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40447B1 - 코일에 대해 경계테이프를 감는 방법 및 경계테이프처리 코일 - Google Patents

코일에 대해 경계테이프를 감는 방법 및 경계테이프처리 코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0447B1
KR0140447B1 KR1019940030712A KR19940030712A KR0140447B1 KR 0140447 B1 KR0140447 B1 KR 0140447B1 KR 1019940030712 A KR1019940030712 A KR 1019940030712A KR 19940030712 A KR19940030712 A KR 19940030712A KR 0140447 B1 KR0140447 B1 KR 0140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winding
boundary
coil
w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0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5421A (ko
Inventor
히데미쯔 혼다
Original Assignee
닛또꾸 엔지니어링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또꾸 엔지니어링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닛또꾸 엔지니어링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500154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4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0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0447B1/ko

Links

Landscapes

  • Insulating Of Coils (AREA)
  • Coil Winding Methods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자로부터 권선위치에 이르는 인출선이 선감기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고 인출선을 보호하기 위해, 경계테이크(40)의 일부를 보빈(3)의 동체부(3E)에 감고, 감겨진 경계테이프(40)의 위를 횡단해서 단자(3B)로부터 동체부(3E)의 선감기시작위치로 선재를 안내하며, 횡단한 선재를 덮도록 경계테이프(40)의 나머지의 부분을 감아붙인다.

Description

코일에 대해 경계테이프를 감는 방법 및 경계테이프처리코일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경계테이프감기작업중의 코일보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경계테이프감기작업중의 코일보빈의 사시도.
제3도는 경계테이프감기를 행하는 테이프감기유니트의 사시도
제4도는 종래의 경계테이프를 감는 방법을 도시한 코일보빈의 측면과 경계테이프의 횡단면의 합성도
제5도는 제4도의 주요부의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보빈3B : 단자
3E : 동체부40 : 경계테이프
[산업상의 이용 분야]
본 발명은 변압기(a transformer) 등에 사용하는 코일(a coil)의 개선을 위해 코일감기작업에 수반되는 테이프감기방법(taping method)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코일감기작업을 행하는 코일권선기는 종래에는 스핀들(a spindle)에 장착한 보빈(a bobbin)을 회전시키면서 노즐(a nozzle)로부터 선재(a wire)를 송출함으로써 동체부에 선재를 감게 구성되어 있다.
선재의 단부는 보빈의 단부면에 설치된 단자에 맨 후에 단자로부터 보빈의 중심축과 거의 평행하게 안내되어 보빈의 동체부의 선감기시작위치에 이른다. 선재는 그러한 시작위치에서 누름기구나 테이프에 의해 보빈의 동체부에 걸리고, 그 후에 보빈의 회전에 의해 동체부에 감기는 권선으로서 약 90도로 굴절한다.
또한, 코일에 따라서는 내압(압력내성)불량에 의한 코로나방전(corona)을 방지하기 위해 보빈의 동체부의 중앙에만 선감기를 행함으로써 보빈의 플랜지부분과 권선부의 사이에 간격을 두게 한 것이 있다. 예를 들어 제4도에 보이듯이 비권선위치로 되는 동체부(3E)의 양단부의 부분에 경계테이프(40 : barrier tape)를 미리 감아둔다. 경계테이프(40)는 선감기층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감겨 있고, 그럼으로써, 선감기중이나 선감기후에 선재가 선감기위치로부터 옆쪽으로 어긋나는 것을 억제한다.
[발명의 과제]
그런데, 경계테이프(40)가 감겨진 보빈(3)에 선감기를 행하는 경우에 보빈(3)의 단자(3B )로부터 권선부에 이르는 인출선은 한 쪽의 경계테이프를 타고 넘어 보빈(3)의 선감기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 때에 제5도에 보이듯이 경계테이프(40)와 보빈의 동체부(3E)의 계단을 빠져내리는 인출선의 수직부분(60)이 선감기공간내로 돌출하고, 이러한 돌출부가 선감기를 방해해서 어지럽게 감기는 원인이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인출선이 경계테이프(40)의 위에 떠오른 상태로 노출하기 때문에 이러한 노출부분이 선감기중에 움직이거나 선감기후에 어긋나기 쉬우므로 손상되어버리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계테이프를 사용하는 코일감기작업에 있어서 단자로부터 선감기위치에 이르는 인출선이 선감기를 방해하지 않고 보빈의 외주에 확실하게 유지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선감기를 행하는 동체부와 권선용의 선재의 단부를 매는 단자로 이루어진 코일용 보빈의 상기 동체부의 비권선위치에 경계테이프를 감는 코일에 대한 경계테이프감기 방법에 있어서 경계테이프의 일부를 상기 동체부에 감고, 감겨진 경계테이프의 위를 횡단해서 상기 단자로부터 상기 동체부의 감기시작위치로 선재를 안내하며, 횡단한 선재를 덮도록 경계테이프의 나머지부분을 감고 있다.
또는, 경계테이프를 동체부의 한 바퀴를 도는 것보다 약간 짧은 길이의 다수의 테이프절편으로 절단하고, 그러한 테이프절편을 절단부를 포개서 상기 동체부에 감음으로써 상기 단자로부터 동체부에 이르는 선재를 수용하는 홈을 경계테이프층을 횡단해서 축방향으로 형성하고 있다.
또는, 본 발명은 선감기를 행하는 동체부와 권선용 단부를 매는 단자로 이루어진 보빈의 상기 동체부의 비권선위치에 경계테이프를 감은 경계테이프처리코일에 있어서 상기 단자로부터 경계테이프를 횡단해서 선감기위치에 이르는 선재를 경계테이프의 하층에 매립하고 있다.
또는, 경계테이프에 테이프횡단방향으로 홈을 형성하고 경계테이프를 횡단해서 상기 단자로부터 선감기위치에 이르는 선재를 그러한 홈안에 배치하고 있다.
[작용]
경계테이프의 일부가 동체부에 감겨진 단계에서 선재를 단자로부터 동체부의 선감기위치로 안내하므로 선재가 경계테이프의 횡단에 의해 형성하는 계단이 극히 작아지게 된다. 선재의 위에 경계테이프의 나머지의 부분을 감음으로써 경계테이프횡단부분의 선재는 경계테이프의 하층에 매립되고, 권선과의 사이의 계단이 작아짐과 아울러 경계테이프에 좀더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는 미리 동체부의 한 바퀴를 도는 것보다 약간 짧게 절단한 경계테이프를 절단부를 포개서 보빈에 감음으로써 소정의 위치에 경계테이프를 횡단하는 홈이 형성되므로 단자로부터 선감기위치에 이르는 선재를 그러한 홈에 수용함으로써 선재는 계단이 없이 경계테이프를 횡단할 수 있고, 횡단부분의 선재는 홈의 안쪽에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실시예]
제1도 내지 제3도에 본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도의 (a)에 도시한 보빈(3)은 권선대상의 동체부(3E)와 권선용 선재의 단부를 매는 2개의 단자(3B)를 구비한다.
보빈(3)에 대한 선감기는 동체부(3E)의 중앙부에 행해지고, 동체부(3E)의 그 밖의 부분에는 경계테이프(40)가 권선층의 두께를 상회하는 두께에 이르기까지 감겨진다.
선감기작업은 제1도의 (a)에 도시한 노즐(13)로부터 공급되는 선재를 보빈(3)의 회전에 의해 동체부(3)에 감음으로써 행한다. 또한, 보빈(3)은 도시하지 않은 스핀들에 장착되고, 조작에 따라 임의로 회전한다. 또한, 경계테이프(40)의 테이프감기는 제3도에 보이듯이 테이프감기유니트(23 : ataping unit)를 이용해서 행하고, 테이프의 절단부를 동체부(3E)에 밀착시키기 위해 누름기구(18)를 이용한다.
이러한 부재는 선감기작업이나 테이프감기작업을 포함한 일련의 코일작업을 작동적으로 행하는 자동권선기의 일부를 구성한다. 스핀들은 고정위치에 유지되고, 스핀들(13)과 누름기구(18)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아암(arm)에 의해 3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다.
테이프감기유니트(23)는 상하실린더(24)를 거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 기부부재(25 : a base member)에 안내부(27 :a guide)와 절단기(30 : cutter)와 척(29 : chuck) 및 쓰다듬기부재(32)를 배치한 것이다.
안내부(27)는 절연테이프(26)를 안내하는 안내홈(27A)과, 2개의 테이프를 안내하는 안내홈(27B)을 병렬로 구비하고 이동기구(37)의 구동에 따라 도면의 X방향으로 이동하여 그러한 안내홈(27A, 27B)들을 척(29)의 정면에 선택적으로 위치시킨다.
척(29)은 척실린더(28A, 28B : chuck cylinder)의 압축에 따라 개폐되는 파지부재(29A, 29B : holding member)를 구비한다. 그리고, 안내부(27)의 이동위치에 따라 절연테이프(26) 또는 경계테이프(40)의 선단을 파지하고 기부부재(25)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이동기구에 의해 도면이 Y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파지부재(29A, 29B)가 파지하는 테이프(26, 40)를 안내부(27)로부터 인출한다.
절단기(30)는 안내부(27)의 말단에 설치되고 기부부재(25)와의 사이에 끼워진 절단실린더(31 : a cutter cylinder)의 신축에 따라 상하(Z축)방향으로 변위하며 안내부(27)와 척(29)의 사이에서 테이프(26 40)를 절단한다.
쓰다듬기부재(32)는 보빈(3)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쓰다듬기실린더(33)를 거쳐서 기부부재(25)에 지지된다.
쓰다듬기부재(32)는 스프링(36 : a spring)에 지지된 2개의 직방체인 부재(32A, 32B)를 구비하며 쓰다듬기실린더(33)의 신축에 따라 그러한 부재(32A, 32B)가 보빈(3)의 동체부(3E)를 탄성적으로 누른다.
경계테이프(40)의 보빈(3)에 대한 감김시에는 우선 척(29)에 의해 경계테이프(40)를 안내부(27)로부터 인출하고 기부부재(25)의 상승에 의해 그 일부를 동체부(3E)에 붙인다.
이어서, 척(29)을 열어서 경계테이프(40)의 선단을 파지부재(29A, 29B)로부터 잡아떼고, 쓰다듬기부재(32)를 상승시켜 동체부(3E)에 경계테이프(40)를 쓰다듬어 붙이면서 보빈(3)을 회전구동한다. 그럼으로써 경계테이프(40)가 동체부(3E)에 감겨진다. 경계테이프(40)가 한 바퀴 내지 두 바퀴정도 동체부(3E)에 감겼을 때에 보빈(3)의 회전을 정지하고, 절단기(30)를 상승시켜 경계테이프(40)를 절단한다.
절단한 경계테이프(40)의 말단은 최후까지 동체부(3E)에 감겨지지 않고 적당한 길이로 계속되어 제1도의 (a)에 보이듯이 공중에 떠있는 상태로 하고 있다.
여기에서 노즐(13)을 움직여서 선재의 일단을 단자(3B)에 맨 후에 노즐(13)을 보빈(3)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선재를 경계테이프(40)의 안쪽의 선감기시작위치로 안내한다.
선재가 제1도의 (b)에 보이듯이 경계테이프(40)상을 횡단해서 선감기시작위치에 도달하면 이어서 누름기구(18)를 움직여서 경계테이프(40)의 공중에 떠있는 말단부분을 제1도의 (c)에 보이듯이 선재의 위에 눌러붙인다. 그럼으로써, 선재의 경계테이프횡단부, 즉, 인출선이 동체부(3E)에 대해 걸리게 된다. 또한, 이 때까지 감겨진 부분이 경계테이프(40)의 전반부를 구성한다.
여기에서, 척(29)을 다시 동작시켜 경계테이프(40)를 새로이 안내부(27)로부터 인출하고 기존에 감겨진 동체부(3E)의 경계테이프(40)의 위에 붙인 쓰다듬기부재(32)로 쓰다듬고 보빈(3)을 회전시킴으로써 동체부(3E)의 경계테이프(40)의 위에 후반부로서의 새로운 경계테이프(40)를 소정의 두께로 되기까지 감아붙인다. 이 단계에서는 경계테이프(40)와 함께 노즐(13)로부터 송출되는 선재도 동체부(3E)에 감겨진다.
소정의 두께로 경계테이프(40)가 감겨지면 절단기(30)를 상승시켜 경계테이프(40)를 절단한다. 절단한 경계테이프(40)의 말단은 쓰다듬기부재(32)로 쓰다듬으면서 보빈(3)을 조금더 회전시킴으로써 동체부(3E)에 밀착한다.
그럼으로써 인출선은 경계테이프(40)의 하층에 매립되고 선재는 경계테이프(40)로부터 뽑아낸 위치에서 직각으로 굴절해서 동체부(3E)에 감겨진다. 경계테이프(40)를 모두 감은 후에 선재가 경계테이프(40)의 위를 횡단하는 경우에 비해서 경계테이프(40)의 하층에 매립된 선재의 횡단부는 동체부(3E)와의 사이의 계단이 극히 작아지고, 그러므로, 계단을 타고 넘은 선재의 선감기공간으로의 빠져나감도 작다. 그럼으로써, 인출선이 선감기를 방해하지 않고 선감기작업에 있어서의 선재의 어지러운 감김도 생기지 않는다.
또한, 인출선의 위에는 경계테이프(40)가 감겨지므로 인출선이 선감기시의 장력에 의해 어긋날 우려가 없다. 그러므로, 양질의 권선부를 갖춘 코일이 얻어진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에서는 제2도의 (a) 내지 (d)에 도시하듯이 경계테이프(40)를 동체부(3E)의 한 바퀴분보다 약간 부족한 길이로 절단해서 절단부가 단자(3B)의 위치에 일치하도록 동체부(3E)에 감는다. 제2도의 (e) 내지 (h)에 도시하듯이 감기를 마친 경계테이프(40)의 위에 마찬가지로 절단한 경계테이프(40)를 포개서 감음으로써 최종적인 두께에 이르기가지 경계테이프(40)를 동체부(3E)에 감아붙인다.
그럼으로써, 동체부(3E)에 감긴 경계테이프(40)에는 절단부에 의한 홈(50)이 형성된다. 또한, 이러한 단계에서는 단자(3B)에 선재가 매어져 있지 않으므로 보빈(3)은 임의로 회전할 수 있고, 그렇게 해서 감겨진 경계테이프(40)는 누름기구(18)를 이용하지 않고 쓰다듬기부재(32)만으로 동체부(3E)에 밀착시킬수 있다.
경계테이프(40)의 감기를 마친 후에 노즐(13)의 동작에 의해 단자(3B)에 선재를 매고 제2도의 (i)에 보이듯이 선감기시작위치에 노즐(13)을 이동시킨다. 그럼으로써, 선재는 홈(50)을 통해서 경계테이프(40)를 횡단한다. 보빈(3)의 회전에 의한 선감기의 시작과 함께 선재가 홈(50)의 출구에 맞닿고, 그 위치에서 선재는 90도를 굴절해서 동체부(3E)에 감긴다. 경계테이프(40)는 소정의 두께로 포개져 감겨있으므로 선재에 가해진 장력으로 굴절부가 경계테이프(40)를 타고 넘지는 않으며, 굴절부는 홈(50)의 출구에 맞닿은 상태대로 유지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단자(3E)로부터 선감기위치에 이르는 인출선이 동체부(3E)에 직선형으로 접해서 경계테이프(40)를 횡단하므로 동체부와 인출선간에 계단이 없고 선감기가 극히 안정적으로 행해진다. 또한, 홈(50)의 안에 배치된 인출선은 손상하거나 어긋날 우려가 없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발명은 경계테이프의 일부를 상기 동체부에 감아붙이고, 감겨진 경계테이프의 위를 횡단해서 단자로부터 선감기시작위치로 선재를 안내할 수 있고, 횡단한 선재를 덮도록 경계테이프의 나머지의 부분을 감게 했으므로 선재의 경계테이프횡단부가 테이프의 하층에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또한, 동체부의 한 바퀴를 도는 것보다 약간 짧게 절단한 경계테이프를 횡단하는 홈이 형성되므로 선재의 경계테이프횡단부를 그러한 홈의 안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렇게 해서, 선재의 경계테이프횡단부와 권선부의 사이에 큰 계단이 발생하지 않고, 계단을 빠져내리는 선재가 선감기에 지장을 주는 불합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재의 경계테이프횡단부가 어긋나거나 손상하는 불합리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선감기의 어지러움이 감소됨과 아울러 선재의 경계테이프횡단부, 즉, 인출선도 보호되므로 코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4)

  1. 선감기를 행하는 동체부와 권선용 선재(a wire)의 단부를 매는 단자로 이루어진 코일용 보빈(a bobbin)의 상기 동체부의 비권선위치에 경계테이프(a barrier tape)를 감아붙이는, 코일에 대해 경계테이프를 감는 방법에 있어서, 경계테이프의 일부를 상기 동체부에 감아붙이고, 감겨진 경계테이프의 위를 횡단해서 상기 단자로부터 상기 동체부의 선감기시작위치로 선재를 안내하며, 횡단한 선재를 덮도록 경계테이프의 나머지의 부분을 감아붙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에 대해 경계테이프를 감는 방법.
  2. 선감기를 행하는 동체부와 권선용 선재(a wire)의 단부를 매는 단자로 이루어진 코일용 보빈(a bobbin)의 상기 동체부의 비권선위치에 경계테이프(a barrier tape)를 감아붙이는, 코일에 대해 경계테이프를 감는 방법에 있어서, 경계테이프를 동체부의 한 바퀴를 도는 것보다 약간 짧은 길이의 다수의 테이프절편으로 절단하고, 그러한 테이프절편을 절단부를 포개서 상기 동체부에 감아붙임으로써 상기 단자로부터 동체부에 이르는 선재를 수용하는 홈을 경계테이프의 층을 횡단해서 축방향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에 대해 경계테이프를 감는 방법.
  3. 선감기를 행하는 동체부와 권선용 선재(a wire)의 단부를 매는 단자로 이루어진 보빈(a bobbin)의 상기 동체부의 비권선위치에 다수층의 경계테이프(barrier tape)를 감아붙인 경계테이프처리코일에 있어서, 상기 단자로부터 경계테이프를 횡단해서 선감기위치에 이르는 선재를 경계테이프의 하층에 매립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테이프처리코일.
  4. 선감기를 행하는 동체부와 권선용 선재(a wire)의 단부를 매는 단자로 이루어진 보빈(a bobbin)의 상기 동체부의 비권선위치에 다수층의 경계테이프(barrier tape)를 감아붙인 경계테이프처리코일에 있어서, 경계테이프에 테이프횡단방향으로 홈을 형성하고, 경계테이프를 횡단해서 상기 단자로부터 선감기위치에 이르는 선재를 그러한 홈의 안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테이프처리코일.
KR1019940030712A 1993-11-22 1994-11-22 코일에 대해 경계테이프를 감는 방법 및 경계테이프처리 코일 KR01404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291962A JP2771102B2 (ja) 1993-11-22 1993-11-22 コイルへのバリヤテープの巻き付け方法並びにバリヤテープ処理コイル
JP93-291962 1993-1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421A KR950015421A (ko) 1995-06-16
KR0140447B1 true KR0140447B1 (ko) 1998-07-01

Family

ID=17775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0712A KR0140447B1 (ko) 1993-11-22 1994-11-22 코일에 대해 경계테이프를 감는 방법 및 경계테이프처리 코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771102B2 (ko)
KR (1) KR01404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0734A (ja) * 1999-12-28 2001-09-14 Tanaka Seiki Kk テーピング装置及びテーピング方法
JP2009038172A (ja) * 2007-08-01 2009-02-19 Tdk Corp テーピング装置及びテーピング方法
CN109192497B (zh) * 2018-09-07 2020-03-31 长兴盛强电子器材股份有限公司 一种绕线机的遮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87109U (ja) * 1982-06-08 1983-12-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トランス
JP2532240Y2 (ja) * 1989-01-24 1997-04-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コイルボビン
JPH02220422A (ja) * 1989-02-21 1990-09-03 Tanaka Seiki Kk コイル巻回端部巻線方法
JPH0479406U (ko) * 1990-11-22 1992-07-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421A (ko) 1995-06-16
JPH07142281A (ja) 1995-06-02
JP2771102B2 (ja) 1998-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03647B1 (en) Bobbin and method of making terminated bobbin coil
KR0140447B1 (ko) 코일에 대해 경계테이프를 감는 방법 및 경계테이프처리 코일
GB20926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abnormal splicing in a yarn winder
US4899529A (en) Method for winding a covered yarn
EP0495297A1 (en) Inline splicing of brittle superconductors
US5402097A (en) Ring coil winding assisting device
US2036121A (en) Transfer tail winder for coning machines
JPS62136807A (ja) 巻線機
US20030106956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nding an ignition coil
JP3070026B2 (ja) コイルリード引出線の固定方法
JP2000228851A (ja) コイル形成装置
JP2747256B2 (ja) コイルの巻線方法
US5284541A (en) Insulating tape for winding coils
JPH0950933A (ja) 絶縁フィルム巻回方法
JPH07220951A (ja) 静止誘導機器及びその製造方法
EP0124962B1 (en) Tailing tool for yarn winding and method of using same
SU113884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мотки электрических катушек
JP3965832B2 (ja) 紡糸巻取機、及びその糸切換え方法
JPS63190310A (ja) 巻線体
CN101397107B (zh) 具有沟槽的焊丝绕线轴
JPS6214052Y2 (ko)
JPH02276212A (ja) 小形トランス
JPH0620018B2 (ja) 積層型コイルの製造方法
JPH02188378A (ja) 電気コイルの巻線装置
JP2004514622A (ja) 弾性繊維用巻取り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11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11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3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3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1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1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3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7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0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