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3569Y1 - 자동 제병기용 병구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제병기용 병구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569Y1
KR0133569Y1 KR2019950040830U KR19950040830U KR0133569Y1 KR 0133569 Y1 KR0133569 Y1 KR 0133569Y1 KR 2019950040830 U KR2019950040830 U KR 2019950040830U KR 19950040830 U KR19950040830 U KR 19950040830U KR 0133569 Y1 KR0133569 Y1 KR 01335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bottle
plunger
adapter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08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8994U (ko
Inventor
김덕수
Original Assignee
백준기
두산유리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준기, 두산유리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백준기
Priority to KR20199500408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569Y1/ko
Publication of KR9700389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899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5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5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9/00Blowing glass; Production of hollow glass articles
    • C03B9/30Details of blowing glass; Use of materials for the moulds
    • C03B9/32Giving special shapes to parts of hollow glass articles
    • C03B9/325Forming screw-threads or lips at the mouth of hollow glass articles; Neck mou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40/00Technologies relating to the processing of minerals
    • Y02P40/50Glass production, e.g. reusing waste heat during processing or shaping
    • Y02P40/57Improving the yield, e-g- reduction of reject 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카트리지의 넥크링 상부에 설치된 병구(甁口)금형에 패리슨(PARISON)용재를 충진한 후 고압의 공기를 플런져로 공급시키는 병구 성형 작업시에 플런져와 카트리지 연결 부분에서 발생하는 공기 누출과 부품의 잦은 교환을 해소하기 위함과, 또는 플런져의 결합과 부품의 교환에 따른 카트리지의 연결이 고양되도록 병구 성형장치의 실린더 하우징에 내장되어 피스톤에 의해 승강하도록 하면서 부품의 교환시 분리와 조립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상단 가장자리에 볼트로 체결되면서 회전 방지용 키이로 고정되는 카트리지 캡을 개재한 일체형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에 내장되어 피스톤의 승강시 탄압되는 제1탄성부재로 지지되는 슬리이브의 내주연에 설치되면서 플런져의 하단 플렌지부가 삽입 개재되도록 상단에 플렌지 삽입부를 형성한 어댑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Description

자동 제병기용 병구 성형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제병기용 병구 성형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병구 성형장치에 적용된 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병구 성형장치에 적용된 어댑터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카트리지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제5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병기용 병구 성형장치를 도시한 부분 측단면도.
제6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카트리지를 확대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병구 성형장치 44 : 카트리지
46 : 플런져 47 : 어댑터
48 : 실린더 하우징 49 : 피스톤
50 : 볼트 51 : 키이
52 : 카트리지 캡 53 : 제1탄성부재
54 : 슬리이브 55 : 하단 플렌지부
56 : 플렌지 삽입부 57 : 제1관
58 : 걸림돌기 59 : 제2탄성부재
60 : 제2관
[고안의 분야]
본 고안은 자동 제병기(製甁)기용 병구(甁口)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카트리지의 넥크링 상부에 설치된 병구 금형에 패리슨(PARISON)용재를 충진한 후 고압의 공기를 플런져로 공급시키는 병구 성형 작업시에 플런져와 카트리지 연결 부분에서 발생하는 공기 누출과 부품의 잦은 교환을 해소하기 위한 자동 제병기용 병구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제5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병기용 병구 성형장치를 도시한 부분측단면도이고, 제6도는 종래 기술인 병구 성형장치에 적용되는 카트리지를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 부호(1)은 병구 성형장치를 지칭한다.
상기한 병구 성형장치(1)는 복수개가 한조를 이루어지지 프레임(2)에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지지프레임(2)에 설치된 실린더 하우징(3)의 제1실린더(4) 제1쳄버(5)에 승강 공기포트(6)를 통해 공기를 충진시켜 피스톤(7)이 승강하게 한다.
피스톤(7)은 에어공급관(8)을 중공인 중심에 개재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2쳄버(9)쪽으로 승강하게 되면 피스톤축(10) 선단에 결합되고 있는 스터드 볼트(11)와 그 외주연에 설치된 어댑터(12)와 플런져(13)도 승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어댑터(12)와 플런져(13)의 결합은 분할링(14)에 의하여 이루어지면서 심볼(B )에 의해 지지되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며, 어댑터(12)의 외주연에 제1탄성부재(15)로 탄지되고 있는 슬리이브(16)가 설치되고 있다.
상기한 슬리이브(16)의 상승 제어는 상부 카트리지(17)의 내주연에 형성된 걸림턱(18)에 걸리도록 하고 있고, 상부 카트리지(17)에는 하부 카트리지(19)가 고정핀(20)으로 연결되어 피스톤(7)의 하강시 제2탄성부재(21)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강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피스톤(7)이 승강한 상태에서 어댑터(12)와 플런져(13)의 승강폭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게 하면서 승강 공기포트(6)를 통해 충진되던 공기의 주입은 차단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플런져(13)가 승강한 상태에서 제1홀더(22)는 넥크링(23)을 고정하고 있고, 넥크링(23)의 상단에는 병구 금형(24)이 제2홀더(25)에 의해 이동되어 안착된다.
상기한 병구 금형(24)에는 병목 성형구(26)을 형성하고 있으며, 여기에 패리슨 용재(27)가 공급되고, 이어서 슬리이브(16)에 지지 설치되고 있는 제1탄성부재(15)의 탄성력을 받아 플런져(13) 및 어댑터(12)의 하강이 소폭 이루어진다.
상기한 플런져(3)가 하강한 후 에어 공급관(8)의 공기 주입포트(28)를 통해 공기를 충진시키면 스터드 볼트(11)와, 플런져(13)에 복수개 형성된 공기 분사공(29)을 통해 공기를 분출시킨다.
상기한 플런져(13)의 공기 분사공(29)으로 분출되는 공기에 의해 넥크링(23)의 병구 성형구(30)와, 병구 금형(24)의 병목 성형구(26)에 충진되어 있던 패리슨 용재(27)는 중공의 병구를 성형하게 된다.
상기한 넥크링(23)과 병구 금형(24)에 의해 역상으로 형성된 병구는 제2홀더(25)에 의해 180°회전시킨 후 다음 공정인 병 몸체 성형공정으로 이송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한 넥크링(23)은 제1홀더(22)에 의해 분리됨으로서 병구 금형(24)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한 넥크링(23)의 분리와 동시에 플런져(13)를 비롯한 카트리지(17)(19)의 하강이 실린더 하우징(3)의 하강 공기포트(31)로 공기를 공급시켜 피스톤(7)이 제1쳄버(5)측으로 이동시킴으로서 하강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피스톤(7)이 하강하면 실린더 하우징(3)의 상단에 카트리지(17)를 덮도록 개재된 커버(c)의 상단에 설치된 링부(32) 위에는 분리되었던 넥크링(23)이 제1홀더(22)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지면서 설치되게 된다.
상기한 넥크링(23)이 링부(32)위에 설치되면 병구(甁口)금형(24)이 다음 공정인 병 몸체 성형공정에서 리턴되어 넥크링(23)의 상단에 다시 조립설치된 후 전술한 공정을 다시 반복하게 된다.
상기한 종래 기술은 피스톤에 의해 승강하는 카트리지와 어댑터에 분할링으로 연결된 플런져가 반복 승강하기 때문에 카트리지의 상,하 연결이 고정핀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서 공기의 충진에 따라 실린더 내를 승,강하도록 하기 때문에 마모에 의해 전달되는 문제와 고정핀의 마모에 따라 카트리지 전체를 교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한 카트리지의 교환시 저면에 게재된 탄성부재의 탄성력 때문에 조립이 곤란한 문제와 아울러 정비 보수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플런져가 어댑터에 분할링으로 결합되어 승,강을 반복하므로서 분할링의 파손 또는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공기의 누출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에 의하여 공기의 누출이 발생하면 부품을 교환하는데, 이러한 정비 보수시 고온에 의해 손목의 화상이 우려되고, 이에 병구의 성형이 불량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고안의 요약]
본 고안의 목적은 카트리지의 넥크링 상부에 설치된 병구 금형에 패리슨(PARISON)용재를 충진한 후 고압의 공기를 플런져로 공급시키는 병구 성형 작업시에 플런져와 카트리지 연결 부분에서 발생하는 공기 누출과 부품의 잦은 교환을 해소하기 위한 자동 제병기용 병구(甁口) 성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다른 목적은 병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공기를 분출하는 플런져의 결합과 부품의 교환에 따른 카트리지의 연결이 고양되도록 한 자동 제병기용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병을 제조하는 제병기에서 병구를 성형하기 위한 병구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병구 성형장치의 실린더 하우징에 내장되어 피스톤에 의해 승강하도록 하면서 부품의 교환시 분리와 조립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상단 가장자리에 볼트로 체결되면서 회전 방지용 키이로 고정되는 카트리지 캡을 개재한 일체형 카트리지와;
상기 카트리지에 내장되어 피스톤의 승강시 탄압되는 제1탄성부재로 지지되는 슬리이브의 내주연에 설치되면서 플런져의 하단 플렌지부가 삽입개재되도록 상단에 플런져 삽입부를 형성한 어댑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 제병기용 카트리지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카트리지는 어댑터와 플런져를 내장하면서 상단 가장자리에 카트리지 캡이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제1관과, 이 제1관의 하단 내주연에 걸림돌기를 형성하면서 외경을 작게 하향 연장하여 탄성부재가 게재되도록 일체로 형성되는 제2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병기용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어댑터는 카트리지의 제1관내에 내장되면서 플런져의 하단 플렌지부가 측방향에서 삽입되도록 상단을 일부 절개한 플런져 삽입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제병기용 카트리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제병기용 병구 성형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병구 성형장치에 적용된 카트리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병구 성형장치에 적용된 어댑터를 도시한 도면으로, 부호(40)는 제병기용 병구 성형장치를 지칭한다.
상기한 병구 성형장치(40)는 병을 제조하는 제병기의 일부로 지지프레임(41)에 한조로 설치되고 있다.
상기한 병구 성형장치(40)는 크게 병구 금형(42)과 넥크링(43)이 안착되는 카트리지(44)와, 이 카트리지(44) 내를 승강하도록 하면서 공기를 분출할 수 있도록 피스톤축(45) 선단에 플런져(46)와 어댑터(47)를 구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한 병구 성형장치(40)에 적용되는 카트리지(44)는 실린더 하우징(48)에 내장되어 피스톤(49)에 의해 승강하도록 하면서 부품의 교환시 분리와 조립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상단 가장자리에 볼트(50)로 체결되면서 회전 방지용 키이(51)로 고정되는 카트리지 캡(52)이 개재되도록 하면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있다.
상기한 카트리지(44)에 내장되어 승강하는 어댑터(47)는 피스톤(49)의 승강시 탄압되는 제1탄성부재(53)로 지지되는 슬리이브(54)의 내주연에 설치되면서 플런져(46)의 하단 플렌지부(55)가 삽입 개재되도록 상단에 플렌지 삽입부(56)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플런져(46)의 하단 플렌지부(55)가 삽입된 후 시일링이 이루어지도록 시일링 피스톤(P)이 스프링(S)에 의해 탄지되고 있다.
상기한 카트리지(44)는 어댑터(47)와 플런져(46)를 내장하면서 상단 가장자리에 카트리지 캡(52)이 볼트(50)에 의해 제1관(57)에 체결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카트리지(44)의 제1관(57) 하단 내주연에는 걸림돌기(58)를 형성하면서 외경을 작게 하향 연장하여 제2탄성부재(59)가 게재되도록 하는 제2관(59)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카트리지(44)의 제1관(57) 내주연을 승강하는 어댑터(47)에는 카트리지(44)의 제1관(57)내에 내장되면서 플런져(46)의 하단 플렌지부(55)가 측방향에서 삽입되도록 상단을 일부 절개한 플렌지 삽입부(56)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을 제4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지지프레임(41)에 설치된 실린더 하우징(48)의 제1실린더(61) 제1쳄버(62)에 승강 공기포트(63)를 통해 공기를 충진시켜 피스톤(49)를 승강시킨다.
상기한 피스톤(49)이 제2쳄버(64)쪽으로 승강하면 피스톤축(45) 선단에 설치되고 있는 어댑터(47)와 플런져(46)도 승강하게 된다.
상기한 어댑터(47)와 플런져(46)의 결합은 어댑터(47)의 플렌지 삽입부(56)에 삽입되어 이루어지고, 슬리이브(54)에 제1탄성부재(53)가 개재되어 있어 피스톤(49)을 승강시키는 공기를 차단하면 이 제1탄성부재(53)에 의해 플런져(46) 하강이 소폭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한 슬리이브(54)의 상승 제어는 카트리지(44)의 상측에 형성된 스톱퍼링(64)에 걸려 이루어지는데, 하강 공기포트(64)를 통해 공기의 충진이 되면 제2탄성부재(59)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하강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44)의 하강 이전에 피스톤(49)이 승강한 상태에서 승강 공기포트(63)를 통해 충진되던 공기의 주입은 차단되면 플런져(46)가 승강한 상태에서 제1홀더(65)로 고정되는 넥크링(43)의 상단에 병구 금형(42)이 제2홀더(66)에 의해 이동되어 안착된다.
상기한 병구 금형(42)에는 병목 성형구(67)을 형성하고 있으며, 여기에 패리슨 용재(68)가 공급되고, 이어서 슬리이브(54)에 지지 설치되고 있는 제1탄성부재(53)의 탄성력을 받아 플런져(46) 및 어댑터(47)의 하강이 소폭 이루어진다.
상기한 플런져(46)가 하강한 후 에어 공급관(69)의 공기 주입포트(70)를 통해 충진되는 공기는 스터드 볼트(71)와, 플런져(46)에 복수개 형성된 공기 분사공(71)을 통해 공기를 분출하게 된다.
상기한 플런져(46)의 공기 분사공(71)으로 분출되는 공기에 의해 넥크링(43)의 병구 성형구(72)와, 병구 금형(42)의 병목성형구(67)에 충진되어 있던 패리슨 용재(68)는 중공의 병구와 병목 일부를 성형하게 된다.
상기한 넥크링(43)과 병구 금형(42)에 의해 형성된 병구는 역상으로 제2홀더(66)에 의해 180°회전되어 다음 공정인 병 몸체 성형공정으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한 넥크링(43)은 제1홀더(65)에 의해 선행하여 분리됨으로서 병구 금형(42)의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한 넥크링(43)의 분리와 동시에 플런져(46)를 비롯한 카트리지(44)는 하강 공기포트(64)를 통해 공기가 공급되면 피스톤(49)이 제1쳄버(62)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하강한다.
상기한 피스톤(49)이 하강하면 실린더 하우징(48)의 상단에 카트리지(44)를 덮도록 개재된 커버(C)의 상단에 설치된 링부(73)위에는 분리되었던 넥크링(43)이 제1홀더(65)에 의해 조립이 이루어지면서 설치되게 된다.
상기한 넥크링(43)이 링부(73)위에 설치되면 병구(甁口)금형(42)은 다음 공정인 병 몸체 성형공정에서 리턴되어 넥크링(43)의 상단에 다시 조립설치된 후 전술한 공정을 다시 반복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병구의 성형장치의 플런져를 어댑터의 플렌지 삽입부에 삽입시켜 결합이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승,강 작동이 용이하고 카트리지를 일체로하여 종전 고정핀에 의해 결합되어 나타나는 절단 또는 마모되어 이탈되는 현상이 해소된다.
상기한 카트리지를 일체로 함에 따라 상단 가장자리에 카트리지 캡을 개재 설치하여 부품의 교환시 볼트의 풀고 조임에 따라 신속하고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제병기의 병구 성형장치로 병구를 성형함에 있어 카트리지와 어댑터 등의 부품이 견고하므로서 공기의 누출이 해소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플런져와 카트리지 등의 부품도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어 정비 보수에 따른 시간의 단축 효과와 아울러 화상 등의 안전사고도 예방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플런져를 플렌지 삽입부에 삽입하고 그 저부에 시일링 피스톤을 개재시켜 주므로서 공기의 누출이 해소되도록 하여 병구 성형 불량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병을 제조하는 제병기에서 병구를 성형하기 위한 병구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병구 성형장치(40)의 실린더 하우징(48)에 내장되어 피스톤(49)에 의해 승강하도록 하면서 부품의 교환시 분리와 조립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상단 가장자리에 볼트(50)로 체결되면서 회전 방지용 키이(51)로 고정되는 카트리지 캡(52)을 개재한 일체형 카트리지(44)와; 상기 카트리지(44)에 내장되어 피스톤(49)의 승강시 탄압되는 제1탄성부재(53)로 지지되는 슬리이브(54)의 내주연에 설치되면서 플런져(46)의 하단 플렌지부(55)가 삽입 개재되도록 상단에 플런져 삽입부(56)를 형성한 어댑터(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병기용 카트리지.
  2. 제1항에 있어서, 카트리지(44)는 어댑터(47)와 플런져(46)를 내장하면서 상단 가장자리에 카트리지 캡(52)이 볼트(50)에 의해 체결되는 제1관(57)과, 이 제1관(57)의 하단 내주연에 걸림돌기(58)를 형성하면서 외경을 작게 하향 연장하여 제2탄성부재(59)가 게재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2관(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병기용 카트리지.
  3. 제1항에 있어서, 어댑터(47)는 카트리지(44)의 제1관(57)내에 내장되면서 플런져(46)의 하단 플렌지부(55)가 측방향에서 삽입되도록 상단을 일부 절개한 플렌지 삽입부(56)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제병기용 카트리지.
KR2019950040830U 1995-12-13 1995-12-13 자동 제병기용 병구 성형장치 KR01335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0830U KR0133569Y1 (ko) 1995-12-13 1995-12-13 자동 제병기용 병구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0830U KR0133569Y1 (ko) 1995-12-13 1995-12-13 자동 제병기용 병구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994U KR970038994U (ko) 1997-07-29
KR0133569Y1 true KR0133569Y1 (ko) 1999-01-15

Family

ID=19433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0830U KR0133569Y1 (ko) 1995-12-13 1995-12-13 자동 제병기용 병구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56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994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94115C (zh) 用于吹塑模制空心件的装置
CN100353930C (zh) 开口点眼容器及其制造方法
US4561626A (en) Mold opening device
EP2883682B1 (en) Blow nozzle
KR970008254B1 (ko) 진공 압축 성형 장치 및 방법
US5411564A (en) Pneumatic plunger mechanism for a glassware forming machine
JPS62193992A (ja) 背圧式の容器充填装置
KR0133569Y1 (ko) 자동 제병기용 병구 성형장치
JP4426726B2 (ja) プラスティック製品製造用の金型
KR0162080B1 (ko) 원통상 성형품의 금형 분리장치
EP0827824A2 (en) Center mechanism of a tyre vulcanizer
KR20170108897A (ko) 사출성형기에 설치된 가스배출장치
US4744404A (en) Foundry sand blowing apparatus
GB2351078A (en) Baffle mechanism for an I.S. glass moulding machine
US8409489B2 (en) Insertion plunger and method for inserting wrap-around labels and container bottom labels into an injection mold
EP0838437A1 (en) Baffle assembly for a glassware forming machine
JP3615818B2 (ja) ガラス壜の成形装置
KR100397147B1 (ko) 플런저 교체장치
JPH0959031A (ja) ガラスびん成形装置及びそのプランジャ装置
CN115256879A (zh) 用于吹制装置的具有端头的吹管
KR200293982Y1 (ko) 취출기의 인서트장치
JP7217686B2 (ja) ブロー成形装置
KR100414166B1 (ko) 음극선관용 유리펀넬의 제조장치
JPH07124988A (ja) トランスファ成形機におけるプランジャ装置
JP2000084934A (ja) タイヤの加硫成形装置および加硫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51213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1213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013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1013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10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10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0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0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0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0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0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7

Year of fee payment: 11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00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