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0129400Y1 - 연속주조설비에 있어서의 빔 블랭크와 구형주편(矩形鑄片) 겸용 롤러 에이프런 - Google Patents

연속주조설비에 있어서의 빔 블랭크와 구형주편(矩形鑄片) 겸용 롤러 에이프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9400Y1
KR0129400Y1 KR2019920012932U KR920012932U KR0129400Y1 KR 0129400 Y1 KR0129400 Y1 KR 0129400Y1 KR 2019920012932 U KR2019920012932 U KR 2019920012932U KR 920012932 U KR920012932 U KR 920012932U KR 0129400 Y1 KR0129400 Y1 KR 01294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ical
slab
beam blank
roll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200129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4531U (ko
Inventor
유다까 사까다
Original Assignee
구보 마사다까
스미도모쥬기가이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보 마사다까, 스미도모쥬기가이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구보 마사다까
Publication of KR9300045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5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94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94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09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of work of special cross-section, e.g. I-beams, U-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속주조설비에 있어서의 빔 블랭크(1)와 구형주편(2) 겸용 롤러 에이프런에 관한 것으로, 빔 블랭크(1)의 웨브(1a)의 상.하면을 각각 지지하는 웨브 롤(3)을 상하의 가동프레임(5,6)에 의해 각각 지지하고 구형주편(2)의 하면을 지지하는 구형주편용 롤(4)을 고정프레임(20)에 의해 지지함과 동시에 구형주편(2)의 상면을 상기 위쪽의 웨브 롤(3)로 지지한다. 따라서 구형 주편(2)을 주조할 때는 아래쪽의 웨브 롤(3)을 퇴피시켜 두고 또 빔 블랭크(1)를 주조할 때는 아래쪽의 웨브 롤(3)을 퇴피시켜 두고 또 빔 블랭크(1)를 주조할 때는 그 웨브(1a)의 상.하면을 웨브 롤(3)로 각각 지지함과 동시에 그 플랜지부 선단을 구형주편용 롤(4)로 지지한다. 따라서 빔 블랭크(1)나 구형주편(2)의 인장측은 확실하게 지지되므로 벌징 등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연속주조설비에 있어서의 빔 블랭크와 구형주편(矩形鑄片) 겸용 롤러 에이프런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빔 블랭크 주편 2 : 구형주편
3 : 웨브 롤 4 : 구형주편용 롤
6 : 하부가동프레임 20 : 고정프레임
R1: 구형주편의 패스라인
본 고안은 연속주조설비에 있어서의 빔 블랭크와 구형주편(矩形鑄片) 겸용 롤러 에이프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빔 블랭크[조형(粗型)주편]주편과 빌릿 블륨(bloom) 또는 슬래브 등의 구형주편과의 주조를 겸용할 수 있는 만곡형 연속주조설비에 있어서는 각각 빔 블랭크용 롤과 구형주편용 롤을 갖춘 롤러 에이프런 세그먼트를 준비해두고 빔 블랭크 주편과 블룸 등의 구형주편의 주조에 따라 그 때마다 교환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 교환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요하고 있었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교환작업을 개선하기 위해 고정프레임과 가동프레임을 갖춘 롤러 에이프런 세그먼트에 있어서, 이 고정프레임에 빔 블랭크의 웨브부 또는 블룸 등의 구형주편의 주조반경외측을 지지하는 웨브 롤을 회전가능하게 축받이하고, 이 웨브 롤에 대향하여 상기 가동프레임에 빔 블랭크 주편의 웨브 또는 구형주편의 주조반경 내측을 지지하는 웨브 롤을 회전가능하게 축받이한, 빔 블랭크 주편과 구형주편과의 주조를 겸용할 수 있는 만곡형 연속주조설비가 제안되고 있다.(예를 들면 일본국 실공평 2-11963호 공보, 특공소 61-60746호 공보등 참조).
그러나 이와 같은 제안의 만곡형 연속주조설비에서는 주조반경의 외측에 배치한 웨브 롤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만곡한 주편 패스 라인은 고정밀도로 유지할 수 있으나, 빔 블랭크 주편의 웨브(예를 들면 I형 단면재나 H형 단면재에 있어서의 단면이 평행한 2변주, 즉 플랜지부를 연결하는 부분으로, 웨브판이라고 일컬어지는 부분을 말함)와, 구평주편의 상.하면(블룸 등이 수평형 자세로 되었을 때의 상.하면을 말함. 이하 동일)을 지지하는 웨브 롤은 겸용으로 되어 있으므로 웨브의 폭이 작은 빔 블랭크 주편을 주조할 때에는 이 겸용 웨브 롤이 축방향에서 밀려나와 빔 블랭크의 플랜지부에 맞닿게 되어 웨브 롤이 웨브를 지지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웨브에는 응고되지 않은 부분이 잔존하는 경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조반경 외측의 중요한 인장측을 지지할 수 없게 되어 벌징(bulging) 등의 결함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일본국 특공소 61-60746호 공보의 것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공보에 기재되어 잇는 것으로는 북모양의 웨브 겸 블룸 롤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북몽야의 롤로는 그 대경부의 축길이가 빔 블랭크의 폭보다 커지면 소형의 빔 블랭크를 주조할 때에는 웨브를 지지할 수 없게 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결함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요지로 하는 바는 주조반경의 내측을 지지하는 롤군과, 외측을 정위치에서 지지하는 롤군을 갖추고, 또 빔 블랭크 주편과 구형 주편과의 주조를 겸용할 수 있는 만곡형 연속주조설비에 있어서, 상기 구형주편과 빔 블랭크 주편과의 주조반경의 내측을 함께 지지하는 웨브 롤을 주편 패스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구형주편의 주조반경의 외측을 지지하는 구형주편용 롤을 정위치에서 지지하는 상기 빔 블랭크 주편의 웨브의 주조반경의 외측을 지지하는 웨브 롤을 주편 패스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이들 주조반경의 외측을 지지하는 구형주편용 롤과 웨브 롤을 주편 패스라인 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설비에 있어서의 빔 블랭크와 구형주편 겸용 롤러 에이프런에 있다.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강(鋼)의 만곡형 연속주조설비에 있어서 빔 블랭크 주편과 블룸, 빌릿 또는 슬래브 등의 구형주편과의 주조를 겸용할 수 있는 롤러 에이프런이다. 물론, 이 경우 주형과 톱 롤러 에이프런은 전용이므로 교환하지만, 톱 롤러 에이프런 이외의 롤러 에이프런, 즉 가이드 롤 또는 교정 롤 등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의 롤러 에이프런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 있어서, 1은 H형 단면의 빔 블랭크 주편, 2는 구형주편을 나타내고, 빔 블랭크 주편(1)의 웨브(1a)의 상.하면은 웨브 롤(3,3)로 지지된다. 또한 구형주편(2)의 상면은 위쪽의 웨브 롤(3)로 지지되고 하면은 구형주편용 롤(4)로 지지된다. 또한 구형주편(2)의 상면은 위쪽의 웨브 롤(3)로 지지되고 하면은 구형주편용 롤(4)로 지지된다. 그리고 이 웨브 롤(3)과 구형주편용 롤(4)의 직경(4Cm)은 거의 동일하지만, 구형 주편용 롤(4)의 축길이는 웨브 롤(3)의 약 4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위쪽의 웨브 롤(3)은 상부가동프레임(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아래쪽의 웨브 롤(3)은 하부가동프레임(6)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가동프레임(5)은 본체 프레임에 패스라인을 따라 한쌍이 세워설치된 문형프레임(8)에 웜 잭(9)을 통해 장착되어 있다. 즉 상부가동프레임(5)은 문형 프레임(8)상에 설치된 웜 잭(9)에서 뻗어나온 로드(10)에 승강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이 상부가동프레임(5)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브(5a)가 양측에 돌설되어 있고 이들 리브(5a)가 상기 문형 프레임(8)의 가이드 레일(8a)에 결합되어 상부가동프레임(5)의 승강이 가이드되고 있다.
또한 상기 하부가동프레임(6)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측에 거의 수평하게 뻗어있는 승강지지판(11,11)이 고착되어 있고 이 하부가동프레임(6)은 승강지지간(11) 및 후술하는 승강축(13)을 통해 상기 본체 프레임(7)에 지지되어 있다. 이들 승강지지간(11)은 패스라인을 따라 한쌍이 설치되어 있다. 이 승강지지간(11)의 외단에는 핀결합(12)을 통해 거의 수직으로 승강축(13)이 연결되어 있고 이 승강축(13)은플랜지(14)를 통해서 유압실린더(15)의 로드와 연결되어 있다. 이 유압실린더(15)는 상기 본체 프레임(7)에 장착한 상부 브래킷(16)에 세워 설치된 스탠드(17)에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승강축(13)은 본체 프레임(7)에 장착한 하부 브래킷(18)에 설치한 안내부재(19)를 관통하고 있고 하부가동프레임(6)의 승강은 이 안내부재(19)로 가이드되고 있다.
상기 구형주편용 롤(4)은 본체 프레임(7)에 설치되어 고정프레임(2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형주편용 롤(4)은 패스라인을 따라 배열된 상기 아래쪽 웨브 롤(3)의 각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즉 웨브 롤(3)과 구형주편용 롤(4)은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빔 블랭크 주편(1)의 플랜지부 측면은 한쌍의 플랜지측면 롤(21,2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상기 본체 프레임(7)에 설치된 측면 프레임(22)에는 서로 대향하여 이들 플랜지 측면 롤(21)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플랜지측면 롤(21)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이 측면 프레임(22)은 본체 프레임(7)에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 프레임(7) 및 상부 브래킷(16)의 상면에는 공통의 솔(sole)플레이트(23)가 부설되고 이 솔 플레이트(23)상에 선택적으로 교환이 가능한 디스턴스 피스(24)는 상기 스탠드(17)에 부설된 레버(25)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상기 승강축(13)의 플랜지(14)와 솔 플레이트(23) 사이에 끼이거나 또는 분리된다.
또한 도면중 26은 웜 잭(9)의 웜축에 연결된 로드, 27은 이 로드(26)를 회전시키는 조작핸들을 나타낸다. 즉 상기 본체 프레임(7)의 상면은 냉각챔버외벽(28)과 일치시켜 구축하고 있으므로 상기 유압 실린더(15)나 웜 잭(9)에 스케일이나 냉각수가 튀지 않도록 되어 있다.
(R1)(R1)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제2도에 나타낸 빔 블랭크 주편(1)의 주조상태에서 제3도에 나타낸 구형주편(2)의 주조로 변경하려면 도시되어 있지 않은 주형과 톱 롤러 에이프런을 교환함과 동시에 해당 구형주편(2)의 폭치수가 대향하는 플랜지측면 롤(21,21)의 간극보다 클 경우에는 플랜지측면 롤(21)을 후퇴시켜둔다. 그 다음에 디스턴스 피스(24)를 레버(25)에 의해 슬라이딩시켜 승강축(13)의 플랜지(14)와 솔 플레이트(23) 사이에서 분리한다. 그곳에서 4개의 유압 실린더(15)를 통시에 신장작동시키면 승강축(13)→승강지지간(11)→하부가동프레임(6)을 통해 아래쪽의 웨브 롤(3)이 구형주편용 롤(4)에 의한 구형주편의 패스라인(R1)의 아래(밖)까지 강하한다. 계속하여 주조되는 구형주편(2)의 두께에 맞추기 위해 위쪽의 웨브 롤(3)의 상하위치를 조정한다. 즉 조작 핸들(27)을 돌림으로써 로드(26)를 통해 2개의 웜 잭(9)이 작동하여 이들 웜 잭(9)에 연결한 로드(10)를 승강시킨다. 그 결과 상부가동프레임(5)은 문형 프레임(8)의 가이드 레일(8a)로 안내되어 승강하므로 위쪽의 웨브 롤(3)의 상하위치를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래서 이들 구형주편용 롤(4)과 위쪽의 웨브 롤(3)에 의해 구형주편(2)은 지지된다. 이때 구형주편용 롤(4)은 고정프레임(20)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구형주편(2)의 패스라인(R1)은 초기의 조정정밀도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구형주편(2)의 패스라인(R1)은 초기의 조정정밀도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구형주편(2)의 중요한 인장측은 정확하게 규제되어 구형주편(2)의 품질을 손상하는 일은 없다.
한편 제3도에 나타낸 구형주편(2)의 주조상태에서 제2도에 나타낸 빔 블랭크 주편(1)으로 주조를 변경하려면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주형과 톱 롤러 에이프런을 교환함과 동시에 플랜지측면 롤(21)의 수평방향의 간격을 조정한다. 그 다음에 4개의 유압실린더(15)를 동시에 수축작동시켜 승강축(13)→승강지지간(11)→하부가동프레임(6)을 통해 아래쪽의 웨브 롤(3)을 상승시킨다. 그리고 승강축(13)의 플랜지(14)와 솔 플레이트(23) 사이에 소정크기의 디스턴스 피스(24)를 끼워넣어 위쪽의 웨브 롤(3)의 상하위치를 조정한다. 이때 빔 블랭크 주편(1)의 양 플랜지부의 선단의 중요한 인장측은 정위치의 구형주편용 롤(4)에 의해 확실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빔 블랭크 주편(1)의 중요한 인장측을 지지하는 아래쪽의 웨브 롤(3)은 디스턴스 피스(24)의 높이에 의해 규제되므로 정확한 빔 블랭크 패스라인(R2)이 얻어진다.
본 고안에 의하면 구형주편의 주조반경의 외측을 지지하는 구형주편용 롤은 정위치에서 지지되어 있으므로 빔 블랭크 주편에서 구형주편으로 주조반경을 해도 또 구형주편에서 빔 블랭크 주편으로 주조변경을 해도 만곡형 연속주조기의 엄격한 패스라인은 정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어떠한 크기의 빔 블랭크 주편이라도 그 웨브를 웨브 롤에 의해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으므로 이 빔 블랭크 주편에 대해 벌징등의 결함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구형주편주조시에는 이 웨브 롤이 장애가 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신뢰성이 높은 매우 다양성이 있는 빔 블랭크와 구형주편 겸용 롤러 에이프런을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주조반경의 외측에 있어서 웨브 롤과 구형주편용 롤을 교대로 배열하였으므로 웨브 롤의 승강장치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 주조반경의 내측에 있어서는 웨브 롤만으로 구형주편 및 빔 블랭크 주편을 지지하므로 장치를 간소화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1)

  1. 주조반경의 내측을 지지하는 롤군과, 외측을 정위치에서 지지하는 롤군을 갖추고 또 빔 블랭크 주편(1)과 구형주편(2)과의 주조를 겸용할 수 있는 만곡형 연속주조설비에 있어서, 상기 구형주편(2)과 빔 블랭크 주편(1)과의 주조반경의 내측을 함께 지지하는 웨브 롤(3)을 주편 패스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구형주편(2)의 주조반경의 외측을 지지하는 구형주편용 롤(4)을 정위치에서 지지하고, 상기 빔 블랭크 주편(1)의 웨브(1a)의 주조반경의 외측을 지지하는 웨브 롤(3)을 주편 패스라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이들 주조반경의 외측을 지지하는 구형주편용 롤(4)과 웨브 롤(3)을 주편 패스라인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주조설비에 있어서의 빔 블랭크와 구형주편 겸용 롤러 에이프런.
KR2019920012932U 1991-08-07 1992-07-13 연속주조설비에 있어서의 빔 블랭크와 구형주편(矩形鑄片) 겸용 롤러 에이프런 KR012940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1-70524 1991-08-07
JP1991070524U JP2528341Y2 (ja) 1991-08-07 1991-08-07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ビ−ムブランクと矩形鋳片兼用ロ−ラエプロ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4531U KR930004531U (ko) 1993-03-20
KR0129400Y1 true KR0129400Y1 (ko) 1999-01-15

Family

ID=13434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20012932U KR0129400Y1 (ko) 1991-08-07 1992-07-13 연속주조설비에 있어서의 빔 블랭크와 구형주편(矩形鑄片) 겸용 롤러 에이프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238047A (ko)
JP (1) JP2528341Y2 (ko)
KR (1) KR0129400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67298B1 (it) * 1994-09-30 1997-01-28 Danieli Off Mecc Dispositivo di colata continua per prodotti a sezione tonda ed a sezione a lati piani
DE10051959A1 (de) * 2000-10-20 2002-05-02 Sms Dema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Stranggießen und anschließendem Verformen eines Gießstranges aus Stahl, insbesondere eines Gießstranges mit Blockformat oder Vorprofil-Format
DE10062868A1 (de) * 2000-12-16 2002-06-20 Sms Demag Ag Verfahren zum Giessen und unmittelbar anschliessendem Walzen und eine Vorrichtung zur Stützung, Führung und Verformung eines Metall-, insbesondere eines Stahlstranges
AU2003202828A1 (en) * 2002-01-17 2003-07-30 Johan Massee Method and forming machine for manufacturing a product having various diameters
AT506846B1 (de) * 2008-05-23 2011-08-15 Siemens Vai Metals Tech Gmbh Strangführungssegment
KR101752991B1 (ko) * 2013-05-02 2017-07-03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연속 주조 설비
KR102321302B1 (ko) * 2019-12-02 2021-11-02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및 이를 포함하는 연속주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135Y2 (ko) * 1976-05-18 1980-01-30
JPS611966Y2 (ko) * 1979-10-22 1986-01-22
JPS57199555A (en) * 1981-06-03 1982-12-07 Kawasaki Steel Corp Roll stand for continuous casting machine for beam blank
DE3230573C2 (de) * 1981-08-18 1986-04-03 Nippon Steel Corp., Tokio/Tokyo Vorrichtung zum Stranggießen von Stahl
JPS5897474A (ja) * 1981-12-01 1983-06-09 Sumitomo Heavy Ind Ltd ビ−ムブランクとスラブ又はブル−ムの兼用連続鋳造機
JPS5950961A (ja) * 1982-09-14 1984-03-24 Nippon Steel Corp ビ−ムブランクの連続鋳造方法
JPS59212156A (ja) * 1983-05-17 1984-12-01 Nippon Steel Corp 連続鋳造装置のピンチロ−ル
JPS6160746A (ja) * 1984-08-31 1986-03-28 Sumitomo Chem Co Ltd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211963A (ja) * 1988-06-30 1990-01-17 Nissan Motor Co Ltd クランクプーリ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238047A (en) 1993-08-24
JP2528341Y2 (ja) 1997-03-12
JPH0513648U (ja) 1993-02-23
KR930004531U (ko) 1993-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29400Y1 (ko) 연속주조설비에 있어서의 빔 블랭크와 구형주편(矩形鑄片) 겸용 롤러 에이프런
JPS6360010A (ja) 形鋼製造用ロールスタンドのロール軸方向位置調整装置
KR940002748B1 (ko) 형강의 압연용 안내장치
US3867827A (en) Roller apron for a continuous casting installation
JPS6076209A (ja) 支持ローラにより支持されるワークロールを備えた六重式圧延機のロールスタンド
US3538980A (en) Roller cage for confining continuous casting as it emerges from mold
JPH0730200Y2 (ja)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鋳片の軽圧下装置
JP4124550B2 (ja) 形鋼圧延設備における中間ガイド装置
JP3241569B2 (ja) エッジング圧延機のガイド装置
CN107598104A (zh) 一种结晶器与扇形段的对中工具及对中方法
KR100646627B1 (ko) 선형 롤 갭 조절이 가능한 연주기 세그먼트
JP3471706B2 (ja) 形鋼圧延設備における中間ガイド装置
KR200189822Y1 (ko) 롤 간격 조정이 용이한 레벨러
KR100472532B1 (ko) 동적 스트랜드 승강 및 압하용 세그먼트 장치
JP2815272B2 (ja) 連続鋳造設備におけるロールセグメントフレーム
JP2009095860A (ja) クイックシフト式圧延設備及びその調整方法
KR100954193B1 (ko) 연속주조설비의 가이드롤 간격 조정장치
KR102626307B1 (ko) 세그먼트 롤 레벨 측정장치
JPH0434995Y2 (ko)
CN213038207U (zh) 一种节段箱梁底模调平装置
JPH0615086B2 (ja) 形鋼の誘導装置およびその装置を備えたユニバーサル圧延機
CN207386508U (zh) 一种结晶器与扇形段的对中工具
JP2908462B2 (ja) 鋳片順次曲げ用ガイドロールセグメント
SU1301518A1 (ru) Плитный настил прокат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
JPH03257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20713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5070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20713

Patent event code: UA02011R01I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07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80818

Patent event code: UR0701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U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art annual number: 1

End annual number: 3

Payment date: 19980818

U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08

Year of fee payment: 4

U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108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