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12301B1 - 사판식 압축기 - Google Patents
사판식 압축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12301B1 KR102712301B1 KR1020180170118A KR20180170118A KR102712301B1 KR 102712301 B1 KR102712301 B1 KR 102712301B1 KR 1020180170118 A KR1020180170118 A KR 1020180170118A KR 20180170118 A KR20180170118 A KR 20180170118A KR 102712301 B1 KR102712301 B1 KR 1027123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post
- orifice
- control valve
- swash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7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4043 responsiven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4—Control
- F04B27/16—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8—Control of pumps with stationary cylinders by varying the relative positions of a swash plate and a cylinder block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판식 압축기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사판식 압축기에서 리어 하우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오리피스조절밸브가 제1 위치에 위치될 때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오리피스조절밸브가 제2 위치에 위치될 때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로서, 오리피스조절밸브가 제3 위치에 위치될 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110: 실린더 블록
114: 보어
116: 실린더 블록 홀
120: 프론트 하우징
130: 리어 하우징
210: 회전축
220: 사판
230: 피스톤
300: 밸브기구
310: 밸브기구 홀
430: 오리피스조절밸브
432: 오리피스조절밸브 제1 부위
432a: 오리피스조절밸브 제1 부위 제1 선단면
432b: 오리피스조절밸브 제1 부위 제2 선단면
432c: 오리피스조절밸브 제1 부위 외주면
434: 오리피스조절밸브 제2 부위
434a: 오리피스조절밸브 홀
440: 플러그
442: 플러그 홀
B1: 제1 경계
B2: 제2 경계
B3: 제3 경계
H1: 포스트 제1 홀
H2: 포스트 제2 홀
H3: 포스트 제3 홀
H4: 포스트 제4 홀
H21: 포스트 제2 홀 제1 단부
H22: 포스트 제2 홀 제2 단부
H31: 포스트 제3 홀 제1 단부
H32: 포스트 제3 홀 제2 단부
H41: 포스트 제4 홀 제1 단부
H42: 포스트 제4 홀 제2 단부
P1: 포스트 제1 부위
P2: 포스트 제2 부위
S1: 흡입실
S2: 압축실
S3: 토출실
S4: 크랭크실
V1: 포스트 제2 홀 제1 공간
V2: 포스트 제2 홀 제2 공간
Claims (15)
- 보어(114), 흡입실(S1), 토출실(S3) 및 크랭크실(S4)을 갖는 케이싱(100);
상기 케이싱(1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회전축(210);
상기 회전축(210)과 함께 회전되는 사판(220);
상기 사판(220)에 연동되어 상기 보어(114)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되고 상기 보어(114)와 함께 압축실(S2)을 형성하는 피스톤(230);
상기 토출실(S3)의 냉매를 상기 크랭크실(S4)로 안내하는 유입유로(IN);
상기 크랭크실(S4)의 냉매를 상기 흡입실(S1)로 안내하는 배출유로(OUT);
상기 배출유로(OUT)를 통과하는 냉매의 압력을 감압시키는 오리피스 홀(O); 및
상기 오리피스 홀(O)의 유동 단면적을 조절하는 오리피스 조절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 조절기구는 상기 토출실(S3)의 압력에 의해 상기 오리피스 홀(O)의 유동 단면적을 조절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입유로(IN)의 일부와 상기 배출유로(OUT)의 일부가 공통 유로로 형성되는 사판식 압축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100)은,
상기 보어(114)가 형성되는 실린더 블록(110);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크랭크실(S4)이 형성되는 프론트 하우징(120); 및
상기 실린더 블록(110)의 타측에 결합되고 상기 흡입실(S1)과 상기 토출실(S3)이 형성되는 리어 하우징(130);을 포함하고,
상기 실린더 블록(110)과 상기 리어 하우징(130) 사이에 상기 흡입실(S1)과 상기 토출실(S3)을 상기 압축실(S2)과 연통 및 차폐시키는 밸브기구(300)가 개재되고,
상기 리어 하우징(130)은 상기 리어 하우징(130)의 내벽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밸브기구(300)를 지지하는 포스트(P)를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 홀(O) 및 상기 오리피스 조절기구는 상기 포스트(P)에 형성되는 사판식 압축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유로(IN)는 상기 토출실(S3)로부터 상기 포스트(P), 상기 밸브기구(300) 및 상기 실린더 블록(110)을 관통해 상기 크랭크실(S4)까지 연장 형성되고,
상기 배출유로(OUT)는 상기 크랭크실(S4)로부터 상기 실린더 블록(110), 상기 밸브기구(300) 및 상기 포스트(P)를 관통해 상기 흡입실(S1)까지 연장 형성되는 사판식 압축기.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블록(110)은 상기 크랭크실(S4)과 연통되는 실린더 블록 홀(116)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기구(300)는 상기 실린더 블록 홀(116)과 연통되는 밸브기구 홀(310)을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P)는,
상기 토출실(S3)과 연통되는 포스트 제1 홀(H1);
상기 포스트 제1 홀(H1)과 연통되는 포스트 제2 홀(H2);
상기 포스트 제2 홀(H2)과 상기 밸브기구 홀(310)을 연통시키는 포스트 제3 홀(H3); 및
상기 포스트 제2 홀(H2)과 상기 흡입실(S1)을 연통시키는 포스트 제4 홀(H4);을 포함하는 사판식 압축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제1 홀(H1)은 상기 유입유로(IN)로 작용하고,
상기 포스트 제2 홀(H2), 상기 포스트 제3 홀(H3), 상기 밸브기구 홀(310) 및 상기 실린더 블록 홀(116)은 각각 상기 유입유로(IN) 및 상기 배출유로(OUT)로 작용하고,
상기 포스트 제4 홀(H4)은 상기 배출유로(OUT) 및 상기 오리피스 홀(O)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제2 홀(H2)은, 상기 포스트 제1 홀(H1)과 연통되는 포스트 제2 홀 제1 단부(H21); 및 상기 밸브기구 홀(310) 측으로 개구되는 포스트 제2 홀 제2 단부(H22);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 제3 홀(H3)은, 상기 포스트 제2 홀 제1 단부(H21) 측과 연통 가능한 포스트 제3 홀 제1 단부(H31); 및 상기 밸브기구 홀(310)과 연통되고 상기 포스트 제2 홀 제2 단부(H22) 측과 연통되는 포스트 제3 홀 제2 단부(H32);를 포함하고,
상기 포스트 제4 홀(H4)은, 상기 포스트 제2 홀(H2)과 연통되는 포스트 제4 홀 제1 단부(H41); 및 상기 흡입실(S1)과 연통되는 포스트 제4 홀 제2 단부(H42);를 포함하는 사판식 압축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 조절기구는, 상기 포스트 제2 홀(H2)의 내부에서 왕복 운동되며 상기 포스트 제2 홀(H2)을 상기 포스트 제3 홀 제1 단부(H31) 및 상기 포스트 제4 홀 제1 단부(H41)와 연통 및 차폐시키는 오리피스조절밸브(430);를 포함하는 사판식 압축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430)는 상기 포스트 제2 홀(H2)을 두 공간으로 구획하고,
상기 두 공간 중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430)를 기준으로 상기 포스트 제2 홀 제1 단부(H21) 측에 위치되는 공간을 포스트 제2 홀 제1 공간(V1)이라 하고, 상기 두 공간 중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430)를 기준으로 상기 포스트 제2 홀 제2 단부(H22) 측에 위치되는 공간을 포스트 제2 홀 제2 공간(V2)이라 하면,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430)는,
상기 포스트 제2 홀 제1 공간(V1)에 대향되는 오리피스조절밸브 제1 부위(432); 및
상기 포스트 제2 홀 제2 공간(V2)에 대향되는 오리피스조절밸브 제2 부위(434);를 포함하고,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 제2 부위(434)는, 상기 포스트 제2 홀 제2 공간(V2)과 연통되면서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430)의 위치에 따라 상기 포스트 제4 홀 제1 단부(H41)와 연통 및 차폐되는 오리피스조절밸브 홀(434a);을 포함하는 사판식 압축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 제1 부위(432)는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430)의 위치에 따라 상기 포스트 제3 홀 제1 단부(H31)를 상기 포스트 제2 홀 제1 공간(V1)과 연통 및 차폐시키면서 상기 포스트 제4 홀 제1 단부(H41)를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 홀(434a)과 연통 및 차폐시키도록 형성되는 사판식 압축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 제1 부위(432)는,
상기 포스트 제2 홀 제1 공간(V1)에 대향되는 오리피스조절밸브 제1 부위 제1 선단면(432a);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 제1 부위 제1 선단면(432a)의 배면을 이루며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 홀(434a)의 기저면을 이루는 오리피스조절밸브 제1 부위 제2 선단면(432b); 및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 제1 부위 제1 선단면(432a)과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 제1 부위 제2 선단면(432b) 사이에서 상기 포스트 제2 홀(H2)의 내주면에 대향되는 오리피스조절밸브 제1 부위 외주면(432c);을 포함하는 사판식 압축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제4 홀 제1 단부(H41)는 상기 포스트 제3 홀 제1 단부(H31)와 상기 포스트 제3 홀 제2 단부(H32) 사이에서 상기 포스트 제2 홀(H2)과 연통되고,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 제1 부위(432)의 길이는 상기 포스트 제3 홀 제1 단부(H31)와 상기 포스트 제4 홀 제1 단부(H41) 사이 이격 거리와 동등 수준으로 형성되고,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 제1 부위(432)의 길이는 상기 포스트 제4 홀 제1 단부(H4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포스트 제3 홀 제1 단부(H31)와 상기 포스트 제2 홀 제1 공간(V1) 사이 연통 면적 및 상기 포스트 제4 홀 제1 단부(H41)와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 홀(434a) 사이 연통 면적이 반비례 관계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제3 홀 제1 단부(H31)에서 상기 포스트 제2 홀 제1 단부(H21)에 가장 인접한 부위를 제1 경계(B1)라 하고, 상기 포스트 제4 홀 제1 단부(H41)에서 상기 포스트 제2 홀 제1 단부(H21)에 가장 인접한 부위를 제2 경계(B2)라 하고, 상기 포스트 제4 홀 제1 단부(H41)에서 상기 포스트 제2 홀 제1 단부(H21)로부터 가장 원격한 부위를 제3 경계(B3)라 하면,
상기 포스트 제2 홀 제1 공간(V1)의 압력이 제1 압력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 제1 부위 제1 선단면(432a)이 상기 제1 경계(B1)에 위치되고,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 제1 부위 제2 선단면(432b)이 상기 제2 경계(B2)에 위치되어, 상기 포스트 제3 홀 제1 단부(H31)와 상기 포스트 제2 홀 제1 공간(V1) 사이 연통 면적은 영(0)이 되고, 상기 포스트 제4 홀 제1 단부(H41)와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 홀(434a) 사이 연통 면적은 상기 포스트 제4 홀 제1 단부(H41)의 면적과 동등 수준이 되고,
상기 포스트 제2 홀 제1 공간(V1)의 압력이 상기 제1 압력 범위보다 높은 제2 압력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 제1 부위 제1 선단면(432a)이 상기 제1 경계(B1)와 상기 제2 경계(B2)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 제1 부위 제2 선단면(432b)이 상기 제2 경계(B2)와 상기 제3 경계(B3)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포스트 제3 홀 제1 단부(H31)와 상기 포스트 제2 홀 제1 공간(V1) 사이 연통 면적은 영(0)보다 넓은 면적이 되고, 상기 포스트 제4 홀 제1 단부(H41)와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 홀(434a) 사이 연통 면적은 상기 포스트 제4 홀 제1 단부(H41)의 면적보다 좁은 면적이 되고,
상기 포스트 제2 홀 제1 공간(V1)의 압력이 상기 제2 압력 범위보다 높은 제3 압력 범위에 포함되면,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 제1 부위 제1 선단면(432a)이 상기 제1 경계(B1)와 상기 제2 경계(B2)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 제1 부위 제2 선단면(432b)이 상기 제3 경계(B3)를 기준으로 상기 제2 경계(B2)의 반대측에 위치되어, 상기 포스트 제3 홀 제1 단부(H31)와 상기 포스트 제2 홀 제1 공간(V1) 사이 연통 면적은 상기 포스트 제2 홀 제1 공간(V1)의 압력이 상기 제2 압력 범위에 포함될 경우보다 넓은 면적이 되고, 상기 포스트 제4 홀 제1 단부(H41)와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 홀(434a) 사이 연통 면적은 영(0)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조절밸브(43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450); 및
상기 탄성부재(450)를 지지하는 플러그(440);를 더 포함하는 사판식 압축기.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440)는 상기 포스트 제2 홀(H2)을 상기 밸브기구 홀(310)과 연통시키는 플러그 홀(442)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홀(442)은 상기 유입유로(IN) 및 상기 배출유로(OUT)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판식 압축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포스트 제3 홀(H3)과 상기 포스트 제4 홀(H4)은 상기 포스트 제2 홀(H2)을 기준으로 서로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홀(442)은 상기 포스트 제2 홀(H2)의 반경 방향 상 상기 포스트 제3 홀 제2 단부(H32)까지 거리(D1)보다 상기 포스트 제4 홀 제1 단부(H41)까지 거리(D2)가 짧게 형성되는 사판식 압축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0118A KR102712301B1 (ko) | 2018-12-27 | 2018-12-27 | 사판식 압축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70118A KR102712301B1 (ko) | 2018-12-27 | 2018-12-27 | 사판식 압축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0550A KR20200080550A (ko) | 2020-07-07 |
KR102712301B1 true KR102712301B1 (ko) | 2024-10-04 |
Family
ID=71603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70118A Active KR102712301B1 (ko) | 2018-12-27 | 2018-12-27 | 사판식 압축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12301B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199479A (ja) | 1998-10-30 | 2000-07-18 | Toyota Autom Loom Works Ltd | 可変容量型圧縮機 |
KR101451472B1 (ko) * | 2012-04-27 | 2014-10-15 |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
KR102082010B1 (ko) * | 2013-07-04 | 2020-02-27 | 학교법인 두원학원 |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
KR20160041128A (ko) * | 2014-10-06 | 2016-04-18 | 학교법인 두원학원 | 용량 가변형 사판식 압축기 |
-
2018
- 2018-12-27 KR KR1020180170118A patent/KR102712301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80550A (ko) | 2020-07-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354548B1 (en) | Variable displacement type reciprocating compressor | |
KR102547594B1 (ko) | 가변 용량 사판식 압축기 | |
KR102712301B1 (ko) | 사판식 압축기 | |
KR102547593B1 (ko) | 가변 용량 사판식 압축기 | |
KR101379610B1 (ko) | 가변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 |
KR101763979B1 (ko) |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 |
KR101886727B1 (ko) | 사판식 압축기 | |
KR20130121328A (ko) | 사판식 압축기 | |
KR102067137B1 (ko) | 사판식 압축기 | |
KR20210117569A (ko) | 사판식 압축기 | |
JP7480361B2 (ja) | 斜板式圧縮機 | |
KR102717001B1 (ko) | 사판식 압축기 | |
KR102103440B1 (ko) |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 |
KR101877258B1 (ko) | 사판식 압축기 | |
KR101058652B1 (ko) | 압축기 | |
KR20150060199A (ko) | 왕복식 압축기 | |
KR20150004595A (ko) | 사판식 압축기 | |
KR101866731B1 (ko) |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 |
KR20110098215A (ko) | 용량가변형 압축기의 체크밸브 | |
KR102112215B1 (ko) |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 |
KR20210105247A (ko) | 압축기 | |
KR20210118664A (ko) | 사판식 압축기 | |
KR101915969B1 (ko) | 가변 용량형 사판식 압축기 | |
KR20130126818A (ko) | 사판식 압축기 | |
KR101085738B1 (ko) | 사판식 압축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90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2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09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09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