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6829B1 - 코일 클램프 - Google Patents

코일 클램프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829B1
KR0136829B1 KR1019940027054A KR19940027054A KR0136829B1 KR 0136829 B1 KR0136829 B1 KR 0136829B1 KR 1019940027054 A KR1019940027054 A KR 1019940027054A KR 19940027054 A KR19940027054 A KR 19940027054A KR 0136829 B1 KR0136829 B1 KR 0136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il
clamp
plate
c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7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710A (ko
Inventor
야스히코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filed Critical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Publication of KR950030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8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9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using demagnetisation or compensation of external magnetic fie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 F16L3/0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partly surroun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and pressing it against a wall or oth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Formation Of Various Coating Films On Cathode Ray Tubes And Lamp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자코일을 브라운관의 소정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코일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코일 클램프(10)에 형성된 클램프판(40)이 구성하는 유지공간(44)으로 소자코일(42)을 브라운관(18)의 외측 둘레면에 감아 걸으면서 끼워넣는다. 이때, 누름판(50)이 프레임(12)측으로 휘어지기 때문에 유지공간(44)의 입구부가 넓어져서 소자코일(42)을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다. 누름판(50)과 프레임(12) 사이에 형성되는 삼각형상의 공간에는 삼각판(52)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자코일(42)이 이 공간에 끼워짐에 의하여 권취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없음으로 소정위치에 소자코일(42)을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코일 클램프
제1도는 본 실시예에 관한 코일 클램프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실시예에 관한 코일 클램프가 소자코일을 유지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제3도는 본 실시예에 관한 코일 클램프가 브래킷의 부착구멍에 걸린 상태의 요부를 나타낸 부분정면도.
제4도는 본 실시예에 관한 코일 클램프가 브래킷의 부착구멍에 걸린 상태의 요부를 나타낸 부분측면도.
제5도는 본 실시예에 관한 코일 클램프의 부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6도는 종래의 코일 클램프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프레임20 : 턱부
24 : 탄성편36 : 탄성돌기
40 : 클램프판46 : 스테이판
47 : 스테이판48 : 가이드편
50 : 누름판52 : 삼각판
본 발명은 정전기 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브라운관의 외측 둘레면에 감아거는 소자(消磁)코일을 유지하는 코일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TV 브라운관(18)은 4모서리에 돌출설치되어 있는 브래킷(28)에 의하여 TV 브라운관(16)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 브라운관(18)은 자기를 띰에 의하여 정전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 정전기를 줄이기 위하여 브라운관(18)의 외측 둘레에는 소자코일(42)이 감아걸려져 있다.
종래, 이 소자코일(42)을 유지하는 기구로서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코일 클램프(60)가 사용되고 있다. 이 코일 클램프(60)는 브래킷(28)의 부착구멍에 걸리는 앵커(62)와, 소자코일(42)을 유지하는 만곡된 클램프(64)로 구성되어 있다. 이 앵커(62)와 클램프(64)는 하우징(16)과 브라운관(18)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앵커(62)를 브래킷(28)의 부착구멍에 끼워넣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얇은 판상으로 된 프레임(66)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브라운관(18)이 발생하는 정전기를 효율좋게 제거하기 위해서 브라운관(18)의 규격에 따라 권취위치, 권취수가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코일 클램프(60)에서는 클램프(64)를 구성하는 누름판(68)과 프레임(66)에 의하여 형성되는 삼각형상의 공간(70)으로 소자코일(42)이 끼워짐으로써 권취위치가 어긋나거나, 또 메인티넌스(maintenance)시에 공간(70)에 끼워진 소자코일(42)을 외부로 떼어내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브라운관(18)의 브래킷(28)의 두께는 규격에 따라 상이한데도 종래의 앵커(62)는 탄성돌기(72)의 선단과 턱부(74)와의 틈이 고정적이었기 때문에, 두께변화에 대응하지 못함으로써 백래시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고려하여, 소자코일을 소정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고, 브라운관의 브래킷의 두께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코일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코일 클램프는, 하우징에 부착된 브라운관의 외측 둘레면에 감아거는 소자코일을 유지하는 코일 클램프로서, 판상으로 된 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턱부와, 상기 턱부에서 돌출되며 서로 탄성적으로 접근가능한 탄성돌기와, 상기 프레임에서 만곡형상으로 돌출되며 프레임과의 사이에 상기 소자코일을 유지할 수 있는 유지공간을 형성하는 클램프판과,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유지공간의 입구부를 향하여 경사져서 돌출되는 누름판을 가지며, 상기 탄성돌기와 상기 턱부에 의하여 브라운관의 둘레가장자리부에 돌출설치된 브래킷의 부착구멍에 부착되는 코일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과 상기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어 이 공간으로의 상기 소자코일의 끼워짐을 저지하는 저지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코일 클램프는, 상기 저지수단이 상기 누름판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서 상기 프레임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측으로의 누름판의 휘어짐을 허용하는 삼각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코일 클램프는, 상기 탄성돌기가 상기 브라운관의 브래킷에 형성된 부착구멍에 걸렸을때, 부착구멍의 둘레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맞닿으며 턱부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원호형상의 탄성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코일 클램프에서는, 판상으로 된 프레임을 파지하고서 하우징과 브라운관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턱부에서 돌출된 탄성돌기를 브라운관의 브래킷에 형성된 부착구멍에 끼워넣는다. 이 탄성돌기가 부착구멍을 통과하여 탄성복원되면, 탄성돌기의 자유단부와 턱부 사이에 부착구멍의 둘레가장자리가 끼워짐으로써 코일 클램프가 브래킷에 부착된다.
이어서, 상기 클램프판이 형성하는 유지공간으로 소자코일을 브라운관의 외측 둘레면에 감아걸으면서 끼워넣는다. 이때, 누름판이 프레임측으로 휘어지기 때문에 유지공간의 입구부가 넓어져서 소자코일을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다.
또, 누름판과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삼각형상의 공간에는 저지수단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자코일이 이 공간에 끼워짐에 의하여 권취위치가 어긋나는 일이 없음으로 소정위치에 소자코일을 유지시킬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코일 클램프는, 저지수단이 누름판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서 프레임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는 삼각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삼각판의 단부에 의해서 누름판과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삼각형상의 공간으로 끼여들어 가려는 소자코일을 저지할 수 있다. 이 삼각판은 누름판이 휘어졌을때 프레임과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누름판의 휘어짐을 확보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코일 클램프에서는, 턱부에 탄성편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돌기가 부착구멍에 걸어졌을때 부착구멍의 둘레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맞닿도록 된다. 따라서, 부착구멍이 형성된 브래킷의 두께변화에 대응할 수 있음으로 코일 클램프를 백래시 없이 걸을 수 있다.
또, 탄성편은 턱부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서 연이어 형성되는 캔틸레버식의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턱부의 외측으로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하우징과 브라운관 사이의 좁은 공간을 통하여 턱부에 돌출형성된 탄성돌기를 부착구멍에 끼워넣을때, 탄성편이 하우징 혹은 브라운관에 접촉하거나 부착구멍을 가림으로써 부착작업에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관한 코일 클램프(10)는 얇은 판상으로 된 가요성이 있는 프레임(12)을 구비하고 있다. 이 프레임(12)의 후단은 폭이 넓게 되어 있으며 미끄럼 방지용의 가로홈(14)이 양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가로홈(14)의 부분을 손가락으로 집고 하우징(16)과 브라운관(18) 사이의 공간으로 프레임(12)의 선단부를 끼우도록 되어 있다(제5도 참조).
이 프레임(12)의 선단부에는 프레임(12)의 축선에 대하여 경사진 원판상의 턱부(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턱부(20)를 경사지게 함으로써 브라운관(18)의 만곡부에 설치된 브래킷(28)에 면접촉할 수 있게 된다.
제3도와 제4도를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3도는 코일 클램프가 브래킷(28)의 부착구멍(32)에 걸린 상태를 부분 정면도로, 그리고 제4도는 제3도의 측면도를 요부도로 설치되는 상태를 확대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턱부(20)의 하면에는, 턱부(20)의 외측 둘레면 중앙에 둘레방향을 따라서 오목부(22)를 형성하고 또 턱부(20)의 하면을 지름선과 평행하게 일부를 잘라내어 상기 오목부(22)와 연이어 통하게 하여 오목부(22)측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한 캔틸레버식의 탄성편(24)이 구성되어 있다. 이 탄성편(24)의 자유단에는 하측으로 향하는 돌기부(26)가 형성되어 있으며, 브라운관(18)의 4모서리에 돌출설치된 브래킷(28)의 부착구멍(32)의 둘레가장자리에 맞닿도록 되어 있다.
턱부(20)의 하면 중심부에는 부착구멍(32)에 삽입가능한 외형을 가진 원주형상의 기체(基體:30)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 기체(30)에는 축심방향으로 돌출된 판상의 다리판(34)이 형성되어 있다.
다리판(34)의 선단에는 기체(30)를 향하여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경사져서 돌출되는 탄성돌기(36)가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돌기(36)의 선단에는 단부(38)가 형성되어 있으며, 부착구멍(32)의 하면측 구멍가장자리에 걸려지도록 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12)의 선단부 부근에는 원호상의 클램프판(40)이 돌출되어 있으며, 이 클램프판(40)과 프레임(12)의 측면과의 사이에 소자코일(42)을 유지하는 유지공간(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클램프판(40)의 기단부와 이 기단부의 반대면에는 스테이판(46,47)이 형성되어 있으며, 클램프판(40), 프레임(12) 및 턱부(20)를 일체로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스테이판(46)의 종단(46A)을 지지점으로 하여 프레임(12)이 휘어지고 또 스테이판(47)의 종단(47A)을 지지점으로 하여 클램프판(40)이 휘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소자코일(42)을 클램프판(40)의 유지공간(44)으로 끼워넣을때, 프레임(12) 또는 클램프판(40)을 휜다 하더라도 탄성돌기(36)에는 이와 같은 힘이 작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부착구멍(32)에 걸려진 탄성돌기(36)를 뽑아내려고 하는 힘이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클램프판(40)의 자유단에는 프레임(12)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가이드편(48)이 형성되어 있다. 또 프레임(12)에는 유지공간(44)의 입구부를 향하여 경사진 누름판(50)이 돌출되어 있다. 이 누름판(50)과 가이드편(48)에 의하여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자코일(42)을 유지공간(44)내로 안내하는 V자형의 안내부가 구성된다.
또, 누름판(50)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일측 단부에는 삼각판(52)이 형성되어 있으며, 누름판(50)과 프레임(12)에 의하여 형성되는 삼각형상의 공간의 일부를 폐색하고 있다.
이어서, 본 실시예에 관한 코일 클램프(10)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코일 클램프(10)의 가로홈(14)의 부분을 손가락으로 집고, 하우징(16)과 브라운관(18)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탄성돌기(36)를 브래킷(28)에 형성된 부착구멍(32)에 끼워넣는다. 이 탄성돌기(36)가 부착구멍(32)을 통과하여 탄성복원되면, 탄성돌기(36)의 선단에 형성된 단차부(38)와 탄성편(24)과의 사이에 부착구멍(32)의 둘레가장자리가 끼워짐으로써 코일 클램프(10)가 브래킷(28)에 부착된다.
여기서, 탄성편(24)은 브래킷(28)의 두께에 대응하여 오목부(22)측으로 휘어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부착구멍(32)의 둘레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맞닿음으로써 백래시가 없게 코일 클램프(10)를 브래킷(28)에 걸 수 있다.
이어서, 브라운관(18)의 외측 둘레면에 소자코일(42)을 감아 걸으면서 클램프판(40)과 프레임(12)이 구성하는 유지공간(44)으로 끼워넣는다. 이때, 소자코일(42)은 누름판(50)과 가이드편(48)에 의하여 구성된 V자형의 안내부를 통하여 끼워지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 유지공간(44)에 끼워 넣어진 소자코일(42)은 삼각판(52)의 단부(52A)에 의해서 누름판(50)과 프레임(12) 사이에 형성된 삼각형상의 공간에 대한 끼워짐이 저지되기 때문에, 권취위치가 어긋나는 일 없이 소정위치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저지수단으로서 삼각판(52)을 누름판(50)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일측 단부에 형성하도록 하였으나, 누름판(50)의 양 단부에 형성하는 것도 되며, 반대로 프레임(12)의 측면에 형성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누름판(50)의 프레임(12)방향으로의 휨을 담보하는 것이라면 삼각형상에 구애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소자코일을 소정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고, 브라운관의 브래킷의 두께변화에 대응하여 코일 클램프를 백래시 없이 걸을 수 있다.

Claims (3)

  1. 하우징에 부착된 브라운관의 외측 둘레면에 감아거는 소자코일을 유지하는 코일 클램프로서, 판상으로 된 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된 턱부와, 상기 턱부에서 돌출되며 서로 탄성적으로 접근가능한 탄성돌기와, 상기 프레임에서 만곡형상으로 돌출되며 프레임과의 사이에 상기 소자코일을 유지할 수 있는 유지공간을 형성하는 클램프판과,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유지공간의 입구부를 향하여 경사져서 돌출되는 누름판을 가지며, 상기 탄성돌기와 상기 턱부에 의하여 브라운관의 둘레가장자리부에 돌출설치된 브래킷의 부착구멍에 부착되는 코일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과 상기 프레임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어 이 공간으로의 상기 소자코일의 끼워짐을 저지하는 저지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지수단이 상기 누름판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에서 상기 프레임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며, 상기 프레임측으로의 누름판의 휘어짐을 허용하는 삼각판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클램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돌기가 상기 브라운관의 브래킷에 형성된 부착구멍에 걸렸을 때, 부착구멍의 둘레가장자리에 탄성적으로 맞닿으며 턱부의 외측 둘레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원호형상의 탄성편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클램프.
KR1019940027054A 1994-04-13 1994-10-22 코일 클램프 KR01368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7499494A JP3392511B2 (ja) 1994-04-13 1994-04-13 コイルクランプ
JP94-74994 1994-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710A KR950030710A (ko) 1995-11-24
KR0136829B1 true KR0136829B1 (ko) 1998-04-28

Family

ID=13563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7054A KR0136829B1 (ko) 1994-04-13 1994-10-22 코일 클램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392511B2 (ko)
KR (1) KR0136829B1 (ko)
CN (1) CN1047274C (ko)
GB (1) GB22884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5761B2 (en) 2002-12-25 2006-12-05 Orion Electric Co., Ltd. Degaussing coil holder
CN109014534B (zh) * 2018-10-02 2023-07-21 河北骄阳焊工有限公司 横筋定位机构、带有该机构的焊机及焊接网片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503915D0 (en) 1995-04-19
JPH07282726A (ja) 1995-10-27
CN1118965A (zh) 1996-03-20
KR950030710A (ko) 1995-11-24
JP3392511B2 (ja) 2003-03-31
GB2288429A (en) 1995-10-18
CN1047274C (zh) 1999-12-08
GB2288429B (en) 1997-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246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rnessing optical fiber to a circuit board
US5395251A (en) Board retainer system for activ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KR930018780A (ko) 전기 코넥터의 제1 및 제2절반부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장치
JPS6310645B2 (ko)
KR0136829B1 (ko) 코일 클램프
KR900005847A (ko) 전기기기의 레일부착장치
KR880000211Y1 (ko) 텔레비젼 수상기용 안테나 피더 접속단자
JP3948782B2 (ja) カードモジュールコネクタ装置
EP0924813A2 (en) Connector for thin cartridge
KR19990013358A (ko) 프린트 기판용 커넥터
KR0122987Y1 (ko)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KR200146254Y1 (ko) 튜너 잭 파손 방지장치
KR950002511Y1 (ko) 복사지 용지카셋트의 착탈 고정장치
KR940000410Y1 (ko) 소자 코일 홀더
KR0136961Y1 (ko) 차량용 윈드 실드 와이퍼 블레이드의 결합구조
KR0136755Y1 (ko) 인너시일드 체결용 클립
JP3076872U (ja) 紙管レスバンドの解れ防止治具
KR0133707Y1 (ko) 스피커의 메탈그릴 취부장치
KR200180462Y1 (ko) 이탈 방지용 홀더
JPH041168Y2 (ko)
US5828279A (en) Degaussing coil holder for cathode ray tube
JP3717948B2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測長貯留装置
JPH0662595U (ja) ノイズ吸収器用受具及びノイズ吸収装置
JPH0536184U (ja) クランプ装置
KR950007764Y1 (ko) 카세트 테이프의 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410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10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9707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80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1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1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3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33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8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