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8814B1 - 전자빔 노광장치의 노광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빔 노광장치의 노광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814B1
KR0138814B1 KR1019950015737A KR19950015737A KR0138814B1 KR 0138814 B1 KR0138814 B1 KR 0138814B1 KR 1019950015737 A KR1019950015737 A KR 1019950015737A KR 19950015737 A KR19950015737 A KR 19950015737A KR 0138814 B1 KR0138814 B1 KR 01388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 beam
pattern
exposure
size
exposure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5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2475A (ko
Inventor
이인석
Original Assignee
문정환
엘지반도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정환, 엘지반도체주식회사 filed Critical 문정환
Priority to KR1019950015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814B1/ko
Publication of KR970002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8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8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20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2051Exposure without an original mask, e.g. using a programmed deflection of a point source, by scanning, by drawing with a light beam, using an addressed light or corpuscular source
    • G03F7/2059Exposure without an original mask, e.g. using a programmed deflection of a point source, by scanning, by drawing with a light beam, using an addressed light or corpuscular source using a scanning corpuscular radiation beam, e.g. an electron beam
    • G03F7/2061Electron scattering (proximity) correction or prevention metho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n Beam Expo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 및 웨이퍼 제조공정에 사용되는 전자빔 노광방법에 있어서, 리소그래피인 전자빔에서 패턴 경계 영역을 일정한 크기의 샷으로 나누어 먼저 노광한 후 내부의 샷을 노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빔 장치의 노광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빔 노광장치의 노광방법
제1도는 종래의 전자빔 장치의 노광방법을 설명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전자빔 장치의 노광방법을 설명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경계영역21 : 내부영역
A, B : 백스케터링 영역
본 발명은 레지스터(resist)를 이용한 식각패턴(etching pattern)형성을 위한 노광장치인 전자빔 노광장치(Electron Beam Exposure System)의 노광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턴의 경계영역의 선형화 향상에 적당하도록 한 전자빔 노광장치의 노광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제조에 있어서 웨이퍼에 집적회로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공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그 중에서 레지스터(resist)를 이용한 식각패턴(etching pattern) 형성을 위한 노광공정으로, 웨이퍼상에 제작하고자 하는 집적회로의 패턴을 마스크(mask)를 이용하여 형성시킨 것이다.
리소그래피(lithography) 장치인 전자빔 노광장치는 데이터에 따른 도형을 최대 크기가 4㎛인 사각형 크기로 나누어 한 개의 샷(shot)단위로 노광을 한다.
마스크 또는 웨이퍼에 원하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먼저 전자빔에 감광될 수 있는 레지스트를 웨이퍼 또는 마스크에 도포한 후 준비된 패턴으로 노광을 실시한다. 이때 준비된 패턴은 삼각형과 사각형의 큰 도형으로 이루어졌으며 실제 노광시에는 이 큰 패턴을 전자빔 노광장치로 노광할 수 있는 면적으로 나눈다.
제1도의 (가)는 종래의 전자빔 노광장치에서 도형의 크기에 따른 샷 분해방법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전자빔 노광장치에 의한 노광방법에 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각각의 크기의 패턴은 최대 샷 크기(4㎛)이하로 나누는 방법을 표시한 것이다. 이때, 생산의 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도형의 크기는 최소의 횟수로 전자빔에 감광할 수 있도록 패턴을 나눈다.
또한 어떤 크기의 패턴이라도 제1도에서의 (가)의 방법대로 샷 단위로 나누어지며 도형의 크기에 따라 전자빔 크기를 변화해가면서 전체 패턴을 노광하여 형성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선폭이 5㎛와 6㎛가 연결되어 있는 라인을 노광할때 각각 5㎛에서는 2.5㎛+2.5㎛, 6㎛에서는 3㎛+3㎛로 샷이 분리되어 노광된다.
제1도의 (나)는 종래 기술의 전자빔 장치의 노광벙법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 기술의 전자빔 장치의 노광방법에서는 전자빔으로 레지스트를 감광하여 원하는 패턴을 형성하도록 원하는 범위에 노광을 실시한다.
이때, 이 패턴은 전자빔에 감광하면서, 패턴의 주변 영역에서 전자가 반발하면 백스케터링(back scattering)되어 원하는 범위보다도 넓은 영역으로 노광되며 빔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백스케터링되는 영역이 크다.
즉, 제1도의 (나)의 종래 방법에서처럼, 패턴이 1㎛와 3㎛로의 전자빔에 각각 감광되었을 때, 1㎛와 전자빔의 경우 A만큼의 백스케터링이, 3㎛의 전자빔의 경우 B만큼의 백스케터링이 일어나므로, 실제 노광되는 크기는 전자빔 크기가 작은 것보다 큰 쪽에서 더 백스케터링의 영역이 커지게 된다.
그리고 설계에서 원하는 패턴 크기가 실제는 도형의 분리 방법에 따라 각각 차이가 날 수 있는데 이 이유는 전자빔 크기가 커질수록 접속된 전자들의 반발력이 더 커지기 때문에 실제 노광되는 크기는 전자빔 크기가 작은 것보다 큰 쪽에서 더욱 백스케터링의 영역이 커지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전자빔 크기가 커질수록 백스케터링 영역의 크기가 달라지거나 일정 크기의 백스케터링 영역이 나타나지 않아 패턴 형성시 원하는 크기의 패턴을 얻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레지스트를 이용하여 식각패턴을 형성시키기 위한 노광공정에 있어서, 백스케터링이 일어나는 영역을 고려하여 패턴 형성시 원하는 패턴과 실제 노광되는 영역의 차이를 최소화하며 일정 크기의 백스케터링 영역이 나타나도록 하여, 패턴의 경계영역의 선형화 향상에 적당하도록 하기 위한 전자빔 노광장치의 노광방법을 얻는 것이 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전자빔 장치의 노광방법에 있어서, 전자빔 노광장치에서 먼저 패턴 경계 영역을 일정한 크기의 샷으로 나누어 노광한 후 패턴 내부의 샷을 노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빔 장치의 노광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노광공정으로 인한 백스케터링을 최소화하고 일정 크기의 백스케터링 영역이 나타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노광방법을 설명한 것이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전자빔 장치의 노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2도에서와 같이, 레지스트를 이용한 식각패턴 형성을 위한 노광공정으로 백스케터링이 일어나는 영역을 고려하여 패턴을 형성시킨다.
샷 크기에 따라 패턴 크기가 달라지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샷 분해시 패턴의 경계영역(20)은 일정한 크기의 샷으로 먼저 분해한 후 내부의 영역(21)의 샷을 분해한다. 이때, 실제 노광하는 영역보다 적게 또는 같게 패턴을 형성시켜 백스케터링되는 영역을 미리 감안하여 노광하는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므로 레지스트를 이용하여 식각패턴을 형성시키기 위한 노광공정에서는 백스케터링이 일어나는 영역을 고려하여 패턴을 형성시키고, 패턴의 주변영역(20)의 샷 크기는 전자의 반발력이 미치지 못하는 최소한의 크기 이상이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레지스트를 이용한 노광공정에서는 백스케터링이 일어나는 영역을 고려하여 식각패턴을 형성시키고, 이 식각패턴에서 주변영역(20)의 샷 크기는 전자의 반발력이 미치지 못하는 최소한의 크기 이상이 되어야 한다.
즉, 예를 들어, 제2도에서처럼 선폭이 12.5㎛인 패턴에 대한 노광작업시, 경계영역을 폭이 0.25㎛인 전자빔으로 먼저 노광한다. 그러면, 그 내부 영역의 폭은 경계영역에서 노광한 크기를 제외한 12㎛가 되므로, 폭이 4㎛인 전자빔으로 나누어 노광을 실시한다.
이때, 주변부 노광시 사용하는 전자빔의 폭은, 내부영역(21) 노광시 사용되는 전자빔내의 전자가 노광을 원하는 레지스터 하부의 웨이퍼 등에 의한 반발력이 미치는 영역 이상의 폭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설계된 크기와 동일한 패턴을 얻기 위하여 이용되며 특히 패턴의 크기가 작을때 더욱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패턴이 경계영역의 선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전자빔 장비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장치적으로 해결하지 않고도 단지 노광하는 방법을 변경시킴으로써 패턴의 정확한 영역을 노광할 수 있어 선폭이 1㎛급의 디바이스까지도 쉽게 제어가 가능하다.

Claims (2)

  1. 레지스트를 이용한 식각 패턴 형성을 위한 노광공정인 전자빔 노광장치의 노광방법에 있어서, 전자빔으로 먼저 원하는 패턴 경계부를 일정한 크기의 샷으로 나누어 노광한 후 상기 패턴의 내부를 노광하는 전자빔 노광장치와 노광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의 내부를 일정한 크기의 샷으로 나눈 경계영역의 샷크기는 전자의 반발력이 미치지 못하는 최소한의 크기 이상으로 노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빔 노광장치의 노광방법.
KR1019950015737A 1995-06-14 1995-06-14 전자빔 노광장치의 노광방법 KR01388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737A KR0138814B1 (ko) 1995-06-14 1995-06-14 전자빔 노광장치의 노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737A KR0138814B1 (ko) 1995-06-14 1995-06-14 전자빔 노광장치의 노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475A KR970002475A (ko) 1997-01-24
KR0138814B1 true KR0138814B1 (ko) 1998-04-28

Family

ID=19417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5737A KR0138814B1 (ko) 1995-06-14 1995-06-14 전자빔 노광장치의 노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8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1641B1 (ko) * 2001-12-21 2008-03-11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475A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10042B1 (en) Electron beam lithograph proximity correction method
US5804339A (en) Fidelity ratio corrected photomasks and methods of fabricating fidelity ratio corrected photomasks
KR960013504B1 (ko) 미세패턴의 형성방법
KR100253052B1 (ko) 패턴형성방법 및 패턴형성장치
KR100256832B1 (ko) 전자빔 노광장치용 마스크 데이터 작성방법 및 마스크
JP3146996B2 (ja) マスクパターンの加工処理方法及び電子線露光装置用マスク
KR0138814B1 (ko) 전자빔 노광장치의 노광방법
JPH031522A (ja) 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法
KR100253581B1 (ko) 리소그라피 공정방법
US5851734A (en) Process for defining resist patterns
KR20030001986A (ko) 반도체 제조용 노광 마스크의 제조방법
KR0134169Y1 (ko) 마스크 패턴
KR100307223B1 (ko) 전자빔을 이용한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532382B1 (ko) 반도체장치 제조용 림형 위상 반전 마스크 및그 제조방법
JP2019184742A (ja) 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素子
KR100437542B1 (ko) 전자빔을 이용한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277812B1 (ko) 전자빔 노출용 마스크와 전자빔 드로잉 방법
KR19980048210A (ko) 반도체 장치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100437817B1 (ko) 반도체소자의제조를위한노광방법
KR101001498B1 (ko) 빔 번짐 효과를 감소시킨 브이에스비 방식의 마스크제조방법
DE10014919C2 (de) Maske und Verfahren zur Durchführung eines Photolithographieprozesses
JPS6310889B2 (ko)
JP3057767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JP2871617B2 (ja) 電子線露光方法
JPH0784356A (ja) 位相シフトマスク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6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506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2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1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1

Year of fee payment: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1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