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9441B1 - 토션진동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토션진동 저감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441B1
KR0139441B1 KR1019950005824A KR19950005824A KR0139441B1 KR 0139441 B1 KR0139441 B1 KR 0139441B1 KR 1019950005824 A KR1019950005824 A KR 1019950005824A KR 19950005824 A KR19950005824 A KR 19950005824A KR 0139441 B1 KR0139441 B1 KR 0139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rive
driven plate
driven
thrus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5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7223A (ko
Inventor
마사노리 고다
히로시 미네모또
다까시 무라스기
Original Assignee
야스모로 도시오
가부시끼가이샤 유니시아젝스
쓰지 요시후미
닛산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모로 도시오, 가부시끼가이샤 유니시아젝스, 쓰지 요시후미, 닛산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야스모로 도시오
Publication of KR950027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7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441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Operated Clutches (AREA)

Abstract

[목적] 피동 플레이트에 추력이 작용한 경우와, 구동 플레이트가 기울어 움직인 경우의 구동 플레이트와 피동 플레이트의 직접 접촉을 없앤다.
[구성] 구동 플레이트(5a),(5b)의 사이에 피동 플레이트(6)를 개장하고, 구동 플레이트(5a),(5b)와 피동 플레이트(6)를 회전운동 방향에서 탄성적으로 결합한다. 트러스트 링(27)을 피동 플레이트(6)와 한쪽의 구동 플레이트(5a)의 직경방향 내측의 에지부 사이에 개장한다. 트러스트 플레이트(28)를, 피동 플레이트(6)와 다른쪽의 구동 플레이트(5b)의 직경방향 외측의 에지부 사이에 개장한다. 피동 플레이트(6)에 작용하는 추력은 트러스트 링(27)을 통하여 지지되고, 구동 플레이트(5a),(5b)의 기울어 움직임은 주로 트러스트 플레이트(28)를 통하여 받아들인다.

Description

토션진동 저감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제2도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
제2도는 동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파단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7도는 동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토크 컨버터5a,5b:구동 플레이트
6:피동 플레이트27:트러스트 링(제1저마찰재)
28:트러스트 플레이트(제2저마찰재)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과 토크 컨버터의 사이의 동력전달부에 사용되는 토션진동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토션진동 저감장치로서, 엔진측에 결합되는 한쌍의 구동 플레이트의 사이에, 토크 컨버터측에 결합되는 피동 플레이트를 개장(介裝)함과 동시에, 구동 플레이트와 피동 플레이트를 토션 스프링에 의해서 회전운동 방향에서 탄성적으로 연결하고, 동력전달계의 토션진동을 토션 스프링의 흡진 작용에 의해서 저감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이 토션진동 저감장치에 있어서는, 구동 플레이트와 피동 플레이트가 토션 스프링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피동 플레이트에 작동하는 추력(토크 컨버터의 내압증가에 수반되는 추력)이나, 트러스트 플레이트의 휨 진동에 수반되는 구동 플레이트의 기울어 움직임에 의해서 구동 플레이트와 피동 플레이트가 직접 접촉하고, 이때 발생하는 큰 마찰에 의해서 잡음 등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이에 대처하는 것으로서, 피동 플레이트와 각 구동 플레이트의 직경방향 내측의 에지부 사이에 저마찰재를 개장하고, 구동 플레이트와 피동 플레이트의 직접 접촉에 의한 마찰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 종래에 개발되어 있다.
그리고, 이런 유사기술은,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58-144146호 공보 등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토션진동 저감장치에 있어서는, 피동 플레이트와 각 구동 플레이트의 직경방향 내측의 에지부 사이에 저마찰재를 개장한 구조이기 때문에, 피동 플레이트에 추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저마찰재를 통하여 강도적으로 강한(크랭크 샤프트에 직결되어 있기 때문) 구동 플레이트의 중심 부근에서 확실하게 지지되는 것으로, 크랭크 샤프트의 휨 진동에 의해서 구동 플레이트가 기울어 움직였을 경우에는, 저마찰재가 구동 플레이트나 피동 플레이트의 중심부근에 배치됨으로써, 구동 플레이트와 기울어 움직임을 충분히 제어할 수 없으며, 크랭크 샤프트의 휨 진동이 커진 경우에, 구동 플레이트와 피동 플레이트가 직접 접촉할 가능성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피동 플레이트에 추력이 작용한 경우와 구동 플레이트가 기울어 움직인 경우에 있어서의 구동 플레이트와 직접 접촉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잡음 등의 소음이 발생하는 일이 없는 토션진동 저감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직경방향 내측의 에지부가 엔진측에 결합되는 한쌍의 가동 플레이트의 사이에, 토크 컨버터측에 결합되는 피동 플레이트가 개장되고, 이 양 구동 플레이트와 피동 플레이트가 회전운동 방향에서 탄성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구동 플레이트와 피동 플레이트의 사이에 양 플레이트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저마찰재가 개장되어서 이루어지는 토션진동 저감장치에 있어서, 제1저마찰재를 피동 플레이트와 엔진쪽의 구동 플레이트의 직경방향 내측의 에지부 사이에 개장하는 한편, 제2저마찰재를 피동 플레이트와 토크 컨버터 쪽의 구동 플레이트의 직경방향 외측의 에지부 사이에 개장하도록 하였다.
피동 플레이트에 토크 컨버터의 추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그 추력은 제1의 저마찰재를 통하여 강도적으로 강한 구동 플레이트의 직경방향 내측의 에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피동 플레이트가 구동 플레이트에 직접 접촉하는 일은 없다.
또, 엔진측의 휨 진동에 의해서 구동 플레이트가 기울어 움직인 경우에는, 그 기울어 움직임은 제1저마찰재와 제2저마찰재를 통하여 양 구동 플레이트에 받아 들여진다. 이때, 제2저마찰재는 구동 플레이트와 피동 플레이트의 직경방향 외측의 에지부 사이에 있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구동 플레이트의 기울어 움직임을 받아들일 수 있으며, 따라서, 구동 플레이트가 피동 플레이트에 직접 접촉되는 일은 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제1도, 제2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면은, 엔진의 크랭크 샤프트(1)와 토크 컨버터(2)의 컨버터 커버(3)와의 연결부에 본 발명에 관한 토션진동 저감장치(4)를 이용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도면중 (5a),(5b)는, 직경방향 내측의 둘레부가 크랭크 샤프트(1)의 단면에 결합된 구동 플레이트이며, 부호 (6)은, 직경방향 외측의 에지부가 컨버터(3)의 단면에 결합된 피동 플레이트이다.
구동 플레이트(5a),(5b)는, 프레스 형성에 의해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직경방향 내측의 에지부가 크랭크 샤프트(1)에 중합상태로 볼트(7)로 결합됨과 동시에, 직경방향 외측의 에지부 상호가 축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간된 상태에서, 스톱 핀(8)에 의해서 결합되어 있다. 또, 한편의 피동 플레이트(5a)의 외주단에는, 시동모터 피니언(도시하지 않음)과 맞물리는 링 기어(9)가 용접되어 있으며, 다른 구동 플레이트(5b)의 직경방향 내측의 에지부에는, 환형의 리테이너 플레이트(10)와, 이 리테이너 플레이트(10)를 축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접시 스프링 등의 스프링재(11)가 부설되어 있다. 리테이너 플레이트(10)는 그 외주부에 축방향으로 뻗는복수의 돌출부(12)를 구비하고, 이 돌출부(12)가, 다른쪽의 구동 플레이트(5b)에 형성된 걸림용 구멍(13)에 축방향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그에 의해서 구동 플레이트(5b)에 일체 회전운동가능하게 걸려 있다.
한편, 피동 플레이트(6)는, 비교적 두꺼운 판재에 의해서 대략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양 구동 플레이트(5a),(5b)의 사이의 상대회전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구동 플레이트(5b)를 관통하는 복수개의 보트(14)에 의해서 컨버터 커버(3)의 단면에 결합되어 있다. 이 피동 플레이트(6)의 직경방향 외측의 둘레부에는, 상기 스톱 핀(8)이 삽입되는 스토퍼 구멍(15)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톱 핀(8)과 스토퍼 구멍(15)의 접속에 의해서 구동 플레이트(5a),(5b)와 피동 플레이트(6)의 상대 회전운동 각도를 규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피동 플레이트(6)에는 둘레방향에 따라서 창(16)이 복수개 형성되고, 이들의 각 창(16)에 찬합(nest)형의 한쌍의 토션 스프링(17),(17)이 직렬배치의 상태로 개장되어 있다. 그리고, 피동 플레이트(6)와 구동 플레이트(5a),(5b)의 사이에는, 양자에 대하여 상대회전운동 가능하게 환형의 유동자(18)가 개장되어 있으며, 이 유동자(18)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19)가 각 창(16)내의 토션 스프링(17),(17) 사이에 개장되어서, 양 토션 스프링(17),(17)을 원주방향으로 따라서 직렬로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의 한쪽의 구동 플레이트(5a)에는, 피동 플레이트(6)의 각 창(16)의 단부에 대응하도록 구동 피스(20)가 리벳고정되고, 다른쪽의 구동 플레이트(5b)에는 피동 플레이트(6)의 각 창(16)에 대응하여 동일한 창(21)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 플레이트(5a),(5b)와 피동 플레이트(6)를 맞붙인 상태에서 각 창(16)내의 토션 스프링(17),(17)의 단부가 구동 피스(20)와 창(21)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 플레이트(5a),(5b)와 피동 플레이트(6)는 토션 스프링(17)을 통하여 회전운동 방향에서 탄성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플레이트(5a),(5b)에는 볼트(14)에 대응하는 장공(22)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어서, 구동 플레이트(5a),(5b)와 피동 플레이트(6)의 상대회전운동시에, 볼트(14)의 두부나 컨버터 커버(3)측의 나사결합용 돌기(23)가 구동 플레이트(5a),(5b)에 간섭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구동 플레이트(6)에는 둘레방향에 따라서 장공(24)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각 장공(24)에는, 축방향의 단면이 구동 플레이트(5a)와 리테이너 플레이트(10)에 마찰접촉하는 고마찰계수의 마찰블럭(25)이 둘레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헐겁게 끼워져 있다. 그리고, 각 장공(24)의 양단부에는, 저강성부와 고강성부의 두 층으로 이루어지는 고무재 등의 완충부재(26)가 부설되어 있으며, 구동 플레이트(5a),(5b)와 피동 플레이트(6)가 상대 회전운동하였을 때에, 완충부재(26)가 마찰블럭(25)에 의해 눌려 압축되면서 이 마찰블럭(25)을 눌러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마찰블럭(25)은, 구동 플레이트(5a),(5b)와 피동 플레이트(6)가 설정각도 이상 상대회전운동하면, 구동 플레이트(5a)와 리테이너 플레이트(10)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딩하고, 이때에 마찰감쇠력이 발생한다.
그러나, 피동 플레이트(6)와 한쪽의(엔진쪽의) 구동 플레이트(5a)의 직경방향 내측의 에지부 사이에는, 제1저마찰재로서의 트러스트 링(27)이 개장되고, 피동 플레이트(6)와 다른쪽의(토크 컨버터(2)쪽의) 구동 플레이트(5b)의 직경방향 외측의 에지부에는, 제2저마찰재로서의 트러스트 플레이트(28)가 복수개 개장되어 있다. 이중 트러스트 링(27)은, 피동 플레이트(6)와 구동 플레이트(5a)의 사이에 간단하게 개장되어서 양 플레이트(6),(5a)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트러스트 플레이트(28)에 의해서 둘레방향 등배치로 끼워맞춰 부착되어 있으며, 구동 플레이트(5a),(5b)의 기울어 움직임시에 그 편평한 면(28b)이 피동 플레이트(6)와 슬라이딩 접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중 부호(29)는 컨버터 커버(3)와 일체로 형성된 펌프 임펠러, 부호(30)은, 출력축(도시하지 않음)에 스플라인에 끼워맞춰지는, 터빈 허브, 부호(31)은, 펌프 임펠러(29)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터빈 허브(30)에 결합된 터빈 런너, 부호(32)는 컨버터 커버(3)내의 유압변화에 의해서 컨버터 커버(3)와 터빈 허브(30)를 직결하는 록업 피스톤이다.
이 토션진동 저감장치(4)는 이상과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엔진의 구동토크와, 트러스트 플레이트(1)로부터 구동 플레이트(5a),(5b), 토션 스프링(17), 피동 플레이트(6)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토크 컨버터(2)의 컨버터 커버(3)로 전달된다. 그리고, 이때 동력전달계의 토션진동은 이 토션진동 저감장치(4)에 의해서 다음과 같이 하여 저감된다.
즉, 구동 플레이트(5a),(5b)와 피동 플레이트(6)의 상대 회전운동 각도가 설정각도 보다도 작을 동안은, 토션진동은, 거의 토션 스프링(17)의 흡진작용만으로 저감되고, 구동 플레이트(5a),(5b)와 피동 플레이트의 상대 회전운동 각도가 설정각도 이상으로 되면, 이 토션 스프링(1)의 흡진작용에 가하여 마찰블럭(25)의 슬라이딩에 의한 마찰 감쇠작용이 일어나고, 토션진동은, 이 양자의 작용에 의해서 저감되게 된다.
한편, 엔진의 운전시에, 토크 컨버터(2)의 안의 압력의 증가에 의해서 컨버터 커버(3)로 축방향의 추력이 작용하고, 이 추력이 볼트(14)를 통하여 피동 플레이트(6)에 작용한 경우에는, 피동 플레이트(6)와, 직경방향 내측의 에지부가 트러스트 링(27)에 눌리고, 이때, 트러스트 링(27)과의 사이에서 미끄러지면서 구동 플레이트(5a)의 중심부 근방부분에서 추력이 지지된다. 이 때문에, 이때 구동 플레이트(5a),(5b)와 피동 플레이트(6)가 직접 접촉하는 일은 없다. 여기에서, 구동 플레이트(5a)는 비교적 얇은 판재에 의해 형성되어 있지만, 상기 추력은, 크랭크 샤프트(1)와의 결합부에 가까우며 강도적으로 강한 구동 플레이트(5a)의 중심부 근방부분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피동 플레이트(6)에 큰 추력이 작용하여도 구동 플레이트(5a)에 변형이 생길 염려는 없다.
또, 크랭크 샤프트(1)의 휨 진동에 의해서 구동 플레이트(5a),(5b) 축방향 전후로 기울어 움직인 경우에는, 한쪽의 구동 플레이트(5a)가 트러스트 링(27)과 슬라이딩 접속하고, 다른쪽의 구동 플레이트(5b)가 트러스트 플레이트(28)의 평탄한 면(28b)와 슬라이딩 접속하도록 되며, 구동 플레이트(5a),(5b)의 기울어 움직임은, 이 트러스트 링(27)과 트러스트 플레이트(28)를 통하여 피동 플레이트(6)에 받아들여지게 된다. 이때, 트러스트 플레이트(28)는, 피동 플레이트(6)와 구동 플레이트(5b)의 직경방향 외측의 에지부 사이에 개장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플레이트(5a),(5b)의 기울어 움직이는 힘이 큰 경우라도 그 기울어 움직임을 확실하게 받아들일 수 있으며, 따라서, 구동 플레이트(5a),(5b)와 피동 플레이트(6)가 직접 접촉하는 일은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예를들면, 제1도, 제2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판형의 트러스트 링(27)을 이용하고 있지만,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스(35)를 구비한 트러스트 링(36)을 이용하고, 이 보스(35)를 피동 플레이트(6)의 내주공(6a)내에 끼워 넣어 피동 플레이트(6)의 직경방향의 변위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으며, 또,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저마찰재로서 트러스트 볼 축받침(37)을 이용하고, 이 트러스트 볼 축받침(37)을 지지하는 환형 플레이트(38)를 구동 플레이트(5b)의 직경방향 외측의 에지부에 부착하도록 하거나,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저마찰재로서 트러스트 볼 축받침(39)을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제2의 저마찰재로서 이용하는 트러스트 볼 축받침(37)은, 제6도,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러스트 하중을 받치는 볼(40)을 마찰계수가 작은 수지 플레이트(41)에 회전가능하게 유지시킨 간이 구조의 것이라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제1저마찰재를 피동 플레이트와 엔진쪽의 구동 플레이트의 직경방향 내측의 에지부 사이에 개장하는 한편, 제2저마찰재를 피동 플레이트와 토크 컨버터 쪽의 구동 플레이트의 직경방향 외측의 에지부 사이에 개장하고, 피동 플레이트에 토크 컨버터의 추력이 작용한 경우에는, 그 추력을 제1저마찰재를 통하여 강도적으로 강한 피동 플레이트의 직경방향 내측의 에지부에 의해 지지되고, 구동 플레이트가 기울어 움직인 경우에는, 그 기울어 움직임을 주로 제2저마찰재를 통하여 피동 플레이트의 직경방향 외측의 에지부에서 받아들이도록 하였기 때문에, 어느 경우에도 구동 플레이트와 피동 플레이트의 직접 접촉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 플레이트와 피동 플레이트가 직접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잡음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직경방향 내측의 에지부가 엔진측에 결합되는 한쌍의 구동 플레이트의 사이에, 토크 컨버터측에 결합되는 피동 플레이트가 개장되고, 이 양 구동 플레이트와 피동 플레이트가 회전운동 방향에서 탄성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구동 플레이트와 피동 플레이트 사이에 양 플레이트의 직접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저마찰재가 개장되어서 이루어지는 토션진동 저감장치에 있어서, 제1저마찰재를, 피동 플레이트와 엔진쪽의 구동 플레이트의 직경방향 내측의 에지부 사이에 개장하는 한편, 제2저마찰재를 피동 플레이트와 토크 컨버터쪽의 구동 플레이트의 직경방향 외측의 에지부 사이에 개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진동 저감장치.
KR1019950005824A 1994-03-22 1995-03-20 토션진동 저감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01394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49649 1994-03-22
JP04964994A JP3523320B2 (ja) 1994-03-22 1994-03-22 捩り振動低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223A KR950027223A (ko) 1995-10-16
KR0139441B1 true KR0139441B1 (ko) 1998-07-01

Family

ID=12837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5824A Expired - Fee Related KR0139441B1 (ko) 1994-03-22 1995-03-20 토션진동 저감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523320B2 (ko)
KR (1) KR01394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96289B1 (de) 2003-07-07 2011-10-19 BorgWarner, Inc. Nasslaufender Torsionsschwingungsdämpfer
JP5256160B2 (ja) * 2009-09-30 2013-08-07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工業株式会社 ダンパ装置及び動力伝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259925A (ja) 1995-10-13
KR950027223A (ko) 1995-10-16
JP3523320B2 (ja) 2004-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3253A (en) Torsional vibration damping assembly
US9382989B2 (en) Dynamic damper device and lock-up device for fluid type power transmission device
US6012558A (en) Hydrodynamic coupling device with a lockup clutch
EP0350298A2 (en) Lock-up converter for automatic transmissions
JPH04249654A (ja) クラッチ及びダンパアセンブリ
US5186292A (en) Torque converter and clutch with compliance interface
US5984065A (en) Lockup damper for torque converter
US5743365A (en) Lock-up damper device for fluid transmission apparatus
JP4073666B2 (ja) ロックアップ装置付き流体式トルク伝達装置
KR0139441B1 (ko) 토션진동 저감장치
US20010035322A1 (en) Freewheel arrangement, in particular for a guide wheel of a hydrodynamic torque converter
JP3577671B2 (ja) 特に自動車用の流体力学的結合装置
KR20110056985A (ko) 자동차의 토크 컨버터
JPH0550202U (ja) 動力伝達装置
US7353924B2 (en) Hydrodynamic torque converter
US6481552B1 (en) Clutch apparatus
KR100342283B1 (ko) 자동차용토션댐핑장치
US8172054B2 (en) Clutch arrangement with a clutch drive
JPH0732247U (ja) 捩り振動低減装置
JP3056641B2 (ja) 捩り振動低減装置及び組立方法
GB2339272A (en) Bearing for piston of bridging clutch in hydrodynamic torque converter
JPH0626524A (ja) 軸 受
JP2604705Y2 (ja) 動力伝達装置
KR100789190B1 (ko) 차량용 토크컨버터
JP2606949Y2 (ja) 捩り振動低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3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3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2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22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2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2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2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2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2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5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2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