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32989Y1 -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 - Google Patents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989Y1
KR0132989Y1 KR2019940039604U KR19940039604U KR0132989Y1 KR 0132989 Y1 KR0132989 Y1 KR 0132989Y1 KR 2019940039604 U KR2019940039604 U KR 2019940039604U KR 19940039604 U KR19940039604 U KR 19940039604U KR 0132989 Y1 KR0132989 Y1 KR 01329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ting oil
oil
valve means
rotary compressor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9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424U (ko
Inventor
이성재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40039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2989Y1/ko
Priority to JP7327242A priority patent/JPH08232867A/ja
Priority to US08/580,599 priority patent/US5678657A/en
Publication of KR9600234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4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9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9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8Means for improving or restricting lubricant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5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using a lubrican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3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 F04C18/3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 F04C18/35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F04C18/02, F04C18/08, F04C18/22, F04C18/24, F04C18/48, or having the characteristic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together with some other type of movement between co-operating members having the movement defined in group F04C18/08 or F04C18/22 and relative reciprocation between the co-operating members with vanes reciprocating with respect to the outer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13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270/00Control; Monitoring or safety arrangements
    • F04C2270/16We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904Reciprocating valves
    • Y10T137/7908Weight biased
    • Y10T137/7909Valve body is the weight
    • Y10T137/7913Guided head
    • Y10T137/7915Guide 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내에 윤활유 밸브수단을 배설하여 윤활유를 압축기의 각 부품에 공급시켜서 운전중에 발생하는 이상마모 및 소음을 방지하는 것으로써, 본 고안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는 편심축의 회전에 따라 압축기의 저면부에 저류되어 있는 윤활유를 도입하는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과, 상기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을 통해 도입되는 윤활유를 저장하는 오일챔버를 구비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을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도록 오일챔버내에 윤활유 밸브수단을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
제1도는 종래의 압축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제2도는 제1도의 요부를 확대해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오일급유장치가 내장된 로터리 압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제4도는 본 고안의 오일급유장치가 상승한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제5도는 본 고안의 오일급유장치가 하강한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이다.
제6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오일급유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7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이다.
제8도는 본 고안의 또 제3실시예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이다.
제9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이다.
제10a도는 제9도의 오일급유장치의 사시도이다.
제10b도는 제9도에서 화살표 X-X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4 : 제1지지체 46 : 제2지지체
52 : 크랭크샤프트 60 : 오일챔버
62 :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 64 : 배출관
72 : 베인부재 80 : 윤활유 밸브수단
80,96 : 윤활유 밸브수단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등에 적용되어 냉매등의 유체를 압축하여 토출시키는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각용 윤활용 도입관내에 윤활유밸브수단을 설치하여 오일챔버내로 유입되는 윤활유가 역류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크랭크샤프트 주위로 윤활유를 적절히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종류의 압축기는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소화56-41473호에 개시되어 있다. 동 공개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압축기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내측 상부에 전동기(2)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는 압축 기구부(壓縮機構部)(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동기(2)는 고정자(4)와 회전자(5)에 의해서 구성되고, 상기 압축기구부(3)는 실린더(6)와, 이 실린더(6)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설된 피스톤(7)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전동 기구부(2)의 회전자(5)와 상기 피스톤(7)의 로드(8)는 구동축인 크랭크샤프트(구동샤프트)(9)를 개재해서 연결되어 있다. 상기 크랭크샤프트(9)의 중간에는 메인 축받이(10)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고, 하단부는 보조 축받침(11)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6)에 배설된 실린더헤드(13)에는 흡입밸브(14) 및 토출밸브(15)가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실린더헤드(13) 상부에는 소음(消音)기구(16)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전동기 본체(1) 상부에는 흡입관(17)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전동기(2)측부에는 토출관(18)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1)의 내저부에는 윤활유(19)가 저류되어 있고, 이 윤활유(19)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조축받침(11) 및 이 보조축받침(11)에 의해서 지지되는 크랭크샤프트(9)의 하단부가 침지(浸漬)되어 있다. 또, 상기 크랭크샤프트(9)의 하단부 중앙 위치에는 중앙관통구멍(20a)에 대해 편심위치에 편심(偏心)구멍(20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편심구멍(20b)과 중앙관통구멍(20a)사이를 연통하는 연통구멍(20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크랭크샤프트(9)의 하단부에는 편심구멍(20b)의 하단개구부 및 연통구멍(20c)의 측면개구부를 각각 폐쇄하도록 펌프케이스(21)가 장착되어 있다. 이 펌프케이스(21)의 하부면 중앙에는 크랭크샤프트(9)의 중앙관통구멍(20a)에 연통하는 흡입구 형성용 원통형상의 흡입구체(22)가 하부방향을 향해서 돌설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샤프트(9)의 중앙 관통구멍(20a), 연통구멍(20c) 및 편심구멍(20b)에 의해서 급유구멍(20)이 형성되며, 상기 크랭크샤프트(9)의 회전에 따라 제2도에서 화살표 표시한 바와 같이 펌프케이스(21)의 흡입구체(22)로 부터 크랭크샤프트(9)의 중앙관통구멍(20a)을 통해서 흡입된 윤활유를 원심력에 의해 크랭크샤프트(9)의 보조축받침(11) 및 메인축받침(10)에 급유하는 급유펌프기구를 형성하고 있다.
또, 보조축받침(11)에는 크랭크샤프트(9)의 하부에 이간되어 대향해서 보조축받침(11)의 하부쪽 하면개구부를 폐쇄하는 차폐판(23)이 설치되어 있다. 이 차폐판(23)의 중앙부에는 윤활유를 도입함과 동시에 펌프케이스(21)의 흡입구체(22)가 삽입되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압축기는 전동기(2)가 회전되면, 전동기(5)의 회전자(5)가 회전되어 이 회전자(5)이 압입된 크랭크샤프트(9)가 회전되어서 피스톤로드(8)를 통해 피스톤(7)이 왕복운동한다. 이때 압축가스가 흡입관(17)으로부터 흡입되고, 다시 실린더헤드(13)의 흡입밸브(14)를 통해서 실린더(6)내에 흡입된다. 그후, 이 냉매가스는 피스톤(7)에 의해서 압축되어 고압냉매가스가 되어 토출밸브(15)로부터 토출되어, 소음기구(18)를 통해 토출관(18)에서 토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운전된 때에는 상기 크랭크샤프트(9)의 회전에 따른 원심력에 의해 윤활유(19)가 펌프케이스(21)의 흡입구체(22)를 통해서 크랭크샤프트(9)의 급유구멍(20)내에 유입되어 상부로 흡인된다. 이 흡인된 윤활유(19)는 급유구멍(20)을 통해서 보조축받침(11) 및 메인축받침(10)에 공급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압축기는 펌프케이스(21)의 흡입구체(22)가 차폐판(23)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압축기의 구동시에 윤활유의 와류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나, 크랭크샤프트(9)의 바닥부에 형성된 중앙관통구멍(20a)과 편심구멍(20b)을 연통구멍(20c)에 의해 연통시킨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펌프케이스(21)를 통해 흡입된 윤활유가 중앙관통구멍(20a)의 상부에서 압력이 감쇄되고, 또 연통구멍(20c)을 통과하면서 다시 입력이 감쇄되어 전동기(2) 상부에 윤활유를 충분하게 공급할 수 없으므로 압축기의 원활한 운전에 지장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소음 및 진동이 발생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내에 윤활유밸브수단을 배설하여 윤활유를 압축기의 각 부품에 공급시켜서 운전 중에 발생하는 이상마모 및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는 편심축의 회전에 따라 압축기의 저면부에 저류되어 있는 윤활유를 도입하는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과, 상기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을 통해 도입되는 윤활유를 저장하는 오일챔버를 구비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을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도록 오일챔버내에 윤활유 밸브수단을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오일급유장치가 내장된 로터리 압축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오일급유장치가 상승한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제5도는 본 고안의 오일급유장치가 하강한 경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고, 제6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오일급유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제3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오일급유장치가 내장된 로터리 압축기는 압축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30)와, 상기 본체(30)내부에 위치되어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자장을 형성시키는 고정자(32)와, 상기 고정자(32)에 형성된 자장의 영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자(34)와, 상기 회전자(34)와 연동하여 회전되며 일측에 편심축(50)이 형성된 크랭크샤프트(52)와, 상기 크랭크샤프트(52)의 편심축(50)에 삽입되어서 회전운동 및 미끄럼운동을 하는 롤러부재(5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30)의 상부에는 상기 편심축(50)과 실린더부재(70)에 의해 형성된 공간(37)내에서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를 외부의 냉매사이클로 토출하는 토출관(76)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본체(30)의 일측에는 냉매가스를 상기 실린더부재(70)로 흡입하는 흡입관(77)이 배설되어 있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부재(70)내에 형성된 슬로트부(78)에는 상기 롤러부재(54)의 외주면부와 접촉되어서 상기 실린더부재(70)의 공간(37)을 흡입실(또는 저압실)과 토출실(또는 고압실)로 구획시키는 베인부재(72)가 배설되어 있다.
상기 베인부재(72)의 하부에는 편심축(50)의 회전에 따라 베인부재(72)를 상·하동시키도록 코일스프링등으로 이루어진 탄성수단(86)이 배설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부재(70)와 제1 및 제2지지체(44)(46)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37)은 상기 베인부재(72)에 의해 저압실과 고압실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저압실에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온저압의 냉매가스를 흡입관(77)으로 부터 흡입하도록 흡입구(7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압실에는 압축기내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토출관(76)을 통해 토출시키도록 토출구(7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크랭크샤프트(52)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상기 편심축(50)의 외주면에는 상기 크랭크샤프트(52)의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 및 미끄럼운동을 하는 롤러부재(54)가 외감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부재(70)의 좌우측에는 제1 및 제2지지체(44)(46)가 각각 배설되어 있다.
윤활유 밸브수단(80)은 상기 제1지지체(44)에 형성된 오일챔버(60)내에 배설되어서 상기 제1지지체(44)의 내주면과 크랭크샤프트(52)의 외주면사이에 공급되는 냉각용 윤활유의 양을 조절하는 것으로써, 상기 윤활유밸브수단(80)은 상기 제1지지체(44)에 형성된 배출관(64)을 폐쇄시키도록 상기 배출관(6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머리부(頭部)(80a)와, 상기 머리부(80a)의 하부에 고착되며, 상기 제1지지체(44)의 하부에 형성된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62)내에 삽입되는 다리부(80b)로 구성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윤활유밸브수단(80)의 머리부(80a)는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62)의 상측면에 위치하여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62)을 통해 도입되는 윤활유 통로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상기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62)의 직경보다는 큰 직경의 원형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윤활유 밸브수단(80)의 다리부(80b)는 상기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62)내에 삽입됨과 동시에 오일챔버(60)내가 저압이 되어서 상기 윤활유 밸브수단(80)의 머리부(80a)가 상승되었을 경우, 상기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62)과 상기 윤활유밸브수단(80)의 다리부(80b)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을 통해 냉각용 윤활유가 오일챔버(60)내로 유입되도록 상기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6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윤활유 밸브수단(80)의 다리부(80b)는 머리부(80a)의 하부 중앙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써, 이 다리부(80b)는 압축기의 내측 하부에 저류되어 있는 냉각용 윤활유가 흡입될 경우에 윤활유 밸브수단(80)의 머리부(80a)와 함께 상측으로 이동하였다가 오일챔버(60)로 부터 배출관(64)을 통해 윤활유가 상기 크랭크샤프트(32)쪽으로 이동할 경우에 상기 머리부(80a)와 함께 아래로 이동하도록 상기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62)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다음에,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외부에서 고정자(32)에 전원을 인가되면, 고정자(32)에 형성된 자장에 의해서 상기 회전자(34)가 회전되고, 상기 회전자(34)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자(34)에 동심으로 고정되어 있는 크랭크샤프트(52)가 고속으로 회전한다. 상기 크랭크샤프트(52)가 회전됨에 따라서 상기 크랭크샤프트(52)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편심축(30)의 외주면에 외삽된 롤러부재(54)가 연동하여 회전되고, 상기 롤러부재(54)가 회전됨에 따라서 상기 베인부재(72)가 상기 슬로트부(78)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직선왕복운동하면서 공간(37)의 고압실내에 압축된 고온고압의 냉매를 토출구(73)를 통해 토출시킨다.
즉, 상기 편심축(50)이 회전됨에 따라서 상기 베인부재(72)에 의해서 구획된 상기 실린더부재(70)내의 흡입실(저압실)과 토출실(고압실)의 체적이 변경되므로, 냉매는 고온고압으로 압축되고,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가스는 롤러부재(54)의 회전에 의해 토출구(73)를 개방시켜 토출시킴과 동시에 냉매가스가 토출된 직후에는 실린더부재(70)내에서 롤러부재(54)가 토출구(73)를 폐쇄시키고 흡입구(71)를 개방시켜서 실린더부재(70)내의 체적을 변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냉매를 압축하는 과정 중 상기 크랭크샤프트(52)와 상기 크랭크샤프트(52)의 편심축(50) 외주면에 외감되어 있는 롤러부재(54)는 회전에 따라 실린더부재(70)내에서 빠른 슬라이딩에 의한 마찰에 의해 마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윤활유를 상기 크랭크샤프트(52) 및 롤러부재(54)에 공급된다.
상기 베인부재(72)가 실린더부재(70)내에서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베인부재(72)의 일단에 고정된 탄성수단(86)이 압축 또는 팽창되고, 상기 탄성수단(86)이 압축 또는 팽창되므로서 오일챔버(60)의 체적은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되어 압력이 변화된다.
상기 베인부재(72)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 오일챔버(60)의 체적은 증가하게 되며, 상기 오일챔버(60)의 체적이 증가함에 따라서 압력은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62)을 통해 흡입되는 윤활유는 윤활유밸브수단(80)을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어올리면서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62)을 통해 윤활유가 압력이 낮은 오일챔버(60)내부로 흘러들어간다.
그러나, 상기 베인부재(72)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면, 오일챔버(60)의 체적은 감소하게 되며, 상기 오일챔버(60)의 체적이 감소함에 따라서 압력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오일챔버(60)내에 있던 윤활유는 압력이 높은 상기 오일챔버(60)내부로부터 압력이 낮은 배출관(64)을 통하여 크랭크샤프트(52)로 공급되고, 상기 윤활유밸브수단(80)의 머리부(80A)는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62)을 폐쇄시키므로 윤활유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는다.
다음에, 제7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7도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이다. 제7도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와 제3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와 다른 점은, 윤활유 밸브수단(96)의 머리부(96a)는 다리부(96b)가 부착되는 쪽을 향할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제1지지체(44)의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92)의 상부, 즉 오일챔버(60)측의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92)의 형상은 상기 윤활유 밸브수단(96)의 머리부(96a)의 테이퍼형상부가 삽입되도록 테이퍼형상의 수용홈(9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는 편심축(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베인부재(72)가 상,하왕복운동을 하며, 상기 베인부재(72)의 상,하왕복운동에 의해 베인부재(72)의 일단에 고정된 탄성수단(86)이 압축 또는 팽창되고, 상기 탄성수단(86)이 압축 또는 팽창되므로서 오일챔버(60)내의 체적은 증가 또는 감소하게 되어 압력의 변화를 가져온다.
즉, 상기 베인부재(72)가 하측에서 상측으로 이동하면, 오일챔버(60)의 체적은 증가되며, 상기 오일챔버(60)의 체적이 증가함에 따라서 압력이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92)을 통해 흡입되는 윤활유는 윤활유 밸브수단(96)을 밀어올리면서 압력이 높은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92)을 통해 압력이 낮은 오일챔버(60)내부로 흘러들어간다.
한편, 편심축(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베인부재(72)가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되면, 오일챔버(60)의 체적은 감소되며, 상기 오일챔버(60)의 체적이 감소함에 따라서 압력이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오일챔버(60)내에 있던 윤활유는 압력이 높은 상기 오일챔버(60)내부로부터 압력이 낮은 배출관(64)을 통하여 크랭크샤프트(52)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윤활유밸브수단(96)의 테이퍼가 형성된 머리부(96a)는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92)의 상부에 형성된 수용홈(93)에 밀착되어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92)을 폐쇄하여 윤활유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는다.
다음에, 제8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8도는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이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와 제3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와의 다른점은 윤활유 밸브수단(80)의 머리부(80a)가 상·하동시에 발생되는 충격음을 감소시키도록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62)의 둘레, 즉 오일챔버(60) 바닥면에 방진부재(88)가 배설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방진부재(88)는 윤활유 밸브수단(80)의 머리부(80a)가 하강되었을 경우, 윤활유가 상기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62)을 통해 누설되지 않도록 상기 윤활유 밸브수단(80)의 머리부(80a)의 하부면과 밀착되도록 오일챔버(60)의 바닥면보다는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방진부재(88)는 천연고무, 또는 플라스틱 또는 인조고무로 이루어진 0-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제9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9도는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종단면도이고, 제10a도는 제8도의 오일급유장치의 사시도이고, 제10b도는 제9도의 화살표 X-X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와 제3도 내지 제6도에 도시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와 다른점은 윤활유 밸브수단(96)의 상하동시에 좌우 또는 전후방향으로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92)에 윤활유 밸브수단(96)의 다리부(96b)를 가이드하는 홈(92a)을 형성하고, 상기 홈(92a)에 윤활유 밸브수단(96)의 다리부(96b)의 일부가 삽입되도록 상기 윤활유 밸브수단(96)의 다리부(96b)를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상기 제3 및 제4실시예의 동작은 앞에서 설명한 제1 및 제2실시예와 동작이 유사하므로, 이들 동작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는 흡입관내에 윤활유밸브수단을 설치하므로서 상기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을 통하여 오일챔버내로 유입되는 오일의 역류를 방지함과 동시에 압축기의 크랭크샤프트 외주면에 윤활유는 충분히 공급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크랭크샤프트와 슬라이딩되는 각 부품의 이상마모를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운전중에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편심축의 회전에 따라 압축기의 저면부에 저류되어 있는 윤활유를 도입하는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과, 상기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을 통해 도입되는 윤활유를 저장하는 오일챔버를 구비한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을 선택적으로 폐쇄시키도록 오일챔버내에 윤활유 밸브수단을 배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밸브수단은 상기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을 폐쇄하는 머리부와, 상기 머리부의 하부면에 고정되어서 상기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내에 삽입되는 다리부(60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밸브수단의 머리부는 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밸브수단의 머리부는 다리부쪽으로 향함에 따라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은 그 상부측이 상기 윤활유 밸브수단의 머리부가 밀착되도록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진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은 그 둘레에 상기 윤활유 밸브수단의 머리부가 오일챔버의 바닥면에 접촉하였을 경우 윤활유의 누설을 방지하도록 방지부재가 배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진부재는 천연고무, 인조고무 또는 플라스틱제중에서 선택된 1종으로 이루어진 0-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밸브수단의 머리부는 오일챔버내에 도입된 윤활유가 하부로 역류되지 않도록 냉각용 윤활유 도입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밸브수단의 다리부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 도입관에는 윤활유 밸브수단의 상하동시에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의 요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윤활유 밸브수단의 다리부를 가이드하는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
KR2019940039604U 1994-12-31 1994-12-31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 KR01329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9604U KR0132989Y1 (ko) 1994-12-31 1994-12-31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
JP7327242A JPH08232867A (ja) 1994-12-31 1995-12-15 ロータリ圧縮機のオイル給油装置
US08/580,599 US5678657A (en) 1994-12-31 1995-12-29 Lubricating device for rotary compress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9604U KR0132989Y1 (ko) 1994-12-31 1994-12-31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424U KR960023424U (ko) 1996-07-20
KR0132989Y1 true KR0132989Y1 (ko) 1999-01-15

Family

ID=19405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9604U KR0132989Y1 (ko) 1994-12-31 1994-12-31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678657A (ko)
JP (1) JPH08232867A (ko)
KR (1) KR013298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2511B4 (de) * 1998-05-18 2004-07-08 Lg Electronics Inc. Ölumlaufstruktur für einen linearen Kompressor
US6422346B1 (en) * 1999-05-27 2002-07-23 Bristol Compressors, Inc Lubricating oil pumping system
US6361293B1 (en) 2000-03-17 2002-03-26 Tecumseh Products Company Horizontal rotary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6568913B1 (en) * 2000-12-22 2003-05-27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Lubrication pump for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KR100430655B1 (ko) * 2003-07-29 2004-05-08 주식회사 메타켐 에어컨 컴프레서 오일 검진기
WO2006090977A1 (en) * 2005-02-23 2006-08-31 Lg Electronics Inc. Capacity varying type rotary compressor and refrigeration system having the same
TW200634231A (en) * 2005-03-17 2006-10-01 Sanyo Electric Co Hermetically sealed compressor
TW200634232A (en) * 2005-03-17 2006-10-01 Sanyo Electric Co Hermeyically sealed compres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113805B2 (en) 2007-09-26 2012-02-14 Torad Engineering, Llc Rotary fluid-displacement assembly
WO2009141993A1 (ja) * 2008-05-19 2009-11-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2段ロータリ膨張機、膨張機一体型圧縮機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US9080569B2 (en) * 2009-01-22 2015-07-14 Gregory S. Sundheim Portable, rotary vane vacuum pump with automatic vacuum breaking arrangement
EP3350447B1 (en) 2015-09-14 2020-03-25 Torad Engineering, LLC Multi-vane impeller device
CN111271281B (zh) * 2018-12-05 2022-03-15 广东美芝精密制造有限公司 压缩机的壳体、压缩机和空调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217B1 (ko) * 1970-01-23 1975-03-24
JPS59165887A (ja) * 1983-03-10 1984-09-19 Hitachi Ltd 横形圧縮機
JPS6131688A (ja) * 1984-07-24 1986-02-14 Hitachi Ltd 圧縮機
JPH0615870B2 (ja) * 1987-02-17 1994-03-02 株式会社東芝 横形ロ−タリ−式圧縮機
US5180291A (en) * 1992-04-27 1993-01-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Pulsating oil injector for radial refrigerant compressor
US5470214A (en) * 1992-12-17 1995-11-28 Goldstar Co., Ltd. Lubricating device for horizontal type hermetic compressor
US5411056A (en) * 1993-12-09 1995-05-02 432583 B.C. Ltd. Pressure relief valve
US5529469A (en) * 1995-09-13 1996-06-25 Carrier Corporation Vane hole cover for rotary compres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424U (ko) 1996-07-20
US5678657A (en) 1997-10-21
JPH08232867A (ja) 1996-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4665B1 (ko) 배기량 제어기구를 가진 스크롤형 압축기
JP4603365B2 (ja) ピストンコンプレッサ
KR0132989Y1 (ko) 로터리 압축기의 오일급유장치
KR100816359B1 (ko) 부스터형 가스 압축기의 구동방법
KR920009081B1 (ko) 가동사판식 콤프레서
CN1270084C (zh) 用于带直线电动机的往复式压缩机的活塞润滑系统
KR20040097844A (ko) 로터리 압축기
KR102547593B1 (ko) 가변 용량 사판식 압축기
CN118066093A (zh) 一种节能型制冷压缩机
EP0248839A1 (en) SCREW COMPRESSOR WITH INTERMITTENT OPERATION.
KR100620042B1 (ko) 용량 가변형 로터리 압축기 및 이를 적용한 에어콘
US20070148018A1 (en) Reciprocating compressor
KR102073110B1 (ko) 가변 사판식 압축기용 토출체크밸브
US5221199A (en) Lubrication oil volume control device in a scroll type compressor
KR102547594B1 (ko) 가변 용량 사판식 압축기
KR100597299B1 (ko) 왕복동식 압축기의 오일공급장치
KR100273424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실린더 냉각구조
WO2004005713A1 (en) Piston for a hermetic compressor
KR0143141B1 (ko) 왕복동 압축기의 소음감소장치
KR102331606B1 (ko) 압축기
KR20060039732A (ko) 2단 왕복동식 압축기의 편마모 저감 장치
KR100314076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장치
KR102712301B1 (ko) 사판식 압축기
KR100746425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오일 공급 유닛
KR19980015241U (ko) 회전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4123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60409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41231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3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1001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0831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9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9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9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9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9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28

Year of fee payment: 10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9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