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41753B1 - 스크롤 유체기계의 스크롤 위치결정장치 및 스크롤 위치결정방법 - Google Patents

스크롤 유체기계의 스크롤 위치결정장치 및 스크롤 위치결정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1753B1
KR0141753B1 KR1019950017071A KR19950017071A KR0141753B1 KR 0141753 B1 KR0141753 B1 KR 0141753B1 KR 1019950017071 A KR1019950017071 A KR 1019950017071A KR 19950017071 A KR19950017071 A KR 19950017071A KR 0141753 B1 KR0141753 B1 KR 01417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turning
fixed scroll
lap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7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974A (ko
Inventor
도진영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50017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41753B1/ko
Publication of KR970001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1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1753B1/ko

Links

Landscapes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롤 유체기계의 스크롤 위치결정장치 및 스크롤 위치 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스크롤의 X,Y방향의 의치만을 결정하고, 위상을 결정치하지 않고 제품이 조립되어 압축기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는 바, 메인 프레임과 선회스크롤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고정스크롤을 선회스크롤에 대해 회전시켜 고정스크롤의 랩과 선회그크를의 랩이 접촉되는 위치를 검출하며 그 위치에서 고정스크롤을 정지시키는 회전 및 위치검출수단과, 상기 고정스크롤과 선회스크롤의 접촉된 상태에서 랩의 요구되는 회전값만큼 고정스크롤을 역회전시키는 위치보정수단으로 구성되는 본 발명 장치와, 그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구조가 간소화되고, 작업생산성이 향상되며, 설비투자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고, 제품의 효율을 극대화시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크롤 유체기계의 스크롤 위치결정장치 및 스크롤 위치결정방법
제1도는 종래 스크롤 유체기계의 스크롤 위치결정장치의 구성도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유체기계의 스크롤 위치결정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확대도.
제5도는 본 발명 장치에 의해 조정되기 전 상태의 스크롤의 저면도.
제6도는 본 발명 장치에 의해 양스크롤의 랩이 접촉된 상태의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고정스크롤12:선회스크롤
13:메인 프레임14:동심 샤프트
15:승강실린더16:에어척
17:구동모터18:토르크 리미터
19:록킹실린더20:엥코더
21:메인 프레임 고정척22:척장동 실린더
본 발명은 스크롤 유체기계의 스크롤 위치결정장치 및 스크롤 위치 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치를 간소화하여 작업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정확한 스크롤의 위치결정을 실시가능하도록 한 스크롤 유체기계의 스크롤 위치결정장치 및 스크롤 위치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스크롤 유체기계의 스크롤 위치결정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스크롤(1)을 고정시키고 X,Y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고정스크롤 이동부와, 선회스크롤(2)를 고정시키고 선회운동을 하는 선회스크롤 선회부와, 상기 선회스크롤(2)을 고정시키고 선회운동을 하는 선회스크롤 선회부와, 상기 선회스크롤(2)의 선회에 의해 고정스크롤 랩에 선회스크롤 랩이 접촉시에 접촉위치를 검지하는 접촉검지부와, 상기 접촉 검지부가 검지한 접촉위치 데이터를 연산하여 상기 고정스크롤 이동부를 작동시키는 연산제어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스크롤 위치결정장치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고정스크롤(1)의 위치를 잠정적으로 결정한 후, 선회스크롤 선회부에 의해 선회스크롤(2)을 선회운동시키면서 동시에 고정 스크롤 이동부에 의해 고정스크롤(1)을 X,Y방향으로 미소 이동시켜 준다. 이때, 고정스크롤 랩의 측면에 선회스크롤 랩의 측면이 접촉되는 위치를 X,Y방향에 대해 각각 (+),(-)측의 각 위치마다 접촉검지부를 사용하여 검지하여, 이 검지 결과를 연산제어부에 입력하여 중간값을 연산한 후, 이 값을 고정스크롤 이동부에 지령하여 고정스크롤(1)의 위치를 수정함으로써 고정스크롤과 선회스크롤의 위치를 결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스크롤 위치결정장치는 스크롤의 위치 결정시 선회스크롤(2)을 선회시키면서 동시에 고정스크롤(1)을 X,Y방향으로 이동시켜 랩의 측면이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선회스크롤(2)을 선회 운동시키는 편심샤프트가 고정반경일 경우에는 적용가능하다고 하겠으나, 편심부시를 이용한 가변반경일 경우에는 적용이 안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스크롤의 위치결정시 고정스크롤과 선회스크롤의 X,Y방향 오차에 대해서만 위치보정이 이루어지므로, 양 스크롤의 위상차로 인한 방향의 오차에 대해서는 위치보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롤의 위치결정시 X,Y방향 뿐 아니라, 방향의 위상차도 결정할 수 있도록하여 정확한 스크롤의 위치결정을 실현하려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메인 프레임과 선회스크롤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고정스크롤을 선회스크롤에 대해 회전시켜 고정스크롤의 랩과 선회스크롤의 랩이 접촉되는 위치를 검출하며 그 위치에서 고정스크롤을 정지시키는 회전 및 위치검출수단과, 상기 고정스크롤과 선회스크롤의 접촉된 상태에서 랩의 요구되는 회전값만큼 고정스크롤을 역회전시키는 위치보정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유채기계의 스크롤 위치결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메인 프레임과 선회스크롤을 동축상에서 고정시키는 단계와, 고정스크롤의 랩을 선회스크롤의 랩을 선회스크롤의 랩에 대해 완전히 접촉되는 위치까지 회전시키는 단계와, 고정스크롤의 랩이 선회스크롤의 랩과 접촉된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양스크롤의 랩의 접촉된 위체에서 랩의 접촉을 위해 이론적인 회전값만큼 반대바향으로 고정스크롤을 역회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유체기계의 스크롤 위치결정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일실시례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제2도 및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유체기계의 스크롤 위치결정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및 측면도이고, 제4도는 제3의 확대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유체기계의 스크롤 위치결정장치는 메인 프레임(13)을 척킹하는 고정척(21)과, 상기 메인 프레임(13)과 선회스크롤(12)의 동심을 유지하는 동심 샤프트(14)로 구성되는 척킹 유닛과, 고정스크롤(11)을 척킹하여 고정스크롤의 랩(11a)이 선회스크롤의 랩(12a)에 접촉할 때까지 회전시켜 그 위상을 검출하는 회전 및 위상 검출유닛과, 상기 회전 및 위상 검출유닛이 고정스크롤을 척킹하여 회전할 때 중심위치를 선회스크롤의 중심에 맞추어주는 위치보정유닛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 및 위상검출유닛은 승강실린더(15)에 의해 상하로 상슬/하강되는 바, 이러한 회전 및 위상검출유닛은 상기 고정스크롤(11)을 척킹하는 에어척(16)과, 고정스크롤(11)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7)와, 상기 고정스크롤의 랩(11a)과 선회스크롤의 랩(12a)이 접촉되었을 때 일정한 출력을 나타내는 토르크 리미터(18)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고정 스크롤 랩(11a)과 선회스크롤 랩(12a)의 접촉시 상기 회전 및 위상검출 유닛을 고정시키는 록킹실린더(19)가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위치보정유닛으로는 상기 구동모터(17)를 역회전시켜 양스크롤 랩이 이론적으로 요구되는 회전값을 얻도록 확인해주는 엥코더(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선회스크롤(12)의 하면에는 선회스크롤(12)을 잡아주는 고정지그(22)가 설치되어 있고, 동심샤프트(14)의 하면에는 동심샤프트(14)을 지지하는 지지베어링(2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 고정척(21)에는 척작동 실린더(22)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메인 프레임(13)과 선회스크롤(12)의 중심을 일치시키기 때문에 고정스크롤(11)과, 올담링(13a), 선회스크롤(12)을 정위치에 로딩시켰을 때, 선회스크롤(12)을 움직이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스크롤(11)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고정된 선회스크롤의랩(12a)에 고정스크롤의 랩(11a)이 접촉할 때까지 고정스크롤(11)을 회전시켜 그 때의 위상을 검출한 뒤, 역방향으로 랩의 이론적으로 요구되는 접촉 회전 값만큼 역회전시키게 되어 정확한 위상을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 장치는 먼저, 동심 샤크트(14)에 메인 프레임(13)을 삽입하고, 올담링(13a), 선회스크롤(12), 고정스크롤(11)을 순차적으로 조립되고, 이후, 척작동실린더(22)를 전진이동시켜 척(21)이 메인 프레임(13)을 고정하게 된다. 이 때의 동심 샤프트(14)는 지지베어링(23)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만 미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여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척(21)의 중심에 동심 샤프트(14)의 중심이 일치하게 된다.
다음에 승강실린더(15)가 작동되어 상부의 전체 유닛을 하강시키고, 에어척(16)에고정스크롤(11)이 척킹되어 구동모터(17)에 의해 고정스크롤의 랩(11a)이 선회스크롤의 랩(12a)과 접촉되어 토르크 리미터(18)에 일정출력이 나타날 때까지 회전시킨다. 이와 동시에 록킹실린더(19)는 회전 및 위상 검출유닛을 고정시킨다.
상기 에어척(16)은 고정스크롤을 척킹하여 회전할 때, 지지베어링(23)에 의해 중심이 미세변동되는 구조이며, 고정스크롤 랩(11a)과 선회스크롤 랩(12a)이 완전히 접촉할 때까지 회전된 형상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다.
다음에는 양 스크롤의랩(11a)(12a)이 완전히 접촉한 상태에서 랩의 이론적인 요구 회전값만큼 모터(17)를 역회전시켜 주어 그 값을 엥코더(20)로 확인함으로써 스크롤의 위상이 결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스크롤 유체기계의 스크롤 위치결정장치는 구조가 간소화되고, 작업생산성이 향상되며, 설비투자비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고, 제품의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이전이 있다.

Claims (2)

  1. 메인 프레임과 선회스크롤을 고정시키는 고정수단과, 고정스크롤을 선회스크롤에 대해 회전시켜 고정스크롤의 랩과 선회스크롤의 랩이 접촉되는 위치를 검출하며 그 위치에서 고정스크롤을 정시시키는 회전 및 위치검출수단과, 상기 고정스크롤과 선회스크롤의 접촉된 상태에서 랩의 요구되는 회전값만큼 고정스크롤을 역회전시키는 위치보정수단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유체기계의 스크롤 위치결정장치.
  2. 메인 프레임과 선회스크롤을 동축상에서 고정시키는 단계와, 고정스크롤의 랩을 선회스크롤의랩에 대해 완전히 접촉되는 위치까지 회전시키는 단계와, 고정스크롤의 랩이 선회스크롤의 랩과 접촉된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양스크롤의 랩의 접촉된 위체에서 랩의 접축을 위해 이론적인 회전값만큼 반대방향으로 고정스크롤을 역회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롤 유체기계의 스크롤 위치결정방법.
KR1019950017071A 1995-06-23 1995-06-23 스크롤 유체기계의 스크롤 위치결정장치 및 스크롤 위치결정방법 KR01417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7071A KR0141753B1 (ko) 1995-06-23 1995-06-23 스크롤 유체기계의 스크롤 위치결정장치 및 스크롤 위치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7071A KR0141753B1 (ko) 1995-06-23 1995-06-23 스크롤 유체기계의 스크롤 위치결정장치 및 스크롤 위치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974A KR970001974A (ko) 1997-01-24
KR0141753B1 true KR0141753B1 (ko) 1998-07-01

Family

ID=66524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7071A KR0141753B1 (ko) 1995-06-23 1995-06-23 스크롤 유체기계의 스크롤 위치결정장치 및 스크롤 위치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4175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974A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55802B2 (ja) 長尺形材加工装置及び方法
KR100791457B1 (ko) 실린더 회전구동장치를 구비한 턴테이블
JP2989065B2 (ja) 回転体の不釣り合い修正装置
CN111151906B (zh) 压缩机装配焊接生产线及控制方法
JP4371189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の調芯装置およびその調芯方法
CN113618370A (zh) 一种数控机床的主轴装配检测装置
KR0141753B1 (ko) 스크롤 유체기계의 스크롤 위치결정장치 및 스크롤 위치결정방법
KR950005455A (ko) 스크롤상 공작물의 가공방법 및 장치
JPH0825088A (ja) 溶接ロボット用ポジショナ傾動装置
JP4384742B2 (ja) 半導体ウェーハのラッピング装置及びラッピング方法
JP3848186B2 (ja) テーブル制御装置、テーブル制御方法、テーブル制御用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テーブル制御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524541B2 (ja) ワ―ク反転用カム機構
JPH05329702A (ja) 刃先位置検出装置
KR0141754B1 (ko) 스크롤 유체기계의 스크롤 위치결정장치 및 스크롤 위치결정방법
KR0131350Y1 (ko) 상/하 부품 조립용 서브-팔레트 반전장치
JPH10116869A (ja) ウエハ検査装置
JPH10109234A (ja) 自動ねじ締め機
KR20010114073A (ko) 파렛트 위치결정장치
JPH1158193A (ja) 平面研削方法及び平面研削装置
JP2000072249A (ja) ウエハのノッチ揃え機構
JPH10316241A (ja) ウェハ搬送装置
JPH074533Y2 (ja) 動釣合修正装置
JP3723342B2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の組立方法及び装置
JPH0631575A (ja) 位置決め装置
JP2001232585A (ja) ロボット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6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6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3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3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3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2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2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2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8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