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5439Y1 - 측면충격 대응을 위한 리어필러 강성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측면충격 대응을 위한 리어필러 강성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439Y1
KR0135439Y1 KR2019950018073U KR19950018073U KR0135439Y1 KR 0135439 Y1 KR0135439 Y1 KR 0135439Y1 KR 2019950018073 U KR2019950018073 U KR 2019950018073U KR 19950018073 U KR19950018073 U KR 19950018073U KR 0135439 Y1 KR0135439 Y1 KR 01354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act
bar
impact bar
side impact
connec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80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496U (ko
Inventor
전제형
Original Assignee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승준
Priority to KR20199500180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439Y1/ko
Publication of KR9700054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4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4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4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2Reinforcement elements
    • B60J5/0422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 B60J5/0423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 B60J5/0429Elongated type elements, e.g. beams, cables, belts or wires characterised by position in the lower door structure the elements being arranged diago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02Type of accident
    • B60R2021/0006Lateral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측면충격 대응을 위한 리어필러 강성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측면충격에 대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임팩트바(4)가 설치된 종래의 구조는 임팩트바(4)가 보디의 사이드 아웃터 프레임(5)과 겹쳐지는 오버랩(Over-rap)부분이 적고, 측면충격시 임팩트바(4)를 사이드 아웃터 프레임(5)이 충분히 지지하지 못해 외부의 충격에 충분히 견디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리어도어(1)의 이너패널(2)의 양단에 연결부재(3)가 용접되고 이 연결부재(3) 사이에 임팩트바(4)가 설치된 차량의 보디구조에 있어서, 연결부재(3)와 대응하는 사이드 아웃터 프레임(5)에 단턱(6)을 형성하고 보디측 임팩트바(7)가 리어도어 록킹부(8)와 사이드 시일(9)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측면충격시 충격력을 적절하게 분산시키며 보디에 간단한 구조물 설정으로 기타 부재를 설정하지 않으면서 측면충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측면충격 대응을 위한 리어필러 강성보강구조
제1도는 종래의 차량 뒷부분을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차량 뒷부분을 나타낸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본 고안에 따른 B-B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어도어 2 : 이너패널
3 : 연결부재 4 : 임팩트바
5 : 사이드 아웃터 프레임 6 : 단턱
7 : 보디측 임팩트바 8 : 록킹부
9 : 사이드 시일 10 : 아웃터 패널
11 : 이너 리어필러
본 고안은 차량의 측면충격 대응을 위한 리어필러 강성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측면에 외부충격이 한곳에 집중되지 않고 적절히 분산될 수 있도록 차체에 임팩트바를 설치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 등에서는 프레임과 보디를 일체구조로 하는 것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이는 차량중량을 가볍게 할 뿐만 아니라, 자동차의 앞부분 또는 뒷부분을 구성하는 프레임과 보디를 적절히 조립함으로써 충돌 등의 충격력을 가능한 한 흡수하여 승차원을 보호하고, 다른 차에의 충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보디는 사람이 타는 부분이 주체이며, 이것에 도어, 펜더 등의 외장부분이나 시트 등의 내장부분을 장착한 것으로서, 운전자 및 승차원에 필요한 안정성, 공간, 쾌적함 등의 요소를 갖추고 있어야 한다.
보디의 외부 구성부분에는 자동차의 외부에서 보이는 부분으로 승용차에서는 승차원의 승차석을 위시하여 엔진이나 트렁크 등에 필요한 공간과 주행중에 받은 외력에 대하여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고 있는 부분이다.
보디의 내부 구성부분은 자동차의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이지만, 외부구성 부분을 지지하여 보디 전체의 강도를 확보하고 있는 부분이며, 승용차에서는 외부 패널의 안쪽에 설치하는 각 패널이며 루프 패널 및 플로어 팬과 함께 접합되는 보디의 골격이 되는 부분이다.
그런데 종래의 승용차의 리어도어와 리어필러부는 예시도면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도어(1)의 이너패널(2)과 아웃터패널(10)은 어느 것이나 모두 강판제이며, 이너패널(2)이 도어의 골조로 작용하여 강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보디의 바깥쪽에는 사이드 아웃터 프레임(5)으로 이루어져 있고, 안쪽에는 이너 리어필러(11)로 이루어져 있다.
도어의 이너패널(2)에는 여러가지 기구 등을 장치하기 위한 단턱이나 구멍이 설치되며 하중이 걸리는 부분에는 보강판이 장치되는 바, 도어의 이너패널(2)의 양단에 연결부재(3)가 용접되고 이 연결부재(3) 사이에 임팩트바(4)가 설치되어 측면충격에 대한 강도를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측면충격에 대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임팩트바(4)가 설치된 종래의 구조는 임팩트바(4)가 보디의 사이드 아웃터 프레임(5)과 겹쳐지는 오버랩(Ovte-rap) 부분이 적고, 측면충격시 임팩트바(4)를 사이드 아웃터 프레임(5)이 충분히 지지하지 못해 외부의 충격에 충분히 견디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연결부재가 외부충격으로 보디의 내측면으로 밀리면서 접촉되는 부분에 사이드 아웃터 프레임의 단턱을 형성하고 록킹부와 사이드 시일부에 걸쳐지는 임팩트바를 설치하여 외부충격시 도어측 연결부재가 임팩트바의 일단과 겹쳐지면서 록킹부와 사이드 시일부로 충격력을 적절히 분산시킬 수 있는 측면충격 대응을 위한 리어필러 강성보강구조를 제공하는데 본 고안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효과를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리어도어(1)의 이너패널(2)의 양단에 연결부재(3)가 용접되고 이 연결부재(3) 사이에 임팩트바(4)가 설치된 차량의 보디구조에 있어서, 연결부재(3)와 대응하는 사이드 아웃터 프레임(5)에 단턱(6)을 형성하고 보디측 임팩트바(7)가 리어도어 록킹부(8)와 사이드 시일(9)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예시도면 제3도 내지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측 임팩트바가 설치된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리어도어(1)에 설치된 임팩트바(4)가 연결부재(3)에 의해 리어도어(1)의 이너패널(2)의 양단에 설치되는데 상기 임팩트바(4)의 선단부와 연결부재(3)가 사이드 아웃터 프레임(5)과 겹쳐질 수 있도록 단턱(6)을 형성하고 록킹부(8)와 사이드 시일(9) 사이에 보디측 임팩트바(7)를 가로질러 설치하여 상기 보디측 임팩트바(7)가 연결부재(3)와 대응되는 단턱(6)에 내재되도록 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외부의 측면충격이 가해질 때 리어도어(1)의 임팩트바(4)에 가해지는 충격력은 연결부재(3)에 집중되어 연결부재(3)가 차실방향으로 밀리게 되며 이때 연결부재(3)는 사이드 아웃터 프레임(5)의 단턱(6) 내부에 설치된 보디측 임팩트바(7)에 지지되어 강성을 보완하게 되며, 보디측 임팩트바(7)에 전달되는 충격력은 보디측 임팩트바(7)가 설치된 사이드 아웃터 프레임(5)의 록킹부(8)와 사이드 시일(9)부에 분산되어 대응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측면충격시 충격력을 적절하게 분산시키며 보디에 간단한 구조물 설정으로 기타 부재를 설정하지 않으면서 측면충격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리어도어(1)의 이너패널(2)의 양단에 연결부재(3)가 용접되고 이 연결부재(3) 사이에 임팩트바(4)가 설치된 차량의 보디구조에 있어서, 연결부재(3)와 대응하는 사이드 아웃터 프레임(5)에 단턱(6)을 형성하고 보디측 임팩트바(7)가 리어도어 록킹부(8)와 사이드 시일(9)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충격 대응을 위한 리어필러 강성보강구조.
KR2019950018073U 1995-07-21 1995-07-21 측면충격 대응을 위한 리어필러 강성보강구조 KR01354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8073U KR0135439Y1 (ko) 1995-07-21 1995-07-21 측면충격 대응을 위한 리어필러 강성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8073U KR0135439Y1 (ko) 1995-07-21 1995-07-21 측면충격 대응을 위한 리어필러 강성보강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496U KR970005496U (ko) 1997-02-19
KR0135439Y1 true KR0135439Y1 (ko) 1999-03-20

Family

ID=19418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8073U KR0135439Y1 (ko) 1995-07-21 1995-07-21 측면충격 대응을 위한 리어필러 강성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43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496U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167114A (ja) 自動車のルーフボウ取付構造
JPH11310036A (ja) 車両用側部ドア構造
KR0135439Y1 (ko) 측면충격 대응을 위한 리어필러 강성보강구조
JPH10138957A (ja) 車体のロッカー構造
KR0115736Y1 (ko) 측면충격 대응을 위한 리어도어 강성보강구조
KR200142663Y1 (ko) 차량용 프론트 플로어 패널 조립구조
KR0128313Y1 (ko) 자동차의 사이드 실 멤버 보강구조
KR200146879Y1 (ko) 자동차의 프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KR200270846Y1 (ko) 차량용사이드실구조
KR200146885Y1 (ko) 자동차의 프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KR0120435Y1 (ko) 자동차의 측하단부 구조
KR19980031341A (ko) 차량의 백도어 보강구조
KR200224292Y1 (ko) 자동차용 보강 스트라이커
KR100410924B1 (ko) 고강성 구조를 가지는 자동차의 도어
KR200192389Y1 (ko) 승용차량의 바디 센터 필러
KR0140310Y1 (ko) 차체 바디 강성을 위한 선 루프의 루프 구조
JPH0415174A (ja) 自動車の前部車体構造
KR19980056325A (ko) 자동차 사이드 루프패널의 취부구조
KR19990019096A (ko) 자동차 측면충돌시 에너지 흡수 구조를 갖는 도어트림 구조
KR19980056891A (ko) 자동차의 사이드실구조
KR19980032905U (ko) 자동차의 측면충돌 보강구조
KR19980024595U (ko) 자동차의 프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KR19990002801U (ko) 자동차 리어 사이드 쿼터 패널의 결합구조
KR19980024572U (ko) 자동차의 프런트 도어 힌지 레인포스먼트 패널 보강 구조
KR19980035544U (ko) 차량 도어의 스티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072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0304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50721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10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110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01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1

Year of fee payment: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1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