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8638B1 - 유효키디스플레이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유효키디스플레이방법 및 그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638B1
KR0138638B1 KR1019930019709A KR930019709A KR0138638B1 KR 0138638 B1 KR0138638 B1 KR 0138638B1 KR 1019930019709 A KR1019930019709 A KR 1019930019709A KR 930019709 A KR930019709 A KR 930019709A KR 0138638 B1 KR0138638 B1 KR 0138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ignal
operation mode
vali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9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335A (ko
Inventor
민병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19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638B1/ko
Priority to US08/311,056 priority patent/US5455623A/en
Publication of KR950008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6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06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video camera or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0Indicating arrangements; Warn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4504Circuit details of the additional information generator, e.g. details of the character or graphics signal generator, overlay mix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코더상에 동작진행유효한 키들을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캠코더에 입력된 현재 키신호를 체크하여 현동작모드에서 다음 동작모드로 진행가능한지를 판단한 후, 진행이 불가능하면 진행가능한 키들을 전자뷰파인더 또는/및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작자가 쉽게 유효한 키들을 인식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조작이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유효키디스플레이방법 및 그 장치
제 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유효키디스플레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제 2도는 제 1도 장치에서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제 3도는 제 1도 장치의 제어부에 내장된 타이머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조작부2 : 제어부
13 : 동기분리부4 : OSD부
15, 16 : 혼합기7 : 기록부
18 : 모니터9 : 전자뷰파인더
SW : 스위치부
본 발명은 캠코더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유효키디스플레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현재 동작모드에서 다음 동작모드로 이행이 불가능한 키신호가 입력될 때 다음 동작모드로 이행할 수 있는 유효키들을 촬영자에게 알려주는 유효키디스플레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캠코더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시 촬영자의 한쪽 눈은 촬영화상을 표시하는 전자뷰파인더(Electronic View Finder;EVF)를 보고, 나머지 한쪽 눈은 전방을 보면서 촬영하기 때문에 캠코더상에 부착된 기능수행을 위한 키들을 직접적으로 볼 수가 없다. 또한 캠코더의 기능다양화로 많은 키가 캠코더상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작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더욱이 캠코더는 현재 동작모드만을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므로써 사용자가 다수의 키들중 기능전환이 가능한 유효키를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진행이 불가능한 불필요한 키를 작동시키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현재 진행중인 동작모드에서 다른키가 입력되었을때 그 동작모드로의 이행가능여부를 판단하여 이행이 불가능한 무효키가 입력되었을시는 이행가능한 모든 유효키들을 모니터상에 디스플레이하므로써 사용자가 쉽게 유효키를 선택하게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술한 유효키디스플레이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효키디스플레이방법은 키신호입력단계와, 현재 진행중인 동작모드를 체크하는 단계와, 체크된 현 동작모드에서 입력된 키신호가 전환 가능한 유효키인지 판별하는 단계와, 판별결과 유효키가 아닌 경우에는 유효키에 해당하는 문자데이타를 발생하는 단계, 및 소정의 영상신호에 문자데이타를 중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효키디스플레이장치는 키신호입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 키신호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키신호가 현 동작모드에서 전환가능한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전환가능하면 입력된 키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전환가능하지 않으면 전환 가능한 유효키들에 관한 데이타를 OSD부로 인가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소정의 영상신호에서 동기신호부분을 OSD부로 인가하는 동기분리부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에 응답하는 문자데이타를 동기분리부로부터 인가되는 동기신호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OSD부를 구비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영상신호에 OSD부로부터 인가되는 문자데이타를 중첩시키는 혼합기, 및 상기 혼합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하고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유효키디스플레이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다수의 기능조작을 위하여 키매트릭스(Key-Matrix)를 갖는 조작부(11)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11)의 출력단에는 타이머(Timer)를 내장한 제어부(12)가 연결된다. 본 발명의 장치는 또한, 카메라모드의 캠코더로부터 촬영되는 신호(S1)와 VTR모드의 캠코더로부터 재생되는 신호(S2)중 어느 하나의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스위치부(SW)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위치부(SW)는 제어부(12)로부터 인가되는 선택신호(SEL)에 따라 절환동작을 수행한다. 스위치부(SW)의 출력단에는 선택된 영상신호에서 동기신호부분을 검출하는 동기분리부(13)가 연결된다. 제어부(12)와 동기분리부(13)의 출력단 사이에는 문자데이타들을 갖는 OSD부(14)가 연결된다. OSD부(14)에는 복수개의 혼합기(15,16)가 대응하게 연결된다. 제 1혼합기(15)는 동기분리부(13)에서 영상신호를 인가받고 OSD부(14)에서 문자데이타(CHAR)를 인가받도록 연결된다. 제 2혼합기(16)는 동기분리부(13)에서 영상신호를 인가받고 OSD부(14)에서 현 동작모드에서 이행가능한 유효키를 나타내는 문자데이타(NCHAR)를 인가받도록 연결된다. 제 1혼합기(15)의 출력단에는 혼합기(1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기록하는 기록부(17)가 연결된다. 제 2혼합기(16)의 출력단에는 혼합기(1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18)와 전자뷰파인더(19)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효키디스플레이장치에 대한 동작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제어부(12)는 조작부(11)로부터 입력되는 캠코더의 카메라모드/VTR모드중 어느 한 모드를 선택하는 키신호(Skey)를 감지하여 스위치부(SW)의 절환동작을 제어하는 선택신호(SEL)를 출력한다. 스위치부(SW)는 현재 촬영되는 영상신호(S1)를 인가받는 제 1접점(a)과, 기록매체로부터 재생되는 영상신호(S2)를 인가받는 제 2접점(b)을 구비하며, 제어부(12)로부터 인가되는 선택신호(SEL)에 의해 스위칭동작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스위치부(SW)가 제 1접점(a)에 연결되면 촬영되는 영상신호(S1)는 동기분리부(13)로 입력된다. 스위치부(SW)가 제 2접점(b)에 연결되면 재생되는 영상신호(S2)는 동기분리부(13)로 입력된다.
한편, 촬영자는 캠코더상의 현 동작모드에서 다른 동작모드로 이행하고자 할 경우 조작부(11)의 각종 기능키중 해당 기능키를 조작한다. 제어부(12)는 조작부(11)로부터 기능수행을 위한 키신호(Skey)가 입력되면 제 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제 2도는 제 1도 장치에서 제어부(12)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제어부(12)는 조작부(11)로부터 기능키신호(Skey)가 입력되었는지 판단한다(제 210단계). 제어부(12)는 기능키신호(Skey)가 입력되지 않았으면 현재 수행중인 동작모드를 알리는 문자데이타의 화면표시시간(TDISP)를 체크한다(제 270단계). 화면표시시간(TDISP)이 “0”이면 문자데이타가 기설정시간만큼 디스플레이된 것으로 인식하여 디스플레이상태의 문자데이타를 클리어(Clear)시키고(제 280단계), 동작을 종료한다. 제어부(12)는 화면표시시간(TDISP)이 “0”이 아니면 문자데이타가 아직 기설정시간만큼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것으로 인식하여 내장된 타이머(Timer)를 작동시킨다(제 260단계). 타이머는 문자데이타가 디스플레이되는 동안의 시간을 카운트하는 것으로 구체적인 동작은 제 3도를 통해 설명한다. 타이머의 작동과 동시에 제어부(12)는 제 270단계의 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제어부(12)는 기능키신호(Skey)가 입력되었으면 현재 진행중인 동작모드를 체크한다(제 220단계). 체크가 완료되면 입력된 키신호(Skey)가 현 동작모드상에서 이행이 가능한 유효키인지를 판별한다(제 230단계). 즉, 예를 들어 현재 진행중인 동작모드가 재생(PLAY)모드로 체크되었고, 입력된 키신호(Skey)가 정지(STOP)모드인 경우에는 전환 가능한 유효키이므로 제어부(12)는 현 재생모드에서 정지모드로 이행되도록 시스템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 반대로, 현재의 진행모드가 재생모드인 상태에서 입력된 키신호(Skey)가 기록(REC.)모드인 경우에는 무효키이므로 현 동작모드에서 이행할 수 있는 모든 유효키를 알리는 문자 데이타가 화면표시되도록 시스템의 각 부분을 제어한다(제 240단계). 그런 다음 문자데이타의 화면표시시간을 설정하고(제 250단계), 타이머(Timer)를 작동시킨다(제 260단계). 타이머(Timer)는 제 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제 3도는 제 1도 장치에서 제어부(12)에 내장된 타이머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타이머는 미도시된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문자데이타의 화면표시시간을 푸쉬(Push)해 온다(제 310단계). 타이머는 푸쉬해 온 시간이 “0”인지 판단한다(제 320단계). 푸쉬해 온 시간이 “0”이면 그 시간을 그대로 저장수단에 팝(Pop)시키고(제 340단계), 종료한다. 푸쉬해 온 시간이 “0”이 아니면 그 시간을 “1”초씩(1초 타이머인 경우) 감소시킨다(제 330단계). 타이머는 감소되는 시간을 저장수단에 팝(Pop)시키고(제 340단계), 종료한다.
다시, 제 2도에서 제어부(12)는 제 3도와 같은 타이머의 작동과 동시에 현재 수행중인 동작모드 및 그 동작모드에서 이행 가능한 유효키들을 알리는 문자데이타의 화면표시시간(TDISP)를 체크한다(제 270단계). 문자데이타가 사전 설정한 시간만큼 디스플레이되지 않았으면 제어부(12)는 제 260단계로 돌아가 단계를 반복수행한다. 문자데이타가 사전 설정한 시간만큼 디스플레이되었으면 디스플레이상태의 문자데이타를 클리어(Clear)시키고(제 280단계), 동작을 종료한다. 표 1은 현 동작모드에서 전환이 가능 또는 불가능한 모드키들을 도표로 설명한 것이다. 또한 여기서 복수개의 키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좌측모드부터 우선 이행된다.
다시, 제 1도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설명을 계속한다. 동기분리부(13)는 스위치부(SW)로부터 인가되는 선택된 영상신호에서 동기신호(Sync)를 검출하여 OSD부(14)로 인가함과 동시에 영상신호를 제 1 및 제 2혼합기(15, 16)로 각각 인가한다. OSD부(14)는 제어부(12)로부터 현재 수행하는 동작모드 및 그 동작모드로부터 이행가능한 유효키들에 대한 데이타(DATA)를 인가받는다. OSD부(14)는 입력되는 데이타(DATA)에 해당하는 문자데이타를 동기분리부(13)로부터 인가받은 동기신호(Sync)에 동기를 맞추어 출력한다. OSD부(14)는 이 문자데이타를 기록을 위한 기록문자데이타(CHAR)와 화면표시를 위한 비기록문자데이타(NCHAR)로 하여 출력한다. 제 1혼합기(15)는 캠코더가 카메라모드로 셋팅된 경우 동기분리부(13)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 OSD부(14)로부터 인가되는 기록문자데이타(CHAR)를 중첩시켜 출력한다. 기록문자데이타(CHAR)가 삽입된 영상신호는 테이프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도록 기록부(17)로 인가된다.
한편, 제 2혼합기(16)는 캠코더가 카메라모드이거나 VTR모드로 셋팅된 경우 동기분리부(13)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OSD부(14)로부터 인가되는 비기록문자데이타(NCHAR)를 중첩시켜 출력한다. 비기록문자데이타(NCHAR)가 삽입된 영상신호는 캠코더상에 접속되어 있는 모니터(18) 및 전자뷰파인더(19)로 각각 인가된다. 모니터(18) 또는/및 전자뷰파인더(19)는 제 2혼합기(16)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시켜 조작자가 현 캠코더상의 동작모드에서 전환 가능한 모드들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효키디스플레이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수의 기능을 갖는 캠코더상에 현 동작모드에서 다음 모드로 전환 가능한 키들을 조작자에게 알려주므로써 조작이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캠코더에서 촬영된 영상신호 또는 재생된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에 있어서,
    키신호입력부;
    상기 키신호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기능수행을 위한 키신호를 감지하여 현 동작모드로부터 이행가능한 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이행가능하면 입력된 키신호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이행가능하지 않으면 이행 가능한 유효키들에 관한 데이타를 OSD부로 인가하는 제어부;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동기신호부분을 검출하여 OSD부로 인가하는 동기분리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타에 응답하는 문자데이타를 동기분리부로부터 인가되는 동기신호에 동기시켜 출력하는 OSD부;
    상기 영상신호에 OSD부로부터 인가되는 문자데이타를 중첩시키는 혼합기; 및
    상기 혼합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유효키디스플레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이머를 구비하여, 유효키디스플레이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키디스플레이장치.
  3. 캠코더상에서, 현재 진행중인 동작모드에서 조작자가 원하는 동작모드로 전환하고자 할 경우 진행가능한 유효키들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키신호입력단계;
    현재 진행중인 동작모드를 체크하는 단계;
    체크된 현 동작모드에서 입력된 키신호가 전환 가능한 유효키인지 판별하는 단계;
    판별결과 유효키가 아닌 경우에는 유효키에 해당하는 문자데이타를 발생하는 단계; 및
    영상신호에 상기 문자데이타를 중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효키디스플레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단게는 유효키디스플레이시간을 설정하고, 일정단위로 시간을 가감산하여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디스플레이상태의 유효키문자데이타들을 클리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키디스플레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데이타는 영상신호에 동기되어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효키디스플레이방법.
KR1019930019709A 1993-09-25 1993-09-25 유효키디스플레이방법 및 그 장치 KR0138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9709A KR0138638B1 (ko) 1993-09-25 1993-09-25 유효키디스플레이방법 및 그 장치
US08/311,056 US5455623A (en) 1993-09-25 1994-09-23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effective key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9709A KR0138638B1 (ko) 1993-09-25 1993-09-25 유효키디스플레이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335A KR950008335A (ko) 1995-04-17
KR0138638B1 true KR0138638B1 (ko) 1998-05-15

Family

ID=19364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9709A KR0138638B1 (ko) 1993-09-25 1993-09-25 유효키디스플레이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455623A (ko)
KR (1) KR01386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0367B2 (ja) * 2001-05-22 2004-10-20 船井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再生装置
US7063625B2 (en) * 2002-01-23 2006-06-20 Murtha James L Putting aid and method for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45379A (ja) * 1984-05-19 1985-12-05 Fuji Photo Film Co Ltd 録画再生カメラ
JPH0248647A (ja) * 1988-08-11 1990-02-19 Sony Corp ビデオカメラ
JP2899023B2 (ja) * 1989-09-28 1999-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ビデオシステム
JPH0423574A (ja) * 1990-05-17 1992-01-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記録装置およびカメ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55623A (en) 1995-10-03
KR950008335A (ko) 1995-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4521A (en) Signal recording system
JP2001197445A (ja) 画像再生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
KR0138638B1 (ko) 유효키디스플레이방법 및 그 장치
US7502055B2 (en) File management method of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JP3306081B2 (ja) 映像再生装置
JP2005033405A (ja) 撮像装置
JPH07131684A (ja) 撮像装置
US7408580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image display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2001197447A (ja) 画像再生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
US5790744A (en) Title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for use in a video signal processing system
JP2002112087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1111992A (ja) 画像記録装置
JP2000217014A (ja) 選択方法および電子撮像装置
JP3101370B2 (ja) フェード回路
JP4830205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における機能設定方法
KR100681196B1 (ko) 영상 촬영장치가 포함된 이동 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영상 편집 방법
JP3438331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及び画像プリント装置
KR10072867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0201258B1 (ko) 캠코더의 촬영화면 및 재생화면 동시 디스플레이방법 및 장치
KR100280784B1 (ko) 캠코더의녹화제어방법
JP3245271B2 (ja) ビデオ画像プリント方法および装置
KR100319859B1 (ko) 캠코더의 모드 전환방법
JP2005229145A (ja) 撮像装置
JP2997784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
KR100210242B1 (ko) Osd 문자의 설명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0925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12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9309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1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1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3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9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30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1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130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40325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