정보를 결코 이해할 수 없다. 그러나, 제 3자가 화면을 볼 수 있을 경우에는, 2 부호열 사이의 대응관계를 기억할 수 있거나, 또는 단순히 사용자가 키보드상의 키를 두드릴 때마다 관찰하여 이 대응관계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이 대응관계를 읽는다는 것은, 제 2 열의 부호에 대해 실수를 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비교적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의미하고, 따라서 평소보다 더디게 된다.
따라서, 이경우, 제 3자는 사용자가 키 θ를 두드린 다음 화면을 바라보는 것을 관찰하고 θ가 4에 대응한다는 것을 발견할 것이므로, 사용자가 두드리는 부호들을 연속적으로 해독할 수 있을 것이다.
제 3자의 이런 조작을 피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비밀정보의 각 부호를 입력한 뒤 제 1 부호열과 제 2 부호열의 상대적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고안하였다. 따라서, 제 3자가 키보드를 관찰하면서 부호열의 표시를 볼 수 있을 때라도, 제 1 부호열과 제 2 부호열 사이의 대응관계를 상당히 자주 바꿔서 사용자가 두드리는 키의 위치를 기억하면서 동시에 이 대응관계를 기억하는 것을 더 어렵게 하였다. 제2도는 사용자가 θ 키를 두드릴 때 화면상에 나타나는 표시관계를 보여준다. 이 변형례에 의하면, 제 2 부호열은 같은 위치에 그대로 있지만 제 1 부호열은 새로운 숫자로 배치되었으며, 라인 6에서 첫번째 점은 별표로 바뀌었다. 본 발명의 이런 변형례에 의하면, 전처럼 θ 키를 두드린 뒤, 코드의 두번째 숫자(이 경우에는 7)에 대응하는 ♠ 키를 두드린다. 따라서, 사용자가 두드린 키를 보기위해 기다린 제 3자는 제 1열의 대응부호를 결정할 수 없을 것이다. 사실, 사용자가 θ 키를 두드린 뒤 화면을 보기를 기다린 제 3자는 θ에 대응하는 숫자가 3이라고 읽을 것이므로 비밀정보의 첫번째 숫자를 잘못 추측하는 셈이다. 따라서, 제 3자가 비밀정보를 얻을 수 있으려면 사용자가 부호를 치기 전에 제 1 부호열과 제 2 부호열 사이의 대웅관계를 계속 기억할 수 있어야만 할 것이고, 이렇게 되면 제 3자가 비밀정보의 부호 세트를 기억하게 되는 위험이 상당히 감소된다.
제1, 2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화면에 2개의 부호열이 표시되었지만, 제 1 부호열만이 가변적인 위치를 갖는다. 물론 제 2 부호열의 위치를 바꿀 수도 있고, 또는 제 1 부호열은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면서 제 2 부호열의 위치를 바꿀 수도 있다.
제3∼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의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 변형례에서는 제 1 부호열 밑에 제 2 부호열을 배치하고, 제 2열의 부호들은 표시화면 밑의 단말기 하우징에 영구적으로 배치한다. 이런 배치가 본 발명의 프로세스의 이번 변형례의 특징은 아니고, 제 1, 2도와 같은 부호 배치를 채택할 수도 있다. 이번 변형례의 특징은, 제 2부호열이 제 1 부호열 밑에 있는 별도의 몇몇 부호로 구성되어, 제 1열의 부호와 제 2열의 부호 사이의 대응관계를 갖기 위해서는 제 2열중의 동일한 부호를 제 1열의 부호 여러개에 할당할 필요가 있다는데 있다. 제 3, 4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부호열은 전과 마찬가지로 0부터 9까지의 10개 숫자로 구성되고, 제 2 부호열은 5개의 별개의 부호들()만으로 구성된다. 제 2 열의 부호를 제 1 열의 각 부호에 대응시키려면, 제 2열중의 어떤 부호들은 그들이 할당되는 제 1열중의 부호들을 나타내도록 표현한다. 따라서,는 θ와 ♥와 마찬가지로 2 개의 숫자에 할당되고,는 3개의 숫자에 할당되며,는 한개의 숫자에 할당된다.
카드를 삽입하면, 제 1열중의 부호들이 랜덤하게 표시되어, 제 2열중의 각 부호가 제 1열중의 각 부호에 대응한다. 이와 관련하여, 제 1열중의 부호의 위치는 완전히 랜덤할 수 있고, 이것은 제 1열중의 부호들이 제 2열중의 부호에 대해서는 물론 서로에 대해서도 랜덤하게, 즉 의사-랜덤 형태로 배치되어 있음을 의미하고, 이는 제 2열중의 부호에 대해 랜덤하게 배치되는 동안, 제 1열중의 숫자들이 서로에 대해 순차로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제 3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이고, 여기서 숫자는 순서대로 순환 배열되어 있으며, 제 2열의 부호에 대한 랜덤 위치는 이 순서대로 랜덤 시프트하여 결정된다. 특히, 제 3도에서, 0은 제 2열중의를 갖는 두번째 박스에 대응한다.
제 1열중의 부호들의 위치가 비밀정보의 모든 입력 도중에 일정한 상태에 있다고 하면, 코드가 4723일 경우 사용자는, 제 3도의 경우, 부호를 연속적으로 입력한다. 제1도에서 설명한 경우와 달리, 키보드와 화면을 동시에 관찰하는 제 3자라도 사용자가 확실히 입력한 비밀정보를 추론할 수 없을 것이다. 사실, 사용자가 첫번째 부호로 θ를 입력한 것을 제 3자가 본다해도, 그는 이 부호가 1이나 4에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알 수 없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부호를 입력하더라도, 관찰자는 이 부호가 0이나 5나 7중의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알 수 없다. 역시, 부호 ♥는 0이나 8중의 하나에 해당할 수도 있다. 단지 부호만이 6에 대응한다. 이경우, 코드가 1529나 4089라면 사용자는 제 2열중의 동일한 순서의 부호들을 입력했을 것이다.
제 1열과 2열의 부호들 사이의 모든 대응관계와 사용자가 두드린 키의 순서를 관찰자가 기억하는데 성공했고, 다음 입력 도중에 그가 이 정보를 재사용하고자 한다고 하면, 그는 자신이 제4도와 같은 새로운 대응관계에 직면했음을 알 것이다. 이 도면에서는, 제 1 부호열을 구성하는 숫자 배열과 제 2 부호열 사이에 새로운 시프트가 행해졌다. 따라서, 앞의 입력과정중에 관찰자가 1과 4의 차이를 눈치챌 수 있었더라도 그것은 지금은로 되어있고, 이것은 제 3자가 비밀정보를 구성하는 첫번째 부호를 입력할 때 두번중 한번은 실수할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마찬가지로 제 3자는 두번째 입력 부호에 대해서도 의심을 가질 것인데, 이는 제 3도의에 대응하는 0,5, 7이 제4도에서는,또는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관찰자가 비밀정보를 정확하게 재입력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 이런 위험은, 전과 마찬가지로, 부호를 입력할 때마다 제 1 부호열과 제 2 부호열 사이의 대응관계를 바꾸도록 하면 더 감소된다.
제 5도의 변형례는, 제 2열의 부호들을 구성했던 복잡한 도형들을 하나의 기본 부호로 이루어진 간단한 부호인 이등변삼각형으로 교체했다는 점에서 제3도와 구별된다. 제 2 부호열은 5개의 부호로 구성되고, 각 부호는 삼각형의 갯수나 방향에 의해 구별된다. 따라서, 제 1 부호열중의 2∼4의 3개 숫자는 제 5도에서 우측으로 배향된 나란한 2개의 삼각형(6)으로 구성되는 동일 부호로 표시되어 있다. 7은 이런 대응관계를 정의한다. 0과 1은 숫자 2∼4와 같은 방향의 하나의 삼각형(6)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런식으로 하나의 간단한 부호로 제 2열을 구성하면, 사용자가 사용한 부호세트를 즉각 기억한다는 이점이 있다. 또, 제 2 부호열의 동일한 부호로 표기된 제 1부호열중의 숫자(예; 2∼4)가 나란히 있으므로, 하나의 부호(여기서는 2개의 삼각형(6))가 이들을 모두 동시에 표시하므로, 사용자의 업무가 더 쉬워진다.
제6도는 본 프로세스를 실현하는 다른 변형례로서, 숫자 4723 이외에, 사용자의 비밀 코드는 제 2열의 부호중 2개의 비밀 기준부호(3,9)를 포함하고, 이들 모든 부호들은 입력시 사용자와 단말기에 알려진다고 한다. 이들 기준부호들은, 예컨대, 서비스 예약이 요청될 때 권한있는 기관에 의해 비밀정보와 함께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제6도에서 2개의 열은 동일하고, 이들을 구성하는 부호들은 0부터 9까지이다.
단말기는 제 2 부호열(61)을 표시수단에 각인된 부호들과 함께 영구적으로 또는 랜덤 하게 표시한다. 표시 박스들은 입력하고자 하는 제 1 열의 부호들을 제 2열의 부호들과 대향되게 표시하도록 배열되었다. 제6도의 실시예에서, 기준부호(3,9)와 대향배치된 박스에 대응하는 박스(63)는 진하게 표시되어 있다. 물론, 화면상의 표시는 특별하지 않으므로, 표시된 부호중 어느것이 기준부호인지 제 3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표시는 없다.
이런 표시수단과 관련된 키보드(65)는 0부터 9까지의 부호로 식별되는 키로 구성되고 사용자는 이들 부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들 부호들은 입력되자마자 제 2열중의 부호들에 대향 배치된 박스에 표시된다. 이어서 사용자는 이들 2개 박스(63) 이외의 모든 박스에 중요치않은 부호들을 입력한다. 그러나, 비밀정보중의 처음 2개의 숫자(4,7)는 박스(63)에 입력한다. 모든 박스가 채워지면 입력이 끝나는바; 기준 부호들을 구성하는 열의 대향 부호열을 다시 입력하여 비밀정보중의 나머지 2 숫자(2,3)를 같은식으로 입력한다. 제 3자는 기억능력을 향상시켜서 이미 입력된 완전한 조합을 기억할 수는 있지만, 어느 부호가 어떤 특별한 중요성을 갖는지는 전혀 결정하지 못한다. 제 2열중의 부호들이 처음부터 랜덤하게 표시될 경우에는, 이런 조합을 입력해도 제 3자에게 아무 소용 없을 것이다.
제 2열에 대향 표시된 순서대로 제 1열중의 부호들을 스크롤하는 시스템을 고안할 수도 있다. 이 목적으로는 이들 부호들을 시프트하는 수단이 제공되었다. 예컨대, 좌우측의 2개의 시프트키나 하나의 키를 이용해 제 1열중의 부호들의 주기적 스크롤을 개시할 수도 있다. 이들 키중의 하나를 누를 때마다, 또는 주어진 아주 짧은 시간이 경과한뒤, 그 순서를 선택된 방향으로 1 포지션씩 시프트하고, 이것을 반복하여 제 2열중의 부호에 대치하는 제 1열중의 부호가 항상 있도록 한다. 비밀정보중의 첫번째 부호가 기준부호들중의 하나에 대응하면, 사용자는 유효키나 음성으로 유효명령을 준다.
비밀정보의 다음 부호를 입력하기 전에 2개 열중의 적어도 1열의 부호들이 새로운 랜덤 순서로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이것은 앞의 부호가 시스템에 의해 유효하게 포착 되었고 이 시스템이 다음 입력을 기다린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려주는데 충분하다.
이 사이클은 모든 비밀정보가 입력될 때까지 반복된다. 동작이 끝날 즈음에, 메시지를 간단히 표시하거나 부호 순서들을 소거할 수 있고, 이것은 입력이 끌났다는 신호다. 각각의 입력된 부호에 대해 ★ 등의 문자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제6도의 경우, 비밀정보의 부호들은 질서정연하게 순서대로 (1... i...n)와 같이 입력된다. 제 3자를 혼동시키기 위해 이 정보를 무질서한 형태로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기에서는 사용자의 기준부호(들)를 대치하는 i 위치에 자기의 부호(들)를 두라고 지시하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이렇게 하여, 입력순서가 뒤섞이므로 새로 입력할 때마다 변한다.
제 6도에서와 같이, 비밀정보가 숫자로 구성된 경우, 단말기의 메시지 역시 사용자에게 그 숫자를 배치하라고 명령하는데, 이는 기준부호를 대치하는 i, j 위치에 있는 비밀정보의 숫자의 함수로 부터 구해진다. 물론, 이 함수는 입력할 때마다 바뀐다.
메시지가 다음과 같다고 하자:
비밀 박스 1; 코드의 세번째 숫자 +1을 입력할 것.
비밀 박스 2; 코드의 첫번째 숫자 -1을 입력할 것.
이때 사용자는 3(=2+1)과 3(=4-1)을 기준부호에 대응하는 박스(63)에 입력해야만 한다. 이 메시지를 습득하고 입력된 숫자를 알 가능성이 있는 제 3자라도 입력 숫자들중 어느것을 이들 함수에 대입하여 비밀정보를 얻는지는 모를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된 모드에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어떤 변형도 가능하다. 특히, 제 1열의 부호들이 숫자로 되어있었지만, 어떤 부호라도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부호들이 카드마다 다를 수도 있고, 이때는 제 1열의 부호들은 카드에 들어있는 암호화된 함수로 단말기에 표시된다.
제 1, 제 2 부호열에 동일한 부호들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이들 부호열이 화면상에서 분명히 지시되어야만 할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입력과정중에 실수할 위험이 너무 크다.

Claims (15)

  1. 제 1 부호열(3)에 속하는 복수의 부호들로 구성되어 사용자에 의해 단말기로 공급되는 비밀정보의 입력 프로세스에 있어서; - 제 2 부호열(4)을 형성하는 단계; - 제 1 부호열의 각 부호가 제 2 부호열의 각 부호에 대응 배치되도록 제 1 및 제 2 부호열을 표시수단상에 표시하는 단계; 및 - 상기 비밀정보를 구성하는 제 1 부호열중의 부호들의 배치에 대응하는 제 2 부 호열중의 부호들을 이용하여 비밀정보를 지적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과는 다르고 복수의 키가 달려있는 키보드(1)를 이용하고, - 제 2 부호열(4)에 속하는 부호에 키보드상의 각 키를 할당하는 단계, -제 1 및 제 2 부호열을 단말기에 알려진 상호 랜덤한 분포상태로 표시수단에 표시하는 단계; 및 - 상기 비밀정보를 구성하는 제 1 부호열(3)의 부호에 대응하는 위치의 제 2 부호열(4)중의 부호에 일치하는 부호가 달린 키보드(1)상의 각 키를 눌러서 상기 비밀정보를 구성하는 제 1 부호열중의 부호를 지적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열(3,4)중의 적어도 하나는 키보드(1)상의 키를 두드리자 마자 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4. 제1항에 있어서, - 제 2 부호열(4)의 부호들중에서 단말기와 사용자에게 알려진 적어도 하나의 기준부호를 비밀리에 정하는 단계; 및 - 제 2 부호열중의 부호에 대응하는 제 1 부호열중의 부호들을 표시하여, 매번 상기 비밀정보를 구성하는 비밀부호들중의 하나를 상기 기준부호에 대응 배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5. 제4항에 있어서, - 입력 동작중에 제 1 부호열(3)중의 부호 쌍을 임의의 순서로 표시하고; - 상기 부호 쌍(3)을 제 2 부호열(4)중의 부호에 대해 시프트하여, 상기 비밀정보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비밀부호를 상기 기준부호 앞에 배치하며, - 비밀부호가 기준부호 앞에 배치되었을 때 사용자가 단말기에 유효명령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6. 제4항에 있어서, 복수의 키가 달린 키보드(1)를 사용하고, 제 1 부호열(3)에 속하는 부호를 각각의 키에 할당하며, 제 2 부호열(4)의 부호에 대응하는 제 1 부호열(3)의 각 부호는 이 부호가 할당된 키를 눌러서 표시되고, 이렇게 사용자에 의해 기준부호 앞에 배치된 제 1 부호열의 부호와 비밀정보의 적어도 하나의 부호 사이를 비교하도록 단말기가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7. 제6항에 있어서, 비밀정보에는 소정의 순서 (1...i...n)로 배열된 여러 비밀부호들이 있으며, 사용자가 제 1 부호열(3)의 부호를 표시하기 전에 단말기는 기준부호에 대응하는 i위치에 비밀부호를 배치하라고 지시하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정보를 구성하는 제 1 부호열(3)의 부호가 숫자이고, 단말기는 기준부호에 대웅하는 상기 비밀정보의 i 위치에 상기 숫자의 함수의 결과를 배치하라고 사용자에게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9. 제1항에 있어서, 제 2 부호열(4)에는 제 1 부호열(3)의 부호의 갯수보다 적은 갯수의 각각 다른 부호들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10. 제1항에 있어서, 제 2 부호열(4)중의 부호가 제 1 부호열(3)중의 부호와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세스.
  11. 표시수단과, 사용자에 의해 공급되고 제 1 부호쌍(3)에 속하는 복수의 부호로 구성된 비밀정보를 입력하는 수단을 구비한 단말기에 있어서; 제 1 부호열(3)의 각 부호가 제 2 부호열(4)의 부호에 대응 배치되게 상기 제 1 및 제 2 부호열(4)을 표시하도록 구성되고; - 상기 제 2 부호열(4)중의 부호를 이용해 상기 비밀정보를 구성하는 제 1 부호열(3)의 부호를 사용자가 지적할 수 있게하는 수단; 및 - 상기 입력을 유효화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표시수단과는 다르고 복수의 키(5)가 달린 키보드(1)를 구비하고, 상기 키보드상의 각각의 키에는 상기 제 2 부호열(4)에 속하는 부호가 붙어있으며, 상기 비밀정보를 구성하는 부호들중의 대응 부호를 표시하는 제 2 부호열(4)의 부호에 대응하는 부호가 달린 각각의 키를 누르면 비밀정보를 구성하는 부호가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 사용자에게 알려지고 제 2 부호열(4)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부호를 기억하는 수단; 및 비밀정보를 구성하는 부호들이 상기 기준부호에 대응 배치되도록 제 1 부호열(3)의 부호를 사용자에게 표시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4. 제11항에 있어서, 제 2 부호열(4)에는 제 1 부호열(3)의 부호의 갯수보다 적은 갯수의 각각 다른 부호들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제 2 부호열(4)의 부호가 제 1 부호열(3)의 부호와는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19950700857A 1993-07-01 1994-07-01 비밀 정보의 입력 프로세스 및 관련 단말기 KR01464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308073A FR2708358B1 (fr) 1993-07-01 1993-07-01 Procédé de saisie d'une information confidentielle, terminal et système de vérification associés.
FR93-08073 1993-07-01
PCT/FR1994/000809 WO1995001616A1 (fr) 1993-07-01 1994-07-01 Procede de saisie d'une information confidentielle et terminal associ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46434B1 true KR0146434B1 (ko) 1998-12-01

Family

ID=9448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0857A KR0146434B1 (ko) 1993-07-01 1994-07-01 비밀 정보의 입력 프로세스 및 관련 단말기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5815083A (ko)
EP (1) EP0632413B1 (ko)
JP (1) JP2746757B2 (ko)
KR (1) KR0146434B1 (ko)
CN (1) CN1047856C (ko)
AT (1) ATE190743T1 (ko)
AU (1) AU664673B2 (ko)
CA (1) CA2143651C (ko)
DE (1) DE69423390T2 (ko)
DK (1) DK0632413T3 (ko)
ES (1) ES2145111T3 (ko)
FR (1) FR2708358B1 (ko)
NO (1) NO308148B1 (ko)
SG (1) SG48009A1 (ko)
TW (1) TW346579B (ko)
WO (1) WO199500161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984B1 (ko) * 2005-09-09 2007-05-16 주식회사 비티웍스 입력내용 노출 방지를 위한 가상 키보드 디스플레이 장치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3901A (en) * 1978-07-24 1979-11-13 Ford Motor Company Ball joint and pole assembly for starter motor
DE19620346A1 (de) * 1996-05-21 1997-11-27 Bosch Gmbh Robert Grafische Paßworteingabe
US6549194B1 (en) * 1999-10-01 2003-04-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for secure pin entry on touch screen display
GB9928736D0 (en) 1999-12-03 2000-02-02 Ncr Int Inc Self-service terminal
JP4565291B2 (ja) * 2000-01-28 2010-10-2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4839516B2 (ja) * 2001-02-27 2011-12-21 ソニー株式会社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US6980081B2 (en) * 2002-05-10 2005-12-2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and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US8396809B1 (en) 2002-05-14 2013-03-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 for reducing purchase time
US6934664B1 (en) 2002-05-20 2005-08-23 Palm, In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 security state of an electronic device
KR20020077838A (ko) * 2002-08-09 2002-10-14 박승배 타인의 관찰에 의한 패스워드의 노출 문제를 해결한 패스워드 시스템
BR0300474A (pt) * 2003-02-25 2004-11-03 Banco Itau S A Método de geração de um teclado virtual para digitação da senha de segurança ou identificação positiva de um usuário
US7725388B2 (en) * 2003-05-05 2010-05-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Verification of electronic financial transactions
KR100743854B1 (ko) * 2004-05-31 2007-08-03 박승배 관찰자에게 입력정보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정보입력방법
WO2006081593A1 (en) * 2005-01-27 2006-08-03 White, Linda, Patricia A pattern based password method and system resistant to attack by observation or interception
GB2424736A (en) * 2005-04-01 2006-10-04 Lloyds Tsb Bank Plc A user authentication system
US8448226B2 (en) * 2005-05-13 2013-05-21 Sarangan Narasimhan Coordinate based computer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s
US7836492B2 (en) * 2005-10-20 2010-11-16 Sudharshan Srinivasan User authentication system leveraging human ability to recognize transformed images
JP4924603B2 (ja) * 2006-03-01 2012-04-25 日本電気株式会社 顔認証装置、顔認証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41039B1 (ko) * 2011-11-28 2018-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패스워드 인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기기
JP5539415B2 (ja) * 2012-01-19 2014-07-02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D710381S1 (en) 2012-03-07 2014-08-05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US9030293B1 (en) * 2012-05-04 2015-05-12 Google Inc. Secure passcode entry
US10515363B2 (en) 2012-06-12 2019-12-24 Square, Inc. Software PIN entry
GB2516419A (en) * 2013-06-14 2015-01-28 Mastercard International Inc A voice-controlled computer system
CN104281272B (zh) * 2013-07-11 2018-07-03 北京数码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密码输入处理方法及装置
US9773240B1 (en) 2013-09-13 2017-09-26 Square, Inc. Fake sensor input for passcode entry security
US9558491B2 (en) * 2013-09-30 2017-01-31 Square, Inc. Scrambling passcode entry interface
US9613356B2 (en) 2013-09-30 2017-04-04 Square, Inc. Secure passcode entry user interface
US9928501B1 (en) 2013-10-09 2018-03-27 Square, Inc. Secure passcode entry docking station
USD711427S1 (en) 2013-10-22 2014-08-19 Apple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icon
CN106295314A (zh) * 2015-05-22 2017-01-0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虚拟键盘的加密方法及装置
USD877174S1 (en) 2018-06-03 2020-03-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12342A (en) * 1975-02-20 1978-06-01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Apparatus for displaying numerical value information
FR2459514A1 (fr) * 1979-06-19 1981-01-09 Gao Ges Automation Org Procede d'introduction d'un mot de code personnel dans un lecteur automatique de documents
ES8205923A1 (es) * 1980-02-15 1982-07-01 Rehm Pty Ltd Perfeccionamientos en los aparatos de seguridad del tipo queincluyen teclados
US4333090A (en) * 1980-05-05 1982-06-01 Hirsch Steven B Secure keyboard input terminal
GB8402260D0 (en) * 1984-01-27 1984-02-29 Gen Electric Co Plc Input selection apparatus
US4727357A (en) * 1984-06-08 1988-02-23 Amtel Communications, Inc. Compact keyboard system
GB8602872D0 (en) * 1986-02-05 1986-03-12 Racal Chubb Ltd Data input device
JPH02171028A (ja) * 1988-12-23 1990-07-02 Matsushita Refrig Co Ltd 個人識別システム
US5274370A (en) * 1989-05-08 1993-12-28 Morgan Douglas J Reduced indicia high security locks
AU6948591A (en) * 1990-02-01 1991-08-08 Russell Francis Dumas Pin-number/word conversion device
WO1992006464A1 (en) * 1990-10-01 1992-04-16 Motorola, Inc. Liquid crystal display
US5128672A (en) * 1990-10-30 1992-07-07 Apple Computer, Inc. Dynamic predictive keyboard
DE4129202A1 (de) * 1991-09-03 1993-03-04 Hauni Elektronik Gmbh Schaltungsanordnung zum sichern eines oder mehrerer betaetigungselemente gegen optisches erkennen der vorgenommenen betaetigungen
FR2684778A1 (fr) * 1991-12-06 1993-06-11 Maurras Jean Francois Clavier a initialisation aleatoire.
US5276314A (en) * 1992-04-03 1994-01-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dentity verification system resistant to compromise by observation of its use
JP2899480B2 (ja) * 1992-06-13 1999-06-02 美和ロック株式会社 暗証符号入力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8984B1 (ko) * 2005-09-09 2007-05-16 주식회사 비티웍스 입력내용 노출 방지를 위한 가상 키보드 디스플레이 장치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423390D1 (de) 2000-04-20
CN1111462A (zh) 1995-11-08
WO1995001616A1 (fr) 1995-01-12
FR2708358B1 (fr) 1995-09-01
DE69423390T2 (de) 2000-08-24
NO950783D0 (no) 1995-02-28
SG48009A1 (en) 1998-04-17
AU664673B2 (en) 1995-11-23
JPH07509583A (ja) 1995-10-19
AU7189494A (en) 1995-01-24
FR2708358A1 (fr) 1995-02-03
NO308148B1 (no) 2000-07-31
NO950783L (no) 1995-04-28
CA2143651C (fr) 2000-06-13
EP0632413A1 (fr) 1995-01-04
ES2145111T3 (es) 2000-07-01
US5815083A (en) 1998-09-29
ATE190743T1 (de) 2000-04-15
CN1047856C (zh) 1999-12-29
DK0632413T3 (da) 2000-06-26
EP0632413B1 (fr) 2000-03-15
TW346579B (en) 1998-12-01
JP2746757B2 (ja) 1998-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6434B1 (ko) 비밀 정보의 입력 프로세스 및 관련 단말기
US4857914A (en) Access-control apparatus
US4502048A (en) Security means
US10223857B2 (en) Keyless entry with visual rolling code display
US6658574B1 (en) Method for non-disclosing password entry
US53675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 identification
US20040030933A1 (en) User interface and method for inputting password and password system using the same
US20090037986A1 (en) Non-disclosing password entry method
US8850603B2 (en)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device passcode security
WO1996018139A1 (en) Security code input
US20070198846A1 (en) Password input device, password input method, recording medium, and electronic apparatus
CA2094026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sonal identification
GB2120434A (en) A security system
EP0147837A2 (en) Password number inputting device with variable key reassignment
CN101149646B (zh) 输入装置及包括它的电子设备
JP4734965B2 (ja) 暗証番号入力装置
AU2005228907B2 (en) Method for safely logging onto a technical system
JP2003330888A (ja) 暗証入力装置及び暗証入力方法
JP6376598B2 (ja) パスワード入力装置及びパスワード入力方法
JPH02205969A (ja) 個人識別システム
EP4418154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cure entry of a code in a device
JP2005182094A (ja) 暗証番号入力方法および暗証番号入力装置
JPS60225218A (ja) キ−ボ−ド
JP3310618B2 (ja) 暗証番号入力装置
JPH053020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22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5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4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5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5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5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5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5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5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50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50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9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50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3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