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6297Y1 - 창문용 방충망 프레임 - Google Patents

창문용 방충망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297Y1
KR0136297Y1 KR2019940038959U KR19940038959U KR0136297Y1 KR 0136297 Y1 KR0136297 Y1 KR 0136297Y1 KR 2019940038959 U KR2019940038959 U KR 2019940038959U KR 19940038959 U KR19940038959 U KR 19940038959U KR 0136297 Y1 KR0136297 Y1 KR 01362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creen
window
insect
scree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89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049U (ko
Inventor
김정찬
Original Assignee
박원배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배,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원배
Priority to KR20199400389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297Y1/ko
Publication of KR9600230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0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2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2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3/00Accessories for sliding or lifting wings, e.g. pulleys, safety catches
    • E05D13/003Anti-dropping devices
    • E05D13/006Anti-dropping devices fixed to the wing, i.e. safety c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문의 실외측에 설치되는 창문용 방충망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상에 슬라이드자유롭게 설치된 다수의 창문(2)과, 상기 프레임(1)의 실외측에 설치된 방충망(11)을 갖는 방충망프레임(10)이 구비된 창문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프레임(10)에는 방충망레일(1b)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탄성부재(12)를 고정설치하여 방충망프레임의 설치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프레임으로 부터 방충망프레임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드작동이 매우 원활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창문용 방충망 프레임
제1도는 종래의 일반적인 창문을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다른 방충망 프레임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결합상태의 종단면도.
제4도는 제3도와 다른 방향에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프레임 1b : 방충망레일
2 : 창문 10 : 방충망프레임
11 : 방충망 12 : 탄성부재
12a : 탄성부
본 고안은 창문의 외측에 설치되어 모기나 파리 등의 해충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충망을 갖는 창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충망 프레임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반발력을 갖는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설치 후 프레임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된 창문용 방충망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문은 다수의 창이 미닫이 또는 여닫이식으로 개폐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실외측에는 외부로 부터 모기, 파리 등의 해충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충망이 설치되어 있다.
종래에 이와 같은 방충망을 갖는 창문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레일(1a)을 상하측에 돌출형성시킨 프레임(1)상에는 유리창(2a)을 고정설치한 창문(2)이 횡방향으로 슬라이드자유롭게 되도록 삽입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1)의 실외측에 상하측으로 대향하여 돌출형성된 방충망레일(1b)에는 훅부재(3a)에 의해 고정설치된 방충망(4)을 갖는 방충망프레임(3)이 횡방향으로 슬라이드자유롭게 되도록 삽입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방충망 프레임은 서로 대향하여 돌출형성된 방충망레일(1b)내에 방충망프레임(3)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방충망레일(1b)과 방충망프레임(3)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형성됨으로써 방충망프레임(3)이 방충망레일(1b)로 부터 이탈되거나 슬라이드작동이 원활하지 않다고 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방충망프레임의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방충망프레임이 방충망레일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드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창문용 방충망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창문용 방충망프레임은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상에 슬라이드자유롭게 설치된 다수의 창문과, 상기 프레임의 실외측에 설치된 방충망을 갖는 방충망프레임이 구비된 창문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프레임에는 방충망레일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탄성부재를 고정설치하여 방충망프레임의 설치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프레임으로 부터 방충망프레임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드작동이 매우 원활하게 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제2도 내지 제4도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에서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 및 동일부호를 병기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부호(10)은 외부로 부터 모기, 파리 등의 해충이 실내로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충망(11)이 고정설치된 방충망프레임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방충망프레임(10)의 상하측에는 프레임(1)의 실외측에 돌출형성된 방충망레일(1b)내에 삽입되는 요홈부(10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요홈부(10a)내에는 탄발력을 갖는 탄성부재(12)의 일측이 볼트 등의 체결수단(13)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있다.
상기 탄성부재(12)는 방충망프레임(10)의 상측에 형성된 요홈부(10a)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그 일측에는 원호상으로 형성된 탄성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방충망프레임(10)의 일측에는 개폐작동시 파지가 용이하도록 손잡이(14)가 결합되어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10b는 방충망(11)을 결착시키기 위한 훅부재를 나타내고 있으며, 부호 15는 유리창(2a)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를 나타내고 있고, 부호 16은 실링을 행하는 가스켓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창문용 방충망프레임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방충망프레임(10)의 설치시에는 훅부재(l0b)에 의해 방충망(11)이 고정설치된 요홈부(10a)내에 다수의 탄성부재(12)를 삽입한 후 체결수단(13)으로 체결고정하고, 상기 방충망프레임(10)을 프레임(1)의 방충망레일(1b)내에 삽입설치한다.
이때, 상기 방충망프레임(10)의 상측을 방충망레일(1b)에 먼저 삽입하고 하측을 삽입하면 상측에 결합고정된 탄성부재(12)의 탄성부(12a)가 상기 방충망레일(1b)의 하단에 탄성적으로 밀착됨으로써 방충망프레임(10)의 이탈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슬라이드작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방충망레일(1b)내에 삽입설치되는 방충망프레임(10)은 설치시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된 탄성부재(12)의 탄성부(12a)가 압축되면서 용이하게 방충망레일(1b)내에 삽입된 후 탄발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됨으로써 방충망프레임(10)의 설치 및 분리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창문용 방충망프레임에 의하면, 방충망프레임의 상측에 탄발력을 가지는 탄성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방충망프레임의 설치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만 아니라 프레임으로 부터 방충망프레임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드작동이 매우 원활하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이점을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상에 슬라이드자유롭게 설치된 다수의 창문과, 상기 프레임의 실외측에 설치된 방충망을 갖는 방충망프레임이 구비된 창문에 있어서, 상기 방충망프레임(10)에는 방충망레일(1b)에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탄성부재(12)가 고정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방충망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2)는 일측에 원호상의 탄성부(12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방충망프레임.
KR2019940038959U 1994-12-30 1994-12-30 창문용 방충망 프레임 KR01362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959U KR0136297Y1 (ko) 1994-12-30 1994-12-30 창문용 방충망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8959U KR0136297Y1 (ko) 1994-12-30 1994-12-30 창문용 방충망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049U KR960023049U (ko) 1996-07-20
KR0136297Y1 true KR0136297Y1 (ko) 1999-03-30

Family

ID=19405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8959U KR0136297Y1 (ko) 1994-12-30 1994-12-30 창문용 방충망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29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053Y1 (ko) * 2009-12-02 2013-02-13 노규봉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
KR20200106770A (ko) 2019-03-05 2020-09-15 (주)월드홈닥터 물속에 잔류하는 중금속, 농약 흡착 기능 및 중화, 세균억제 기능을 갖는 무기조성물 제조방법
KR20220068782A (ko) 2020-11-19 2022-05-26 손영백 여닫이 창틀의 방충망 설치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1039A (ko) * 1999-10-14 2001-06-25 박기영 안내장치형 방충창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5053Y1 (ko) * 2009-12-02 2013-02-13 노규봉 롤방충망이 구비된 유리창 세척장치
KR20200106770A (ko) 2019-03-05 2020-09-15 (주)월드홈닥터 물속에 잔류하는 중금속, 농약 흡착 기능 및 중화, 세균억제 기능을 갖는 무기조성물 제조방법
KR20220068782A (ko) 2020-11-19 2022-05-26 손영백 여닫이 창틀의 방충망 설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049U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4545B1 (en) Snap-on door sweep
US4930257A (en) Thermal break door frame assembly
US5618067A (en) Tilt latch device
US5946856A (en) Pet door having a security cover
ATE22150T1 (de) Dichtungsmittel fuer eine tuer beim fehlen einer schwelle.
KR0136297Y1 (ko) 창문용 방충망 프레임
KR101930728B1 (ko) 일체형 방충망 창호
KR200410662Y1 (ko) 방충창틀의 흔들림 방지구
KR200169215Y1 (ko) 방충망 및 비닐 고정용 체결장치
JPH0633899Y2 (ja) マグネット吸着板付きレールキャップ
KR101415151B1 (ko) 방충창용 창틀
KR102083451B1 (ko) 외풍 차단을 겸하는 미닫이식 창호의 방충망 이탈방지장치
KR200276842Y1 (ko) 미서기 창호용 방음부재
DE59605244D1 (de) Unterer Abschluss von Türen oder Fenstern
KR0132896Y1 (ko) 방충패드를 갖는 문틀부재
KR910009351Y1 (ko) 방충망 체착구
JPS5826320Y2 (ja) ベランダ等の既設格子面への防虫網,シ−ト等の張設装置
JP3605858B2 (ja) サッシ召合せ部の水密装置
JP2000120259A (ja) 天井点検口装置
KR20190128344A (ko) 미닫이창의 방충 및 방진장치
KR200196439Y1 (ko) 창틀과 창문의 설치구조
KR200149988Y1 (ko) 해충침입 방지용 방충망
JP2576989Y2 (ja) 面格子の取り付け構造
JPH0323508Y2 (ko)
KR920005504Y1 (ko) 창호의 기밀 유지용 피스(pie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41230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41230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980314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8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112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1112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6

Year of fee payment: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