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7194B1 - 내연기관의 실화검출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실화검출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194B1
KR0137194B1 KR1019930009415A KR930009415A KR0137194B1 KR 0137194 B1 KR0137194 B1 KR 0137194B1 KR 1019930009415 A KR1019930009415 A KR 1019930009415A KR 930009415 A KR930009415 A KR 930009415A KR 0137194 B1 KR0137194 B1 KR 01371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sfire
rotation
cylinder
period
eng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9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618A (ko
Inventor
유키노부 니시무라
아키라 데미즈
Original Assignee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950003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1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1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04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 G01M15/11Testing internal-combustion engines by detecting misfi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10Parameters related to the engine output, e.g. engine torque or engine speed
    • F02D2200/1015Engines misf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기관의 회전변동을 이용해서 실화를 검출할 때, 그 검출성능을 높이도록 한다.
기관(1)의 각 기통의 점화시기에 대응한 회전신호를 검출하는 회전검출센서(3)를 설치한다. 그리고, 이 회전검출센서(3)로부터 얻어지는 회전신호에 따라 기관의 연속 실화와 간헐실화 각각에 대한 실화검출수단을 갖는 제어유닛(5)을 구비하고, 이들 실화검출수단중 어느 한쪽에 의해 실화를 검출했을 때 실화하고 판정한다.
이때, 연속실화검출수단은, 회전검출용 로터의 동일 세그먼트에 의한 회전주기의 편차에 따라 회전변동을 연산하는 연산수단을 갖고, 간헐실화검출수단은, 기통의 연소순서에 대응한 회전주기의 편차에 따라 회전변동율을 연산하는 연산수단을 갖는다.

Description

내연기관의 실화검출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의한 실화검출장치를 기관의 전자제어시스템에 적용했을때의 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개략도.
제 2 도는 제 1 도의 회전신호, 기통식별신호등 타이밍을 설명하는 도면,
제 3 도는 회전검출센서와 로터의 배치를 표시하는 설명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회전검출신호와 세그먼트와의 대비도,
제 5 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간헐실화시의 신호를 표시하는 도면,
제 6 도는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연속실화시의 신호를 표시하는 도면,
제 7 도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챠트,
제 8 도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챠트,
제 9 도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챠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3 : 회전검출센서
5 : 제어유닛41 : 기통식별센서
53 : CPU
본 발명은 내연기관의 실화를 검출하는 장치에 관해, 특히 기관의 회전변동을 이용해서 실화를 검출할 때 그 검출성능을 높일 수 있는 내연기관의 실화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의 실화검출장치로는 종래로부터 여러 방식이 있으나, 기관의 회전변동을 이용한 것으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 소 58-19532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장치는, 기관의 팽창행정 전기와 후기에 대응한 회전검출구간을 갖고, 각각의 회전속도차가 설정치를 초과했을 때 실화라고 판정하는 것이다.
또, 점화주기마다에 회전주기의 편차를 취해, 이것을 소정의 회전주기의 평균치로 나눈 연산에 의해 회전변동율을 구하고, 이로부터 실화판정을 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이와같이 종래의 방식은, 기관의 회전변동에 착안, 기관실화시에 실화기통의 회전주기가 길게되는 것을 검출해서 실화를 판정하는 것이나, 다기통엔진에서 특정의 한 기통이 연속해서 실화할때와 간헐적으로 실화할때는 회전변동의 패턴이 다르고, 정도좋은 실화의 검출(미국의 OBD-Ⅱ규제를 만족하는데는 2%정도의 실화율까지 검출해야 함)을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점에 비추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하게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기관의 회전변동을 이용해서 실화를 검출할 때 기관의 연속실화, 간헐실화를 정도 좋게 판별해서, 각각에 최적의 검출성을 갖는 실화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 검출성능의 향상과 함께 회전검출수단의 기계적인 치수오차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 고정도의 실화검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실화검출장치는, 기관의 크랭크축에 설치된 회전검출용로터와 센서로 구성되고, 각 기통의 점화시기에 대응한 회전신호를 검출하는 회전검출수단과, 이 회전검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회전신호에 따라 기관의 연속실화와 간헐실화의 각각에 대한 실화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이들 실화검출수단중 어느 한쪽에 의해 실화를 검출했을때에 실화라고 판정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연속실화검출수단은, 회전검출용로터의 동일 세그먼트에 의한 회전 주기의 편차에 따라 회전변동율을 연산하는 연산수단을 갖고 있다.
또, 간헐실화검출수단은, 기통의 연소순서에 대응한 회전주기의 편차에 따라 회전변동율을 연산하는 연산수단을 갖고, 또 실화검출의 임계치를 기통마다에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실화검출장치는, 연속실화, 간헐실화, 각각의 실화패턴에 최적의 검출방법을 취함으로써 검출성을 높이는 동시에, 연속실화, 간헐실화의 어느것이든 기통마다에 실화율을 판정하고, 이것으로 최종적인 실화판정을 함으로써, 약로주행시 정상연소에도 불구하고 실화라고 오판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와 더불어 설명한다.제 1 도는 본 발명의 실화검출장치를 기관의 전자제어시스템에 적용했을 때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개략구성도이다.
동 도면에서, 1 은 4기통개솔린 엔진으로, 열식에어플로센서(2)가 흡기통로에 배치되고, 흡기량신호(2a)가 제어유닛(5)에 입력된다.
3은 기관의 크랭크축에 부착된 회전검출센서이고, 이 회전신호(3a)가 제어유닛(5)에 입력되어 있다.
또, 4는 기관의 캠축에 부착된 디스트리뷰터이나, 기통식별 센서(41)를 내장하고 있다.
이 센서(41)에 의한 기통식별신호(41a)도 제어유닛(5)에 입력되어 있다. 이 제어유닛(5)는 각각의 흡기량신호(2a), 회전신호(3a), 기통식별신호(41a) 및 도시하지 않은 각종 신호(예를들면 수온신호, 스로틀개도신호등)을 입력 신호로 해서 인젝터(6), 이그나이터(7)를 구동하는 연료 점화제어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외에, 동시에 실화를 검출해서, 경보램프(8)를 점등하는 실화검출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경보램프(8)는 실화검출에 전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 제어유닛(5)에서, 51은 애널로그인터페이스(AIF), 52는 디지털인터 페이스(DIF)이고, 이들의 출력은 CPU(53)에 입력되어, 후술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연산되고, 인젝터드라이버(IDR)(54), 점화드라이버(TDR)(55), 램프드라이버(RDR)(56)을 통해서 연료, 점화제어 및 실화검출, 표시제어를 하도록 되어 있다.
제 2 도는 회전검출센서(3) 및 기통식별센서(41)로부터 얻어지는 회전신호, 기통식별 신호등의 타이밍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기통식별신호(41a)는 회전신호(3a)의 4 사이클에 대히 1사이클의 신호이며, 회전신호(3a)의 상승엣지(기관의 상사점 TDC보다 70℃A전)에서 1로 되는 기통이 1기통(#1)이고, 0으로 되는 기통은 이하 배전순으로 #3, #4, #2가 된다.
이때 후술하는 플로챠트에서의 기통식별의 처리는 상기한 방법으로 한다.
제 2 도(C)에 표시하는 회전주기 T는 각각의 TDC간의 주기이고, 연료, 점화처리에 사용하는 회전주기도 이 주기를 사용한다.
또 참고적으로 코일통전파형으로서 이그나이터파형을 제2도(d)에 표기한다.
다음에 상기 회전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검출부를 제 3 도에서 설명한다.
제 3 도는 홀식회전검출센서부(31)와 검출용로터(32)를 표시한다.
이 로터(32)는 기관의 크랭크축(33)에 부착되어, 1회전(360℃A)에 대해, 2개의 세그먼트 A,B가 홀식회전검출센서부(31)에서 검출된다.
즉 이 회전검출센서(3)는, 각 기통의 점화시기에 대응해서 TDC의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각 세그먼트 A,B당 180℃A의 주기로 예를 들면 110°의 0구간과, 70°의 1구간으로 배분된 주기신호(3a)를 발생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 4 도는 제 3 도의 회전신호와 세그먼트를 대비한 도면이고, #1, #4,기통은 세그먼트 A를, 또 #3, #2기통은 세그먼트 B를 사용해서 회전검출(주기 T(i)를 계측)을 한다.
따라서 세그먼트 A,B의 설정각도에 대한 기계치수 오차는 회전주기에 영향을 준다.
이 영향의 정도는 로터직경 100Φ에서 0.1℃A의 오차정도이고, 기관회전수 6000rpm, 부하-400mmHg 상당의 실화시의 회전변동에 필적하고, 결코 무시할 수 없는 레벨이다.
따라서 실화검출 로직으로서는 이 영향을 받기 힘든 것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실화검출 연산에 대해 설명한다.
기관의 회전변동에 의해 실화검출하는 방법으로서는, 각 기통마다의 주기편치를 취하는 방법이 알려졌었다.
또 무차원화하기 위해 이를 평균주기로 나눈 것을 사용하면, 4기통엔진에서는 다음식의 연산식이 고려된다.
[수 3]
이(1,1)식에서 실화하면 T(i)T(i-1)이 되고, 이 편차가 크다는 즉 S(i)가 커짐으로써 실화를 검출하는 동시에, 실화기통이 특정된다.
그러나, 상기한 회전검출센서(3)에서는, 그 구조에서 아는 바와같이 배전순의 서로 이웃하고 있는 기통에서의 주기편차 (T(i)-T(i-1))을 취하면, 상술한 세그먼트 오차를 포함하게 되며, 특히 고회전, 경부하시의 실화를 검출하는 것은 곤란해진다.
또 제 5 도 및 제 6 도의 T(i)는 4기통엔진이고 3000rpm, -400mmHg의 동작점에서, 각각 #1기통의 간헐실화 및 연속실화시켰을때의 평균회전주기로부터의 편차를 표시하고 있다.
동 도면에서 알수 있는 바와같이, 실화기의 주기변동 패턴(Ti)는 간헐 실화시, 연속실화시에서 상당히 양상이 다르다. 상기 (1,1)식의 연산을 적용할 때, 각각의 도면의 SK(i)로 표시하는 거동이 된다.
실화기통을 도면중에서 화살표로 표시하고 있으나, 간헐실화에서는 실화기통의 검출 및 특정은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반대로 연속실화에서는 실화기통을 착오해 버린다.
다음으로 상기 회전검출센서의 세그먼트 오차의 영향도 생각해서 간헐실화, 연속실화에 적합한 본 실시예의 실화검출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4기통엔진의 간헐실화에 대해 써픽스 K를 사용하고, 기관의 상사점간의 주기인 기통의 회전주기를 Ti로 했을 때, 기통마다의 주기편차에서 구해지는 회전변동을 SK(i)를 다음식에 의해
[수 4]
연산하고, 또 회전변동율의 평균치를 THj(i-1)로 했을 때, 실화판정의 임계치 THj(i)를 다음식에 의해
THj(i)=(1-K)·THj(i-1)+K·Skj(i)……(1.3)
단 0〈K〈1
j : 어느기통의 J의 써픽스
연산한다.
그리고 기판의 운전상태에서의 부하 L과 회전수 N과의 함수를 g(L,N)로 하고,
SK(i)≥THj(i-1)+g(L,N)……(1,4)
의 실화판정식을 만족시켰을 때 간헐실화를 판정한다.
여기서 (1.2)식은 상기 (1.1)식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음에 (1.3)식은 실화판정의 임계치(스레숄드)를 결정하는 파라미터이고, 각 기통마다의 SK(i)의 1차 필터이다. 즉 각 기통마다의 SK(i)의 평균치에 상당한다.
(1.4)식은 실화판정식이고 이 판정식이 성립했을 때 당해기록(J)가 실화되어 있다고 본다.
우변의 함수 g는 좌변 SK(i)의 평균치 Thj(i-1)에 대해 설정이 가능하도록 회전수 N와 부하 L를 파라미터로 하는 2차원 맵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1.2)식, (1.3)식 및 (1.4)식에 의해 간헐 실화를 검출함으로써, 상술한 회전검출센서(3)의 세그먼트 오차의 영향이 전연 없게된다.
왜냐하면, 실화검출은 동일기통과 비교하고 있으므로, 즉 동일세그먼트에서의 비교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때 회전검출센서(3)의 세그먼트의 영향을 받는 의미에서 (1,2)식의 좌변분자를 T(i)-T(i-2)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검출감도의 점에서 (1.2)식쪽이 우수하다.
이 모양을 제 5 도(Sk(i)…(1.2식), SR(i)…상기)에 표시한다.
다음으로, 연속실화에 대해 써픽스 R를 사용해 기관의 상사점간의 주기인 기통의 회전주기를 Ti라고 했을 때 기통마다의 주기편차에서 구해지는 회전변동을 SR(i)를 다음식에 의해
[수 5]
연산하고, 또 그 차분 ΔSR (i)를 다음식에 의해
ΔSR (i)=SR (i)-SR (i-2)……(2.3)연산한다.
그리고, 기판의 운전상태에서의 부하 L과 회전수 N과의 함수를 f(L,N)로 하고,
ΔSR (i)≥f(L,N)……(2.4)
의 실화판정식을 만족시켰을 때 연속실화를 판정한다.
즉 연속실화의 경우, 기통수에 대응한 주기적인 회전변동이 생긴다.
따라서 간헐실화시와 같이 동일 기통끼리 비교해도 검출은 할 수 없다.
그래서, 다른 기통과의 비교를 하는데 상술한 세그먼트의 오차를 고려해서, 배전순서가 가까운 동일 세그먼트끼리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실화검출연산식(2.2)이 얻어진다. 또, 회전변동은 기통수에 대응한 주기이므로 감도를 올리기 위해, 이 주기의 1/2의 사이클마다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2.3)식에서 ΔSR(i)로서 SR(i)-SR(i-2)의 연산을 한다.
다음에, 판정치는 역시 운전상태에 의해 설정될 수 있도록 회전수 N과 부하 L을 파라미터로 해서 (2.4)식을 사용한다.
제 6 도는 본 실시예에 의한 연속실화시의 기판의 상사점간의 주기인 회전주기 T(i)와 각 기통마다의 주기편차에서 구해지는 회전변동율 SR(i)를 표시한 것이고, 상기 (2.3)식의 ΔSR(i)에 의해 더욱 검출감도가 높아지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검출센서의 세그먼트의 영향을 고려해서, 또 연속실화, 간헐실화를 각각 상기 각 연산식을 사용해서 최적으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연속실화, 간헐실화를 독립해서 검출하는 루틴을 갖임으로써, 각각에 특이한 패턴을 검출할 수 있을뿐 아니라, 악로주행등에서 랜덤으로 실화에 유사한 회전변동이 발생했을때는. 소정의 검출구간(예를들면 1000 점화간격)내에서 간헐실화, 연속실화를 각각 검출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복수의 기통이 실화라고 볼 수 있는 경우는, 실화라고는 생각지 않고, 약로 주해시등에 의한 오검출이라고보고, 실화판정의 검출신뢰성을 높일수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기통만의 실화를 실화로 판정하고 있으나, 2기통까지의 실화를 실화로 보고, 그 이상의 다수기통의 회전변동은 악로주행시등의 요인에 의한 것이라고 볼수도 있다다음으로, 실화검출처리를 제 7 도∼제 9 도의 플로챠트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 7 도는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챠트이다. 회전인터럽트신호는 제 2 도의 회전신호(3a)의 상승엣지(BTDC 70℃A)와 하강엣지(TDC)의 2종류가 있고, 스텝(71)에서는 어느쪽 인터럽트인가를 식별한다.
상승엣지(BTDC 70℃A)의 경우는, 스텝(72)에서 상술한 기통식별(식별한 기통을 J기통이라고 한다)을 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에 하강엣지(TDC)의 경우는 스텝(73)으로 진행하고 전번의 인터럽트가 들어간 시간과의 차를 취해 회전주기 T(i)를 얻는다.
스텝(74)에서는 이것을 회전수 Ne로 변환한다.
다음으로 스텝(75)에서 흡기량(Qa)를 연산으로 구한다.
이것은 도시하지 않은 처리로 기관의 상사전감의 주기인 기통의 회전주기 T(1)간을 소정의 샘플링 주기로 흡기량을 연산해두고, 스텝(75)에서 이들을 평균해서 구한다.
다음으로 스텝(76)에서 부하를 구한다. 부하로서는 충전효율 CE를 파라미터로 선택한다.
다음에 스텝(77)에서 간헐실화검출연산을 한다.
이것은 상술한 (1.2)식, (1.3)식, (1.4)식에 의한다.
여기서, 부하는 스텝(76)에서 구한 CE를, 회전수는 스텝(74)에서 구한 Ne를 사용한다.
다음에 스텝(78)에서 간헐실화라고 판정되면 스텝(79)에서 간헐실화 회수카운터를 증가분으로 하는 동시에, 실화기통에 대한 실화회수카운터를 증가분으로 하여 둔다.
마찬가지로 스텝(80), 스텝(81), 스텝(82)에서 연속실화의 처리를 한다.
연속실화검출연산식은 상술한 (2.2)식, (2.3)식, (2.4)식에 의한다.
다음에 제 8 도의 플로챠트로 진행한다.
여기서는 간헐실화, 연속실화가 1000 점화사이에 몇번 발생하였는가를 체크해서 특정한 기통이 소정회수이상 실화했을 때, 당해기통의 실화로 보는 처리 루틴이다.
스텝(83)에서 1000점화 경과하였는지를 체크해서 미경과시는 스텝(84)에서 금회의 처리는 종료한다.
스텝(85)∼스텝(89)까지가 간헐실화의 판정루틴이고, 스텝(85)에서 간헐실화 회수 NK가 예를 들면 20회 이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20회 미만의 경우는 스텝(90)으로 진행한다.
20회는 실화율을 결정하는 값으로, 이 경우 20%이상의 실화시 실화라고 판정하는 것이다.
다음에 스텝(86)에서는 실화기통중 실화회수 Nkj(j=1,2,3.4)가 가장 많은 것을 선택하고, 그 수를 Nkmax라고 한다.
스텝(87)에서 Nkmax≥20, 또 스텝 88에서 N-Nkmax〈10일 때 스텝(89)에서 Nkmax당해 기통의 간헐실화라고 판정한다.
스텝(88)의 의미는, 1기통의 실화율이 높고 타기통의 실화율이 낮을때만 그 기통이 실화하였다고 간주함으로써 검출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스텝(90)∼스텝(94)는 연속실화의 경우의 판정루틴이다.
다음에 제 9 도의 플로챠트로 진행한다.
스텝(95)에서는 간헐실화 또는 연속실화로 판정하였는가를 보아 각각에 대응해서 스텝(96), 스텝(97)에서 경보램프의 점등, 소등 처리를 한다.
스텝(98)은 다음회의 실화판정처리를 위한 각 카운터의 리세트처리 (Nk, Nkj, NR, NRj)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화검출장치에 의하면, 기관의 회전변동을 검출해서 실화를 검출하는 장치에 있어서, 기관의 연속실화 간헐실화를 각각 검출하는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실화검출성능을 높일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1.2)식, (1.3)식 및 (1.4)식을 사용해서, 간헐실화를 검출하거나 또는 (2.2)식, (2.3)식 및 (2.4)식을 사용해서 연속 실화를 검출함으로써 회전검출센서의 세그먼트 치수오차의 영향이 없어지고, 검출정도를 더욱 높일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검출구간내에서 연속실화와 간헐실화를 각각 독립해서 검출하고, 연속실화와 간헐실화의 어느것이나 기통마다에 실화율을 판정해서, 이로서 최종적인 실화판정을 함으로써 악로주행시 정상연소에도 불구하고 실화라고 오판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기관의 크랭크축에 배치된 회전검출용로터와 센서로 되어 있고, 각 기통의 점화주기에 대응한 회전신호를 검출하는 회전검출 수단과,
    이 회전검출수단으로부터 얻어지는 회전신호에 따라 기관의 연속실화, 간헐실화를 각각 검출하는 연속실화검출수단과 간헐실화검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실화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연속실화검출수단은, 회전검출용 로터의 동일 세그먼트에 의한 회전주기의 편차에 따라 회전변동율을 연산하는 연산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실화검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연산수단은 기관의 상사점 간의 주기인 기통의 회전주기를 Ti, 기통수를 C로 했을 때, 각 기통마다의 주기편차에서 구해지는 회전변동율 SR(i)을
    [수 1]
    의 식에 의해 연산하고, 또 이 차분 △SR(i)를
    △SR(i) =SR(i)-SR(i-C/2)
    의 식에 의해 연산하는 동시에, 기관의 운전상태에서의 부하 L와 회전수 N의 함수를 f(L,N)로 하고,
    △SR(i)≥f(L,N)
    의 실화판정식을 만족시켰을 때 연속실화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실화검출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간헐실화검출수단은, 기통의 연소순서에 대응한 회전주기의 편차에 따라 회전변동율을 연산하는 연산수단을 갖고, 또 실화검출의 임계치를 기통마다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실화검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연산수단은 기관의 상사점간의 주기인 기통의 회전주기를 Ti, 기통수를 C로 했을 때, 각 기통마다의 주기편차에서 구해지는 회전변동율 Sk(i)를
    [수 2]
    의 식에 의해 연산하고 또 회전변동율의 평균치를 Thj(i-1)로 했을 때 실화 판정의 임계치 Thj(i)를
    Thj(i)=(1-k)·Thj(i-1)+K·Skj(i)
    단 0〈k〈1
    j : 어느기통 j의 써픽스
    의 식에 의해 연산하는 동시에, 기관의 운전상태에서의 부하 L과 회전수 N과의 함수를 g(L,N)로 하고
    Sk(i)≥Thj(i-1)+g(L,N)
    의 실화판정식을 만족시켰을 때 간헐실화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실화검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의 점화회수 또는 시간의 검출구간내에서 연속실화와 간헐실화를 각각 독립적으로 검출해서, 어느 한쪽에서 소정회수의 실화를 검출했을 때 실화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실화검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소정의 점화회수 또는 시간의 검출구간내에서의 실화기통이 다수인 경우 실화회수가 가장 많은 기통의 실화율이 제 1의 소정치이상이고, 다른 기통의 실화회수의 총화가 제 2의 소정치 이하일 때 이 기통을 실화하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실화검출장치.
KR1019930009415A 1992-06-15 1993-05-29 내연기관의 실화검출장치 KR01371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TO92A000464 1992-05-29
IT92-155059 1992-06-15
JP4155059A JP2855969B2 (ja) 1992-06-15 1992-06-15 内燃機関の失火検出装置
JP92-155059 1992-06-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618A KR950003618A (ko) 1995-02-17
KR0137194B1 true KR0137194B1 (ko) 1998-04-25

Family

ID=15597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9415A KR0137194B1 (ko) 1992-06-15 1993-05-29 내연기관의 실화검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415028A (ko)
JP (1) JP2855969B2 (ko)
KR (1) KR0137194B1 (ko)
DE (1) DE4319787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7438A (en) * 1987-08-04 1989-02-08 Nippon Chemical Ind Slag-treating agent
JP3360566B2 (ja) * 1997-05-23 2002-12-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多気筒内燃機関の失火検出装置
JP2001107799A (ja) * 1999-10-13 2001-04-17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失火検出装置
US7292933B2 (en) * 2004-11-15 2007-11-06 Lotus Engineering, Inc. Engine misfire detection
JP5705765B2 (ja) * 2012-02-23 2015-04-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ガスエンジンの制御装置および方法
GB2597965B (en) * 2020-08-12 2022-11-23 Caterpillar Energy Solutions Gmbh Misfire classification method and control unit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7392671B2 (ja) 2021-01-29 2023-12-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失火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2230A (en) * 1975-06-19 1976-08-03 Rca Corporation Detecting malfunction in cylinder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S5819532A (ja) * 1981-07-28 1983-02-04 Ngk Spark Plug Co Ltd 往復機関の失火検出方法および装置
JPH07111153B2 (ja) * 1989-11-22 1995-11-29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内燃機関の失火気筒検出装置
DE4002209C2 (de) * 1990-01-26 2003-05-08 Bosch Gmbh Robert Aussetzererkennung bei einem Verbrennungsmotor
JPH07122418B2 (ja) * 1990-04-02 1995-12-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異常気筒検出装置
US5278760A (en) * 1990-04-20 1994-01-11 Hitachi America, Ltd.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the misfir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tilizing engine torque nonuniformity
US5200899A (en) * 1990-04-20 1993-04-06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the misfir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tilizing angular velocity fluctuations
JP2757548B2 (ja) * 1990-09-04 1998-05-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失火検出装置
US5222392A (en) * 1990-09-21 1993-06-29 Nippondenso Co., Ltd. Control system with misfire detection function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191788A (en) * 1990-11-28 1993-03-09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isfire detection device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4265447A (ja) * 1991-02-19 1992-09-21 Toyota Motor Corp 多気筒内燃機関の失火気筒判別装置
JPH0781935B2 (ja) * 1991-08-29 1995-09-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多気筒内燃機関の失火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415028A (en) 1995-05-16
KR950003618A (ko) 1995-02-17
DE4319787A1 (de) 1993-12-16
JPH062609A (ja) 1994-01-11
DE4319787C2 (de) 1997-11-20
JP2855969B2 (ja) 1999-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7355A (en) Crank angle detecting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2016270B (zh) 用于内燃发动机的失火探测设备
JP2982381B2 (ja) 内燃機関用失火検出装置
US51056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misfired cylinder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099258B2 (ja) 内燃機関のトルク推定装置
GB2247319A (en) Misfire detection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090120174A1 (en) Misfire detecting apparatu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870688A (en) Misfire diagnostic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0472449A (ja) エンジンの失火診断装置
JP2657862B2 (ja) 内燃機関のクランク角及び気筒判定方法
JPH04198731A (ja) 内燃機関の失火検出装置
JPH04262039A (ja) 内燃機関の失火検出装置
JP2009293501A (ja) 多気筒内燃機関の失火検出装置
JP3786269B2 (ja) 内燃機関のクランク角度検出装置
US20150192498A1 (en) Engine Misfiring Diagnosis Device
KR0137194B1 (ko) 내연기관의 실화검출장치
JP4827022B2 (ja) 内燃機関の失火検出装置
US673204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isfire i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H10259754A (ja) 内燃機関の失火診断装置
RU2220318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вления детонации в двигателях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H03206342A (ja) 多気筒内燃機関の失火検出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282895B1 (ko) 엔진 실화 검출장치 및 그 방법
JP4207579B2 (ja) 多気筒内燃機関の失火検出装置
JPH06336948A (ja) 内燃機関用失火検出装置
JPH109038A (ja) エンジンの空燃比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305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305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08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1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1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1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1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1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12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012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1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12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126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9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011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EXPY Expiration of term
PC1801 Expiration of term

Termination date: 20131129

Termination category: Expiration of d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